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0148B1 - 광섬유의 융착부 보강용 가열실을 갖춘 광섬유 융착접속장치 - Google Patents

광섬유의 융착부 보강용 가열실을 갖춘 광섬유 융착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148B1
KR100610148B1 KR1020040024067A KR20040024067A KR100610148B1 KR 100610148 B1 KR100610148 B1 KR 100610148B1 KR 1020040024067 A KR1020040024067 A KR 1020040024067A KR 20040024067 A KR20040024067 A KR 20040024067A KR 100610148 B1 KR100610148 B1 KR 100610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fusion
hot air
heating chamber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4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8628A (ko
Inventor
이형기
송재섭
전상철
Original Assignee
(주)한울옵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울옵틱스 filed Critical (주)한울옵틱스
Priority to KR1020040024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0148B1/ko
Publication of KR20050098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8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4Re-forming tubes or rods
    • C03B23/045Tool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re-forming tubes or rods in general, e.g. glass lathes, chu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4Re-forming tubes or rods
    • C03B23/043H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forming tubes or rods in general, e.g. bur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 가닥의 광섬유 연결단을 융착 접속하고, 그 융착부에 보강용 철사를 덧 댄 채로, 수축 슬리브를 끼워 열 수축시켜 보강 처리하는 가열실을 갖춘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에 있어서, 수축 슬리브의 열 수축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히터로 가온된 공기가, 송풍 팬에 의한 열풍으로 되어, 상기 가열실로 송풍되게 함으로써, 수축 슬리브의 열 수축이 신속하게 행해지도록 하는 것이며, 또한 광섬유의 박피 및 세척, 절단, 융착, 보강의 모든 가공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된 광섬유의 융착부 보강용 가열실을 갖춘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이다.
광섬유의 융착 접속, 광섬유의 융착 보강, 광섬유 복합 처리

Description

광섬유의 융착부 보강용 가열실을 갖춘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fusion splicer with heating room reinforce welding portion of glass fiber }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관련된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가열실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3은 상기 가열실에 구비되는 히터의 제어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상기 가열실에 수축 슬리브가 끼워진 광섬유를 세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광섬유 박피 및 세척 및 절단을 겸하는 구성의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도 5의 배면 방향 사시도.
도 7은 도 5의 화살표 Ⅶ - Ⅶ에 따른 클램프 어셈브리의 단면도.
도 8은 박피 세척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 5의 화살표 Ⅶ-Ⅶ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5의 화살표 Ⅸ - Ⅸ에 따른 절단부의 단면도.
도 10은 절단부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 9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초음파에 의한 절단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는 도 11의 실시 예에 적용된 파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도 12의 화살표 ⅩⅢ - ⅩⅢ에 따른 단면도로서, 인장 작동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도 13에 대응하는 단면도로서, 인장 작동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광섬유의 융착부에 베풀어지는 보강 피복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싱 2 : 융착부
3 : 가열실 4 : 디스플레이
5 : 파지부 6 : 박피 세척부
7 : 절단부 20 : 뚜껑
21 : 클램프 22 : 방전 전극
23 : V홈 받침판 24 : 연결단 받침
25 : 버튼 26 : 카운터 홀더
27 : 슬로트 30 : 도어
31 : 공간 32 : 전열 히터
33 : V홈 고정판 34 : 클램프
35 : 통풍구 36 : 송풍 팬
37 : 히터 38 : 급기관
39 : 그릴 50 : 블래킷
51 : 가이드 바 52 : 클램프 어셈브리
53 : 부동그립 54 : 레버 플레이트
55 : 가동그립 56a, 57a : 축
56b, 57b : 토션 스프링 58 : 요동 레버
60 : 열풍 히터 61 : 송풍수단
62 : 도관 63 : 환기 통로
64 : 환기 팬 65 : 분지관
66 : 개폐 밸브 67 : 조작 버튼
70 : 힌지축 71 : 덮개
72 : 칼날 73 : 슬라이더
74 : 블록체 75 : 레버
76 : 복좌스프링 77 : 스프링
78 : 록킹핀 79 : 트리거핀
80 : 카운터 홀더 81 : 스프링
520 : 고정부시 521 : 가동부시
522 : 고정축 523 : 캠 레버
524 : 캠면 525 : 팽창 스프링
580 : 연동축 700 : 조작 레버
701 : 왕복대 702 : 초음파 발진기
703 : 초음파 커터 704 : 댐퍼
705 : 피스톤 706 : 스프링
707 : 포인트 TP : 검온기
CP : 비교기 RY : 릴레이
SW : 스위치
본 발명은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2 가닥의 광섬유 연결단을 융착 접속하고, 그 융착부에 보강용 철사를 덧 댄 채로, 수축 슬리브를 끼우고, 이것을 열 수축시켜 보강 처리할 수 있도록, 광섬유의 융착부 보강용 가열실을 갖춘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섬유는, 빛의 전송을 목적으로 하는 섬유 모양의 도파관(導波管)이며, 통상은 여러 가닥으로 결속된 광케이블 형태로 사용된다.
광섬유의 단면 구조를 보면, 내부는 중앙의 코어와, 이를 감싸는 클래딩(cladding)에 의한 2중 구조이고, 외부는 2 ~ 3겹의 합성수지 층으로 피복되어 있다.
이러한 광섬유는 외부의 전자파에 의한 간섭이나 혼신(混信)이 없고, 도청이 곤란하며, 하나의 광섬유에 많은 통신 회선을 수용할 수 있고, 외부 환경의 변화에도 잘 견디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광섬유를 이용하여 광통신 설비를 시공함에 있어서, 작업자는 도구를 사용하여 광섬유를 박피 세척, 절단, 융착 접속. 융착부 보강 등의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광섬유를 박피 세척하는 장치로는. 광섬유의 피복층을 절개하고 강제로 벗겨내는 스트리퍼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것은 피복층이 박피 세척될 때에, 광섬유 표면에 클랙이 생기는 것을 피할 수 없다.
한편, 최근에는 광섬유에 열풍을 불어 주는 것으로, 피복층이 박리 되게 하는 박피 세척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이것은 광섬유 표면에 전혀 손상을 주는 일이 없으므로 점차 선호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광섬유의 박피부분은 깨끗이 세정된 다음에 절단되고, 절단된 광섬유는 감쇄기, 분배기 등의 광통신 기기와 연결되기 위한 예비 작업으로서, 다른 광섬유와 융착 접속된 다음, 그 융착부는 수축 슬리브로 피착 보강된다.
광섬유의 접속은, 2 가닥의 광섬유 연결단을 커넥터에 끼우고, 이 커넥터로 침액(浸液)을 주입하여 접속되게 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으나, 이 방식은 침액의 취급과, 커넥터로부터 침액이 누설되지 않게 밀봉 처리해야 하는 등, 복잡한 후가공을 필요로 한다.
미국 특허 제4,598,974호에 개시된 융착 접속장치는, 대칭 배치된 2개의 방전 전극 사이로, 서로 동심상으로 접촉된 광섬유 연결단을 직교 배치하고, 양 전극 사이로 아크를 발생시켜 상기 연결단이 용착되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장치를 이용한 광섬유의 융착 접속 시에, 서로 접촉된 2가닥의 연결단은 동심도가 일치하지 않으면 전송 광의 손실이 나타나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방식을 채용한 공지된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는, 작업자가 외부에서 광섬유 연결단의 동심도를 원격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겸비하고 있으며, 또, 원격 조절되는 광섬유의 연결단은 외부에서 디스플레이를 통해 목측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원격 조절 수단은, 광섬유를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클램프가 모터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구성과, 외부에서 버튼 조작을 통해 상기 모터의 회전 방향 등을 제어하여 클램프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된다..
또, 원격 조절에 의해 위치 이동되는 광섬유 연결단은, 내장된 영상장비로 근접 촬영되어 디스플레이를 통해 영상 표시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영상을 보면서 원격 조절하여 상기 광섬유 연결단의 동심도를 미세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방식에 따라 융착 접속된 광섬유의 연결단은 대단히 취약하기 때문에, 보강을 위한 후처리를 필요로 한다. 후처리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된 연결단으로 융착점(W)이 형성된 광섬유(F)와 나란하게 보강용 철사(S)를 개재시킨 채로, 그 주변을 수축 슬리브(C)로 피착하여 상기 융착부(W)의 취약성을 보강시키는 처리이다.
또, 광섬유의 연결단에 피착되는 수축 슬리브는 열수축성 합성수지로 된 튜브이며, 이것은 가열실에 넣어져 90 ~ 160℃로 가온되는 것에 의해 피착된다.
광섬유의 융착 접속 작업에 있어서, 그 효율성은 융착 시간, 그리고 가온에 의한 수축 슬리브의 피착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결정된다.
통상적으로, 아크에 의한 광섬유의 융착은 대략 20초 정도 소요되고, 수축 슬리브의 피착은 50 ~ 90초 정도 소요되고 있다.
여기서 수축 슬리브의 피착에 소요되는 시간 편차가 큰 이유는, 전열 히터의 성능, 수축 슬리브의 물성, 및 작업장의 온도, 기후 등에 따른다고 볼 수 있으나, 그 소요 시간의 단축을 통해, 작업의 효율성을 제고시킬 여지는 남아 있다.
수축 슬리브의 피착에 소요되는 시간은, 전열 히터의 성능과 수축 슬리브의 물성 개선을 통하여 어느 정도 단축시킬 수 있으나, 작업의 초기에 전열 히터로 가열실의 내부 공간이 가온될 때까지, 수축 슬리브에 어떠한 물리적 작용을 가할 수 없기 때문에, 종래의 전열 히터 방식으로는 일정 시간 이하로 단축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광섬유의 박피, 세척, 절단, 융착, 보강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하고자, 박피와 세척 및 절단 기능을 겸비하는 장치와, 융착과 보강 기능을 겸비하는 장치 등으로 2 가지 기능을 복합시킨 장치는 공지되어 있으나, 이들 5 가지 기능을 모두 구비한 장치는 아직 제안된 바 없다. 이 때문에 광섬유 시설 공사에는 적어도 2 종류의 장치를 구비해야 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광섬유의 융착부 보강 피복처리를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구조로 개선된 광섬유의 융착부 보강용 가열실을 갖춘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를 제공하여, 광케이블 작업의 능률을 제고시키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섬유의 박피, 세척과 절단, 보강 기능을 겸비하여 모든 광섬유 가공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광섬유의 융착부 보강용 가열실을 갖춘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섬유의 연결단을 1쌍의 방전 전극 사이에 놓고 아크 융착 하여 접속시킨 융착부에, 보강용 철사를 덧대고, 그 주변으로 열 수축성 수축 슬리브를 끼운 다음, 외부와 격리된 가열실에 넣어 열 수축 처리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한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열실의 내측으로 통풍구를 마련하고, 이 통풍구에 급기관과 히터 및 송풍 팬을 순차 연통 시키고, 상기 송풍 팬에 의해 흡인되는 외기가 히터에 의해 가온된 열풍으로 되어서, 상기 급기관을 통해 가열실로 불어넣어져, 수축 슬리브를 가온시키는 구성으로 된다.
상기 가열실은, 바닥에 통상의 전열 히터를 구비할 수 있고, 이 경우 가열실의 가온은, 상기 히터와 송풍 팬에 의한 열풍과, 상기 전열 히터의 발열이 더해져서 수축 슬리브의 열 수축 소요시간이 더욱 단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에 더하여, 클램프 어셈브리에 구비된 부동그립과 가동그립으로 광섬유를 고정시켜 놓을 수 있는 파지부와, 덮개의 개방에 연동하여 미절단위치로 이동된 슬라이더가, 덮개를 닫음에 따라 절단위치로 이동되면서, 그 상방에 탑재된 칼날로 광섬유를 스크래칭 하여 절단하는 절단부와, 송풍수단에서 급송되는 기류를 열풍 히터에서 열풍으로 분사하여, 광섬유의 피복층을 제거와 동시에 세척하는 박피 세척부와, 광섬유의 연결단을 1쌍의 방전 전극 사이에 놓고 아크 융착 하여 접속시키는 융착부와, 융착된 광섬유의 융착점 주변으로 끼워지는 수축 슬리브를 열 수축시키기 위하여 상기 열풍 히터에서 가온된 열풍의 일부를 통풍구 로 도입시켜서 상기 수축 슬리브를 가온하게 되어 있는 가열실을 겸비한 구성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램프 어셈브리에 구비된 부동그립과 가동그립으로 광섬유를 고정시켜 놓을 수 있고, 상기 클램프 어셈브리는 캠 레버에 연동되는 가동부시로부터 해방되면, 그 사이로 개재된 팽창 스프링에 의해 벌어지면서 상기 광섬유를 인장 시킬 수 있게 되어 있는 파지부와, 초음파 발진기로부터 발진되는 초음파를 광섬유로 인가시켜 절단되게 하는 초음파 커터를 보유하고, 이 초음파 커터는 조작레버에 연동하여 상기 광섬유의 외주면으로 근접 또는 이탈할 수 있게 되어 있는 절단부와, 송풍수단에서 발생된 기류를 열풍 히터에서 열풍으로 분사시켜, 광섬유의 피복층을 제거와 동시에 세척되게 하는 박피 세척부와, 광섬유의 연결단을 1쌍의 방전 전극 사이에 놓고 아크 융착 하여 접속시키는 융착부와, 융착된 광섬유의 융착점 주변으로 끼워지는 수축 슬리브를 열 수축시키기 위하여, 상기 열풍 히터에서 가온된 열풍의 일부를 통풍구로 도입시켜서 상기 수축 슬리브를 가온하게 되어 있는 가열실을 겸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광섬유의 융착부 보강용 가열실을 갖춘 구성으로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은, 가열실의 내부 공간을 가온시킴에 있어서, 열풍에 의존하여 가온하는 것이므로, 수축 슬리브가 열 수축되는 온도로의 가온 시간이 대폭 단축되어, 작업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장치로 광섬유의 박피 및 세척, 절단, 융착 접속, 융착부 보강 피복처리 등의 작업을 일괄 수행할 수 있어서, 작업의 편리성은 물론 장비 구입에 관련된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경제성도 갖춘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관련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은 케이싱(1)의 상면에 융착부(2)와, 가열실(3), 그리고 전면에 경사를 이루어 배치된 디스플레이(4)를 갖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1)은 도시 생략된 손잡이 등을 갖추어서 휴대하기 간편한 구성으로 된 것이다.
융착부(2)는, 케이싱(1)의 상면에서 뚜껑(20)에 의해 개폐되는 부분이며, 여기에는 광섬유(F)를 세팅 위치로 고정시키기 위한 1쌍의 클램프(21)가 배치되고, 이들 클램프(21) 사이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1쌍의 방전 전극(22)이 소정의 간극을 두고 대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클램프(21)와 방전 전극(22) 사이에는 광섬유(F)를 밑에서 안정되게 받쳐주는 V홈 받침판(23)과 연결단 받침(24)이 동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도, 방전 전극(22)을 경계로 하여 대칭으로 배열된 클램프(21)와 V홈 받침판(23) 및 연결단 받침(24)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유니트화 되어서, 도시 생략된 모터에 의해 축방향 이동될 수 있는 구성으로 된 것이다.
도시 생략된 모터는 케이싱(1)의 상면에서 적당한 개소에 비치되는 버튼(25)을 통하여 원격 조종된다.
또, 뚜껑(20)의 밑면에는 상기 연결단 받침(24)과 접촉하여 광섬유(F)의 연 결단을 고정시켜 주는 카운터 홀더(26)가 대응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양측 변에는 광섬유(F)를 통과시키는 슬로트(27)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융착부(2)의 구성에서, 양 방전 전극(22)에는 고전압이 인가되어 아크를 발생하게 되는 것이며, 아크 발생수단도 케이싱(1)의 내부에 설치되는 통상적인 전자 장치이므로, 그에 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작업자는 융착부(2)의 뚜껑(20)을 열고, 양 클램프(21)를 위로 젖혀 열어 놓은 다음, 2 가닥의 광섬유(F)를 방전 전극(22) 사이로 위치시키면서 그 종단 측 연결단끼리 근접 위치시킨 다음, 우선 양 클램프(21)를 차례로 닫아, 눌려 고정되게 하고, 다음에 뚜껑(20)을 덮으면, 카운터 홀더(26)가 연결단 받침(24)의 상면을 가볍게 내리 누르면서, 그 위에 놓여진 광섬유(F)를 2차적으로 고정시켜 놓게 된다.
이렇게 배치되는 광섬유(F)의 연결단 접촉 상태는, 디스플레이(4)를 통해 확대된 영상으로 표시되는 것이며, 이 때, 미세 조정이 필요하면 케이싱(1)의 상면 적당한 개소에 마련된 버튼(25)을 조작하여, 동심상으로 일치되게 미세 조절한다.
동심상으로 배치된 광섬유(F)의 연결단 융착은, 방전 전극(22) 사이로 고전압을 인가시켜 발생하는 아크에 의해 행해지고, 대략 20초 이내에 2 가닥의 광섬유(F)는 서로 접촉된 연결단이 융착 된다.
이렇게 광섬유(F)의 연결단 융착이 끝나면, 도 15로 상술한 바 있듯이, 융착부(W)에 보강용 철사(S)를 개재시키고, 수축 슬리브(C)를 광섬유(F)의 외주에 끼운 채로 가열실(3)에 넣어 후처리를 행한다.
본 발명의 주요부로 되는 가열실(3)은, 도 2의 도시와 같이, 투시창 달린 도 어(30)에 의해 개폐되는 공간(31)을 포함하고, 통상적으로 공간(31)의 바닥에 설치되는 전열 히터(32)는 이 실시 예에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공간(31)의 양 측변에는 상기 광섬유(F)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V홈 고정판(33)과, 개폐 가능한 클램프(34)가 쌍을 이루어 대칭 배열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공간(31)의 벽면 또는 바닥의 소정 개소에는 통풍구(35)가 열려 있고, 이 통풍구(35)는 송풍 팬(36)을 구비한 히터(37)와, 급기관(38)을 통해 연통되는 것이며, 또 히터(37)는 그릴(39)을 통해 외기를 도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통풍구(35)는 이 실시 예에서 장방형의 통로로 도시되어 있으나, 원형의 구멍이어도 좋고, 또 1개소만이 아니라, 2개소 혹은 3개소 또는 그 이상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송풍 팬(36)이 히터(37)로 가온된 공기를 급송하여, 열풍으로써 통풍구(35)를 거쳐 공간(31)으로 확산시켜 주게 된다. 또 확산되는 열풍은 공간(31)의 내부에서 대류 현상을 일으켜 단시간 내에 가열실(3)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킨다.
상기 히터(37)에 의한 가온은 통상적 제어수단에 의해 온도 제어된다.
일 예를 들면, 내측에 검온기(TP)를 비치하고, 이것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 신호를 비교기(CP)로 입력하여, 미리 설정 입력한 기준치와 비교해서, 입력 신호치가 작으면, 릴레이(RY)로 스위치(SW)가 온 되게 작동시켜, 히터(37)가 통전 가열되게 하고, 반대로 입력 신호치가 크면, 릴레이(RY)로 스위치(SW)를 오프 작동시켜서 히터(37)가 꺼지게 하는 제어를 통해, 상기 히터(37)를 통한 열풍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열풍의 바람직한 온도는 90 ~ 160℃ 범위이다.
사용자는 도 4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실(3)의 도어(30)와 양 클램프(34)를 열고, 광섬유(F)에 끼워진 수축 슬리브(C)를 공간(31)으로 수납시킨 다음, 양 클램프(34)를 닫아 광섬유(F)의 양측을 고정시키고 도어(30)를 닫으면, 공간(31)이 외부와 격리되어 보강 피복처리를 시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보강 피복처리는, 공간(31)의 분위기가 통풍구(35)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으로 가온되기 때문에, 수납된 수축 슬리브(C)는 즉시 열풍에 의해 가온되기 시작하여, 신속한 피복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또, 공간(31)의 바닥에 전열 히터(32)가 설치된 구성에 있어서는, 열풍과 상기 전열 히터(32)에 의한 발열이 상승 작용하여, 더욱 신속하게 수축 슬리브(C)를 열 수축 처리하게 되며, 그 소요시간은 현저하게 단축되는 결과를 낳는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장치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융착부(2), 가열실(3) 및 디스플레이(4)를 갖춘 케이싱(1)의 일측으로, 파지부(5)와 박피 세척부(6) 및 절단부(7)가 마련된 구성으로 된다.
파지부(5)는 대향하는 블래킷(50) 사이로 지지되어서 상기 박피 세척부(6)를 가로질러 배치된 가이드 바(51)와, 이 가이드 바(51)에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된 클램프 어셈브리(52)로 구성된다.
클램프 어셈브리(52)는, 도 6에 상세히 묘사되어 있듯이, 부동그립(53), 레버 플레이트(54), 가동그립(55) 및 요동 레버(58)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들에 의해 구성되는 클램프 어셈브리(52)는 작업자의 수조작에 띠라 가이드 바(51)를 타고, 박피 세척부(6)와 절단부(7) 사이를 왕복 이동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요동 레버(58)를 누르는 것에 의해 가이드 바(51)를 중심축으로 회동 조작될 수 있다.
즉, 도 7로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프 어셈브리(52)의 부동그립(53)에 대하여 가동그립(55)은 축(56a)에 지지되어서, 토션 스프링(56b)의 탄발력을 받게 배치됨에 따라 항상 벌어진 위치로 놓여지게 되고, 또 레버 플레이트(54)도 축(57a)으로 지지되고, 토션 스프링(57b)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가동그립(55)과는 반대 방향으로 탄압되도록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레버 플레이트(54)와 가동그립(55)은, 도면의 1점 쇄선으로 나타낸 위치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자세 변동 가능하게 되고, 또 실선 위치에서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양 토션 스프링(56b)(57b)의 탄발력과, 레버 플레이트(54)와 가동그립(55)의 접촉단 형상에 의한 버팀 작용으로, 변환된 자세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광섬유(F)를 부동그립(53)의 홈에 놓고 레버 플레이트(54)를 도면의 1점 쇄선 위치에서 실선 위치로 회동 조작하면, 가동그립(55)이 1점 쇄선 위치에서 실선 위치로 이동되면서 부동그립(53)과 협동하여 광섬유(F)를 파지 하게 된다.
이렇게 광섬유(F)를 파지한 파지부(5)를, 가이드 바(51) 상에서 박피 세척부(6)로 옮겨 광섬유(F)의 박피 세척을 수행한다.
박피 세척부(6)에서, 광섬유(F)는 열풍에 의해 박피 세척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여 박피 세척부(6)의 구성을 설명하면, 케이스(1)의 내부 소정 개소에는 열풍 히터(60)가 배치되어 있고, 이 열풍 히터(60)에는 컴프레서, 팬, 브로어 등으로 구비되는 송풍수단(61)과 도관(62)을 통해 연통되어 있다.
열풍 히터(60)의 출력단은 케이싱(1)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그 주변은 주위로부터 격리된 공간으로 되고, 또 공간은 환기통로(63)를 경유하여 환기 팬(64)과 연통되어, 박피 세척 과정에서 발생하는 냄새, 연기 등의 잔여물을 흡인하여 한 곳으로 수집하게 되어 있다.
한편, 열풍 히터(60)는 도 8의 도시와 같이, 비스듬히 하향하도록 배치되어서 그 출력단은 가이드 바(51)의 하측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 때문에, 작업자는 박피 세척부(6)로 클램프 어셈브리(5)를 옮긴 다음에, 요동 레버(58)를 조작하여 상기 클램프 어셈브리(5)를 도면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90도 전도시켜 상기 열풍 히터(60)의 출력단에 광섬유(F)의 외주를 위치시킨다.
이렇게 클램프 어셈브리(5)가 전도되면, 파지된 광섬유(F)는 열풍 히터(60)의 출력단 바로 앞에 놓이고, 이 때 열풍 히터(60)로부터 위에서 아래로 분사되는 열풍이 광섬유(F)의 피복을 제거함과 동시에 날려버리므로 깨끗하게 박피와 동시에 세척된 상태로 되고, 상기 광섬유(F)에서 박피된 찌꺼기는 바닥에 마련된 수집통으로 수거된다.
또한, 상기 박피 세척 과정에서 열풍의 작용으로 파생되는 연기, 냄새, 등은 환기 팬(64)으로 흡인 제거된다.
상기 열풍 히터(60)에서 발생되는 열풍은, 상술한 가열실(3)에서 필요한 열풍으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열풍 히터(60)의 출력단에 근접한 위치에서 분지관(65)을 통해 상술한 가열실(3)의 내부 통풍구(35)로 연통되게 하고, 이 분지관(65)의 도중에는 외부에서 원격 조종될 수 있는 개폐 밸브(66)를 설치하면, 필요시마다 열풍 히터(60)의 열풍을 가열실(3)로 도입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박피 세척에 필요한 열풍 발생수단이, 상기 가열실(3)에서의 보강 피복처리에 요구되는 열풍을 공급할 수 있는 장비로도 겸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므로, 이 실시 예에서는 가열실(3)을 위한 송풍 팬(36), 히터(37), 급기관(38) 등을 생략하여도 좋다.
가이드 바(51) 상에서 90도 전도되어 박피 세척 과정을 수행한 클램프 어셈브리(52)는 다시 원래 위치로 세워진 다음, 절단부(7)로 이송 복귀된다.
절단부(7)는, 도 9로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축(70)에 일단이 축 지지되어서 개폐될 수 있는 덮개(71), 광섬유(F)의 밑면을 스크래칭 하기 위한 칼날(72)이 탑재된 슬라이더(73), 이 슬라이더(73)의 왕복 이동을 정의하는 통로를 갖춘 블록체(74), 상기 덮개(71)의 일측단에 부착되어서 개방 시에 상기 슬라이더(73)를 간섭하여 미절단위치로 이동시키는 레버(75), 상기 블록체(74)에 내장되고 상기 레버(75)에 의한 슬라이더(73)의 이동에 수반하여 압축되었다가 상기 슬라이더(73)를 절단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좌스프링(76)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슬라이더(73)의 후측부에는, 스프링(77)으로 지지되어 항상 상방으로 돌출 위치하는 록킹핀(78)이 설치되어 있고, 이것은 슬라이더(73)가 미절단위치에 있는 때에, 상기 덮개(71)에 의해 내리 눌려지는 트리거핀(79)의 하단과 대응 접촉하여, 상기 슬라이더(73)를 부동상으로 보전하여 주는 것이다.
그리고 덮개(71)는 내측에 카운터 홀더(80)를 구비하고 있고, 이 카운터 홀더(80)는 후측을 지지하는 스프링(81)에 저항하여 일정 간격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것이다.
이와 같은 절단부(7)의 구성에 있어서, 절단 조작은 먼저 덮개(71)를 완전히 열어 레버(75)에 의해 슬라이더(73)가 미절단위치로 이동 보전되게 해 놓는다.
다음에 덮개(71)를 덮으면, 카운터 홀더(80)는 슬라이더(73)의 상면과 접한 상태로 대기하고 있게 되고, 이어서 도 10의 도시와 같이, 트리거핀(79)이 상기 덮개(71)에 의해 눌리는 것에 의해 하측의 록킹핀(78)은 해제되며, 그 결과로 복좌스프링(76)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슬라이더(73)는 절단위치로 이동되면서 광섬유(F)를 스크래칭 하게 된다.
또, 슬라이더(73)의 이동으로 광섬유(F)의 스크래칭이 종료되면, 카운터 홀더(80)은 상기 슬라이더(73)의 상면에서 벗어나면서 스프링(81)의 탄성력으로 광섬유(F)의 상방을 타격하여 분리시킴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더(73)의 후측면을 록킹하여 역방향으로의 이동을 막아주면서 1회의 절단이 종료된다.
이렇게 절단된 광섬유(F)는, 상술한 실시 예에서와 동일하게 융착부(2)와 가열실(3)을 경유하여, 융착 접속 및 보강 피복처리 된다.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절단부(7)는 상술한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관련된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서, 파지부(5)가 90도 전도되면서 광섬유(F)를 박피 세척부(6)의 열풍 히터(60)에 인도하여, 열풍에 의해 박피 세척되게 하는 구성은 상기 실시 예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렇지만, 절단부(7)는 상기 박피 세척부(6)에 대향하는 위치로 설치되어 있고, 이것은 상기 실시 예와는 달리, 조작 레버(700)에 의해 왕복대(701) 상을 수평 이동하는 초음파 발진기(702)를 갖추고 있다. 이 초음파 발진기(702)는 선단측 초음파 커터(703)를 통해 광섬유(F)의 외주로 초음파를 인가하여 절단되게 하는 것이다.
초음파 발진기(702)는 후방 측에 마련된 댐퍼(704)의 피스톤(705)과 연결되어 있고, 이 피스톤(705)은 내측의 스프링(706)에서 발생되는 탄성력을 받게 되어, 상기 초음파 발진기(702)를 일정 방향으로 탄압하고 있게 된다.
또 초음파 발진기(702)는 항상 상기 조작 레버(700)의 측변과 접촉하는 포인트(707)를 갖추고 있어서, 조작 레버(700)의 위치 이동에 연동하여 움직이게 되어 있다.
즉, 조작 레버(700)는 도면의 1점 쇄선 위치에 있을 때에, 초음파 발진기(702)는 광섬유(F)에서 떨어진 후진 위치로 보전되고, 작업자가 실선 위치로 조작하면, 상기 댐퍼(704)의 작용으로 초음파 발진기(702)는 전진 위치로 이동하 여, 광섬유(F)에 초음파 커터(703)를 접촉시켜 절단하게 되는 것이며, 이 때 광섬유(F)는 축방향으로의 장력을 받고 있어야 한다.
이 실시 예에서, 박피 세척부(6)와 절단부(7)는 대향 배치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파지부(5)는 수평 이동시킬 필요가 없는 것이므로, 수평 이동할 수 없는 구조로 배치되어 있으나, 파지된 광섬유(F)를 축방향으로 인장 시키기 위한 새로운 구성을 갖추고 있다.
이 실시 예의 파지부(5)는, 도 12로 나타낸 바와 같이, 1쌍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클램프 어셈브리(52)(52)를 구비하고, 각 클램프 어셈브리(52)는 상기 실시 예에서와 동일하게, 부동그립(53)(53)과 가동그립(55)(55), 그리고 가동그립(55)(55)을 연동시키기 위한 레버 플레이트(54)(54)를 보유하여, 상호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양 부동그립(53)(53) 사이에는 연동축(580)이 관통 배치되어 있고, 이 연동축(580)의 자유단에는 하나의 요동 레버(58)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양 클램프 어셈브리(52)(52)는 동시에 90도 전도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한쪽 클램프 어셈브리(52)는 고정부시(520)에, 다른 쪽 클램프 어셈브리(52)는 일부분이 블래킷(50)을 관통하여 노출되는 가동부시(521)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시(520)와 가동부시(521)는 대향 배치된 블래킷(50) 사이로 지지되는 것이나. 상술한 실시 예에서와는 다르게, 그 중심을 관통하는 고정축(522)에 의해 다시 축 지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또 가동부시(521)의 일측단이 블래킷(50)을 관통하여 연장되어서, 상기 고정축(522)으로 설치되는 캠 레버(523)의 캠면(524)에 의해 축방향으로 연동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의 구조를, 도 13에 따라 설명하면, 양 클램프 어셈브리(52)(52)를 중심으로 그 양측에 각각 고정부시(520)와 가동부시(521)가 위치하고, 이들은 모두 고정축(522)을 공통축으로 하여 축 지지되어 있고, 또 양 클램프 어셈브리(52)의 내측에는 팽창 스프링(525)이 수용되어 있어서, 상기 양 클램프 어셈브리(52)는 서로 멀어지려는 힘을 받게 되어 있으나, 캠 레버(523)의 캠면(524)이 가동부시(521)를 탄압하고 있는 때에는, 양 클램프 어셈브리(52)(52) 사이가 팽창 스프링(525)을 압축시키면서 접촉된 상태로 되며, 이 상태에서 양 클램프 어셈브리(52)는 부동그립(53)과 가동그립(55) 사이로 광섬유(F)를 파지하게 된다.
광섬유(F)의 파지 조작을 끝내고. 작업자가 캠 레버(523)를 도 14의 도시와 같이 90도 조작하여 주면, 가동부시(521)는 캠면(524)으로부터 해방되고, 이와 동시에 팽창 스프링(525)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양 클램프 어셈브리(52)(52) 사이는 벌어지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작동의 결과로 양 클램프 어셈브리(52)(52) 사이로 파지된 광섬유(F)는 인장된 상태로 되어, 초음파 절단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은 예시된 실시 예 및 첨부 도면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광섬유의 융착 접속에 의한 융착부의 보 강 피복처리에 있어서, 가열실로 수납되는 수축 슬리브를 히터에 의한 열풍으로 가온시켜 열 수축되게 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종래의 전열 히터로 가온시키는 방식에 비하여, 상기 가열실 내부에서의 대류가 원활하게 되는 것에 의해, 신속하게 실내 온도가 상승하게 되므로, 수축 처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하나의 장치로 광섬유의 박피 세척, 절단, 융착 접속 및 보강 피복처리를 수행할 수 있음에 따라, 장비의 휴대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하게 되고, 작업장에서의 작업 효율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4)

  1. 삭제
  2. 광섬유의 연결단을 1쌍의 방전 전극 사이에 놓고 아크 융착 하여 접속시킨 융착부에, 보강용 철사를 덧대고, 그 주변으로 열 수축성 슬리브를 끼운 다음, 외부와 격리되고 전열히터가 설치된 가열실에 넣어 열 수축 처리하는 구성을 포함한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열실의 내측으로 열려진 통풍구는 급기관과 연통되고, 이 급기관의 도중에 비치된 히터에서 가온된 열풍이, 송풍 팬에 의해 상기 통풍구로 불어넣어져 상기 가열실을 예열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광섬유의 융착부 보강용 가열실을 갖춘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
  3. 클램프 어셈브리에 구비된 부동그립과 가동그립으로 광섬유를 고정시켜 놓을 수 있는 파지부와,
    덮개의 개방에 연동하여 미절단위치로 이동된 슬라이더가, 덮개를 닫음에 따라 절단위치로 이동되면서, 그 상방에 탑재된 칼날로 광섬유를 스크래칭 하여 절단하는 절단부와,
    송풍수단에서 급송되는 기류를 열풍 히터에서 열풍으로 분사하여 광섬유의 피복층이 제거되게 하는 박피 세척부와,
    광섬유의 연결단을 1쌍의 방전 전극 사이에 놓고 아크 융착 하여 접속시키는 융착부와,
    융착된 광섬유의 융착점 주변으로 끼워지는 수축 슬리브를 열 수축시키기 위하여 상기 열풍 히터에서 가온된 열풍의 일부를 통풍구로 도입하여 상기 수축 슬리브를 가온시키게 되어 있는 가열실을 겸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광섬유의 융착부 보강용 가열실을 갖춘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
  4. 클램프 어셈브리에 구비된 부동그립과 가동그립으로 광섬유를 고정시켜 놓을 수 있고, 상기 클램프 어셈브리는 캠 레버에 연동되는 가동부시로부터 해방되면, 그 사이로 개재된 팽창 스프링에 의해 벌어지면서 상기 광섬유를 인장시킬 수 있게 되어 있는 파지부와,
    초음파 발진기로부터 발진되는 초음파를 광섬유로 인가시켜 절단되게 하는 초음파 커터를 보유하는 절단부와,
    송풍수단에서 급송되는 기류를 열풍 히터로 경유시켜 분사되는 열풍으로 광섬유의 피복층을 제거하는 박피 세척부와,
    광섬유의 연결단을 1쌍의 방전 전극 사이에 놓고 아크 융착 하여 접속시키는 융착부와,
    융착된 광섬유의 융착점 주변으로 끼워지는 수축 슬리브를 열 수축시키기 위 하여 상기 열풍 히터에서 가온된 열풍의 일부를 통풍구로 도입하여 상기 수축 슬리브를 가온시키게 되어 있는 가열실을 겸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광섬유의 융착부 보강용 가열실을 갖춘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
KR1020040024067A 2004-04-08 2004-04-08 광섬유의 융착부 보강용 가열실을 갖춘 광섬유 융착접속장치 KR100610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067A KR100610148B1 (ko) 2004-04-08 2004-04-08 광섬유의 융착부 보강용 가열실을 갖춘 광섬유 융착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067A KR100610148B1 (ko) 2004-04-08 2004-04-08 광섬유의 융착부 보강용 가열실을 갖춘 광섬유 융착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628A KR20050098628A (ko) 2005-10-12
KR100610148B1 true KR100610148B1 (ko) 2006-08-09

Family

ID=37278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4067A KR100610148B1 (ko) 2004-04-08 2004-04-08 광섬유의 융착부 보강용 가열실을 갖춘 광섬유 융착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01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7726A (ko) 2020-09-18 2022-03-25 유씨엘 주식회사 현장조립형 융착 광섬유 커넥터
KR102578372B1 (ko) 2022-10-11 2023-09-14 유씨엘 주식회사 옥외용 현장조립형 광커넥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8304660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7726A (ko) 2020-09-18 2022-03-25 유씨엘 주식회사 현장조립형 융착 광섬유 커넥터
KR102578372B1 (ko) 2022-10-11 2023-09-14 유씨엘 주식회사 옥외용 현장조립형 광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628A (ko) 2005-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2180B2 (ja) 光ファイバ補強用加熱器及び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
CA1277125C (en) Method for splicing optical fibers
JPS63282707A (ja) 光ファイバを重ね継ぎ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09214180A (ja) ケーブルおよびコネクタ組立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0610148B1 (ko) 광섬유의 융착부 보강용 가열실을 갖춘 광섬유 융착접속장치
KR100582690B1 (ko) 휴대용 광섬유 처리장치
JP2007286599A (ja) フェルールの搬送方法およびフェルール把持具
US20070172191A1 (en) Optical fiber treatment apparatus
JP5407540B2 (ja) ホルダ、融着接続機及び融着接続方法
JP6628247B2 (ja) 光ファイバ融着接続部の補強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融着接続機
KR100699341B1 (ko) 광섬유 처리장치
JPS6211322B2 (ko)
JP2007065026A (ja) 熱収縮スリーブ加熱装置、それを用いた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及び光ファイバ融着接続補強方法
JPH1039161A (ja)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KR20180003364U (ko) 광섬유 융착 접속기
JP3337874B2 (ja) 光ファイバ加熱補強装置
EP0701705B1 (en) Splicing aged optical fibers
CN215070820U (zh) 全自动切线剥皮打端套管多线并接机
JP4913877B2 (ja) 融着接続機
JP6745964B1 (ja) 融着接続機
JPWO2020071166A1 (ja) 光ファイバ融着接続部の補強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融着接続機
JP3317810B2 (ja) 光ファイバ移動装置
JP2008116773A (ja) 光ファイバの加熱補強処理装置及び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
JPH08194126A (ja) 光ファイバの移動方法と移動装置及びこれらを用いた融着接続機
JP2005321644A (ja) 光ファイバの補強スリーブ加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