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7101B1 - 공동주택의 전력선설치용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전력선설치용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7101B1
KR100607101B1 KR1020060041705A KR20060041705A KR100607101B1 KR 100607101 B1 KR100607101 B1 KR 100607101B1 KR 1020060041705 A KR1020060041705 A KR 1020060041705A KR 20060041705 A KR20060041705 A KR 20060041705A KR 100607101 B1 KR100607101 B1 KR 100607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power line
spool
tension
hook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정일
Original Assignee
(주)대경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경기술단 filed Critical (주)대경기술단
Priority to KR1020060041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71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7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7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6Suspensions for lines or cables along a separate supporting wire, e.g. S-hook
    • H02G7/08Members clamped to the supporting wire or to the line or ca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covered by H02G
    • H02G2200/30Tools for installing cables comprising a spirit level

Landscapes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서의 전력선설치를 위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건물의 슬래브 아래로 일정간격마다 돌출된 보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후크볼트; 상기 후크볼트가 설치된 보에 인접한 타측 보의 상기 후크볼트와 대향하는 측면에 설치되는 장력유지장치; 일단부가 상기 후크볼트에 결속되고 타단부가 상기 장력유지장치의 스풀에 다수회 감긴 상태에서 수평으로 장력이 부가되어 고정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와 전력선을 일정위치마다 고정시키는 다수개의 클램프; 를 포함함으로써, 전력선을 고정시키기 위한 조가선인 와이어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와이어와 전력선을 연결시키는 클램프가 좌우로 이동되지 않고 일정위치마다 고정되므로 종래와 같이 전력선의 처짐현상으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작업이 용이하고, 와이어상에 간격이 표시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와이어상에 클램프를 설치할 때 임의설치에 의한 시행착오가 없어서 작업이 더욱 용이하다.
조가선, 장력유지, 클램프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전력선설치용 고정장치{the fixing device making use of installing a power line of an apartment house}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공동주택의 전력선설치용 고정장치가 설치된 건물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의 전력선설치용 고정장치가 설치된 건물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클램프를 위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클램프를 아래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클램프의 헤드부재에 링부재를 끼운 상태에서 와이어를 관통시킨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클램프의 와이어 통공에 와이어가 물린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장력유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의 전력선설치용 고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일부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슬래브 2:건물벽체
3:보 4:와이어
5:후크볼트 6:전력선
10:클램프 11:헤드부재
12:걸림부삽입홈 13,23:와이어통공
14:경사부 15:걸림턱
16:걸림부결속홈 17,26:스프링수용홈
19:스프링 20:링부재
21:링 22:전력선통공
24:걸림부 25:경사면
30:장력유지장치 31:플레이트
32:브라켓 35:스풀
36:스풀회전축 37:태엽스프링
39:아암 40:토션스프링
43:롤러 50:간격표시부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서의 전력선설치를 위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공동주택내에 전력선을 설치하는데 있어서 전체적 또는 부분적 처짐을 방지하여 전력선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공동주택의 전력선 설치용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빌라 등과 같은 공동주택을 건설함에 있어서, 건물의 구체공사가 끝난 후 내부공사를 할 때 배전반으로부터 각층 및 각 실내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선을 배선하는데, 전력선은 슬래브와 보의 아래부분을 통하여 설치되고 그 아래에 천정부분이 설치되어 실내공간을 이루게 된다.
상기의 전력선을 배선할 때 배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슬래브의 하부로 돌출된 보에 조가선인 와이어가 설치되어 전력선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력선 고정장치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건물의 구체공사가 완료되면 슬래브(1) 아래로 일정간격마다 보(3)가 하부로 돌출되므로 상기 보(3)를 이용하여 조가선인 와이어(4)을 설치한다. 즉, 대향하는 보(3)의 양측면에 후크볼트(5)를 고정시키고, 고정된 양쪽의 후크볼트(5)에 와이어(4)를 연결하여 조가선을 형성한다. 전력선(6)은 건물벽체(2)에 일정간격씩 고정구(7)로 고정되어 상기 건물벽체(2)를 타고 올라와서 다수개의 링(8)으로 와이어(4)와 연결되는데, 상기 링(8)은 환형의 고리로서 다수개가 일정 간격을 이루고 와이어상에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도록 걸려 있어서 상기 와이어(4)와 전력선(6)은 링(8)내부를 단순히 관통하도록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력선(6)의 배선공사가 진행되면 전력선(6)에 요동이 발생하고 그에 따라 상기 링(8)이 좌우로 움직이게 되므로 링(8)간의 간격이 멀어지게 된 구간에서는 전력선(6)이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배선공사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와이어(4)를 일정위치로 유지시키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공사에 소요되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와이어(4)에 작용하는 하중으로 인하여 와이어(4)가 점차 처지게 되고, 그에 따라 링(8)들이 와이어(4)의 중앙부분으로 모이는 현상이 발생하여 전력선(6)도 일정위치를 유지하지 못하므로 배선공사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선공사시 공사에 지장이 없게 하기 위해서는 전력선(6)이 처지지 않을 정도의 간격마다 링(8)을 설치해야 하지만, 종래의 고정장치에는 간격에 대한 기준이 없어서 시행자가 작업중 임의로 적당한 간격마다 배치시킴에 따른 시행착오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전력선을 고정시키기 위한 조가선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조가선과 전력선을 연결시키는 부재가 좌우로 이동되지 않고 일정위치마다 고정되도록 구성한 공동주택의 전력선설치용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 더하여 상기 연결시키는 부재가 고정될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와이어를 구비한 공동주택의 전력선설치용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의 슬래브 아래로 일정간격마다 돌출된 보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후크볼트; 상기 후크볼트가 설치된 보에 인접한 타측 보의 상기 후크볼트와 대향하는 측면에 설치되는 장력유지장치; 일단부가 상기 후크볼트에 결속되고 타단부가 상기 장력유지장치의 스풀에 다수회 감긴 상태에서 수평으로 장력이 부가되어 고정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와 전력선을 일정위치마다 고정시키는 다수개의 클램프; 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전력선설치용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력유지장치는,
보의 측벽에 후크볼트로 고착되는 다수의 볼트관통공이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수평으로 돌출형성된 한쌍의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양 단부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와이어를 감고 있는 스풀; 상기 스풀의 회전을 억제하기 위하여 브라켓과 스풀이 결합되는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태엽스프링; 상기 스풀의 양쪽 축방향으로 돌출된 스풀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된 한쌍의 아암; 상기 아암이 브라켓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아암과 브라켓의 일측 연결부위에 설치된 토션스프링; 와이어에 직접적인 장력을 부가하도록 상기 한쌍의 아암의 하단부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는,
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도록 측면의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양측의 내하부면이 하향경사진 경사부를 구비한 와이어통공; 상기 링부재의 걸림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헤드부재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그 폭이 상기 걸림부의 폭보다 좁은 걸림부삽 입홈; 상기 링부재의 걸림부가 이탈되지 않고 끼워지도록 상기 걸림부삽입홈의 상부면내에 확장된 내부공간으로 형성된 걸림부결속홈; 스프링의 일측이 수용되도록 상기 걸림부결속홈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된 스프링수용홈; 을 포함하는 헤드부재;및
상단부에서 양측 하부로 경사면을 이루고 상기 경사면의 아래는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상단면에는 스프링의 일측이 수용되는 스프링수용홈이 형성되어 상부에 형성된 걸림부; 중앙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재와 결합시 헤드부재의 와이어통공과 서로 일치하여 관통되도록 천공된 와이어통공; 및 하부에 형성되며 전력선이 관통할 수 있도록 전력선통공이 형성된 링; 을 포함하는 링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간격표시부를 구비한 와이어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전력선설치용 고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의 전력선설치용 고정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의 전력선설치용 고정장치가 설치된 건물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의 전력선설치용 고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일부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의 전력선설치용 고정장치는 건물의 슬래브(1)아래로 일정간격마다 돌출된 보(3)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후크볼트(5), 상기 후크볼트(5)가 설치된 보(3)에 인접한 타측 보(3) 에서 상기 후크볼트(5)와 대향하는 측면에 설치되는 장력유지장치(30), 일단부가 상기 후크볼트(5)에 결속되고 타단부가 상기 장력유지장치(30)의 스풀(35)에 다수회 감긴 상태에서 수평으로 장력이 부가되어 고정되는 와이어(4), 및 상기 와이어(4)와 전력선(6)을 일정위치마다 고정시키는 다수개의 클램프(10)를 포함한다.
상기 후크볼트(5)는 건물의 슬래브(1)부분의 아래에서 일정간격마다 하부로 돌출된 보(3)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일측에 볼트가 형성되고 타측에 걸림고리가 형성되어 일반적으로 와이어를 연결할 때 사용되는 볼트부재이다.
다음으로 장력유지장치를 먼저 설명하기 위하여 도 7을 참조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장력유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장력유지장치(30)는 보(3)의 측벽에 후크볼트(5)로 고착되는 다수의 볼트관통공(33)이 형성된 플레이트(31)와, 상기 플레이트(31)로부터 수평으로 돌출형성된 한쌍의 브라켓(32)과, 상기 브라켓(32)의 양 단부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와이어(4)를 감고 있는 스풀(35)과, 상기 스풀(35)의 회전을 억제하기 위하여 브라켓(32)과 스풀(35)이 결합되는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태엽스프링(37)과, 상기 스풀(35)의 양쪽 축방향으로 돌출된 스풀회전축(36)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된 한쌍의 아암(39)과, 상기 아암(39)이 브라켓(3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아암(39)과 브라켓(32)의 일측 연결부위에 설치된 토션스프링(40)과, 와이어(50)에 직접적인 장력을 부가하도록 상기 한쌍의 아암(39)의 하단부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43)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31)와 브라켓(32)은 철과 같은 금속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브라켓(32)은 플레이트(31)에 용접으로 고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태엽스프링(37)은 일측 단부가 상기 스풀(35)과 고정결합되고 타측단부가 상기 브라켓(32)에 고정결합되어 스풀(35)이 브라켓(3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시킨다. 이는 도면상으로는 명확하게 도시하지 않았으나, 당해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자라면 극히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정도의 기술수준이므로 도시하지 않더라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토션스프링(40)은 상기 아암(39)이 브라켓(3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으로서, 그 양 단부가 상기 아암(39)과 브라켓(32)의 일측 연결부위에 형성된 삽입구(41,42)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고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와이어(4)는 철과 같은 금속부재로 형성된 금속선으로서, 그 일단부는 상기 후크볼트(5)의 걸림고리에 결속되어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장력유지장치(30)의 스풀(35)상으로 다수 회 감긴 상태에서 상기 스풀(35)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와이어(4)는 후크볼트(5)와 스풀(35)사이에서 수평으로 장력이 부가된 상태로 유지된다.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클램프를 위에서 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클램프를 아래에서 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클램프의 헤드부재에 링부재를 끼운 상태에서 와이어를 관통시킨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클램프의 와이어 통공에 와이어가 물린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이다.
도 3 내지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클램프(10)는 와 이어(4)와 전력선(6)을 길이방향으로 일정위치마다 묶어주는 역할을 하는 부재로서, 상기 와이어(4)상의 일정위치에 배치되는 헤드부재(11)와, 상기 헤드부재(11)와 함께 와이어(4)상의 일정위치에서 클램프(10)를 고정시키는 링부재(20)로 구성된다.
상기 헤드부재(11)는, 와이어(4)가 통과할 수 있도록 측면의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양측의 내하부면이 하향경사진 경사부(14)를 구비한 와이어통공(13)과, 상기 링부재(20)의 걸림부(24)가 삽입되도록 상기 헤드부재(11)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그 폭이 상기 걸림부(24)의 폭보다 좁은 걸림부삽입홈(12)과, 상기 링부재(20)의 걸림부(24)가 이탈되지 않고 끼워지도록 상기 걸림부삽입홈(12)의 상부면내에 확장된 내부공간으로 형성된 걸림부결속홈(16)과, 스프링(19)의 일측이 수용되도록 상기 걸림부결속홈(16)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된 스프링수용홈(17)을 포함한다.
상기 링부재(20)는, 상부에 형성된 걸림부(24)와, 중앙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재(11)와 결합시 헤드부재(11)의 와이어통공(13)과 서로 일치하여 관통되도록 천공된 와이어통공(23)과, 하부에 형성되며 전력선(6)이 관통할 수 있도록 전력선통공(22)이 형성된 링(21)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부(24)는 상단부에서 양측 하부로 경사면(25)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25)의 아래는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면에는 스프링(19)의 일측이 수용되는 스프링수용홈(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면(25)은 걸림부(24)가 걸림부삽입홈(12)에 삽입될 때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도 5와 도 6에서 더욱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 삽입홈(12)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부결속홈(16)은 걸림부삽입홈(12)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걸림부(24)가 폭이 좁은 걸림부삽입홈(12)을 강제로 통과하여 걸림부결속홈(16)에 삽입되면 상기 걸림부(24)는 강제로 이탈시키지 않는 한 빠질 수 없게 된다.
일단,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헤드부재(11)의 걸림부결속홈(16)에 링부재(20)의 걸림부(24)가 끼워진 상태에서 와이어(4)를 와이어통공(23)과 와이어통공(13)을 통하여 관통시킨 후 놓으면, 상기 헤드부재(11)와 링부재(21)사이에 설치된 스프링(19)에 의해 링부재(21)가 하부로 밀려나게 되지만, 걸림부(24)가 상기 헤드부재(11)의 걸림턱(15)에 걸리게 되어 이탈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링부재(20)가 하부로 밀림에 따라 와이어(4)가 링부재(20)의 와이어통공(23)상부면과 헤드부재(11)의 와이어통공(13)하부면에 의해 압박되는데, 이때 헤드부재(11)의 와이어통공(13)의 양측 내하부면이 하향 경사진 경사부(14)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와이어(4)는 상부에서는 면으로 접촉하고 하부에서는 두 선으로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경사부(14)를 이루게 하여 면이 아닌 선으로 접촉하게 한 것은 예리한 접촉에 의하여 마찰면적을 줄임으로써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의 전력선설치용 고정장치에는 간격표시부(50)를 구비한 와이어(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일정간격마다 클램프(10)를 설치할 때 표시된 부분에 따라 설치함으로써 클램프(10)설치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임의로 설치함에 따라 간 격이 불균일하게 되고 넓은 간격의 경우에 발생하는 전력선(6)의 처짐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의 전력선설치용 고정장치에 의하면, 전력선을 고정시키기 위한 조가선인 와이어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와이어와 전력선을 연결시키는 클램프가 좌우로 이동되지 않고 일정위치마다 고정되므로 종래와 같이 전력선의 처짐현상으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에 더하여 상기 와이어상에 간격이 표시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와이어상에 클램프를 설치할 때 임의설치에 의한 시행착오가 없어서 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건물의 슬래브(1)아래로 일정간격마다 돌출된 보(3)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후크볼트(5);
    보(3)의 측벽에 후크볼트(5)로 고착되는 플레이트(31)와, 상기 플레이트(31)로부터 수평으로 돌출형성된 한쌍의 브라켓(32)과, 상기 브라켓(32)의 양 단부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와이어(4)를 감고 있는 스풀(35)과, 브라켓(32)과 스풀(35)이 결합되는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태엽스프링(37)과, 상기 스풀(35)의 양쪽 축방향으로 돌출된 스풀회전축(36)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된 한쌍의 아암(39)과, 상기 아암(39)과 브라켓(32)의 일측 연결부위에 설치된 토션스프링(40)과, 상기 한쌍의 아암(39)의 하단부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43)를 포함하는 장력유지장치(30);
    일단부가 상기 후크볼트(5)에 결속되고 타단부가 상기 장력유지장치(30)의 스풀(35)에 다수회 감긴 상태에서 수평으로 장력이 부가되어 고정되는 와이어(4); 및
    헤드부재(11)와 링부재(20)로 구성되며, 상기 헤드부재(11)는, 측면의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양측의 내하부면이 하향경사진 경사부(14)를 구비한 와이어통공(13)과, 상기 헤드부재(11)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그 폭이 상기 걸림부(24)의 폭보다 좁은 걸림부삽입홈(12)과, 상기 걸림부삽입홈(12)의 상부면내에 확장된 내부공간으로 형성된 걸림부결속홈(16)과, 상기 걸림부결속홈(16)의 상부면 중앙에 형 성된 스프링수용홈(17)을 포함하고,
    상기 링부재(20)는, 상단부에서 양측 하부로 경사면(25)을 이루고 상기 경사면(25)의 아래는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상단면에는 스프링(19)의 일측이 수용되는 스프링수용홈(26)이 형성되어 상부에 형성된 걸림부(24)와, 중앙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재(11)와 결합시 헤드부재(11)의 와이어통공(13)과 서로 일치하여 관통되도록 천공된 와이어통공(23)과, 하부에 전력선통공(22)이 형성된 링(21)을 포함하는 다수개의 클램프(10); 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전력선설치용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4)는 일전간격마다 간격표시부(50)가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전력선설치용 고정장치.
KR1020060041705A 2006-05-09 2006-05-09 공동주택의 전력선설치용 고정장치 KR100607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705A KR100607101B1 (ko) 2006-05-09 2006-05-09 공동주택의 전력선설치용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705A KR100607101B1 (ko) 2006-05-09 2006-05-09 공동주택의 전력선설치용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7101B1 true KR100607101B1 (ko) 2006-08-01

Family

ID=37184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705A KR100607101B1 (ko) 2006-05-09 2006-05-09 공동주택의 전력선설치용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71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921B1 (ko) 2008-07-21 2009-04-20 일강알앤비(주) 공동주택용 조가선 접속 고정구조
KR100897232B1 (ko) * 2008-11-12 2009-05-14 (주)고라엔지니어링 건축물의 조가선 고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484A (ko) * 1999-07-16 1999-10-05 하성환 전선로 가 지지 장치
KR20040039701A (ko) * 2002-11-04 2004-05-12 장근선 전기선로 교체용 전선가이드 롤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484A (ko) * 1999-07-16 1999-10-05 하성환 전선로 가 지지 장치
KR20040039701A (ko) * 2002-11-04 2004-05-12 장근선 전기선로 교체용 전선가이드 롤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921B1 (ko) 2008-07-21 2009-04-20 일강알앤비(주) 공동주택용 조가선 접속 고정구조
KR100897232B1 (ko) * 2008-11-12 2009-05-14 (주)고라엔지니어링 건축물의 조가선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8695B1 (ko) 공동주택용 케이블트레이 안내장치
KR100607101B1 (ko) 공동주택의 전력선설치용 고정장치
KR102037435B1 (ko) 건물의 형태에 대응한 스마트 곤돌라 지지대
KR20160012717A (ko) 스프링쿨러 조인트 고정용 사이드 브라켓
WO2009005233A3 (en) Cable duct
KR101143877B1 (ko) 배전 케이블 고정장치
KR102029349B1 (ko) 공동주택과 건축물 벽체의 전기용 트렌치
KR101713633B1 (ko) 리깅장치
KR100870706B1 (ko) 공동주택용 천장형 전선케이블트레이
KR101907058B1 (ko) 전기 케이블 트레이
JP7222807B2 (ja) バスダクトの布設方法およびバスダクト構造体の構成方法
JP5588799B2 (ja) 配線・配管材引出装置及び配線・配管材引出具
KR101060478B1 (ko) 공기조화용 디퓨져 고정장치
KR100717424B1 (ko) 건축천장 전기설비 배관 높이조절장치
JP2008199757A (ja) 配線・配管材引出支持具及び配線・配管材引出装置
JP4182525B2 (ja) 縦型メッシュラック、及び縦型メッシュラックに取付けられる支持具
JP6835686B2 (ja) 配線・配管材布設具の設置構造及び配線・配管材布設具の設置装置
KR100897232B1 (ko) 건축물의 조가선 고정장치
KR100715227B1 (ko) 건축물용 조가선 접속구조
KR200430681Y1 (ko) 건축공사현장용 전선거치장치
KR101361594B1 (ko) 연결기를 이용한 천장 에어컨 설치구조
KR200221982Y1 (ko) 베란다용빨래건조장치
KR101295860B1 (ko) 안전 난간대 및 그 고정장치
KR200401349Y1 (ko) 케이블 정렬 구조체
KR102505986B1 (ko) 건축용 케이블트레이 스페이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