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6985B1 -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의해 조립되는 구조체 - Google Patents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의해 조립되는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6985B1
KR100606985B1 KR1019990020812A KR19990020812A KR100606985B1 KR 100606985 B1 KR100606985 B1 KR 100606985B1 KR 1019990020812 A KR1019990020812 A KR 1019990020812A KR 19990020812 A KR19990020812 A KR 19990020812A KR 100606985 B1 KR100606985 B1 KR 100606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connector
horizontal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0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1534A (ko
Inventor
오노다쯔오
Original Assignee
오노 다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노 다쯔오 filed Critical 오노 다쯔오
Priority to KR1019990020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6985B1/ko
Publication of KR20010001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6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6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4Comprising essentially pre-assembled two-dimensional frame-like elements, e.g. of rods in L- or H-shape, with or without bra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 E04G7/303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only fixed at one of the bars or members to connect
    • E04G7/304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only fixed at one of the bars or members to connect with tying means for connecting the bars or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 E04G7/306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 E04G7/308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without tying means for connecting the bars or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매우 경제적인 조립식 비계(scaffolding), 지주(shoring), 또는 지지빔(support beam) 뿐만 아니라, 다양성을 가지며, 조립성능이 우수하며, 조립 및 분해가 쉽고, 취급이 용이하며 보관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은,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기둥의 중간 또는 거의 중간위치에 장착되는 제1 커넥터 지지재와, 상기 지지기둥의 상부나 하부, 또는 양쪽 모두에 장착되는 제2 커넥터 지지재 또는 지지재들과, 고정식이나, 제거 또는 회전 가능한 상태로 상기 지지기둥의 측면부에 고정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측면재(lateral member)와, 상기 제1 또는 제2 커넥터 지지재에 상응하는 수직위치에서 상기 측면재의 바깥쪽 단부에 장착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조립식 비계 또는 지지빔은 복수의 프레임을 수평 및 수직으로 조립하여 구성된다.
비계, 프레임

Description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의해 조립되는 구조체{FRAMES AND STRUCTURES ASSEMBLED BY SAME}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3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3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3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3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3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사시도,
도 4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사시도,
도 4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사시도,
도 4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을 위한 지지기둥의 정면도,
도 43a 및 도 43b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을 위한 지지기둥의 정면도,
도 4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을 위한 지지기둥의 정면도,
도 4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을 위한 지지기둥의 정면도,
도 4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을 위한 지지기둥의 정면도,
도 4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도 4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도 4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5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정면도,
도 5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을 위한 지지기둥의 사시도,
도 5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사시도,
도 53은 지지기둥 상단부의 확대정면도,
도 54a 및 도 54b는 각각 커넥터 지지재로 기능하는 플랜지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수직단면 정면도 및 평면도,
도 55a 및 도 55b는 플랜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수직단면 정면도 및 평면도,
도 56a 및 도 56b는 플랜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수직단면 정면도 및 평면도,
도 57은 플랜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8은 플랜지가 지지기둥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정면도,
도 59는 커넥터로 사용되는 클램프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
도 6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사용하여 조립된, 조립식 비계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61은 도 60에 나타난 조립식 비계의 분해 사시도,
도 6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조립된 조립식 비계에서 프레임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3a, 도 63b 및 도 63c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프레임을 사용하여 조립된, 조립식 비계의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
도 6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을 사용하여 조립된 조립식 비계의 사시도,
도 6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을 사용하여 조립된 조립식 비계의 사시도,
도 6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을 사용하여 조립된 지주의 사 시도,
도 67a 및 도 67b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주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68a 및 도 68b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주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69a 및 도 69b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주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70a 및 도 70b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을 사용하여 조립된 지지빔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71a 및 도 71b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지빔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7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지빔의 정면도,
도 73은 도 70에 나타난 지지빔의 부분확대 사시도,
도 74a 및 도 74b는 조립식 비계의 단부에 장착된 난간의 사시도,
도 75a 및 도 75b는 조립식 비계의 단부에 서 있는 강화 지지기둥의 정면도,
도 7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7은 본 발명에서 측면재(lateral member)로 사용되는 수평재(horizontal member)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8은 상기 수평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9는 프레임 사이에 장착되는 강화 프레임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0은 강화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1은 강화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2 강화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3은 강화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주요 도면 부호의 설명>
1...지지기둥 2a, 2'...난간
4...수평재 5...비계판
6...결합부 7...플랜지
8...바닥판
본 발명은 구조체를 조립하는데 사용되는 프레임뿐만 아니라, 조립식(prefabricated) 비계(scaffoldings), 지주(shorings) 및 지지빔(support beams)과 같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작업이나 토목공학 작업에서는, 구조체의 외면에 조립식 비계가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작업자가 걸어다닐 수 있게 한다.
마찬가지로 건설작업, 토목공학 작업 또는 교량건설작업에서는, 작업시에 플로어(floors)나 교량의 거더(girders)와 같이 무거운 물체를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빔이나 지주가 사용된다.
조립식 비계, 지주 및 지지빔에는 각각, 지지기둥이 길이방향 및 교차방향으로 조립되는 프레임이 채용된다. 예를 들어 지주에는 PAL SUPPORT라 불리는 것이 전적으로 사용된다. PAL SUPPORT는 전면에서 보아 삼각형이며 한 개의 지지기둥을 포함하는 프레임과, 지지기둥의 측면에 연결되는 V형 측면재와, 측면재의 바깥쪽 단부에 설치되며 구멍을 가지는 커넥터로 구성된다.
상기 지주, 조립식 비계 및 지지빔에 사용되는 프레임은 전적으로 각각을 위하여 사용되며, 모든 구조체에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없다. 즉 다용도가 아니고 따라서 비경제적이다.
더욱이 많은 경우 종래의 구조체는 단일 제품으로 채용될 수 없고 별도의 구조체의 다른 구성요소와 결합하여 조립되고, 따라서 구성요소의 증가를 초래한다. 게다가 분리된 구성요소의 결합은 귀찮은 작업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작업효율이 우수하고 경제적이며 숙련되지 않은 작업자도 쉽게 조립할 수 있는 프레임의 개발이 요구된다.
전술한 PAL SUPPORT는 하나의 제품으로서 길이방향 및 교차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한 지지기둥 쪽의 커넥터가 다른 기둥에 결합될 때 그리고 후에 작업시 또는 조립 후 일부를 제거 또는 교체할 필요가 있을 때, 수직 지지기둥을 일단 꺼내야 하는데, 이는 매우 어렵고 귀찮은 작업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성을 가지며, 조립성능이 우수하며,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며, 취급이 쉽고, 보관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사용 함으로써 조립성능이 제한되지 않으며 경제성 및 안전성이 우수한, 조립식 비계, 지주 또는 지지빔과 같은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은,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기둥의 중간 또는 거의 중간에 장착되는 제1커넥터 지지재(first connector support member)와, 지지기둥의 상부나 하부 또는 지지기둥의 상부 및 하부 모두에 장착되는 제1커넥터 지지재와, 지지기둥의 옆으로 분리 또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측면재와, 상기 측면재의 바깥쪽 단부에 상기 제1 또는 제2커넥터 지지재의 높이에 상당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해 사전에 조립된 비계는 복수의 상기 프레임을 길이방향 및 교차방향으로 결합하여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의한 지주도 복수의 상기 프레임을 길이방향 및 교차방향으로 결합하여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의한 지지빔은 복수의 상기 프레임을 길이방향 및 교차방향으로 결합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8은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강화 지지기둥 및 프레임을 나타낸다.
도 60 내지 도 6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레임 중 하나를 사용하여 조립된 조립식 비계를 나타낸다.
도 66 내지 도 6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레임 중 하나를 사용하여 조립된 지주를 나타낸다.
도 70 내지 도 7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레임 중 하나를 사용하여 조립된 지지빔을 나타낸다.
도 74 내지 도 82는 조립식 비계, 지주 또는 지지빔을 조립하는데 사용되는 강화 프레임, 난간 및 지지기둥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사용법을 이해하기 위하여, 먼저 도 60 내지 도 62에 도시된 조립식 비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60, 61 및 62에 도시된, A로 표시된 조립식 비계는, 도 41에 나타난 프레임을 사용한다. 이 프레임은 2개의 지지기둥(1, 1)과, 하나의 지지기둥(1)에 분리가능 또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평재(4, 4b)를 포함한다.
아래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0 및 6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립식 비계 A에서, 복수의 프레임(3)이 옆방향으로 곧게 배치되어 있으며, 앞과 뒤 각각의 2줄에서 프레임(3)은, 각각 2개의 곧고 평행한 지지기둥(1, 1)과, 지지기둥(1, 1) 사이에 옆방향으로 설치되는 난간(2')과, 하나의 지지기둥에 고정되는 측면재인 수평재(4)를 포함한다. 앞쪽과 뒤쪽의 마주하는 지지기둥(1, 1)은, 하나의 지지기둥에 고정되는 측면재인 수평재(4)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옆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지지기둥(1, 1)은, 도 60에서 오른쪽에 있는 지지기둥(1)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측면재인 2개의 수평난간(2a)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또 하나 혹은 복수의 비계판(5)은, 전 면 및 후면 프레임(3, 3) 사이에 옆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각 비계판의 단부(end portions)는, 상기 단부에 대응하는 수평재(4)에, 결합부(6)에 의해 결합된다. 각 지지기둥(1)의 외주에는 제1 및 제2 커넥터 지지재로서, 천공 플랜지(perforated flanges, 7)가 상부, 중간부 및 하부에 장착된다.
상부 또는 하부 수평재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면, 난간(2')은, 상부 플랜지들(7, 7) 사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 수평재와, 인접하는 지지기둥들(1) 사이에 장착되는 하부 수평재인, 2개의 수평재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도면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부 및 하부 2개의 수평재 또는 하나의 수평재만이 있다면, 전면 및 후면 지지기둥(1, 1) 사이에 장착되는 수평재(4)는, 그 각각의 단부에서, 상부, 중간 및 하부 플랜지(7, 7)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비록 난간(2a)이, 커넥터 지지재인 플랜지(7)에 의해 지지기둥(1, 1)에 연결되지만, 다른 커넥터 지지재, 예를 들어 핀이 사용될 수 있다.
판이 전면 및 후면 방향으로 충분히 넓어 그 방향으로 하나의 판이 사용될 수 있다면, 비계판(5)은 옆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복수의 이러한 판은 전면과 후면 방향으로 배치된다.
비계판의 양 단부 각각에는 C 또는 L형 단면의 결합부(6)가 형성된다. 결합부(6)를 통하여 비계판(5)은 중간 또는 하부 수평재(4)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서로 옆방향으로 인접하는 비계판(5, 5)에서, 왼쪽 비계판(5)의 오른쪽 결합부(6) 및 오른쪽 비계판(5)의 왼쪽 결합부(6)는 교호식(alternate manner)으로 형성된다.
옆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프레임(3, 3)은, 상부 플랜지(7, 7) 사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난간(2a)에 의하여 함께 연결된다. 난간(2a)은 2개의 상부 및 하부 수평재와, 상기 2개의 수평재의 단부에 연결되는 왼쪽 및 오른쪽 수직 지지대와, 각 수평재의 단부에 설치되는 커넥터인 분지금속편(bifurcated metallic pieces, 12)을 포함한다. 2개의 수평재는 하나의 수평재로 대체될 수 있다. 더욱이 하나 또는 복수의 바닥판(baseboards, 8)이 직립하여 옆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비계판(5)의 전면 및 측면 양쪽에 배치된다. 각 바닥판(8)의 단부는 핀에 의해 플랜지(7) 구멍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조립식 비계(A)의 오른쪽 및 왼쪽 단부 각각에는, 바닥판(9)이 전방 및 후방에 직립하여 배치되며, 상기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된다.
빌딩과 같은 구조체(B)에 조립식 비계(A)를 마주보게 배치하기 위하여 도입된 방법을 이하 설명한다. 상당히 많은 수의 프레임(3)이 2개의 앞쪽 및 뒤쪽 줄에 옆방향으로 수직으로 배치된다. 이 경우 옆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프레임(3)은, 지지기둥(1)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난간(2a)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며, 앞쪽 방향 및 뒤쪽 방향에서 서로 마주하는 프레임(3, 3)은, 하나의 지지기둥(1)에 고정된 수평재(4)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평면도로 보아 직사각형 형태로 나란한 형상의 비계 프레임이 형성되며, 이 프레임에는 비계판(5)이 중간 위치에 장착되어 비계판을 완성시킨다.
앞쪽 및 뒤쪽 프레임(3, 3)은, 대칭적인 위치로 배치되거나 교호적인 형태로 배치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뒤쪽에서 앞쪽 프레임(3)과 마주하는 것은 난간(2a)이며, 수평재는 앞쪽 프레임(3)의 오른쪽 지지기둥(1)과 뒤쪽 프레임(3)의 왼쪽 지지기둥(1) 사이에 설치된다.
지지기둥(1)은 지면으로부터 직접 세워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지지기둥은 잭(jacks)에 의하여 지면에 세워질 수 있으며, 각 프레임(3)을 구성하는 지지기둥(1)은 지지대의 상단으로 분리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지지기둥은 하나씩 차례로 배치되거나, 또는 수평 지지바(support bar)를 통하여 연결된 2개 지지대의 세트가 잭에 의하여 지면에 세워질 수 있다. 또 복수의 프레임(3)이 복수의 단계로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다. 이 경우 도 53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부 지지기둥(1)이, 하부 지지기둥(1)의 상단구멍으로 마개부(spigots portion, 1a)를 통하여 삽입된다.
도 6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비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A로 표시된 이 조립식 비계는, 예를 들어 도 3이나 도 9에 나타난 것과 같은 프레임을 사용하여 조립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레임(3a)은 하나의 지지기둥(1)과, 이 지지기둥(1)에 옆방향으로 설치되는 측면재인 난간(2)을 포함한다. 이러한 복수의 프레임(3a)은 2개의 앞쪽 및 뒤쪽 줄에 직립하여 옆방향으로 배치된다. 앞쪽 및 뒤쪽의 서로 마주하는 지지기둥(1, 1)은, 도 60에 나타난 것과 같은 동일한 수평재에 의하여 분리 가능하게 서로 연결되며, 옆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지지기둥(1, 1)은 한 지지기둥(1)의 난간(2)과 커넥터인 금속편(13)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더욱이 하나 또는 복수의 비계판(5)은 앞쪽 및 뒤쪽 프레임(3, 3)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옆방향으로 배치되며, 각 비계판(5)의 양 단부는 결합된 수평재(4)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조립식 비계(A)의 가장 왼쪽 위치에는, 도 75 또는 도 62에 나타난 것과 같이 하나의 지지기둥(1A)이 세워지며, 도 60의 프레임(3)과 동일한 프레임이 지면으로부터 세워진다.
하나의 지지기둥(1)과, 이 지지기둥(1)의 상부에 설치되는 난간(2)을 포함하는 프레임(3a)이 유사한 다른 프레임(3a)에 연결될 경우 난간(2)의 단부(2)는, 하나의 프레임에 옆방향으로 인접하는 프레임(3a)의 지지기둥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난간(2)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평행한 수평재를 포함하며, 난간(2)의 한 단부는 플랜지(7)에 의하여 또는 용접이나 핀 등에 의하여 지지기둥(1)에 연결된다. 난간(2)의 맞은 편 단부에는 커넥터로서 금속편(13)이 형성되며, 이 금속편은 다른 인접하는 지지기둥(1)쪽의 플랜지(7)에 연결된다.
다른 구조상의 특징이나 조립법은 도 60의 경우와 같다.
이제 본 발명을 구현하는 프레임이 도 1 내지 도 58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18에 나타난 프레임은, 동일한 그룹에 속하며, 측면재인 하나 또는 복수의 수평재가 하나의 지지기둥에 대하여 수평으로 배치되는 점이 공통적이다. 문제의 프레임(3)은 각각 하나의 지지기둥(1), 지지기둥(1)의 중간 위치에 설치되는 첫 번째 커넥터 지지재인 플랜지(7), 지지기둥(1)의 상부에 설치되는 두 번째 커넥터 지지재의 플랜지(7), 중간 또는 상부 플랜지(7)에 연결되는 측면재인 수평재, 그리고 결합된 플랜지(7)와 대응하는 관계에 있는 수평재의 바깥쪽 단부에 배치되는 커넥터인 금속편(13)을 포함한다.
도 1에 나타난 프레임(3)은 지지기둥(1), 지지기둥(1)의 중간 및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플랜지(7, 7), 기단(base ends)에서 중간 플랜지(7)에 연결되는 수평재(2a), 수평재(2a)의 바깥쪽 단부에 설치되는 금속편(13)을 포함하며, 금속편(13)은 분지된(bifurcated) 슈(shoe)와 웨지(wedge)를 포함한다. 지지기둥(1)의 상부에는 지름이 작은 스피것부(spigots portion)가 형성된다. 지지기둥(1)이 서로 수직으로 연결될 때, 하부 지지기둥(1)의 스피것부(1a)는 상부 지지기둥(1)의 하단부로 삽입된다. 스피것부(1a)는 각 지지기둥(1)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의 프레임(3)에서, 난간으로도 기능하는 측면재인 수평재(2)의 기단은, 지지기둥(1)의 상부에 설치된 플랜지(7)에 연결된다. 다른 구조적 특징은 도 1의 프레임과 동일하다.
도 3의 프레임에서, 2개의 상부 및 하부 수평재(2, 2)는 각각 상부 플랜지(7)와 지지기둥(1)의 외면에 연결되며, 수평 바닥판(8)은 중간 플랜지(7)에 연결되며, 2개의 수평재(2, 2)와 바닥판(8)은 그 바깥쪽 단부에서 수직 지지대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금속편(13)은 상부 수평재(2)의 바깥쪽 단부에 설치되며, 핀(8a)은 바닥판(8)의 바깥쪽 단부에 설치된다.
도 4의 프레임에서, 측면재인 수평재(L3)의 기단은 중간 플랜지(7)에 연결되며, 금속편(13)은 수평재(L3)의 바깥쪽 단부에 설치되며, 측면재인 2개의 상부 및 하부 대각재(2b, 2b)는, 지지기둥(1)의 상부 및 하부 위치 외면과 수평재(L3)의 바깥쪽 단부 사이에 설치된다.
도 5의 프레임에서, L자형재(2e) 및 수평재(2)를 포함하는 U자형 측면재가 지지기둥(1)에 연결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L자형재(2e) 및 수평재(2)의 기단은, 각각 지지기둥(1)의 외면 및 상부 플랜지(7)에 연결되며, 금속편(13)은 수평재(2)의 바깥쪽 단부에 설치된다.
도 6에서 강화 대각재(22, 22)가 평면도 상으로 보아 X자 형태로 도 3의 프레임과 결합되어 설치된다.
도 2의 프레임의 변형인 도 7의 프레임에서, 수평재(2)의 바깥쪽 단부와 중간 플랜지(7) 사이에 강화 대각재(19)가 설치된다.
도 8의 프레임에서, 대각재(2d)와 지지기둥(1) 사이에 수평강화재(H12)가 도 7의 프레임과 결합되어 설치된다.
도 9의 프레임에서, 측면재이며, 난간으로도 기능하는 수평재(2a, 2a)는 기단에서 상부 플랜지(7) 및 중간 플랜지(7)에 각각 연결되며, 금속편(13, 13)은 각각 수평재(2a, 2a)의 바깥쪽 단부에 설치된다.
도 10의 프레임에서, 수평재(2a, 2a)와 수직 지지대(2g)를 강화하기 위한 수평강화재(2f)가 추가적인 구성요소로 도 9의 프레임과 결합되어 사용된다.
3A로 나타난 도 11의 프레임에서, 2개의 상부 및 하부 플랜지(7, 7)와 중간 플랜지(7)는 지지기둥(1) 위에 형성되며, 측면재인 수평재(2a, 2a1)는 그 기단에서 플랜지(7)에 각각 연결되며, 수평재의 바깥쪽 단부는 수직 지지대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며, 플랜지(7)와 결합된 금속편(13, 13)은 각각 수평재(2a, 2a1)의 바깥쪽 단부에 설치된다.
도 8의 프레임의 변형인 도 12의 프레임에서, 수평재(H6)의 기단은 중간 플 랜지(7)에 연결되며, 대각재(2d)는 수평재(H6)의 기단과 상부 수평재(2c)의 바깥쪽 단부 사이에 설치된다.
도 12의 프레임의 변형인 도 13의 프레임에서, 대각재(2d)와 수직 지지대(2g)는, 각각 상부 및 하부 플랜지(7, 7)에 연결되는 상부 및 하부 수직재(2c, H11) 사이에 설치된다.
도 9의 프레임과 결합된 도 14의 프레임에서, X자 형태의 강화재(H4)가, 추가적인 구성요소로서 상부 및 하부 수평재(2c, 2c) 사이에 설치된다.
도 10의 프레임의 변형인 도 15의 프레임에서, 강화 대각재(2n)는, 하부 수평재(2a)의 바깥쪽 단부와 지지기둥(1)의 아래쪽 단부 사이에 설치된다.
도 15의 프레임의 변형인 도 16의 프레임에서, 수평재(2f) 대신 대각재(2i)가 2개의 수평재(2a, 2a) 사이에 설치된다.
도 17의 프레임은 도 2 및 도 4에 나타난 프레임의 결합이다. 수평재(2a, L3) 및 대각재(2b, 2b)는 측면재로서 지지기둥(1)에 연결된다.
도 14의 프레임의 변형인 도 18의 프레임에서, 상부, 중간 및 하부의 3개의 수평재(2c, H11, H12)는 지지기둥(1)에 연결되며, X자형의 강화재(H4)는 수평재 2c와 H11 사이와 수평재 H11과 H12 사이에 각각 설치된다.
도 19의 프레임은, 상부, 중간, 하부 3개의 수평재(L4, L3, L5)와, 수평재를 서로 연결하는 지지대(2g)와, 대각재(2b)를 포함한다.
도 20 내지 도 23에 나타난 프레임은 동일 그룹에 속한다. 이들 각 프레임은 기본적으로, 지지기둥(1)과 이에 연결되는 측면재인 V자형 프레임을 포함한다. 다른 구조적 특징은 도 1의 프레임과 같다.
3B로 나타난 도 20의 프레임은, 지지기둥(1)과, 지지기둥(1)의 상부 및 중간에 각각 설치되는 플랜지(7, 7)와, 지지기둥의 상부 및 하부 외면부의 기단에 연결되는 측면재인 V자형 프레임(2b) 및, 중간 플랜지(7)에 대응하여 프레임(2b)의 바깥쪽 단부에 설치되는, 커넥터인 금속편(13)을 포함한다.
도 21의 프레임은 도 20의 프레임과 실질적으로 같다. V자형 프레임(2b)은 신장기구(expansion mechanism, 2b1)에 의해 그 길이가 조절되며, 힌지(O, P)는 프레임(2b)의 기단 및 바깥쪽 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도 20의 프레임과 결합된 도 22의 프레임에서, 수평재(2a)는 상부 플랜지(7)에 의하여 지지기둥(1)에 연결된다.
도 20에 나타난 프레임의 변형인 도 23의 프레임에서, 수평재(2a)와 강화 프레임(2a2)을 포함하는 U자형 측면재는, 상부 플랜지(7)와 지지기둥(1)의 외면에 연결된다.
도 24 내지 도 29에 나타난 프레임은 동일한 그룹에 속하며 각각 기본적으로 지지기둥(1)과, 이 지지기둥(1)에 연결된 측면재로서 V자형 프레임을 가지며, 지지기둥(1)과 V자형 프레임이 결합하여 직각삼각형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서로 공통점을 가진다. 다른 구조적 특징은 도 1의 프레임과 같다.
3C로 표시된 도 24의 프레임에서, 각각 수평재(2K)와 대각재(2L)를 포함하는 2세트의 상부 및 하부 V자형 프레임이, 그 기단에서 상부 및 하부 플랜지(7, 7)와 지지기둥(1)의 외면에 연결되어 있다.
3C로 나타난 도 25의 프레임은 가장 단순한 프레임으로서, 전체로서 직각 삼각형을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프레임은 지지기둥(1)과, 지지기둥(1)의 상부 위치 및 중간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플랜지(7, 7)와, 지지기둥(1)의 아래쪽 외면부와 상부 플랜지(7)에 그 기단이 연결되는 수평재(2c)와, 상부 플랜지(7)에 대응하여 수평재(2c)의 바깥쪽 단부에 설치되는 커넥터인 금속편(13)을 포함한다.
도 25의 프레임과 결합된 도 26의 프레임에서, 중간 플랜지와 대각재(2c) 사이에 수평강화재(H1)가 설치된다.
도 25의 프레임과 결합된 도 27의 프레임에서, U자형 강화재(H7)가 중간 플랜지(7), 지지기둥(1)의 외면부 및 대각재(2c) 모두에 연결된다.
도 25의 프레임과 결합된 도 28의 프레임에서, 강화 수평재(H8)는 중간 플랜지(7) 및 대각재(2c)에 연결되며, 금속편(13)이 수평재(H8)의 바깥쪽 단부에 설치된다. 도 28의 프레임과 결합된 도 29의 프레임에서는, 다른 수평재(H9)가, 지지기둥(1)과 대각재(2C) 사이에, 수평재(H8)와 나란하게 설치된다.
도 25의 프레임의 변형인 도 30의 프레임에서, 수평재(2c)와 하부 플랜지(7)의 바깥쪽 단부에 강화 프레임(H10)이 연결되며, 강화 프레임(H10)은 정면에서 보아 역 L자형을 하고 있다.
도 31 내지 도 38에 도시된, 같은 그룹에 속하는 프레임은, 각 프레임 모두가 정면에서 보아 사다리꼴 또는 직사각형이라는 기본적인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도 31은 정면에서 보아 기본 사다리꼴인 단순한 구조의 프레임(3A)을 나타낸다. 이 기본적인 구조는 도 1의 프레임의 구조와 같다. 도 31의 프레임은, 지지 기둥(1)과, 지지기둥(1)의 중간 및 상부 위치에 설치되는 플랜지(7)와, 기단 모두가 상부 플랜지(7)와 지지기둥(1)의 하부 외면부에 연결되는 프레임(2A)과, 플랜지(7, 7)에 대응하여 프레임(2A)의 바깥쪽 단부에 설치되는 금속편(13, 13)을 포함한다. 프레임(2A)은 일체로 성형된 것으로서, 수평재(P), 수직재(Q)와 대각재(R)로 구성된다. 지지기둥(1)과 프레임(2A)은 정면도에서 사다리꼴을 형성한다.
도 31의 프레임과 결합된 도 32의 프레임에서, 하나의 강화 수평재(2A1)가 지지기둥(1)과 수직재(Q) 사이에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도 31의 프레임과 결합된 도 33의 프레임에서, 2개의 강화 수평재(2A1, 2A2)가 추가적인 구성요소로서 설치된다.
도 33의 프레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도 34의 프레임에서, 하부 수평재(2A2)의 기단은 중간 플랜지(7)에 연결된다.
도 34의 프레임과 결합된 도 35의 프레임에서, 강화 대각재(2A3)가, 지지기둥(1)의 상부와 프레임(2A)의 중간 위치 사이에 설치된다.
도 36의 프레임에서, 수평재(2a, 2a)의 기단은 각각 플랜지(7, 7)의 상부 및 하부에 연결되며, 수평재(2a, 2a)의 바깥쪽 단부는 수직 지지대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며, 금속편(13)은 중간 플랜지(7)에 대응하여 지지대의 중앙 위치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도 37 및 도 38의 프레임에서는, 강화 수평재와 하나 또는 두 개의 대각재가 도 36의 프레임에 추가된다.
다른 그룹에 속하는 도 39 내지 도 41의 프레임은, 측면재인 수평재가, 지지기둥(1)의 중간 위치에 설치되는 플랜지에 연결되며, 수평재가 상부 수평재와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다른 구조적 특징은 도 1의 프레임과 같다.
도 39의 프레임은, 지지기둥(1)과, 지지기둥(1)의 중간 및 상부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플랜지(7, 7)와, 기단이 상부 플랜지(7)에 연결되는 측면재인 수평재(2)와, 수평재(2)의 바깥 위치와 지지기둥(1)의 상부 외면부에 설치되는 강화재(2e)와, 수평재(2)와 수직인 방향으로 중간 플랜지(7)에 연결되는 측면재인 다른 수평재(4a)와, 수평재(2, 4a)의 바깥쪽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금속편(13, 13)을 포함한다.
도 69의 조립식 비계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된 도 40의 프레임은, 2개의 지지기둥(1, 1)과, 지지기둥(1, 1) 사이에 설치되는 난간(2')과, 지지기둥(1) 위 중간 플랜지(7)에 연결되는 측면재인 수평재(4b)와, 수평재(4b)의 바깥쪽 단부에 설치되는 금속편(15)을 포함한다.
도 39의 프레임의 변형인 도 41의 프레임에서, 파이프형 소켓(pipe-like socket, 14)이 지지기둥(1)의 중간 플랜지(7) 근접한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수평재(4a)는 소켓(14)에 장착되며, 금속편(14a)은 수평재(4a)의 바깥쪽 단부에 설치된다.
도 42 내지 도 46에 나타난 프레임 지지기둥은 같은 그룹에 속하며, 2개의 지지기둥(1, 1)이 서로 평행하게 직립하여 있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도시되지 않 았지만, 하나의 지지기둥(1)의 상부 또는 하부 플랜지(7)에 측면재가 연결된다. 이들 지지기둥은 어떤 측면재도 사용하지 않고 조립식 비계의 단부에서 각각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2의 프레임은 2개의 나란한 지지기둥(1, 1)과, 지지기둥(1)의 상부 플랜지(7, 7) 사이에 설치되는 난간(2')을 포함한다. 측면재는 상부 및 하부 플랜지(7, 7) 중의 하나 또는 모두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42와 결합된 도 43a의 프레임에서, 다른 난간(2')이 지지기둥(1, 1) 사이에 설치된다. 유사하게, 도 43a의 프레임과 결합된 도 43b의 프레임에서는, 지지기둥(1, 1) 사이에 대각재가 설치된다. 유사하게, 도 43a의 프레임과 결합된 도 44의 프레임에서, 바닥판(8)이 중간 플랜지(7, 7) 사이에 설치된다. 유사하게, 도 44의 프레임에 결합된 도 45의 프레임에서, 물결형상 강화재(35)가 난간(2')과 바닥판(8) 사이에 장착된다.
도 42의 프레임과 결합된 도 46의 프레임에서는, X자형 강화브레이스(reinforcing brace, 26)가 지지기둥(1, 1) 사이에 장착된다.
도 47 및 도 48에 나타난 프레임은 같은 그룹에 속하며, 측면재가 지지기둥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공통점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7의 프레임은, 2개의 상부 및 하부 플랜지(7, 7)가 설치된 지지기둥(1)과 일체화된 측면재(X)를 포함하며, 측면재(X)는 난간인 2개의 수평재(2, 2)와, 하나의 바닥판(8)과 하나의 대각재(23)를 포함한다. 측면재(X)의 기단은, 바닥판(8)의 바깥쪽 단부와 수평재(2)의 바깥쪽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금 속편(13, 8a)에 의하여 지지기둥(1) 위의 플랜지(7, 7)에 연결된다.
도 47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48의 프레임에서는, 난간인 2개의 수평재(2, 2)와 이 수평재(2, 2)에 연결되는 V자형 강화재(24)에 의해, 일체화된 측면재(Y)가 구성되며, 측면재(Y)는, 강화재(24)의 바깥쪽 단부와 수평재(2)의 바깥쪽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금속편(13, 25)에 의하여 지지기둥(1) 위 플랜지(7, 7)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49 및 도 50에 나타난 프레임은 같은 그룹에 속하며, 측면재가 지지기둥의 양쪽에 각각 설치되는 공통점을 가진다.
도 49의 프레임은, 지지기둥(1)과, 지지기둥(1)의 상부 및 중간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플랜지(7, 7)와, 지지기둥(1)의 양쪽에 배치되는 측면재인 V자형 프레임(2D, 2D)과, 중간 플랜지(7)에 대응하여 하나의 V자형 프레임(2D)의 바깥쪽 단부에 설치되는 커넥터인 금속편(13)과, 금속편(13)에 대응하여 다른 V자형 프레임(2D)의 바깥쪽 단부에 설치되는 제3의 커넥터 지지재인 금속편(13a)을 포함한다.
중간 플랜지(7)에 연결되는 강화 수평재(M)가 V자형 프레임(2D)의 중앙에 연장된다.
도 50의 프레임에서, 2개의 지지기둥(1, 1)은 2개의 중간 수평재(Q)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수평재와 수직재를 포함하는 측면재인 프레임(2F)은 하나의 지지기둥(1)에 연결되며, 이 프레임과 동일한 모양의 다른 프레임(2F)은 다른 지지기둥(1)에 연결된다. 또 금속편(13)은 하나의 프레임(2F)의 바깥쪽 단부에 설치되며, 금속편(13)에 대응하며 수평판으로 구성되는 금속편(13a) 각각은 다른 프 레임(2F)의 바깥쪽 단부에 설치된다.
도 51은 2개의 지지기둥(1, 1)과, 2개의 지지기둥(1, 1) 사이에 설치되는 2개의 난간(2, 2)과, 하나의 지지기둥에 설치되는 2개의 플랜지와, 플랜지(7, 7)에 대응하여 다른 지지기둥(1)의 측부분에 설치되는 금속편(13, 13)을 포함하는, 다른 실시예의 프레임을 나타낸다.
도 52에서, 수평재인 V자형 프레임(2b)은 지지기둥(1)에 연결되며, 다른 V자형 프레임(L4)은 V자형 프레임 2b에 수직 방향으로 지지기둥(1)에 연결되며, 금속편(13)은 프레임(2b, L4)의 바깥쪽 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도 53은 지지기둥(1)의 상부를 나타낸다. 지지기둥의 상단부에는, 다른 지지기둥을 삽입하기 위한 지름이 작은 스피것부(1a)가 형성된다.
도 54 내지 58은 플랜지의 실시예이다.
도 54a 및 도 54b에 나타난 플랜지(7)는 중앙디스크(7a) 및 이 디스크(7a)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환상훅(annular hook, 7b)을 포함한다.
도 55a 및 도 55b에 나타난 플랜지(7)는 디스크(7a) 및 이 디스크(7a)의 외주방향으로 형성되는 8개의 유지구멍(retaining holes, 7c)을 포함한다.
도 56a 및 도 56b에 나타난 플랜지(7)는 몸체(7d)와, 이 몸체(7d)에 90°간격으로 떨어져 4방향에 형성되는 이어부(ear portion)와, 이어부(7e)에 각각 형성되는 유지구멍(7g)을 포함한다.
도 57에 나타난 플랜지(7)는, 지지기둥(1)의 외주에 90˚간격으로 4방향 떨어져 형성된 U자 형상의 소켓(7f)을 포함한다. 소켓(7f)의 기단은 W에서 지지기둥(1)에 용접된다.
도 58에 나타난 플랜지(7)는, 지지기둥(1)의 외주에 고정된 2개의 상부 및 하부 지지링(123, 123) 사이에 유지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여, 플랜지(7)에 연결된 측면재 역시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59는 측면재와 커넥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수평재(2a)의 바깥쪽 단부에는 클램프(K)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로서 클램프(K)는 2개의 클램프편(clamp pieces, K1 및 K2)과 이 클램프편을 클램핑하기 위한 볼트(BT)를 포함한다. 클램프(K)를 통하여 다른 지지기둥 등에 연결이 이루어진다.
도 63a 및 도 63b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 프레임을 사용하여 조립된 비계 프레임을 나타낸다.
사용된 프레임은 도 25에 나타난 프레임 3C이며 이들 프레임(3C)이 복수로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조립된다. 수직방향으로, 상부 및 하부 지지기둥(1, 1)이 함께 연결되며, 옆방향으로 인접하는 프레임(3C, 3C)은, 하나의 지지기둥의 프레임재(2C) 바깥쪽 단부의 금속편(13)을 다른 지지기둥(1)의 상부 플랜지(7)에 연결함으로써 함께 연결된다. 예를 들어, 건설 중인 빌딩의 외면이 곡면이고 비계 프레임(Z)이 상기 외면을 따라 조립되어야 하는 경우, 한 프레임재(2C)의 금속편(13)이 플랜지(7)에 대하여 장착되는 각도는 변화된다. 이렇게 조립된 비계 프레임(Z)을 따라 비계판(125)이 장착된다. 이 경우 프레임재(2C)는 난간으로 사용될 뿐 아니라 대각선 방향의 강화브레이스(reinforcing braces)로 기능한다.
도 64는, 도 32에 나타난 프레임을 사용하여 조립된 조립식 비계를 나타낸다. 이 비계는 이미 설명한 도 60의 비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2에 나타난 것과 같은 프레임(34)은, 길이방향 및 교차방향으로 조립되어, 전면 및 후면 프레임(X, Y) 2줄을 형성하며, 비계판(5)은 전면 프레임과 후면 프레임 사이에서 옆방향으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오른쪽 프레임의 지지기둥(1)을 왼쪽 프레임의 금속편(13, 13)에 연결함으로써 다수의 프레임(3A)이 옆방향으로 연결된다. 반대로 하부 지지기둥의 상단부를 상부 지지기둥(1)의 하단부 내로 삽입함으로써, 수직으로 배치된 프레임(3A)이 서로 연결된다. 이 연결은 도 53에 나타난 것과 같은 스피것부(1a)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전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X, Y) 사이에는 프레임을 강화하기 위한 수평재가 장착되며, 각 비계판(5)의 단부가, 이웃하는 수평재에 갈고리식으로 연결되어 비계판이 장착된다.
전면 및 후면 프레임(X, Y) 2줄의 왼쪽 단부 사이에는 상기 수평재가 장착되며 난간(50) 등은 프레임의 오른쪽 단부 사이에 장착된다.
건설 중인 빌딩 주위에, 본 발명에 따라 조립식 비계를 설치함에 있어, 첫 번째로 각 비계판(5)의 적정 길이가 결정되며, 이와 같이 하여 결정된 폭을 가지는 이러한 비계판(5)은, 건설 중인 빌딩의 코너에서 각 비계판의 폭에 맞는 프레임(3A', 3A')에 의해 설치되며, 이후 다른 프레임 3A, 3A는, 프레임 3A', 3A'와 접하여 L자형 비계를 형성한다. 그 결과 조립식 비계 전체인 강도가 측면 하중 에 대하여 증가되는데, 이는 L자형으로 조립되기 때문이다.
이 실시예에서 각 코너에서 각 비계판(5)의 폭에 맞춰지는 각 프레임 3A'은, 도면에 나타난 것과 같이 측방향 규격이 각 프레임 3A보다 짧다.
프레임(3A)이 옆방향으로 접하도록 배치될 때, 길이는 건설 중인 빌딩 측면의 폭에 일치하여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조립식 비계와 관련하여 아래의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프레임 X 및 Y는 복수의 프레임(3A)을 길이방향 및 교차방향으로 조립함으로써 쉽게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하부 비계(lower stage)의 프레임(3A)을 조립하여 프레임 X 및 Y를 형성한 뒤, 이렇게 조립된 하부 비계에 동일한 프레임(3A)을 하나씩 조립하여, 작업자는 하부 비계에 위치하는 비계판(5)에 올라가며 이 경우 난간은 수평재(P, 2A1)에 의해 비계판(5) 위에 확실하게 형성된다. 즉 조립작업은 안전밧줄(life rope)을 사용하지 않고도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조립식 비계 작업을 마친 후, 대각재(R)는 강화브레이스로서 기능한다.
도 65는 도 40의 프레임을 길이방향 및 교차방향으로 조립하여 조립되는 비계를 나타낸다. 이 비계 역시 도 60에 나타난 조립식 비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레임 X 및 Y는 전면 및 후면의 2줄로 배열되며, 비계판(5)은 프레임 X 및 Y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옆방향으로 접한다. 더욱이 프레임 X와 Y의 단부 사이에는 난간(50)과 규격이 큰 강화재(51)가 장착된다.
프레임 X 및 Y를 옆방향으로 배열함에 있어, 서로 인접하는 오른쪽 및 왼쪽 지지기둥(1, 1)은, 각 플랜지(7, 7)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에 의해 서로 연결되 며, 수직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지지기둥(1, 1)은 스피것부(1a)에 의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전면 및 후면의 2줄로 연결된 프레임 X 및 Y는 지지기둥(1)에 고정된 수평재(4b, 4b)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며, 비계판(5)의 단부는 수평재(4b, 4b)에 갈고리식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에도 전면 및 후면 프레임 X 및 Y는 다수의 프레임(3)을 수직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결하여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프레임(3)이 상부 비계에서 하나씩 조립될 경우에도, 작업자는 난간(2')이 확실히 형성되도록 하면서 하부 비계판(5)에 올라갈 수 있어 작업이 안전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66은 비계나 지주로 조립된 구조체를 나타내며, 이 구조체는 예를 들어 도 19의 프레임과 매우 유사한 프레임을 사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많은 수의 잭(J)이 지면으로부터 직립하여 배치되며 서로 연결되고 연결재(J1)에 의해 강화된다. 표준 프레임(N)은 잭(J)에 연결되며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프레임(3C)이 프레임(N) 위에 수평 및 수직으로 연결된다. 더욱이 복수의 상부 프레임(N)은 프레임 3C에 계단식으로(stepwise) 또는 수평으로 연결되며, 상부 잭(J2)은 상부 프레임(N)에 장착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잭(J2)은 각각 지지부(bearer portion, 130)와, 이 지지부(130)의 아래쪽에 연결된 나사대(screw rod)와, 나사대의 중간부에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플랜지(133)와, 나사대의 아래쪽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너트 및 핸들(132)을 포함한다. 나사대는 너트 및 핸들에 의해 지지기둥에 나사식으로 결합된다. 상부 프레임(N)이 계단식으로 조립되는 이유 는, 건설 중인 빌딩(S)의 외면이 경사져 있기 때문이다. 상단부에 위치하는 프레임(N)으로는 팽창 및 수축 가능한 지지대(support rods, M)가 사용된다. 지지대(M)는 각각 양 단부가 잭(J2)의 플랜지(133)에 연결된다. 따라서 잭 J와 J2가 사용되며, 플랜지(133)가 나사대(131)의 단부 쪽에 장착되며, 더욱이 연결재(J1) 또는 지지대(M)는 플랜지(133) 사이에 연결되어, 국부하중을 감당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프레임(3C)은 각각 난간 및 브레이스 모두로 기능한다.
도 67a 및 도 67b는, 예를 들어 도 17의 프레임을 전후, 좌우 및 상하로 복수개 조립하여 형성되는, 평면도상 정사각형인 고정식 지주를 도시한다. 같은 도면에서, 옆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프레임은 왼쪽 프레임의 금속편과 오른쪽 프레임 지지기둥(1)의 플랜지(7)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수의 프레임이 옆방향으로 계속적으로 조립된다. 수직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지지기둥(1, 1)은, 상부 지지기둥의 하단을 하부 지지기둥(1)의 상단에 결합시킴으로써 연결된다.
이 지주의 상단은, 도 66의 지주와 마찬가지로 잭(J), 지지부(130) 및 슬리퍼(sleeper, 52)에 의해 빌딩(S)을 지지한다.
도 68a 및 도 68b는, 상술한 것과 동일한 프레임을 전후,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조립함으로써 형성되는, 평면상으로 보아 정사각형인 이동형 지주를 나타낸다. 지주는, 하부에 프레임(53) 및 캐스터(54)가 장착되어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른 구조적 특징은 도 67의 지주와 같다.
도 69a 및 도 69b는 상기와 동일한 프레임을 조립함으로써 형성되는 지주를 나타낸다. 이 지주는, 4개의 블록(Z1, Z2, Z3 및 Z4)을 포함한다. 각 블록은 수직으로 조립된 다수의 프레임을 포함하며, 유사한 프레임들이 전, 후, 좌, 우측에서 조립되어 정사각형 단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렇게 조립된 전, 후, 좌, 우 별도의 블록(Z1, Z2, Z3, Z4)은 위쪽으로 쌓이고 수평재(55)를 사용하여 서로 연결되어 전체로서 정사각형탑 모양의 지주를 구성한다. 인접하는 프레임을 옆방향 및 수직으로 연결하는 방법은 도 67 및 도 68에 나타난 지주를 연결하는 방법과 같다. 건설 중인 빌딩은 잭(J), 슬리퍼(52) 및 지지재(56)에 의해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지지된다.
도 70a 및 도 70b는 도 20에 나타난 프레임(3B)을 사용하여 조립된 1단형(one-stage type) 지지빔을 나타낸다. 다수의 이런 프레임(3B)이 서로 조립되어 삼각 트러스(truss)를 구성한다.
도 71a 및 도 71b는, 같은 프레임(3)을 상기와 같이 옆방향으로 연결하고 또한 수직으로 2단으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2단형(two-stage type) 지지빔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프레임(3B) 다수가 정사각형 트러스를 구성한다.
도 7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지빔을 나타내며, 이 지지빔은, 전체로서 수평인 도 70의 지지빔과 달리, 코너에 보조빔(57)을 사용하여 전체로서 갈짓자 형(chevron shape)이다. 다른 구조적 특징은 도 70의 지지빔과 동일하다.
도 73은, 도 70에 나타난 지지빔의 3차원도이다. 이 도면에서 지지빔(3B)은 3차원 형태로 조립된다. 구체적으로 프레임(3B)을 옆방향으로 연결하여 조립된 각 지지빔 프레임(T)은, 전면 및 후면 2줄로 배치되며, 플랜지(7)에 연결된 수평재(58)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필요할 경우 지지기둥(1)의 사용에 의해, 비계판(5a) 또는 강화판이, 각 단부의 훅(end-hook)에 의해 전면 및 후면 프레임(T)에 연결된다. 다른 구조적 특징은 도 70의 지지빔에서와 같다.
도 74 내지 8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비계, 지주 및 지지빔에 사용하기 위한 강화재를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4a는 도 64의 조립식 비계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한 난간(50)을 나타낸다. 난간(50)은 수평재, U자형 강화재 및 수평재의 양단에 설치되는 금속편(13)을 포함한다.
도 74b는 다른 난간(50)을 나타내는데, 이 난간은 3개의 수평재와, 수평재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2개의 수직재와, 상부 및 하부 수평재의 양 단부에 설치되는 4개의 금속편(13)을 포함한다. 이 난간(50)을 사용하는 방법은, 도 74a의 난간(50)을 사용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도 75a는 강화 또는 보조 기둥(1A)을, 중간 또는 상부에 플랜지(7, 7)가 설치된 상태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60의 조립식 비계에서, 프레임(3)의 사용으로 측면 길이가 너무 길어진다면, 프레임(3) 대신 지지기둥(1A)이 비계(A)의 단부에 강화식으로 사용된다. 도 75b 역시 강화 또는 보조 기둥(1A)을, 복수의 금속편(13)이 그 측면에 부착된 상태로 나타낸다. 지지기둥(1A)은 프레임을 따라 위치하며 금속편(13)에 의해 프레임에 연결된다.
도 76은 보조식으로 사용되는 커넥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65의 조립식 비계에서, 이 커넥터는 인접하는 좌우 지지기둥(1, 1)의 플랜지(7, 7)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커넥터는 슈(59, 59)와, 이 슈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는 웨지(60, 60)를 포함한다. 더욱이 슈(59, 59)는 천공된 플랜지(perforated flanges, 7, 7)에 장착되며 이 상태에서 웨지(60, 60)는 플랜지(7, 7)의 슈(59, 59) 구멍에 삽입된다.
도 77 및 도 78은 측면재인 수평재 또는 강화재를 나타낸다. 도 77에 나타난 수평재는 고정형으로서, 파이프(60)와, 이 파이프(60)의 양단에 설치되는 금속편(13, 13)을 포함한다. 금속편(13, 13)은 지지기둥 플랜지(7, 7)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78에 나타난 수평재는 팽창 및 수축 가능한 파이프(60A)로 이루어지며, 파이프는 외부 튜브와 내부 튜브를 포함하며, 파이프(60A)의 양단에는 금속편(13, 13)이 설치된다.
도 79 내지 도 82는 지지기둥을 연결하기 위한 π형 보조재로서, 예를 들어 도 65에 나타난 조립식 비계이나 지주에서 이들은 인접하는 지지기둥 사이에 각각 장착된다. 도 79에 나타난 보조재는 수평파이프(61)와, 파이프(61)의 양단에 설치되는 금속편(13, 13)과, 파이프의 단부에 매달린 지지다리(62, 62)와, 지지다리(62, 62) 하단의 측면에 설치된 금속편(13, 13)을 포함한다. 보조재는 인접하는 프레임의 지지기둥(1, 1) 사이에 배치되며, 상부 및 하부 금속편(13)은 지지기둥에 연결된다.
도 79에 나타난 보조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도 80에 나타난 보조재에서, 지지다리(62, 62)의 상단은 파이프(61)에 회전 및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79에 나타난 보조재의 변형인 도 81에 나타난 보조재에서, 지지다리(82)는 더욱 길며, 지지다리의 중간부에는 금속편(13)이 추가로 설치되며, 지지기둥의 상단은 핀과 브래킷에 의해 파이프(61)의 아래쪽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79 및 도 81에 나타난 보조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도 82에 나타난 보조재는, 지지빔으로도 기능하는 강한 수평재인 빔(63)과, 빔의 아래쪽에 매달린 2개의 지지다리(62, 62)와, 빔(63)의 양 단부에 설치되는 금속편(13, 13)과, 각 지지다리(62)의 중간 및 아래 부분에 설치되는 금속편(13, 13)을 포함한다. 조립식 비계이나 지주의 크기가 크고, 인접하는 지지기둥(1, 1) 사이의 거리가 큰 경우, 이 보조재는 인접하는 지지기둥 사이에 금속편(13)에 의해 연결된다. 이 경우 빔(63) 아래에 큰 공간이 형성되며, 작업자 및 차량이 이 공간을 통과할 수 있다.
도 83은 측면재인 수평재 또는 강화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며, 2 또는 그 이상의 수평 또는 대각재(2H, 2H)와, 이 수평 또는 대각재(2H, 2H)의 기단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금속편(13)과, 이 수평 또는 대각재(2H, 2H)의 마주하는 양 단부에 설치되는 금속편(13, 13)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 측면재는 수평으로 뿐만 아니라 비스듬하게 지지기둥(1)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1) 청구범위에 규정된 프레임에는 각각 지지기둥, 지지기둥에 설치된 제1 및 제2 커넥터 지지재, 측면재, 측면재에 설치된 커넥터가 설치되기 때문에, 이들 여러 개의 프레임이 상기 구성요소들에 의해 수직방향 또는 옆방향으로 한 번에 조립될 수 있거나, 간단한 방식으로 다른 구조체에 부착될 수 있어, 다양한 패턴의 구조체를 쉽게 조립할 수 있게 한다. 바꾸어 말하면, 다양한 구조체를 위하여 다양한 프레임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프레임들은 조립성능과 다양성 모두에서 우수하다.
(2) 지지기둥에는 측면재와 측면재의 바깥쪽 단부의 커넥터가 장착되며, 따라서 지지기둥을 위하여 연결재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게다가 지지기둥을 조립한 뒤에도, 커넥터를 제거함으로써, 교체를 위하여 어느 지지기둥이나 제거될 수 있다. 더욱이 결합된 지지기둥 자체, 또는 선택적으로 제1 또는 제2 커넥터 지지재에 측면재를 연결함으로써, 프레임은, 각 측면제의 장착위치에 따라 다른 높이로 또는 같은 높이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3) 제1 커넥터 연결재가 지지기둥의 중간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기둥과 강화 프레임을 상기 커넥터 지지재에 연결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지지기둥의 버클링(buckling)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및 제2 커넥터 지지재가 지지기둥의 중간부 및, 상부 또는 하부에 장착되기 때문에, 선택된 제1 또는 제2 커넥터 연결재의 높이에 적합한 높이로 비계를 조립할 수 있다. 특히 비계판이 중간위치에 위치하는 제1 커넥터 연결재에 의해 장착될 때, 비계판을 난간 위에 배치할 수 있다.
(4) 더욱이 측면재는 각 지지기둥에 고정되므로, 조립식 비계, 지주 또는 지지빔이, 이들 지지기둥과 측면재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사용하여 조립될 때, 각 측면재는 연결재 및 강화브레이스로 기능하며, 따라서 브레이스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Claims (16)

  1. 지지기둥(support post)과, 지지기둥에 옆방향으로 연결되는 측면재(lateral member)와, 이 측면재의 바깥쪽 단부(outer ends)에 설치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의 중간 또는 거의 중간부분에 장착되는 제1 커넥터 지지재(first connector support member)와;
    상기 지지기둥의 상부나 하부, 또는 양쪽 모두에 장착되는 제2 커넥터 지지재 또는 지지재들과;
    고정식이나, 제거 또는 회전 가능한 상태로 상기 지지기둥의 측면부에 고정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측면재와;
    상기 제1 커넥터 지지재나 상기 제2 커넥터 지지재 또는 지지재들에 상응하는 위치, 또는 수직위치에서 상기 측면재 또는 측면재들의 바깥쪽 단부에 장착되는 커넥터 또는 커넥터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면재가 상기 지지기둥의 측면부에 반경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지지재들은 플랜지이며, 상기 측면재의 기단은 상기 제1 커넥터 지지재에 고정되며, 제1 커넥터 지지재에 상응하는 상기 커넥터는, 상기 측면재의 바깥쪽 단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지지재들은 플랜지이며, 상기 측면재의 기단은 상기 제2 커넥터 지지재에 고정되며, 제2 커넥터 지지재에 상응하는 상기 커넥터는, 상기 측면재의 바깥쪽 단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지지재들은 플랜지이며, 상기 측면재의 기단은 각각 제1 및 제2 커넥터 지지재에 고정되며, 제1 및 제2 커넥터 지지재에 상응하는 상기 커넥터는 각각 상기 측면재의 바깥쪽 단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6. 제2항, 제3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재 또는 측면재들이 수평재(horizontal member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재 또는 측면재들은 수평재이며, 상기 제1 커넥터 지지재와 그와 결합된 상기 수평재 사이에 대각 브레이스(diagonal brace)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재는 수평재이며, 상기 각 수평재와 상기 지지기둥의 측면부 사이에 대각 브레이스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지지재는 플랜지이며, 상기 측면재의 기단은 상기 지지기둥의 측면부에 고정되며, 제1 커넥터 지지재에 상응하는 상기 커넥터는 측면재의 바깥쪽 단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재는 V자형의 프레임재이며, 상기 지지기둥 및 상기 V자형 프레임재 모두에 의해, 정면에서 보아 정삼각형 또는 이등변삼각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지지재는 플랜지이며, 상기 측면재의 기단은 상기 제2 커넥터 지지재와 상기 지지기둥의 측면부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제2 커넥터 지지재에 상응하는 상기 커넥터는 상기 측면재의 바깥쪽 단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재는, 수평재와 대각재를 포함하는 V자형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V자형 프레임재와 상기 지지기둥 모두에 의해, 정면에서 보아 직각삼각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재는 사다리꼴 프레임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디리꼴 측면재는 수평재와, 수직재와 대각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재의 기단은 상기 제2 커넥터 지지재에 고정되며, 상기 대각재의 기단은 상기 지지기둥의 측면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14. 복수의 프레임이 수직 및 옆방향으로 배치되며,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프레임의 지지기둥이 수직으로 함께 연결되며, 옆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프레임 중 한 측면재의 커넥터가, 다른 프레임의 지지기둥에 장착되는 커넥터 지지재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비계(prefabricated scaffolding).
  15. 복수의 프레임이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프레임의 지지기둥이 수직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며, 옆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프레임 중 한 측면재의 커넥터가, 다른 프레임의 지지기둥에 장착되는 커넥터 지지재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shoring).
  16. 복수의 프레임이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프레임의 지지기둥이 수직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며, 옆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프레임 중 한 측면재의 커넥터가, 다른 프레임의 지지기둥에 장착되는 커넥터 지지재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빔(support beam).
KR1019990020812A 1999-06-05 1999-06-05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의해 조립되는 구조체 KR100606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0812A KR100606985B1 (ko) 1999-06-05 1999-06-05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의해 조립되는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0812A KR100606985B1 (ko) 1999-06-05 1999-06-05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의해 조립되는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534A KR20010001534A (ko) 2001-01-05
KR100606985B1 true KR100606985B1 (ko) 2006-07-31

Family

ID=37514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0812A KR100606985B1 (ko) 1999-06-05 1999-06-05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의해 조립되는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69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469B1 (ko) * 2013-06-05 2014-12-22 노용규 시스템 동바리를 이용한 비계 발판 가새부재
KR200490054Y1 (ko) * 2018-12-21 2019-09-17 대동폼웍스 주식회사 벽체 지지대를 갖는 돌출 시공용 갱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534A (ko) 200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0291B1 (en) Frames and structures assembled by same
KR100809886B1 (ko) 교각 코핑 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교각을 시공하는방법
CZ282858B6 (cs) Podpěrná soustava
JPH11241499A (ja) 支保工
EP1016766A1 (en) Frames and structures assembled by same
JP3700952B2 (ja) 支保工
EP0252748B1 (en) A support system
KR100606985B1 (ko)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의해 조립되는 구조체
KR0140904B1 (ko) 엘리베이터 피트용 비계
JPH08284439A (ja) 重荷重形型枠支保工ならびにその部材
JP6590512B2 (ja) 階段仮設足場
JPH0547704B2 (ko)
JP3514887B2 (ja) 支保工システム
EP0505876B1 (en) Prefabricated staircase
JPH1150653A (ja) 足場板支持フレーム及びその取付・撤去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鉄筋コンクリート壁体の構築方法
RU2183712C2 (ru) Рамы и сборные рамные конструкции
JPH1136572A (ja) 枠組足場用階段構造
AU775612B2 (en) Frames and structures assembled by same
RU2199638C1 (ru) Комплект элементов для инвентарных подмостей ручной сборки
JPH07279418A (ja) 仮設構造物
CA2267466A1 (en) Frames and structures assembled by same
JP7048003B2 (ja) 隣地空きなし高層建物用の上下移動式外足場
JP2521896Y2 (ja) 足場装置
SU754020A1 (ru) Разборные строительные леса
JP2542018Y2 (ja) 積上式仮設支持枠の端部支持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