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8011B1 - 이미지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8011B1
KR100608011B1 KR1020040088904A KR20040088904A KR100608011B1 KR 100608011 B1 KR100608011 B1 KR 100608011B1 KR 1020040088904 A KR1020040088904 A KR 1020040088904A KR 20040088904 A KR20040088904 A KR 20040088904A KR 100608011 B1 KR100608011 B1 KR 100608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microlens array
image
lens surface
imag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8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9707A (ko
Inventor
세스닥세르게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8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011B1/ko
Priority to US11/259,280 priority patent/US7529028B2/en
Priority to NL1030344A priority patent/NL1030344C2/nl
Publication of KR20060039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5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the image being built up from image elements distributed over a 3D volume, e.g. voxels
    • G02B30/5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the image being built up from image elements distributed over a 3D volume, e.g. voxels by projecting aerial or floating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물체의 정립 실상을 자유 공간 상에 표시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이미지 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이미지 표시장치는 물체를 수용하는 것으로, 물체에 액세스 할 수 있는 시야를 확보하는 개구를 가지는 하우징과; 물체와 시청자 사이 위치에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복수의 마이크로렌즈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포함하여, 물체의 상을 반전 결상시켜 시청자가 물체의 정립 실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미지 표시장치{Image display device}
도 1은 종래의 이미지 표시장치를 보인 부분 단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일부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의 제2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일부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도 2의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의 제3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2의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의 제4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2의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의 제5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장치에 의해 형성된 실상을 보인 도면.
도 11 및 도 12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장치에 있어서, 집속렌즈가 없는 경우와 있는 경우의 시청 범위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3, 71, 81, 91...물체 25...조명유니트
26...하우징 26a...개구
30...마이크로렌즈 어레이 31...마이크로렌즈
40...집속렌즈 41...프레넬렌즈
50, 73, 75, 77, 83, 93...이미지
60...시청자 130, 330...렌즈유니트
131, 232, 331, 432, 532...제1렌즈면
135, 237, 333, 437, 534...제2렌즈면
231, 431, 531...제1마이크로렌즈 어레이
235, 435, 533...제2마이크로렌즈 어레이
535...제3마이크로렌즈 어레이 536...제3렌즈면
537...제4마이크로렌즈 어레이 538...제4렌즈면
본 발명은 자유 공간 상에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이미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체의 정립 실상을 자유 공간 상에 표시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이미지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미지 표시장치는 물체로부터 획득된 이미지를 2차원 평면 즉, 스크린 상에 표시한다. 이 이미지 표시장치를 통하여 표시되는 이미지는 실물과는 달리 평면 이미지이므로, 자연스럽게 이미지를 표시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자유 공간 상에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이미지 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이미지 표시장치의 일 예로서, 미국 특허 제4,671,625호(발명의 명칭: OPTICAL APPARATUS FOR PRODUCING A NATURAL, VIEWABLE AND OPTICALLY INTERACTIVE IMAGE IN FREE SPACE, 특허일: 1987년 6월 9일)를 통하여 자유 공간 상에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광학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개시된 종래의 이미지 표시장치는 음극선관 모니터(1)에 의해 일단이 폐쇄된 직사각 단면 형상을 가지는 긴 관 형상의 덮개(3)를 포함하며, 이 덮개(3) 내에 광학시스템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덮개(13)는 불투명 재질로 만들어지며, 비반사의 내부면을 가진다. 상기 광학시스템은 f 넘버가 각각 대략 0.5와 1.5인 프레넬렌즈 타입의 제1 및 제2볼록렌즈(5)(7)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모니터(1)에 표시된 물체(11)는 상기 제1 및 제2볼록렌즈(5)(7)를 통하여 상기 제2볼록렌즈(7)의 전방에 결상되며, 시청자(10)는 상기 제2볼록렌즈(7) 전방의 자유 공간 상에 결상된 실상(13)을 볼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이미지 표시장치는 도립실상을 제공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주어진 범위의 f 넘버를 가지는 제1 및 제2볼록렌즈를 채용한 경우, 물체(11)와 제2볼록렌즈(7) 사이의 거리는 물체의 단면 길이와 같거나 그 보다 커야 한다. 이 때문에 종래의 이미지 표시장치는 큰 앞뒤 폭을 차지하므로, 슬림화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f 넘버가 대략 0.5로 상대적으로 작은 렌즈를 채용한 경우는 왜곡과 색수차가 문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유 공간 상에 정립 이미지를 제공하고, 왜곡과 색수차를 줄임과 아울러 슬림화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이미지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체의 이미지를 공간 상에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체를 수용하는 것으로, 상기 물체에 액세스 할 수 있는 시야를 확보하는 개구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물체와 시청자 사이 위치의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복수의 마이크로렌즈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포함하여, 상기 물체의 상을 반전 결상시켜 시청자가 상기 물체의 정립 실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장치는 하우징(26)과, 이 하우징(26) 내에 설치된 마이크로렌즈 어레이(30)를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26) 내에 위치된 물체(23)의 이미지를 공간 상에 표시한다.
상기 물체(23)는 볼륨의 변화가 적은 간단한 부피를 가지는 물체 예컨대, 얕은 돋이 새겨진(bas-relief) 형상의 물체, 음각된 무늬(intaglio)를 가지는 물체, 표면에 평형한 이미지가 형성된 물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26)은 상기 물체(23)를 수용하는 것으로, 상기 물체(23)에 액세 스 할 수 있는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그 일측에 형성된 개구(26a)를 가진다. 상기 개구(26a)는 개방되어 있거나, 투명한 재질의 커버(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렌즈 어레이(30)는 상기 물체(23)와 시청자(60)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복수의 마이크로렌즈(31)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마이크로렌즈 어레이(30)는 물체의 상을 반전 시킨 후, 공간 상에 물체의 이미지(50)를 결상시킨다. 따라서 시청자(60)가 공간 상에 결상되는 물체의 이미지(50)를 시청함에 있어서, 정립 실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마이크로렌즈 어레이(30)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표시장치는 상기 물체(23)에 광을 조명하는 조명유니트(25)가 상기 하우징(26) 내부에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렌즈 어레이(30)와 시청자(60) 사이 위치의 상기 하우징(26) 내부에 설치되는 집속렌즈(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집속렌즈(40)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것으로, 이를 더 구비함으로써 공간 상에 결상된 이미지(50)를 시청할 수 있는 범위를 넓힐 수 있다. 상기 집속렌즈(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넬 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이미지 표시장치는 정립 실상의 이미지가 공간 상에 형성되도록 한다. 즉, 물체(23)의 임의의 세 부분 a, b, c 각각에 대응되는 이미지의 세부분 a', b', c'을 살펴볼 때, 상하 방향의 바뀜 없이 배치된다. 다만, 물체(23)의 볼륨을 표현함에 있어서 양각부분이 오목하게 표현되고, 음각부분이 볼록하게 표현되는 문제점은 있다. 다만, 상기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볼륨의 변화가 적은 물체를 채용한 경우는 이 부분은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이하,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상기한 마이크로렌즈 어레이(30)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렌즈 어레이(30)는 제1 및 제2렌즈면(131)(135)을 구비한 1매의 렌즈 유니트(130)를 포함하는 것으로, 물체(도 2의 23)의 상이 상기 제1렌즈면(131)과 상기 제2렌즈면(135) 사이 위치에 일차로 집속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렌즈면(131)은 복수개의 반경 R1을 가지는 구(球)형상의 마이크로렌즈가 2차원 배열로 형성된 면이다.
상기 제2렌즈면(135)은 상기 제1렌즈면(131)의 이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복수개의 반경 R2를 가지는 구형상의 마이크로렌즈가 2차원 배열로 형성된 면이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렌즈면(131)(135)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마이크로렌즈는 서로 대응되게 배치되어, 상기 물체의 상을 상기 제1렌즈면(131)과 상기 제2렌즈면(135) 사이 위치에 일차로 집속시킨다. 이 집속된 물체의 상은 반전된 상태로 상기 제2렌즈면(135)을 투과하여 이미지가 결상되는 위치로 향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렌즈면(131)에 하방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입사된 상은 상기 제2렌즈면(135)을 투과시 다시 하방으로 향하게 된다. 반면, 제1렌즈면(131)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입사된 상은 상기 제2렌즈면(135)을 투과시 다시 상방으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도 2의 물체(23)의 임의 부분 a, b, c 에 대응되는 이미지의 부분 a', b', c'는 상하 반전 없이 위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렌즈면(131)(135)에 각각 형성된 마이크로렌즈의 곡률 반경 R1과 R2는 독립적으로 설정되는 것으로, 서로 다른 값 내지는 동일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렌즈 어레이(30)는 상호 이격 배치된 제1 및 제2마이크로렌즈 어레이(231)(235)를 포함한다. 상기 제1마이크로렌즈 어레이(231)는 복수의 구형상의 마이크로렌즈가 2차원 배열로 형성된 제1렌즈면(232)과, 그 이면에 위치된 제1평면(233)을 가진다. 상기 제2마이크로렌즈 어레이(235)는 상기 제1평면(233)에 대해 마주하게 배치된 제2평면(236)과, 이 제2평면(236)의 이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의 구형상의 마이크로렌즈가 2차원 배열로 형성된 제2렌즈면(237)을 가진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렌즈면(232)(237)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마이크로렌즈는 서로 대응되게 배치되어, 상기 물체의 상을 상기 제1렌즈면(232)과 상기 제2렌즈면(237) 사이 위치에 일차로 집속시킨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렌즈 어레이(30)는 제1 및 제2렌즈면(331)(335)을 구비한 1매의 렌즈 유니트(330)를 포함하는 것으로, 물체(도 2의 23)의 상이 상기 제1렌즈면(331)과 상기 제2렌즈면(335) 사이 위치에 일차로 집속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렌즈면(331)에는 복수개의 실린더 형상의 렌티큘러렌즈가 이웃되게 배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렌즈면(331)에 형성된 실린더 형상의 렌티큘러렌즈는 그 렌즈 형상이 X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렌즈면(335)은 상기 제1렌즈면(331)의 이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복수개의 실린더 형상의 렌티큘러렌즈가 이웃되게 배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렌즈면(331)(335) 각각에 형성된 실린더 형상의 렌티큘러렌즈는 서로 대칭되게 배열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렌즈 어레이(30)는 상호 이격 배치된 제1 및 제2마이크로렌즈 어레이(431)(435)를 포함한다. 상기 제1마이크로렌즈 어레이(431)는 복수의 실린더 형상의 렌티큘러렌즈가 이웃되게 배열된 제1렌즈면(432)과, 그 이면에 위치된 제1평면(433)을 가진다. 상기 제2마이크로렌즈 어레이(435)는 상기 제1평면(433)에 대해 마주하게 배치된 제2평면(436)과, 이 제2평면(436)의 이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의 실린더 형상의 렌티큘러렌즈가 2차원 배열로 형성된 제2렌즈면(437)을 가진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렌즈면(432)(437)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렌티큘러렌즈는 서로 대응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그 렌즈 형상이 X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평시차를 유발함으로써, 시청자의 좌안과 우안에 맺히는 영상을 다르게 할 수 있어서 시청자가 입체적으로 물체를 관찰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렌즈 어레이(30)는 상호 이격 배치된 제1 내지 제4마이크로렌즈 어레이(531)(533)(535)(537)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마이크로렌즈 어레이(531)(533)(535)(537) 각각은 복수의 실 린더 형상의 렌티큘러렌즈가 이웃되게 배열된 제1 내지 제4렌즈면(532)(534)(536)(538)을 가진다.
여기서, 제1 및 제2렌즈면(532)(534)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렌티큘러렌즈는 서로 대응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그 렌즈 형상이 X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반면, 제3 및 제4렌즈면(536)(538)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렌티큘러렌즈는 서로 대응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그 렌즈 형상이 Y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마이크로렌즈 어레이(531)(533)의 렌즈 배열방향과, 제3 및 제4마이크로렌즈 어레이(535)(537)의 렌즈 배열 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배열 방향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4매의 렌즈로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구비한 경우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구형상의 마이크로렌즈를 채용한 구성과 실질상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장치에 의하여 공간 상에 이미지가 결상되는 모습 및 시청 범위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은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결상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물체(71)의 상은 마이크로렌즈 어레이(30)에서 반전 및 확대되어 결상면에 결상된다. 즉, 물체(71)의 임의의 점 d는 마이크로렌즈 어레이(30)의 전방 공간에 다수의 이미지(73)(75)(77) 각각의 임의의 점 d', d", d"'으로 변환된다. 이와 같이 물체(71)의 형상이 변환되어, 공간 상에 물체에 대응되는 이미지(73)(75)(77)를 구현하게 된다.
물체(71)의 점 d로부터 마이크로렌즈 어레이(30) 사이의 간격을 L1이라 하고, 마이크로렌즈 어레이(30)의 양면에 형성된 마이크로렌즈 각각의 초점 거리를 F1, F2라 할 때, 마이크로렌즈 어레이(30)와 점 d에 대응되는 이미지(73)의 점 d' 사이의 간격 L2는 하기의 수학식 1을 만족한다.
Figure 112004050915356-pat00001
여기서, 간격 L1은 종래의 이미지 표시장치에 비하여 짧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슬림화가 가능하다.
물체의 점 d가 점 d'으로 변환함에 있어서, 마이크로렌즈 어레이(30)를 구성하는 마이크로렌즈 전체를 경유하여 빔이 입사되는 것으로, 그 단면 형상을 살펴볼 때 각 θ를 가지는 콘(cone) 형상을 이룬다. 이와 같이, 각 마이크로렌즈를 통하여 이미지를 구현함으로써, 색수차, 구면수차 및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각 θ는 하기의 수학식 2로 표현되는 최대각 θmax를 벗어나지 않는다. 여기서, p는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구성하는 마이크로렌즈 사이의 피치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04050915356-pat00002
도 11 및 도 12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장치에 있어서, 시청 범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집속렌즈가 결여된 이미지 표시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물체(81)의 임의의 점 e, f, g는 마이크로렌즈 어레이(30)에 의해 자유 공간 상에 형성되는 이미지(83)의 점 e', f', g'로 변환된다. 이때, 점 e', f', g' 전체는 빗금으로 표시된 영역으로 한정되는 바, 그 최대각은 θ1이 된다. 도 12는 집속렌즈(40)가 포함된 이미지 표시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물체(91)의 임의의 점 h, i, j는 마이크로렌즈 어레이(30)에 의해 자유 공간 상에 형성되는 이미지(93)의 점 h', i', j'로 변환된다. 이때, 점 h', i', j' 전체는 빗금으로 표시된 영역으로 한정되는 바, 그 최대각은 θ2가 된다. 여기서, 두 최대각 θ1과, θ2를 비교하여 볼 대, θ 2 > θ1의 관계를 만족하므로, 집속렌즈(40)를 구비한 경우 보다 넓은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어서, 이미지 표시장치를 소형화 및 슬림화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이미지 표시장치는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이용하여 물체의 상을 반전시킴으로써, 정립 실상의 이미지가 공간 상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채용함에 의하여, 이미지를 공간 상에 결상하는데 필요한 광학요소를 최소화 할 수 있고, 광학적 배치시 작은 공간 내에 모든 광학요소의 배치가 가능하다. 따라서, 소형화 및 슬림화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집속렌즈를 더 구비함으로써, 공간 상에 결상되는 이미지를 보다 넓은 시청 범위에서 시청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3)

  1. 물체의 이미지를 공간 상에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체를 수용하는 것으로, 상기 물체에 액세스 할 수 있는 시야를 확보하는 개구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물체와 시청자 사이 위치의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렌즈면과 상기 제1렌즈면의 이면에 배치되는 제2렌즈면을 구비하며, 복수의 마이크로렌즈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포함하여, 상기 물체의 상을 상기 제1렌즈면과 상기 제2렌즈면 사이에 일차로 집속한 후, 상기 집속된 상을 반전 결상시켜 시청자가 상기 물체의 정립 실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는 1매의 렌즈유니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렌즈면은 상기 렌즈유니트의 일면에 복수의 구형상의 마이크로렌즈가 2차원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렌즈면은 상기 렌즈유니트의 상기 제1렌즈면의 이면에 복수의 구형상의 마이크로렌즈가 2차원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는 제1마이크로렌즈 어레이와, 상기 제1마이크로렌즈 어레이에 대해 이격 배치된 제2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구비하며,
    상기 제1렌즈면은 상기 제1마이크로렌즈 어레이에 복수의 구형상의 마이크로렌즈가 2차원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렌즈면은 상기 제2마이크로렌즈 어레이에 복수의 구형상의 마이크로렌즈가 2차원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는 1매의 렌즈유니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렌즈면은 상기 렌즈유니트의 일면에 복수의 실린더 형상의 렌티큘러렌즈가 이웃되게 배열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렌즈면은 상기 렌즈유니트의 상기 제1렌즈면의 이면에 복수의 실린더 형상의 렌티큘러렌즈가 이웃되게 배열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렌즈면 각각에 형성된 실린더 형상의 렌티큘러렌즈는 상호 대칭적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는 제1마이크로렌즈 어레이와, 상기 제1마이크로렌즈 어레이에 대해 이격 배치된 제2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구비하며,
    상기 제1렌즈면은 상기 제1마이크로렌즈 어레이에 복수의 실린더 형상의 렌티큘러렌즈가 이웃되게 배열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렌즈면은 상기 제2마이크로렌즈 어레이에 복수의 실린더 형상의 렌티큘러렌즈가 이웃되게 배열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렌즈면 각각에 형성된 실린더 형상의 렌티귤러렌즈는 상호 대칭적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는,
    상기 제2마이크로렌즈 어레이에 대해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 복수의 실린더 형상의 렌티큘러렌즈가 이웃되게 배열된 제3렌즈면을 가지는 제3마이크로렌즈 어레 이와;
    상기 제3마이크로렌즈 어레이에 대해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 복수의 실린더 형상의 렌티큘러렌즈가 이웃되게 배열된 제4렌즈면을 가지는 제4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렌즈면 각각에 형성된 실린더 형상의 렌티큘러렌즈는 상호 대칭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1 및 제2렌즈면에 형성된 실린더 형상의 렌티큘러렌즈의 배열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와 시청자 사이 위치의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집속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집속렌즈는,
    프레넬 렌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를 조명하는 조명유니트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13.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를 조명하는 조명유니트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KR1020040088904A 2004-11-03 2004-11-03 이미지 표시장치 KR100608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904A KR100608011B1 (ko) 2004-11-03 2004-11-03 이미지 표시장치
US11/259,280 US7529028B2 (en) 2004-11-03 2005-10-27 Image display apparatus
NL1030344A NL1030344C2 (nl) 2004-11-03 2005-11-03 Beeldweergaveinrich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904A KR100608011B1 (ko) 2004-11-03 2004-11-03 이미지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707A KR20060039707A (ko) 2006-05-09
KR100608011B1 true KR100608011B1 (ko) 2006-08-02

Family

ID=36261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8904A KR100608011B1 (ko) 2004-11-03 2004-11-03 이미지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529028B2 (ko)
KR (1) KR100608011B1 (ko)
NL (1) NL1030344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5166A (ja) * 2005-01-13 2006-07-27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露光装置および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ユニット
US7944465B2 (en) * 2006-01-13 2011-05-17 Zecotek Display Systems Pte. Ltd. Apparatus and system for reproducing 3-dimensional images
CN100514183C (zh) * 2006-05-29 2009-07-15 晶荧光学科技有限公司 便携式电子设备
KR101451933B1 (ko) 2008-04-22 2014-10-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에 포함되는 렌티큘러 시트
US8558961B2 (en) 2008-04-22 2013-10-1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lenticular sheet of the display device
EP2350617B1 (en) * 2008-10-21 2018-01-10 ChemoMetec A/S Fluorescence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JP2014199393A (ja) * 2013-03-13 2014-10-23 株式会社東芝 画像表示装置
US9182605B2 (en) 2014-01-29 2015-11-10 Emine Goulanian Front-projection autostereoscopic 3D display system
US9182606B2 (en) 2014-01-29 2015-11-10 Emine Goulanian Rear-projection autostereoscopic 3D display system
TWI514049B (zh) 2014-04-03 2015-12-21 Ind Tech Res Inst 顯示器結構
US9881529B2 (en) * 2015-06-12 2018-01-30 Innolux Corporatio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TWI614533B (zh) * 2016-02-01 2018-02-11 群睿股份有限公司 立體顯示裝置
JP6782454B2 (ja) * 2016-05-16 2020-11-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中表示装置及び建材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617B1 (ko) * 1969-08-09 1974-01-09
US4733944A (en) 1986-01-24 1988-03-29 Xmr, Inc. Optical beam integration system
JP2686151B2 (ja) 1989-09-01 1997-12-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背面投射形立体映像装置
JPH04306630A (ja) 1991-04-04 1992-10-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投写型テレビジョン装置
US5270859A (en) 1992-01-30 1993-12-14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Optical instrument with micro-lenses
JPH05241110A (ja) 1992-02-26 1993-09-21 Sony Corp レーザ表示装置
US5465475A (en) 1992-07-30 1995-11-14 Ricoh Co., Ltd. Method of forming a thin film magnetic head
DE4322375C1 (de) 1993-07-06 1995-01-12 Schuetz Werke Gmbh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 und doppelwandiger Innenbehälter aus Stahlblech
JPH07306484A (ja) 1994-03-18 1995-11-21 Toppan Printing Co Ltd 三次元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素形成方法
US5751478A (en) * 1995-04-06 1998-05-12 Kuraray Co., Ltd. Rear-projection screen
JP3542329B2 (ja) * 1998-09-16 2004-07-14 富士通株式会社 光学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TW446829B (en) 1998-09-25 2001-07-21 Nippon Kogaku Kk Image formation position adjusting device, exposure system, image formation adjusting method and exposure method
US6462794B1 (en) * 1998-10-14 2002-10-08 Hitachi, Ltd. Image forming unit, enlarging unit, optical parts, and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se components
JP3333775B2 (ja) 2000-06-16 2002-10-15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画面表示装置及びレンズ
AU2002227428A1 (en) * 2000-12-13 2002-06-24 Zograph, Llc Resolution modulation in microlens image reproduction
JP4202676B2 (ja) 2002-05-08 2008-12-2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情報記録媒体
KR100786860B1 (ko) 2002-05-08 2007-1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가변초점 렌즈를 구비한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US6789390B2 (en) * 2002-09-20 2004-09-14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gas turbine engine governor dynamics
JP4268399B2 (ja) 2002-11-01 2009-05-2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TW200506418A (en) * 2003-07-01 2005-02-16 Nippon Sheet Glass Co Ltd Lens plate,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image transmit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92158A1 (en) 2006-05-04
NL1030344C2 (nl) 2008-05-20
US7529028B2 (en) 2009-05-05
KR20060039707A (ko) 2006-05-09
NL1030344A1 (nl) 200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9028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11726325B2 (en) Near-eye optical imaging system, near-eye display device and head-mounted display device
TW571120B (en) Three-dimensional display method and its device
JP5073156B2 (ja) 2次元及び3次元映像の互換が可能な多視点3次元映像システムの映像表示部
US8339705B2 (en) Optical sheet for three-dimensional image and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106019605B (zh) 近眼显示装置和方法
JP2001255493A (ja) 立体的2次元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4268399B2 (ja) 画像表示装置
US20020008674A1 (en) Multi-view image display system
KR20060096228A (ko) 2차원 겸용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JP2018524952A (ja) クローキング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1255494A (ja) 立体的2次元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US6233035B1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image reproducing apparatus
KR101170797B1 (ko) 완전 결상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
CN110133781B (zh) 一种柱透镜光栅和显示装置
JP2017010014A (ja) 画像表示装置
JP2006243732A (ja) 2次元/3次元兼用の画像ディスプレイ装置
JP4728825B2 (ja) 立体像表示装置
JP2000035616A (ja) スクリーンシート
JP3261308B2 (ja) 光学的2次元画像伝送装置
JP2006184542A (ja) 空間像形成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Yöntem et al. Reciprocal 360-deg 3D light-field image acquisition and display system
JP2009216752A (ja) スクリーン及びそれを用いた立体映像表示システム
JPH06214323A (ja) レンチキュラー板を用いた立体視ディスプレイ
KR100636165B1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