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8226B1 - 급경사 도로에서 브레이크 고장시 비상 정차를 위한 비상정차대 - Google Patents

급경사 도로에서 브레이크 고장시 비상 정차를 위한 비상정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8226B1
KR100608226B1 KR1020060034282A KR20060034282A KR100608226B1 KR 100608226 B1 KR100608226 B1 KR 100608226B1 KR 1020060034282 A KR1020060034282 A KR 1020060034282A KR 20060034282 A KR20060034282 A KR 20060034282A KR 100608226 B1 KR100608226 B1 KR 100608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groove
emergency stop
pole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4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성
Original Assignee
보람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람엔지니어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보람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4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2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E01F13/028Flexible barrier members, e.g. cords; Means for rendering same conspicuous; Adapted supports, e.g. with storage r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경사 도로에서 브레이크 고장시 비상 정차를 위한 비상 정차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로의 경사와 반대의 상승 경사로를 구비하는 차량 정차대에 있어서; 상기 상승 경사로의 양측면에서 서로 수평하게 지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단에 회전 드럼이 설치되는 받침대와;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중앙부에 타원형의 그물망이 형성되고, 상기 그물망 이후의 양면에 복수의 도전성 금속판이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며, 상기 받침대의 회전 드럼에 양단이 고정되는 안전 벨트와; 상기 안전 벨트의 이동 경로상인 상기 상승 경사로와 받침대 사이에서 각각 지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면에 사각 형태의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요홈 내측 양면에 상기 안전 벨트의 금속판이 통과시 반발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요홈의 일면에 상기 N극이 위치하고, 상기 요홈의 타면에 상기 S극이 위치하는 영구자석이 설치되고, 상기 안전 벨트를 유도하는 가이드 블록; 및 상기 가이드 블록을 통과하는 상기 안전 벨트가 상기 영구자석의 N극과 S극 사이를 통과하도록 상기 가이드 블록의 요홈 일측에 축설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와전류 방식에 의해 반발력이 생기는 안전 벨트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를 저감시켜 차량이 모래에 빠지는 경우에도 전복되거나 운전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비상, 정차대, 안전 벨트, 와전류, 자기브레이크

Description

급경사 도로에서 브레이크 고장시 비상 정차를 위한 비상 정차대{Emergency stopper}
도 1은 일반적인 비상 정차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급경사 도로에서 브레이크 고장시 비상 정차를 위한 비상 정차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급경사 도로에서 브레이크 고장시 비상 정차를 위한 비상 정차대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급경사 도로에서 브레이크 고장시 비상 정차를 위한 비상 정차대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 : 상승 경사로 3 : 구덩이
4 : 모래 또는 자갈 5 : 차량
110 : 받침대 111 : 콘크리트 블록
113 : 고정봉 115 : 회전 드럼
120 : 안전 벨트 121 : 그물망
123 : 금속판 130 : 가이드 블록
131 : 요홈 133 : 영구자석
135 : 이탈 방지턱 140 : 가이드 롤러
본 발명은 비상 정차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급경사 도로를 내려오는 중 브레이크 파열, 브레이크 고장이 발생하여 비상 정차대로 진입하는 경우 비상 정차대 진입부에 안전 벨트를 설치하여 진행 속도를 절감시켜 안전하게 정차할 수 있도록 하는 급경사 도로에서 브레이크 고장시 비상 정차를 위한 비상 정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브레이크는 주행하는 차량을 감속 또는 정지시킴과 동시에 주차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중요한 장치이며, 마찰력을 이용하여 차량의 운동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바꾸어 그것을 대기 속으로 방출시켜 제동작용을 하는 마찰식의 브레이크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브레이크가 최근에는 기술의 향상으로 작동이 확실하고 신뢰성과 내구성에 있어 우수해지기는 하였지만, 차량이긴 구간에 걸쳐 내리막 도로를 주행하면서 브레이크를 사용하게 되면 계속된 마찰열에 의한 파열과 페이드 현상으로 대형사고를 유발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그리하여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 특히, 내리막 도로나 폭이 좁거나 산악 도로와 같이 낭떠러지나 심하게 굴곡된 도로에는 주행중인 차량의 운전자 부주의에 의하거나 또는 차량의 브레이크 파열등의 정비불량으로 인한 여러 요인으로 차량의 주행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비상 정차대를 설치하게 된다.
한편, 지금까지 알려진 대부분의 비상 정차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1)의 경사와 반대의 상승 경사로(2)를 설치하고, 상승 경사로(2) 이후에 구덩이(3)를 파고, 구덩이(3)에 모래 또는 자갈(4)을 채워넣어 모래 또는 자갈(4)의 저항력에 의해 차량(5)이 더 이상 정지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구덩이(3)의 끝부분에 물통과 같은 충격 흡수대(6)를 더 설치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비상 정차대는 차량이 빠른 속도로 모래 또는 자갈에 진입하여 급격한 속도 감소로 인해 차량이 전복되거나 또는 운전자가 다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와전류 방식에 의해 반발력이 생기는 안전 벨트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를 저감시켜 차량이 모래에 빠지는 경우에도 전복되거나 운전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급경사 도로에서 브레이크 고장시 비상 정차를 위한 비상 정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도로의 경사와 반대의 상승 경사로를 구비하는 차량 정차대에 있어서; 상기 상승 경사로의 양측면에서 서로 수평하게 지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단에 회전 드럼이 설치되는 받침대와;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중앙부에 타원형의 그물망이 형성되 고, 상기 그물망 이후의 양면에 복수의 도전성 금속판이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며, 상기 받침대의 회전 드럼에 양단이 고정되는 안전 벨트와; 상기 안전 벨트의 이동 경로상인 상기 상승 경사로와 받침대 사이에서 각각 지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면에 사각 형태의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요홈 내측 양면에 상기 안전 벨트의 금속판이 통과시 반발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요홈의 일면에 상기 N극이 위치하고, 상기 요홈의 타면에 상기 S극이 위치하는 영구자석이 설치되고, 상기 안전 벨트를 유도하는 가이드 블록; 및 상기 가이드 블록을 통과하는 상기 안전 벨트가 상기 영구자석의 N극과 S극 사이를 통과하도록 상기 가이드 블록의 요홈 일측에 축설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받침대는 콘크리트 재질로 사각 형태로 형성되어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콘크리트 블록과;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상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봉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 드럼은, 상기 안전 벨트가 권취되도록 상기 고정봉의 상단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안전 벨트가 늘어지는 것을 막도록 자체 탄성력을 갖는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안전 벨트의 복수의 금속판은 그 폭이 서로 일정하거나 또는 그 폭이 점차로 증가 및 감소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급경사 도로에서 브레이크 고장시 비상 정차를 위한 비상 정차대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급경사 도로에서 브레이크 고장시 비상 정차를 위한 비상 정차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급경사 도로에서 브레이크 고장시 비상 정차를 위한 비상 정차대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급경사 도로에서 브레이크 고장시 비상 정차를 위한 비상 정차대의 측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급경사 도로에서 브레이크 고장시 비상 정차를 위한 비상 정차대(100)는, 받침대(110)와, 안전 벨트(120)와, 가이드 블록(130)과, 가이드 롤러(140)로 이루어진다.
먼저, 받침대(110)는 콘크리트 재질로 사각 형태로 형성되어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콘크리트 블록(111)과, 콘크리트 블록(111)의 상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봉(113)과, 하기에서 설명할 안전 벨트(120)가 권취되도록 고정봉(113)의 상단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안전 벨트(120)가 늘어지는 것을 막도록 자체 탄성력을 갖는다. 여기에서, 회전 드럼(115)의 탄성력은 코일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후 코일 스프링의 탄발력으로 인해 자동으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조이고, 코일 스프링의 탄발력을 증대시키면 1차적인 브레이크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안전 벨트(120)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중앙부에 타원형의 그물망(121)이 형성되고, 그물망(121) 이후의 양면에 복수의 도전성 금속판(123)이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며, 받침대(110)의 회전 드럼(115)에 양단이 고정된다. 여기에서, 안전 벨트(120)의 복수의 금속판(123)은 동일한 반발력을 형성하도록 그 폭이 서로 일정할 수도 있고, 초기에 강한 반발력을 발생하도록 그 폭이 점차로 증가할 수도 있으며, 갈수록 강한 반발력을 발생하도록 그 폭이 점차로 감수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또한, 안전 벨트(120)의 금속판(123)은 별도의 보호 커버(도시 생략)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금속판(123)의 두께는 반발력의 크기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블록(130)은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져 안전 벨트(120)의 이동 경로상인 상승 경사로(2)와 받침대(110) 사이에서 각각 지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면에 사각 형태의 요홈(131)이 형성되어 요홈(131) 내측 양면에 안전 벨트(120)의 금속판(123)이 통과시 반발력을 발생시키도록 요홈(131)의 일면에 N극(133-1)이 위치하고, 요홈(131)의 타면에 S극(133-2)이 위치하는 영구자석(133)이 설치되고, 안전 벨트(120)를 유도한다. 여기에서, 요홈(131)의 상단에는 안전 벨트(1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 방지턱(135)이 더 형성된다.
또, 가이드 롤러(140)는 가이드 블록(130)을 통과하는 안전 벨트(120)가 영구자석(133)의 N극(133-1)과 S극(133-2)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가이드 블록(130)의 요홈(131) 일측에 축설된다. 여기에서, 가이드 롤러(140)는 안전 벨트(120)가 이동시 요홈(131)과 접촉되는 것을 막도록 요홈(131)의 일측면 양단에 2개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선택에 따라 요홈(131)의 양측면 양단에 4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급경사 도로에서 브레이크 고장시 비상 정차를 위한 비상 정차대(100) 이후의 상승 경사로(2)에는 종래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덩이(3)를 파고, 구덩이(3)에 모래 또는 자갈(4)을 채워넣고, 구덩이(3)의 끝부분에 충격 흡수대(6)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급경사 도로에서 브레이크 고장시 비상 정차를 위한 비상 정차대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와전류 방식을 설명하면 영구자석의 N극과 S극 사이에 전류가 통하는 구리, 금, 은과 같은 도전성 금속을 넣으면 순간적으로 전류가 흐르면서 금속이 자석의 성질을 띄게 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금속의 자기장은 영구자석의 자기장과 서로 밀어내려는 성질, 즉 반발력을 갖는 데, 영구자석과 순간적으로 자석이 된 금속 사이에는 강한 반발력이 생기게 되는 현상을 말하며, '자기브레이크'라고도 한다.
차량(5)이 상승 경사로로 진입하면 안전 벨트(120)의 그물망(121)이 차량(5)의 앞부분을 감싸게 되고, 차량(5)의 진행에 따라 받침대(110)의 회전 드럼(115)에서 안전 벨트(120)가 풀린다.
그러면, 안전 벨트(120)는 가이드 블록(130)과 가이드 롤러(140)를 따라 풀리게 되며, 금속판(123)이 가이드 블록(130)의 영구자석(131)을 통과하는 순간 상기에서 설명한 와전류 방식에 의해 강한 반발력, 즉 자기브레이크가 발생을 하게 되면서 안전 벨트(120)가 전진하는 것을 막아 차량을 감속시키거나 정지시킨다. 이 때, 안전 벨트(120)는 자체적인 탄성을 가지고 있어 차량 운전자가 받는 충격을 최대로 완화시킨다.
한편, 안전 벨트(120)에 의해 차량(5)이 감속되면서 계속해서 진행하게 되면 구덩이(3)로 진입을 하여 2차적으로 모래 또는 자갈(4)에 의해 차량(5)이 완전히 정차를 한다.
따라서, 상승 경사로로 진입하는 차량의 차체를 안전 벨트로 감싸고, 안전 벨트가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자기 브레이크에 의해 차량을 감속시켜 멈추게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발생하는 충격을 최소한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급경사 도로에서 브레이크 고장시 비상 정차를 위한 비상 정차대에 따르면, 와전류 방식에 의해 반발력이 생기는 안전 벨트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를 저감시켜 차량이 모래에 빠지는 경우에도 전복되거나 운전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3)

  1. 도로의 경사와 반대의 상승 경사로를 구비하는 차량 정차대에 있어서;
    상기 상승 경사로의 양측면에서 서로 수평하게 지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단에 회전 드럼이 설치되는 받침대와;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중앙부에 타원형의 그물망이 형성되고, 상기 그물망 이후의 양면에 복수의 도전성 금속판이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며, 상기 받침대의 회전 드럼에 양단이 고정되는 안전 벨트와;
    상기 안전 벨트의 이동 경로상인 상기 상승 경사로와 받침대 사이에서 각각 지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면에 사각 형태의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요홈 내측 양면에 상기 안전 벨트의 금속판이 통과시 반발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요홈의 일면에 상기 N극이 위치하고, 상기 요홈의 타면에 상기 S극이 위치하는 영구자석이 설치되고, 상기 안전 벨트를 유도하는 가이드 블록; 및
    상기 가이드 블록을 통과하는 상기 안전 벨트가 상기 영구자석의 N극과 S극 사이를 통과하도록 상기 가이드 블록의 요홈 일측에 축설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경사 도로에서 브레이크 고장시 비상 정차를 위한 비상 정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콘크리트 재질로 사각 형태로 형성되어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콘크리트 블록과;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상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봉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 드럼은,
    상기 안전 벨트가 권취되도록 상기 고정봉의 상단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안전 벨트가 늘어지는 것을 막도록 자체 탄성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경사 도로에서 브레이크 고장시 비상 정차를 위한 비상 정차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벨트의 복수의 금속판은,
    그 폭이 서로 일정하거나 또는 그 폭이 점차로 증가 및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경사 도로에서 브레이크 고장시 비상 정차를 위한 비상 정차대.
KR1020060034282A 2006-04-14 2006-04-14 급경사 도로에서 브레이크 고장시 비상 정차를 위한 비상정차대 KR100608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282A KR100608226B1 (ko) 2006-04-14 2006-04-14 급경사 도로에서 브레이크 고장시 비상 정차를 위한 비상정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282A KR100608226B1 (ko) 2006-04-14 2006-04-14 급경사 도로에서 브레이크 고장시 비상 정차를 위한 비상정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8226B1 true KR100608226B1 (ko) 2006-08-02

Family

ID=37184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4282A KR100608226B1 (ko) 2006-04-14 2006-04-14 급경사 도로에서 브레이크 고장시 비상 정차를 위한 비상정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82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827B1 (ko) 2006-12-28 2008-01-04 신동헌 긴급 비상회차용 중앙 분리대
CN110552548A (zh) * 2019-08-27 2019-12-10 陈振广 一种公路桥梁施工路面防护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537Y1 (ko) 2005-09-06 2005-12-01 (주)한국해외기술공사 경사면 도로에서의 차량비상정지장치 설치구조
KR100549164B1 (ko) 2005-10-06 2006-02-03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도로의 내리막길 설치용 충격흡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537Y1 (ko) 2005-09-06 2005-12-01 (주)한국해외기술공사 경사면 도로에서의 차량비상정지장치 설치구조
KR100549164B1 (ko) 2005-10-06 2006-02-03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도로의 내리막길 설치용 충격흡수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827B1 (ko) 2006-12-28 2008-01-04 신동헌 긴급 비상회차용 중앙 분리대
CN110552548A (zh) * 2019-08-27 2019-12-10 陈振广 一种公路桥梁施工路面防护结构
CN110552548B (zh) * 2019-08-27 2021-02-26 陈振广 一种公路桥梁施工路面防护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39788A1 (en) Magnetic braking system for a cable supported vehicle
CN207243198U (zh) 电梯永磁缓速安全保护装置
CN109826138B (zh) 一种具有缓冲功能的道路交通安防用防护装置
CA2818739C (en) Impact attenuator for vehicles
JPH06321454A (ja) レール把持装置
RU2002102419A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пуска людей с горной станции на станцию в долине
EP3710331A1 (en) Trolley system and associated rails and tracks
CN104590307B (zh) 一种斜井矿车断绳安全保护装置
KR100608226B1 (ko) 급경사 도로에서 브레이크 고장시 비상 정차를 위한 비상정차대
CN106012724B (zh) 一种变坡组合式避险车道
CN107604787A (zh) 一种连续下坡路段货车紧急辅助刹车避险装置
US4534451A (en) Inclined elevator with single rail
CN108914821B (zh) 一种桥梁防超重装置
CN107139965B (zh) 一种跨座式单轨道岔车挡及该跨座式单轨道岔
CN102674118A (zh) 一种钢丝绳防滑装置的电梯曳引机
KR101465152B1 (ko) 급곡선부 열차 속도 향상을 위한 열차탈선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43005A (ko) 슬라이딩 빔을 이용한 충격완화 고성능 가드레일
CN2737828Y (zh) 高速公路半刚性防撞减险护栏
CN205998798U (zh) 紧凑型夹绳器
KR101273410B1 (ko) 차량용 충격흡수완화장치
US1932060A (en) Fmergency-stop means for elevator cars and counterweights
CN205839500U (zh) 一种变坡组合式避险车道
KR100634825B1 (ko) 커브길도로의 측면에 설치되는 탑승자 보호용 충격흡수장치
CN114197353A (zh) 高速公路紧急避险车道防碰撞设计结构
CN209873477U (zh) 自动防回撤钟摆耗能避险车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