KR100610320B1 - 칼라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칼라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320B1
KR100610320B1 KR1020040069975A KR20040069975A KR100610320B1 KR 100610320 B1 KR100610320 B1 KR 100610320B1 KR 1020040069975 A KR1020040069975 A KR 1020040069975A KR 20040069975 A KR20040069975 A KR 20040069975A KR 100610320 B1 KR100610320 B1 KR 100610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unit
frame
transf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9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1129A (ko
Inventor
안병선
정수용
최동하
김원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9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0320B1/ko
Priority to US11/211,494 priority patent/US20060045564A1/en
Publication of KR20060021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1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19Frame struc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4Frame structures using extractable subframes, e.g. on rails or hing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색중첩 등 화상품질과 관련된 구성요소의 조립 및 조정이 용이한 칼라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칼라화상형성장치는 칼라화상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상형성유닛 및 노광유닛과, 전사유닛이 장착되면 항상 각 요소들이 상호간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된 상형성 프레임에 복수개의 상형성유닛 및 노광유닛과 전사유닛이 조립된 상형성 모듈이 위치결정수단에 의해 본체 내부에 장탈착된다.
상형성모듈, 상형성유닛, 상형성프레임, 위치결정수단, 색중첩

Description

칼라화상형성장치{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칼라화상형성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칼라화상형성장치에서 화상형성에 관련되는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칼라화상형성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도 3의 상형성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상형성 모듈을 도 4의 반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상형성유닛의 위치결정수단을 상세하게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7은 도 3의 상형성 모듈을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8은 도 3의 상형성 모듈의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칼라화상형성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10은 도 9의 상형성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는 본 발명에 의한 칼라화상형성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300; 칼라화상형성장치 110,210,310; 상형성 모듈
120,320; 상형성유닛 121; 감광체(감광드럼)
130,230,330; 노광유닛 140; 전사유닛
141; 전사벨트 142; 제1전사롤러
150,250,350; 상형성 프레임 151; 장착홈
152; 위치결정수단 153; 제2기준핀
154; 노광유닛 지지부 155; 격벽
157; 기준돌기 158; 커넥터
160,260,360; 매체이송유닛 161,361; 급지카세트
162,362; 픽업롤러 164,364; 배지유닛
165,365; MP유닛 169; 제2전사롤러
170,270,370; 본체 175,375; 정착부
220; 감광체(감광벨트) 225; 대전유닛
231; 제2기준구멍 240; 현상유닛
241; 현상롤러 252; 위치결정수단
253; 제2기준핀 269; 전사롤러
340; 전사유닛 341; 이송벨트
342; 전사롤러 P; 인쇄매체
본 발명은 칼라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형성에 관련된 구성요소들, 즉 감광체, 노광유닛, 현상유닛, 전사유닛 등을 일체로 형성된 상형성 프레임에 조립 및 장착시켜 모듈화함으로써 화상형성에 관련된 구성요소들 상호간의 간격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며 조정이 용이한 칼라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의한 칼라화상형성장치(1)는 칼라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상형성유닛(10)과, 상기 상형성유닛(10)을 이루는 감광체(11)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유닛(20)과, 상기 복수개의 감광체(11)에 형성된 각각의 화상이 전사/중첩되는 제1전사유닛(30)과, 상기 전사유닛(30)에 전사된 칼라화상을 용지 등의 인쇄매체(P)로 전사시키는 제2전사롤러(40), 및 칼라화상이 전사되고 정착되어 본체 외부로 배출되도록 인쇄매체(P)를 이송하는 매체이송유닛(50)을 포함하며, 상기의 구성요소들은 본체 프레임(미도시)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 프레임에는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 및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인쇄를 수행하는 제어부(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복수개의 상형성유닛(10)은 Yellow용, Magenta용, Cyan용, Black용 상형성유닛이 수직으로 제1전사유닛(30)인 전사벨트(31)의 일측에 일렬로 배열되어 구성되며, 각각의 상형성유닛(10)은 감광체(11), 대전유닛, 현상유닛, 그리고 토너를 저장 하고 상기 요소들을 지지하는 현상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제1전사유닛(30)은 복수개의 감광체(11)로부터 전사된 토너를 지지하기 위한 전사벨트(31)와 각각의 감광체(11)와 대향하고 전사벨트(31) 내측에서 전사를 위해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제1전사롤러(32)로 구성된다.
칼라화상형성장치(1)와 연결된 컴퓨터(미도시)로부터 인쇄명령과 인쇄데이터가 수신되면, 제어부는 인쇄데이터에 따라 노광유닛(20)을 on/off시켜 각각의 감광체(11)의 표면에 잠상을 형성시키고, 노광된 잠상을 미세분말의 토너로 현상시킨 후 현상된 화상을 복수개의 제1전사롤러(32)의 고전압에 의해 전사벨트(31)로 전사/중첩시켜 칼라화상을 형성한다. 그러면, 제어부는 매체이송유닛(50)으로 인쇄매체(P)를 이송시켜 전사벨트(31)에 형성된 칼라화상을 제2전사롤러(40)의 고전압에 의해 인쇄매체(P) 상에 전사시키고, 정착부(55)의 고온 및 고압으로 전사된 화상을 인쇄매체(P) 상에 정착시킨 후 인쇄매체(P)를 본체(60) 외부로 배출시켜 1싸이클을 완료하게 된다.
이때, 양호한 칼라화상을 얻기 위해서는 복수개의 상형성유닛(10)의 감광체(11)에 형성된 화상이 정확하게 전사벨트(31)로 전사/중첩되도록 하고, 전사벨트(31)에 형성된 칼라화상이 정확하게 인쇄매체(P)에 전사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는 전사벨트(31)와 복수개의 감광체(11) 사이의 진직도, 평행도, 및 간격 내지는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전사벨트(31)와 제2전사롤러(40) 사이의 간격 내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를 위해서는 본체 프레임(미도시)에 설치되는 전사벨트(31)와 복수개의 제1전사롤러(32) 및 상형성유닛(10)의 설치위치의 정도가 요구된다. 또한, 본체 프레임의 전사벨트(31)와 제2전사롤러(40) 사이의 설치위치도 정도가 요구된다.
이와 같은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종래의 칼라화상형성장치는 각각의 상형성유닛(10)은 색깔별로 정해진 위치의 개구부(미도시)를 통해 본체 프레임 상에 형 성된 안내 가이드(미도시)를 따라 안내되면서 기준 위치(12)에 의해 장착이 되도록 되어 있고, 노광유닛(20)은 동일한 본체 프레임 또는 본체 프레임에 고정되는 다른 서브 프레임에 조립위치기준을 정하여, 상형성유닛(10)의 감광체(11)와의 초점거리와 주사 및 부주사방향으로의 진직도가 설계치에 맞도록 조정되어 고정된다. 또한, 제1전사유닛(30)의 전사벨트(31)는 복수개의 감광체(11)와 평행도 및 진직도가 유지되도록 조정되어 본체 프레임에 고정되며, 복수개의 제1전사롤러(32)는 대응되는 감광체(11)와 전사벨트(31)가 일정한 간격 내지는 압력을 유지하도록 본체 프레임에 고정된다. 특히, 제2전사롤러(40)는 인쇄매체(P)에 화상이 정확하게 전사되도록 전사벨트(31)와의 간격이 조정되어 본체 프레임에 고정된다. 한편, 인쇄매체(P)를 이송하는 매체이송유닛(50)에서 인쇄매체(P)인 용지를 저장하는 급지카세트는 본체 프레임 하부에 형성된 공간에 가이드유닛에 의해 장착되며, 급지카세트에서 인쇄매체(P)를 픽업하여 이송시키는 이송유닛과 매체이송유닛(50)의 전부 내지는 일부분이 본체 프레임에 고정된다. 또, 정착부(55)도 본체 프레임에 조립되도록 되어 있다. 이외에도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구동시켜 주는 구동수단과 각각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하는 전원부 및 제어부가 본체 프레임에 고정되게 된다. 또한, 본체 프레임은 각종 부가적인 부품과 외장부를 고정시켜 주면서 칼라화상형성장치의 전체를 지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 프레임은 전체적으로 치수 정도가 매우 높아야 하고, 고강도를 필요로 하며, 장기간 사용시에도 변형이 되지 않는 내구성을 갖고 있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칼라화상형성장치는 첫째, 본체 프레임에 각 종 구성요소가 조립 내지 장착되기 때문에 복수개의 상형성유닛과 노광유닛 사이의 초점거리, 주사방향 평행도 및 부주사방향 진직도등을 일치시키기 위한 조정이 매우 어려워 칼라화상의 색중첩(Registration) 일치가 매우 어렵고, 둘째, 복수개의 감광체의 각각과 전사벨트 사이의 균일 압력 또는 간격유지를 본체 프레임에서 결정해야 하기 때문에 본체 프레임에 기준위치가 많아서 치수관리가 곤란해지고 치수가 불균일한 경우 전사효율에 편차가 발생하여 색구현이 곤란하게 된다. 세째, 현상유닛마다 치수편차가 발생하는 경우 장치 전체를 지지하는 본체 프레임에서 현상유닛 마다의 치수 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색중첩의 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넷째, 현상유닛과 현상유닛 간의 위치편차로 노광위치 편차가 발생하여 색밴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다섯째로, 장기간 사용시 열변형과 마모에 의해 최초 조립시 일정하게 유지된 치수 정도 및 진직도 등에 오차가 발생되어 색중첩 불량이 발생한 경우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제1전사유닛 및 복수개의 상형성유닛을 조정하여 색중첩을 일치시키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일체로 형성된 상형성 프레임에 복수개의 상형성유닛과 노광유닛 및 전사유닛을 조립 및 장착하도록 함으로써 본체 프레임의 치수 불균일에 의한 전사유닛과 감광체 간의 색중첩 불일치를 방지하고, 노광유닛과 상형성유닛의 감광체 간의 진직도 및 평행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칼라화상을 형성하는데 관계되는 상형성유닛, 노광유닛, 및 전사유닛을 일체로 형성되는 별도의 상형성 프레임에 조립 및 장탈착함으로써, 칼라화상의 색중첩이나 노광의 정도를 조절하는데 필요한 치수의 관리를 상형성 프레임의 치수로 한정함으로써 치수관리를 용이하게 하여 관련부품의 가공을 용이하게 하고, 판매 후에 상형성유닛, 노광유닛, 전사유닛 중의 어느 하나를 교체하는 경우 그 조정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형성유닛, 노광유닛 및 전사유닛을 상형성 프레임에 일괄 조립한 후, 본체 프레임에 상형성 프레임을 조립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본체에 설치되는 매체이송유닛과 상형성 프레임과의 간격만을 조정하여 용지로 전사되는 화상 품질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시 위치 조정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장기간 사용시 열변형과 마모에 의한 변형 및 다른 유닛으로부터의 충격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시켜 화상품질의 균일화와 신뢰성을 유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형성유닛 등이 조립된 상형성 프레임 모듈을 본체 프레임의 일측부로 장탈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칼라화상형성장치의 취급상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감광체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상형성유닛, 상기 감광체를 노광하기 위한 복수개의 노광유닛,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화상이 전사 되는 전사유닛 및 상기 구성요소들을 탈착 가능하게 수용하여 지지하는 상형성 프레임을 포함하는 상형성 모듈; 및 상기 상형성 모듈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전사유닛에 형성된 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시키는 제2전사롤러와, 상기 전사유닛과 제2전사롤러의 사이로 인쇄매체를 이송시키는 매체이송유닛을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칼라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상형성 프레임은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형성 프레임은 복수개의 상기 상형성유닛 및 노광유닛이 각각 장착되는 장착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홈부에 해당하는 상기 유닛이 장착되는 경우 그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여 주는 위치결정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상형성 프레임과 상기 상형성유닛, 그리고 상기 상형성 프레임과 상기 노광유닛에 서로 대응되게 각각 형성된 기준핀 및 기준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 노광유닛의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상형성 프레임과 상기 노광유닛에 서로 대응되게 마련된 노광유닛 지지부와 그 대응면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칼라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본체에 상기 상형성 모듈을 장착할 때 상기 본체 내에서의 상기 상형성 모듈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여 주는 프레임 위치결정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상형성 모듈의 프레임에 돌설된 복수개의 기준돌기;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기준돌기와 대응되는 기준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형성 프레임에는 상기 상형성 모듈의 탈착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기 상형성 모듈이 상기 본체의 전원부 및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끊어지도록 하는 커넥터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전사유닛은 전사벨트와 복수개의 전사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전사롤러는 상기 복수개의 감광체에 대응되도록 상기 전사벨트의 내측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대전유닛, 노광유닛, 현상유닛 및 상기 구성요소들을 탈착 가능하게 수용하여 지지하는 상형성 프레임을 포함하는 상형성 모듈; 및 상기 상형성 모듈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감광체로부터 화상이 전사되도록 인쇄매체를 이송시키는 매체이송유닛을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칼라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상형성 프레임은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형성 프레임은 감광체와, 복수개의 상기 대전유닛, 현상유닛 및 노광유닛이 각각 장착되는 장착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홈부에 해당하는 상기 유닛이 장착되는 경우 그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여 주는 위치결정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감광체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상형성유닛, 상기 감광체를 노광하기 위한 복수개의 노광유닛, 인쇄매체에 상기 복수개의 감광체에 형성된 화상이 전사되도록 하는 전사유닛 및 상기 구성요소들을 탈착 가능하게 수용하여 지지하는 상형성 프레임을 포함하는 상형성 모듈; 및 상기 상형성 모듈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전사유닛으로 상기 인쇄매체를 이송시키는 매체이송유닛을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칼라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상형성 프레임은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사유닛은 이송벨트와 복수개의 전사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전사롤러는 상기 복수개의 감광체에 대응되도록 상기 이송벨트의 내측에 설치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칼라화상형성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칼라화상형성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칼라화상형성장치(100)는 상형성 모듈(110), 매체이송유닛(160), 및 그 내측에 상형성 모듈(110), 매체이송유닛(160), 제2전사롤러(169) 등이 수납되는 본체(170)를 포함한다.
상형성 모듈(110)은 복수개의 상형성유닛(120), 복수개의 노광유닛(130), 전사유닛(140) 및 상형성 프레임(150)으로 구성되며, 그 일예가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상형성 프레임(150)에는 복수개의 상형성유닛(120)과 노광유닛(130)을 장착할 수 있는 장착홈부가 마련된다. 즉, 상형성 프레임(150)의 일측면(150a)에는 복수개의 상형성유닛(120)을 삽입식으로 장탈착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장착홈(151)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복수개의 노광유닛(130)을 장탈착할 수 있도록 별도의 장착홈이 마련된다. 이때, 장착홈(151)에는 상형성유닛(120)의 장탈착을 안내하 는 가이드(151a)가 마련되며, 상형성유닛(120)과 상형성 프레임(150)에는 상형성유닛(120)을 장탈착하는 경우에도 항상 상형성 프레임(150)에 대해 일정한 위치에 정확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위치결정수단(152)이 마련된다. 위치결정수단(152)은 복수개의 장착홈(151)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개의 상형성유닛(120)의 감광체(121) 사이의 간격이 동일하고, 진직도와 평행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위치결정수단(152)은 장착홈(151)이 형성된 일측벽(150a)의 반대측벽(150b)에 형성된 제1기준구멍(152a)과, 대응되는 상형성유닛(120)의 측면에 형성된 제1기준핀(152b)으로 구성된다(도 6 참조).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홈(151)이 형성된 상형성 프레임(150)의 면(150a)에도 제1기준핀(152b)이 설치되고 대응되는 상형성유닛(120)의 측면에는 상기 제1기준핀(152b)이 삽입되는 기준구멍(152a)이 형성된다. 따라서, 장착홈(151)에 상형성유닛(120)을 끼우는 것만으로 복수개의 상형성유닛(120)이 각각 상형성 프레임(150)에 대해 일정 위치에 고정되게 된다. 이때, 제1기준핀(152b)과 제1기준구멍(152a)은 상기에서 설명한 위치 외에 편의에 따라 상호 대응되는 상형성유닛(120)과 상형성 프레임(150)의 어느 한쪽에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위치결정수단(152)은 상기의 기준핀/기준구멍 방법 이외에도 공지되어 있는 여러가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형성 프레임(150)의 인접한 장착홈(151) 사이에는 격벽(15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인접하는 상형성유닛(120)이 상호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의 복수개의 상형성유닛(120)은 칼라화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통상 Yellow용, Magenta용, Cyan용, Black용으로 4개가 사용된다. 상형성유닛(120)은 감광체(121)인 감광 드럼, 감광드럼(121)을 대전시키는 대전유닛, 및 노광유닛(130)에서 방출된 레이저빔에 의해 감광드럼(12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유닛을 포함한다. 현상유닛은 토너를 감광체로 공급하는 현상롤러, 공급롤러 및 토너를 저장하면서 상기 감광드럼(121), 대전유닛, 현상롤러 및 공급롤러를 지지하는 현상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형성유닛(120)은 현상롤러로 이송된 토너의 높이를 일정하게 규제하는 규제부재도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노광유닛(130), 즉 레이저 스케닝 유닛(Laser Scanning Unit)은 상형성유닛(120)의 감광체(121)에 레이저빔을 주사할 수 있도록 상형성유닛(120)의 일측에 설치되며, 그 위치결정은 노광유닛(130)으로부터 발광된 레이저빔이 이루는 주사선이 감광체(121)의 회전축과 평행을 이루도록 상형성 프레임(150)의 양측벽(150a,150b)을 연결하는 중간벽(150c)에 마련된 2개의 제2기준핀(153)과 상형성 프레임(150)의 후단에 마련된 노광유닛 지지부(154)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노광유닛(130)의 전면에는 상기 제2기준핀(153)에 대응되는 제2기준구멍(131)이 마련되고, 후면에는 상기 노광유닛 지지부(154)에 의해 위치결정이 될 수 있도록 대응면(132)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노광유닛(130)의 제2기준구멍(131)을 제2기준핀(153)에 맞추어 끼우고 노광유닛 지지부(154)에 내려 놓는 것만으로 노광유닛(130)에서 방출되는 레이저빔이 대응되는 상형성유닛(120)의 감광드럼(121)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주사되도록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노광유닛(130)의 위치결정수단(131과 153,132와 154)은 하나의 예이며, 노광유닛(130)을 상형성 프레임(150)의 일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공지된 위치결정수단 중 어떤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전사유닛(14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형성 프레임(150)의 전면에 조립되며 복수개의 감광체(121)에 형성된 화상이 전사/중첩되는 전사벨트(141)와, 전사벨트(141)의 내측에 위치하며 대응되는 감광체(121)에 형성된 화상이 전사벨트(141)로 전사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제1전사롤러(142)로 구성된다. 상형성 프레임(150)에는 복수개의 상형성유닛(120)의 감광체(121)와 전사벨트(141)가 일정 간격으로 조립되도록 전사벨트(141)의 구동롤러축(143)과 피동롤러축(144)이 각각 조립되는 제3기준구멍(156, 도 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형성 프레임(150)에 형성된 제3기준구멍(156)에 전사벨트(141)의 구동롤러축(143)과 피동롤러축(144)을 조립하는 것만으로 전사벨트(141)가 상형성유닛(120)의 감광체(121)로부터 일정 거리에 위치하도록 조립된다. 도 4 및 도 5에는 제1전사롤러(142)가 편의상 생략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전사롤러(142)는 필요시 색의 종류에 따라 상형성유닛(120)의 감광체(121)와 전사벨트(141)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설치위치도 상형성 프레임(150)의 제3기준구멍(156)을 기준으로 일정 거리에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형성 프레임(150)은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상형성유닛(120) 및 노광유닛(130)과, 전사유닛(140)이 상호간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구성요소들(120,130,140)이 조립 및 장착되는 위치에 위치결정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가공 및 장기간 사용시에도 변형이 없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내구성이 좋은 재질이 사용된다. 또한, 상형성 프레임(150)은 본체(170)의 일측으로 장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하고, 본체(170)에 장착시 자동적으로 위치가 결정되도록 프레임 위치결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형성 프레임(150)과 본체(170)에는 가이드 레일등의 프레임 가이드(미도시)를 마련하여 상형성 프레임(150)이 본체(170)에 대해 슬라이딩이나 왕복직선운동으로 장탈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프레임 위치결정수단은 상형성 프레임(150)이 장착되는 본체(170) 벽에 마련된 기준홈부(미도시)와 상형성 프레임(150)의 대응되는 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련된 기준돌기(157)로 구성되며, 상형성 프레임(150)을 본체(170)에 장착하면 자동적으로 상형성 모듈(110)의 위치가 정확하게 결정되도록 한다. 이때, 기준홈부와 기준돌기(157)는 상형성 프레임(150)에 설치되는 전사벨트(141)가 본체(170)에 설치되는 제2전사롤러(169)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형성 프레임(150)을 가이드 레일을 따라 본체(170)에 장착하면, 상형성 프레임(150)의 기준돌기(157)가 본체(170)의 기준홈부에 삽입되어 상형성 프레임(150)의 전사벨트(141)가 본체(170)의 제2전사롤러(169)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고정되게 된다. 그러면, 상형성 프레임(150)에 조립된 전사벨트(141)에 형성된 화상이 전사벨트(141)와 제2전사롤러(169) 사이로 이송되는 인쇄매체(P)로 전사되게 된다. 만일, 부품오차나 그 밖의 사유에 의해 전사벨트(141)와 제2전사롤러(169) 사이의 간격이 규격에서 벗어나 화상불량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상형성 프레임(150)이나 제2전사롤러(169) 중 하나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그 간격을 맞출 수 있기 때문에 화상품질의 조정이 용이하다.
또한, 기준돌기(157)가 형성된 상형성 프레임(150)의 벽에는 상형성 모듈 (110)의 구성요소들(120,130,140)이 본체(170)의 전원부 및 제어부와 전기적 접속을 이룰 수 있도록 커넥터(158)가 마련된다. 본체(170)의 대응되는 면에는 전원부 및 제어부와 연결되며 커넥터(158)와 결합되는 상대 커넥터(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상기 커넥터(158) 및 상대 커넥터는 상형성 모듈(110)을 본체(170)에 대해 장탈착함에 따라 자동으로 전기적 접속이 연결되거나 끊어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형성 모듈(110)을 본체(170)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장착하면 상형성 모듈(110)과 본체(170)의 전원부 및 제어부와의 전기적 접속도 자동으로 이루어져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상형성 모듈(110)에서 칼라화상이 형성되어 인쇄매체(P)로 전사될 수 있게 된다.
매체이송유닛(160)은, 상형성 모듈(110)에 형성된 화상이 인쇄용지와 같은 인쇄매체(P)로 전사되도록 하고, 화상이 전사된 인쇄매체(P)를 본체(170) 외부로 배출한다. 매체이송유닛(160)은 인쇄매체(P)가 적재되는 급지카세트(161)와, 적재된 인쇄매체(P)를 한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162), 픽업된 인쇄매체(P)를 전사벨트(141)와 제2전사롤러(169) 사이로 이동시켜 화상이 인쇄매체(P)로 전사되도록 하는 이송유닛(163) 및 화상이 전사된 이송매체(P)를 본체(170)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유닛(164)을 포함한다. 매체이송유닛(160)에는 다양한 종류의 인쇄매체(P)를 수동으로 공급하는 MP유닛(165)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본체(170)는 상형성 모듈(110)과 매체이송유닛(160)이 고정되는 프레임(미도시)과, 프레임을 덮는 커버(미도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 및 상형성 모듈(110)과 매체이송유닛(160)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이송유닛(163)과 배지유닛(164)의 사이에는 인쇄매체(P)에 전사된 화상을 인쇄매체(P)에 정착시키는 정착부(175)가 더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칼라화상형성장치의 제1실시예의 조립과정을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에 한정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형성 프레임(150)에 복수개의 상형성유닛(120) 및 노광유닛(130), 제1전사유닛(140)을 조립함으로써 상형성 모듈(110)을 완성한다. 이때, 상형성유닛(120)을 상형성 프레임(150)에 형성된 장착홈(151)에 삽입하여 위치결정수단(152)을 맞추고 노광유닛(130)을 제2기준핀(153)과 노광유닛 지지부(154)에 맞추는 것만으로 각 구성요소(120,130,140) 사이의 간격 내지 평행도나 진직도등이 규정치수 범위 내에 들게 된다.
다음으로 본체 프레임에 매체이송유닛(160), 정착부(175), 전원부 및 제어부를 조립하여 본체(170)를 완성한다.
끝으로 상형성 모듈(110)을 본체(170)의 일측에서 가이드 레일 등의 프레임 가이드를 따라 장착하면 칼라화상형성장치(100)의 조립이 완성된다. 이때, 상형성 모듈(110)을 가이드 레일을 따라 장착하여 상형성 모듈(110)의 기준돌기(157)를 본체(170)의 기준홈부에 맞추는 것만으로 상형성 모듈(110)의 전사벨트(141)와 제2전사롤러(169) 사이의 간격이 규정범위 내에 들게 된다.
제어부에 접속된 컴퓨터(미도시)로부터 인쇄명령이 수신되면, 제어부는 상형성유닛(120)의 대전유닛을 동작시켜 감광드럼(121)의 표면을 대전시키고, 노광유닛(130)을 제어하여 인쇄데이터에 따른 레이저빔을 주사하게 하여 감광드럼(121)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감광드럼(121)의 정전잠상은 상형성유닛(120)의 현상유닛에 의해 특정 색의 화상으로 현상된다. 복수개의 상형성유닛(120) 각각의 감광드럼(121)에 형성된 화상은 전사벨트(141)로 전사/중첩되어 칼라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전사벨트(141)에 형성된 칼라화상은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급지카세트(161)로부터 픽업되어 제2전사롤러(169)와 전사벨트(141)의 사이로 이송되는 인쇄매체(P)로 전사된다. 화상이 전사된 인쇄매체(P)는 이송유닛(163)에 의해 정착부(175)를 지나면서 화상이 인쇄매체(P)에 정착된 후, 배지유닛(164)을 통해 본체(170)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이 컴퓨터의 인쇄명령에 따라 반복되게 된다.
상기에서는 상형성 모듈(110)을 구성하는 상형성 프레임(150)이 상형성유닛(120)을 상형성 프레임(150)의 일측으로부터 장탈착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외에도 상형성유닛을 상형성 프레임의 전면이나 후면에서 장탈착하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도 복수개의 상형성유닛을 상형성 프레임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상호간의 위치가 결정되도록 상형성유닛과 상형성 프레임에 위치결정수단을 마련하는 것은 상술한 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관한 도면에 의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칼라화상형성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의한 칼라화상형성장치(200)는 상형성 모듈(210), 매체이송유닛(260) 및 그 내측에 상형성 모듈(210)과 매체이송유닛(260) 등이 수납되는 본체(270)를 포함한다.
상형성 모듈(210)은 감광체(220), 복수개의 대전유닛(225), 복수개의 현상유 닛(240), 복수개의 노광유닛(230) 및 상형성 프레임(250)으로 구성되며, 그 일예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상형성 프레임(250)에는 복수개의 현상유닛(240), 노광유닛(230), 대전유닛(225) 및 감광체(220)를 설치할 수 있는 장착홈부가 마련된다. 상형성 프레임(250)의 일면에는 복수개의 현상유닛(240)을 삽입식으로 장탈착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장착홈(251)이 이열로 형성된다. 이때, 장착홈(251)에는 현상유닛(240)의 장탈착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마련되며, 현상유닛(240)과 상형성 프레임(250)에는 현상유닛(240)을 장착하는 경우에 현상유닛(240)이 항상 상형성 프레임(250)에 대해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위치결정수단(252)이 마련된다. 위치결정수단(252)은 복수개의 장착홈(251)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개의 현상유닛(240)의 현상롤러(241) 축 사이의 간격이 동일하고, 진직도와 평행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위치결정수단(252)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 의한 칼라화상형성장치(100)과 동일하게 장착홈(251)이 형성된 상형성 프레임(250)의 일측벽(250a)의 반대측벽에 형성된 제1기준구멍(미도시)과, 대응되는 현상유닛(240)의 측면에 형성된 제1기준핀(미도시)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장착홈(251)이 형성된 상형성 프레임 벽(250a)에도 제1기준핀(252a)이 설치되고 대응되는 현상유닛(240)의 측면에는 상기 제1기준핀(252a)이 삽입되는 제1기준구멍(252b)이 형성된다. 따라서, 장착홈(251)에 현상유닛(240)을 끼우는 것만으로 복수개의 현상유닛(240)이 각각 상형성 프레임(250)에 대해 일정 위치에 고정되게 된다. 이때, 제1기준핀(252a)과 제1기준구멍(252b)은 상기에서 설명한 위치외에 편의에 따라 상호 대응되는 현상유닛(240)과 상형성 프레임(250) 중 어느 한쪽에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위치결정수단(252)은 상기의 기준핀/기준구멍 방법 이외에도 공지되어 있는 여러가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형성 프레임(250)의 상하로 배치된 장착홈(251) 사이에는 격벽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인접하는 현상유닛(240)들 사이에서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의 복수개의 현상유닛(240)은 칼라화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통상 Yellow용, Magenta용, Cyan용, Black용으로 4개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현상유닛(240)은 감광체(220)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것으로서, 토너를 감광체로 공급하는 현상롤러(241), 공급롤러 및 토너를 저장하며 상기 현상롤러(241)와 공급롤러를 지지하는 현상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또한, 현상유닛(240)은 현상롤러(241)로 이송된 토너의 높이를 일정하게 규제하는 규제부재도 포함한다.
감광체(220)는 이열로 형성된 장착홈(25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형성 프레임(250)에 조립된다. 감광체(220)는 양측에 2개씩 배치된 현상유닛(240)에 대응할 수 있도록 감광벨트를 사용한다. 감광벨트(220)의 양측면에는 각각 한개씩의 대전유닛(225)이 감광벨트(220)를 대전시킬 수 있도록 상형성 프레임(250)에 설치된다. 이때, 감광벨트(220)를 구동하는 롤러의 조립위치와 현상유닛(240)의 위치결정수단(252) 사이의 치수를 관리함으로써 감광벨트(220)와 복수개의 현상유닛(240)이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대전유닛(225)의 설치위치는 감광벨트(220)를 기준으로 결정하다.
노광유닛(230), 즉 레이저 스케닝 유닛(Laser Scanning Unit)은 감광체, 즉 감광벨트(220)에 레이저빔을 주사할 수 있도록 2열로 배치된 현상유닛(240)의 일측 에 하나씩 설치되며, 그 위치결정은 노광유닛(230)으로부터 발광된 레이저빔이 이루는 주사선이 감광벨트(220) 상에서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상형성 프레임(250)의 전후벽을 연결하는 상부 천정(250c)에 마련된 2개의 제2기준핀(253)과 상형성 프레임의 측벽(250b)에 마련된 2개의 제2기준핀(253)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노광유닛(230)의 대응면에는 상기 제2기준핀(253)에 대응되는 제2기준구멍(231)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노광유닛(230)의 제2기준구멍(231)을 제2기준핀(253)에 맞추어 끼우는 것만으로 노광유닛(230)에서 방출되는 레이저빔이 감광벨트(220) 상에 서로 평행하게 주사되도록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노광유닛(230)의 위치결정수단(231,253)은 하나의 예이며, 노광유닛(230)을 상형성 프레임(250)의 일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공지된 위치결정수단 중 어떤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상형성 프레임(250)은 상기의 구성요소들이 일정한 위치에 조립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현상유닛(240)을 장탈착할 수 있는 장착홈(251)이 형성되어 있다. 2열의 장착홈(251) 사이에는 감광체(220)가 조립된다. 또한, 상형성 프레임(250)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상형성 프레임(250)을 본체(270)에 슬라이딩이나 왕복운동으로 장탈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형성 프레임(250)에 감광체(220)와, 복수개의 현상유닛(240), 노광유닛(230) 및 대전유닛(225)이 조립된 상형성 모듈(210)을 본체(270)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상형성 모듈(210)의 감광체(220)와 본체(270)에 조립된 전사롤러(269) 사이의 간격이 규정치수 범위내에 있도록 조립된다.
매체이송유닛(260) 및 본체(270)는 감광벨트(220)로부터 인쇄매체(P)로 칼라 화상이 바로 전사되기 때문에 전사유닛(140, 도 3 참조)이 없다는 것외에는 그 구성요소가 제1실시예와 거의 동일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칼라화상형성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3실시예의 칼라화상형성장치(300)는 상형성 모듈(310), 매체이송유닛(360) 및 그 내측에 상형성 모듈(310)과 매체이송유닛(360) 등이 수납되는 본체(370)를 포함한다.
상형성 모듈(310)은 수직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상형성유닛(320), 상형성유닛(320)의 일측에 나란하게 일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노광유닛(330), 이송벨트(341)와 전사롤러(342)로 구성된 전사유닛(340) 및 상형성 프레임(350)으로 구성된다. 전사유닛(340)의 이송벨트(341)는 제1실시예에 의한 칼라화상형성장치(100)의 전사벨트(141)와 유사하게 일렬로 설치된 복수개의 상형성유닛(320)의 감광드럼(321) 전면에 설치되며, 전사롤러(342)는 이송벨트(341)의 내측에 복수개의 감광드럼(321)에 대응되도록 설치된다. 복수개의 상형성유닛(320) 및 노광유닛(330), 전사유닛(340)을 조립 및 장탈착하여도 각각의 구성요소 사이의 위치관계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위치결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 의한 칼라화상형성장치(100)의 상형성 모듈(110)과 동일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매체이송유닛(360)은 인쇄용지와 같은 인쇄매체(P)를 상형성 모듈(310)로 이송시키고, 상형성 모듈(310)에서 화상이 전사된 인쇄매체(P)를 본체(370) 외부로 배출한다. 매체이송유닛(360)은 인쇄매체(P)가 적재되는 급지카세트(361)와, 적재 된 인쇄매체(P)를 한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362), 픽업된 인쇄매체(P)를 이송벨트(341)와 상형성유닛(320)의 감광드럼(321) 사이로 이송시키는 픽업유닛(363) 및 화상이 전사된 인쇄매체(P)를 본체(370)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유닛(364)을 포함한다. 매체이송유닛(360)에는 다양한 종류의 인쇄매체(P)를 수동으로 공급하는 MP유닛(365)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본체(370)는 상형성 모듈(310)과 매체이송유닛(360)이 고정되는 프레임(미도시)과, 프레임을 덮는 커버(미도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 및 상형성 모듈(310)과 매체이송유닛(360) 등을 제어하여 인쇄를 수행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상형성 모듈(310)과 배지유닛(364)의 사이에는 인쇄매체(P)에 전사된 화상을 인쇄매체(P)에 정착시키는 정착부(375)가 더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제3실시예에 의한 칼라화상형성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에 접속된 컴퓨터(미도시)로부터 인쇄명령과 인쇄데이터가 수신되면, 제어부는 상형성유닛(320)의 대전유닛을 동작시켜 감광드럼(321)의 표면을 대전시키고, 노광유닛(330)을 제어하여 인쇄데이터에 따른 레이저빔을 주사하게 하여 감광드럼(321)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복수개의 감광드럼(321)에 형성된 정전잠상은 각각 상형성유닛(320)의 현상유닛에 의해 특정 색의 화상으로 현상된다. 복수개의 상형성유닛(320)의 각각의 감광드럼(321)에 현상된 화상은 전사롤러(342)에 의해 이송벨트(341)와 감광드럼(321)의 사이로 이송되는 인쇄매체(P)로 전사/중첩되어 칼라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화상이 전사된 인쇄매체(P)는 정착부(375)를 지나면서 화상이 인쇄매체(P)에 정착된 후, 배지유닛(364)을 통해 본체(370)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이 컴퓨터의 인쇄명령에 따라 반복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칼라화상형성장치에 의하면, 종래에 본체 프레임에 각각 장착되던 상형성유닛, 노광유닛, 전사유닛 등 화상형성과 관련된 주요부품을 별도의 상형성 프레임에 조립한 상형성 모듈로 만들어 본체 프레임에 조립됨으로써, 부품의 치수 오차에 의한 노광유닛과 감광체간의 색중첩 불일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형성유닛, 노광유닛, 전사유닛이 일체로 형성된 상형성 프레임에 규정치수에 맞도록 마련된 각각의 위치결정수단에 의해 위치가 결정되므로 각 구성요소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색중첩이 정확하게 유지되며, 조립성이 향상된다.
또, 화상형성과 관련된 주요부품들을 일체로 된 상형성 모듈로 구성함으로써, 장기간 사용시에도 열변형 및 마모에 의한 변형, 또는 다른 유닛으로부터의 충격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인쇄되는 화상 품질을 장기간 균일하게 유지함으로써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형성 모듈을 본체의 일측으로 장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조시의 생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판매 후 A/S시에도 작업이 편리하게 된다. 특히, 상형성유닛이나 노광유닛을 교체하거나 수리하는 경우에 색중첩 일치를 위한 조정을 상형성 모듈에서만 하면 되므로 A/S 시의 조정이 편리하게 된다.
특히, 종래에는 본체 프레임이 칼라화상형성장치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유닛들을 지지함으로써, 본체 프레임을 고강도의 재질로 제조하고 많은 보강재를 사용하였으며 많은 치수를 관리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가공이 곤란하고, 부품수 및 재료비의 증가 및 제품의 중량이 많이 나가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품질에 관련되는 가공치수는 본체에 비해 작은 상형성 프레임에 대해서만 관리하면 되므로, 고강도의 재질의 사용이 줄고 보강재의 사용이 최소화되므로 제품의 부품수, 재료비, 중량 등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행할 수 있는 단순한 구성요소의 치환, 부가, 삭제, 변경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 범위 내에 속하게 된다.

Claims (24)

  1. 감광체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상형성유닛, 상기 감광체를 노광하기 위한 복수개의 노광유닛,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화상이 전사되는 전사유닛 및 상기 구성요소들을 탈착 가능하게 수용하여 지지하는 상형성 프레임을 포함하는 상형성 모듈; 및
    상기 상형성 모듈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전사유닛에 형성된 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시키는 제2전사롤러와, 상기 전사유닛과 제2전사롤러의 사이로 인쇄매체를 이송시키는 매체이송유닛을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성 프레임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화상형성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성 프레임은 복수개의 상기 상형성유닛 및 노광유닛이 각각 장착되는 장착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홈부에 해당하는 상기 유닛이 장착되는 경우 그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여 주는 위치결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화상형성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상형성 프레임과 상기 상형성유닛, 그리고 상기 상형성 프레임과 상기 노광유닛에 서로 대응되게 각각 형성된 기준핀 및 기준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화상형성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유닛의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상형성 프레임과 상기 노광유닛에 서로 대응되게 마련된 노광유닛 지지부와 그 대응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화상형성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상기 상형성 모듈을 장착할 때 상기 본체 내에서의 상기 상형성 모듈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여 주는 프레임 위치결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화상형성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상형성 모듈의 프레임에 돌설된 복수개의 기준돌기;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기준돌기와 대응되는 기준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화상형성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성 프레임에는 상기 상형성 모듈의 탈착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기 상형성 모듈이 상기 본체의 전원부 및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끊어지도록 하는 커넥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화상형성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유닛은 전사벨트와 복수개의 제1전사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1전사롤러는 상기 복수개의 감광체에 대응되도록 상기 전사벨트의 내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화상형성장치.
  10.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대전유닛, 노광유닛, 현상유닛 및 상기 구성요소들을 탈착 가능하게 수용하여 지지하는 상형성 프레임을 포함하는 상형성 모듈; 및
    상기 상형성 모듈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감광체로부터 화상이 전사되도록 인쇄매체를 이송시키는 매체이송유닛을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화상형성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성 프레임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화상형성장치.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성 프레임은 감광체와, 복수개의 상기 대전유닛, 현상유닛 및 노광유닛이 각각 장착되는 장착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홈부에 해당하는 상기 유닛이 장착되는 경우 그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여 주는 위치결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화상형성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상형성 프레임과 상기 현상유닛, 그리고 상기 상형성 프레임과 상기 노광유닛에 서로 대응되게 각각 형성된 기준핀 및 기준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화상형성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성 프레임에는 상기 상형성 모듈의 탈착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기 상형성 모듈이 상기 본체의 전원부 및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끊어지도록 하는 커넥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화상형성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는 벨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화상형성장치.
  16. 감광체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상형성유닛, 상기 감광체를 노광하기 위한 복수 개의 노광유닛, 인쇄매체에 상기 복수개의 감광체에 형성된 화상이 전사되도록 하는 전사유닛 및 상기 구성요소들을 탈착 가능하게 수용하여 지지하는 상형성 프레임을 포함하는 상형성 모듈; 및
    상기 상형성 모듈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전사유닛으로 상기 인쇄매체를 이송시키는 매체이송유닛을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화상형성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성 프레임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화상형성장치.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성 프레임은 복수개의 상기 상형성유닛 및 노광유닛이 각각 장착되는 장착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홈부에 해당하는 상기 유닛이 장착되는 경우 그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여 주는 위치결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화상형성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상형성 프레임과 상기 상형성유닛, 그리고 상기 상형성 프레임과 상기 노광유닛에 서로 대응되게 각각 형성된 기준핀 및 기준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화상형성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유닛의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상형성 프레임과 상기 노광유닛에 서로 대응되게 마련된 노광유닛 지지부와 그 대응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화상형성장치.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상기 상형성 모듈을 장착할 때 상기 본체 내에서의 상기 상형성 모듈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여 주는 프레임 위치결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화상형성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상형성 모듈의 프레임에 돌설된 복수개의 기준돌기;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기준돌기와 대응되는 기준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화상형성장치.
  23.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성 프레임에는 상기 상형성 모듈의 탈착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기 상형성 모듈이 상기 본체의 전원부 및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끊어지도록 하는 커넥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화상형성장치.
  24.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유닛은 이송벨트와 복수개의 전사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전사롤러는 상기 복수개의 감광체에 대응되도록 상기 이송벨트의 내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화상형성장치.
KR1020040069975A 2004-09-02 2004-09-02 칼라화상형성장치 KR100610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975A KR100610320B1 (ko) 2004-09-02 2004-09-02 칼라화상형성장치
US11/211,494 US20060045564A1 (en) 2004-09-02 2005-08-26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975A KR100610320B1 (ko) 2004-09-02 2004-09-02 칼라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1129A KR20060021129A (ko) 2006-03-07
KR100610320B1 true KR100610320B1 (ko) 2006-08-10

Family

ID=35943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9975A KR100610320B1 (ko) 2004-09-02 2004-09-02 칼라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60045564A1 (ko)
KR (1) KR1006103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20021B2 (ja) * 2013-12-17 2018-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5125152A (ja) * 2013-12-25 2015-07-0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の構造体
JP7009078B2 (ja) * 2017-05-10 2022-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306009B2 (ja) 2019-03-26 2023-07-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9110A (ja) * 1995-06-12 1996-12-24 Konica Corp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H09304994A (ja) * 1996-05-13 1997-11-28 Casio Electron Mfg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0238320A (ja) 1999-02-18 2000-09-05 Sharp Corp 画像出力装置
JP2001356549A (ja) 2000-06-16 2001-1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2082507A (ja) 2000-09-07 2002-03-22 Konica Corp カラー画像形成装置及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の位置ずれ調整方法
JP2004145060A (ja) 2002-10-25 2004-05-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ラー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4003B2 (en) * 2000-06-21 2002-11-19 Konica Corporatio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rack having detachable units
JP2002351287A (ja) * 2001-03-23 2002-12-06 Ricoh Co Ltd 作像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EP1347344A3 (en) * 2002-03-20 2007-10-24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carrie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9110A (ja) * 1995-06-12 1996-12-24 Konica Corp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H09304994A (ja) * 1996-05-13 1997-11-28 Casio Electron Mfg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0238320A (ja) 1999-02-18 2000-09-05 Sharp Corp 画像出力装置
JP2001356549A (ja) 2000-06-16 2001-1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2082507A (ja) 2000-09-07 2002-03-22 Konica Corp カラー画像形成装置及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の位置ずれ調整方法
JP2004145060A (ja) 2002-10-25 2004-05-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ラー画像形成装置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69975 - 604220
13356549
140825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45564A1 (en) 2006-03-02
KR20060021129A (ko) 2006-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6256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70671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tructural frame
CN1249533C (zh) 图像载体盒及图像形成装置
US7177566B2 (en) Main frame construction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787704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exposure support member
KR101101824B1 (ko) 현상전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US759366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djusting portions to adjust positions of conveying and discharge portions
KR100610320B1 (ko) 칼라화상형성장치
JP7516619B2 (ja) 画像形成装置
US6459868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image forming units with positioning feature and assembling method therefor
KR101440016B1 (ko) 화상 형성 장치
US678832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holding member
JPH053500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272289A (ja) 画像形成装置
JP6406210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580200B1 (ko) 광주사기 조립체,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및 주사선 스큐 조정방법
JP3577308B2 (ja) 画像形成装置
US8699915B2 (en) Photosensitive body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5157298B2 (ja) 画像形成装置
KR20230136940A (ko) 유격을 갖는 구동측 힌지를 구비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US649891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image forming stations
US200701712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image skew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rom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US20080205932A1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5249933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12189981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