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2997B1 - 숯 성형물을 이용한 다기 세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숯 성형물을 이용한 다기 세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2997B1
KR100602997B1 KR1020040087072A KR20040087072A KR100602997B1 KR 100602997 B1 KR100602997 B1 KR 100602997B1 KR 1020040087072 A KR1020040087072 A KR 1020040087072A KR 20040087072 A KR20040087072 A KR 20040087072A KR 100602997 B1 KR100602997 B1 KR 100602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drying
molding
vacuum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7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7964A (ko
Inventor
장종한
서동석
Original Assignee
장종한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종한,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장종한
Priority to KR1020040087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2997B1/ko
Publication of KR20060037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7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71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e.g. geometry, dimensions or phys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4Coffee or tea p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14Making preform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15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the preform having one end clo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목을 이용하여 크기가 동일한 5개의 찻잔과 받침대 및 주전자를 가공한 후 숯으로 성형하여 다기 세트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목을 가공한 후 가열방법에 의하여 숯으로 제조하되, 숯의 효능을 그대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강도가 유지되도록 제조하는 숯 성형물을 이용한 다기 세트 및 그 제조방법 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다기 세트(10)가 성형물로부터 체적이 20∼25%정도 감소하게 되며 원형이 흐트러지지 않고 그대로 보존하면서 일체형의 숯으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다기 세트, 숯, 찻잔, 주전자

Description

숯 성형물을 이용한 다기 세트 및 그 제조방법{A vessel set that use charcoal and the manufacture method}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제조과정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외형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대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성형물 제조과정 2 : 자연 건조과정
3 : 진공 강제 건조과정 4 : 진공 후 건조과정
5 : 소성과정 6 : 숯 성형물 가공과정
10 : 다기 세트 20 : 주전자
21 : 공간 22 : 손잡이
23 : 주둥이 30 : 찻잔
40 : 받침대 50 : 숯부
60 : 옷칠부
본 발명은 원목을 이용하여 크기가 동일한 5개의 찻잔과 받침대 및 주전자를 가공한 후 숯으로 성형하여 다기 세트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목을 가공한 후 가열방법에 의하여 숯으로 제조하되, 숯의 효능을 그대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강도가 유지되도록 제조하는 숯 성형물을 이용한 다기 세트 및 그 제조방법 에 관한 것이다.
숯의 효능
종래 숯을 이용한 성형물 또는 성형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2003-68097호(2003. 08. 19. 공개)와 특허 공개번호 제2003-58981호(2003. 07. 07. 공개)가 있다.
특허 공개번호 제2003-68097호는 주재료를 숯 분말로 구성하고 그 숯 분말에 각종 불순물을 투입한 상태에서 열건조, 표면연마, 냉각등의 별도 처리를 행하여 숯 자체의 기능과 더불어 강도 증가, 무흡습성, 표면 탈색방지의 기능을 갖도록 하였다.
특허 공개번호 제2003-58981호는 미세분말상의 숯, 휘발분, 회분 및 목초액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일정형상으로 성형한 후 가열과 재가열 및 미세분말상의 숯과 테프론 불소수지액의 혼합물에 의한 코팅층을 형성하여 조리물이 들러붙거나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소성형체의 제조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성형물 또는 성형체의 제조방법은 나무를 이용하여 숯을 만든 후 숯을 분말상태로 제조하여 다른 불순물을 혼합하여 얻어지는 것이므로 숯의 고유한 기능을 제공할 수 없었던 것이다.
종래 원목으로 이루어지는 가공품은 목기, 제기, 쌀 뒤지 등 다양한 제품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를 숯으로 변환하여 사용하려면 원목으로 가공된 가공품이 숯으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뒤틀리거나 갈라지는 다양한 변형에 의하여 사용이 불가능한 제품으로 변하게 된다.
또한 변형된 제품을 재 가공하여 사용할 수 없는 것이며, 원목 가공품이 숯으로 변환된다고 하더라도 강도가 약하므로 일상 생활용품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결점을 갖게 된다.
원목 가공품은 괴목, 물푸레, 야사, 은행나무 등 다양한 나무를 이용하여 자연 건조한 후 원목을 회전시키면서 칼날을 이용하여 목기나 제기 등 다양한 물품을 가공한 후 건조시켜 옻칠을 통하여 사용되도록 하였으나, 원목 가공품을 원형 그대로 보존한 숯으로 제공한 예는 없었다.
특히, 다기 세트는 크기가 동일한 5개의 찻잔과 받침대가 형성되고 주둥이와 손잡이가 형성된 주전자가 세트로 성형되는 것이며, 주로 목기와 도자기를 이용하여 성형된 후 목기의 경우에는 내, 외측으로 옷칠을 하여 사용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다기 세트는 주전자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차를 저장하는 것이며, 주전자 하나로 5개의 찻잔에 한잔씩 체울 수 있지만 단지 차를 저장하 는 용도 이외에는 다른 작용이나 효과를 전혀 제공할 수 없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연 건조된 원목을 이용하여 동일한 크기의 찻잔과 받침대 및 주전자를 성형하여 원형 그대로 보존한 숯으로 제조한 다기세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원목으로 성형된 가공품을 원형 그대로 보존하는 숯으로 제조한 후 일상 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강도가 부여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숯으로 제조된 다기 세트가 숯의 기능인 원적외선 방사기능, 음이온 방출기능, 부패방지 및 탈취기능 등의 작용을 통해 보관물의 냄새를 탈취함은 물론, 유해 중금속이 흡착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기 세트가 성형물로부터 체적이 20∼25%정도 감소하게 되며 원형이 흐트러지지 않고 그대로 보존하면서 일체형의 숯으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자연 건조된 통상의 원목을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를 갖도록 성형물을 성형하고 자연 건조시켜 진공상태에서 원형을 보존하는 숯을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원목은 괴목(느티나무), 물푸레, 야사, 은행나무, 참나무, 소나무, 대 나무 등 성형 가능한 모든 것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성형물을 성형하면 25∼30%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비틀림, 크랙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성형물을 자연 건조시키어 20∼25%의 수분을 함유하도록 한다.
자연 건조된 성형물은 성형로 또는 전기로와 같은 진공이 가능한 다양한 로를 통하여 원형 그대로 보존되는 숯을 제조한다.
성형물을 가공하여 강제로 건조시키는 경우에는 건조로의 내부에 설치되는 성형물 받침대에 서로 닿지 않도록 올려놓아 가열기구와 열선을 통하여 가열하면서 내부 공간을 진공상태로 만든다.
상온에서 시작하여 진공상태에서 120∼180 ℃의 온도로 15∼30시간동안 건조과정을 수행한다.
건조과정을 수행한 후 200∼280℃의 온도에서 4시간 정도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유기물에 포함된 수분이 제거되므로 화학적 수분을 제외한 나머지 수분이 모두 제거되는 것이다.
이제는 화학적 수분만 남게 되므로 250∼800℃까지 6∼10시간 동안 가열하여 유기물을 완전 배출하여 완전건조 되도록 한다.
건조과정에서 발생되는 목초액은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또한 건조과정에서 목초액이 배출되면서 성형물의 체적이 20∼25%정도 감소하게 되며 원형 그대로 보존하는 숯으로 제조된다.
이와 같이 숯으로 제조된 성형물은 원목 가공품 상태에서 성형물로 체적이 변화된 상태의 숯으로 제조된다.
성형물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온도를 계속해서 상승시켜 800∼1250℃까지 상승시키면 숯으로 성형된 상태에서 유기물 및 유리수분이 완전하게 제거되면서 소성되므로 강도가 증진되어 성형물을 완성시키게 된다.
소성과정에서는 원목이 비교적 강한 경우에는 1000℃이하에서도 일상생활에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가 제공되는 것이나, 원목이 비교적 약한 경우에는 100℃보다 온도를 약간 상승시켜 1250℃정도 까지 온도를 상승시켜야 충분한 강도가 제공된다.
이때 온도를 높일수록 강도를 향상되나, 숯의 기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다기 세트(10)는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찻잔(30)과 받침대(40)를 갖는 것이다.
상기 찻잔(30)과 받침대(40)는 5개가 한 세트로 이루어지며 공간(21)이 형성되는 주전자(20)는 일측으로 주둥이(23)와 손잡이(22)가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주전자(20)의 손잡이(22)와 주둥이(23)는 별도로 성형한 후 서로 일체형이 되도록 접착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성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기 세트(10)는 찻잔(30)과 받침대(40) 및 주전자(20)가 각각 일체형으로 숯이 되어 성형된 것이나, 일정한 강도가 부여되어 사용시 쉽게 깨지지 않는 것이며,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유해성분이 스며들어 쌓이게 된다.
유해성분이 스며든 상태의 경우에는 100℃로 끓는 물에 농축 목초액을 2방울 공급하여 희석시킨 후 다기 세트(10)를 넣어 5∼30분 정도 경과시키면 숯에 스며든 유해 성분이 모두 외부로 배출되므로 건조시켜 재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기 세트(10)는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숯부(50)로만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검정색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외관상 무거운 느낌을 주게 되므로 외부에 옷칠부(60)와 같이 옷칠을 하여 사용하거나 옷칠부(60)에 다양한 형상이나 모양의 도형 또는 그림을 넣어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1) 성형물 제조과정
채취한 원목을 자연 건조하여 25∼39%의 수분을 함습하도록 한 후 일정한 크기를 갖는 찻잔(30)과 받침대(40) 및 손잡이(22)와 주둥이(23)가 독립되게 성형되고 공간(21)이 형성된 주전자(20)로 이루어진 다기 세트(10)와 같이 성형물을 제조(1)한다.
(2) 성형물 자연건조과정
일정한 크기로 제조된 성형물인 다기세트(10)는 각각 자연건조에 의해 20∼25%의 수분이 함유되도록 건조(2)하는 것이다.
(3) 진공 강제 건조과정
성형물을 건조할 로에 공급한 후 가열기구와 열선을 이용하여 내부를 상온에서부터 가열하여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진공상태에서 120∼180℃의 온도로 15∼30시간동안 건조과정을 수행한 후, 200∼280℃의 온도에서 4시간 정도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유기물에 포함된 수분이 모두 제거(3)되도록 하는 것이다.
(4) 진공 후 건조과정
이제는 화학적 수분만 남게 되므로 250∼800℃까지 6∼10시간 동안 가열하여 유기물이 완전히 배출되도록 하는 후 건조과정(4)을 수행한다.
건조과정과 추가 건조과정에서 발생되는 목초액은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밸브를 개방시켜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다.
이때 목초액이 배출되면서 성형물의 체적이 20∼25%정도 감소하게 되며 원형이 흐트러지지 않고 그대로 보존하면서 숯으로 제조된다.
(5) 소성과정
성형물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온도를 계속해서 상승시켜 800∼1250℃까지 상승시키면 숯으로 성형된 상태에서 유기물 및 유리수분이 완전하게 제거되면서 소성(5)되므로 강도가 증진되어 성형물의 강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6) 숯 성형물 가공과정
숯 성형물의 체적이 감소된 상태에서 원형이 보존되어 있으므로 5개의 찻잔(30)과 받침대(40)의 내, 외부를 센딩처리하고, 주전자(20)의 일측으로 손잡이(22)와 주둥이(23)를 연결하여 외부를 센딩처리하는 가공과정(6)을 통하여 다기 세트 (10)를 완성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자연 건조된 원목을 이용하여 동일한 크기의 찻잔과 받침대 및 주전자를 성형하여 원형 그대로 보존한 숯으로 제조한 다기세트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원목으로 성형된 가공품을 원형 그대로 보존하는 숯으로 제조한 후 일상 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강도가 부여되도록 하는 다기세트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숯으로 제조된 다기 세트가 숯의 기능인 원적외선 방사기능, 음이온 방출기능, 부패방지 및 탈취기능 등의 작용을 통해 보관물의 냄새를 탈취함은 물론, 유해 중금속이 흡착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기 세트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유해성분이 숯에 흡착되어 있으므로 끓는물에 농축 목초액을 2방울 공급한 후 숯 걸름 용기를 넣어 숯에 흡착된 유해물질을 모두 배출시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4)

  1. (삭제)
  2. 채취한 원목을 자연 건조하여 25∼39%의 수분을 함습하도록 한 후 일정한 크기를 갖는 용기형태로 성형물을 제조하는 성형물 제조과정(1)과;
    일정한 크기로 제조된 성형물을 자연건조에 의해 20∼25%의 수분이 함유되도록 건조하는 성형물 자연건조과정(2)과;
    성형물을 건조할 로에 공급 진공상태에서 120∼180℃의 온도로 15∼30시간동안 건조과정을 수행한 후, 200∼280℃의 온도에서 4시간 정도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유기물에 포함된 수분이 모두 제거되도록 하는 진공 강제 건조과정(3)과;
    250∼800℃까지 6∼10시간 동안 가열하여 유기물이 완전히 배출되도록 하여 성형물의 체적이 20∼25%정도 감소하게 되며 원형이 흐트러지지 않고 그대로 보존되는 진공 후 건조과정(4)과;
    온도를 800∼1250℃까지 상승시키면 숯으로 성형된 상태에서 유기물 및 유리 수분을 제거하여 소성되도록 하는 소성과정(5)과;
    숯 성형물의 체적이 감소된 상태에서 원형이 보존되어 있으므로 손잡이(22)와 주둥이(23)를 연결시킨 주전자(20)와 5개의 찻잔(30) 및 받침대(40)를 센딩처리하는 숯 성형물 가공과정(6)을 통하여 다기 세트(10)를 완성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숯 성형물을 이용한 다기 세트의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KR1020040087072A 2004-10-29 2004-10-29 숯 성형물을 이용한 다기 세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602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7072A KR100602997B1 (ko) 2004-10-29 2004-10-29 숯 성형물을 이용한 다기 세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7072A KR100602997B1 (ko) 2004-10-29 2004-10-29 숯 성형물을 이용한 다기 세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964A KR20060037964A (ko) 2006-05-03
KR100602997B1 true KR100602997B1 (ko) 2006-07-20

Family

ID=37145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7072A KR100602997B1 (ko) 2004-10-29 2004-10-29 숯 성형물을 이용한 다기 세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299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474Y1 (ko) 2000-12-14 2001-09-25 박보현 숯을 이용한 발열체로 된 발열기구
KR20020029197A (ko) * 2000-10-12 2002-04-18 조재현 경도를 강화시킨 숯의 제조방법과, 숯검정억제 및내마모성을 갖는 숯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280144Y1 (ko) 2002-03-06 2002-07-02 신진협 자동차 실내공기정화장치
KR100444010B1 (ko) 2004-03-24 2004-08-11 장종한 숯 성형물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0448259B1 (ko) 2004-03-24 2004-09-10 장종한 숯 성형물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197A (ko) * 2000-10-12 2002-04-18 조재현 경도를 강화시킨 숯의 제조방법과, 숯검정억제 및내마모성을 갖는 숯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239474Y1 (ko) 2000-12-14 2001-09-25 박보현 숯을 이용한 발열체로 된 발열기구
KR200280144Y1 (ko) 2002-03-06 2002-07-02 신진협 자동차 실내공기정화장치
KR100444010B1 (ko) 2004-03-24 2004-08-11 장종한 숯 성형물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0448259B1 (ko) 2004-03-24 2004-09-10 장종한 숯 성형물의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964A (ko) 200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82892A (zh) 一种食品用竹篮编制工艺
KR100835249B1 (ko) 원목을 이용한 숯 자기의 제조방법
KR100444010B1 (ko) 숯 성형물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0602997B1 (ko) 숯 성형물을 이용한 다기 세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49651A (ko) 고진공 공법을 이용한 홍삼침출차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홍삼침출차
KR100602996B1 (ko) 숯 성형물을 이용한 반상기 세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602995B1 (ko) 숯 성형물을 이용한 녹차 찻잔 및 그 제조방법
KR100635114B1 (ko) 숯 성형물의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한 삼계 찜용기 및 그 제조방법
JP2012111644A (ja) 陶磁器及びその素焼き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100602998B1 (ko) 숯 성형물을 이용한 유골함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16597A (ko) 엠디에프를 이용한 숯 성형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22559A (ko) 강압팽창 볶음 우엉차의 제조방법
KR20060037962A (ko) 숯 성형물을 이용한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16581A (ko) 숯 성형물을 이용한 대나무 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17722A (ko) 도자기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100886313B1 (ko) 다용도 황토 조리기
CN106827261A (zh) 原石器皿的制作方法及由该方法制得的原石器皿
KR20090089016A (ko) 고화도 소성 가능한 황토 도자기 소지
KR101287063B1 (ko) 즉석식 누룽지 및 즉석식 팽화누룽지의 제조방법
KR100448259B1 (ko) 숯 성형물의 제조장치
KR200170849Y1 (ko) 전기밥통 및 전기밥솥용 바이오 세라믹 용기
KR20070016578A (ko) 숯 성형물을 이용한 등 및 그 제조방법
JP2847637B2 (ja) 飲食物の品質を改善する木材ブロック並びにその加工方法
KR100208771B1 (ko) 녹자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수득되는 녹자
KR100581668B1 (ko) 숯 성형물을 이용한 숯 구이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