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4005B1 - 장식구 부착기 - Google Patents

장식구 부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4005B1
KR100604005B1 KR1020040045101A KR20040045101A KR100604005B1 KR 100604005 B1 KR100604005 B1 KR 100604005B1 KR 1020040045101 A KR1020040045101 A KR 1020040045101A KR 20040045101 A KR20040045101 A KR 20040045101A KR 100604005 B1 KR100604005 B1 KR 100604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
synthetic resin
standby position
resin sheet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5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9941A (ko
Inventor
주영용
Original Assignee
주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용 filed Critical 주영용
Priority to KR1020040045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4005B1/ko
Publication of KR20050119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9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4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4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26F1/04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with selectively-operable pun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장식구를 원단 등과 같은 대상물에 부착시키는 장식구 부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부착기는, 프레임과; 대상물을 받쳐 지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테이블과; 테이프형 합성수지시트를 공급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공급릴과; 공급릴의 합성수지시트를 간헐적으로 풀어서 상기 테이블 상측의 대기위치로 간헐 공급하는 간헐공급장치와; 대기위치로 공급된 합성수지시트를 받쳐 지지할 수 있으며, 다이구멍을 갖는 하부 다이블럭과, 다이구멍과 정렬되는 관통구멍을 갖는 상부 다이블럭으로 이루어지되, 각기 다른 형상의 다이구멍을 갖는 복수의 다이블럭 조립체와; 각 다이블럭 조립체의 상부 다이블럭의 관통구멍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부의 준비위치와 하부의 펀칭위치 사이에서 운동하며, 펀칭위치에서 다이구멍과 협동하여 대기위치의 합성수지시트를 펀칭함과 동시에 펀칭된 장식구를 상기 대상물의 상면에 가압하는 복수의 펀치와; 복수의 펀치를 상부의 준비위치에 지지시키되, 대기위치에 정렬된 펀치만 하부의 펀칭위치로 운동할 수 있게 허용하는 펀치지지수단과; 쌍을 이루는 펀치와 다이블록 조립체들 중, 선택된 것을 상기 대기위치에 정렬시킬 수 있도록 상기 다이블록 조립체를 운동시키는 운동수단; 대기위치로 운동한 상기 펀치를 지지하는 홀더를 가지며, 홀더에 지지된 상기 펀치를 하부의 펀칭위치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장식구 부착기{ACCESSORIES SETTING MACHINE}
도 1은 종래의 장식구 부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구 부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구 부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2의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장식구 부착기를 구성하는 절단가압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의 Ⅵ-Ⅵ선 단면도,
도 7은 도 5의 Ⅶ-Ⅶ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장식구 부착기를 구성하는 권취릴과, 권취릴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및 구동모터의 동력을 권취릴에 전달하는 동력절단장치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대상물 3: 합성수지시트
3′: 장식구 100: 프레임
102: 테이블 108: 지지브라켓
110: 공급릴 110a: 중심축
112: 제 1공급릴 114: 제 2공급릴
116: 제 3공급릴 118: 이동제한수단
118a: 고정홈 118b: 스프링
118c: 볼 120: 간헐공급장치
122: 고정식 클램프 124: 이동식 클램프
126: 액츄에이터 130: 절단가압장치
140: 다이블럭 조립체 142: 하부 다이블럭
142a: 다이구멍 144: 상부 다이블럭
144a: 관통구멍 150: 펀치
152: 헤드부 154: 펀치부
156: 지지판 156a: 절취부
160: 운동수단 162: 슬라이더
164: 액츄에이터 170: 액츄에이터
172: 실린더로드 174: 홀더
180: 흡착수단 190: 히터
200: 권취릴 202: 중심축
210: 구동모터 220: 동력전달장치
222:구동풀리 224: 종동풀리
225: 벨트 226: 마찰접촉판
227: 스프링 228: 조절너트
본 발명은 장식구 부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 가방, 벨트의 원단과 같은 각종 대상물에 테이프 형태의 장식구 시트를 여러 가지 모양과 형태로 절단하여 부착하기 위한 장식구 부착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의류, 가방, 벨트 등의 장식을 위해, 합성수지 소재로 된 스팽글(Spangle)(이하, "장식구"라 칭함)을 의류원단, 가방원단, 벨트원단과 같은 각종 대상물(이하, "대상물"이라 칭함)에 부착하고 있다.
한편, 합성수지 소재의 장식구는 일반적으로 열융착에 의한 방법에 의해 대상물에 부착되며,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장식구 부착기가 제안되어 있다. 장식구 부착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과, 프레임(10)에 설치되는 테이블(12)을 구비한다. 테이블(12)은 대상물(1)을 지지시킬 수 있도록 충분한 넓이는 갖는다.
그리고 장식구 부착기는, 테이프형 합성수지시트(3)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릴(20)과, 공급릴(20)에 감겨진 합성수지시트(3)를 간헐적으로 풀어서 일측의 "대기위치"(A)로 간헐 공급하는 간헐공급장치(30)와, 간헐 공급된 합성수지시트(3)를 특정 모양과 형태로 절단하여 대상물(1)의 상면에 압착하는 절단가압장치(40)를 구비한다.
간헐공급장치(30)는 합성수지시트(3)를 클램핑하되, 클램핑된 합성수지시트 (3)를 간헐적으로 해방시키는 고정식 클램프(32)와, 고정식 클램프(32)가 합성수지시트(3)를 해방하면, 해방된 합성수지시트(3)를 클램핑하는 이동식 클램프(34)와, 합성수지시트(3)를 클램핑한 이동식 클램프(34)를 일측으로 운동시켜서 클램핑된 합성수지시트(3)를 "대기위치"(A)로 공급하는 액츄에이터(36)로 구성된다.
절단가압장치(40)는 "대기위치"(A)에 배치된 합성수지시트(3)를 지지할 수 있도록 프레임(10)에 설치되는 다이블럭(50)과, 다이블럭(50)의 다이구멍(52) 상측에 정렬되며, 상기 다이구멍(52)과 협동하여 합성수지시트(3)를 소정의 모양으로 절단함과 동시에 절단된 합성수지시트(3)를 대상물(1)의 상면에 압착하는 펀치(60)와, 펀치(60)를 다이구멍(52)과 결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액츄에이터(70)로 구성된다(이하, 펀치(60)와 다이블록(50)에 의해 절단된 합성수지시트(3)를 장식구(3')라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장식구 부착기는, 대상물(1)에 가압된 장식구(3')를 상기 대상물(1)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고정수단은 히터(80)로 구성되며, 장식구(3')의 밑면에 도포된 접착제에 고온의 열을 가하여 상기 접착제를 용융시킴으로써, 용융된 접착제가 대상물(1)에 융착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장식구 부착기는, 합성수지시트(3)를 감기 위한 권취릴(90)을 구비한다. 권취릴(90)은 장식구(3')가 펀칭되고 남은 합성수지시트(3)를 감아서 권취한다. 여기서, 권취릴(90)은 구동모터(92)에 의해 회전되면서 합성수지시트(3)를 권취한다.
이러한 구성의 장식구 부착기에 의하면, 도시하지 않은 작동스위치를 온(ON) 시킨다. 그러면, 간헐공급장치(30)가 작동되면서 공급릴(20)의 합성수지시트(3)를 일측의 "대기위치"(A)로 공급한다.
그리고 합성수지시트(3)가 "대기위치"(A)로 공급되면, 절단가압장치(40)의 가압 액츄이에터(70)가 하부의 펀치(60)를 가압하고, 하부의 펀치(60)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펀치(60)는 하부로 운동하면서 합성수지시트(3)를 펀칭함과 동시에 펀칭된 장식구(3')를 하부에 배치된 대상물(1)에 압착한다. 그리고 대상물(1)에 장식구(3')가 압착되면, 히터(80)가 작동되면서 상기 장식구(3')를 대상물(1)에 열융착시킨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장식구 부착기는, 하나의 합성수지시트(3)를 공급한 후, 이를 대상물(1)에 부착하므로 오직 하나의 색상만을 갖는 장식구(3')를 대상물(1)에 부착할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은 다른 색상을 갖는 장식구(3')를 대상물(1)에 부착하기 위해서 다른 색상의 합성수지시트(3)를 매번 일일이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부착기는, 다이블럭(50)과 펀치(60)에 의해 펀칭되는 장식구 (3') 모양과 형상이 하나로만 한정되는 바, 오직 하나의 모양과 형상으로 된 장식구(3')만을 대상물(1)에 부착할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같은 단점은 다른 모양과 형상으로 된 장식구(3')를 대상물(1)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다른 모양과 형상을 갖는 다이블럭(50)과 펀치(60)를 매번 일일이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다양한 색상과 여러 가지 모양과 형상의 장식구를 대상물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식구 부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프레임과; 대상물을 받쳐 지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테이블과; 테이프형 합성수지시트를 공급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공급릴과; 상기 공급릴의 합성수지시트를 간헐적으로 풀어서 상기 테이블 상측의 대기위치로 간헐 공급하는 간헐공급장치와; 대기위치로 공급된 상기 합성수지시트를 받쳐 지지할 수 있으며, 다이구멍을 갖는 하부 다이블럭과, 상기 다이구멍과 정렬되는 관통구멍을 갖는 상부 다이블럭으로 이루어지되, 각기 다른 형상의 다이구멍을 갖는 복수의 다이블럭 조립체와; 상기 각 다이블럭 조립체의 상부 다이블럭의 관통구멍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부의 준비위치와 하부의 펀칭위치 사이에서 운동하며, 펀칭위치에서 상기 다이구멍과 협동하여 상기 대기위치의 합성수지시트를 펀칭함과 동시에 펀칭된 장식구를 상기 대상물의 상면에 가압하는 복수의 펀치와; 상기 복수의 펀치를 상부의 준비위치에 지지시키되, 대기위치에 정렬된 펀치만 하부의 펀칭위치로 운동할 수 있게 허용하는 펀치지지수단과; 쌍을 이루는 펀치와 다이블록 조립체들 중, 선택된 것을 상기 대기위치에 정렬시킬 수 있도록 상기 다이블록 조립체를 운동시키는 운동수단; 대기위치로 운동한 상기 펀치를 지지하는 홀더를 가지며, 상기 홀더에 지지된 상기 펀치를 하부의 펀칭위치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장식구 부착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식구 부착기는, 프레임(100)을 가지며, 이 프레임(100)에는 테이블(102)이 설치된다. 테이블(102)은 대상물(1), 예를 들어 의류 원단 등을 지지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으로, 충분한 넓이는 갖는다. 그리고 테이블(102)의 하측에는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104)가 설치된다. 콘트롤러(104)는 콘트롤보드(도시하지 않음)와, 콘트롤 보드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작동 버튼(106)들을 갖추고 있다.
한편, 테이블(102)의 상측으로는 테이프형 합성수지시트(3)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릴(110)과, 공급릴(110)에 감겨진 합성수지시트(3)를 간헐적으로 풀어서 테이블(102) 상면의 어느 특정 위치인 "대기위치"(A)로 간헐 공급하는 간헐공급장치 (120)가 설치된다.
공급릴(110)은 중심축(110a)을 중심으로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롤 형태로 감겨진 테이프형 합성수지시트(3)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공급릴(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판(110b)으로 구성되는데, 이때 지지판(110b)은 중심축(110a)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구성되어 내부의 중심축 (110a)에 지지된 합성수지시트(3) 롤을 통채로 교환할 수 있게 구성된다.
간헐공급장치(120)는 합성수지시트(3)를 클램핑하되, 클램핑된 합성수지시트 (3)를 간헐적으로 해방시키는 고정식 클램프(122)와, 고정식 클램프(122)가 합성수지시트(3)를 해방하면, 해방된 합성수지시트(3)를 클램핑하는 이동식 클램프(124) 와, 합성수지시트(3)를 클램핑한 이동식 클램프(124)를 일측으로 운동시켜서 클램핑된 합성수지시트(3)를 "대기위치"(A)로 공급하는 액츄에이터(126), 예를 들면 공압실린더로 구성된다.
이러한 간헐공급장치(120)는, 합성수지시트(3)를 간헐적으로 해방시킨 다음, 해방된 합성수지시트(3)를 일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공급릴(110)에 감겨진 합성수지시트(3)를 테이블(102)의 "대기위치"(A)로 간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공급릴(110)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구성되며, 복수개의 공급릴(110)은 중심축(110a)에 설치되어 동일 회전축선을 갖는다. 여기서, 복수개의 공급릴(110)은 각기 다른 색상의 합성수지시트(3)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복수개의 공급릴(110)을 각각 제 1공급릴(112)과 제 2공급릴(114)과 제 3공급릴(116)로 구분하여 칭하기로 하며, 각 공급릴(110)에 지지된 각기 다른 색상의 합성수지시트(3)를 제 1시트(3a)와 제 2시트(3b)와 제 3시트 (3c)로 구분하여 칭하기로 한다.
한편, 공급릴(110)의 제 1공급릴(112)과 제 2공급릴(114)과 제 3공급릴(116) 중, 어느 하나는 간헐공급장치(120)와 정렬되어야 하는 바, 따라서 본 발명은, 제 1공급릴(112)과 제 2공급릴(114)과 제 3공급릴(116)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간헐공급장치(120)에 정렬시키기 위한 정렬수단을 구비한다.
정렬수단은, 제 1 내지 제 3공급릴(112, 114, 116)을 간헐공급장치(120)에 대해 축방향운동시킬 수 있도록 제 1 내지 제 3공급릴(112, 114, 116)의 중심축 (110a)을 축방향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100)의 지지브라켓(108)과, 제 1 공급릴(112)과 제 2공급릴(114)과 제 3공급릴(116)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간헐공급장치(120)와 정렬될 경우, 중심축(110a)의 축방향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수단 (118)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동제한수단(118)은 중심축(110a)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되, 제 1 내지 제 3공급릴(112, 114, 116)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홈(118a)들과, 지지브라켓(108)에 설치되며, 스프링(118b)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고정홈(118a)에 탄입되는 볼(118c)로 구성된다.
이러한 정렬수단은, 중심축(110a)을 축방향이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제 1 내지 제 3공급릴(112, 114, 116)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며, 따라서 제 1 내지 제 3공급릴(112, 114, 116) 중 어느 하나를 간헐공급장치(120)에 정렬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중심축(110a)의 고정홈(118a)에 볼(118c)이 탄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중심축(110a)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게 하며, 따라서 제 1 내지 제 3공급릴(112, 114, 116) 중 어느 하나가 간헐공급장치(120)와 정렬된 공급릴(110)을 위치 고정시킨다. 결국, 제 1 내지 제 3공급릴(112, 114, 116)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간헐공급장치(120)에 정렬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이러한 정렬수단은, 제 1 내지 제 3공급릴(112, 114, 116)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간헐공급장치(120)에 정렬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제 1 내지 제 3공급릴(112, 114, 116)에 각각 권취된 제 1시트(3a)와 제 2시트(3b)와 제 3시트(3c) 중, 어느 하나의 시트를 선택적으로 간헐공급장치(120)에 정렬시킬 수 있게 하고, 제 1시트(3a)와 제 2시트(3b)와 제 3시트(3c) 중 어느 하나의 시트를 선택적으로 간헐공급장치(120)에 정렬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간헐공급장치(120)로 하여금 제 1시트(3a)와 제 2시트(3b)와 제 3시트(3c) 중 어느 하나를 "대기위치"(A)로 공급할 수 있게 하며, 따라서, 후술하는 절단가압장치(130)로 하여금 각기 다른 색상의 제 1시트(3a)와 제 2시트(3b)와 제 3시트(3c)를 선택적으로 절단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식구 부착기는, "대기위치"(A)로 공급된 합성수지시트(3)를 특정 모양과 형태로 절단하여 대상물(1)의 상면에 압착하는 절단가압장치(130)를 구비한다.
절단가압장치(130)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다이블럭 조립체(140)와, 다이블럭 조립체(140)에 상측에 각각 배치되어 쌍을 이루는 펀치 (150)들과, 쌍을 이루는 펀치(150)와 다이블럭 조립체(140)들 중, 선택된 어느 한 쌍의 펀치(150)와 다이블럭 조립체(140)를 "대기위치"(A)의 상, 하측에 정렬시킬 수 있도록 펀치(150)와 다이블럭 조립체(140)를 운동시키는 운동수단(160)과, "대기위치"(A)에 배치된 펀치(150)를 하부로 가압하는 가압수단,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170)로 구성된다.
복수의 다이블럭 조립체(140)는, 합성수지시트(3)의 이동방향으로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것으로, 하부 다이블럭(142)과, 상부 다이블럭(144)으로 구성된다. 특히, 하부 다이블럭(142)은 "대기위치"(A)에 이동한 합성수지시트(3)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다이구멍(142a)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상부 다이블럭(144)은 합성수지시트(3)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하부 다이블럭(142)의 다이구멍(142a)과 정렬 되는 관통구멍(144a)을 갖추고 있다.
여기서, 각 다이블럭 조립체(140)의 하부 다이블럭(142)의 다이구멍(142a)은, 각기 다른 형상, 예를 들면 원형, 별형, 하트형, 사각형, 오각형 등 서로 다르게 구성된다. 아울러 다이블럭 조립체(140)는 필요에 따라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다른 형상의 다이구멍(142a)을 갖는 다이블럭 조립체(140)로 바꿀 수 있게 한다.
펀치(150)는 상부의 헤드부(152)와, 하부의 펀치부(154)로 구성되며, 다이블럭 조립체(140)의 관통구멍(144a)과 다이구멍(142a)을 따라 상부의 "준비위치"(P)와 하부의 "펀칭위치"(Q) 사이를 오가며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펀칭위치" (Q)에서 하부 다이블록(142)의 다이구멍(142a)과 협동하여 합성수지시트(3)를 소정의 모양으로 절단하고, 절단된 합성수지시트(3)를 대상물(1)의 상면에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펀치(150)의 펀치부(154)는, 다이블럭 조립체(140)의 다이구멍 (142a)과 대응되는 향상을 가짐은 물론이다. 또한, 펀치(150)는 필요에 따라 교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다이블럭 조립체(140)의 교환시, 상기 다이블럭 조립체(140)와 세트로 교환할 수 있게 구성된다.
한편, 펀치(150)의 펀치부(154) 하단은 다이블럭 조립체(140)의 관통구멍 (144a)에 끼워져 있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상기 펀치(150)는 상기 다이블럭 조립체(140)와 쌍을 이루며 일체로 수평운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펀치(150)의 헤드부(152)는 상기 펀치(150)를 가압하는 액츄에이터(170)와 결합될 수 있게 구성 된다. 특히, "대기위치"(A)의 상측으로 정렬되는 펀치(150)의 헤드부(152)가 액츄에이터(170)와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에 관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이러한 구성의 펀치(150)는, 자체의 하중에 의해 상부의 "준비위치" (P)로부터 하부의 "펀칭위치"(Q)로 자유낙하 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펀치(150)를 항상 "준비위치"(P)에 지지시키되, "대기위치"(A)에 정렬된 펀치(150)만은 하부의 "펀칭위치"(Q)로 운동할 수 있게 허용하는 펀치지지수단을 구비한다.
펀치지지수단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치(150)의 헤드부 (152)를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프레임(100)에 설치되는 지지판(156)으로 구성된다. 특히, 지지판(156)은 "대기위치"에 정렬된 펀치(150)의 헤드부(152)만 지지하지 않도록 그 중앙부에 절취부(156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판(156)은 펀치(150)의 헤드부(152)를 지지함으로써, "준비위치" (P)에 배치된 펀치(150)가 하부로 자유낙하하는 것을 제한하며, 따라서 상기 펀치(150)가 상시 "준비위치"(P)에서 대기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대기위치"(A)에 정렬된 펀치(150)만은 하부의 "펀칭위치"(Q)로 운동할 수 있게 허용함으로써, "대기위치"(A)에 정렬된 펀치(150)로 하여금 "준비위치"(P)에서 "펀칭위치"(Q)로 운동하면서 하부의 합성수지시트(3)를 펀칭할 수 있게 한다(이하에서는, 펀치(150)와 하부 다이블록(142)에 의해 절단된 합성수지시트(3)를 장식구(3′)라 칭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쌍을 이루는 각 펀치(150)와 다이블럭 조립체(140)를 "대기위치" (A)로 운동시키는 운동수단(160)을 살펴보면, 상기 운동수단(16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다이블럭 조립체(140)를 지지한 상태에서 프레임(100)에 운동가능한 슬라이더(162)와, 이 슬라이더(162)를 운동시키는 액츄에이터(164)로 구성된다.
슬라이더(162)는 프레임(100)에 설치된 가이드 봉(162a)을 따라 운동하는 것으로, 복수의 다이블럭 조립체(140)를 지지한 상태에서 슬라이딩운동한다. 특히, 복수의 다이블럭 조립체(140)를 "대기위치"(A)에 대해 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액츄에이터(164)는 공압실린더로 구성되며, 출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신장 및 수축하면서 상기 슬라이더(162)를 운동시킨다. 특히, 슬라이더(162)를 운동시킴으로써 슬라이더(162)에 지지된 다이블럭 조립체(140)가 "대기위치"(A)에 대해 운동할 수 있게 하며, 따라서 복수의 다이블럭 조립체(140) 및 이에 끼워지는 펀치(150)들 중 어느 한 쌍의 다이블럭 조립체(140)와 펀치(150)가 "대기위치"(A)에 정렬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펀치(150)를 가압하는 액츄에이터(170)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액츄에이터(170)는 공압실린더로 구성된다. 액츄에이터(170)는 "대기위치"(A)의 상측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도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신장하면서 "대기위치"(A)에 정렬된 펀치(150)를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대기위치"(A)에 정렬된 펀치(150)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펀치(150)를 하부의 "펀칭위치" (Q)로 운동시키며, 따라서, 펀치(150)로 하여금 다이블럭 조립체(140)와 협동하면서 "대기위치"(A)의 대상물(1)을 절단하고, 절단된 장식구(3′)를 대상물(1)에 압착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액츄에이터(170)의 실린더로드(172)에는 홀더(17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홀더(174)에는 "대기위치"(A)로 운동하는 펀치(150)의 헤드부(152)가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176)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홈(176)은 "대기위치"(A)로 수평 운동하는 펀치(150)의 헤드부(152)가 자연스럽게 끼워져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그 양측이 트여 있다.
여기서, 홀더(174)의 결합홈(176)에 결합되는 펀치(150)는, 액츄에이터(170)와 일체로 연결되며, 따라서 상기 액츄에이터(170)가 신장 및 수축함에 따라 상부의 “준비위치”(P)와 하부의 “펀칭위치”(Q)사이에서 운동하게 된다.
다시,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식구 부착기는, 펀치(150)에 의해 절단된 장식구(3')가, 자칫 펀치(150)의 펀치부(15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장식구(3')를 펀치부(154)에 흡착시키는 흡착수단(180)을 구비한다.
흡착수단(180)은 펀치(150)에 형성된 흡착유로(182)와, 이 흡착유로(182)와 연통되도록 액츄에이터(170)의 홀더(174)에 형성되는 연통유로(184)와, 연통유로(184)와 연결되는 것으로, 흡착유로(182)와 연통유로(184)의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펌프(186)로 구성된다.
이러한 흡착수단(180)은 진공펌프(186)로써 흡착유로(182)와 연통유로(184)의 공기를 빨아들임으로써 펀치부(154)에 가압된 장식구(3')를 흡착할 수 있게 하며, 이에 따라 펀치부(154)의 단부에 흡착된 상태로 대상물(1)에 가압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식구 부착기는, 대상물(1)에 가압된 장식구(3')를 상기 대상물(1)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고정수단은 히터(190)로 구성되며, 장식구(3')의 밑면에 도포된 접착제에 고온의 열을 가하여 상기 접착제를 용융시킴으로써, 용융된 접착제가 대상물(1)에 융착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장식구 부착기는, 도 2와 도 3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시트(3)를 감기 위한 권취릴(200)과, 이 권취릴(20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10)를 구비한다.
권취릴(200)은 중심축(202)을 중심으로하여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펀칭 가공되고 남은 합성수지시트(3)를 감아서 권취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모터(210)는 권취릴(200)의 중심축(202)과 연결되는 것으로, 인가되는 전기에 의해 구동되면서 상기 권취릴(20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구동모터(210)와 중심축(202)은 동력전달장치(22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데, 이 동력전달장치(220)는 구동모터(210)의 출력축(212)에 고정되는 구동풀리(222)와, 권취릴(200)의 중심축(20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풀리(224)와, 구동풀리(222)와 종동풀리(224)를 감아연결하는 벨트(225)와, 종동풀리(224)와 마찰접촉할 수 있도록 권취릴(200)의 중심축(202)에 고정되는 마찰접촉판(226)과, 종동풀리(224)와 마찰접촉판(226)이 서로 마찰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종동풀리(224)를 탄성가압하는 스프링(227)과, 스프링(227)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중심축(202)의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너트(228)로 구성된다.
이러한 동력전달장치(220)에 의하면, 구동모터(210)로 동력을 발생시킨 다음, 발생된 동력을 구동풀리(222)와 종동풀리(224) 그리고 종동풀리(224)와 접촉하는 마찰접촉판(226)으로써 권취릴(200)의 중심축(202)에 전달하며, 따라서 상기 권취릴(200)이 회전될 수 있게 한다.
한편, 동력전달장치(220)는, 종동풀리(224)와 마찰접촉판(226)이 마찰접촉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바, 마찰접촉판(226)과 일체로 연결된 권취릴(200)에 많은 부하가 가해졌을 때, 즉 합성수지시트(3)가 고정식 클램프(122)에 클램핑되어 이동이 정지되고, 합성수지시트(3)의 이동이 정지됨에 따라 권취릴(200)이 많은 부하가 가해졌을 때에는, 서로 접촉된 종동풀리(224)와 마찰접촉판(226)이 서로에 대해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합성수지시트(3)가 이동이 정지되었을 경우에는, 종동풀리(224)와 마찰접촉판(226)이 서로 미끄러지므로, 상기 구동모터(210)가 권취릴(200)을 강제적으로 회전시킬 수 없게 된다.
여기서, 종동풀리(224)와 마찰접촉판(226)의 마찰접촉력은 종동풀리(224)를 탄성가압하는 스프링(227)의 장력에 의해 설정되고, 스프링(227)의 장력은 중심축 (202)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너트(228)에 의해 조절되는 바, 조절너트(228)를 이용하여 스프링(227)의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종동풀리(224)와 마찰접촉판(226)의 마찰접촉력을 조절한다.
다음으로,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을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트롤러(104)의 버튼(10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작동시킨다. 그러면, 간헐공급장치(120)가 작동하면서 제 1 공급릴(112)에 지지된 제 1시트(3a)를 풀어서 일측의 "대기위치"(A)로 간헐 공급한다.
한편, 본 발명을 작동시킴에 따라 절단가압장치(130)의 액츄에이터(170)도 작동되는데, 이때 작동되는 액츄에이터(170)는 하부의 펀치(150)를 “펀칭위치”(Q)로 가압하게 되고, 가압된 펀치(150)는 “대기위치”(A)에 배치된 제 1시트(3a)를 펀칭하게 된다. 그리고 펀칭된 제 1시트(3a)는 특정한 모양과 형태의 장식구(3′)로 펀칭되면서 하측의 대상물(1)에 압착되고, 압착된 장식구(3′)는 하부의 히터(190)에 의해 가열되면서 상기 대상물(1)에 융착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 1시트(3a)는 특정 모양과 형태로 절단되면서 대상물(1)에 융착되며, 따라서 대상물(1)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장식구(3')가 절단되고 남은 제 1시트(3a)는, 구동모터(210)에 의해 회전되는 권취릴(200)에 천천히 감져진다.
다음으로, 다른 색상을 갖는 제 2시트(3b)를 대상물(1)에 부착시키고자 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금까지 사용하던 제 1시트(3a)를 권취릴(200)과 절단가압장치(130)와 간헐공급장치(120)로부터 이탈시킨다. 그런 다음, 제 1 내지 제 3공급릴(112, 114, 116)을 지지하는 중심축 (110a)을 축방향 운동시켜 제 2공급릴(114)과 간헐공급장치(120)를 정렬시킨다.
그리고 제 2공급릴(114)과 간헐공급장치(120)의 정렬이 완료되면, 제 2공급릴(114)에 감겨져 있는 제 2시트(3b)를 풀어서 간헐공급장치(120)와 절단가압장치 (130)를 통과시키고, 그리고 그 단부를 권취릴(200)에 감아 권취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콘트롤러(104)의 버튼(106)을 누르면, 상기 제 2시트(3b)는 상술한 바와 같은 순서대로 일측의 "대기위치"(A)로 간헐 공급되면서 장식구(3')로 절단되고 대상물(1)에 융착된다. 결국, 다른 색상의 제 2시트(3b)는 대상물(1)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 3시트(3c)를 대상물(1)에 부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순서대로 시행하면 된다.
다음으로, 다른 모양과 형태를 갖는 장식구(3')를 대상물(1)에 부착시키고자 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절단가압장치 (130)의 운동수단(160)을 작동시킨다. 그러면, 운동수단(160)의 액츄에이터(164)가 작동되고, 액츄에이터(164)가 작동됨에 따라 슬라이더(162)가 직선 운동하며, 슬라이더(162)가 직선 운동함에 따라 이에 설치된 다이블럭 조립체(140) 및 펀치(150)도 "대기위치"(A)로 운동한다.
결국, 다이블럭 조립체(140)와 펀치(150)가 "대기위치"(A)로 운동함에 따라 운동한 다이블럭 조립체(140)와 펀치(150)는 "대기위치"(A)에 정렬되며, 이에 따라 이전에 배치된 펀치(150)와 다이블럭 조립체(140)와는 다른 모양과 형태를 갖는 펀치(150)와 다이블럭 조립체(140)가 "대기위치"(A)로 정렬되는 것이다.
이후의 작동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며, 따라서 "대기위치"(A)에 배치된 펀치(150)와 다이블럭 조립체(140)는 이전에 배치된 펀치(150)와 다이블럭 조립체 (140)와는 다른 모양과 형상을 갖는 장식구(3')를 펀칭하면서 대상물(1)에 견고하게 부착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식구 부착기에 의하면, 복수의 합성수지시트를 구비한 후, 이를 선택적으로 대기위치에 정렬시킴으로써 여러 색상의 장식구를 대상물에 부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각기 다른 모양과 형태의 장식구를 절단할 수 있는 펀치와 다이블록 조립체를 구비한 후, 이를 선택적으로 대기위치에 정렬시킴으로써 여러 가지 모양과 형상을 갖는 장식구를 대상물에 부착할 수 있다.

Claims (7)

  1. 프레임과;
    대상물을 받쳐 지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테이블과;
    테이프형 합성수지시트를 공급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공급릴과;
    상기 공급릴의 합성수지시트를 간헐적으로 풀어서 상기 테이블 상측의 대기위치로 간헐 공급하는 간헐공급장치와;
    대기위치로 공급된 상기 합성수지시트를 받쳐 지지할 수 있으며, 다이구멍을 갖는 하부 다이블럭과, 상기 다이구멍과 정렬되는 관통구멍을 갖는 상부 다이블럭으로 이루어지되, 각기 다른 형상의 다이구멍을 갖는 복수의 다이블럭 조립체와;
    상기 각 다이블럭 조립체의 상부 다이블럭의 관통구멍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부의 준비위치와 하부의 펀칭위치 사이에서 운동하며, 펀칭위치에서 상기 다이구멍과 협동하여 상기 대기위치의 합성수지시트를 펀칭함과 동시에 펀칭된 장식구를 상기 대상물의 상면에 가압하는 복수의 펀치와;
    상기 복수의 펀치를 상부의 준비위치에 지지시키되, 대기위치에 정렬된 펀치만 하부의 펀칭위치로 운동할 수 있게 허용하는 펀치지지수단과;
    쌍을 이루는 펀치와 다이블록 조립체들 중, 선택된 것을 상기 대기위치에 정렬시킬 수 있도록 상기 다이블록 조립체를 운동시키는 운동수단;
    대기위치로 운동한 상기 펀치를 지지하는 홀더를 가지며, 상기 홀더에 지지된 상기 펀치를 하부의 펀칭위치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장식구 부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지지수단은,
    준비위치에 배치된 상기 펀치들의 헤드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지판이며, 상기 지지판은 대기위치에 정렬된 펀치의 헤드부는 해방할 수 있도록 절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부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수단은,
    상기 복수의 다이블록 조립체 및 이에 끼워진 펀치들이 상기 대기위치에 대해 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다이블록 조립체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부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릴은 각기 다른 색상을 합성수지시트를 공급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공급릴은 동일 중심축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공급릴 중 선택된 것을 상기 간헐공급장치에 정렬시키기 위한 정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부착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수단은,
    상기 복수의 공급릴을 상기 간헐공급장치에 대해 축방향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급릴들이 설치된 중심축을 축방향이동시킬 수 있게 지지하는 상기 프레임의 지지브라켓과, 상기 복수의 공급릴 중 선택된 것이 상기 간헐공급장치와 정렬될 경우, 상기 중심축의 축방향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이동제한수단은 상기 중심축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되, 상기 공급릴들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홈들과, 상기 지지브라켓에 설치되며,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상기 고정홈에 탄입되는 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부착기.
  6.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시트의 선단부를 권취하는 권취릴과, 상기 권취릴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권취릴에 전달하되, 상기 권취릴에 설정된 이상의 부하가 걸렸을 때에는 상기 구동모터가 상기 권취릴을 강제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동력전달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축에 고정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권취릴의 중심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를 감아연결하는 벨트와, 상기 종동풀리와 마찰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권취릴의 중 심축에 고정되는 마찰접촉판과, 상기 종동풀리와 마찰접촉판이 서로 마찰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종동풀리를 탄성가압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부착기.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와 상기 다이블록 조립체는 필요에 따라 교체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부착기.
KR1020040045101A 2004-06-17 2004-06-17 장식구 부착기 KR100604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5101A KR100604005B1 (ko) 2004-06-17 2004-06-17 장식구 부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5101A KR100604005B1 (ko) 2004-06-17 2004-06-17 장식구 부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941A KR20050119941A (ko) 2005-12-22
KR100604005B1 true KR100604005B1 (ko) 2006-07-25

Family

ID=37292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5101A KR100604005B1 (ko) 2004-06-17 2004-06-17 장식구 부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40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031Y1 (ko) * 2009-04-22 2012-04-27 박찬수 이중금형을 구비한 스팽글 성형부착장치
KR101303174B1 (ko) * 2013-03-13 2013-09-09 주식회사 엔씨코리아 스팽글 자동 부착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5940B1 (ko) * 1991-07-18 1993-06-29 이천오 직물 표면에 스펭글을 부착시키는 방법
KR100379908B1 (ko) 1999-12-30 2003-04-11 박만준 의류용 장식편 부착장치
KR200354948Y1 (ko) 2004-03-30 2004-07-01 주영용 장식구 부착기
KR200354947Y1 (ko) 2004-03-30 2004-07-01 주영용 장식구 부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5940B1 (ko) * 1991-07-18 1993-06-29 이천오 직물 표면에 스펭글을 부착시키는 방법
KR100379908B1 (ko) 1999-12-30 2003-04-11 박만준 의류용 장식편 부착장치
KR200354948Y1 (ko) 2004-03-30 2004-07-01 주영용 장식구 부착기
KR200354947Y1 (ko) 2004-03-30 2004-07-01 주영용 장식구 부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941A (ko) 200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34513A1 (zh) 全自动多饰条缝制设备
JP2009011633A (ja) 布地への飾り材の縫い付け方法と、連続裁断装置及び裁断機能付き飾り付けミシン
KR200324738Y1 (ko) 장식구 부착기
KR100604005B1 (ko) 장식구 부착기
EP0199810B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transfers
JPH01135387A (ja) ミシン
CN108708090B (zh) 饰条送带装置
KR100967426B1 (ko) 자동시퀸자수장치, 자수기용 시퀸자수유닛 및 모티브제조장치
CN100378265C (zh) 装饰丝和装饰片的缝缀装置
KR101067750B1 (ko) 스팽글용 자동 절단 및 부착 장치
KR200409838Y1 (ko) 장식구 부착기
US7167627B2 (en) Substrate with attached filamentary members
KR200354948Y1 (ko) 장식구 부착기
US7412996B2 (en) Apparatus for hot applying strips or films on textile or non textile supports
CN114715704A (zh) 纺织机用布料压花收卷系统
KR200354947Y1 (ko) 장식구 부착기
CN113564821B (zh) 一种服装花边试样缝制用机器人
KR101823242B1 (ko) 피륙 공급장치
KR200370795Y1 (ko) 장식구 부착기
JP2705976B2 (ja) 一つの加工物に多数の縫目群を連続して形成するための縫製装置
CN221052126U (zh) 一种送料稳定的缝纫装置
KR100495451B1 (ko) 광섬유 침직장치에 의해 생산되는 제품의 제조방법
KR20110052421A (ko) 자동시퀸자수장치 및 자수기용 시퀸자수유닛
CN215366293U (zh) 一种烫片刺绣一体机
KR200462652Y1 (ko) 스팡글 자수기용 바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