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0706B1 - 공동주택용 천장형 전선케이블트레이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천장형 전선케이블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0706B1
KR100870706B1 KR1020080070583A KR20080070583A KR100870706B1 KR 100870706 B1 KR100870706 B1 KR 100870706B1 KR 1020080070583 A KR1020080070583 A KR 1020080070583A KR 20080070583 A KR20080070583 A KR 20080070583A KR 100870706 B1 KR100870706 B1 KR 100870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groove
connector
wire cable
wir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0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경선
Original Assignee
일강알앤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강알앤비(주) filed Critical 일강알앤비(주)
Priority to KR1020080070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07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0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0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4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separate protective tu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케이블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천장에 배선되는 전선케이블들을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선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배선공간이 부족할 경우 제1 연장전선연결구와 제2 연장전선연결구를 더 연결설치하여 배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발생시 전선케이블 간에 화재가 번지는 것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전선케이블의 수량에 따라 가변적으로 대처하여 용이하게 배선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천장형 전선케이블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공동주택의 천장에 설치고정할 수 있도록 상단에 상기 천장에 매설되는 앵커볼트가 형성되고, 상기 앵커볼트의 하부에 등간격을 이루는 다수개의 체결공을 갖는 연결바가 돌출형성된 고정핀;
상기 고정핀에 높이조절 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며, 상부에 상기 연결바가 삽입연결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다수개의 체결공과 높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통을 이루어 높이조절나사가 체결되는 설치공을 갖는 수용관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관의 하부에 서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ㄷ"자형 결합프레임이 돌출형성된 연결구;
상기 한 쌍의 결합프레임 사이에 연결설치될 수 있도록 전,후면에 상기 결합프레임의 단부가 삽입되는 사각홈이 형성되고, 양측에 상하로 관통되는 복수개의 제1 체결홀이 형성되며, 저면에 전선케이블이 유입되어 그 상면을 감쌀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개구되어 등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반원형 제1 유입홈이 마련된 금속재질의 제1 전선연결구;
상기 제1 유입홈에 유입된 전선케이블의 하면을 감싸 전선케이블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전선연결구의 하부에 연결되며, 양측에 상기 제1 체결홀과 연통을 이루어 볼트체결 가능하도록 제2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제1 유입홈과 연통되어 전선케이블의 외경과 동일한 원형을 이루는 제2 유입홈이 마련되며, 하부에 하방으로 개구된 "T"형 슬릿홈이 형성된 금속재질의 제2 전선연결구;
상기 제1 유입홈과 제2 유입홈의 개수에 비해 전선케이블이 더 많을 경우 남은 전선케이블을 배선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전선연결구에 연결설치되며, 상부에 상기 "T"형 슬릿홈에 삽입연결되는 "T"형 가이드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양측에 복수개의 제1 결합홀이 형성되며, 저면에 전선케이블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개구되어 등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반원형 제1 배선홈이 마련된 금속재질의 제1 연장전선연결구 및
상기 제1 배선홈에 유입된 전선케이블의 하면을 감싸 전선케이블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연장전선연결구의 하부에 연결되며, 양측에 상기 제1 결합홀과 연통을 이루어 볼트체결 가능하도록 제2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제1 배선홈과 연통되어 전선케이블의 외경과 동일한 원형을 이루는 제2 배선홈이 마련된 금속재질의 제2 연장전선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블 트레이, 천장, 전선케이블, 배선

Description

공동주택용 천장형 전선케이블트레이{STRUCTURE FOR ARRANGEMENT CABLE OF AN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전선케이블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천장에 배선되는 전선케이블들을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선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배선공간이 부족할 경우 제1 연장전선연결구와 제2 연장전선연결구를 더 연결설치하여 배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발생시 전선케이블 간에 화재가 번지는 것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전선케이블의 수량에 따라 가변적으로 대처하여 용이하게 배선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천장형 전선케이블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정에는 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전선들이 배선되며, 이들 전선들은 케이블 트레이에 의해서 안내되고 원하는 위치에서 분기되어 전원 접속을 위한 콘센트와 연결된다.
이러한 전선들을 안내하는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이 일정간격 이격 설치되고, 이들 메인프레임 사이에 지지프레임이 일정간격으로 조립되어진 구조를 가진다.
상기 메인프레임은 웨브의 상하단부에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가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지지프레임은 채널형상으로 형성되고 단부에 커링부가 형성되어서 볼트에 의해서 메인프레임에 조립되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상기 메인프레임이 건물 등의 벽체에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전선들이 지지프레임에 안착되어 안내되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케이블 트레이를 통해 건물의 실내로 다량의 전선들이 안내되며, 작업자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직접 올라가거나 사다리 등을 이용해 올라가서 일측에서 케이블을 잡아당기고 다른 작업자는 타측에서 케이블을 공급하며 개별의 케이블을 지정된 배선경로에 따라 안치시키면서 배선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지지프레임에 안착되는 다량의 케이블들은 서로 면접촉을 이루며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블 간의 접촉으로 인한 발열로 화재의 위험 상시 노출되어 있으며, 하나의 케이블에 화재가 발생시 이웃하는 케이블로 쉽게 번짐으로써, 대형화재로 확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케이블이 안착된 지지프레임은 그 설치높이가 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바닥과 천장 사이의 높이가 높을 경우 지지프레임이 천장의 높은 부위에 위치되어 배선작업을 용이하게 하지 못하여 공사기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케이블 트레이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공동주택의 천장에 등간격으로 연결설치된 제1 전선연결구와 제2 전선연결구 사이에 다수개의 전선케이블들을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선케이블간의 접촉을 미연에 차단하여 화재의 위험 및 화재발생시에도 전선케이블 간에 화재가 번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천장형 전선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선케이블이 배선되는 제1 전선연결구와 제2 전선연결구의 배선공간이 부족할 경우, 상기 제2 전선연결구에 선택적으로 제1 연장전선연결구와 제2 연장전선연결구를 연결설치하여 전선케이블을 배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선케이블의 수량에 가변적으로 대처하여 용이하게 배선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천장형 전선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천장에 설치고정할 수 있도록 상단에 상기 천장에 매설되는 앵커볼트가 형성되고, 상기 앵커볼트의 하부에 등간격을 이루는 다수개의 체결공을 갖는 연결바가 돌출형성된 고정핀;
상기 고정핀에 높이조절 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며, 상부에 상기 연결바가 삽입연결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다수개의 체결공과 높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통을 이 루어 높이조절나사가 체결되는 설치공을 갖는 수용관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관의 하부에 서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ㄷ"자형 결합프레임이 돌출형성된 연결구;
상기 한 쌍의 결합프레임 사이에 연결설치될 수 있도록 전,후면에 상기 결합프레임의 단부가 삽입되는 사각홈이 형성되고, 양측에 상하로 관통되는 복수개의 제1 체결홀이 형성되며, 저면에 전선케이블이 유입되어 그 상면을 감쌀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개구되어 등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반원형 제1 유입홈이 마련된 금속재질의 제1 전선연결구;
상기 제1 유입홈에 유입된 전선케이블의 하면을 감싸 전선케이블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전선연결구의 하부에 연결되며, 양측에 상기 제1 체결홀과 연통을 이루어 볼트체결 가능하도록 제2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제1 유입홈과 연통되어 전선케이블의 외경과 동일한 원형을 이루는 제2 유입홈이 마련되며, 하부에 하방으로 개구된 "T"형 슬릿홈이 형성된 금속재질의 제2 전선연결구;
상기 제1 유입홈과 제2 유입홈의 개수에 비해 전선케이블이 더 많을 경우 남은 전선케이블을 배선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전선연결구에 연결설치되며, 상부에 상기 "T"형 슬릿홈에 삽입연결되는 "T"형 가이드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양측에 복수개의 제1 결합홀이 형성되며, 저면에 전선케이블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개구되어 등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반원형 제1 배선홈이 마련된 금속재질의 제1 연장전선연결구 및
상기 제1 배선홈에 유입된 전선케이블의 하면을 감싸 전선케이블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연장전선연결구의 하부에 연결되며, 양측에 상기 제1 결합홀과 연통을 이루어 볼트체결 가능하도록 제2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제1 배선홈과 연통되어 전선케이블의 외경과 동일한 원형을 이루는 제2 배선홈이 마련된 금속재질의 제2 연장전선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동주택의 천장에 등간격으로 연결설치된 제1 전선연결구와 제2 전선연결구 사이에 다수개의 전선케이블들을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선케이블간의 접촉을 미연에 차단하여 화재의 위험 및 화재발생시에도 전선케이블 간에 화재가 번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선케이블이 배선되는 제1 전선연결구와 제2 전선연결구의 배선공간이 부족할 경우, 상기 제2 전선연결구에 선택적으로 제1 연장전선연결구와 제2 연장전선연결구를 연결설치하여 전선케이블을 배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선케이블의 수량에 가변적으로 대처하여 용이하게 배선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천장형 전선케이블 트레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천장형 전선케이블 트레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천장형 전선케이블 트레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천장형 전선케이블 트레이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측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천장형 전선케이블 트레이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요부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천장형 전선케이블 트레이(100)는 천장(W)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핀(110)과, 상기 고정핀(110)에 높이조절 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는 연결구(120)와, 상기 연결구(120)에 연결설치되어 배선되는 전선케이블(C)들을 고정하기 위한 제1,2 전선연결구(130,140) 및 상기 제2 전선연결구(120)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제1,2 전선연결구(130,140)를 통해 고정되지 못한 전선케이블(C)들을 고정하기 위한 제1,2 연장전선연결구(130,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핀(110)은 공동주택의 천장(W)에 설치고정할 수 있도록 그 상단에 상기 천장(W)에 매설되는 앵커볼트(111)가 형성되고, 상기 앵커볼트(111)의 하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연결바(115)가 연장하여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바(115)에는 횡방향으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체결공(113)이 등간격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연결구(120)는 상기 고정핀(110)에 높이조절 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된다.
이때, 상기 연결구(120)는 그 상부에 수용관(124)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수용관(124)은 그 내측에 상기 연결바(115)가 삽입연결되는 가이드홈(121)이 형성되고, 외측에 상기 가이드홈(121) 및 다수개의 체결공(113)과 높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통을 이루는 설치공(123)이 형성되어 높이조절나사(122)가 체결된다.
또한, 상기 수용관(124)의 하부에는 서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ㄷ"자형 결합프레임(125)이 서로 대칭되게 돌출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전선연결구(120)는 상기 한 쌍의 결합프레임(125) 사이에 연결설치될 수 있도록 전,후면에 상기 결합프레임(125)의 단부가 삽입되는 사각홈(131)이 형성되고, 양측에 상하로 관통되는 복수개의 제1 체결홀(13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전선연결구(120)의 저면에는 유입되는 전선케이블(C)들의 상면을 감쌀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개구된 다수개의 반원형 제1 유입홈(135)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제1 유입홈(135)들은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 전선연결구(120)는 상기 제1 유입홈(135)에 유입된 전선케이블(C)의 하면을 감싸 전선케이블(C)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전선연결구(120)의 하부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2 전선연결구(120)는 그 양측에 상기 제1 체결홀(133)과 연통을 이루어 볼트(B)체결 가능하도록 제2 체결홀(141)이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제1 유입홈(135)과 연통되어 전선케이블(C)의 외경과 동일한 원형을 이루는 제2 유입홈(143)이 마련되며, 하부에 하방으로 개구된 "T"형 슬릿홈(145)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전선연결구(120)와 제2 전선연결구(120)는 배선된 전선케이블(C)에 화재발생시 전선케이블(C)을 따라 번져가지 못하도록 연소되지 않는 금 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연장전선연결구(120)는 상기 제1 유입홈(135)과 제2 유입홈(143)의 개수에 비해 전선케이블(C)이 더 많을 경우 남은 전선케이블(C)을 배선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전선연결구(120)에 연결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 연장전선연결구(120)는 그 상부에 상기 "T"형 슬릿홈(145)에 삽입연결되는 "T"형 가이드돌기(151)가 돌출형성되고, 양측에 복수개의 제1 결합홀(153)이 형성되며, 저면에 전선케이블(C)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개구된 다수개의 반원형 제1 배선홈(155)이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배선홈(155)들은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 연장전선연결구(120)는 상기 제1 배선홈(155)에 유입된 전선케이블(C)의 하면을 감싸 전선케이블(C)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연장전선연결구(120)의 하부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2 연장전선연결구(120)는 그 양측에 상기 제1 결합홀(153)과 연통을 이루어 볼트(B)체결 가능하도록 제2 결합홀(161)이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제1 배선홈(155)과 연통되어 전선케이블(C)의 외경과 동일한 원형을 이루는 제2 배선홈(163)이 마련된 된다.
이때, 상기 제1 연장전선연결구(120)와 제2 연장전선연결구(120)는 배선된 전선케이블(C)에 화재발생시 전선케이블(C)을 따라 번져가지 못하도록 연소되지 않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천장형 전선케이블 트레이는 공동주택의 천장으로 배선되는 다수개의 전선케이블들을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선케이블간의 접촉을 미연에 차단하여 화재의 위험 및 화재발생시에도 전선케이블 간에 화재가 번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결합관계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고정핀(110)의 앵커볼트(111)를 천장(W)에 매설한다.
이후, 상기 고정핀(110)의 연결바(115)를 연결구(120)의 가이드홈(121)에 삽입연결한다. 이때, 천장(W)과 연결구(120) 사이의 높이의 설정은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연결바(115)의 체결공(113)과 연결구(120)의 설치공(123)을 연통시킨 후, 높이조절나사(122)를 체결함으로써, 높낮이를 조절하여 고정한다.
이후, 상기 결합프레임(125)의 양단부를 벌려 그 사이에 제1 전선연결구(120)를 위치시킨 후 결합프레임(125)의 양단부를 사각홈(131)에 삽입연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구(120)와 제1 전선연결구(120)는 서로 긴밀한 연결관계를 이루게 된다.
이후, 상기 제1 전선연결구(120)의 제1 유입홈(135)들에 전선케이블(C)을 위치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 전선연결구(120)의 하부에 제2 전선연결구(120)를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제1 전선연결구(120)의 제1 유입홈(135)과 제2 전선연결구(120)의 제2 유입홈(143)은 원형을 이루어 상기 전선케이블(C)들을 등간격으로 이격시켜 상,하면을 감싸게 된다.
이후, 서로 연통된 제1 체결홀(133)과 제2 체결홀(141)에 볼트(B)를 체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전선연결구(120)와 제2 전선연결구(120)는 서로 긴밀한 연결관계를 이루게 된다.
이후, 상기 제1 전선연결구(120)와 제2 전선연결구(120)을 이용하여 배선작업도중 전선케이블(C)이 남게되면, 상기 제1 연장전선연결구(120)의 "T"형 가이드돌기(151)를 제2 전선연결구(120)의 "T"형 슬릿홈(145)에 삽입연결한다.
이후, 상기 제1 연장전선연결구(120)의 제1 배선홈(155)에 전선케이블(C)들을 위치시킨 후, 상기 제1 연장전선연결구(120)의 하부에 제2 연장전선연결구(120)를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제2 배선홈(163)들은 상기 전선케이블(C)의 하면을 감싸며 상기 제1 배선홈(155)과 연통되어 원형을 이루게 된다.
이후, 서로 연통된 제1 결합홀(153)과 제2 결합홀(161)에 볼트(B)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1 연장전선연결구(120)와 제2 연장전선연결구(120)는 서로 긴밀한 연결관계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천장에 배선되는 전선케이블들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선됨과 아울러 배선높이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의 위험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시공시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용이하게 변경설치하여 실내 공간활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천장형 전선케이블 트레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천장형 전선케이블 트레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천장형 전선케이블 트레이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측단면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천장형 전선케이블 트레이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요부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케이블 트레이 120 : 연결구
130 : 제1 전선연결구 140 : 제2 전선연결구
145 : 슬릿홈 150 : 제1 연장전선연결구
160: 제2 연장전선연결구

Claims (1)

  1. 공동주택의 천장(W)에 설치고정할 수 있도록 상단에 상기 천장(W)에 매설되는 앵커볼트(111)가 형성되고, 상기 앵커볼트(111)의 하부에 등간격을 이루는 다수개의 체결공(113)을 갖는 연결바(115)가 돌출형성된 고정핀(110);
    상기 고정핀(110)에 높이조절 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며, 상부에 상기 연결바(115)가 삽입연결되는 가이드홈(121)과 상기 다수개의 체결공(113)과 높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통을 이루어 높이조절나사(122)가 체결되는 설치공(123)을 갖는 수용관(124)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관(124)의 하부에 서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ㄷ"자형 결합프레임(125)이 돌출형성된 연결구(120);
    상기 한 쌍의 결합프레임(125) 사이에 연결설치될 수 있도록 전,후면에 상기 결합프레임(125)의 단부가 삽입되는 사각홈(131)이 형성되고, 양측에 상하로 관통되는 복수개의 제1 체결홀(133)이 형성되며, 저면에 전선케이블(C)이 유입되어 그 상면을 감쌀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개구되어 등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반원형 제1 유입홈(135)이 마련된 금속재질의 제1 전선연결구(120);
    상기 제1 유입홈(135)에 유입된 전선케이블(C)의 하면을 감싸 전선케이블(C)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전선연결구(120)의 하부에 연결되며, 양측에 상기 제1 체결홀(133)과 연통을 이루어 볼트(B)체결 가능하도록 제2 체결홀(141)이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제1 유입홈(135)과 연통되어 전선케이블(C)의 외경과 동일한 원형을 이루는 제2 유입홈(143)이 마련되며, 하부에 하방으로 개구된 "T"형 슬릿 홈(145)이 형성된 금속재질의 제2 전선연결구(120);
    상기 제1 유입홈(135)과 제2 유입홈(143)의 개수에 비해 전선케이블(C)이 더 많을 경우 남은 전선케이블(C)을 배선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전선연결구(120)에 연결설치되며, 상부에 상기 "T"형 슬릿홈(145)에 삽입연결되는 "T"형 가이드돌기(151)가 돌출형성되고, 양측에 복수개의 제1 결합홀(153)이 형성되며, 저면에 전선케이블(C)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개구되어 등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반원형 제1 배선홈(155)이 마련된 금속재질의 제1 연장전선연결구(120) 및
    상기 제1 배선홈(155)에 유입된 전선케이블(C)의 하면을 감싸 전선케이블(C)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연장전선연결구(120)의 하부에 연결되며, 양측에 상기 제1 결합홀(153)과 연통을 이루어 볼트(B)체결 가능하도록 제2 결합홀(161)이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제1 배선홈(155)과 연통되어 전선케이블(C)의 외경과 동일한 원형을 이루는 제2 배선홈(163)이 마련된 금속재질의 제2 연장전선연결구(1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천장형 전선 케이블트레이.
KR1020080070583A 2008-07-21 2008-07-21 공동주택용 천장형 전선케이블트레이 KR100870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583A KR100870706B1 (ko) 2008-07-21 2008-07-21 공동주택용 천장형 전선케이블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583A KR100870706B1 (ko) 2008-07-21 2008-07-21 공동주택용 천장형 전선케이블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0706B1 true KR100870706B1 (ko) 2008-11-26

Family

ID=40284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0583A KR100870706B1 (ko) 2008-07-21 2008-07-21 공동주택용 천장형 전선케이블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070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235B1 (ko) 2018-03-06 2018-09-05 금정엔지니어링(주) 누전경고기능을 갖춘 트레이를 구비한 건축물용 배전선 지지기구
KR102155295B1 (ko) * 2020-03-05 2020-09-11 (주)다산기술단 공동주택 전기케이블 트레이
KR102496444B1 (ko) 2022-06-27 2023-02-06 금정엔지니어링(주) 배전선 설치가 용이한 편의성 향상 건축물용 전선 트레이
KR102496445B1 (ko) 2022-06-27 2023-02-07 금정엔지니어링(주) 안전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 고정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5613A (ja) 1998-05-07 1999-11-16 Sawata Kenzaisha:Kk 垂直ボルト係着用支持具
KR100719235B1 (ko) 2007-01-26 2007-05-18 (주)종합엔지니어링다인 전기 케이블 트레이 구조
KR100807705B1 (ko) 2007-11-21 2008-03-03 주식회사 전기설계 협인 건축물 전기 케이블 트레이 구조
JP2008245338A (ja) 2007-03-23 2008-10-09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吊下器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5613A (ja) 1998-05-07 1999-11-16 Sawata Kenzaisha:Kk 垂直ボルト係着用支持具
KR100719235B1 (ko) 2007-01-26 2007-05-18 (주)종합엔지니어링다인 전기 케이블 트레이 구조
JP2008245338A (ja) 2007-03-23 2008-10-09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吊下器具
KR100807705B1 (ko) 2007-11-21 2008-03-03 주식회사 전기설계 협인 건축물 전기 케이블 트레이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235B1 (ko) 2018-03-06 2018-09-05 금정엔지니어링(주) 누전경고기능을 갖춘 트레이를 구비한 건축물용 배전선 지지기구
KR102155295B1 (ko) * 2020-03-05 2020-09-11 (주)다산기술단 공동주택 전기케이블 트레이
KR102496444B1 (ko) 2022-06-27 2023-02-06 금정엔지니어링(주) 배전선 설치가 용이한 편의성 향상 건축물용 전선 트레이
KR102496445B1 (ko) 2022-06-27 2023-02-07 금정엔지니어링(주) 안전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 고정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7156B1 (en) Cable support hook
KR100708288B1 (ko) 공동주택용 레일식 전기 케이블 트레이
US6345800B1 (en) Universal load-bearing hanger bracket and method for hanging a lighting fixture below a grid ceiling system at on-grid or off-grid locations
US5913787A (en) Communications conduit connector mounting device
US7456366B2 (en) Modular raceway with base and integral divider
CA1130433A (en) Partition wiring system
KR100870706B1 (ko) 공동주택용 천장형 전선케이블트레이
KR100969193B1 (ko) 바닥 배선 기구
CA2593566A1 (en) Closed electrical enclosure
JPS5835011B2 (ja) オクナイデンキソウチヨウ タモクテキカベガタドウカン
MX2010014090A (es) Metodo y sistema de ubicacion del acceso de bajada para cableado horizontal en aplicaciones de unidad multifamiliar.
US6291767B1 (en) Data/communications distribution box
KR101143877B1 (ko) 배전 케이블 고정장치
KR100779667B1 (ko) 벽면에 매입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639102B1 (ko) 공동주택 전기설비용 결속행거
KR100703056B1 (ko) 공동주택의 전자파 차단용 밀폐 전기 케이블 트레이
EP1043822A1 (en) Building with duct elements for guiding lines
US8881477B2 (en) Ceiling frame system
KR100697244B1 (ko) 공동주택용 케이블행거
KR200422855Y1 (ko) 천장 배선 분기용 커넥터
KR101171700B1 (ko)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 계량기함 설치방법
KR100968115B1 (ko) 배선용 시스템 박스
KR101004046B1 (ko) 설치가 용이한 건축용 벽면 매설 단자함
KR100955792B1 (ko)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2519964B1 (ko) 공동주택 전기의 벽체 케이블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3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