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4886B1 - 광 기록 장치 - Google Patents

광 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4886B1
KR100604886B1 KR1020040054705A KR20040054705A KR100604886B1 KR 100604886 B1 KR100604886 B1 KR 100604886B1 KR 1020040054705 A KR1020040054705 A KR 1020040054705A KR 20040054705 A KR20040054705 A KR 20040054705A KR 100604886 B1 KR100604886 B1 KR 100604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bank
mark
pulse width
conv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4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0591A (ko
Inventor
요시다데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20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0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4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4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11B7/00456Recording strategies, e.g. pulse sequen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8Re-recording, i.e. transcribing information from one optical record carrier on to one or more similar or dissimilar record carr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7/00Modulating pulses with a continuously-variable modulating signal
    • H03K7/08Duration or width modulation ; Duty cycle modul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Memory System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광 디스크에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파형에 관한 설정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 상기 기억 수단의 설정 정보를 근거로 기록 파형의 펄스 폭을 조정하는 여러 펄스 폭 조정 수단; 상기 기억 수단이 어드레스마다 구분된 뱅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뱅크와 상기 펄스 폭 조정 수단과의 접속을 변환하는 변환 수단; 상기 여러 펄스 폭 조정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펄스 신호를 근거로 기록 파형을 생성하는 기록 파형 생성 수단을 가지고, 상기 뱅크내의 정보를 재기록(rewrite)함으로써 상기 변환 수단이 하나의 뱅크로의 접속을 2이상의 펄스 폭 조정 수단으로 변환함으로써 메모리 용량의 삭감 및 비용절감을 실현할 수 있는 파형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광 기록 장치{Optical recorder}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 기록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록 파형 발생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뱅크 데이터의 재기록 및 각 뱅크와 스태틱 파라미터 조정부 혹은 다이나믹 파라미터 조정부의 접속 천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기록 파형과 기록 데이터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종래의 예에 있어서의 기록 파형 발생부의 구성도이다.
* 부호의 설명
1…광디스크 2…광픽업
3…APC 4…RF앰프
5…서보 회로 6…신호 처리 회로
7…CPU 8…드라이버
9…기록 파형 발생부 21…메모리
22a, 22b…변환 스위치 23…스태틱 파라미터 조정부
24…다이나믹 파라미터 조정부 25…기록 데이터 발생부
26…마크 길이, 스페이스 길이 검출부
27…기록 펄스 발생부
본 발명은 광 디스크에 신호를 기록하는 광 기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한 회전 속도로 신호를 기록하는 경우에 바람직한 광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을 비롯한 정보 관련 기술의 발달 등에 따라, 화상 정보 등의 많은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매체로서 소형이고 대용량의 광 디스크가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광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는 장치의 진보도 두드러지고, 광 디스크의 대용량화에 따라 소비 전류나 발열량이 적은 회전 속도 일정 방식(이하, CAV방식이라고 한다.)을 사용한 광디스크 기록 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런데, CAV를 사용한 기록 방식에 있어서는, 광 디스크의 내주와 외주에서 선속도가 약 2.4배나 다르기 때문에, 광 디스크에의 신호의 기록에 동일한 기록 파형을 사용한 것으로는 충분한 기록 품질을 유지할 수 없다. 그 때문에 광 디스크의 내주에서 외주에 이르는 동안에 기록 파형을 적절한 기록 파형으로 변환하여 기록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에 기록 동작을 중단하지 않고 기록 파형을 적절한 기록 파형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변환 횟수에 대응한 최적의 기록 파형을 기억한 메모리를 여러 개 준비하여, 한쪽의 기록 파형으로 기록 동작을 하고 있는 동안에 다른 한쪽의 메모리에 또 하나의 기록 파형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고, 광 디스크의 원하는 위치에서(혹은 선속도에 따라) 이들 메모리를 변환하는 것이 필요했다(예를 들어, 특개 2003- 30834호 공보 참조)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방법으로는 본래의 기록 파형에 관한 정보의 설정에 필요한 기억용량에 대해 2배 이상의 메모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메모리의 칩 면적의 증대를 가져오고, 장치 전체의 비용 상승을 가져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앞으로 기록 속도의 추가된 고속화로 대응하고, 또한 충분한 기록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록 파형의 발생 장치를 가능한 한 레이저 다이오드 근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레이저 다이오드가 배치되는 광 픽업부에서의 실장 면적에는 일정한 제한이 존재하기 때문에 광 기록 장치의 회로 규모를 가능한 한 삭감할 필요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간단한 구성에 의해 메모리 용량의 삭감 및 비용 절감을 실현할 수 있는 파형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안하고 있다.
광 디스크에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파형에 관한 설정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 상기 기억 수단의 설정 정보를 근거로 기록 파형의 펄스 폭을 조정하는 복수의 펄스 폭 조정 수단; 상기 기억 수단이 어드레스마다 구분된 뱅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뱅크와 상기 펄스 폭 조정 수단과의 접속을 변환하는 변환 수단; 상기 복수의 펄스 폭 조정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펄스 신호을 근거로 기록 파형을 생 성하는 기록 파형 생성 수단을 가지고, 상기 뱅크내의 정보를 재기록함으로써 상기 변환 수단이 하나의 뱅크에의 접속을 2 이상의 펄스 폭 조정 수단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변환 수단이 하나의 뱅크에의 접속을 2 이상의 펄스 폭 조정 수단으로 변환하기 때문에, 적은 기억용량으로 광 디스크의 기록 위치에 따른 적절한 기록 파형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변환 수단이 원하는 설정 정보를 기억하는 뱅크를 소정의 펄스 폭 조정 수단에 접속할 때 적어도 뱅크를 두 번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을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변환 수단이 원하는 설정 정보를 기억하는 뱅크를 소정의 펄스 폭 조정 수단에 접속할 때 적어도 뱅크를 두 번 변환한다. 따라서, 뱅크의 변환 횟수를 늘림으로써 그에 비례하여 기억용량을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변환 수단이 뱅크를 두 번 변환하여 원하는 설정 정보를 기억하는 뱅크를 소정의 펄스 폭 조정 수단에 접속할 때, 첫 번째 변환시에 기록되는 마크 길이에 대한 전단부 및 후단부에 관한 원하는 정보를 설정하고, 두 번째 변환시에 기록되는 마크의 직전 또는 직후의 스페이스 길이에 대한 전단위치 및 후단위치에 관한 원하는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변환 수단의 변환 패턴을 첫 번째 변환시에 기록되는 마크 길이에 대한 전단부 및 후단부에 관한 원하는 정보를 설정하고, 두 번째 변환시 에 기록되는 마크의 직전 또는 직후의 스페이스 길이에 대한 전단부 및 후단부에 관한 원하는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기록 품질의 저하를 방지하면서, 기억 용량을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변환 수단이 뱅크를 두 번 변환하여 원하는 설정 정보를 기억하는 뱅크를 소정의 펄스 폭 조정 수단에 접속할 때, 첫 번째의 변환시에 기록되는 마크 길이에 대한 기록 마크의 전단위치와 기록되는 마크 직전의 스페이스 길이에 대한 기록 마크의 전단위치에 관한 원하는 정보를 설정하고, 두 번째 변환시에 기록되는 마크 길이에 대한 기록 마크의 후단위치와 기록되는 마크의 직후 스페이스 길이에 의한 기록 마크에 대한 후단위치에 관한 원하는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변환 수단의 변환 패턴을 첫 번째 변환시에 기록되는 마크 길이에 의한 기록 마크의 전단부와 기록되는 마크의 직전 스페이스 길이에 의한 기록되는 마크의 전단부에 관한 원하는 정보를 설정하고, 두 번째 변환시에 기록되는 마크 길이에 의한 기록 마크의 후단부와 기록되는 마크의 직후 스페이스 길이에 의한 기록 마크에 대한 후단부에 관한 원하는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기록 품질의 저하를 방지하면서, 기억용량을 삭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 기록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 기록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디스크(1); 광 픽업(2); APC(APC:Auto Power Control)(3); RF앰프(4); 서보 회로(5); 신 호 처리 회로(6); CPU(CPU:Central Processing Unit)(7); 드라이버(8); 기록 파형 발생부(9)를 구비하고 있다.
광 디스크(1)는 반도체 레이저에 의해 정보의 기록, 재생, 소거를 수행할 수 있는 기록 매체이고, 예를 들어, CD-R, CD-RW, DVD-R, DVD-RW 등이 있다. 광 픽업(2)은 도시하지 않은 레이저 다이오드 등의 레이저 광원이나, 콜리메이터 렌즈, 초점 액츄에이터 혹은 트래킹 액츄에이터에 의해 구동되는 대물 렌즈, 편광 빔 스플리터, 실린드리컬 렌즈 등의 광학 부품, 및 A, B, C, D의 4개의 영역으로 분할되며, 빛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4분할 혹은 2분할 광 검출기(PD:Photo Detector)혹은 기록 재생시의 레이저 출력을 모니터하는 프론트 모니터 다이오드(front monitor diode) 등을 구비하고 있다. APC(3)는 광 픽업(2)내의 프론트 모니터 다이오드로부터의 전류를 모니터하고, 반도체 레이저의 출사파워를 원하는 값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블럭이다.
RF 앰프(4)는 광 디스크(1)로부터의 반사광을 검출하고, 검출한 반사광으로부터 반사광량을 연산하며, 4분할 PD의 각 영역으로의 반사광량의 총합을 나타내는 RF 신호를 생성하는 것과 함께, 광 픽업(2)의 조사 레이저의 초점 어긋남을 검출한 신호인 초점 에러 신호(FE)를 비점수차법에 의해 생성하고, 또한 광 픽업(2)의 조사 레이저의 트랙 어긋남을 검출한 신호인 트래킹 에러 신호(TE)를 푸시풀(push pull)법에 의해 생성한다. 서보 회로(5)는 RF 앰프(4)에서 생성된 FE 및 TE를 토대로 초점 구동 신호(FODRV), 트래킹 구동 신호(TRDRV)를 생성한다.
신호 처리 회로(6)는 재생시의 RF신호로부터 생성한 EFM신호를 입력하고, 데이터의 처리를 수행하는 반면, 도시하지 않은 PLL회로를 구비하고, 스핀들 모터의 회전을 제어한다. CPU(7)는 ROM(ROM:Read Only Memory) 등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토대로 장치 전체의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광디스키의 기록 위치를 검출하고, 이에 따라 뱅크를 변환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드라이버(8)는 RF앰프(4)에서 생성된 초점 구동 신호(FODRV), 트래킹 구동 신호(TRDRV), 혹은 신호 처리 회로(6)에서 생성된 스핀들 제어 신호를 입력하고, 이것을 원하는 크기로 증폭한 후, 초점 액츄에이터, 트래킹 액츄에이터 혹은 스핀들 모터 등에 공급한다. 기록 파형 발생부(9)는 CPU(7)로부터의 변환 신호에 따라 원하는 뱅크를 기록 펄스 폭을 조정하는 블럭에 공급하고, 기록 펄스를 발생시킨다. 발생한 기록 펄스는 도시하지 않은 LD드라이버에 공급되고, 발생한 기록 펄스에 따라 광 디스크에 신호를 기록한다. 또한 더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기록 파형 발생부(9)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21); 변환 스위치(22a, 22b); 스태틱 파라미터 조정부(23); 다이나믹 파라미터 조정부(24); 기록 데이터 발생부(25); 마크 길이, 스페이스 길이 검출부(26); 기록 펄스 발생부(27)로 구성 되어 있다.
메모리(21)는 복수의 뱅크로 구성된 SRAM 등의 재기록 가능한 기억장치이고, 기록 파형에 관한 설정 정보(보정치)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메모리(21)는 3개의 뱅크로 구성되어 있다. 변환 스위치(22a, 22b)는 CPU(7)로부터 출력되는 변환 신호를 토대로 각 뱅크와 스태틱 파라미터 조정부(23) 혹은 다이나믹 파라미터 조정부(24)를 접속하는 변환 소자이다.
스태틱 파라미터 조정부(23)는 마크 길이, 스페이스 길이 검출부(26)로부터 검출된 마크 길이를 변환 스위치를 매개로 소정의 뱅크로부터 얻어지는 스태틱 파라미터에 관한 보정값을 근거로 보정한다. 또한 스태틱 파라미터란, 기록되는 마크길이만으로 결정되는 기록 파형에 관한 파라미터이다. 다이나믹 파라미터 조정부(24)는 마크 길이, 스페이스 길이 검출부(26)로부터 검출된 마크 길이 혹은 스페이스 길이를 변환 스위치를 매개로 소정의 뱅크로부터 얻어지는 다이나믹 파라미터에 관한 보정값을 근거로 보정한다. 또한 다이나믹 파라미터란, 기록되는 마크 길이 및 그 전후의 스페이스 길이에 의해 결정되는 기록 파형에 관한 파라미터이다.
기록 데이터 발생부(25)는 광 디스크(1)에 기록해야 하는 신호에 대응한 기록 데이터를 발생한다. 마크 길이, 스페이스 길이 검출부(26)는 기록 데이터 발생부(25)로부터 발생된 기록 데이터를 근거로 대응하는 소정의 마크 길이 혹은 스페이스 길이를 검출하고, 그 정보를 스태틱 파라미터 조정부(23) 및 다이나믹 파라미터 조정부(24)로 출력한다. 기록 펄스 발생부(27)는 기록 데이터 발생부(25)로부터 입력한 기록 데이터를 스태틱 파라미터 조정부(23) 및 다이나믹 파라미터 조정부(24)로부터 입력한 쌍방의 조정값을 합산한 조정값으로 보정하여 기록 펄스를 생성하고, 이것을 LD드라이버에 공급한다.
이어서, 도 3부터 도 5를 이용하여 본 실시형태에서의 기록 파형 발생부내의 뱅크의 변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광 디스크에 기록된 마크의 전단 및 후단위치와 기록 레이저의 조사 개시 및 종료 위치란, 일치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도 4 참조). 이것은 광 디스크 기록층의 온도 상승이 레이저 조사에 의한 가열뿐만 아니라, 가열에 의해 발생하는 열의 전파에 의존하기 때문이며, 이 열의 전파는 어떤 마크를 형성할 때의 레이저 조사 시간, 즉 기록하는 마크 길이에 의해 변화한다.
마찬가지로 기록된 마크의 전단 및 후단위치는 전후 스페이스 길이에 의해서도 변화한다. 이것은 인접하는 마크로부터의 열의 전파가 그 거리, 즉 전후 스페이스 길이에 의해서도 변화하기 때문이다. 또한 직전 스페이스 길이는 마크 전단위치에 주는 영향이 크고, 직후 스페이스 길이는 마크 후단위치에 주는 영향이 크다. 이와 같이, 기록하는 마크 길이에 의한 열의 영향과 전후 스페이스 길이에 의한 열의 영향은 열의 발생원이 다르기 때문에 양자의 열에 의한 영향이 가산되어 나타난다고 여길 수 있다.
그래서, 광 디스크의 기록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열의 영향을 고려하여 기록된 마크의 전단위치와 후단위치를 항상 이상적인 위치로 해야 하며, 기록 파형의 전단과 후단의 위치를 설정 또는 보정할 필요가 있다(이것을 라이트 스트래티지(write strategy)라고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록하는 마크 길이에 의한 열의 영향과 전후 스페이스 길이에 의한 열의 영향은 독립되어 있으며, 양자의 열의 영향이 가산되어 작용하고 있다고 여길 수 있기 때문에, 라이트 스트래티지에 대해서도 이 양자의 보정값을 독립하여 설정하고, 그 가산값을 최종적인 보정값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기록 마크 길이마다 기록 파형에 대한 전단위치 보정량과 후단위치 보정량을 개별적으로 설정한다. 또 이와는 별도로 각 직전 스페이스 길이의 전단위치 보정량과 각 직후 스페이스 길이의 후단위치 보정량을 개별적으로로 설정한다. 따라서, CD-R이나 CD-RW의 경우에는, 마크 길이, 스페이스 길이 둘 다 3T부터 11T까지의 9종류가 존재하기 때문에, 설정하는 보정량의 수는 최대 36개가 된다. 이어서, 기록하는 마크 길이와 전후 스페이스 길이와의 조합마다 전단위치 보정량의 합과 후단위치 보정량의 합을 연산하여 실제 기록 파형을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열에 의한 영향은 기록하는 광 디스크의 종류나 기록 속도에 의해 변화한다. 따라서, CAV방식의 기록과 같이, 기록 중에 기록 속도가 시시각각 변화할 경우에는, 기록 속도의 변화에 따라 기록 동작 중에 라이트 스트래티지(write strategy)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기록 중에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변경할 경우에는, 기록하는 마크 길이에 의한 보정량과 전후 스페이스 길이에 의한 보정량을 동시에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메모리 용량 등의 문제로 한 번에 이 양자를 변경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여러 번으로 나눠 보정량을 설정하게 되는데, 기록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독립된 보정값을 한 번에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기록 마크 길이에 의한 전단위치 보정량과 후단위치 보정량을 첫 번째로 설정하고, 두 번째에 직전 스페이스 길이에 의한 전단위치 보정량과 직후 스페이스 길이에 의한 후단위치 보정량을 동시에 설정한다.
상기 보정 방법을 도 2, 도 3 및 도 5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종래의 기록 파형 발생부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메모리에는 4개의 뱅크가 마련되어 있다. 각각의 뱅크에는 광 디스크(1)의 기록 위치에 따라 스태틱 파라미터 조정부(23) 및 다이나믹 파라미터 조정부(24)에 공급해야 할 2종류의 설정 정보가 별개로 격납되어 있다. 따라서, 광 디스크(1)에 내주로부터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 기록 위치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했을 때, CPU(7)로부터 출력되는 변환 신호에 의해 변환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기록 위치에 대응한 설정 정보를 한 번의 조작으로 설정할 수 있긴 하지만, 큰 메모리 용량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기록 파형 발생부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구성에 대해 메모리가 3개의 뱅크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예와 비교하여 단순히 메모리 용량을 25% 삭감할 수 있다. 뱅크 내에 격납되는 설정 정보는, 예를 들어 뱅크의 변환을 광 디스크(1)의 내주, 중주, 외주에서 수행한다고 하면, 도 3과 같이 된다. 여기서 도 3 중, M(0)은 광 디스크(1)의 내주에서 스태틱 파라미터 조정부(23)에 공급하는 설정 정보를, M(1), M(2)는 마찬가지로 광 디스크(1)의 중주, 외주에서 스태틱 파라미터 조정부(23)에 공급하는 설정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또 SMS(0), SMS(1), SMS(2)는 광 디스크(1)의 내주, 중주, 외주에서 다이나믹 파라미터 조정부(24)에 공급하는 설정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실제 뱅크 변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광 디스크(1)의 내주에서 기록 동작을 수행할 때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뱅크1에는 M(0)이, 뱅크2에는 SMS(0)이, 뱅크3에는 M(1)이 격납되어 있으며, 변환 스위치(22a, 22b)를 매개하여 스태틱 파라미터 조정부(23)에는 뱅크1이, 다이나믹 파라미터 조정부(24)에는 뱅크2가 접속되어 있다.
기록 동작이 진행되면서 광 디스크(1)의 기록 위치가 중주부근의 소정위치에 도달하면, CPU(7)로부터 출력되는 변환 신호-1에 의해 스태틱 파라미터 조정부(23)가 뱅크3에 접속되고, 그 동안 스태틱 파라미터 조정부(23)와의 접속을 분리된 뱅크1에 대해,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를 M(0)에서 SMS(1)로 재기록하는 동작이 수행된다. 뱅크1의 재기록 동작이 완료되면, CPU(7)은 변환 신호-2를 출력하여 다이나믹 파라미터 조정부(24)를 뱅크1에 접속한다. 이 때, 다이나믹 파라미터 조정부(24)와의 접속을 분리된 뱅크2에 대해서는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를 SMS(0)에서 M(2)로 재기록하는 동작이 수행된다.
기록 동작이 더 진행되면서, 광 디스크(1)의 기록 위치가 외주 부근의 소정위치에 도달하면, CPU(7)로부터 출력되는 변환 신호-1에 의해 스태틱 파라미터 조정부(23)가 뱅크2에 접속되고, 그 동안 스태틱 파라미터 조정부(23)와의 접속을 분리된 뱅크3에 대해,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를 M(1)에서 SMS(2)로 재기록하는 동작이 수행된다. 뱅크3의 재기록 동작이 완료되면, CPU(7)는 변환 신호-2를 출력하여 다이나믹 파라미터 조정부(24)를 뱅크3에 접속한다. 이 때, 다이나믹 파라미터 조정부(24)와의 접속을 분리된 뱅크1에 대해서는,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를 SMS(1)에서 M(3)으로 재기록하는 동작이 수행된다.
이와 같이 설정을 수행하면, 기록 파형의 설정 변경에는 두 번의 설정이 필요하게 되고, 최초의 설정이 종료한 시점에서는 기록 마크 길이에 의한 전단위치 보정량과 후단위치 보정량이 그 기록 속도에 대응한 적절한 설정값으로 갱신되기 때문에, 기록 마크 길이의 열에 의한 영향은 올바르게 보정되게 된다.
단, 직전 스페이스 길이에 의한 전단위치 보정량이나 직후 스페이스 길이에 의한 후단위치 보정량은 아직까지 갱신되지 않았기 때문에, 최후의 설정이 완료될 때까지는 전후 스페이스 길이에 의한 열의 영향은 정확하게는 보정되어 있지 않지만, 최초의 설정과 최후의 설정이 단시간에 수행되기 때문에, 기록 품질의 열화를 발생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동일한 회(回)로 설정하는 설정 정보의 내용이 중요하며, 설정 순서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예와는 달리, 직전 스페이스 길이에 의한 전단위치 보정량과 직후 스페이스 길이에 의한 후단위치 보정량을 최초로 설정하고, 최후에 기록 마크 길이에 의한 전단위치 보정량과 후단위치 보정량을 동시에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별도의 실시예로서 최초의 설정에서 기록 마크 길이에 의한 전단위치 보정량과 직전 스페이스 길이에 의한 전단위치 보정량을 설정하고, 최후의 설정에서 기록 마크 길이에 의한 후단위치 보정량과 직후 스페이스 길이에 의한 후단위치 보정량을 설정해도 된다. 이 경우, 최초의 설정이 종료한 시점에서는 전단위치 보정량이 그 기록 속도에 대응한 최적의 설정으로 변경되며, 후단위치 보정량은 아직 최적의 값은 되지 못했지만, 최초의 설정과 최후의 설정이 단시간에 수행되기 때문에, 기록 품질의 악화를 일으키게 되지는 않는다.
또한 이런 경우도 동일한 회로 설정하는 내용이 중요하며, 상기한 순번을 바꿔서 최초의 설정에서 기록 마크 길이에 의한 후단위치 보정량과 직후 스페이스 길이에 의한 후단위치 보정량을 설정하고, 최후의 설정에서 기록 마크 길이에 의한 전단위치 보정량과 직전 스페이스 길이에 의한 전단위치 보정량을 설정해도 된다.
또한 최초에 기록 마크 길이에 의한 후단위치 보정과 직전 스페이스 길이에 의한 전단위치 보정을 수행하고, 최후에 기록 마크 길이에 의한 전단위치 보정과 직후 스페이스 길이에 의한 후단위치 보정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최초의 설정 종료 시점에서는 기록 마크 길이에 의한 보정량도 전후 스페이스 길이에 의한 보정량도 불완전한 상태이며, 설령 이런 상태에서의 기록 시간이 얼마 되지 않더라도 기록 품질에 주는 영향은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한 방법이라고는 할 수 없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들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도 포함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록 동작중에 뱅크내의 데이터를 재기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했는데, 이 뿐만 아니라, 광 픽업을 포즈 상태로 해서 기록 동작을 일시 중단하고, 그 동안에 뱅크 데이터의 재기록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메모리를 복수의 뱅크로 분할한 구성을 예시했는데, 이 뿐만 아니라, 복수의 메모리를 마련하여 똑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설정 정보의 기억장치로서 메모리를 예시했는데, 이 뿐만 아니라 복수의 레지스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적은 메모리를 변환하여 이용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메모리 용량의 삭감 및 비용 절감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모리 내의 정보의 재기록이나 메모리의 변환을 기록 동작 중에 수행하기 때문에, 기록 동작 중에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광 디스크에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파형에 관한 설정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
    상기 기억 수단의 설정 정보를 근거로 기록 파형의 펄스 폭을 조정하는 복수의 펄스 폭 조정 수단;
    상기 기억 수단이 주소마다 구분된 뱅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뱅크와 상기 펄스 폭 조정 수단과의 접속을 변환하는 변환 수단;
    상기 복수의 펄스 폭 조정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펄스 신호를 근거로 기록 파형을 생성하는 기록 파형 생성 수단을 가지고,
    기록 동작이 진행되면서 상기 뱅크내의 정보를 재기록하는 것에 의해 상기 변환 수단이 하나의 뱅크로의 접속을 2이상의 펄스 폭 조정 수단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이라고 하는 광 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수단이 원하는 설정 정보를 기억하는 뱅크를 소정의 펄스 폭 조정 수단으로 접속할 때, 적어도 뱅크를 두 번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수단이 뱅크를 두 번 변환하여 원하는 설정 정보를 기억하는 뱅크를 소정의 펄스 폭 조정 수단으로 접속할 때, 첫 번째의 변환시에 기록되는 마크 길이에 대한 전단부 및 후단부에 관한 원하는 정보를 설정하고, 두 번째의 변환시에 기록되는 마크의 직전 또는 직후 스페이스 길이에 대한 전단위치 및 후단위치에 관한 원하는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수단이 뱅크를 두 번 변환하여 원하는 설정 정보를 기억하는 뱅크를 소정의 펄스 폭 조정 수단으로 접속할 때, 첫 번째 변환시에 기록되는 마크 길이에 대한 기록 마크의 전단위치와 기록되는 마크의 직전의 스페이스 길이에 대한 기록 마크의 전단위치에 관한 원하는 정보를 설정하고, 두 번째 변환시에 기록되는 마크 길이에 대한 기록 마크의 후단위치와 기록되는 마크의 직후 스페이스 길이에 의한 기록 마크에 대한 후단위치에 관한 원하는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 장치.
KR1020040054705A 2003-08-19 2004-07-14 광 기록 장치 KR1006048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07863 2003-08-19
JP2003207863A JP4122266B2 (ja) 2003-08-19 2003-08-19 光記録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0591A KR20050020591A (ko) 2005-03-04
KR100604886B1 true KR100604886B1 (ko) 2006-07-31

Family

ID=34364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4705A KR100604886B1 (ko) 2003-08-19 2004-07-14 광 기록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122266B2 (ko)
KR (1) KR1006048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3133A1 (ja) * 2007-04-16 2008-11-06 Nec Corporation 光学的情報記録媒体への信号記録条件調整方法、情報記録再生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7419A (ja) * 1995-12-15 1997-06-24 Fujitsu Ltd 光ディスク装置
US20010017833A1 (en) 2000-02-08 2001-08-30 Katsuyuki Yamada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information using the method
JP2003030834A (ja) * 2001-07-17 2003-01-31 Ricoh Co Ltd 光ディスク記録装置
KR20040047465A (ko) * 2002-11-30 2004-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를 감소시키는 개선된 광 디스크 기록재생장치 및그 기록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7419A (ja) * 1995-12-15 1997-06-24 Fujitsu Ltd 光ディスク装置
US20010017833A1 (en) 2000-02-08 2001-08-30 Katsuyuki Yamada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information using the method
JP2003030834A (ja) * 2001-07-17 2003-01-31 Ricoh Co Ltd 光ディスク記録装置
KR20040047465A (ko) * 2002-11-30 2004-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를 감소시키는 개선된 광 디스크 기록재생장치 및그 기록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503083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0591A (ko) 2005-03-04
JP4122266B2 (ja) 2008-07-23
JP2005063494A (ja) 200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092942A (ja) 光ディスク記録方法、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ディスク
KR100795280B1 (ko) 광 기록 장치, 및 광 기록 장치에서의 레이저 파워를제어하는 방법
US6628588B2 (en) Information record apparatus, information record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 medium
JP4604924B2 (ja) 光ディスク記録方法、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ディスク
KR101085409B1 (ko)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
JP2007018582A (ja) 光情報記録装置および光情報記録方法
US20100097902A1 (en) Track writing with radial error offset correction
KR100590206B1 (ko) 광픽업장치 및 광디스크의 정보기록 재생장치
KR100604886B1 (ko) 광 기록 장치
US8085634B2 (en) Optical disk drive, and method for determining recording strategy
JP3907630B2 (ja) 光記録方法及び光記録装置
US7755993B2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reproduction device
JP4422650B2 (ja) 光情報記録装置およびパワー設定方法
JP4122459B2 (ja) レーザ駆動装置及び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2002100046A (ja)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並びに情報記録媒体
JP4487185B2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KR100604883B1 (ko) 광 디스크 기록 장치 및 광 디스크 기록 장치에서의기록시의 포커스/트래킹 오프셋의 보정 방법
JP3768452B2 (ja) 光情報記録装置
JP4883200B2 (ja) 光ディスク記録方法、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ディスク
JP5577429B2 (ja) 光ディスク記録方法、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ディスク
JP5325960B2 (ja) 光ディスク記録方法、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ディスク
JP4609578B2 (ja) 光ディスク記録方法、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ディスク
JP2006269038A (ja) 光情報記録装置、ライトストラテジ設定装置、ライトストラテジの設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2183960A (ja) 光情報記録再生装置および光情報記録方法
JP2001067671A (ja) 光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