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0200B1 - 광주사기 조립체,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및 주사선 스큐 조정방법 - Google Patents

광주사기 조립체,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및 주사선 스큐 조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0200B1
KR100580200B1 KR1020040083515A KR20040083515A KR100580200B1 KR 100580200 B1 KR100580200 B1 KR 100580200B1 KR 1020040083515 A KR1020040083515 A KR 1020040083515A KR 20040083515 A KR20040083515 A KR 20040083515A KR 100580200 B1 KR100580200 B1 KR 100580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canner
skew
frame
optical
sca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3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4774A (ko
Inventor
서인식
최동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3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0200B1/ko
Priority to US11/178,487 priority patent/US7952605B2/en
Publication of KR20060034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4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0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0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036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 G03G15/04045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for exposing image information provided otherwise than by direct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to the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e.g. digital copi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주사기 조립체와 이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주사선 스큐 조정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광주사기 조립체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광을 주사하기 위한 광주사 수단을 각각 구비하는 제1 및 제2 광주사기와, 상기 제2 광주사기의 주사선 스큐(skew)를 제1 광주사기의 주사선 스큐와 일치시키기 위한 스큐조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스큐조정수단은, 상기 제2 광주사기의 측면에서 돌출된 측방 돌출부; 상기 측방 돌출부와 상기 프레임 사이를 연결시키기 위한 조정스크류; 및 상기 측방 돌출부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사선 스큐 조정방법은, 상기 프레임에 상기 제1 및 제2 광주사기를 장착하는 광주사기 장착단계와, 상기 스큐조정수단을 조작하여 제2 광주사기의 주사선 스큐를 제1 광주사기의 주사선 스큐와 일치시키는 스큐조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큐조정단계는 상기 조정스크류를 회전시켜 상기 제2 광주사기의 주사선 스큐를 제1 광주사기의 주사선 스큐와 일치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주사기 조립체,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주사선 스큐 조정방법{Light scanning unit assembly,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and method for adjusting scanning line skew}
도 1은 주사선 스큐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광주사기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기 조립체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4를 V-V에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사선 스큐 조정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10 ...현상기
114 ...감광매체 130 ...전사벨트
135 ...전사롤러 140 ...정착기
150 ...광주사기 조립체 151 ...프레임
160 ...광주사기 165 ...측방 돌출부
167 ...후방 돌출부 175 ...조정스크류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광주사기를 포함하는 광주사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광주사기의 주사선 스큐를 일치시킬 수 있는 스큐조정수단을 포함하는 광주사기 조립체와, 상기 광주사기 조립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주사선 스큐 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여 그 외주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상기 정전잠상에 현상제(developing agent)인 토너를 투입하여 가시(可視)화상으로 현상한 후 이를 용지에 전사 및 정착시켜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전자사진방식으로 칼라화상을 인쇄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색상의 현상제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의 현상기를 필요로 하지만, 감광매체와 상기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기는 방식에 따라 하나씩만 구비할 수도 있고, 복수 개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은 복수 개의 감광매체와 광주사기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주사선 스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칼라화상 인쇄를 위해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내부에는 4개의 감광매체(10, 20, 30, 40)가 구비된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화상형 성장치 내부에는 상기 감광매체(10, 20, 30, 40)에 일대일 대응되는 4개의 광주사기가 마련되어 각 감광매체(10, 20, 30, 40)들에 화상신호에 따른 광을 주사한다.
한편, 4개의 광주사기의 제조시의 치수 오차나 상기 광주사기를 프레임(미도시)에 장착할 때의 조립 공차 등에 의해 광주사에 의해 형성되는 주사선(11, 22, 31, 41)은 각 감광매체(10, 20, 30, 40) 상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수평선을 따라 연장되지 못하고 미세하게 기울어져 연장되며, 이를 주사선의 스큐(skew) 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각 주사선(11, 21, 31, 41)의 스큐는 각 감광매체(10, 20, 30, 40)의 수평선에 대해서는 허용오차 범위 내에서 기울어져 있으나, 다른 주사선에 대해서는 허용오차를 벗어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주사선이 허용오차 범위 내에서 일치하지 못하고 서로에 대해 기울어지면, 화상의 경계 부분에서의 색중첩 편차로 인해 인쇄 화상의 품질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도 2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스큐조정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광주사기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광주사기 조립체는 일렬로 배열된 4개의 광주사기(50, 60, 70, 80)와, 이들을 지지하는 프레임(90)을 구비한다. 상기 광주사기(50, 60, 70, 80)는 그 양 단부가 프레임(90)의 한 쌍의 지지부(91, 92)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광주사기 조립체는 스큐조정수단으로 광주사기(50, 60, 70, 80)와 일측의 지지부(92) 사이에 개재되는 경사부재(95)를 구비한다. 상기 경사부재(95)를 광주사기(50, 60, 70, 80) 측으로 접근시키거나, 반대편으로 후퇴시켜 광주사기(50, 60, 70, 80)의 기울기를 변화시킴으로써 주사선 스큐를 일치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광주사기 조립체는 주사선 스큐의 조정을 위한 경사부재(95)의 미세한 조절이 어렵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을 부가하면 스큐조정수단의 구성이 복잡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프레임(90)의 양측 사이의 폭이 넓어 소형화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사선 스큐의 조정이 용이하고,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광주사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용이하고 신뢰성있는 주사선 스큐 조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광을 주사하기 위한 광주사 수단을 각각 구비하는 제1 및 제2 광주사기와, 상기 제2 광주사기의 주사선 스큐(skew)를 제1 광주사기의 주사선 스큐와 일치시키기 위한 스큐조정수단을 포함한 광주사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스큐조정수단은, 상기 제2 광주사기의 측면에서 돌출된 측방 돌출부; 상기 측방 돌출부와 상기 프레임 사이를 연결시키기 위한 조정스크류; 및 상기 측방 돌출부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광주사기 조립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방 돌출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조정스크류가 관통되는 스프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스프링의 휨을 억제하기 위하여 스프링 내측에 삽입되고 그 내주면에는 상기 조정스크류에 치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스터드(stud)가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큐조정수단은, 상기 제2 광주사기의 배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프레임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며, 상기 프레임에 접촉하는 면이 곡면 형태로 형성된 후방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광주사기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큐조정수단은 제2 광주사기의 양 측에 하나씩 한 쌍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주사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와, 상기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기 조립체를 포함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주사기 조립체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광을 주사하기 위한 광주사 수단을 각각 구비하는 제1 및 제2 광주사기와, 상기 제2 광주사기의 주사선 스큐(skew)를 제1 광주사기의 주사선 스큐와 일치시키기 위한 스큐조정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스큐조정수단은, 상기 제2 광주사기의 측면에서 돌출된 측방 돌출부; 상기 측방 돌출부와 상기 프레임 사이를 연결시키기 위한 조정스크류; 및 상기 측방 돌출부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방 돌출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조정스크류가 관통되는 스프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스프링의 휨을 억제하기 위하여 스프링 내측에 삽입되고 그 내주면에는 상기 조정스크류에 치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스터드(stud)가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큐조정수단은, 상기 제2 광주사기의 배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프레임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며, 상기 프레임에 접촉하는 면이 곡면 형태로 형성된 후방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광주사기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큐조정수단은 제2 광주사기의 양 측에 하나씩 한 쌍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에 광을 주사하기 위한 광주사 수단을 각각 구비한 제1 및 제2 광주사기를 장착하는 광주사기 장착단계와, 스큐조정수단을 조작하여 상기 제2 광주사기의 주사선 스큐를 제1 광주사기의 주사선 스큐와 일치시키는 스큐조정단계를 포함하는 주사선 스큐 조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큐조정수단은, 상기 제2 광주사기의 측면에서 돌출된 측방 돌출부, 상기 측방 돌출부와 상기 프레임 사이를 연결시키기 위한 조정스크류; 및 상기 측방 돌출부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큐조정단계는 상기 조정스크류를 회전시켜 상기 제2 광주사기의 주사선 스큐를 제1 광주사기의 주사선 스큐와 일치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선 스큐 조정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큐조정수단은, 상기 제2 광주사기의 배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프레임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며, 상기 프레임에 접촉하는 면이 곡면 형태로 형성된 후방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큐조정단계에서 상기 조정스크류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2 광주사기가 상기 후방 돌출부를 중심으로 각도 변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광주사기를 상기 프레임에 하나 더 장착하고, 상기 추가된 제2 광주사기의 주사선 스큐를 제1 광주사기의 주사선 스큐와 일치시키는 제2 광주사기 추가장착 및 스큐조정단계를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큐조정수단은 제2 광주사기의 양 측에 하나씩 한 쌍 구비되고, 상기 스큐조정단계는 한 쌍의 조정스크류를 각각 회전시켜 상기 제2 광주사기의 주사선 스큐를 제1 광주사기의 주사선 스큐와 일치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기 조립체,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주사선 스큐 조정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기 조립체를 도시한 배면도이며, 도 5는 도 4를 V-V에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사선 스큐 조정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00)는 칼라화상을 인쇄할 수 있는 전자사진방식 칼라 프린터로서, 케이스(101) 내부에 4개의 현상기(110C, 110M, 110Y, 110K), 4개의 광주사기(160C, 160M, 160Y, 160K)를 구비한 광주사기 조립체(150), 전사벨트(130), 4개의 전사롤러(135), 및 정착기(140)를 구비한다. 또한, 용지가 적재되는 카세트(122), 상기 카세트(122)로부터 용지를 낱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123), 상기 픽업된 용지를 이송하는 이송롤러(125), 및 화상이 인쇄된 용지를 케이스(101) 밖으로 배출하는 배지롤러(142)를 구비한다.
상기 현상기(110C, 110M, 110Y, 110K)는 현상제인 토너가 소모되면 새 것으로 교환되는 카트리지 타입으로, 칼라화상의 인쇄를 위해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 예컨데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토너가 각각 수용된 4개의 현상기가 구비된다.
상기 전사벨트(130)는 다수의 풀리들(131 내지 134)에 의해 지지되어 상하 방향으로 순환 주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광주사기 조립체(150)는 상기 4개의 현상기(110C, 110M, 110Y, 110K)에 대응하여 4개의 광주사기(160C, 160M, 160Y, 160K)를 구비한다. 광주사기(160C, 160M, 160Y, 160K)는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 색상의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대응하는 현상기(110C, 110M, 110Y, 110K) 내부에 장착된 감광매체(114C, 114M, 114Y, 114K)로 주사한다. 광주사기(160C, 160M, 160Y, 160K)는 광주사 수단으로, 레이저 다이오드(LD)로 된 광원과, 회전 다면경을 포함하는 광편향기와, 편향 주사된 광의 수차를 보정하여 주는 에프-세타(f-θ)렌즈 등을 그 내부에 구비한다. 상기 광주사 수단은 당업자들에게 통상적인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현상기(110C, 110M, 110Y, 110K) 내부의 감광매체(114C, 114M, 114Y, 114K)는 화상의 전사를 위해, 전사벨트(130)와 마주보고 있다. 상기 현상기(110C, 110M, 110Y, 110K)는 대전롤러(119)와 현상롤러(115)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대전롤러(119)에는 감광매체(114C, 114M, 114Y, 114K)의 외주를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기 위하여 대전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상기 현상롤러(115)는 그 외주에 토너를 부착시켜 감광매체(114C, 114M, 114Y, 114K)로 공급한다. 상기 현상롤러(115)에는 토너를 감광매체(114C, 114M, 114Y, 114K)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된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현상기(110C, 110M, 110Y, 110K)의 내부에는 토너를 현상롤러(115)로 공급하는 공급롤러, 현상롤러(115)에 부착된 토너의 양을 규제하는 닥터블레이드, 토너를 상기 공급롤러 측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 형태 의 교반기가 더 구비된다. 본 실시예의 현상기(110C, 110M, 110Y, 110K)는 광주사기(160C, 160M, 160Y, 160K)에 의하여 주사된 광이 감광매체(114C, 114M, 114Y, 114K)에 주사될 수 있도록 통로를 형성하는 개구(112)를 구비한다.
4개의 전사롤러(135)는 전사벨트(130)를 사이에 두고 감광매체(114C, 114M, 114Y, 114K)와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전사롤러(135)에는 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칼라화상 형성 과정을 설명한다.
각 감광매체(114C, 114M, 114Y, 114K)는 대전롤러(119)에 인가된 대전바이어스에 의하여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다. 4개의 광주사기(160C, 160M, 160Y, 160K)는 각각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 색상의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개구(112)를 통하여 각 감광매체(114C, 114M, 114Y, 114K)로 주사하며, 이에 의해 상기 감광매체(114C, 114M, 114Y, 114K)의 외주면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현상롤러(115)에는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되며, 이에 의해 토너가 현상롤러(115)에서 감광매체(114C, 114M, 114Y, 114K)로 이동하여 각 감광매체(114C, 114M, 114Y, 114K)의 외주면에는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 색상의 가시(可視)화상이 현상된다.
한편, 용지는 픽업롤러(123)에 의해 카세트(122)로부터 픽업되고, 이송롤러(125)에 의하여 전사벨트(130)로 인입된다. 상기 용지는 정전기적인 힘에 의하여 상기 전사벨트(130)의 표면에 부착되어 전사벨트(150)의 순환주행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이송된다.
전사벨트(130)에 부착되어 이송되는 용지는, 가장 아래에 위치한 시안(C) 색상의 현상기(110C) 내부의 감광매체(114C)의 외주면에 형성된 시안(C) 색상의 가시화상의 선단이 전사롤러(135)와 대면된 전사닙(nip)으로 도달되는 시점에 맞추어 그 선단이 상기 전사닙(nip)에 도달된다. 이때, 전사롤러(135)에 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되면 감광매체(114C)에 형성된 가시화상이 용지로 전사된다. 계속하여 용지가 이송됨에 따라 다른 감광매체(114M, 114Y, 114K) 외주면에 형성된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 색상의 가시화상은 순차적으로 용지에 중첩 전사되어, 용지에는 칼라가시화상이 형성된다. 정착기(140)는 용지에 형성된 칼라가시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용지에 정착시킨다. 정착이 완료된 용지는 배지롤러(142)에 의하여 케이스(101) 밖으로 배출된다.
상기 광주사기 조립체(150)의 4개의 광주사기(160C, 160M, 160Y, 160K)는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 색상 화상의 중첩 과정에서 색중첩 편차를 억제하기 위하여 서로간의 주사선 스큐(skew)를 일치시켜야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광주사기 조립체(150)는 4개의 광주사기(160C, 160M, 160Y, 160K)와 이들이 일렬로 장착되는 프레임(151)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프레임(151)의 가장 아래에 장착되는 광주사기(160C)에서 주사되는 주사선의 스큐에 나머지 3개의 광주사기(160M, 160Y, 160K)에서 각각 주사되는 주사선의 스큐가 일치되도록 조정된다. 따라서, 상기 가장 아래의 광주사기(160C)가 기준이 되는 제1 광주사기로 설정되고, 나머지 3개의 광주사기(160M, 160Y, 160K)가 주사선 스큐가 조 정되는 제2 광주사기로 설정된다.
상기 프레임(151)은 1개의 제1 광주사기 선반(152)과, 그 위에 등간격을 이루며 마련된 3개의 제2 광주사기 선반(156)을 구비한다. 상기 제1 광주사기(160C)는 그 양 측면에서 돌출된 한 쌍의 측방 돌출부(161)가 제1 광주사기 선반(152)의 한 쌍의 측방 지지부(153)에 조임스크류(163)에 의해 체결되고, 배면에서 돌출된 후방 돌출부(162)가 제1 광주사기 선반(152)의 후방 지지부(154)에 조임스크류(163)에 의해 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광주사기(160C)는 제1 광주사기 선반(152)에 고정된다.
상기 광주사기 조립체(150)는 제2 광주사기들(160M, 160Y, 160K)을 제2 광주사기 선반(156)에 스큐 조정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스큐조정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스큐조정수단을 조작하여 상기 제2 광주사기들(160M, 160Y, 160K)의 주사선 스큐를 제1 광주사기(160C)의 주사선 스큐와 허용오차 범위 내에서 일치시킬 수 있다.
상기 스큐조정수단은, 제2 광주사기(160M, 160Y, 160K) 각각의 양 측면에서 돌출된 한 쌍의 측방 돌출부(165)와, 상기 측방 돌출부(165)와 제2 광주사기 선반(156)의 양 측부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스프링(173)과, 상기 제1 스프링(173)을 관통하여 상기 측방 돌출부(165)와 제2 광주사기 선반(156)을 연결하는 조정스크류(175)를 구비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측방 돌출부(165)의 하측면에는 제1 스프링(173)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스프링 안착홈(166)이 형성되어 있다. 그 리고, 상기 제2 광주사기 선반(156)의 윗면에는 수축 및 복원 도중에 상기 제1 스프링(173)의 휨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스프링(173)의 내측에 삽입되는 스터드(stud, 170)가 고정 부착된다.
상기 스터드(170)의 내주면에는 상기 조정스크류(175)에 치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정스크류(175)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에 체결된 측방돌출부(165)와 제2 광주사기(160M)의 일 측부가 미세하게 상승 또는 하강한다. 도 5는 제1 광주사기(160C) 바로 위에 위치한 제2 광주사기(160M)의 일 측에 마련된 스큐조정수단에 한정하여 그 단면이 도시된 것이나,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제2 광주사기(160M)의 타 측에 마련된 스큐조정수단도 마찬가지이고, 다른 제2 광주사기(160Y, 160K)의 양 측에 마련된 스큐조정수단도 마찬가지이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스큐조정수단은 제2 광주사기(160M, 160Y, 160K)의 배면에서 돌출되어 제2 광주사기 선반(156)의 후방 지지부(157)에 접촉 지지되는 후방 돌출부(167)를 더 포함한다. 상기 후방 돌출부(167)는 상기 후방 지지부(157)에 접촉하는 하측면(168)이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방 돌출부(167)의 둘레를 감은 제2 스프링(180)의 양 단을 상기 후방 지지부(157)에 체결하여, 상기 후방 돌출부(167)는 상기 후방 지지부(157)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다.
상기 제2 광주사기(160M, 160Y, 160K)는 상술한 스큐조정수단에 의해 그 저면이 제2 광주사기 선반(156)에서 이격되어 위치하고, 조정스크류(175)를 회전시키 면 상기 후방 돌출부(167)를 중심으로 각도 변경되어 기울기가 변할 수 있다. 상기 후방 돌출부(167)의 곡면형 하측면(168)은 상기 제2 광주사기(160M, 160Y, 160K)의 기울어짐을 용이하게 한다.
이하, 도 4, 및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사선 스큐 조정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프레임(151)에 제1 광주사기(160C)를 고정 장착하고, 하나의 제2 광주사기(160M)도 장착하여 상기 제2 광주사기(160M)의 양 측과 후방에 상술한 스큐조정수단이 마련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 광주사기(160C)와 상기 제2 광주사기(160M)에서 감광매체(114C, 114M)로 각각 테스트용 광을 주사하여 제1 광주사기(160C)의 주사선(SC)과 제2 광주사기(160M)의 주사선(SM)의 스큐를 파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광주사기(160M)의 주사선(SM)의 스큐가 기준이 되는 제1 광주사기(160C)의 주사선(SC)의 스큐와 차이가 나면, 상기 제2 광주사기(160M)의 양 측방 돌출부(175)에 체결된 한 쌍의 조정스크류(175)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후방 돌출부(167)를 중심으로 제2 광주사기(160M)의 기울기를 변화시킨다. 상기 조정스크류(175)들을 적절한 방향으로 적절한 각도만큼 회전하면, 상기 제2 광주사기(160M)의 주사선(SM)이 제1 광주사기(160C)의 주사선(SC)과 허용오차 범위 내에서 스큐가 일치하는 주사선(SM')으로 조정된다.
다음으로, 프레임(151)의 상기 제2 광주사기(160M) 위에 하나의 제2 광주사 기(160Y)를 더 장착하고, 상기 제2 광주사기(160Y)에서 감광매체(114Y)로 테스트용 광을 주사하여 상기 제2 광주사기(160Y)의 주사선(SY)의 스큐를 기준이 되는 제1 광주사기(160C)의 주사선(SC)의 스큐와 비교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광주사기(160Y)의 주사선(SY)의 스큐가 제1 광주사기(160C)의 주사선(SC)의 스큐와 차이가 나면, 상기 제2 광주사기(160Y)의 양 측방 돌출부(175)에 체결된 한 쌍의 조정스크류(175)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적절한 각도만큼 회전시켜 상기 제2 광주사기(160Y)의 주사선(SY)이 제1 광주사기(160C)의 주사선(SC)과 허용오차 범위 내에서 스큐가 일치하는 주사선(SY')이 되도록 조정한다.
다음으로, 프레임(151)의 상기 제2 광주사기(160Y) 위에 하나의 제2 광주사기(160K)를 더 장착하고, 상기 제2 광주사기(160K)에서 감광매체(114K)로 테스트용 광을 주사하여 상기 제2 광주사기(160K)의 주사선(SK)의 스큐를 기준이 되는 제1 광주사기(160C)의 주사선(SC)의 스큐와 비교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광주사기(160K)의 주사선(SK)의 스큐가 제1 광주사기(160C)의 주사선(SC)의 스큐와 차이가 나면, 상기 제2 광주사기(160K)의 양 측방 돌출부(175)에 체결된 한 쌍의 조정스크류(175)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적절한 각도만큼 회전시켜 상기 제2 광주사기(160K)의 주사선(SK)이 제1 광주사기(160C)의 주사선(SC)과 허용오차 범위 내에서 스큐가 일치하는 주사선(SK')이 되도록 조정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주사선의 스큐 조정이 필요한 제2 광주사기가 하나 또는 두개만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광주사기 조립체 및 주사선 스큐 조정방법은, 복수 개의 광주사기를 구비함으로 인한 주사선 스큐의 차이를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어, 인쇄 화상의 품질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광주사기 조립체는 종래와 같이 스큐 조정을 위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사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종래의 광주사기 조립체에 비해 그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소형화가 용이하다.

Claims (18)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광을 주사하기 위한 광주사 수단을 각각 구비하는 제1 및 제2 광주사기와, 상기 제2 광주사기의 주사선 스큐(skew)를 제1 광주사기의 주사선 스큐와 일치시키기 위한 스큐조정수단을 포함한 광주사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스큐조정수단은, 상기 제2 광주사기의 측면에서 돌출된 측방 돌출부; 상기 측방 돌출부와 상기 프레임 사이를 연결시키기 위한 조정스크류; 및 상기 측방 돌출부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기 조립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돌출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기 조립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조정스크류가 관통되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기 조립체.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스프링의 휨을 억제하기 위하여 스프링 내측에 삽입되고 그 내주면에는 상기 조정스크류에 치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스터드(stud)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기 조립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큐조정수단은, 상기 제2 광주사기의 배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프레임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며, 상기 프레임에 접촉하는 면이 곡면 형태로 형성된 후방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기 조립체.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주사기가 복수 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기 조립체.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큐조정수단은 제2 광주사기의 양 측에 하나씩 한 쌍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기 조립체.
  8. 광주사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와, 상기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기 조립체를 포함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주사기 조립체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광을 주사하기 위한 광주사 수단을 각각 구비하는 제1 및 제2 광주사기와, 상기 제2 광주사기의 주사선 스큐(skew)를 제1 광주사기의 주사선 스큐와 일치시키기 위한 스큐조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스큐조정수단은, 상기 제2 광주사기의 측면에서 돌출된 측방 돌출부; 상기 측방 돌출부와 상기 프레임 사이를 연결시키기 위한 조정스크류; 및 상기 측방 돌출부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돌출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조정스크류가 관통되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스프링의 휨을 억제하기 위하여 스프링 내측에 삽입되고 그 내주면에는 상기 조정스크류에 치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스터드(stud)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큐조정수단은, 상기 제2 광주사기의 배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프레임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며, 상기 프레임에 접촉하는 면이 곡면 형태 로 형성된 후방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주사기가 복수 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4.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큐조정수단은 제2 광주사기의 양 측에 하나씩 한 쌍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5. 프레임에 광을 주사하기 위한 광주사 수단을 각각 구비한 제1 및 제2 광주사기를 장착하는 광주사기 장착단계와, 스큐조정수단을 조작하여 상기 제2 광주사기의 주사선 스큐를 제1 광주사기의 주사선 스큐와 일치시키는 스큐조정단계를 포함하는 주사선 스큐 조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큐조정수단은, 상기 제2 광주사기의 측면에서 돌출된 측방 돌출부; 상기 측방 돌출부와 상기 프레임 사이를 연결시키기 위한 조정스크류; 및 상기 측방 돌출부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큐조정단계는 상기 조정스크류를 회전시켜 상기 제2 광주사기의 주사선 스큐를 제1 광주사기의 주사선 스큐와 일치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주사선 스큐 조정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큐조정수단은, 상기 제2 광주사기의 배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프레임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며, 상기 프레임에 접촉하는 면이 곡면 형태로 형성된 후방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큐조정단계에서 상기 조정스크류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2 광주사기가 상기 후방 돌출부를 중심으로 각도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선 스큐 조정방법.
  17. 제15 항에 있어서,
    제2 광주사기를 상기 프레임에 하나 더 장착하고, 상기 추가된 제2 광주사기의 주사선 스큐를 제1 광주사기의 주사선 스큐와 일치시키는 제2 광주사기 추가장착 및 스큐조정단계를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선 스큐 조정방법.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큐조정수단은 제2 광주사기의 양 측에 하나씩 한 쌍 구비되고,
    상기 스큐조정단계는 한 쌍의 조정스크류를 각각 회전시켜 상기 제2 광주사기의 주사선 스큐를 제1 광주사기의 주사선 스큐와 일치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 스큐 조정방법.
KR1020040083515A 2004-10-19 2004-10-19 광주사기 조립체,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및 주사선 스큐 조정방법 KR100580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515A KR100580200B1 (ko) 2004-10-19 2004-10-19 광주사기 조립체,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및 주사선 스큐 조정방법
US11/178,487 US7952605B2 (en) 2004-10-19 2005-07-12 Light scanning unit assembly,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adjusting scanning line ske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515A KR100580200B1 (ko) 2004-10-19 2004-10-19 광주사기 조립체,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및 주사선 스큐 조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774A KR20060034774A (ko) 2006-04-26
KR100580200B1 true KR100580200B1 (ko) 2006-05-16

Family

ID=36180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515A KR100580200B1 (ko) 2004-10-19 2004-10-19 광주사기 조립체,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및 주사선 스큐 조정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52605B2 (ko)
KR (1) KR1005802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97328B2 (ja) * 2010-06-28 2014-01-2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152268B2 (ja) * 2010-07-27 2013-02-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マルチビーム光走査装置
JP7091710B2 (ja) * 2018-02-28 2022-06-2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330874B2 (ja) * 2019-12-11 2023-08-22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1728A (ja) 1999-02-03 2000-08-11 Ricoh Co Ltd 画像形成方法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トナー
JP2002277792A (ja) 2001-03-16 2002-09-25 Ricoh Co Ltd 走査光学装置
JP2003241131A (ja) 2002-02-22 2003-08-27 Canon Inc 偏向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3270573A (ja) 2002-03-18 2003-09-25 Fuji Xerox Co Ltd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4281A (ja) 1997-12-26 1999-07-21 Fuji Xerox Co Ltd レーザ記録装置及びレーザ走査装置の取付方法
KR100297784B1 (ko) * 1998-03-20 2001-09-06 윤종용 인쇄기기의 레이저 스캐너 기울기 조정장치
KR100311015B1 (ko) 1998-07-22 2001-11-15 윤종용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조정장치
KR100316648B1 (ko) 1998-07-31 2002-04-17 윤종용 인쇄기기의 레이저 스캐닝 유닛
JP2001337283A (ja) 2000-05-25 2001-12-07 Ricoh Co Ltd レーザビーム走査装置
JP4904617B2 (ja) * 2000-09-11 2012-03-28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4054146A (ja) 2002-07-23 2004-02-19 Ricoh Co Ltd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452854B1 (ko) 2002-08-23 2004-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빔 레이저 스캐닝유닛의 부주사 간격 조절장치
US7262787B2 (en) * 2002-09-18 2007-08-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Laser scanning unit assembly and laser printer having the same
KR100492096B1 (ko) 2002-09-18 2005-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이저 스캔유닛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레이저 프린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1728A (ja) 1999-02-03 2000-08-11 Ricoh Co Ltd 画像形成方法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トナー
JP2002277792A (ja) 2001-03-16 2002-09-25 Ricoh Co Ltd 走査光学装置
JP2003241131A (ja) 2002-02-22 2003-08-27 Canon Inc 偏向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3270573A (ja) 2002-03-18 2003-09-25 Fuji Xerox Co Ltd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82795A1 (en) 2006-04-20
US7952605B2 (en) 2011-05-31
KR20060034774A (ko) 200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0026B2 (en) Image forming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color misregistration
US8072478B2 (en) Optical scann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write method
US7663656B2 (en)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ame
US7612928B2 (en) Optical scann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regulating the optical scanning apparatus
US20110181679A1 (en) Exposur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432427B2 (en) Optical scann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ame
KR101041690B1 (ko) 화상 형성 장치
JP2007206653A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187891B2 (en) Developing apparatus including rotary member for accommodating variable combinations of developing sleeves and balance weights
US6459868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image forming units with positioning feature and assembling method therefor
US10095153B2 (en) Optical scann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580200B1 (ko) 광주사기 조립체,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및 주사선 스큐 조정방법
JP2018132705A (ja)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523440B2 (ja) 多色画像形成装置
US10015352B2 (en) Exposure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elements, LED head as the exposure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exposure device, and image reading apparatus
US8369739B2 (en) Intermediate transfer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06150836A (ja) 光書込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349850A (ja) 画像形成装置
KR20060044109A (ko) 광주사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JP2008076458A (ja) 光走査装置と画像形成装置
US7917059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81823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24008583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191582A (ja) 多色画像形成装置
JP4216429B2 (ja) 電子写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