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5417B1 - 데이터 기록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기록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5417B1
KR100605417B1 KR1020030019457A KR20030019457A KR100605417B1 KR 100605417 B1 KR100605417 B1 KR 100605417B1 KR 1020030019457 A KR1020030019457 A KR 1020030019457A KR 20030019457 A KR20030019457 A KR 20030019457A KR 100605417 B1 KR100605417 B1 KR 100605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write
conversion
modulation
regi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9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8747A (ko
Inventor
시라이시다꾸야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8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8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G11B20/1403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levels
    • G11B20/1423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 G11B20/1426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conversion to or from block codes or representation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62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 G11B2020/10814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involving specific measures to prevent a buffer underru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 매체의 데이터 기록 영역의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 기록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변조 제어부(12)는 MPU(18)로부터의 기입 개시 명령 WTST를 받아 트리거 발생부(20)에 대하여 개시 트리거 허가 STEN을 상승시킨다. 트리거 발생부(20)는 개시 트리거 허가 STEN이 출력되고 있는 기간에 카운터(17)의 카운트값 CNT와 기입 개시 위치에 대응하는 값 STOS가 일치하면, 개시 트리거 ST를 상승시킨다. 이것을 받아, 8-16 변조부(11)는 파라미터 레지스터(21)에 설정된 초기값을 판독하여 이것을 데이터 변조를 위한 파라미터로서 갱신함과 함께, 이것을 이용하여 변환된 기입 데이터를 출력부(16)가 출력 데이터 SIGOUT로서 출력한다.
변조 데이터, 기록 정지 명령, 기록 개시 명령, 변환 파라미터

Description

데이터 기록 제어 장치{DATA RECORDING CONTROLL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록 제어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그 시스템 구성을 주변 장치와 동시에 예시하는 블록도.
도 2는 상기 데이터 기록 제어 장치의 기입 종료 동작을 예시하는 타이밍차트.
도 3은 동 데이터 기록 제어 장치의 기입 개시 동작을 예시하는 타이밍차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록 제어 장치의 변형예에 대하여, 그 시스템 구성을 주변 장치와 동시에 예시하는 블록도.
도 5는 종래의 DVD 기록 장치에서의 기입 데이터의 기록 모습을 개념적으로 예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변조 회로로서의 8-16 변조부
12 : 변조 제어부
13 : DRAM
14 : 버퍼
15 : 기입 타이밍 발생부
16 : 출력부
17 : 카운터
18 : 마이크로 프로세서(MPU)
19 : 기록 위치 레지스터
20 : 트리거 생성 회로로서의 트리거 발생부
21 : 파라미터 레지스터
22 : 메모리 인터페이스(I/F)
본 발명은, 데이터가 변조되어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데이터 기록 장치에 대하여 그 기록 동작을 제어하는 데이터 기록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록 매체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경우, 기록 대상인 데이터(원 데이터)가 그 상태 그대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것이 아니라, 원 데이터에 변조 등의 변환이 실시되어 그 변환 후의 데이터(기입 데이터)가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경우가 많다. 이 때, 원 데이터에 실시되는 변환은, 기록 밀도의 향상이나 신뢰성의 확보 등을 의도하여 행해진다.
예를 들면, 광 디스크의 하나인 DVD(Digital Versatile Disk)를 기록 매체로서 이용하는 기록 장치(DVD 기록 장치)에서는, 기록 매체에의 기록 시에, 소정의 오류 정정 부호 등을 부가한 원 데이터에 대하여 8-16 변조를 실시하고, 또한 그 변조된 데이터에 NRZI 변환을 행하여 이것을 기입 데이터로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8-16 변조는, 8비트의 데이터를 소정의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16비트의 데이터에 대응시키는 데이터 변조 방식의 하나이다. 이 8-16 변조가 실시된 16비트의 데이터에서는, 「1」과 「1」 사이의 「0」의 연속 수가 2 이상 10 이하의 범위로 된다. 또한, NRZI 변환은, 소정의 규칙에 기초하여 일련의 데이터 열을 기록하기 쉬운 형태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들 8-16 변환 및 NRZI 변환을 거쳐 얻어지는 DVD의 기입 데이터는, 원 데이터와 비교하여 용장성이 증대되어 있지만, 적정성의 판단이나 기록 동작 등이 용이하여, 신뢰성이 높은 기록이 가능해진다.
상기 8-16 변조에서 이용되는 변조 방식에서는, 복수의 변환 테이블이 설정되며, 하나의 8비트 데이터에 대하여 복수의 16비트 데이터 변환 패턴이 준비된다. 그리고, 변조 대상 데이터보다 이전의 변조 데이터에 부가되는 변환 번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변환 패턴 중에서 하나가 결정된다. 또한, 여기서 적용되는 변환 번호는 변조 대상 데이터 이전의 변조 데이터의 비트 배열 등이 참조되어 설정된다.
또한, NRZI 변환에서는, 변환 후의 데이터는 그 직전의 데이터값에 의존하여 정해진다.
따라서, DVD 기록 장치에서는, 기입을 원하는 원 데이터를 기입 데이터로 변환할 때, 상기 변환 번호나 직전의 데이터 등을 변환 파라미터로서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기록 동작을 실현하기 위해 DVD 기록 장치에 이용되는 데이터 기록 제어 장치에서는, 원 데이터의 변환을 실행할 때마다 변환 후의 상기 각 변환 파라미터를 유지하여 이것을 다음 원 데이터의 변환을 위해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 에 의해, 이들 변환 파라미터가 순차 제공됨으로써, 원 데이터로부터의 기입 데이터로의 변환이 변환 규칙이 유지되어 연쇄적으로 행해진다.
그런데, 이러한 DVD 기록 장치에서, 이미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기입 데이터에 연속하여 기록을 행할 때는, 이들 기입 데이터의 연결점에서 상술한 변환 파라미터의 연속성이 손상되게 된다.
따라서, 종래, DVD 기록 장치에서는, 전회의 기록 동작에 연속하여 다음 기록 동작을 행할 때는, 변환 파라미터의 불연속성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기입 데이터의 연속성에의 영향이 회피되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기록 동작을 정지할 때에는 블록 설정된 기록 매체 내에서 항상 소정의 위치에서 기입 데이터의 기입을 완료시킨다. 이 때, 말미의 기입 데이터에 연속하여 기입을 종료해야 할 상기 소정의 위치까지 의미가 없는 더미 데이터(링크 데이터)의 기입이 행해진다.
이하, 이러한 DVD에서의 상기 기록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DVD에서는, 디스크 상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위치가, 30000H를 선두 어드레스로 하는 일련의 섹터 번호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여기서, 「H」는 16진수에 의한 표기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어드레스에 대응시켜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2048바이트의 데이터로 구성되는 데이터의 집합에 소정의 헤더 등을 부가한 것을 1섹터로서 취급한다. 그리고, 16개의 연속하는 섹터에 내부 패리티 및 외부 패리티를 부가하여 이것을 1개의 블록(데이터 블록)으로 한다. 또한, 이 블록에 포함되는 외부 패리티는 섹터마다 재배치되어, 이들 내부 패리티와 외부 패리티를 포함하는 섹터의 각각이 하나의 기록 섹터로서 취급된다.
상기 각 기록 섹터는, 92바이트마다 선두에 싱크 코드가 삽입된 후, 변조 등이 실시되어 물리 섹터로 되어 상기 30000H를 선두로 하는 어드레스에 대응된다. 또한, 상기 싱크 코드가 부가된 92바이트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단위는 프레임으로 불리며, 하나의 물리 섹터는 26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도 5는 이러한 블록의 개념을 포함하는 DVD 데이터 포맷을 갖는 DVD 기록 장치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록 종료 및 기록 재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데이터의 기록 동작 시에는, 유효 데이터 기입 및 링크 데이터 기입의 2개의 기입 처리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유효 데이터란, 기록하고자 하는 원 데이터에 대하여 상술한 8-16 변조나 NRZI 변환 등의 처리가 실시되어 기록에 적합한 기입 데이터로 변환된 것이다. 도 5에서는, 유효 데이터의 기입이 i번째의 블록의 도중 위치 A에서, 일단 종료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유효 데이터의 기입 처리가 중단되었을 때는, 기입 중단 위치 A에 연속하여 링크 데이터(예를 들면, 모두 「0」)를, 상기 소정의 위치까지 기입한다. 도 5에서는, 그 소정의 위치가 부호 B로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i번째의 블록의 기입 위치 A로부터 (i+1)번째의 블록을 지나 (i+2)번째의 블록의 기입 위치 B에 이르기까지의 영역에 링크 데이터가 기입된다. 그리고, 이 링크 데이터를 부가하여 기입을 종료함으로써, 다음 기입을 개시(추기)할 때의 변환 규칙의 불연속성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영향을 회피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DVD 기록 장치에서는, 링크 데이터를 부가함으로써 기입이 블록 단위로 행해짐으로써, 데이터를 추기할 때의 변환 규칙이 불연속으로 되어도 그 영향을 받지 않도록 기록 동작이 행해진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기입 데이터로서, 상기 유효 데이터에 연속하여 링크 데이터를 부가함으로써, 기입 중단(정지) 위치를 항상 상술한 소정의 위치로 유지하여, 변환 규칙의 불연속성에 기인하는 기록 동작에의 영향을 회피하는 것은 확실히 가능하다. 단 이 경우, 링크 데이터의 기입이 불가피해지기 때문에, 기록 영역으로서의 디스크의 이용 효율이 저감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디스크 매체의 데이터 기록 영역의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 기록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소정 비트 수의 데이터에 대하여 변조 처리를 실시하여 비트 길이가 변경된 변조 데이터를 생성하고, 소정 수의 데이터로 구성되는 데이터 블록이 설정되는 디스크 매체로의 상기 변조 데이터의 기록 동작을 제어하는 데이터 기록 제어 장치로서, 상기 소정 비트 수의 1데이터의 변조 처리마다 갱신되는 변환 파라미터에 따라 변조 처리를 실시하여, 변조 데이터를 생성하는 변조 회로와, 기록 정지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기록 동작을 데이터 블록의 도중에서 정지시킴과 함께, 기록 개시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기록 동작의 정지 위치로부터 상기 기록 동작을 개시시키는 제어 회로와, 상기 기록 동작이 정지되었을 때의 변환 파라미터가 저장되는 파라미터 레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변조 회로는, 상기 기록 동작이 개시될 때, 상기 파라미터 레지스터에 저장되어 있는 변환 파라미터를 초기값으로 하여 상기 변조 처리를 개시함으로써, 디스크 매체의 데이터 기록 영역의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록 제어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 1∼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매체로서 DVD-R(Recordable)을 이용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에 채용되는 데이터 기록 제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기록 매체로서 DVD-R을 이용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DVD-R 등을 기록 매체로서 이용하는 DVD 기록 장치에서는, 기록 대상인 원 데이터에 상술한 변조나 변환이 실시되어 기록에 적합한 기입 데이터로 변환되고, 이것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이 경우, 기록 매체로서 이용되는 DVD-R에는 디스크 상에서의 데이터의 기록 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정보가, 디스크의 제조 시에 랜드 프리 피트(LPP)로서 제작되어 있다. DVD 기록 장치는, 이 LPP에서 얻어진 어드레스 신호를 디코더 등에 의해 디코드하여, 이것을 기록 위치의 인식에 이용한다.
또한, 이 때 행해지는 원 데이터로부터의 기입 데이터로의 변환(이하, 간단하게 「데이터 변환」이라고 함)에서는, 8-16 변조나 NRZI 변환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이 데이터 변환 시에는, 직전에 행해진 변환 결과로써 순차 정해지는 몇 개의 변환 파라미터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8-16 변조에서의 8비트의 데이터로부터 16비트로의 변조에서는 복수의 변환 테이블이 이용된다. 그리고, 이들 변환 테이블은, 해당 8비트의 데이터에 대응한 16비트의 데이터를 지정함과 함께, 변환 번호를 참조하여 다음에 사용하는 변환 테이블을 지정함으로써 일련의 데이터에 대한 변환을 연쇄적으로 행한다. 단, 다음에 사용하는 변환 테이블의 번호는 복수 지정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그 테이블 변환된 16비트의 데이터도 그 변환 직후에는 단 1개로 정해진다고는 할 수 없다. 이렇게 해서, 테이블 변환된 몇 개의 데이터는, 변조 데이터의 후보로서 소정 기간 보유된다. 그리고, 이들 변조 데이터의 후보 중 하나는, 소정의 규칙에 따라 소정 타이밍에서 실제로 채용되는 변조 데이터로서 결정되며, 다른 데이터는 파기된다. 또한, 연속해서 행해지는 NRZI 변환 시에는, 직전의 값이 「0」인지 「1」인지에 따라 변환 결과가 결정된다. 따라서, 전회 행해진 기록 동작에 연속하여 다음 기록 동작을 행할 때는, 이들 8-16 변조나 NRZI 변환을 포함하는 원 데이터로부터 기입 데이터로의 변환을 일련의 변환 규칙으로 행하기 때문에, 변환을 위한 파라미터(변환 파라미터)를 초기값으로서 정확하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기입 단위로서 상술한 블록의 설정된 DVD-R에 대하여, 전회 기입이 이루어진 데이터 기록 영역에 연속하여, 기입 데이터를 추기하는 경우에 대해 생각한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는, 전회 이루어진 기록에는 링크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고, 유효 데이터의 기입이 블록의 도중을 포함하는 임의의 기록 위치까지 행해진다.
도 1은 상기 데이터 변환을 행하는 데이터 기록 제어 장치와 그 주변부의 구 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서 1점쇄선으로 둘러싸여 있는 부분이 본 실시예에서 예시하는 데이터 기록 제어 장치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데이터 기록 제어 장치는, 8비트의 원 데이터를 DVD-R에 기록하기 위한 16비트의 기입 데이터로 데이터 변환하는 8-16 변조부(11)와, 이 데이터 변환 처리를 제어하는 변조 제어부(12)와, 기록 대상의 원 데이터를 외부(DRAM(13))에 요구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I/F)(22)와, 메모리 I/F(22)를 통해 출력되는 원 데이터를 축적하여 8-16 변조부(11)에 공급하는 버퍼(14)와, 어드레스 디코더 등으로부터 어드레스 신호 ADD를 받아 디스크 상의 블록의 단락을 검출함과 함께 그것에 기초하는 동기 신호(인코드 싱크 ES)를 생성하는 기입 타이밍 발생부(15)와, 8-16 변조부(11)로부터 받은 데이터 변환 출력을 소정 타이밍에서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1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또한, 이 데이터 기록 제어 장치는, 이들 구성 요소 외에, 8-16 변조부(11)의 출력에 따라 이것을 기입 데이터의 단위(16비트=1워드)로 카운트하는 카운터(17)와, 외부에 접속되어 있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PU)(18)로부터 제공되는 기입 개시 위치에 대응하는 값 및 기입 종료 위치(정지 위치)에 대응하는 값을 보유하는 기록 위치 레지스터(19)와, 카운터(17)에 의한 카운트값을 기록 위치 레지스터(19)에 저장되어 있는 값과 비교하여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는 트리거 발생부(20)와, 일련의 데이터에 대한 변환 규칙을 유지하기 위해 변환 파라미터를 초기값 또는 종료값으로서 보유하는 파라미터 레지스터(21)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8-16 변조부(11)는, 상술한 데이터 변환, 즉 8-16 변조 및 NRZI 변 환 등을 포함하는 기입 데이터 생성을 위한 일련의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구성 요소 중의 변조 제어부(12), 기록 위치 레지스터(19), 혹은 카운터(17) 등이 제휴하여 동작함으로써, 이 데이터 기록 제어 장치의 제어 회로로서 기능하도록 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에서의 데이터 기록 제어 장치에 대하여, 기입 종료 처리 및 그에 연속하여 행해지는 기입 개시 처리를 설명한다.
도 2는 소정의 수순으로 개시된 기록 동작의 기입 처리가 행해지고 있을 때에, 그 기입 처리가 정지될 때의 데이터 기록 제어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2에서는, 블록 N에 대한 기록 동작이 개시되는 N번째의 블록 기간에, MPU(18)로부터 기록 동작의 정지 명령이 출력되는 경우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기록 동작의 제어를 행하기 위해 기입 타이밍 발생부(15)는, 어드레스 디코더 등으로부터의 어드레스 신호 ADD를 받으면 인코드 싱크 ES를 생성한다(도 2의 (a)). 이 인코드 싱크 ES는, 블록 단위로 부가되는 주기 신호이며, 이 데이터 기록 제어 장치에서의 처리의 기본적인 동기 신호로서, 변조 제어부(12)나 카운터(17) 등에 입력된다. 그리고, 이 인코드 싱크 ES에 호응하여, 변조 제어부(12)는, 도 2에 도시한 N번째의 블록 기간에서, MPU(18)에 대하여 인터럽트 요구 IREQ를 출력한다(도 2의 (b)). 또한, 카운터(17)는 그 카운트값을 인코드 싱크 ES에 동기하여 리세트한다(도 2의 (k)).
이 N번째의 블록 기간에서, 상기 인터럽트 요구 IREQ에 호응하여 MPU(18)가 변조 제어부(12)에 대하여 기입 종료 명령 WTED를 상승시킨다(도 2의 (d)). 이러한 정황으로서는, 예를 들면, DVD 기록 장치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 동작에 대하여 도시하지 않은 컴퓨터 시스템측으로부터 정지 요구가 발생되는 경우 등이 상정된다. 또한, 이 기입 종료 명령 WTED는, 다음의 인터럽트 요구 IREQ에 호응하여 MPU(18)가 이것을 하강시킨다(도 2의 (b), (d)).
또한 MPU(18)는, 변조 제어부(12)에 기입 종료 명령 WTED를 출력하는 것과 동시에, 기록 위치 레지스터(19)에 대하여 기입 종료 위치에 대응하는 값 EDPOS를 출력한다(도 2의 (h)). 이 기입 종료 위치에 대응하는 값 EDPOS는, 기입 동작이 정지되는 데이터 위치에 따라 설정되는 것이다.
변조 제어부(12)는, 상기 기입 종료 명령 WTED를 받아 버퍼(14)에 대한 데이터의 판독 요구를 취소한다. 또한, 버퍼(14)는 이에 따라 DRAM(13)에 데이터 송신 요구를 정지한다. 그리고, 버퍼(14)는, 상기 데이터 송신 요구에 호응하여 보내어져 온 8비트의 데이터 열에 대하여, 이들을 최후까지 8-16 변조부(11)에 대하여 출력한다. 이 때, DRAM(13)에 대한 데이터의 판독은 1블록 단위로 행해지기 때문에, 이 1블록분의 데이터의 판독이 완료될 때까지 버퍼(14)는 동작을 계속한다.
이 8-16 변조부(11)에 대한 데이터 열의 입력이 행해지고 있는 단계에서는, 여전히 8-16 변조부(11)로부터 데이터 변환된 16비트의 변조 데이터 SIG가 출력되고 있으며, 기입 게이트 WTEN도 상승된 상태에 있다(도 2의 (n), (o)). 그 때문에, 출력부(16)로부터 외부로는 계속해서 출력 데이터 SIGOUT가 출력되고 있다(도 2의 (p)).
여기서, MPU(18)로부터의 기입 종료 명령 WTED가 상승되어 있으면, 다음의 인코드 싱크 ES에 의해 개시되는 (N+1)번째의 블록 기간에서, 변조 제어부(12)는 인코드 싱크 ES에 동기하여 데이터의 기입 처리의 종료 트리거를 허가하는 종료 트리거 허가 EDEN을 상승시킨다(도 2의 (d), (j)). 그리고, 그 인코드 싱크 ES에 동기하여 리세트된 카운터(17)의 카운트값 CNT가 순차 인크리먼트되어, 이윽고 N번째의 블록 기간에서 설정된 값 EDPOS에 도달한다(도 2의 (k)). 이 때, 종료 트리거 허가 EDEN이 상승되어 있으면, 트리거 발생부(20)는 데이터의 기입을 종료하는 트리거 신호가 되는 종료 트리거 ED를 상승시킨다(도 2의 (j), (k), (m)). 이 종료 트리거 ED를 받아, 8-16 변조부(11)는 그 시점에서의 데이터 변환의 파라미터를 파라미터 레지스터(21)에 종료값 EDVAL로서 기입한다(도 2의 (m), (q)). 이 파라미터 레지스터(21)에 저장된 종료값 EDVAL은, 다음 블록 기간에서의 인터럽트 요구 IREQ가 출력되는 타이밍에서, MPU(18)에 판독된다. 또한, 상기 종료 트리거 ED의 상승에 동기하여, 카운터(17)는 그 때의 카운트값 LCNT를 소정의 영역에 보유한다. 이 카운트값 LCNT는, 상기 종료값에 EDVAL이 MPU(18)에 판독되는 타이밍과 동일한 타이밍에서 MPU(18)에 판독된다.
또한, 이 카운트값 LCNT는, MPU(18)에서 EDPOS와 비교되어, 의도한 부분까지의 기입이 적정하게 행해진 것을 확인하기 위해 이용된다. 즉, 이 확인된 카운트값 LCNT는, 어디까지의 데이터가 변조되어 출력되었는지를 나타내며, 데이터의 기입이 정지된 위치에 연속하여 기입을 개시하는 경우, 그 때의 기입 개시 위치를 지정하는 값으로서 이용된다. 또한, 상기 종료 트리거 ED의 상승에 동기하여, 기입 타이밍 발생부(15)가 기입 게이트 WTEN을 하강시킨다(도 2의 (m), (o)). 이에 응답하여, 출력부(16)가, 8-16 변조부(11)로부터 보내어져 오는 16비트의 변조 데이터 SIG의 외부로의 출력을 차단한다(도 2의 (o), (p)).
이렇게 해서, 출력 데이터 SIGOUT의 출력이 정지되는 타이밍에 동기하여, 기입 종료 시의 변환 파라미터가 종료값 EDVAL로서 파라미터 레지스터(21)에 저장됨과 함께, 기입 종료 위치를 나타내는 카운트값 LCNT(=EDPOS)가 MPU(18)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기입 종료 위치의 지정 시에, 예를 들면, 기록 종료의 데이터 위치가 블록의 선두로부터 세어 A워드째인 경우, 값 EDPOS는 카운터(17)의 카운트 단위(워드)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A」로 된다. 단, 이 값 EDPOS 및 카운터(17)의 단위를 워드로 할 필요는 반드시 없다. 예를 들면, 카운터(17)가 섹터 단위 혹은 프레임 단위로 카운트값을 인크리먼트하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는, 값 EDPOS도 그것과 동일한 단위로 제공함으로써, 이들을 단위로 하는 기입 종료 위치의 지정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3은 상술한 기입 종료 처리에 연속하여 기입을 개시하는 경우의 타이밍차트를 예시한 것이다.
우선, 블록 n에 대한 기록 동작이 개시되는 n번째의 블록 기간의 인코드 싱크 ES에 응답하여, 변조 제어부(12)는 MPU(18)에 대한 인터럽트 요구 IREQ를 출력한다(도 3의 (b)). 그리고, 이 인터럽트 요구 IREQ에 호응하여 MPU(18)가 변조 제어부(12)에 대하여 기입 개시 명령 WTST를 상승시킨다(도 3의 (c)). 이러한 정황 으로서는, 예를 들면, DVD 기록 장치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 동작에 대하여 도시하지 않은 컴퓨터 시스템측으로부터 개시 요구가 발생되는 경우 등이 상정된다. 또한, 이 기입 개시 명령 WTST는, 다음의 인터럽트 요구 IREQ에 호응하여 MPU(18)가 이것을 하강시킨다(도 3의 (b), (c)).
상기 기입 개시 명령 WTST를 받아, 변조 제어부(12)는, 버퍼(14)에 데이터의 판독을 명령하고, 버퍼(14)는 이에 따라 메모리 I/F(22)를 통해 DRAM(13)에 데이터 송신 요구를 한다. 그리고, 버퍼(14)는, 보내어져 온 8비트의 데이터 열을 축적하고, 소정량의 데이터가 축적되면 변조 제어부(12)에 그 취지의 신호를 송신한다. 이 송신된 신호를 받아 변조 제어부(12)는, 버퍼(14)에 충분한 양의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 BUFEN을 8-16 변조부(11)에 대하여 출력한다. 또한, MPU(18)로부터는 동일 변조 제어부(12)에 대하여 변조 명령 MOD가 출력된다(도 3의 (e)).
또한, MPU(18)는, 기록 위치 레지스터(19)에 대하여 기입 개시 위치에 대응하는 값 STPOS를 출력함과 함께, 파라미터 레지스터(21)에 대하여 초기값 STVAL을 출력한다(도 3의 (f), (g)). 여기서, 기입 개시 위치에 대응하는 값 STPOS란, 추기 동작이 개시될 때의 데이터 위치에 따라 설정되는 것이며,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카운트값 LCNT(=EDPOS)가 그 값으로서 이용된다. 예를 들면, 기록 개시 데이터 위치가 블록의 선두로부터 세어 A워드째인 경우, 값 STPOS는 「A」로 된다. 또한, 이 값 STPOS는 카운터(17)의 카운트 단위(워드)에 대응하여 설정된다. 단, 이 기입 개시 시에도, 값 STPOS 및 카운터(17)의 단위를 워드로 할 필요는 반드시 없으 며, 값 EDPOS에 대응하여 섹터 혹은 프레임을 하나의 단위로 해도 된다. 한편, 파라미터 레지스터(21)에 설정되는 초기값 STVAL은, 직전에 행해진 기록 동작에서의 최후의 데이터에 대한 변조 처리가 완료된 시점에서의 변환 파라미터의 값으로,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종료값 EDVAL이 이용된다.
계속해서, (n+1)번째의 블록 기간의 인코드 싱크 ES의 동기 타이밍에서, 변조 명령 MOD가 상승되어 있으면 8-16 변조부(11)는, 각각 8비트의 데이터에 대한 변조 처리를 순차적으로 행한다. 그리고, 변조 처리된 16비트(1워드)의 변조 데이터가 순서대로 변조 데이터 SIG로서 출력된다(도 3의 (n)). 단, 이 데이터 변환 개시 시에 이용되는 변환 파라미터는 직전의 기록 동작 시에 이용된 일련의 변환 규칙을 유지하고 있다고는 할 수 없기 때문에, 데이터 변환되어 얻어지는 기입 데이터도 적정한 값이라고는 할 수 없다(도 3의 (n)에서 「×」로 도시). 그리고, MPU(18)로부터 제공되는 기입 개시 명령 WTST가 상승되어 있으면, 변조 제어부(12)는 인코드 싱크 ES에 동기하여 데이터의 기입 처리의 개시 트리거를 허가하는 개시 트리거 허가 STEN을 출력한다(도 3의 (c), (i)).
또한, 이 8-16 변조부(11)의 변조 개시와 동시에, 카운터(17)는 인코드 싱크 ES에 동기하여 카운트값 CNT의 인크리먼트를 개시한다(도 3의 (k)). 이 카운터(17)의 카운트값 CNT는, 8-16 변조부(11)의 출력을 카운트함으로써 순차적으로 인크리먼트되어, 이윽고 MPU(18)가 n번째의 블록 기간에서 설정한 값 STPOS에 도달한다(도 3의 (k)). 이 때, 개시 트리거 허가 STEN이 상승되어 있으면, 트리거 발생부(20)는 데이터의 기입 개시의 트리거 신호가 되는 개시 트리거 ST를 상승시 킨다(도 3의 (i), (k), (l)). 이 개시 트리거 ST에 따라, 8-16 변조부(11)는, 파라미터 레지스터(21)로부터 초기값을 판독하여 이것을 그 때의 변환 파라미터로서 갱신한다. 이 타이밍에서는, 파라미터 레지스터(21)에는, 앞의 n번째의 블록 기간에서 MPU(18)에 의해 기입된 변환 파라미터가 직전의 기록 동작 시에 이용된 일련의 변환 규칙을 유지하기 위한 초기값으로서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이후, 직전의 기록 동작 시에 이용되었던 일련의 변환 규칙을 계속한 상태에서 데이터 변환이 행해지게 된다(도 3의 (g), (l), 및 도 3의 (n)의 「○」부). 또한, 상기 개시 트리거 ST의 상승에 따라, 기입 타이밍 발생부(15)가 기입 게이트 WTEN을 상승시킨다(도 3의 (l), (o)). 이 기입 게이트 WTEN의 상승에 따라, 출력부(16)는, 8-16 변조부(11)로부터 보내어져 오는 16비트의 변조 출력 SIG을 출력 데이터 SIGOUT로서 출력한다(도 3의 (o), (p)).
이렇게 해서, 8-16 변조부(11)가 개시 트리거 ST에 동기하여 파라미터 레지스터(21)에 저장되어 있는 값 STVAL을 판독하여, 이것을 변환 파라미터의 초기값으로서 적용한 후의 변조 데이터 SIG만이, 출력부(16)로부터 출력 데이터 SIGOUT로서 출력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전회의 기록 동작의 종료 시에서의 기입 종료 위치 EDPOS와 그 시점에서의 변환 파라미터의 종료값 EDVAL이 기억되어, 다음에 기록 재개 시에 이들이 각각 기입 개시 위치 STPOS 및 변환 파라미터의 초기값 STVAL로서 데이터 기록 제어 장치에 제공된다. 이에 의해, 링크 영역을 설치하지 않고, 직전에 행해진 기록 동작에서의 최후의 데이터에 연속하여, 그 때 이용되었던 일련의 변환 규 칙을 유지한 데이터 변환이 행해진 데이터가 DVD-R에 기록되게 된다.
덧붙여서 말하면, 기록 위치 레지스터(19)가, 기입 개시 위치 및 종료 위치에 대응하는 값 STPOS 및 값 EDPOS를 저장하는 영역으로서 각각 따로따로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하나의 블록 기간에서 기입 개시 및 종료를 행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n번째의 블록 기간과 N번째의 블록 기간이 동일한 블록 기간인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즉, (n+1)번째의 블록 기간(=(N+1)번째의 블록 기간)의 기입 개시 위치에 대응하는 값 STPOS에 지정된 타이밍에서 기입이 개시되며, 또한 기입 종료 위치에 대응하는 값 EDPOS에 지정된 타이밍에서 기입이 종료된다. 단 이 경우, 적정하게 데이터의 기입을 행하기 위해서는, 기입 개시 위치에 대응하는 값 STPOS와 기입 종료 위치에 대응하는 값 EDPOS의 관계를
STPOS<EDPOS
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 제어 장치에 따르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1) DVD-R을 기록 매체로서 이용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에서, 링크 영역을 형성하지 않고, 직전에 행해진 기록 동작에 연속하는 기록 동작을 임의의 타이밍에서 행할 수 있게 된다.
(2) 게다가 이 때, 직전의 기록 동작에 의해 기입된 말미의 기입 데이터와, 그것에 연속하는 기록 동작에 의해 기입되는 선두의 기입 데이터는,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일련의 변환 규칙이 유지되어 있다. 즉, 이들 기록 동작에서의 기입 데 이터의 연결점에서, 데이터 변환 시의 데이터의 연속성이 확실하게 확보된다.
(3) 링크 영역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록 영역의 효율적인 이용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4) 8-16 변조부(11)로부터 출력되는 변조 데이터 SIG가, 기입 타이밍 발생부(15)에 의해 생성되는 기입 게이트 WTEN에 의해 적확한 타이밍에서 출력 제어되어, MPU(18)가 지정하는 범위의 데이터만이 출력 데이터 SIGOUT로서 기록되게 된다.
(5) MPU(18)가, 기록 동작에 관한 진척 정황을 하나하나 관리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DVD-R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 시의 MPU(18)의 부담이 경감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이하와 같이 변경하여 실시해도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종료 트리거 ED에 동기하여 파라미터 레지스터(21)에 저장되는 변환 파라미터의 종료값 EDVAL은, MPU(18)가 이것을 일단 판독하여 기입을 재개할 때에 재차 파라미터 레지스터(21)에 기입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때 8-16 변조부(11)에 의해 기입되는 종료값 EDVAL을, 기입의 재개까지 파라미터 레지스터(21)가 유지되어 있는 구성에서는, MPU(18)는 그 종료값 EDVAL을 판독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기입할 필요도 없다. 이 경우, MPU(18)가 행하는 제어의 부담을 보다 경감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기록 위치 레지스터(19)가 외부로부터 기입 및 판독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기입 종료 위치에 대응하는 값 EDPOS로서, 카운터(17)로부터 카운트값 LCNT가 전송되는 구성에서는, 이것을 기록 재개 시의 기입 개시 위치에 대응하는 값 STPOS로서 이용함으로써, 기입 종료 시의 종료 위치를 의식하지 않고 추기 동작을 MPU(18)로부터 행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MPU(18)가 행하는 제어의 부담을 보다 경감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예시한 데이터 기록 제어 장치는, 그 내외에 버퍼 언더런의 검출 기능 및 그 발생 타이밍 등을 유지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회로를 부가해도 된다. 이들 부가하는 회로를 적절하게 이용함으로써, 기입 데이터가 도중에서 끊어진 타이밍에서의 변환 파라미터를 파라미터 레지스터(21)에 유지함과 함께, 그 유지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도중에서 끊어진 다음 기입 데이터를 이미 기입을 종료한 위치에 연속하여 재차 기입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버퍼 언더런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와 아주 동일하게, 기입 중단의 전후에서 변환 규칙의 연속성이 유지된 정확한 기입 데이터의 기록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버퍼 언더런이란, 버퍼(14)로부터 8-16 변조부(11)에 공급하는 데이터가 기입 처리의 도중에서 부족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종료 트리거 ED에 호응하여 파라미터 레지스터(21)에 기입된 변환 파라미터가 일단 MPU(18)에 판독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의 변환 파라미터가 파라미터 레지스터(21)에 유지된 상태 그대로, 다음에 그것에 추기하기 위한 기록 동작의 개 시 트리거 STED에 동기하여 8-16 변조부(11)가 상기 변환 파라미터를 판독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MPU(18)는 파라미터 레지스터(21)와의 데이터 수수를 행할 필요가 없어, 이 기록 동작에 대한 MPU(18)의 부담이 보다 경감되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DVD-R을 기록 매체로서 이용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DVD-R에 한정되지 않고, 변환 파라미터를 기초로 원 데이터를 기입 데이터로 변환하여 이 변환된 기입 데이터를 블록 설정되는 기록 매체에 기입하는 데이터 기록 동작을 제어하는 임의의 데이터 기록 제어 장치에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르면, 연속성이 확보된 변조 데이터만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특정 링크 영역을 형성하지 않고 데이터의 추기가 가능해져, 디스크 매체의 데이터 기록 영역의 효율적인 사용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9)

  1. 소정 비트 수의 데이터에 대하여 변조 처리를 실시하여 비트 길이가 변경된 변조 데이터를 생성하고, 소정 수의 데이터로 구성되는 데이터 블록이 설정되는 디스크 매체로의 상기 변조 데이터의 기록 동작을 제어하는 데이터 기록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정 비트 수의 1데이터의 변조 처리마다 갱신되는 변환 파라미터에 따라 변조 처리를 실시하여, 변조 데이터를 생성하는 변조 회로와,
    기록 정지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기록 동작을 데이터 블록의 도중에서 정지시킴과 함께, 기록 개시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기록 동작의 정지 위치로부터 상기 기록 동작을 개시시키는 제어 회로와,
    상기 기록 동작이 정지되었을 때의 변환 파라미터가 저장되는 파라미터 레지스터
    를 포함하며,
    상기 변조 회로는, 상기 기록 동작이 개시될 때, 상기 파라미터 레지스터에 저장되어 있는 변환 파라미터를 초기값으로 하여 상기 변조 처리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레지스터에 저장되는 상기 기록 동작이 정지되었을 때의 변환 파라미터는, 일단 외부로 판독되어 그 판독된 변환 파라미터가 재차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레지스터에 저장되는 상기 기록 동작이 정지되었을 때의 변환 파라미터는, 상기 변조 회로로부터 기입되어 이것이 유지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제어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기록 동작의 정지 위치가 저장되는 기록 위치 레지스터와,
    상기 변조 회로의 출력에 따라 카운트 동작하는 카운터와,
    상기 기록 동작이 개시될 때, 상기 카운터의 카운트값 및 상기 기록 위치 레지스터에 저장되는 정지 위치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개시 트리거를 생성하는 트리거 발생부를 구비하며,
    상기 변조 회로는, 상기 개시 트리거에 응답하여 상기 파라미터 레지스터로부터 변환 파라미터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변조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변조 데이터를 상기 개시 트리거에 응답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제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위치 레지스터가, 외부로부터 기입 및 판독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제어 장치.
  7. 소정 비트 수의 데이터에 대하여 변조 처리를 실시하여 비트 길이가 변경된 변조 데이터를 생성하고, 소정 수의 데이터로 구성되는 데이터 블록이 설정되는 디스크 매체로의 상기 변조 데이터의 기록 동작을 제어하는 데이터 기록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정 비트 수의 1데이터의 변조 처리마다 갱신되는 변환 파라미터에 따라 변조 처리를 실시하여, 변조 데이터를 생성하는 변조 회로와,
    상기 기록 동작이 정지되었을 때의 변환 파라미터가 저장되는 파라미터 레지스터와,
    상기 변조 회로를 데이터 블록의 도중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정지 위치가 저장되는 기록 위치 레지스터와,
    상기 변조 회로의 출력에 따라 카운트 동작하는 카운터와,
    상기 카운터의 카운트값 및 상기 기록 위치 레지스터에 저장되는 정지 위치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정지 트리거를 생성하는 트리거 생성 회로
    를 포함하며,
    상기 변조 회로는, 상기 정지 트리거에 응답하여 상기 파라미터 레지스터에의 변환 파라미터의 기입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위치 레지스터에는, 상기 기록 동작이 개시될 때에 상기 정지 위치가 그 개시 위치로서 저장되며,
    상기 트리거 생성 회로는, 상기 카운터의 카운트값 및 상기 기록 위치 레지스터에 저장되는 개시 위치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 동작을 개시시키는 개시 트리거를 생성하고,
    상기 변조 회로는, 상기 개시 트리거에 응답하여 상기 파라미터 레지스터의 값을 판독하여 이것을 상기 변환 파라미터의 초기값으로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위치 레지스터는, 상기 정지 위치를 저장하는 영역과 상기 개시 위치를 저장하는 영역을 각각 따로따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제어 장치.
KR1020030019457A 2002-03-29 2003-03-28 데이터 기록 제어 장치 KR1006054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95087A JP2003297017A (ja) 2002-03-29 2002-03-29 データ記録制御装置
JPJP-P-2002-00095087 2002-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8747A KR20030078747A (ko) 2003-10-08
KR100605417B1 true KR100605417B1 (ko) 2006-08-02

Family

ID=28786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9457A KR100605417B1 (ko) 2002-03-29 2003-03-28 데이터 기록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40791B2 (ko)
JP (1) JP2003297017A (ko)
KR (1) KR100605417B1 (ko)
CN (1) CN1252689C (ko)
TW (1) TW5883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39152A1 (en) * 2005-04-25 2006-10-26 Mediatek Incorporation Disc recording methods and systems
US20090031429A1 (en) * 2007-07-23 2009-01-29 Nir Ben Zeev Prevention of software and movie piracy
JP4957498B2 (ja) * 2007-10-04 2012-06-20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0073653B (zh) * 2018-09-07 2021-01-12 深圳鲲云信息科技有限公司 视频图像数据传输方法、系统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4418B2 (ja) * 1992-05-21 2001-10-2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記録データ列2次変調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940791B2 (en) 2005-09-06
US20040022144A1 (en) 2004-02-05
TW200304642A (en) 2003-10-01
TW588339B (en) 2004-05-21
KR20030078747A (ko) 2003-10-08
CN1252689C (zh) 2006-04-19
CN1450532A (zh) 2003-10-22
JP2003297017A (ja) 200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20315B2 (ja) エラー検出の際の磁気データ・テープへのコードワード・オブジェクトの再書込
JPH07311949A (ja) 光ディスク記録媒体、光ディスク記録方法、光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光ディスク再生装置
WO2005071676A2 (en) Embedding a secondary information signal in a channel data stream
JP2002271205A (ja) 変調方法、変調装置、復調方法、復調装置、情報記録媒体、情報伝送方法および情報伝送装置
JP2002319242A (ja) 記録方法、記録装置、伝送装置、再生方法、再生装置、受信装置、記録媒体及び伝送媒体
JPH0724382B2 (ja) 符号化方法、装置及び復号化装置
JP4909824B2 (ja) 誤り訂正処理装置及び誤り訂正処理方法
KR100605417B1 (ko) 데이터 기록 제어 장치
JP2007207325A (ja) 誤り訂正処理装置及び誤り訂正処理方法
KR20010081335A (ko) 차세대 고밀도 기록 매체를 위한 디지털 데이터의 오류정정 부호화 방법
TW543032B (en) Data recording method, data reproducing method, data recording apparatus and data reproducing apparatus
JP2008084477A (ja) データ書込装置及びデータ書込方法
KR100317760B1 (ko) 추기형정보기록매체및이의포맷팅방법및장치,및추기형정보기록매체에의데이타기입및이로부터의데이타독출방법및장치
US7308639B2 (en) Method of recording/reproducing data on storage medium
JP2002304859A (ja) 同期信号生成方法、記録装置、伝送装置、記録媒体及び伝送媒体
US69853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data to guarantee isolated transitions in a magnetic recording system
JPH1049984A (ja) 信号処理回路、信号処理装置、及び、ディスク装置
JP2003242728A (ja)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用データランダム化方法
US7738339B2 (en) Data recording devices and methods thereof
JP2697827B2 (ja) 連続デイジタル情報の部分書き替え方法
JP4504591B2 (ja) 光ディスク記録方法及び記録再生装置
KR100653005B1 (ko) 데이터 기록 또는 재생방법과 그에 따른 고밀도 기록매체
JP3740256B2 (ja) 誤り訂正符号復号化装置及び誤り訂正符号復号化方法
JP2597732B2 (ja) データ記録装置のアドレス・マーク書込み制御方式
JP4124263B2 (ja) 信号変調方法及び装置、信号復調装置及び方法、記録媒体及び記録媒体の製造方法並びに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