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5307B1 - 무인운송차의 샌드위치 포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무인운송차의 샌드위치 포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5307B1
KR100605307B1 KR1020030056590A KR20030056590A KR100605307B1 KR 100605307 B1 KR100605307 B1 KR 100605307B1 KR 1020030056590 A KR1020030056590 A KR 1020030056590A KR 20030056590 A KR20030056590 A KR 20030056590A KR 100605307 B1 KR100605307 B1 KR 100605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sandwich
core material
core
b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6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7565A (ko
Inventor
이대길
이학구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30056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5307B1/ko
Publication of KR20050017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7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2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ongitudinally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63Automatically guid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y means of a cart or a vehicu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운송차(AGV ; Auto Guided Vehicle)의 몸체 상부에 다수개가 적층되어 선형운동을 하면서 물품을 들어 올리는 샌드위치 포크에 관한 것으로서, 자중에 의한 처짐을 감소시키도록, 다수개의 저밀도 부재가 접합 형성된 심재(220, 240, 250)와; 이송되는 물품에 의한 굽힘응력에 대응하는 강성을 갖으며, 다수개의 고강성 부재가 심재(220, 240, 250)의 외측면에 접착 형성되는 면재(210) 및; 선형운동이 가능하도록 심재(220, 240, 250)의 절곡되는 부위에 장착되는 구동수단(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무인운송차의 샌드위치 포크는 면재의 내부에 저밀도 재료의 심재가 설치되기 때문에, 자중으로 인한 처짐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샌드위치 포크의 제조방법은 다수개로 분할된 심재를 접합하기 때문에, 경량화를 위해 심재를 가공하거나 구동수단을 장착되는 절곡부를 별도로 가공할 필요로 없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무인운송차의 샌드위치 포크 및 그 제조방법{Sandwich fork of automatic guided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도 1은 물품을 이송하는 무인운송차(AGV)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인운송차의 포크가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포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샌드위치 포크의 심재가 여러 실시형태로 접합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샌드위치 포크의 심재의 외측면에 각각 면재가 접합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샌드위치 포크의 면재에 구동수단을 장착하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를 부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 포크 130, 230 : 구동수단
210 : 면재 220, 240, 250 : 심재
300 : 평행도 지그
본 발명은 물품을 이송하는 무인운송차(AGV; Auto Guided Vehicle)에 관한 것이며, 특히, 샌드위치 포크의 심재를 저밀도 재료로 형성하고 그 외면에 고강성 재료의 면재를 접합함으로써, 경량으로 제조되면서도 높은 굽힘 강성을 갖는 무인운송차의 샌드위치 포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인운송차(AGV ; Auto Guided Vehicle)는 작업자의 직접적인 조작없이 물품을 이송 및 공급하는 운송수단으로서, 소위 무인화공장 또는 협소한 장소의 자동화된 생산라인에서 부품 등과 같은 이송물품을 각 공정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생산완료된 제품을 입고시키는 작업 등을 수행한다. 이러한 무인운송차는 수행하는 작업에 따라 여러 종류가 제조되고 있으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무인운송차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생산현장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다단으로 적층된 포크가 물품을 들어 올린 후에 이송하게 된다.
도 1은 물품을 이송하는 무인운송차(AGV)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인운송차의 포크가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운송차는 상기와 같이 물품의 이송작업을 위해 다단으로 적층된 포크(100)가 물품을 들어 올린 후에, 정해진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생산라인의 작업영역내에서 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또한, 다단으로 적층된 포크(100)는 구동수단(130)이 상호 맞물려 구동됨으로써, 그 상부에 놓여지는 물품을 정확한 위치로 옮기게 된다.
이 때, 무인운송차의 포크(100)는 이송되는 무거운 물품을 들어 올리거나 지지하기 위해서 높은 굽힘 강성을 필요로 한다. 또한, 무인운송차의 포크(100)는 생산성 향상을 위해 그 크기가 대형화되기 때문에, 자중에 의한 처짐도 방지하기 위해서는 경량으로 제조되어야 한다.
그래서, 종래기술의 포크(100)는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재질로 제조되지만, 그 자중을 감소시키는 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포크(100)의 굽힘 강성을 일정값 이상 유지하면서 자중을 감소시키기 위해 그 내부를 가공하기도 하였으나, 그 내부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공정을 필요로 하고, 그로 인해 포크(100)의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저밀도 재료를 심재로 사용하고, 심재의 외면에 복합재료 또는 금속재료와 같은 고강성 재료의 면재를 접착함으로써, 물품을 지지할 수 있는 높은 굽힘 강성을 갖으면서도 자중에 의한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경량으로 제조되는 무인운송차의 샌드위치 포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샌드위치 포크는 무인운송차(AGV)의 몸체 상부에 다수개가 적층되어, 선형운동을 하면서 이송물품을 들어 올린다. 이런 무인운송차의 샌드위치 포크는 자중에 의한 처짐을 감소시키도록 다수개의 저밀도 부재가 사용되며, 그 외면에 절곡되는 부위가 형성되도록 상기 다수개의 저밀도 부재가 상호 접합되는 심재와; 상기 이송물품에 의한 굽힘응력에 대응하는 강성을 갖으며, 다수개의 고강성 부재가 상기 심재의 외측면에 접착 형성되는 면재 및; 상기 선형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심재의 절곡되는 부위에 장착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무인운송차의 샌드위치 포크 및 그 제조방법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포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인운송차의 샌드위치 포크(200)는 그 내부에 경량화를 위해 폼(foam), 하니콤(honeycomb), 웹(web) 코어, 트러스(Truss) 코어와 같은 저밀도 재료가 심재(220)로 설치된다. 그리고, 심재(220)의 외면에는 샌드위치 포크(200)가 이송하는 물품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복합재료 또는 금속재료와 같이 굽힘 강성이 높은 고강성 재료인 면재(210)가 접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무인운송차의 샌드위치 포크(200)는 다수개가 다단으로 적층되며, 다수개가 상호 선형으로 이동하면서, 그 최상부에 적재된 이송물품이 이송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샌드위치 포크(200)는 그 상하면에 내측으로 절곡되는 부위가 형성되고, 이런 절곡부에 구동수단(230)이 각각 장착된다. 그러면, 본 발명은 상호 면접하는 샌드위치 포크(200)들의 각 구동수단(230)이 상호 맞물려 선형운동됨으로써, 샌드위치 포크(200)들이 선형운동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4 내지 도 6에서의 여러 실시예와 같이 다수개의 부재가 각각 상호 접합되어, 샌드위치 포크(200)의 심재(220, 240, 250)로 제조된다. 이로 인해, 상기 샌드위치 포크(200)의 심재(220, 240, 250)는 절곡부를 형성해야 하는 별도의 가공없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샌드위치 포크의 심재가 여러 실시형태로 접합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샌드위치 포크(200)의 심재(220)는 일정 크기로 절단된 판형상의 부재들이 접합 형성된다. 즉, 샌드위치 포크(200)의 심재(220)는 제1 중심판(221)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제1 접합판(222)이 상기 제1 중심판(221)의 상하면에 각각 접합되고, 상기 제1 접합판(222)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제1 보강판(223)이 제1 중심판(221)의 상하면에 각각 접합된다. 이와 같이 샌드위치 포크(200)의 심재(220)는 다수개의 부재가 접합됨으로써, 제1 접합판(222)과 제1 보강판(223) 사이에 구동수단(230)이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인 절곡부(224)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샌드위치 포크(200)의 심재(240)는 도 5에서의 실시예와 같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 5에서의 샌드위치 포크(200)의 심재(240)는 제2 중심판(241)과 동일한 넓이를 갖는 제2 접합판(242)이 상기 제2 중심판(241)의 상하면에 각각 접합된다. 그리고, 샌드위치 포크(200)의 심재(240)는 제2 중심판(241)의 양 측부에 H형 단면을 갖는 연결부재(245)가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접합되고, 한 쌍의 연결부재(245)의 측부에 다시 사각형 단면을 갖는 보강부재(243)가 각각 접합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샌드위치 포크(200)의 심재(240)는 연결부재(245)가 H형 단면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 절곡부(244)에 구동수단(230)이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도 6에서의 샌드위치 포크(200)의 심재(250)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 에서의 심재(220)와 동일한 형태로 제3 중심판(251)의 상하부에 제3 접합판(252) 및 제2 보강판(253)이 각각 접합된다. 그리고, 도 6에서의 샌드위치 포크(200)의 심재(250)에는 구멍을 관통되게 형성하고, 금속 또는 플라스틱 블록(255, 256)을 삽입하여 구멍 또는 탭(tap)을 가공할 수도 있다.
도 7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샌드위치 포크의 심재의 외측면에 각각 면재가 접합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심재(220, 240, 250)의 각 외측면에 면재(210)가 접착된다. 면재(210)는 높은 굽힘 강성을 갖는 고강성 재료로서, 샌드위치 포크(200)에 의해 이송되는 물품을 지지하고, 자중에 의한 처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샌드위치 포크(200)는 심재(220, 240, 250)의 각 외측부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가공 절단된 다수개의 부재(211, 212, 213, 214, 215)가 접합된다.
그러면, 심재(220, 240, 250)는 폼(foam), 하니콤(honeycomb), 웹(web) 코어, 트러스(Truss) 코어와 같은 저밀도 재료로서, 면재(210)에 내측에서 면재(210)의 상하 높이를 높여줌으로써, 면재(210)는 굽힘응력에 보다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샌드위치 포크의 면재에 구동수단을 장착하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를 부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심재(220, 240, 250)의 외측면에 면재(210)가 접착된 상태에서 샌드위치 포크(200)가 상호 선형운동하도록 구동수단(230)이 평행도 지그(300)에 의해 장착된다.
상기 평행도 지그(300)는 상하부 지그(310, 320)로 구성되는데, 상하부 지그(310, 320)의 각 내측면에 돌출부(311)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이런 돌출부(311)에는 L형의 단면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312)가 볼트와 같은 제1 결합구(314)에 의해 각각 결합된다.
그런 다음에는 상하부 지그(310, 320)를 제2 결합구(330)로 결합시켜, 평행도 지그(300)의 내부에 위치하는 샌드위치 포크(200)의 절곡부(231)에 베이스 플레이트(312)를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에 본 발명은 제1, 제2 결합구(314, 330)를 풀어줌으로써, 접착제가 도포된 샌드위치 포크(200)의 절곡부(231)에 베이스 플레이트(312)가 설치된다. 이 때, 베이스 플레이트(312)는 L형 단면이기 때문에,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각각 평행되게 부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래크와 피니언과 같은 선형운동하는 구동수단(230)이 베이스 플레이트(312)에 볼팅 또는 접합에 의해 장착됨으로써, 다단으로 적층되는 샌드위치 포크(200)들은 상호 수평되게 선형운동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인운송차의 샌드위치 포크는 면재의 내부에 저밀도 재료의 심재가 설치되기 때문에, 자중으로 인한 처짐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샌드위치 포크의 제조방법은 다수개로 분할된 심재를 접합하기 때문에, 경량화를 위해 심재를 가공하거나 구동수단을 장착되는 절곡부를 별 도로 가공할 필요로 없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무인운송차의 샌드위치 포크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6)

  1. 무인운송차(AGV)의 몸체 상부에 다수개가 적층된 상태에서 상호 선형운동하면서 가장 최상부에 적재되는 이송물품을 이송하도록, 상하면에 절곡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에 구동수단이 각각 장착되는 무인운송차의 포크에 있어서,
    자중의 경량화를 위해 저밀도 부재들이 상호 접합되는 심재와;
    상기 심재의 외면에 접착 형성되는 고강성 부재의 면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운송차의 샌드위치 포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에는 폼(foam), 하니콤(honeycomb), 웹(web) 코어, 트러스(Truss) 코어와 같은 저밀도 부재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운송차의 샌드위치 포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래크와 피니언 기어로서, 상기 래크는 상기 심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절곡부위에 장착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는 상기 심재의 타면에 형성되는 절곡부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운송차의 샌드위치 포크.
  4. 상기 제 1항에 기재된 샌드위치 포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일정 크기로 절단된 판형상의 중심판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접합판을 상기 중심판의 상하면에 각각 접합하는 단계와; 상기 접합판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보강판을 상기 중심판의 상하면에 각각 접합하여 상기 심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심재의 외측면에 다수개의 면재를 접합하는 단계 및; 상기 접합판과 상기 보강판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심재의 절곡된 부위에 구동수단을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운송차의 샌드위치 포크의 제조방법.
  5. 상기 제 1항에 기재된 샌드위치 포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일정 크기로 절단된 판형상의 중심판과 동일한 넓이를 갖는 접합판을 상기 중심판의 상하면에 각각 접합하는 단계와; 상기 중심판의 양 측부에 H형 단면을 갖는 연결부재를 길이방향으로 각각 접합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부재의 측부에 사각형 단면을 갖는 보강부재를 각각 접합하여 심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심재의 외측면에 다수개의 면재를 접합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부재에 형성된 상기 심재의 절곡된 부위에 구동수단을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운송차의 샌드위치 포크의 제조방법.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의 절곡된 부위에는 상기 구동수단이 장착되기 전에 상기 구동수단이 수평 및 수직되게 장착되도록, L형상 단면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지그에 의해 볼팅결합 또는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인운송차의 샌드위치 포크의 제조방법.
KR1020030056590A 2003-08-14 2003-08-14 무인운송차의 샌드위치 포크 및 그 제조방법 KR100605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590A KR100605307B1 (ko) 2003-08-14 2003-08-14 무인운송차의 샌드위치 포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590A KR100605307B1 (ko) 2003-08-14 2003-08-14 무인운송차의 샌드위치 포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565A KR20050017565A (ko) 2005-02-22
KR100605307B1 true KR100605307B1 (ko) 2006-07-28

Family

ID=37227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6590A KR100605307B1 (ko) 2003-08-14 2003-08-14 무인운송차의 샌드위치 포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530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565A (ko) 2005-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3467B (zh) Stage device
US8056681B2 (en) Stacker crane and weight reduction method for mast of the stacker crane
US20200282498A1 (en) Full-automatic storage shelf assembly production lin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02498028A (zh) 用于构筑机动车主体或其子组件的系统
KR101850379B1 (ko) 기계식 주차 운반기 생산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7283422A (ja) 治具パレット
KR100605307B1 (ko) 무인운송차의 샌드위치 포크 및 그 제조방법
JP6579190B2 (ja) 物品搬送装置
KR20220141415A (ko) 자동화 라인의 부품 조립 시스템
KR102329205B1 (ko) 조립라인 구조체
JP2016204884A (ja) 駆動セルのフレーム及びフレーム製造方法と駆動セル及び水平循環式駐車装置
KR101149835B1 (ko) 금속 팔레트 제조장치를 이용한 금속 팔레트의 제조방법
KR20180111705A (ko) 면앵글을 이용한 측판프레임을 가지는 운반박스용 팔레트 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72790B1 (ko) 필터 프레임 제작 방법
JP2009096218A (ja) 車体組立設備及び車体の生産方法
JP5225669B2 (ja) プラスチック段ボール箱の溶着装置及びプラスチック段ボール箱の製造方法
KR20130006528U (ko) 우든 박스 측판 제작용 지그
CN113084436A (zh) 一种焊接工装
JP4401258B2 (ja) 裏当装置及びその搬送方法
KR20200029799A (ko) 컨테이너선의 셀가이드 구조체 제작 및 설치 공법
KR102671317B1 (ko) 공조기설치용 기능성 베이스장치
JP2010235212A (ja) 走行車システム
KR200393370Y1 (ko) 철제 팔레트
CN219725071U (zh) 一种钢托盘焊接工装
CN214721863U (zh) 一种焊接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