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255Y1 - 숯 성형물 - Google Patents

숯 성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255Y1
KR200370255Y1 KR20-2004-0027116U KR20040027116U KR200370255Y1 KR 200370255 Y1 KR200370255 Y1 KR 200370255Y1 KR 20040027116 U KR20040027116 U KR 20040027116U KR 200370255 Y1 KR200370255 Y1 KR 2003702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molding
conductive metal
powder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71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화용
Original Assignee
안화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화용 filed Critical 안화용
Priority to KR20-2004-00271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02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2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2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개시된 숯 성형물은 형틀을 통해 사출 성형되되 숯분말과 경화제와 알콜을 혼합시켜 건조/가열과정을 거쳐 성형되고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전도성금속이 삽입 성형된 몸체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숯 성형물{Charcoal Molding Products}
본 고안은 숯 성형물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주재료로 숯분말을 사용하고, 숯분말에 다른 부수물들을 첨가하여 일련의 가공처리를 수행하여 숯 자체의 기능과 더불어 강도를 증가시키도록 한 숯 성형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숯을 이용한 성형물 또는 성형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2003-68097호(2003.08.19. 공개)와 특허 공개번호 제2003-58981호(2003.07.07 공개)가 있다.
특허 공개번호 제2003-68097호는 주재료를 숯분말로 구성하고, 그 숯분말에 각종 부수물을 투입한 상태에서 열건조, 표면연마, 냉각등의 별도 처리를 수행하여 숯 자체의 기능과 더불어 강도증가, 무흡습성, 표면탈색방지 기능을 갖는 장신구등의 성형물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특허 공개번호 제2003-58981호는 미세분말상의 숯, 휘발분, 회분 및 목초액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일정형상으로 성형한 후, 가열과 재가열 및 미세분말상의 숯과 테프론 불소수지액의 혼합물에 의한 코팅층을 형성하여 조리물이 들러붙거나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소성형체의 제조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성형물 또는 성형체의 제조방법은 나무를 이용하여 숯을 만든 후 숯을 분말상태로 제조하여 다른 부수물을 혼합하여 얻어지는 것이므로 숯의 고유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나, 성형물 제조시, 숯분말에 다른 부수물을 첨가하여 성형된 성형물의 경우, 가열과 재가열의 과정을 거친다 하여도 숯 자체만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강도측면에서 외부의 충격에 약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성형물을 조리기구, 예컨데, 구이판 등으로 성형하여 사용할 경우, 숯만으로 형성된 구이판은 그 상부에 얹혀지는 고기등의 음식물을 익히는데 필요한 열이 전도되는데 까지의 시간이 오래걸리게 된다.즉, 숯자체만으로 형성된 성형물은 열전도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참나무숯 분말에 다른 부수물을 첨가시켜 자연건조한뒤, 그 분말을 사용하여 성형물을 제조하되, 그 성형물 내부에 소정의 강도를 갖는 전도성금속을 삽입되도록 하여 성형함으로써, 숯 성형물 자체의 강도증가와, 열전도율을 높이도록 하여 숯 자체의 기능을 갖는 조리기구등의 성형물을 제조함과 아울러 강도가 증가된 숯성형물을 타일 등의 건축용 재료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숯 성형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숯 성형물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숯 성형물을 보여주는 부분절개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 I-I’를 따르는 단면도,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선 H-H’를 따르는 단면도,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전도성 금속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전도성 금속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숯 성형물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성형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200 : 숯 성형물 210 : 몸체
211 : 지지대 300 : 전도성 금속
본 고안의 경화제와 알콜을 혼합시킨 숯분말을 형틀에 삽입하여 건조, 가열과정을 거쳐 성형하되, 상기 혼합된 숯분말과 일체로 성형되도록 전도성금속이 삽입된 몸체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전도성 금속은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금속판 또는 철심인 것이 바람직하며, 메쉬형태의 철망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 자체의 강도 증가를 위해 상기 금속판, 메쉬형태의 철망, 철심 중 적어도 2가지 이상을 동시에 몸체 내에 삽입하여 성형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숯분말 1kg당 상기 경화제 380g과 상기 알콜 380cc를 각각 투입하여 혼합시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는 가열조리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건축재료(예를 들어 건축용 타일과 벽돌 및 바닥재 등)에 적용하여도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숯 성형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숯 성형물을 고기등의 음식물을 상부에 얹힌 상태에서 버너등의 가열기구를 통한 열을 통해 음식물을 익히는 구이판등의 가열조리기를 일 실시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물론, 본 고안에 따르는 숯 성형물을 고기등의 음식물을 상부에 얹힌 상태에서 버너등의 가열기구를 통한 열을 통해 음식물을 익히는 구이판등의 가열조리기를 일 실시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로 하면, 본 고안의 숯 성형물(200)인 가열조리기는 가열조리기 형상에 대응되는 형틀(미도시)을 통해 성형되되, 가열조리기의 몸체(210)는 숯분말 1kg당 경화제와 알콜을 각각 380cc를 혼합하여 건조시키고, 가열시켜 성형한 몸체(210)이다.
또한, 가열조리기의 몸체(210)는 상부에 음식물을 얹히도록 다수개의 리브형상의 지지대(211)가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몸체(210) 테두리와 리브형상의 지지대(211) 내부에는 전도성 금속(300)이 삽입되어 형성되는데, 이는 가열조리기 몸체(210) 하부에서 버너등의 가열기(미도시)를 통해 열을 받을 경우, 지지대(211) 상부의 음식물로 열전달률을 향상시키도록 설치한 것이며, 또한, 숯분말로 형성된 몸체(210)의 외부로 부터의 충격에 대응되는 강도를 갖도록 함에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몸체(210) 내부에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금속판 등의 전도성 금속(300)이 삽입 설치되어 몸체(210) 자체의 강도를 증가시킴과 아울러, 필요에 따라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0)와 지지대(211) 내부에 철심등의 전도성 금속(300)을 추가로 삽입설치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몸체(210)로 가열기를 통해 열이 제공되면, 몸체(210) 상부 및 지지대(211)로의 열이 급속히 전달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또한, 몸체(210)의 강도를 더욱 증가 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숯 성형물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가열조리기 뿐만아니라, 건축용 타일과, 벽돌 및 바닥재 등을 포함하는 건축용 재료에 적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건축용재료에 적용하는 경우, 숯 자체의 몸체를 갖고, 또한,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판등의 전도성금속을 몸체 내에 삽입설치 함으로써 몸체의 강도를 증가시킴과 아울러, 숯자체의 탈취효과 등으로 인하여 인체에 유익한 건축용 재료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숯 성형물 제조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도 4를 참조로 하면, 상기와 같은 가열조리기등의 몸체(210)를 갖는 숯 성형물(200)을 제조하기 위한 숯 성형물 제조방법은 참나무등의 원목을 건조시켜 숯으로 형성시킨 참나무숯을 분쇄기를 통해 잘게 분쇄하는 분쇄과정(S100)을 거친다.
이때, 분쇄기를 통해 분쇄되는 숯분말을 320매쉬를 갖는 그물망채(미도시)를 통해 걸러지는 숯분말을 사용하는데, 숯분말 입자의 직경이 0.16mm 정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매쉬는 가로, 세로 1인치(inch)의 사각홀에 걸러질 수 있는 입자의 수로써, 상기 320매쉬는 1인치의 사각홀에 320개의 숯분말 입자의 개수이다.
상기와 같이 분쇄과정(S100)에서 320매쉬를 갖는 그물망채(미도시)로 걸러진 숯분말에 가열시 숯분말의 경화를 촉진시키도록 페놀류의 경화제와 알콜로 구성된 부수물을 일정 비율로 투입하여 혼합시키는 혼합과정(S200)을 거치게 된다.
이때, 상기 숯 성형물(200)의 몸체(210) 주 성분이 되는 숯분말에 숯분말 1kg당 경화제 380g, 알콜 380cc의 부수물과 서로 혼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과정(S200)을 마친 후, 건조용기(미도시)에 상기와 같이 혼합된 숯분말을 저장하여 수분이 증발되도록 건조하는 건조과정(S300)을 거친다.
여기서, 숯분말 건조시, 실온에서 3일 내지 4일, 즉 72시간 내지 96시간 정도 동안 자연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실온에서 순차적으로 건조되면서 숯분말내의 수분이 증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건조과정(S300)을 마친 숯분말을 가열조리기를 성형할 수 있는 형틀 내부에 투입하여 성형하는 성형과정(S400)을 거치게 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숯 성형물(200)의 성형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성형과정(S400)은 도 1에 도시된 숯 성형물(200) 형상을 사출 성형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숯분말의 투입공간을 갖는 형틀에 상기 숯분말 외면이 달라붙지 않도록 하여 성형 종료후, 탈거를 쉽게 하도록 이형제를 도포하는이형제 도포과정(S410)을 거친다.
상기와 같이 형틀 내부에 이형제를 도포한 후, 성형조성물을 투입하는 상형조성물 투입단계(S420)를 거치는데, 먼저 형틀 내부에 부수물이 혼합된 숯분말을 일정두께가 형성되도록 투입한 후, 성형될 가열조리기 몸체(210)의 열전도성 및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전도성 금속(300)을 투입한다.
이때, 전도성 금속(300)은 판형일 수도 있고, 철심으로 형성되어 가열조리기 몸체(210)의 지지대(211) 에 삽입되는 형상일 수도 있으며, 일정간격을 갖는 메쉬형태의 철망일 수도 있다.
이어, 전도성 금속(300)을 투입한 후, 그 상부에 숯분말을 다시 투입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형틀 내부에 숯분말과 전도성 금속(300)으로 구성된 성형조성물을 투입한 후, 형틀 내부의 형상에 따라서 형성되는 바람직하게는 가열조리기의 몸체(210)를 가열시켜 숯분말 내부의 수분을 완전 제거하는 가열과정(S430)을 거치게 된다.
이때, 가열장치(미도시)를 통해 형틀 내부에 투입된 성형조성물을 170℃의 온도에서 5분동안 가열시키되, 압력장치(미도시)를 통해 성형조성물로 140kg/cm2의 압력을 받도록 하여 강도를 증가시키도록 함과 아울러 건조시킨다.
상기와 같은 가열조건을 형성한 상태에서 건조가 완료된 성형조성물을 형틀내부에서 탈거 하는 탈거과정(S440)을 거친다.
상기와 같이 가열과정(S430)을 마친 성형조성물을 형틀이 식은 후에 탈거시켜, 가열조리기 몸체(210)를 가공하는 가공단계(S500)를 거침으로써 숯 성형물(200) 제조단계를 마친다.
상기와 같이 숯분말을 사용하여 성형 및 가공된 가열조리기 몸체(210)는 풍부한 음이온이 방출되어 정화기능을 가짐은 물론, 숯 성형물(200)인 가열조리기 몸체(210) 성형시 전도성 금속(300)을 삽입 설치함으로써 강도를 향상시키고, 음식물을 가열조리시 빠른 열전달 효과를 가져오며, 숯 자체의 미네랄 성분과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상태에서 음식물이 조리되어짐으로써 이렇게 조리된 음식물이 인체에 흡수되면 세포의 생리작용 활성화로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역할도 한다.
또한, 숯의 산도는 약알카리성으로 곰팡이 및 유해세균등의 생육조건이 맞지 않음으로써, 가열조리기의 살균효과를 가져오는 피충작용을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숯 성형물 및 그에 따른 제조방법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사상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숯 성형물 및 그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면, 가열조리기 또는 타일 등의 건축용 재료의 숯 성형물을 성형할 경우, 숯 자체를 사용함으로써 탈취효과와, 원적외선 효과 및 살균작용을 하여 인체에 유익한 영향을 주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숯 성형물 자체에 금속을 삽입 성형함으로써, 숯 성형물의 강도를향상시켜 내구성을 좋게 함은 물론, 가열조리기일 경우, 음식물로의 빠른 열전달을 하게 함으로써 조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건축용 재료의 경우 인간이 생활하는데 인체에 유익한 영향을 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열조리기 및 건축용 재료를 숯자체로 형성함으로써, 숯의 탈취기능이외의 피충작용으로 인해서, 미생물등의 번식을 억제하여 보다 깨끗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형틀을 통해 성형되되, 숯분말과 경화제와 알콜을 혼합시켜 건조, 가열과정을 거쳐 성형되고,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전도성금속이 삽입 성형된 몸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성형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금속은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금속판, 메쉬형태의 철망, 철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성형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금속은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금속판, 메쉬형태의 철망, 철심 중 적어도 2가지 이상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성형물.
KR20-2004-0027116U 2004-09-21 2004-09-21 숯 성형물 KR2003702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116U KR200370255Y1 (ko) 2004-09-21 2004-09-21 숯 성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116U KR200370255Y1 (ko) 2004-09-21 2004-09-21 숯 성형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5591A Division KR100707313B1 (ko) 2004-09-21 2004-09-21 숯 성형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255Y1 true KR200370255Y1 (ko) 2004-12-13

Family

ID=49442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116U KR200370255Y1 (ko) 2004-09-21 2004-09-21 숯 성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025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3886B1 (ko)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세라믹 과립형 분체 및 이를 이용한 고밀도 물리치료석 제조방법
CN103206731A (zh) 一种作为烹饪用具的烤箱及用于完成烹饪过程的方法
KR101359700B1 (ko) 탄소 코팅층을 갖는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444010B1 (ko) 숯 성형물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370255Y1 (ko) 숯 성형물
KR100707313B1 (ko) 숯 성형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28945B1 (ko) 전자레인지용 발열도자기 제조방법
KR100727686B1 (ko) 이중구조를 갖는 황토 숯 구이판의 제조방법
JP2927415B1 (ja) 珪藻土焼成製品とその製造方法
JP7245927B2 (ja) 黄土の効能を極大化した金属のキッチン用品の製造方法
KR20070018750A (ko) 가구용 보드 및 이를 이용한 침대
KR100899880B1 (ko) 원목으로 만든 알숯 제조방법
KR100448259B1 (ko) 숯 성형물의 제조장치
KR100635114B1 (ko) 숯 성형물의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한 삼계 찜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596026B1 (ko) 탄소성형체의 제조방법
KR20070016578A (ko) 숯 성형물을 이용한 등 및 그 제조방법
KR100581668B1 (ko) 숯 성형물을 이용한 숯 구이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552403B1 (ko) 숯을 이용한 탄소 구이판의 제조방법
KR20090040750A (ko) 조리용기
KR100586259B1 (ko) 황토불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605339B1 (ko) 규산염 광분을 코팅하는 코팅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제조된 주방용품
KR20090089016A (ko) 고화도 소성 가능한 황토 도자기 소지
KR100994688B1 (ko) 구이판의 제조방법
KR101328448B1 (ko) 친환경 황토불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황토불판
KR20100059620A (ko) 고기 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2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