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7465A - 메모리를 감소시키는 개선된 광 디스크 기록재생장치 및그 기록방법 - Google Patents

메모리를 감소시키는 개선된 광 디스크 기록재생장치 및그 기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7465A
KR20040047465A KR1020020075697A KR20020075697A KR20040047465A KR 20040047465 A KR20040047465 A KR 20040047465A KR 1020020075697 A KR1020020075697 A KR 1020020075697A KR 20020075697 A KR20020075697 A KR 20020075697A KR 20040047465 A KR20040047465 A KR 20040047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write
data
update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5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형
김제원
강시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5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7465A/ko
Publication of KR20040047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746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11B7/00456Recording strategies, e.g. pulse sequen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009Turntables, hubs and motors for disk drives; Mounting of motors in the driv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222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clock-related aspects, e.g. phase or frequency adjustment or bit synchronis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62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4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the area forming one or more zones, wherein each zone is shaped like an annulus or a circular sector
    • G11B2020/1244CAV zone, in which a constant angular velocity is us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4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the area forming one or more zones, wherein each zone is shaped like an annulus or a circular sector
    • G11B2020/1245CLV zone, in which a constant linear velocity is us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G11B20/1403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levels
    • G11B20/1423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 G11B20/1426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conversion to or from block codes or representations thereof
    • G11B2020/14618 to 14 modulation, e.g. the EFM code used on CDs or mini-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메모리를 감소시키는 개선된 광 디스크 기록재생장치 및 그 기록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메모리를 감소시키는 개선된 광 디스크 기록재생장치는, 스핀들 모터에 의해 소정의 각속도로 회전하며, 기록 배속이 다른 복수의 기록 영역들로 구분되는 광 디스크에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하는 광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EFM 변조부, 메모리, 기록신호 발생부, 레이저 드라이버, 픽업부, 마이컴 및 데이터 기입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EFM 변조부는 디지털 데이터를 변조하여 EFM 신호를 발생한다. 메모리는 기록 패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를 저장한다. 기록신호 발생부는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EFM 신호로부터 복수의 기록 제어신호들을 발생한다. 레이저 드라이버는 복수의 기록 제어신호들에 응답하여 구동전원의 크기를 조절한다. 픽업부는 구동전원에 의해 동작되며, 광 디스크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기록 패턴을 형성하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한다. 마이컴은 복수의 기록 영역들중 소정의 기록 영역에서 다음의 기록 영역에 대응하는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에 대한 갱신 데이터 및 라이트 어드레스를 제1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출력한다. 데이터 기입 제어부는 갱신 데이터 및 라이트 어드레스를 저장하며, 소정의 업데이트 영역에서 갱신 데이터를 제2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메모리에 라이트 한다. 기록 영역들 각각은 업데이트 영역을 포함하며, 데이터 기입 제어부는 업데이트 영역에서 메모리가 리드 모드일 때, 갱신 데이터의 라이트 동작을 중지한다.
메모리를 감소시키는 개선된 광 디스크 기록재생장치는 메모리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메모리를 감소시키는 개선된 광 디스크 기록재생장치 및 그 기록방법{The improved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of an optical disk for reducing memory and the record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광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메모리를 감소시키는 개선된 광 기록재생장치 및 그 기록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CD(compact disc), DVD(digital video disc)를 포함하는 광 디스크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상기 광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광 기록재생장치의 기록 배속이 증가됨에 따라, 광 디스크에 정확한 피트(pit)를 형성하는 것이 기록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광 디스크에 정확한 피트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기록 펄스의 폭이 알맞게 제어되어야 한다. 이러한 기록 펄스의 폭을 제어하기 위해, 기록 배속과 기록되는 EFM(eight-to-fourteen modulation) 패턴의 조합에 따라 펄스 길이를 제어하는 방법(CD-R)을 사용하거나 또는 다중 펄스 분할 방법(CD-RW/DVD-R) 등을 사용한다.
이처럼 기록 펄스의 폭을 제어하여 광 디스크에 정형된 길이의 피트를 형성하는 것을 라이트 스트레티지(write strategy)라 한다.
라이트 스트레티지를 위해서는 기록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를 별도의 메모리에 미리 저장해 두고, 기록 패턴(3T, 4T,...:T는 채널 클럭의 주기)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를 독출하여 사용해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광 기록재생장치의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와 기록 제어신호들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에서, EFM 신호는 EFM(eight-to-fourteen modulation) 변조된 신호로서, 실제로 광 디스크에 기록될 데이터를 나타내며, 광 디스크에 형성될 기록 패턴별 피트 길이와 랜드 길이의 정보를 포함한다.
기록 제어신호들(EFM1∼EFM3)은 기록 펄스의 폭을 제어하는 신호들로서, 레이저 다이오드(LD)에 공급되는 전원의 크기를 조절한다.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LD)에 공급되는 전원은 프리히트(pre-heat), 오버드라이브(overdrive), 및 피크(peak)의 3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기록 제어신호들(EFM3, EFM2, EFM1) 각각에 의해 각 단계들이 제어된다.
상기 기록 제어신호들(EFM1∼EFM3)은 지연 데이터들(D1∼D4)로 구성되는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EFM 신호의 위상을 소정 시간 지연시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지연 데이터들(D1∼D4)은 상기 EFM 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실험값으로 미리 결정된 값들이다
상기 기록 제어신호들(EFM1∼EFM3)에 의해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LD)에 공급되는 전원의 크기가 조절되어 상기 EFM 신호에 대한 기록 패턴이 광 디스크에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지연 데이터들(D1∼D4)은 기록되는 패턴에 따라 다른 값을 갖기 때문에, 각 기록 패턴에 따른 상기 지연 데이터들(D1∼D4)을 메모리에 미리 저장해 두고, 기록되는 패턴에 대응하는 상기 지연 데이터들(D1∼D4)을 독출하여 사용해야 한다.
기존의 저배속 기록에서는 현재 기록되는 패턴만이 고려되기 때문에 미리 저장되는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의 양이 많지 않지만, 다이너믹(dynamic) 라이트 스트레티지의 경우 고려되어야 할 모든 패턴 조합에 대해 각각의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들이 저장되어야 하므로 별도의 메모리가 필요하다.
상기 다이너믹 라이트 스트레티지는 기록 배속이 증가되면서 현재 기록되는 패턴이 주위의 패턴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되므로, 주위 패턴까지 고려하여 기록을 제어하는 방식이다.
여기에서, 현재 기록되는 패턴이 주위의 패턴에 따라 영향을 받는 이유는, 이전에 기록된 패턴의 피트 길이에 따라 레이저 다이오드에 존재하는 잠열(latent heat)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 때, 일정한 선속도(constant linear velocity, 이하, CLV라 함) 기록 방식과 같이 광 디스크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키면서 동일한 배속으로 기록하는 경우, 광 디스크의 기록전에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를 메모리에 한 번만 라이트(write)하여 사용하면 된다.
그러나, 기록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광 디스크의 회전속도를 동일하게 하고,광 디스크의 내주에서 외주로 갈수록 기록 배속을 증가시키는 일정한 각속도(constant angular velocity, 이하, CAV라 함) 기록 방식 또는 존(zone)-CLV 기록 방식에서는 기록 배속에 따라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다.
상기 CAV 기록 방식에서는 광 디스크가 서로 다른 기록 배속을 갖는 복수의 기록 영역들로 분할되어 기록 제어되며, 동일한 기록 영역에서는 동일한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광 디스크의 기록 중에는 기록 배속에 따라 변화되는 채널 클럭(1배속에서 4.3218㎒)을 사용하여 메모리로부터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독출하여 사용하므로, 상기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의 독출 동작을 중단하지 않고 동일한 메모리에 다음 기록 영역에 사용될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종래에는 두 개의 메모리를 사용하여 하나의 메모리로부터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를 읽는 동안, 다른 하나의 메모리에 다음 기록 영역에 사용될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고, 기록 영역이 바뀔 때 상기 업데이트된 메모리로 교체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광 기록재생장치가 도 2에 도시된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광 기록재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광 기록재생장치(10)는 픽업부(11), 스핀들모터(12), 드라이버(13), RF 앰프부(14), 서보 제어부(15), EFM 복조부(16), 호스트 컴퓨터(17), ATAPI(18) 및 DSP(19)를 구비한다.
또, 종래기술에 따른 광 기록재생장치(10)는 EFM 변조부(20), 기록신호 발생부(21), 마이컴(22), 인터페이스(23), 제1 및 제2 메모리(24, 25), 레이저 드라이버(26)를 더 구비한다.
상기 픽업부(11)는 레이저 다이오드(미도시)를 포함하며, 광 디스크(1)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소정 길이를 갖는 피트들을 형성한다.
상기 스핀들 모터(12)는 상기 광 디스크(1)를 일정한 각속도로 회전시키고, 상기 드라이버(13)는 상기 스핀들 모터(12)와 상기 픽업부(11)를 구동시킨다.
상기 RF 앰프부(14)는 상기 픽업부(11)에 의해 검출된 반사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 신호 및 각종 에러 신호들을 출력한다. 상기 서보 제어부(15)는 상기 에러 신호들에 응답하여 각종 제어신호들을 상기 드라이버(13)로 출력한다. 상기 서보 제어부(15)는 상기 제어신호들을 출력하여 스핀들 제어, 슬레드 제어, 포커스 제어, 트랙킹 제어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EFM 복조부(16)는 상기 데이터 신호를 EFM 변조되기 이전의 데이터 형태로 복조하여 상기 DSP(19)로 출력한다. 상기 DSP(19)는 상기 복조된 데이터를 에러정정 및 디스크램블 처리하여 상기 ATAPI(18)를 통하여 상기 호스트 컴퓨터(17)로 전송한다. 또, 상기 DSP(19)는 상기 ATAPI(18)를 통하여 상기 호스트 컴퓨터(17)로부터 상기 광 디스크(1)에 기록될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EFM 변조부(20)는 상기 DSP(19)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변조하여 실제로 상기 광 디스크(1)에 기록될 EFM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마이컴(22)은 상기 인터페이스(23)를 통하여, 상기 광 디스크(1)의 기록 영역(기록 배속)에 따른 기록 패턴별 지연 데이터들(D1∼D4)을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메모리(24 또는 25)에 기입한다.
상기 기록신호 발생부(21)는 상기 지연 데이터들(D1∼D4)을 사용하여 상기 EFM 신호를 지연시켜 복수의 기록 제어신호들(EFM1∼EFM3)을 발생한다.
상기 레이저 드라이버(26)는 상기 복수의 기록 제어신호들(EFM1∼EFM3)에 응답하여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구동 전원 크기를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따른 광 기록재생장치(10)의 기록 동작을 도 3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광 기록재생장치에 의한 일정한 각속도 기록시 기록 배속에 따른 광 디스크의 기록 영역을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도 3과 같이, 먼저, 기록 동작이 수행되기 전에 상기 제1 메모리(24)에 상기 광 디스크(1)의 제1 기록 영역에서 사용될 제1 지연 데이터들(D1∼D4)을 라이트한다.
이 후, 상기 제1 기록 영역에서, 상기 기록신호 발생부(21)는 상기 제1 메모리(24)로부터 제1 지연 데이터들(D1∼D4)을 독출하여 기록 제어신호들(EFM1∼EFM3)을 발생시킨다. 이 때, 상기 마이컴(22)은 상기 제2 메모리(25)에 제2 기록 영역에서 사용될 제2 지연 데이터들(D1∼D4)을 라이트한다.
다음으로, 제2 기록 영역에서, 상기 기록신호 발생부(21)는 상기 제2메모리(25)로부터 상기 제2 지연 데이터들(D1∼D4)을 독출하여 기록 제어신호들(EFM1∼EFM3)을 발생시킨다. 이 때, 상기 마이컴(22)은 상기 제1 메모리(24)에 제3 기록 영역에서 사용될 제2 지연 데이터들(D1∼D4)을 라이트한다.
제3 기록 영역에서, 상기 기록신호 발생부(21)는 상기 제1 메모리(24)로부터 상기 제3 지연 데이터들(D1∼D4)을 독출하고, 상기 마이컴(22)은 상기 제2 메모리(25)에 제4 기록 영역에서 사용될 제4 지연 데이터들(D1∼D4)를 라이트한다.
상기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광 기록재생장치의 기록 동작에서는 상기 제1 메모리(24)와 상기 제2 메모리(25)가 광 디스크의 기록 영역에 따라 교번적으로 사용된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광 기록재생장치의 기록 패턴별 메모리 상태와 기록 제어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소정의 기록 영역에서의 기록 패턴들에 대한 EFM 신호와 기록 제어신호(EFM1)를 발생시키기 위한 지연 데이터들(D1∼D2)만이 도시된다.
도 4에서, 상기 지연 데이터들(D1∼D2)은 기록 패턴(4T, 5T, 3T)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갖는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상기 기록 패턴(4T, 5T, 3T)에 따른 각각의 지연 데이터들(D1∼D2)이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메모리(24 또는 25)로부터 독출되어 사용된다. 따라서, 해당 기록 영역동안 메모리는 리드(READ) 모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광 기록재생장치는 두 개의 메모리를 사용하므로, 기록 배속에 따라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가 바로 교체되는 장점이 있다.그러나, 다이너믹 라이트 스트레티지와 같이 비교적 많은 양의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경우, 메모리의 크기가 두 배로 증가되므로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 종래기술에 따른 광 기록재생장치는 두 개의 메모리를 교번적으로 사용하므로 각 기록 영역별로 약간씩 변화되는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만을 부분적으로 업데이트 할 수 없고, 전체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를 다시 라이트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에서, 전체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를 다시 라이트 해야 하는 이유는, 상기 제1 메모리(24)의 경우를 예를 들면, 제1 기록영역, 제3 기록영역, 제5 기록영역,... 의 순으로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가 기록되는데, 각 기록 영역들간의 큰 기록 배속 차이로 인하여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를 부분적으로 업데이트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록 배속에 따라 변경되는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의 업데이트와, 광 디스크의 기록에 사용되는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의 리드를 단일 메모리에서 수행하여, 메모리를 감소시키는 개선된 광 기록재생장치 및 그 기록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광 기록재생장치의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와 기록 제어신호들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광 기록재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광 기록재생장치에 의한 일정한 각속도 기록시 기록 배속에 따른 광 디스크의 기록 영역을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광 기록재생장치의 기록 패턴별 메모리 상태와 기록 제어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를 감소시키는 개선된 광 기록재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데이터 기입 제어부와 메모리 및 인터페이스의 연결 상태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데이터 기입 제어부에 의한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의 업데이트 동작과 관련된 신호들의 타이밍차트와 메모리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업데이트 기간 동안의 기록 패턴별 메모리 상태와 기록 제어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데이터 기입 제어부의 주요 입출력 신호들의 관계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를 감소시키는 개선된 광 기록재생장치는, 스핀들 모터에 의해 소정의 각속도로 회전하며, 기록 배속이 다른 복수의 기록 영역들로 구분되는 광 디스크에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하는 광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EFM 변조부, 메모리, 기록신호 발생부, 레이저 드라이버, 픽업부, 마이컴 및 데이터 기입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EFM 변조부는 디지털 데이터를 변조하여 EFM 신호를 발생한다. 메모리는 기록 패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를 저장한다. 기록신호 발생부는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EFM 신호로부터 복수의 기록 제어신호들을 발생한다. 레이저 드라이버는 복수의 기록 제어신호들에 응답하여 구동전원의 크기를 조절한다. 픽업부는 구동전원에 의해 동작되며, 광 디스크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기록 패턴을 형성하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한다. 마이컴은 복수의 기록 영역들중 소정의 기록 영역에서 다음의 기록 영역에 대응하는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에 대한 갱신 데이터 및 라이트 어드레스를 제1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출력한다. 데이터 기입 제어부는 갱신 데이터 및 라이트 어드레스를 저장하며, 소정의 업데이트 영역에서 갱신 데이터를 제2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메모리에 라이트 한다. 기록 영역들 각각은 업데이트 영역을 포함하며, 데이터 기입 제어부는 업데이트 영역에서 메모리가 리드 모드일 때, 갱신 데이터의 라이트 동작을 중지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를 감소시키는 개선된 광 기록방법은, 스핀들 모터에 의해 소정의 각속도로 회전하는 광 디스크에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하는 광 기록재생장치의 기록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광 디스크를 기록 배속에 따라 소정의 업데이트 영역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기록 영역들로 구분하는 단계;
(b)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EFM 신호로 변조하는 단계;
(c) 메모리로부터 상기 복수의 기록 영역들중 소정의 기록영역 대응하는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d) 상기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EFM 신호로부터 복수의 기록 제어신호들을 발생하는 단계;
(e) 상기 기록 제어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광 디스크에 상기 EFM 신호에 따른 기록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f) 상기 (b) 단계 내지 상기 (e) 단계가 실행되는 동안 상기 소정의 기록영역 다음의 기록 영역에서 사용될 상기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의 갱신 데이터 및 라이트 어드레스를 제1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g) 상기 업데이트 영역에서 소정의 업데이트 요청신호, 업데이트 항목정보 및 상기 EFM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갱신 데이터를 제2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메모리에 라이트 함과 동시에, 상기 (b) 단계 내지 상기 (e) 단계를 실행하는 단계; 및
(h) 상기 (b) 단계 내지 상기 (g) 단계를 상기 복수의 기록 영역들 각각에 상기 기록 패턴이 형성될 때까지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를 감소시키는 개선된 광 기록재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재생장치(30)는 호스트 컴퓨터(31), ATAPI(32), DSP(33), EFM 변조부(34), 기록신호 발생부(35), 메모리(36), 데이터 기입 제어부(37), 인터페이스(38), 마이컴(39), 레이저 드라이버(40) 및 픽업부(41)를 구비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재생장치(30)는 RF 앰프부(43), EFM 복조부(44), 서보 제어부(45), 드라이버(46) 및 스핀들 모터(47)를 더 구비한다.
상기 호스트 컴퓨터(31)는 광 디스크(42)에 기록될 데이터를 상기 ATAPI(32)를 통하여 상기 DSP(33)로 전송한다. 상기 DSP(33)는 상기 데이터를 스크램블 처리하여 출력하고, 상기 EFM 변조부(34)는 상기 스크램블 처리된 데이터를 변조하여 EFM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상기 EFM 신호는 상기 광 디스크(42)에 실제로 기록되는 기록 패턴을 나타내는 신호로서, 3T(T는 채널 클럭의 주기) 내지 11T의 길이를 갖는 피트(pit) 또는 랜드(land)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기록신호 발생부(35)는 상기 EFM 신호를 상기 메모리(36)에 저장된 지연 데이터들(D1∼D4)을 이용하여 지연시켜 복수의 기록 제어신호들(EFM1∼EFM3)을발생시킨다.
상기 데이터 기입 제어부(37)는 상기 인터페이스(38)를 통하여 상기 마이컴(39)으로부터 시스템 클럭(33.8688㎒)에 동기되어 입력되는 각 기록 배속별 지연 데이터들(D1∼D4)을 임시 저장하고, 소정의 업데이트 기간 동안 상기 임시 저장된 지연 데이터들(D1∼D4)을 기록 배속에 따라 변화되는 채널 클럭에 동기하여 상기 메모리(36)에 기입한다.
여기에서, 상기 데이터 기입 제어부(37)에 의한 업데이트 동작은 기록 배속이 다른 복수의 기록 영역들로 분할되는 광 디스크(42)의 기록시 소정의 기록 영역에서 다음의 기록 영역으로 전환될 때 실행될 수 있다. 상기 기록 영역들의 기록 배속은 상기 광 디스크(42)의 내주에서 외주로 갈수록 증가된다.
상기 레이저 드라이버(40)는 상기 복수의 기록 제어신호들(EFM1∼EFM3)에 응답하여 레이저 다이오드(미도시)의 구동 전원 크기를 조절한다. 상기 픽업부(41)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광 디스크(1)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정형된 길이의 피트들을 형성시킨다.
상기 스핀들 모터(47)는 상기 광 디스크(42)를 일정한 각속도로 회전시키고, 상기 드라이버(46)는 상기 스핀들 모터(47)와 상기 픽업부(41)의 트랙킹 액튜에이터(미도시) 및 포커싱 액튜에이터(미도시) 등을 구동시킨다.
상기 RF 앰프부(43)는 상기 픽업부(41)에 의해 검출된 반사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 신호 및 각종 에러 신호들을 출력한다. 상기 서보 제어부(45)는 상기 에러 신호들에 응답하여 각종 제어신호들을 출력한다. 상기 서보제어부(15)는 상기 제어신호들을 출력하여, 스핀들 제어, 슬레드 제어, 포커스 제어, 트랙킹 제어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EFM 복조부(44)는 상기 데이터 신호를 EFM 변조되기 이전의 데이터 형태로 복조하여 상기 DSP(33)로 출력한다. 상기 DSP(33)는 상기 복조된 데이터를 에러정정 및 디스크램블 처리하여 상기 ATAPI(32)를 통하여 상기 호스트 컴퓨터(31)로 전송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데이터 기입 제어부와 메모리 및 인터페이스의 연결 상태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과 같이, 상기 데이터 기입 제어부(37)는 버퍼(53)와, 메모리 제어부(54) 및 멀티플렉서(55)를 포함한다.
상기 버퍼(53)는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제1 저장공간(51)과 업데이트 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저장공간(52)을 포함한다. 상기 버퍼(53)는 상기 인터페이스(38)를 통하여 상기 마이컴(39)으로부터 수신되는 업데이트 데이터(DATA) 및 라이트 어드레스(ADD_W)를 저장한다. 상기 버퍼(53)의 크기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마이컴(39)은 시스템 클럭(CLK_SYS)(33.8688㎒)에 동기하여 상기 업데이트 데이터(DATA) 및 라이트 어드레스(ADD_W)를 상기 버퍼(53)에 전송한다. 상기 업데이트 데이터(DATA)는 기록 배속에 대응하는 기록 패턴별 지연 데이터들(D1∼D4)을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 제어부(54)는 상기 EFM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EFM 신호에 따라리드 어드레스(ADD_R)를 생성한다.
상기 메모리 제어부(54)는 상기 마이컴(39)의 업데이트 요청신호(UPDATE_REQ)가 활성화되고, 업데이트 항목정보(UPDATE_NUM)가 수신되면, 선택신호(SEL)를 인에이블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업데이트 항목정보(UPDATE_NUM)는 업데이트 될 항목의 개수를 나타낸다.
또, 상기 메모리 제어부(54)는 상기 업데이트 요청신호(UPDATE_REQ)가 활성화되면, 상기 EFM 신호가 "로우" 상태일 때 리드 인에이블 신호(OEN)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EFM 신호가 "하이" 상태일 때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WEN)를 활성화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리드 인에이블 신호(OEN)와 상기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WEN)는 활성화될 때 "로우" 상태로 되고, 비활성화될 때 "하이" 상태로 될 수 있다.
상기 멀티플렉서(55)는 상기 선택신호(SEL)에 응답하여, 상기 라이트 어드레스(ADD_W) 또는 상기 리드 어드레스(ADD_R)중 하나를 출력한다.
상기 메모리(36)는 상기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WEN)가 활성화 될 때, 상기 버퍼(53)로부터 출력되는 업데이트 데이터(DATA)를 상기 라이트 어드레스(ADD_W)에 대응하는 위치에 저장한다. 또, 상기 메모리(36)는 상기 리드 인에이블 신호(OEN)가 활성화 될 때, 상기 리드 어드레스(ADD_R)에 해당하는 지연 데이터들(D1∼D4)을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재생장치의 광 디스크 기록 동작을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데이터 기입 제어부에 의한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의 업데이트 동작과 관련된 신호들의 타이밍차트와 메모리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업데이트 기간 동안의 기록 패턴별 메모리 상태와 기록 제어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데이터 기입 제어부의 주요 입출력 신호들의 관계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먼저, 광 디스크(42)의 기록 동작이 시작되기 전에 상기 마이컴(39)은 광 디스크(42)의 제1 기록 영역에서 사용될 제1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들(DATA1)을 상기 인터페이스(38) 및 상기 데이터 기입 제어부(37)를 통하여 상기 메모리(36)에 라이트 한다. 상기 제1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DATA1)는 기록 패턴에 따른 지연 데이터들(D1∼D4)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기록 영역에서, 상기 기록신호 발생부(35)는 상기 EFM 신호의 각 기록 패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DATA1)를 이용하여 복수의 기록 제어신호들(EFM1∼EFM3)을 발생시킨다.
이 때, 상기 메모리 제어부(54)는 상기 EFM 신호에 따라 상기 리드 인에이블 신호(OEN)를 활성화 시키고, 상기 리드 어드레스(ADD_R)를 발생시킨다.
또, 상기 제1 기록 영역에서, 상기 마이컴(39)은 제2 기록 영역에서 사용될 제2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DATA2) 및 라이트 어드레스(ADD_W)를 시스템 클럭(CLK_SYS)에 동기하여 상기 버퍼(37)로 전송한다.
상기 마이컴(39)은 상기 제2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DATA2) 및 상기 라이트 어드레스(ADD_W)의 전송이 완료될 때 상기 업데이트 요청신호(UPDATE_REQ)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업데이트 항목정보(UPDATE_NUM)를 상기 메모리 제어부(54)에 전송한다. 상기 제2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DATA2)는 상기 제1 기록 영역과 상기 제2 기록 영역 사이에서 변경되는 일부의 지연 데이터들(D1∼D4)을 포함한다.
이 후, 상기 메모리 제어부(54)는 상기 업데이트 요청신호(UPDATE_REQ)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DATA2)를 채널 클럭(CLK_CH)에 동기하여 상기 메모리(36)에 라이트 한다. 이 때, 상기 메모리 제어부(54)에 의한 상기 제2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DATA2)의 라이트 동작은 상기 EFM 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36)의 리드 동작이 일어나지 않을 때, 즉, 상기 제1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DATA1)의 리드 구간들 사이에서 수행되며, 상기 업데이트 항목정보(UPDATE_NUM)에 따른 횟수만큼 수행된다.
상기 메모리 제어부(54)는 상기 제2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DATA2)의 라이트가 완료되면, 펄스 형태의 업데이트 완료신호(UPDATE_FIN)를 발생하여 업데이트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상기 마이컴(39)에 알린다.
여기에서, 상기 제2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DATA2)의 라이트 동작은 도 7에 도시된 업데이트 영역, 즉, 상기 제1 기록 영역에서 상기 제2 기록 영역으로 전환되는 일부의 영역에서 실행될 수 있다.
도 7과 같이, 상기 메모리 제어부(54)는 소정의 업데이트 기간(A) 동안 복수 회에 걸쳐서 상기 제2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DATA2)를 채널 클럭(CLK_CH)에 동기하여 상기 메모리(36)에 라이트 한다.
도 7에 도시된 업데이트 영역에서는 상기 제1 라이트 스트레티지데이터(DATA1)의 리드 동작과 상기 제2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DATA2)의 라이트 동작이 교번적으로 수행되므로, 상기 기록 제어신호(FEM1∼FEM3)를 발생시키는데 상기 제1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DATA1)와 상기 제2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DATA2)가 혼용될 수 있다. 그러나, CAV 기록시 기록 배속이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고려할 때 이러한 현상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도 7에서, 상기 업데이트 기간(A) 동안 상기 메모리(36)에서는 라이트 모드(W) 동작과 리드 모드(R) 동작이 교번적으로 실행된다.
다음으로, 제2 기록 영역 역시, 상기 제1 기록 영역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제3 기록 영역에서 사용될 제3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DATA3)가 상기 메모리(36)에 업데이트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재생장치의 기록 동작은, 현재의 기록 영역에서 사용되는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의 리드 동작을 중단하지 않고, 데이터 기입 제어부에 의해 다음 기록 영역에서 사용될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를 동일한 메모리에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버퍼(53)의 크기가 업데이트 되어야 할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의 크기 보다 작을 경우, 상기 업데이트 기간(A)을 길게 설정하여 업데이트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EFM 신호의 기록 패턴(4T, 5T, 3T)에 따라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들(D1, D2)의 값이 서로 다르다.
도 8에서, 상기 EFM 신호의 "P" 구간은 광 디스크에 형성되는 피트의 길이를나타내고, "L" 구간은 랜드의 길이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상기 EFM 신호는 최소 3T(T는 채널 클럭의 주기)에서 최대 11T 길이의 피트 또는 랜드로 구성되므로, 피트와 랜드를 포함하는 기록 패턴의 최소 길이는 6T가 된다.
따라서, 6T 이내에 현재의 기록 영역에 사용되는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를 메모리로부터 독출하고, 다음의 기록 영역에 사용될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를 메모리에 기입하면 된다.
도 9와 같이, 상기 메모리 제어부(54)는 상기 EFM 신호의 상태에 따라 채널 클럭(CLK_CH)에 동기하여, 상기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WEN) 또는 상기 리드 인에이블 신호(OEN)를 활성화시킨다.
또한, 상기 멀티플렉서(55)는 상기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WEN)가 활성 상태일 때, 상기 선택신호(SEL)에 응답하여 라이트 어드레스(ADD_W)를 출력하고, 상기 리드 인에이블 신호(OEN)가 활성 상태일 때, 상기 선택신호(SEL)에 응답하여 리드 어드레스(ADD_R)를 출력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개선된 광 기록재생장치 및 그 기록방법에 의하면, 기록 배속에 따라 변경되는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의 업데이트와, 광 디스크의 기록에 사용되는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의 리드를 단일 메모리에서 수행하므로, 메모리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개선된 광 기록재생장치 및 그 기록방법에 의하면, 기록 배속이 다른 광 디스크의 복수의 기록 영역들 사이에서 변경될 데이터들만을 업데이트하므로, 마이컴의 로드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스핀들 모터에 의해 소정의 각속도로 회전하며, 기록 배속이 다른 복수의 기록 영역들로 구분되는 광 디스크에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하는 광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변조하여 EFM 신호를 발생하는 EFM 변조부;
    기록 패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EFM 신호로부터 복수의 기록 제어신호들을 발생하는 기록신호 발생부;
    상기 복수의 기록 제어신호들에 응답하여 구동전원의 크기를 조절하는 레이저 드라이버;
    상기 구동전원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광 디스크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상기 기록 패턴을 형성하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픽업부;
    상기 복수의 기록 영역들중 소정의 기록 영역에서 다음의 기록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에 대한 갱신 데이터 및 라이트 어드레스를 제1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출력하는 마이컴; 및
    상기 갱신 데이터 및 상기 라이트 어드레스를 저장하며, 소정의 업데이트 영역에서 상기 갱신 데이터를 제2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메모리에 라이트 하는 데이터 기입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기록 영역들 각각은 상기 업데이트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기입 제어부는 상기 업데이트 영역에서 상기 메모리가 리드 모드일 때, 상기 갱신 데이터의 라이트 동작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를 감소시키는 개선된 광 기록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기록 영역들간의 상기 기록 배속의 변화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의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를 감소시키는 개선된 광 기록재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럭신호는 소정의 주기를 가지는 시스템 클럭신호이고,
    상기 제2 클럭신호는 상기 기록 배속에 따라 변화되는 채널 클럭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를 감소시키는 개선된 광 기록재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입 제어부는,
    상기 갱신 데이터 및 상기 라이트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버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업데이트 요청신호, 업데이트 항목정보 및 상기 EFM 신호에 응답하여, 소정의 제어신호들을 출력하고, 리드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메모리 제어부; 및
    상기 제어신호들중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라이트 어드레스와 상기 리드 어드레스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를 감소시키는 개선된 광 기록재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제어부는,
    상기 업데이트 영역에서, 상기 EFM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신호들중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와 리드 인에이블 신호를 활성화시키며,
    상기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는 상기 리드 인에이블 신호가 활성상태일 때, 비활성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를 감소시키는 개선된 광 기록재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항목정보는 상기 메모리에 라이트 되는 상기 갱신 데이터의개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 제어부는,
    상기 업데이트 항목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와 상기 리드 인에이블 신호를 소정 횟수 교번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를 감소시키는 개선된 광 기록재생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가 활성화될 때 라이트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라이트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갱신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리드 인에이블 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 리드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리드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상기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를 감소시키는 개선된 광 기록재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2 클럭 신호의 6주기 동안 적어도 상기 라이트 모드 동작 및 상기 리드 모드 동작을 1회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를 감소시키는 개선된 광 기록재생장치.
  9. 스핀들 모터에 의해 소정의 각속도로 회전하는 광 디스크에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하는 광 기록재생장치의 기록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광 디스크를 기록 배속에 따라 소정의 업데이트 영역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기록 영역들로 구분하는 단계;
    (b)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EFM 신호로 변조하는 단계;
    (c) 메모리로부터 상기 복수의 기록 영역들중 소정의 기록영역 대응하는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d) 상기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EFM 신호로부터 복수의 기록 제어신호들을 발생하는 단계;
    (e) 상기 기록 제어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광 디스크에 상기 EFM 신호에 따른 기록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f) 상기 (b) 단계 내지 상기 (e) 단계가 실행되는 동안 상기 소정의 기록영역 다음의 기록 영역에서 사용될 상기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의 갱신 데이터 및 라이트 어드레스를 제1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g) 상기 업데이트 영역에서 소정의 업데이트 요청신호, 업데이트 항목정보 및 상기 EFM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갱신 데이터를 제2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메모리에 라이트 함과 동시에, 상기 (b) 단계 내지 상기 (e) 단계를 실행하는 단계; 및
    (h) 상기 (b) 단계 내지 상기 (g) 단계를 상기 복수의 기록 영역들 각각에 상기 기록 패턴이 형성될 때까지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를 감소시키는 개선된 광 기록재생장치의 기록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기록 영역들간의 상기 기록 배속의 변화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라이트 스트레티지 데이터의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를 감소시키는 개선된 광 기록재생장치의 기록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럭신호는 소정의 주기를 가지는 시스템 클럭신호이고,
    상기 제2 클럭신호는 상기 기록 배속에 따라 변화되는 채널 클럭신호인 것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는,
    상기 (c) 단계가 실행되는 동안 상기 갱신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라이트 하는 동작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를 감소시키는 개선된 광 기록재생장치의 기록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항목정보는 상기 메모리에 라이트 되는 상기 갱신 데이터의 개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g) 단계에서 상기 EFM 신호에 따라 라이트 모드 동작과 리드 모드 동작을 교번적으로 소정 횟수 반복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를 감소시키는 개선된 광 기록재생장치의 기록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2 클럭 신호의 6주기 동안 적어도 상기 라이트 모드 동작 및 상기 리드 모드 동작을 1회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를 감소시키는 개선된 광 기록재생장치의 기록방법.
KR1020020075697A 2002-11-30 2002-11-30 메모리를 감소시키는 개선된 광 디스크 기록재생장치 및그 기록방법 KR200400474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697A KR20040047465A (ko) 2002-11-30 2002-11-30 메모리를 감소시키는 개선된 광 디스크 기록재생장치 및그 기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697A KR20040047465A (ko) 2002-11-30 2002-11-30 메모리를 감소시키는 개선된 광 디스크 기록재생장치 및그 기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465A true KR20040047465A (ko) 2004-06-05

Family

ID=37342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5697A KR20040047465A (ko) 2002-11-30 2002-11-30 메모리를 감소시키는 개선된 광 디스크 기록재생장치 및그 기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74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4886B1 (ko) * 2003-08-19 2006-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기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4886B1 (ko) * 2003-08-19 2006-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기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8667B2 (en) Optical disc, optical dis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optical disc recording/reproducing method
KR100288402B1 (ko) 광디스크드라이브의버퍼언더런대응방법
KR100404058B1 (ko)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0411209B1 (ko) 기록 제어 장치
JP2004103096A (ja) 再生専用記録媒体、再生装置、再生方法
JP2001216647A (ja) 制御装置
JP2002367174A (ja)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情報記憶装置
KR20040047465A (ko) 메모리를 감소시키는 개선된 광 디스크 기록재생장치 및그 기록방법
JPH11232652A (ja) 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
KR100510498B1 (ko) 결함 디스크의 데이터 기록 방법 및 그 장치
JP2006012343A (ja) 光ディスク記録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3346339A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記録方法
JP3622760B2 (ja) ディスク状記録媒体及び記録再生装置
JP3622762B2 (ja) ディスク状記録媒体及び記録再生装置
JP3622764B2 (ja) ディスク状記録媒体及び記録再生装置
JP3622765B2 (ja) ディスク状記録媒体及び記録再生装置
JP3622768B2 (ja) ディスク状記録媒体及び記録再生装置
JP3622769B2 (ja) ディスク状記録媒体及び記録再生装置
JP2003187448A (ja) 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3674627B2 (ja) ディスク状記録媒体及び記録再生装置
JP3674626B2 (ja) ディスク状記録媒体及び記録再生装置
JP3674629B2 (ja) ディスク状記録媒体及び記録再生装置
JP3674628B2 (ja) ディスク状記録媒体及び記録再生装置
JP3622759B2 (ja) ディスク状記録媒体及び記録再生装置
JP3622766B2 (ja) ディスク状記録媒体及び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