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5170B1 -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5170B1
KR100605170B1 KR1020040056016A KR20040056016A KR100605170B1 KR 100605170 B1 KR100605170 B1 KR 100605170B1 KR 1020040056016 A KR1020040056016 A KR 1020040056016A KR 20040056016 A KR20040056016 A KR 20040056016A KR 100605170 B1 KR100605170 B1 KR 100605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magnetic
developing
regulating
photosensitive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6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7239A (ko
Inventor
이민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6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5170B1/ko
Priority to US11/183,774 priority patent/US7310490B2/en
Publication of KR20060007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7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using magnetic brush
    • G03G15/0921Details concerning the magnetic brush roller structure, e.g. magnet configur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regulating means, e.g. structure of doctor blad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using magnetic brush
    • G03G15/0921Details concerning the magnetic brush roller structure, e.g. magnet configuration
    • G03G15/0928Details concerning the magnetic brush roller structure, e.g. magnet configuration relating to the shell, e.g. structure, com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using magnetic brush
    • G03G15/094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using magnetic brush with means for preventing toner scattering from the magnetic brush, e.g. magnetic se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34Developing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Magnetic Brush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를 개시한 것으로서, 감광매체에 이송되는 현상제의 이송량을 안정된 상태로 규제할 수 있도록, 현상로울러의 자계발생수단에 구비된 각 자극의 자력곡선의 경사로부터 자기흡인력을 도출하고, 그 자기흡인력에 근거하여 현상제 규제 블레이드의 규제 위치를 자기흡인력의 변화가 작은 영역에 설정하여 현상제 이송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낮은 스트레스에 의한 현상제 열화방지를 양호한 상태로 억제할 수 있는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를 제공함.
현상장치, 규제블레이드, 자기흡인력, 자속밀도, 현상슬리브, 현상로울러, 현상제, 화상형성기, 토너, 캐리어

Description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Developing unit for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종래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종래 화상형성기 현상장치의 현상제 규제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현상로울러의 자속밀도 파형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구성도,
도 4은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기 현상장치의 현상로울러의 원주방향과 법선방향에 대한 자기흡인력 관계를 나타내 보인 개략도,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발명에 의한 현상장치와 종래 현상장치의 현상로울러의 법선방향 자력과 자기흡인력 선도를 대비해 보기 위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발명에 의한 현상장치와 종래 현상장치의 현상제 이송량 변화상태를 대비해 보기 위하여 나타낸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110...현상용기 12, 13, 120, 130...현상제 교반기
14, 140...현상 로울러 14a, 141...현상 슬리브
14b, 142...마그네트 로울러 15, 150...현상제 규제 블레이드
16, 160...감광매체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프린터나 복사기 등과 같은 화상형성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담지체(像擔持體)상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제에 의해 가시화상으로 변환시켜 주기 위한 현상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상담지체에 이송되는 현상제의 이송량을 안정된 상태로 규제하기 위한 현상제 이송량 규제방법 및 그 규제방법이 적용된 현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프린터나 복사기 등은 예컨대, 감광드럼이나 감광벨트와 같은 감광매체 또는 상담지체(像擔持體) 이하 감광매체)상에 대전(帶電)에 의한 정전잠상(Latent electrostatic image)을 형성하고, 그 정전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여 기록지에 전사시킴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얻을 수 있도록 된 화상형성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는 분말상태의 토너만으로 인쇄하는 1성분 현상방식과, 페라이트(Ferrite; 철) 성분의 케리어와 토너입자가 혼합된 2가지 성분의 현상제를 사용하는 2성분 현상방식으로 구분되기도 하는데, 2성분 현상방식의 경우 고속인쇄, 장수명의 소모품사용 및 저렴한 유지비용 등으로 고속인쇄기 분야에서는 적용영역이 증가되는 추세이다.
한편, 통상적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매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이송 공급하여 가시화상(可視畵像)으로 변환시켜 주기 위한 현상장치를 구비한다.
도 1은 종래의 2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에 대한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으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현상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1)가 수용되는 현상용기(11)의 내부에 회전 구동되도록 설치된 현상슬리브(14a)와, 그 현상슬리브(14a)의 내부에 고정 배치된 마그네트롤러(14b)와, 현상슬리브(14a)의 표면에 현상제(1)를 이송하여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공급로울러(또는 교반 스크류; 11, 12) 및 현상슬리브(14b)의 표면에 공급되는 현상제를 구속하여 박층상태로 형성하기 위한 규제블레이드(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미설명된 도면의 참조부호 16은 상담지체(감광매체)인 감광드럼을 나타내며, 14는 현상슬리브와 마그네트 로울러로 결합된 현상로울러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현상장치에 따르면, 상기 현상슬리브(14b)의 회전에 따라 N극에 공급된 현상제(1)는 S2극에서 N1극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규제블레이드(15)에 의해 구속되어 현상슬리브(14b)상에 박층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박층으로 형성된 현상제가 현상주극 S1극에 이송되면, 자기력에 의해 이끌린 현상제가 감광드럼(16)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한다. 그후, N2극과 N3극의 반발자계에 의해 현상 슬리브(14b)상의 현상제는 현상용기(11)의 내부로 회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2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종래의 현상장치에 의하면, 자극의 법선방향 자력이 접선방향 자력보다 지나치게 높을 경우에는, 현상 슬리브(14b)에 의한 현상제의 이송능력이 현상 슬리브(14b)의 표면 형상이나 현상제의 표면형 상의 마모정도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아서 현상 슬리브(14b)의 표면에 의한 현상제 이송량이 크게 변동하게 된다.
그리고, 현상 슬리브(14b)에 현상제의 보유량이 많아지면 현상제 사이에서 과도한 마찰로 인하여 현상제의 열화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현상제 규제부에 대응하는 자극의 접선방향의 자력이 법선방향의 자력보다 높을 경우에는, 접선방향 자력에 의해 현상제의 이송성이 향상되어 현상 슬리브(14b)의 표면형상이나 현상제의 표면형상의 마모정도에 의한 현상제의 증가량에 대한 변동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경우에는, 현상 슬리브(14b)에 보유되는 현상제 보유량이 감소되어 현상제가 충분한 마찰 대전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되어 백그라운드(Back-ground) 화상이 발생하게 되거나, 또는 솔리드(Solid) 화상의 추종성 악화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2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는, 장기간에 걸쳐 고화질의 화상을 얻기 위하여 토너와 캐리어의 열화를 최대한 억제하고, 감광매체로 이송되는 현상제의 공급량을 안정화시키는 요건이 필요하다.
상기한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현상제의 이송량 규제위치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 자속밀도와 수평방향 자속밀도의 차이가 5mT 이내인 위치에 설정하여 현상제의 이송량을 안정화시키는 방안이 일본 특개2003-1542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현상제의 이송 원동력은 현상제를 현상 슬리브(14b)에 끌어 당기는 자기흡인력에 의해 기초하게 되므로, 도 2 및 상기 특허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 자속밀도와 수평방향 자속밀도만으로 현상제의 활동범위를 정밀하게 규제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현상제의 장수명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현상제의 규제부분에서의 스트레스를 작게 하는 것이 유효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 경우에도 자기흡인력이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리고, 현상제 규제 위치 근방의 자극은 현상제의 열화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으로, 통상 규제부의 상류측에 자극이 많아 자력이 강한 많은 만큼 현상제의 열화정도가 크게 되어 현상제의 수명이 짧아진다. 이러한 현상은 자기흡인력이 현상제 규제 위치의 상류측에서 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상제 규제 자극의 상류측에서 자기흡인력이 낮은 상태가 저스트레스 및 장수명의 조건이 된다. 그리고, 현상제 규제 자극의 상류측에 자기흡인력의 피크치가 존재하면, 하류측의 현상제가 자기흡인력이 피크치인 부분으로 되돌려지기 때문에 현상제의 이송이 불안정하게 된다.
요컨대, 현상제 규제부의 상류측에 자기흡인력의 피크치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 현상제 이송량의 안정화를 위한 최적의 현상제 이송량 규제위치 설정조건으로 충족되는 유효조건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감광매체로 이송되는 현상제의 공급량 안정화를 통해 현상제의 열화를 억제하고 장기간 고화질 화상을 얻기 위해 개발된 기존의 방식들이 가지는 한계점과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개선코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계발생수단에 구비된 각 자극의 자력곡선의 경사로부터 자기흡인력을 도출하고, 그 자기흡인력에 근거하여 현상제 규제부분에서의 현상제 이송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낮은 스트레스에 의한 현상제 열화방지를 양호한 상태로 억제할 수 있는 현상장치 및 그 현상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에서 감광매체에 이송되는 현상제의 이송량을 안정된 상태로 규제하기 위한 현상제 규제방법 및 그 규제방법이 적용된 현상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는, 감광매체상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제에 의해 현상하여 가시화상으로 변환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비자성 토너와 자성 캐리어로 이루어진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용기와, 상기 현상용기내의 현상제를 감광매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이송하여 주기 위한 현상제 이송수단과, 상기 현상제 이송수단에 설치된 자계발생수단 및 상기 현상제 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감광매체에 이송된 현상제를 규제하기 위한 현상제 규제수단을 포함하는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규제수단이 상기 감광매체에 이송된 현상제를 규제하기 위한 규제위치가 아래 관계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r = Br²+ 400 x (dBr/dα)², Gr = dFr/dα, 10 ≤ Gr ≤ 50
여기서, Br(mT)은 상기 현상제 이송수단의 표면에 대한 법선방향의 자력, α°는 상기 자계발생수단(N1극)의 자극각도, Fr은 자기흡인력, (dBr/dα)은 Br곡선의 경사(미분값), (dFr/dα)은 Fr곡선의 경사(미분값)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기 현상장치의 현상제 규제방법은, 감광매체상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제에 의해 현상하여 가시화상으로 변환시켜 주기 위한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에서, 현상제 이송수단에 의해 감광매체에 이송되는 현상제를 현상제 규제수단에 의해 이송량을 규제하기 위한 현상제 규제방법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규제수단이 상기 감광매체에 이송되는 현상제 이송량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위치가 아래 관계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r = Br² + 400 x (dBr/dα)², Gr = dFr/dα, 10 ≤ Gr ≤ 50
여기서, Br(mT)은 상기 현상제 이송수단의 표면에 대한 법선방향의 자력, α°는 상기 자계발생수단(N1극)의 자극각도, Fr은 자기흡인력, (dBr/dα)은 Br곡선의 경사(미분값), (dFr/dα)은 Fr곡선의 경사(미분값)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자계발생수단의 현상제 규제극의 자기흡인력(Fr)은 상기 현상제 규제수단의 상류에 최대치가 존재하지 않고, 하류측을 향해 점차적으로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자계발생수단의 현상제 규제극과 수취극의 극성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는, 현상제(1)가 수용되는 현상용기(110)의 내부에 회전 구동되도록 설치된 현상슬리브(141)와, 그 현상슬리브(141)의 내부에 고정 배치된 마그네트롤러(142)와, 현상슬리브(141)의 표면에 현상제를 이송하여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공급로울러(또는 교반 스크류; 120, 130) 및 현상슬리브(141)의 표면에 공급되는 현상제를 구속하여 박층상태로 형성하기 위한 현상제 규제블레이드(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미설명된 도면의 참조부호 160은 상담지체(감광매체)인 감광드럼을 나타내며, 140는 현상슬리브와 마그네트 로울러로 결합된 현상로울러를 나타낸다.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현상장치에 따르면, 상기 현상제 규제블레이드(150)가 상기 감광드럼(160)에 이송된 현상제(1)를 규제하기 위한 규제위치가 아래 관계식을 만족시키도록 설정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Fr = Br² + 400 x (dBr/dα)², Gr = dFr/dα, 10 ≤ Gr ≤ 50
여기서, Br(mT)은 상기 현상제 이송수단의 표면에 대한 법선방향의 자력, α°는 상기 자계발생수단(N1극)의 자극각도, Fr은 자기흡인력(선도), (dBr/dα)은 Br곡선의 경사(미분값), (dFr/dα)은 Fr곡선의 경사(미분값)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현상장치에 따르면, 상기 현상슬리브(141)의 회전에 따라 N1극→S1극→N2극→S2극→N3극으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현상제(1)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N1극에 공급된 현상제는 규제블레이드(150)에 의해 이송량이 규제되어 현상슬리브(141)상에 박층 상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박층 상태로 형성된 현상제가 현상주극 S1극에 이송되면, 자기력에 의해 이끌린 현상제가 감광드럼(160)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한다. 그후, N2극과 N3극의 반발자계에 의해 현상슬리브(141)상의 현상제는 현상용기(110)의 내부로 회수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현상장치의 마그네트 로울러(142)의 N1극에서의 현상제 규제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N1극의 자기흡인력(Fr) 선도는 도시된 그래프 곡선 패턴에서 볼 수 있듯이, 하류(S1극 방향)로 이동함에 따라 서서히 상승하는 곡선 패턴을 형성하며, 그 곡선의 커브 경사가 일단 완만해진 상태에서 다시 급격하게 상승하는 패턴을 형성한다. 이러한 패턴을 가지는 자기흡입력(Fr) 선도를 얻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특징적 요소인 상기 수학식의 변수값들을 상기 조건식을 만족하도록 적절히 설계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인 일예로서는 자기흡입력(Fr)의 크기를 결정하는 자계발생수단의 변수 즉, Br(mT) 및 α°의 설계값을 적절히 컨트롤함으로써, 상기 관계식을 만족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기흡입력(Fr) 선도를 얻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5에서도 알 수 있듯이, 자계발생수단으로서 N1극이 규제블레이드(150)에 대응되는 규제극의 역할과 더불어 규제블레이드(150)의 상류에서 수취극의 역할을 하도록 N1극을 배치(자력각도) 내지는 적절한 자력으로 제어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자기흡입력(Fr) 선도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반해서, 일 예로서 제시된 도 6의 경우에는 N1극이 규제극의 역할을 하고, 상류에 SO극이 수취극을 하도록 배치된 구성으로서 상기 관계식을 만족할 수 없는 자기흡입력(Fr) 선도를 얻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기흡입력(Fr) 선도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은 앞선 설명과 같이 자계발생수단의 적절한 설계를 통해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N1극 자력, S1극 자력, 규제갭, N1극와 S1극 간의 거리, 자력차이 등 다양한 변수를 통한 설계가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다양한 설계값들의 조합들 중에서, 상기 관계식을 만족하는지 소정의 측정장치를 통해서 측정하면서 상기 규제 블레이드(150)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본 발명의 주요 특징점인 상기 관계식을 만족하도록 규제 블레이드(150)를 배치하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방안이 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종래 현상장치의 N1극의 자기흡인력(Fr) 선도는 본 발명에 근거한 그래프 곡선 패턴과는 큰 차이점을 나타내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듯이, 하류(S1극 방향)로 이동함에 따라 급격하게 경사가 변화되는 곡선 패턴을 형성하며, 곡선의 커브 경사가 급격한 부분에서 현상제 규제블레이드가 현상제를 규제할 수 있도록 위치 설정하는 것이 본 발명과의 차이점으로 나타난다. 즉, 상류측에서 자기흡인력(Fr)의 피크값이 존재하므로 현상제의 반송이 불균일해진다.
삭제
요컨대, 본 발명에 의한 현상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자기흡인력(Fr) 선도의 곡선 커버 경사가 완만해지는 부분에서 현상제 규제블레이드(150)가 현상제를 규제할 수 있도록 위치 설정하는 것에 특징적 구성이 있다.
본 발명을 특징지우는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구성으로의 한정 근거는 다음과 같다.
즉, 자기흡인력의 변화가 심한 곳에서 현상제 규제를 시행하게 되면 현상 슬리브(141)의 각 부분마다 이송성이 변화되기 때문에, 자기흡인력이 규제 블레이드(150)를 향해서 점차적으로 증가해 가는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증가되는 정도도 규제부 주변에서는 완만하게 형성되는 패턴이 바람직하다는 점에 근거한 것이다.
그리고, 현상제의 이송 성능은 (자기흡인력 X 현상제와 현상 슬리브 표면과의 마찰계수)로 결정되고, 이때 자기흡인력의 차이가 현상제 이송성의 차이를 결정지우는데 큰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자기흡인력의 변화가 적은 영역에서 현상제를 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에 근거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에 따르면, 현상제 규제 블레이드(150)의 상류측에 자기흡인력(Fr)의 피크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현상제의 스트레스는 낮아진다.
그리고, 자기흡인력(Fr)이 안정된 영역에서 현상제의 규제가 이루어져 마그네트 로울러(142) 부분에서의 현상제 이송량의 변화가 적고, 현상제가 자기흡인력(Fr)의 피크치 부분으로 되돌려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현상제의 이송량이 안정화된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발명에 의한 현상장치의 현상제 규제방식과 종래 현상장치의 현상제 규제방식에 대한 작용효과상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살펴 볼 수 있도록, 현상제 규제 위치를 N1극 자력의 피크 상류에서 하류의 S1극을 향하여 이동시켰을 때의 현상제 이송량의 변동상태를 시험에 의해 측정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 타내 보인 것이다.
한편, 도 7 및 도 8의 시험 결과를 얻기 위한 시험 조건으로서, ①캐리어 ; 35um실리콘 + 아크릴 코트, 페라이트 캐리어, 비중 5.5(g/cm3), ②토너 ; 8um, ③토너농도(Tc) ; 7wt%, ④현상제 겉보기 비중 ; 2.01g/cm³, ⑤N1극 자력 ; 40mT, ⑥ S1극 자력 ; 60mT, ⑦규제 갭 ; 0.45mm의 조건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도 7의 본 발명에 의한 현상장치에서는 규제극(N1)이 수취극을 겸하고 있으며, 도 8의 종래 현상장치에서는 규제극(N1)의 상류측에 수취극(S0; 도 6 참조)이 배치된 것이다.
또한, 현상제 이송량은 현상 슬리브(141)상의 5개소에서 측정하였고, 측정치의 표준편차(σ)를 평균(M)g/m²으로 나눈 값을 비교하였다.
도 7 및 도 8을 서로 비교하여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현상장치에서와 종래의 현상장치에서의 자기흡인력(Fr) 패턴이 현저히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도 7의 본 발명에 의한 현상장치에서의 현상제 이송량 변동상태를 보면, 자기흡인력(Fr)이 50 이상이거나, 10 이하의 부분에서 현상제 이송량의 차이가 급격하게 커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자기흡인력(Fr)이 50 이상에서 급격하게 커져 현상제 이송량의 차이가 늘어나게 되고, 자기흡인력(Fr)이 10 이하에서 약해져 현상제 이송량의 차이가 늘어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정의된 “ 10 ≤ Gr ≤ 50 ”이라는 현상제 규제위치의 설정조건은 상기한 바와 같은 내용들을 근거로 하여 도출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에 따르면, 현상제 규제 블레이드의 규제 위치를 자기흡인력의 변화가 작은 영역에 설정하여 현상제 이송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낮은 스트레스에 의한 현상제의 열화방지를 양호한 상태로 억제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현상제의 장수명을 유효하게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간에 걸쳐 보다 고화질의 화상을 수득하는데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비록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9)

  1. 감광매체상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제에 의해 현상하여 가시화상으로 변환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비자성 토너와 자성 캐리어로 이루어진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용기와, 상기 현상용기내의 현상제를 감광매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이송하여 주기 위한 현상제 이송수단과, 상기 현상제 이송수단에 설치된 자계발생수단 및 상기 현상제 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감광매체에 이송되는 현상제의 이송량을 규제하기 위한 현상제 규제수단을 포함하는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규제수단이 상기 감광매체에 이송되는 현상제의 이송량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위치가 아래 관계식,
    Fr = Br² + 400 x (dBr/dα)²
    Gr = dFr/dα
    10 ≤ Gr ≤ 50
    여기서, Br(mT)은 상기 현상제 이송수단의 표면에 대한 법선방향의 자력,
    α°는 상기 자계발생수단(N1극)의 자극각도,
    Fr은 자기흡인력(선도),
    (dBr/dα)은 Br곡선의 경사(미분값),
    (dFr/dα)은 Fr곡선의 경사(미분값)
    을 만족시키는 위치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발생수단의 현상제 규제극의 자기흡인력(Fr)은 상기 현상제 규제수단의 상류에 최대치가 존재하지 않고, 하류측을 향해 점차적으로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발생수단의 현상제 규제극과 수취극의 극성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
  4. 감광매체상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제에 의해 현상하여 가시화상으로 변환시켜 주기 위한 현상유니트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니트는,
    비자성 토너와 자성 캐리어로 이루어진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용기와, 상기 현상용기내의 현상제를 감광매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이송하여 주기 위한 현상제 이송수단과, 상기 현상제 이송수단에 설치된 자계발생수단 및 상기 현상제 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감광매체에 이송되는 현상제의 이송량을 규제하기 위한 현상제 규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규제수단이 상기 감광매체에 이송되는 현상제의 이송량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위치가 아래 관계식,
    Fr = Br²+ 400 x (dBr/dα)²
    Gr = dFr/dα
    10 ≤ Gr ≤ 50
    여기서, Br(mT)은 상기 현상제 이송수단의 표면에 대한 법선방향의 자력,
    α°는 상기 자계발생수단(N1극)의 자극각도,
    Fr은 자기흡인력(선도),
    (dBr/dα)은 Br곡선의 경사(미분값),
    (dFr/dα)은 Fr곡선의 경사(미분값)
    을 만족시키는 위치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발생수단의 현상제 규제극의 자기흡인력(Fr)은 상기 현상제 규제수단의 상류에 최대치가 존재하지 않고, 하류측을 향해 점차적으로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발생수단의 현상제 규제극과 수취극의 극성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감광매체상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제에 의해 현상하여 가시화상으로 변환시켜 주기 위한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에서, 현상제 이송수단에 의해 감광매체에 이송되는 현상제를 현상제 규제수단에 의해 이송량을 규제하기 위한 현상제 규제방법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규제수단이 상기 감광매체에 이송되는 현상제 이송량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위치가 아래 관계식,
    Fr = Br²+ 400 x (dBr/dα)²
    Gr = dFr/dα
    10 ≤ Gr ≤ 50
    여기서, Br(mT)은 상기 현상제 이송수단의 표면에 대한 법선방향의 자력,
    α°는 상기 자계발생수단(N1극)의 자극각도,
    Fr은 자기흡인력(선도),
    (dBr/dα)은 Br곡선의 경사(미분값),
    (dFr/dα)은 Fr곡선의 경사(미분값)
    을 만족시키는 위치에 설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 현상장치의 현상제 규제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발생수단의 현상제 규제극의 자기흡인력(Fr)은 상기 현상제 규제수단의 상류에 최대치가 존재하지 않고, 하류측을 향해 점차적으로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 현상장치의 현상제 규제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발생수단의 현상제 규제극과 수취극의 극성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 현상장치의 현상제 규제방법.
KR1020040056016A 2004-07-19 2004-07-19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 KR100605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016A KR100605170B1 (ko) 2004-07-19 2004-07-19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
US11/183,774 US7310490B2 (en) 2004-07-19 2005-07-19 Developing unit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016A KR100605170B1 (ko) 2004-07-19 2004-07-19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239A KR20060007239A (ko) 2006-01-24
KR100605170B1 true KR100605170B1 (ko) 2006-07-31

Family

ID=35599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6016A KR100605170B1 (ko) 2004-07-19 2004-07-19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310490B2 (ko)
KR (1) KR1006051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83798B2 (en) * 2004-12-22 2015-07-14 Nuance Communications, Inc. Enabling voice selection of user preferences
US9020403B2 (en) 2010-12-24 2015-04-28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JP6300578B2 (ja) * 2014-03-05 2018-03-2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2015215542A (ja) * 2014-05-13 2015-12-0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7146398A (ja) * 2016-02-16 2017-08-2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7203841A (ja) * 2016-05-10 2017-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8072565A (ja) * 2016-10-28 2018-05-1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6518A (ja) 1995-04-11 1996-11-01 Fuji Xerox Co Ltd 現像装置
JPH1048958A (ja) 1996-07-29 1998-02-20 Fuji Xerox Co Ltd 現像装置
US6579653B1 (en) * 1999-03-03 2003-06-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inding resin for toner, toner, and electrophotograph
US6757509B2 (en) * 2000-05-02 2004-06-29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JP4065481B2 (ja) 2000-07-31 2008-03-2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
US6721516B2 (en) * 2001-01-19 2004-04-13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US7027760B2 (en) * 2001-12-20 2006-04-11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method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ing device using the same
US7024141B2 (en) * 2002-12-13 2006-04-04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and process cartridg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239A (ko) 2006-01-24
US20060013622A1 (en) 2006-01-19
US7310490B2 (en) 2007-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9086B2 (en) Developing apparatus
US9599926B2 (en) Developing unit
US10168643B2 (en) Developing apparatus having developer distribution control
US9235158B2 (en) Developing device
KR100605170B1 (ko)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
US9864297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incorporating same
JP5054333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539708B2 (ja)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1013977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7322570A (ja) 現像ローラ、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7147036B2 (ja) 現像装置
JP6992136B2 (ja) 現像装置
JP4443911B2 (ja) 現像装置、並びに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6537676B2 (ja) 現像装置
JP2022172394A (ja) 現像装置
JP2019139256A (ja) 現像装置
JP2006243165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0227712A (ja) 現像装置
JP2010122476A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9151055A (ja) 現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