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1668B1 - 숯 성형물을 이용한 숯 구이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숯 성형물을 이용한 숯 구이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1668B1
KR100581668B1 KR1020040087075A KR20040087075A KR100581668B1 KR 100581668 B1 KR100581668 B1 KR 100581668B1 KR 1020040087075 A KR1020040087075 A KR 1020040087075A KR 20040087075 A KR20040087075 A KR 20040087075A KR 100581668 B1 KR100581668 B1 KR 100581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roasting plate
molding
drying process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7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7967A (ko
Inventor
장종한
서동석
Original Assignee
장종한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종한,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장종한
Priority to KR1020040087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1668B1/ko
Publication of KR20060037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7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1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1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51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 C04B35/52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carbon, e.g. graph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4Burning or sintering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목을 일정한 두께의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성형한 후 숯으로 가공하여 숯 구이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목을 가공한 후 가열방법에 의하여 숯으로 제조하되, 숯의 효능을 그대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강도가 유지되도록 제조하는 숯 성형물을 이용한 숯 구이판 및 그 제조방법 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원목을 원형 또는 사각형의 성형물로 가공하여 건조과정을 통하여 성형된 숯 구이판(30)이 성형물로부터 체적이 20∼25%정도 감소하게 되며 원형이 흐트러지지 않고 그대로 보존하면서 일체형의 숯으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구이판, 숯

Description

숯 성형물을 이용한 숯 구이판 및 그 제조방법{A meat roasted with board that use charcoal and the manufacture method}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제조과정도
도 2 는 본 발명을 그릴에 적용한 실시예의 외형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을 가스 버너에 적용한 실시예의 외형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성형물 제조과정 2 : 자연 건조과정
3 : 진공 강제 건조과정 4 : 진공 후 건조과정
5 : 소성과정 6 : 숯 성형물 가공과정
10 : 그릴 20 : 가스 버너
30 : 숯 구이판
본 발명은 원목을 일정한 두께의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성형한 후 숯으로 가공하여 숯 구이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목을 가공한 후 가열방법에 의하여 숯으로 제조하되, 숯의 효능을 그대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강도가 유지되도록 제조하는 숯 성형물을 이용한 숯 구이판 및 그 제조방법 에 관한 것이다.
숯의 효능
종래 숯을 이용한 성형물 또는 성형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2003-68097호(2003. 08. 19. 공개)와 특허 공개번호 제2003-58981호(2003. 07. 07. 공개)가 있다.
특허 공개번호 제2003-68097호는 주재료를 숯 분말로 구성하고 그 숯 분말에 각종 불순물을 투입한 상태에서 열건조, 표면연마, 냉각등의 별도 처리를 행하여 숯 자체의 기능과 더불어 강도 증가, 무흡습성, 표면 탈색방지의 기능을 갖도록 하였다.
특허 공개번호 제2003-58981호는 미세분말상의 숯, 휘발분, 회분 및 목초액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일정형상으로 성형한 후 가열과 재가열 및 미세분말상의 숯과 테프론 불소수지액의 혼합물에 의한 코팅층을 형성하여 조리물이 들러붙거나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소성형체의 제조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성형물 또는 성형체의 제조방법은 나무를 이용하여 숯을 만든 후 숯을 분말상태로 제조하여 다른 불순물을 혼합하여 얻어지는 것이므로 숯의 고유한 기능을 제공할 수 없었던 것이다.
종래 원목으로 이루어지는 가공품은 목기, 제기, 쌀 뒤지 등 다양한 제품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를 숯으로 변환하여 사용하려면 원목으로 가공된 가공품이 숯으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뒤틀리거나 갈라지는 다양한 변형에 의하여 사용이 불가능한 제품으로 변하게 된다.
또한 변형된 제품을 재 가공하여 사용할 수 없는 것이며, 원목 가공품이 숯으로 변환된다고 하더라도 강도가 약하므로 일상 생활용품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결점을 갖게 된다.
원목 가공품은 괴목, 물푸레, 야사, 은행나무 등 다양한 나무를 이용하여 자연 건조한 후 원목을 회전시키면서 칼날을 이용하여 목기나 제기 등 다양한 물품을 가공한 후 건조시켜 옻칠을 통하여 사용되도록 하였으나, 원목 가공품을 원형 그대로 보존한 숯으로 제공한 예는 없었다.
특히, 소고기, 돼지고기와 같은 육류를 생고기 또는 냉동된 상태를 일정한 두께로 절단하여 구워 먹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구이는 그릴(10)과 같이 하측에는 전기 또는 가스를 이용하여 열원을 제공하며 상측으로 금속재료를 이용한 판(11)이 설치되어 판의 상측에 육류를 올려놓아 익혀 먹는 것이다.
또한 가스 버너(20)를 이용하거나 가스버너가 설치되어 있거나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서 숯을 이용하여 열원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그 상측으로 불판이 돌이나 금속 또는 다양한 재질을 이용하여 제조된 후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이판은 화력에 의하여 공급되는 열원으로 육류가 익 혀지면서 연기가 발생하게 되고, 동시에 많은 기름이 배출되면서 열원에 의하여 튀므로 주변을 불결하게 하며 음식을 섭취하는 사람에게 튀어 화상을 입거나 옷을 더럽게 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배출되는 많은 기름은 한곳에 모아 처리하거나 내부에 남아서 계속해서 튀는 결점과, 육류가 익혀지면서 많은 냄새를 발생하게 되므로 주변의 다른 사람에게 많은 어려움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연 건조된 원목을 이용하여 성형된 판을 원형 그대로 보존한 숯으로 제조한 후, 후가공에 의하여 숯 구이판으로 사용되도록 제조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원목으로 성형된 가공품을 원형 그대로 보존하는 숯으로 제조한 후 일상 생활에서 구이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강도가 부여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숯으로 제조된 판을 제공하여 숯의 기능인 원적외선 상사기능, 음이온 방출기능, 부패방지 및 탈취기능 등의 작용을 통해 육류의 냄새를 탈취함은 물론, 유해 중금속과 기름이 흡착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원목을 원형 또는 사각형의 성형물로 가공하여 건조과정을 통하여 성형된 숯 구이판(30)이 성형물로부터 체적이 20∼25%정도 감소하게 되며 원형이 흐트러지지 않고 그대로 보존하면서 일체형의 숯으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다.
자연 건조된 통상의 원목을 이용하여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성형물을 성형하고 자연 건조시켜 진공상태에서 원형을 보존하는 숯을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원목은 괴목(느티나무), 물푸레, 야사, 은행나무, 참나무, 소나무, 대나무 등 성형 가능한 모든 것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성형물을 성형하면 25∼30%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비틀림, 크랙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성형물을 자연 건조시키어 20∼25%의 수분을 함유하도록 한다.
자연 건조된 성형물은 성형로 또는 전기로와 같은 진공이 가능한 다양한 로를 통하여 원형 그대로 보존되는 숯을 제조한다.
성형물을 가공하여 강제로 건조시키는 경우에는 건조로의 내부에 설치되는 성형물 받침대에 서로 닿지 않도록 올려놓아 가열기구와 열선을 통하여 가열하면서 내부 공간을 진공상태로 만든다.
상온에서 시작하여 진공상태에서 120∼180 ℃의 온도로 15∼30시간동안 건조과정을 수행한다.
건조과정을 수행한 후 200∼280℃의 온도에서 4시간 정도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유기물에 포함된 수분이 제거되므로 화학적 수분을 제외한 나머지 수분이 모두 제거되는 것이다.
이제는 화학적 수분만 남게 되므로 250∼800℃까지 6∼10시간 동안 가열하여 유기물을 완전 배출하여 완전건조 되도록 한다.
건조과정에서 발생되는 목초액은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또한 건조과정에서 목초액이 배출되면서 성형물의 체적이 20∼25%정도 감소하게 되며 원형 그대로 보존하는 숯으로 제조된다.
이와 같이 숯으로 제조된 성형물은 원목 가공품 상태에서 성형물로 체적이 변화된 상태의 숯으로 제조된다.
성형물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온도를 계속해서 상승시켜 800∼1250℃까지 상승시키면 숯으로 성형된 상태에서 유기물 및 유리수분이 완전하게 제거되면서 소성되므로 강도가 증진되어 성형물을 완성시키게 된다.
소성과정에서는 원목이 비교적 강한 경우에는 1000℃이하에서도 일상생활에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가 제공되는 것이나, 원목이 비교적 약한 경우에는 100℃보다 온도를 약간 상승시켜 1250℃정도 까지 온도를 상승시켜야 충분한 강도가 제공된다.
이때 온도를 높일수록 강도를 향상되나, 숯의 기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숯 구이판(30)은 원목을 일정한 두께(5∼20mm)로 절단하여 그릴(10)이나 가스 버너(20)와 같이 사용할 크기보다 더 크게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가공한 후 숯으로 성형되는 것이다.
다양한 과정을 통하여 숯으로 성형된 후에는 사용될 용도에 따른 크기로 절 단된 후 센딩작업을 통하여 표면을 마무리하여 숯 구이판(30)을 제조한다.
이러한 숯 구이판(30)은 도 2 와 같이 그릴(10)의 판(11) 상측에 올려놓는 것이며, 가스 버너(20)의 경우에는 다리의 상측에 올려 놓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숯 구이판(30)은 화력이 직접 닿거나 간접적으로 공급되는 열원을 통하여 발열되면서 상측에 올려진 육류를 익히게 되는 것이다.
숯 구이판(30)에 육류가 올려져 익힐 때 발생되는 연기와 기름 및 냄새와 같은 유해성분은 숯 구이판(30)이 제거하는 것이다.
숯 구이판(30)이 연기와 기름 및 냄새와 같은 유해성분을 제거하므로 연기와 냄새 및 육류가 있는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며, 배출되는 기름은 숯 구이판(30)이 함습하게 되므로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숯 구이판(30)에서 익혀지는 육류는 천연 숯으로 이루어진 것을 통하여 기름이 제거되면서 유해성분이 제거된 상태로 익혀지게 되므로 먹기에 가장 좋은 상태로 익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숯 구이판(30)은 육류중에 있는 유해성분이 모두 제거되어 스며든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한번 사용한 이후에 계속해서 사용하기가 어렵게 되므로 100℃로 끓는 물에 농축 목초액을 2방울 공급하여 희석시킨 후 숯 구이판(30)를 넣어 5∼30분 정도 경과시키면 숯에 스며든 유해성분이 모두 외부로 배출되므로 건조시켜 재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 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1) 성형물 제조과정
채취한 원목을 자연 건조하여 25∼39%의 수분을 함습하도록 한 후 일정한 크기와 두께를 갖는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성형물을 제조(1)한다.
(2) 성형물 자연건조과정
일정한 크기와 두께를 갖는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제조된 성형물을 자연건조에 의해 20∼25%의 수분이 함유되도록 건조(2)하는 것이다.
(3) 진공 강제 건조과정
성형물을 건조할 로에 공급한 후 가열기구와 열선을 이용하여 내부를 상온에서부터 가열하여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진공상태에서 120∼180℃의 온도로 15∼30시간동안 건조과정을 수행한 후, 200∼280℃의 온도에서 4시간 정도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유기물에 포함된 수분이 모두 제거(3)되도록 하는 것이다.
(4) 진공 후 건조과정
이제는 화학적 수분만 남게 되므로 250∼800℃까지 6∼10시간 동안 가열하여 유기물이 완전히 배출되도록 하는 추가 건조과정(4)을 수행한다.
건조과정과 추가 건조과정에서 발생되는 목초액은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밸브를 개방시켜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다.
이때 목초액이 배출되면서 성형물의 체적이 20∼25%정도 감소하게 되며 원형 이 흐트러지지 않고 그대로 보존하면서 숯으로 제조된다.
(5) 소성과정
온도를 계속해서 상승시켜 800∼1250℃까지 상승시키면 숯으로 성형된 상태에서 유기물 및 유리수분이 완전하게 제거되면서 소성(5)되므로 강도가 증진되어 성형물의 강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6) 숯 성형물 가공과정
숯으로 제조된 성형물을 로에서 꺼내어 숯 구이판(30)을 원하는 크기로 재가공한 후 표면을 센딩처리하는 가공과정(6)을 통하여 숯 구이판(30)을 가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자연 건조된 원목을 이용하여 성형된 판을 원형 그대로 보존한 숯으로 제조한 후, 후가공에 의하여 숯 구이판으로 사용되도록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원목으로 성형된 가공품을 원형 그대로 보존하는 숯으로 제조한 후 일상 생활에서 구이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강도가 부여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숯으로 제조된 판을 제공하여 숯의 기능인 원적외선 상사기능, 음이온 방출기능, 부패방지 및 탈취기능 등의 작용을 통해 육류의 냄새를 탈취함은 물론, 유해 중금속과 기름이 흡착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육류의 냄새와 기름 및 유해성분이 함유된 숯 완성품은 끓는 물에 목초 농축액을 공급하여 일정시간 넣은 후 꺼내면 끓는 물에 유해성분이 배출되므 로 건조시켜 연속적으로 재사용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원목을 원형 또는 사각형의 성형물로 가공하여 건조과정을 통하여 성형된 숯 구이판(30)이 성형물로부터 체적이 20∼25%정도 감소하게 되며 원형이 흐트러지지 않고 그대로 보존하면서 일체형의 숯으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숯 성형물을 이용한 숯 구이판.
  2. 채취한 원목을 자연 건조하여 25∼39%의 수분을 함습하도록 한 후 일정한 크기와 두께를 갖는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성형물을 제조하는 성형물 제조과정(1)과;
    일정한 크기와 두께를 갖는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제조된 성형물을 자연건조에 의해 20∼25%의 수분이 함유되도록 건조하는 성형물 자연건조과정(2)과;
    진공상태의 로에서 120∼180℃의 온도로 15∼30시간동안 건조과정을 수행한 후, 200∼280℃의 온도에서 4시간 정도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유기물에 포함된 수분이 모두 제거하는 진공 강제 건조과정(3)과;
    로를 250∼800℃까지 6∼10시간 동안 가열하여 유기물이 완전히 배출되도록 하는 하는 진공 후 건조과정(4)과;
    온도를 계속해서 상승시켜 800∼1250℃까지 상승시키면 숯으로 성형된 상태에서 유기물 및 유리수분이 완전하게 제거되는 소성과정(5)과;
    숯으로 제조된 성형물을 로에서 꺼내어 원하는 크기로 가공하여 표면을 센딩 처리하여 숯 구이판(30)을 가공하는 숯 성형물 가공과정(6)을 통하여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숯 성형물을 이용한 숯 구이판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숯 구이판(40)은 일체형의 숯으로 성형되며 5∼20mm의 두께와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숯 성형물을 이용한 숯 구이판.
  4. 100℃로 끓는 물에 농축 목초액을 2방울 공급하여 희석시킨 후 숯 구이판(30)를 넣어 5∼30분 정도 경과시켜 숯에 스며든 유해성분이 모두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건조시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숯 성형물을 이용한 숯 구이판.
KR1020040087075A 2004-10-29 2004-10-29 숯 성형물을 이용한 숯 구이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581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7075A KR100581668B1 (ko) 2004-10-29 2004-10-29 숯 성형물을 이용한 숯 구이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7075A KR100581668B1 (ko) 2004-10-29 2004-10-29 숯 성형물을 이용한 숯 구이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967A KR20060037967A (ko) 2006-05-03
KR100581668B1 true KR100581668B1 (ko) 2006-05-23

Family

ID=37145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7075A KR100581668B1 (ko) 2004-10-29 2004-10-29 숯 성형물을 이용한 숯 구이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16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24217A (zh) * 2017-06-21 2017-10-03 无锡天麦机械有限公司 一种带消毒储物装置的电烤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967A (ko) 200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4010B1 (ko) 숯 성형물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0835249B1 (ko) 원목을 이용한 숯 자기의 제조방법
KR100581668B1 (ko) 숯 성형물을 이용한 숯 구이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26390A (ko) 탄소 코팅층을 갖는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635114B1 (ko) 숯 성형물의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한 삼계 찜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602998B1 (ko) 숯 성형물을 이용한 유골함 및 그 제조방법
JP2009136182A (ja) だし抽出用および料理用昆布の製造方法とそれを用いた飲食品
KR100602996B1 (ko) 숯 성형물을 이용한 반상기 세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37962A (ko) 숯 성형물을 이용한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602995B1 (ko) 숯 성형물을 이용한 녹차 찻잔 및 그 제조방법
KR100448259B1 (ko) 숯 성형물의 제조장치
KR100552403B1 (ko) 숯을 이용한 탄소 구이판의 제조방법
KR101962631B1 (ko) 열화 발포 커피숯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16578A (ko) 숯 성형물을 이용한 등 및 그 제조방법
KR100602997B1 (ko) 숯 성형물을 이용한 다기 세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16597A (ko) 엠디에프를 이용한 숯 성형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86313B1 (ko) 다용도 황토 조리기
JP7391466B2 (ja) バイオマスカルシウム半炭化製造方法。
KR200370255Y1 (ko) 숯 성형물
KR20070016581A (ko) 숯 성형물을 이용한 대나무 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100628808B1 (ko) 숯불탄 및 그 제조방법
KR100707313B1 (ko) 숯 성형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97534A (ko) 기능성 코팅제의 제조방법과 코팅제 및 코팅제를 이용한조리기구
KR20090089016A (ko) 고화도 소성 가능한 황토 도자기 소지
RU2246841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сушеных гриб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