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4014B1 -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4014B1
KR100604014B1 KR1020040046026A KR20040046026A KR100604014B1 KR 100604014 B1 KR100604014 B1 KR 100604014B1 KR 1020040046026 A KR1020040046026 A KR 1020040046026A KR 20040046026 A KR20040046026 A KR 20040046026A KR 100604014 B1 KR100604014 B1 KR 100604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ata storage
servo
incident
storage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6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20909A (ko
Inventor
신윤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6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4014B1/ko
Publication of KR20050120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0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4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4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65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by using optical interference patterns, e.g. hologra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38Details making use of sensor-related data, e.g. for identification of sensor or optical par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3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ervo format, e.g. guide tracks, pilot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53Diffractive elements, e.g. holograms or grating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6Collimator len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3Layer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40/00Hologram nature or properties
    • G03H2240/20Details of physical variations exhibited in the hologram
    • G03H2240/21Optical density vari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2007/240025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for storing optical interference patterns, e.g. hologra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보(Servo)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서보신호에 따라 효율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한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은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광이 평행광으로 변환되도록 하는 콜리메이션 렌즈와, 상기 콜리메이션 렌즈를 지난 광의 일부가 회절되도록 하여 서보용 광을 생성하는 회절 광학소자와, 상기 회절 광학소자로부터 입사된 광을 선집광하는 렌즈와, 상기 선집광된 광이 측면에서 입사되어 데이터 패턴에 따라 수직으로 회절되도록 하는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와,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의 상측에 위치하여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감지부와, 상기 회절 광학소자에 의해 생성된 서보용 광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광량에 따라 서보를 행하는 서보 제어부와, 상기 서보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렌즈를 구동하는 렌즈 구동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Description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HOLOGRAPHIC DATA STORAGE SYSTEM}
도 1은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의 특징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서보용 광을 감지하는 센서의 셀이 배치된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렌즈 11 ; 회절 광학소자
12 ; 콜리메이션 렌즈 13 ; 광원
14,15 ; 센서 16 ; 서보 제어부
17 ; 렌즈 구동부 18,19 ; 센서
20 ;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 21 ; 코어층
22 ; 클러딩층 23, 24 ; 코팅막
25 ; 데이터 감지부
본 발명은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보(Servo)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서보신호에 따라 효율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한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광 저장 기술은 일반 생활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서, CD(COMPACT DISC)와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을 들 수 있다.
광 저장 기술의 발전 방향은 고 집적화, 소형화, 경량화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특히, 광 저장장치의 소형화는 저장장치를 모바일(Mobile) 기기에 부착함으로써 그 활용도를 높이기 위함이고, 이를 통해 기존의 디스크(disc)형 광 저장장치가 가지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함이다.
광 저장장치가 모바일 환경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외부 충격에 잘 견딜 수 있어야 하고 기계적인 동작 범위가 최소화되어야 하며, 시스템 자체의 견고성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은 종래의 디스크형 광 저장장치의 크기를 축소하는 방법으로는 달성될 수 없으며, 구조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새로운 저장장치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중에 하나로 홀로그램을 이용한 측면 입사형 광 정보 저장장치가 연구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은 선집광(Line focusing)을 위한 렌즈(10)와,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20)로 구성된다.
상기 렌즈(10)는 입사되는 면광원을 선집광하여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20)의 선택된 층(layer)에 입사되도록 한다. 상기 렌즈(10)는 단면이 원통형(Cylindrical)의 형상이거나 반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렌즈(10)와 광원 사이에는 상기 렌즈(10)에 입사되는 광을 평행광으로 변환되도록 하는 콜리메이션 렌즈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20)는 코어층(Core layer)(21)과 클러딩층(22)(Cladding layer)이 번갈아 다수 형성되는데, 상기 코어층(21)은 광 굴절율이 높고 상기 클러딩층(22)은 광 굴절율이 낮게 설계된다.
상기 렌즈(10)에서 입사된 선집광된 광은 코어층(21)의 미리 저장된 데이터 패턴(pit pattern)에 의해 수직으로 회절되고 이를 CMOS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검출한다.
이와 같은 데이터 저장장치는 종래의 CD나 DVD와 같은 광 저장장치에 비해 동작부의 기구적 구동부가 매우 적고 견고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이미지 저장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데이터 집적도가 매우 높으며, 데이터 전송률도 매우 높은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데이터 저장장치는 렌즈(10)의 조정없이 코어층(21)에의 선집광이 잘 이루어지면 최선이겠으나, 각각의 코어층(21)에 선집광이 되도록 하여야 하고 모바일 환경에서의 외부 충격들을 고려하면, 선집광된 광이 코어층(21)의 위치 에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렌즈(10)의 틸트(tilt), 디포커스(defocus) 등의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매우 크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서보(Servo)작용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보(Servo)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서보신호에 따라 효율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한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은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광이 평행광으로 변환되도록 하는 콜리메이션 렌즈와, 상기 콜리메이션 렌즈를 지난 광의 일부가 회절되도록 하여 서보용 광을 생성하는 회절 광학소자와, 상기 회절 광학소자로부터 입사된 광을 선집광하는 렌즈와, 상기 선집광된 광이 측면에서 입사되어 데이터 패턴에 따라 수직으로 회절되도록 하는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와,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의 상측에 위치하여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감지부와, 상기 회절 광학소자에 의해 생성된 서보용 광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광량에 따라 서보를 행하는 서보 제어부와, 상기 서보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렌즈를 구동하는 렌즈 구동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절 광학소자는 입사된 광의 일부를 광축을 벗어나 는 방향으로 회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절 광학소자는 입사된 광의 일부를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의 양측면으로 회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센서는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의 측면에서 반사된 서보용 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의 측면에는 서보용 광의 광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코팅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센서는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의 코어층에서 회절된 서보용 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센서는 상기 데이터 감지부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의 코어층에는 서보용 광의 회절을 위한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은 측면에서 입사된 광이 수직으로 회절되고 회절된 광을 감지함으로써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도록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로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회절시켜 서보용 광이 생성되도록 하는 회절 광학소자와,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에 입사되는 광을 선집광시키는 렌즈와, 상기 회절 광학소자에서 생성된 서보용 광을 감지하여 광 량을 측정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렌즈를 구동하는 제어수단이 포함되는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렌즈의 위치 및 기울어진 각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의 입사면에는 코팅막이 형성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코팅막에서 반사된 서보용 광의 광량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의 코어층에는 서보용 광의 회절을 위한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패턴에서 수직으로 회절된 서보용 광의 광량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의 특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은 레이저가 발생되는 광원(13)과, 상기 광원(13)에서 발생된 광을 평행광으로 변환되도록 하는 콜리메이션 렌즈(Collimation lens)(12)와, 입사된 광의 일부가 회절되도록 하는 회절 광학소자(Diffractive Optical element : DOE)(11)와, 입사된 광을 선집광하는 렌즈(10)와, 측면에서 입사된 광을 데이터 패턴에 따라 수직으로 회절시키는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20)와,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20)의 상측에 위치하여 회절된 광으로 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감지부(25)와,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20)의 광 입사면에서 반사된 서보용 광을 감지하는 센서(14,15)와, 상기 센서(14,15)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렌즈(1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서보 제어부(16) 및 상기 서보 제어부(16)의 신호에 따라 상기 렌즈(10)를 구동하는 렌즈 구동부(17)가 포함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광원(13)은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콜리메이션 렌즈(12)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방출된 광을 평행광으로 변환시킨다.
그리고, 상기 회절 광학소자(11)는 서보 신호 생성을 위해 입사되는 일부 광이 회절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상기 회절 광학소자(11)과 렌즈(10)를 지난 광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집광되고 그 중 일부 광은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20)의 양측면으로 회절된다.
상기 렌즈(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단면이 원형이 아닌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렌즈(10)의 형상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이는 입사된 광을 선집광하여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20)로 입사되도록 하기 위해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회절 광학소자(11)는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광축에서 벗어나는 방향으로 회절되도록 하고 이는 서보용 광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20)의 양측면에는 반사를 위한 코팅막(23, 24)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20)를 통해 반사되는 광량이 적은 경우 신호가 약하기 때문에 코팅막(23,24)을 통해 광량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20) 또는 그 측면에 형성된 코팅막(23,24)을 통해 반사된 서보용 광은 센서(14,15)에 입사된다.
예를들어, 상기 센서(14,1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B,C,D,E,F,G,H 영역으로 구분되어 광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데, 상기 렌즈(10)의 디포커스(Defocus)는 (A+B+E+F)-(C+D+G+H)로 계산될 수 있으며, 상기 렌즈(10)의 틸트(tilt)는 (A+D+F+G)-(B+C+E+H)로 계산될 수 있고, 상기 렌즈(10)의 코어층(21)의 중심에 대한 오차는 (A+D+E+H)-(B+C+F+G)로 계산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14,15)에서 감지되는 광량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렌즈(10)의 전후 위치, 상하 위치, 기울어진 각도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14,15)에 의해 감지된 신호는 서보 제어부(16)로 전송되고, 상기 서보 제어부(16)는 상기 센서(14,15)의 신호에 따라 적절한 구동 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렌즈 구동부(17)가 작동하여 상기 렌즈(10)의 상하좌우 위치 및 기울어진 각도를 적절히 조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20)는 코어층(21)과 클러딩층(22)(Cladding layer)이 번갈아 다수 형성되는데, 상기 코어층(21)은 광 굴절율이 높고 상기 클러딩층(22)은 광 굴절율이 낮게 설계된다.
상기 렌즈(10)에서 입사된 선집광된 광은 코어층(21)의 미리 저장된 데이터 패턴(pit pattern)에 의해 수직으로 회절되고 이를 CMOS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검출한다.
즉,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20)의 코어층(21)에는 데이터 패턴이 형성되어 있어, 저장된 데이터에 따라 입사된 광이 수직으로 회절되도록 하고, 이를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20)의 상측에 구비된 데이터 감지부(25)를 통해 판독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기본적인 원리는 도 3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나 서보용 광을 감지하는 센서(18,19)가 데이터 감지부(25)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은 레이저가 발생되는 광원(13)과, 상기 광원(13)에서 발생된 광을 평행광으로 변환되도록 하는 콜리메이션 렌즈(Collimation lens)(12)와, 입사된 광의 일부가 회절되도록 하는 회절 광학소자(Diffractive Optical element : DOE)(11)와, 입사된 광을 선집광하는 렌즈(10)와, 측면에서 입사된 광을 데이터 패턴에 따라 수직으로 회절시키는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20)와,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20)의 상측에 위치하여 회절된 광으로 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감지부(25)와, 상기 측 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20)의 상측에 위치하며 서보용 광을 감지하는 센서(18,19)와, 상기 센서(18,19)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렌즈(1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서보 제어부(16) 및 상기 서보 제어부(16)의 신호에 따라 상기 렌즈(10)를 구동하는 렌즈 구동부(17)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20)의 측면으로 입사된 서보용 광은 상기 코어층(21)에서 수직으로 회절되고, 이때 상기 코어층(21)에는 서보용 광의 회절을 위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광원(13)은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콜리메이션 렌즈(12)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방출된 광을 평행광으로 변환시킨다.
그리고, 상기 회절 광학소자(11)는 서보 신호 생성을 위해 입사되는 일부 광이 회절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상기 회절 광학소자(11)과 렌즈(10)를 지난 광은 선집광되고 그 중 일부 광은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20)의 양측면으로 회절된다.
상기 렌즈(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단면이 원형이 아닌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렌즈(10)의 형상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이는 입사된 광을 선집광하여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20)로 입사되도록 하기 위해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회절 광학소자(11)는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광축에서 벗어나는 방향으로 회절되도록 하고 이는 서보용 광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상기 회절된 광은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20)에 형성된 패턴에 의해 수직으로 회절되고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20)의 상측에 구비된 센서(18,19)로 입사된다. 이때, 상기 센서(18,19)는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20)에 형성된 데이터 감지부(25)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18,19)에서 감지된 광량을 통해 서보를 행하게 된다.
즉,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원리로, 상기 센서(18,19)에서 감지한 광량에 따라 상기 서보 제어부(16)에서 렌즈 구동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다시말해서, 상기 센서(18,19)에서 감지되는 광량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렌즈(10)의 전후 위치, 상하 위치, 기울어진 각도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18,19)에 의해 감지된 신호는 서보 제어부(16)로 전송되고, 상기 서보 제어부(16)는 상기 센서(18,19)의 신호에 따라 적절한 구동 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렌즈 구동부(17)가 작동하여 상기 렌즈(10)의 상하, 전후 위치 및 기울어진 각도를 적절히 조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렌즈(10)에서 입사된 선집광된 광은 코어층(21)의 미리 저장된 데이터 패턴(pit pattern)에 의해 수직으로 회절되고 이를 CMOS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검출한다.
즉,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20)의 코어층(21)에는 데이터 패턴이 형성되어 있어, 저장된 데이터에 따라 입사된 광이 수직으로 회절되도록 하고, 이를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20)의 상측에 구비된 데이터 감지부(25)를 통해 판독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20)에서 서보용 신호가 생성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렌즈(10)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은 서보(Servo)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서보신호에 따라 효율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입사광의 일부를 회절되도록 하여 센서를 통해 서보신호를 감지하며, 이때 서보신호의 감지는 다양한 위치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2)

  1.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광이 평행광으로 변환되도록 하는 콜리메이션 렌즈와,
    상기 콜리메이션 렌즈를 지난 광의 일부가 회절되도록 하여 서보용 광을 생성하는 회절 광학소자와,
    상기 회절 광학소자로부터 입사된 광을 선집광하는 렌즈와,
    상기 선집광된 광이 측면에서 입사되어 데이터 패턴에 따라 수직으로 회절되도록 하는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와,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의 상측에 위치하여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감지부와,
    상기 회절 광학소자에 의해 생성된 서보용 광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광량에 따라 서보를 행하는 서보 제어부와,
    상기 서보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렌즈를 구동하는 렌즈 구동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광학소자는 입사된 광의 일부를 광축을 벗어나는 방향으로 회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광학소자는 입사된 광의 일부를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의 양측면으로 회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의 측면에서 반사된 서보용 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의 측면에는 서보용 광의 광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코팅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의 코어층에서 회절된 서보용 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데이터 감지부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의 코어층에는 서보용 광의 회절을 위한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
  9. 측면에서 입사된 광이 수직으로 회절되고 회절된 광을 감지함으로써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도록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로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회절시켜 서보용 광이 생성되도록 하는 회절 광학소자와,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에 입사되는 광을 선집광시키는 렌즈와,
    상기 회절 광학소자에서 생성된 서보용 광을 감지하여 광량을 측정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렌즈를 구동하는 제어수단이 포함되는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렌즈의 위치 및 기울어진 각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의 입사면에는 코팅막이 형성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코팅막에서 반사된 서보용 광의 광량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의 코어층에는 서보용 광의 회절을 위한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측면 입사형 데이터 저장매체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패턴에서 수직으로 회절된 서보용 광의 광량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
KR1020040046026A 2004-06-21 2004-06-21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 KR100604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026A KR100604014B1 (ko) 2004-06-21 2004-06-21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026A KR100604014B1 (ko) 2004-06-21 2004-06-21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0909A KR20050120909A (ko) 2005-12-26
KR100604014B1 true KR100604014B1 (ko) 2006-07-24

Family

ID=37293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6026A KR100604014B1 (ko) 2004-06-21 2004-06-21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4014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5182A (en) 1980-12-29 1984-10-02 Universal Pioneer Corporation Focus servo control system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 relative distance between an objective lens unit and a recording surface of an optical recording medium
US4686663A (en) 1983-06-25 1987-08-11 Deutsche Thomson-Brandt Gmbh Track follower system employing an optical scanner with automatic control of a rotatably movable phase grating used for the generation and positioning of read beam spots
JPH07176056A (ja) * 1993-12-17 1995-07-14 Sharp Corp 光ピックアップ
JPH0869628A (ja) * 1994-06-24 1996-03-12 Sony Corp 光学ピックアップの光学調整方法
JPH09288249A (ja) * 1996-04-19 1997-11-04 Victor Co Of Japan Ltd ホログラム素子の光軸調整装置
JPH11273123A (ja) 1998-03-23 1999-10-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ヘッド装置
KR20010102340A (ko) * 1999-12-24 2001-11-15 요트.게.아. 롤페즈 내부에 이동 가능형 소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계를포함한 광학 주사장치
JP2003067956A (ja) 2001-08-30 2003-03-07 Victor Co Of Japan Ltd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20030082201A (ko) * 2002-04-17 2003-10-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홀로그래픽 디지털 저장 시스템의 흔들림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5182A (en) 1980-12-29 1984-10-02 Universal Pioneer Corporation Focus servo control system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 relative distance between an objective lens unit and a recording surface of an optical recording medium
US4686663A (en) 1983-06-25 1987-08-11 Deutsche Thomson-Brandt Gmbh Track follower system employing an optical scanner with automatic control of a rotatably movable phase grating used for the generation and positioning of read beam spots
JPH07176056A (ja) * 1993-12-17 1995-07-14 Sharp Corp 光ピックアップ
JPH0869628A (ja) * 1994-06-24 1996-03-12 Sony Corp 光学ピックアップの光学調整方法
JPH09288249A (ja) * 1996-04-19 1997-11-04 Victor Co Of Japan Ltd ホログラム素子の光軸調整装置
JPH11273123A (ja) 1998-03-23 1999-10-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ヘッド装置
KR20010102340A (ko) * 1999-12-24 2001-11-15 요트.게.아. 롤페즈 내부에 이동 가능형 소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계를포함한 광학 주사장치
JP2003067956A (ja) 2001-08-30 2003-03-07 Victor Co Of Japan Ltd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20030082201A (ko) * 2002-04-17 2003-10-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홀로그래픽 디지털 저장 시스템의 흔들림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0909A (ko) 2005-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8568B2 (en) Optical head, diffraction device, objective lens, and optical disc apparatus
JP3918006B2 (ja) サーボ機能を有するホログラフィックrom再生機
CN1855254B (zh) 光拾取装置
KR100604014B1 (ko)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
US20060274631A1 (en)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2010157312A (ja) 単一ビット・ホログラフィック・データ記憶装置におけるトラッキング・システム及び方法
KR19990006653A (ko) 디스크 내에 데이타를 광학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장치
KR100926870B1 (ko) 광디스크 장치, 그 제어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JP4085041B2 (ja) 傾きセンサ,傾き測定装置,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光ディスク装置
KR100557133B1 (ko)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
KR100574855B1 (ko)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매체
KR100669633B1 (ko) 기록매체, 기록방법 및 기록장치, 재생 방법 및 재생장치
KR100670457B1 (ko) 데이터 저장매체
KR100656643B1 (ko) 재생장치
KR20120076421A (ko) 판독 파워 제어
KR100669631B1 (ko) 기록매체,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JP2009004073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100657677B1 (ko) 홀로그래픽 롬 재생 시스템의 서보 장치
EP1688928B1 (en) Optical disc device
JPH10312566A (ja) 反射型光電センサ及び光ディスク検知装置
JPH10154348A (ja) 光電検出センサ
JP2007518206A (ja) 球面収差を決定する方法
TW200425122A (en) Optical pickup and optical disk drive
KR100627496B1 (ko)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KR100669632B1 (ko) 재생장치 및 기록매체 재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