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2848B1 - 착색성이 향상된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 Google Patents

착색성이 향상된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2848B1
KR100602848B1 KR1020030096404A KR20030096404A KR100602848B1 KR 100602848 B1 KR100602848 B1 KR 100602848B1 KR 1020030096404 A KR1020030096404 A KR 1020030096404A KR 20030096404 A KR20030096404 A KR 20030096404A KR 100602848 B1 KR100602848 B1 KR 100602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und
parts
aromatic vinyl
vinyl cyan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6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4806A (ko
Inventor
나희석
김태욱
하두한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6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2848B1/ko
Publication of KR20050064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4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8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8L33/06
    • C08L33/064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8L33/06 containing anhydride, COOH or COOM groups, with M being metal or onium-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착색성이 향상된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은 (A) 아크릴계 합성고무 20∼60 중량부에 시안화비닐 화합물 20∼30 중량%와 방향족비닐 화합물 80∼70 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를 유화 그라프트 중합방법에 의해 중합한 아크릴계 그라프트 중합체; (B) 디엔계 합성고무 20∼60 중량부에 시안화비닐 화합물 20∼30 중량%와 방향족비닐 화합물 80∼70 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를 유화 그라프트 중합방법에 의해 중합한 디엔계 그라프트 중합체; (C) 시안화비닐 화합물 20∼40 중량부와 방향족비닐 화합물 80∼60 중량부를 공중합시킨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400,000 인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및 (D)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화합물 40∼80 중량부와 방향족비닐 화합물 10∼30 중량부의 혼합물을 공중합시킨 후 여기에 시안화비닐 화합물 0∼50 중량부를 투입하여 공중합한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A)+(B) : (C)+(D)의 중량비는 60 : 40 내지 20 : 80의 범위이고, (A) : (B)의 중량비는 90 : 10 내지 50 : 50의 범위이며, (C) : (D)의 중량비는 70 : 30 내지 0 : 10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후성 수지, 착색성, 아크릴계 그라프트 중합체, 디엔계 그라프트 중합체,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Description

착색성이 향상된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Weather Resista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Coloring Property}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아크릴계 그라프트 중합체, 디엔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및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가 특정 비율로 배합되어 착색성이 향상된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일반적으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이하, 'ABS 수지'라 함)는 내충격성, 기계적 강도, 표면특성 및 가공성 등이 우수하여 전기/전자제품, 자동차 부품 및 일반잡화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수지이다. 그러나, ABS 수지는 수지 특성상 수지 내부의 고무성분에 화학적으로 불안정한 이중결합을 함유하고 있어 자외선에 의해 고무성분이 쉽게 노화될 수 있기 때문에 내후성, 내광성이 좋지 못하여, 옥외에 오랜 시간 방치할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색 및 물성저하가 비교적 커 일광에 노출되어 있는 옥외 용도에 적합하지 못하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ABS 수지 성형품에 도장 또는 도금과 같은 후가공을 하거나, ABS 수지의 압출가공시 자외선 안정제를 다량 첨가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전자는 공정이 복잡하고 불량율이 높은 단점이 있고, 후자는 제조원가 상승과 만족할만한 장시간의 내후성을 얻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ABS 수지의 용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ABS 수지 대신에 내후성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는 여러 수지들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중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이하, 'ASA 수지'라 함)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ASA 수지는 일반적으로 아크릴계 합성고무에 시안화비닐 화합물과 방향족비닐 화합물을 유화 그라프트 중합방법에 의해 그라프트 중합한 아크릴계 그라프트 중합체와 시안화비닐 화합물과 방향족비닐 화합물을 공중합시킨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를 혼합, 압출 가공하여 제조된다. 이때, 사용되는 아크릴계 합성고무와 아크릴계 그라프트 중합체, 그리고 매트릭스 중합체인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의 물성과 함량을 조절하고 특정한 역할의 보강재를 선택적으로 더 첨가하면 원하는 물성의 수지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ASA 수지는 내후성, 내광성, 내약품성, 내열성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옥외용 전기/전자제품, 자동차용 외장부품, 건축용 자재 등 일광노출이 많은 옥외 용 외장부품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그러나, ASA 수지는 그 특성상 ABS 수지에 비하여 착색성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 이 때문에 ASA 수지에 초록, 노랑, 빨강 등의 유색 칼라와 고흑색의 칼라를 발현하기 위해서는 ABS 수지 대비 다량의 염/안료를 첨가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이에 따른 조색 비용이 상승되고, 또한 그로 인하여 수지의 물성 및 내후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이처럼 ABS 수지에 비하여 ASA 수지가 착색성이 좋지 못한 이유는 아크릴계 합성고무와 그라프트 중합 성분 및 매트릭스 중합체 성분인 시안화비닐 화합물, 방향족비닐 화합물의 굴절율 차이가 커 불투명한 정도가 크기 때문이다. 불투명한 정도가 크면 클수록 착색시 제품 내부의 색까지 보이지 않고 표면에 드러난 색만이 보이기 때문에 착색성이 좋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ASA 수지의 제조방법은 미국특허 제4,753,988호, 제4,801,646호 및 일본특허 특개소 60-3350호, 특공소 59-15331호에 아크릴계 고무를 사용하여 아크릴로니트릴과 스티렌을 공중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특허 특개소 57-212215호, 특개소 58-187411호 및 특개소 57-167308호에서는 폴리부타디엔 고무와 아크릴계 고무를 혼합한 고무에 아크릴로니트릴과 스티렌을 공중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특허에는 ASA 수지의 착색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ASA 수지의 착색성을 개선하고자 아크릴계 그라프트 중합체와 매트릭스 중합체를 혼합하여 사용함에 있어 매트릭스 중합체의 일부를 메 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화합물과 시안화비닐 화합물, 방향족비닐 화합물을 공중합시킨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로 대체하여 사용함으로써 그라프트 중합체와 매트릭스 간의 굴절율 차이를 줄여 투명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통해 착색성을 개선하였으며 만족할만한 충격강도를 얻기 위해 디엔계 그라프트 중합체를 첨가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착색성이 향상된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색성이 향상되어도 충격강도 등의 물성에서 현저한 저하가 발생하지 않는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색성이 향상된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은 (A) 아크릴계 합성고무 20∼60 중량부에 시안화비닐 화합물 20∼30 중량%와 방향족비닐 화합물 80∼70 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를 유화 그라프트 중합방법에 의해 중합한 아크릴계 그라프트 중합체; (B) 디엔계 합성고무 20∼60 중량부에 시안화비닐 화합물 20∼30 중량%와 방향족비닐 화합물 80∼70 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를 유화 그라프트 중합방법에 의해 중합한 디엔계 그라프트 중합체; (C) 시안화비닐 화합물 20∼40 중량부와 방향족비닐 화합물 80∼60 중량부를 공중합시킨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400,000 인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및 (D)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화합물 40∼80 중량부와 방향족비닐 화합물 10∼30 중량부의 혼합물을 공중합시킨 후 여기에 시안화비닐 화합물 0∼50 중량부를 투입하여 공중합한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A)+(B) : (C)+(D)의 중량비는 60 : 40 내지 20 : 80의 범위이고, (A) : (B)의 중량비는 90 : 10 내지 50 : 50의 범위이며, (C) : (D)의 중량비는 70 : 30 내지 0 : 10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A) 아크릴계 그라프트 중합체
본 발명의 아크릴계 그라프트 중합체(A)는 아크릴계 합성고무 20∼60 중량부(고형분 기준)에 시안화비닐 화합물과 방향족비닐 화합물의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통상의 유화 그라프트 중합방법에 의하여 제조한다.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과 방향족비닐 화합물의 단량체 혼합물은 20∼30 중량%의 시안화비닐 화합물과 80∼70 중량%의 방향족비닐 화합물이 사용되는데 아크릴계 합성고무에 그라프트되어 있는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전체 아크릴계 그라프트 중합체(A)에 대하여 40∼7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그라프트 중합체(A)를 제조하기 위한 아크릴계 합성고무는 탄소수 2∼8개의 알킬아크릴레이트로부터 합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합성고무 입자의 평균입경은 0.05∼0.5 ㎛의 범위가 가능하며, 0.1∼0.3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그라프트 중합체(A)를 제조하기 위한 시안화비닐 화합물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그라프트 중합체(A)를 제조하기 위한 방향족비닐 화합물로는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p-t-부틸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B) 디엔계 그라프트 중합체
본 발명의 디엔계 그라프트 중합체(B)는 디엔계 합성고무 20∼60 중량부(고형분 기준)에 시안화비닐 화합물과 방향족비닐 화합물의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통상의 유화 그라프트 중합방법에 의하여 제조한다.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과 방향족비닐 화합물의 단량체 혼합물은 20∼30 중량%의 시안화비닐 화합물과 80∼70 중량%의 방향족비닐 화합물로 이루어지며, 디엔계 합성고무에 그라프트되어 있는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전체 디엔계 그라프트 중합체(B)에 대하여 40∼7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엔계 그라프트 중합체(B)를 제조하기 위한 디엔계 합성고무는 폴리부 타디엔, 폴리이소프렌, 폴리클로로프렌, 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폴리부타디엔, 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디엔계 합성고무 입자의 평균입경은 0.1∼0.6 ㎛인 범위가 바람직하며, 0.2∼0.5 ㎛인 범위가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디엔계 그라프트 중합체(B)를 제조하기 위한 시안화비닐 화합물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디엔계 그라프트 중합체(B)를 제조하기 위한 방향족비닐 화합물로는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p-t-부틸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C)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본 발명의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C)는 시안화비닐 화합물 20∼40 중량부와 방향족비닐 화합물 80∼60 중량부를 사용하여 통상의 중합방법으로 제조되며,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400,000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C)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 보다 낮을 경우, 유동성은 증가하나 인장강도, 충격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이 충분하지 못하고, 400,000 보다 높을 경우, 유동성이 낮아 성형품을 가공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C)를 구성하는 시 안화비닐 화합물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단독 혹은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족비닐 화합물로는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p-t-부틸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등의 단독 혹은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과 N-페닐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말레이드, 무수말레인산 등이 공중합될 수 있으며 제조방법으로는 유화중합법, 현탁중합법, 용액중합법, 괴상중합법 등이 적용 가능하다.
(D)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본 발명의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D)는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화합물 40∼80중량부와 방향족비닐 화합물 10∼30중량부의 혼합물을 공중합시킨 후, 여기에 시안화비닐 화합물 0∼50중량부를 투입, 공중합하여 제조한다.
상기 공중합체(D)를 구성하는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화합물로는 탄소수 1∼10개의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즉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사용되며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중합체(D)를 구성하는 시안화비닐 화합물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단독 혹은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방향족비닐 화합물로는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p-t-부틸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등의 단독 혹은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전체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A)+(B) : (C)+(D)의 중량비는 60 : 40 내지 20 : 8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A)+(B)의 중량이 전체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6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유동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20 중량부 보다 적은 경우, 충격강도가 저하되어 실용적이지 못하다. 또한, (A) : (B)의 중량비는 90 : 10 내지 50 : 5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A)의 중량비가 90 보다 큰 경우, 충격강도가 저하되어 실용적이지 못하고, (A)의 중량비가 50 보다 작은 경우, 내후성이 충분하지 않아 내후 수지로서의 가치가 떨어진다. 또한, (C) : (D)의 중량비는 70 : 30 내지 0 : 100의 범위가 바람직한데, (D)의 중량비가 30 보다 작은 경우 착색성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각각의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특정한 산화방지제, 활제, 충격보강제, 광안정제, 충진제, 무기물 첨가제, 안료 및/또는 염료 등을 더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 사용된 (A) 아크릴계 그라프트 중합체, (B) 디엔계 그라프트 중합체, (C)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및 (D)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아크릴계 그라프트 중합체
부틸아크릴레이트 고무 50 중량부에 아크릴로니트릴 25 중량%과 스티렌 75 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를 그라프트 유화중합한 고무입경이 약 0.2 ㎛인 코어-쉘 형태의 그라프트 ASA 수지를 사용하였다.
(B) 디엔계 그라프트 중합체
부타디엔 고무 58 중량부에 아크릴로니트릴 225 중량%과 스티렌 75 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를 그라프트 유화중합한 고무입경이 약 0.3 ㎛인 코어-쉘 형태의 그라프트 ABS 수지를 사용하였다.
(C)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28 중량%, 스티렌 함량이 72 중량%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120,000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수지(이하, 'SAN 수지'라 함)를 사용하였다.
(D)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스티렌 함량이 20 중량%,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75 중량%, 아크릴로니트릴 5 중량%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100,000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수지(이하, 'M-SAN 공중합체 수지'라 함)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3
상기 각 구성성분에 산화방지제로 옥타딜-3-(4-하이드록시-3,5-디-터트-부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0.1 중량부, 활제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3 중량부, 충격보강제로 디메틸폴리실록산 0.02 중량부, 안료로 카본블랙 0.5 중량부를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함량으로 첨가한 후 용융, 혼련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상기 압출은 L/D=29, 직경 45㎜인 이축압출기를 사용하였으며 실린더 온도는 220 ℃로 설정하였다. 제조된 펠렛으로 물성시편을 사출성형하여 물성을 측정하였고 10 cm × 10 cm × 0.3 cm 크기의 시편을 사용하여 착색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실시예 1
그라프트 ABS 수지(B)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대신에 그라프트 ASA 수지 (A)를 40 중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실시예 2
M-SAN 공중합체 수지(D)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대신에 SAN 수지(C)를 60 중 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실시예 3
그라프트 ASA 수지(A)와 SAN 수지(C)의 함량을 각각 12 중량부와 43 중량부로 하여 그라프트 ASA 수지(A) 와 그라프트 ABS 수지(B)의 합과 SAN 수지(C)와 M-SAN 공중합체 수지(D)의 합의 중량비인 (A)+(B) : (C)+(D)의 비율이 60 : 40 내지 20 : 80의 범위를 벗어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편을 제조하였다.
(A) 그라프트 ASA 수지 (B) 그라프트 ABS 수지 (C) SAN 수지 (D) M-SAN 공중합체 수지
실시예 1 35 5 20 40
2 35 5 - 60
3 30 10 20 40
비교 실시예 1 40 - 20 40
2 35 5 60 -
3 12 5 43 40
상기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1)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는 ASTM D256 (1/4", 23 ℃)에 따라 측정하였다.
(2) 유동지수는 ISO 1133 (10 ㎏, 220 ℃)에 따라 측정하였다.
(3) 착색성은 육안으로 평가하여 상, 중, 하로 구분하였다.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1/4″) (kgf·cm/cm) 유동 지수 (g/10 min) 착색성
실시예 1 15 12
2 13 12
3 18 9
비교 실시예 1 8 11
2 16 11
3 7 18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그라프트 ABS 수지(B)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비교실시예 1의 경우는 충격강도가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M-SAN 공중합체 수지(D)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비교실시예2의 경우는 육안으로 보기에 흑색도가 현저히 떨어져 착색성이 좋지 않게 나타났다. 또한, 그라프트 ASA 수지(A)의 함량이 낮은 비교실시예 3의 경우 착색성은 우수하고 유동지수는 상승하였으나 충격강도가 매우 낮게 나타났다.
본 발명은 아크릴계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제조시 아크릴계 그라프트 중합체와 매트릭스 중합체를 혼합하여 사용함에 있어 매트릭스 중합체의 일부를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로 대체하여 사용함으로써, 그라프트 중합체와 매트릭스 간의 굴절율 차이를 줄여 투 명도를 향상시켜 착색성을 개선하고 여기에 적정량의 디엔계 그라프트 중합체를 첨가함으로써 만족할만한 충격강도를 보유한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5)

  1. (A) 아크릴계 합성고무 20∼60 중량부에 시안화비닐 화합물 20∼30 중량%와 방향족비닐 화합물 80∼70 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를 유화 그라프트 중합방법에 의해 중합한 아크릴계 그라프트 중합체;
    (B) 디엔계 합성고무 20∼60 중량부에 시안화비닐 화합물 20∼30 중량%와 방향족비닐 화합물 80∼70 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를 유화 그라프트 중합방법에 의해 중합한 디엔계 그라프트 중합체;
    (C) 시안화비닐 화합물 20∼40 중량부와 방향족비닐 화합물 80∼60 중량부를 공중합시킨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400,000 인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및
    (D)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화합물 40∼80 중량부와 방향족비닐 화합물 10∼30 중량부의 혼합물을 공중합시킨 후 여기에 시안화비닐 화합물 0∼50 중량부를 투입하여 공중합한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를 포함하는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로서, (A)+(B) : (C)+(D)의 중량비는 60 : 40 내지 20 : 80의 범위이고, (A) : (B)의 중량비는 90 : 10 내지 50 : 50의 범위이며, (C) : (D)의 중량비는 70 : 30 내지 0 : 10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합성고무는 평균 입경이 0.05∼0.5 ㎛이며, 탄소수 2∼8개의 알킬아크릴레이트로부터 합성된 것이고; 상기 디엔계 합성고무는 평균 입경이 0.1∼0.6 ㎛이며,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폴리클로로프렌, 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방향족비닐 화합물은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p-t-부틸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그리고 상기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화합물은 탄소수 1∼10개의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합성고무에 그라프트되어 있는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의 함량은 전체 아크릴계 그라프트 중합체에 대하여 40∼70 중량%이고 상기 디엔계 합성고무에 그라프트되어 있는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의 함량은 전체 디엔계 그라프트 중합체에 대하여 40∼7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조성물은 산화방지제, 활제, 충격보강제, 광안정제, 충진제, 무기물 첨가제, 안료 및/또는 염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5. 삭제
KR1020030096404A 2003-12-24 2003-12-24 착색성이 향상된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0602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6404A KR100602848B1 (ko) 2003-12-24 2003-12-24 착색성이 향상된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6404A KR100602848B1 (ko) 2003-12-24 2003-12-24 착색성이 향상된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4806A KR20050064806A (ko) 2005-06-29
KR100602848B1 true KR100602848B1 (ko) 2006-07-19

Family

ID=37256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6404A KR100602848B1 (ko) 2003-12-24 2003-12-24 착색성이 향상된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28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054B1 (ko) * 2014-03-18 2014-10-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11499046B2 (en) 2018-11-13 2022-11-15 Lg Chem,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335B1 (ko) * 2007-06-22 2009-02-02 제일모직주식회사 내후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943961B1 (ko) * 2008-05-16 2010-02-26 제일모직주식회사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466151B1 (ko) 2010-12-31 2014-11-27 제일모직 주식회사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054B1 (ko) * 2014-03-18 2014-10-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11499046B2 (en) 2018-11-13 2022-11-15 Lg Chem,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4806A (ko) 200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010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DE102013226723B4 (de) Thermoplastische Harzzusammensetzung und diese verwendender Formgegenstand
KR10192674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KR100771355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708986B1 (ko) 다층구조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67675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성형품
KR101182453B1 (ko) 내스크래치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25974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
JP4740863B2 (ja) Asa型樹脂の製造方法、asa型樹脂、及び、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KR101040827B1 (ko) 무광택 그라프트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962175B1 (ko) 내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702166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23250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0983872B1 (ko) 고광택, 고경도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07243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884972B1 (ko) 무광 및 유광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10079011A (ko) 내충격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602848B1 (ko) 착색성이 향상된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170216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EP2463337A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10176098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89566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20120079861A (ko) 무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950708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성형품
KR20210112175A (ko) 착색성이 향상된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