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2615B1 - 자동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 - Google Patents

자동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2615B1
KR100602615B1 KR1020040055507A KR20040055507A KR100602615B1 KR 100602615 B1 KR100602615 B1 KR 100602615B1 KR 1020040055507 A KR1020040055507 A KR 1020040055507A KR 20040055507 A KR20040055507 A KR 20040055507A KR 100602615 B1 KR100602615 B1 KR 100602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power
guide post
clam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5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3602A (ko
Inventor
손병옥
박지운
Original Assignee
손병옥
박지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병옥, 박지운 filed Critical 손병옥
Priority to KR1020040055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2615B1/ko
Publication of KR20050043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3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16Adjustable mountings using wires or co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16Fixing lighting devices to arms or stand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15Adjustabl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for power operation, e.g. by 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21V21/38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with a c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21V23/023Power supplies in a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05Outdoor lighting of working places, building sit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곳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등을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승하강시키는 자동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등을 본체에서 분리한 후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하강시켜 지상에서 정비하고 이를 다시 상승시켜 본체에 결합할 때 그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조명등이 본체에 결합되는 조명등결합부가 가이드포스트와 가이드부싱으로 구성되고, 본체에 결합된 가이드포스트의 단차진 저면을 지지하는 클램프가 구비되어 본체와 전등부의 결합을 견고하게 한 자동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조명등이 결합된 가이드포스트의 단차진 면을 클램프에 의해 지지하여 본체에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고,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클램프를 간단하게 상기 가이드포스트에서 이탈시킴으로써, 가이드포스트의 본체에의 결합을 견고하게 함과 더불어 그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조명등, 와이어, 권취릴, 가이드포스트, 가이드부싱, 가로등.

Description

자동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ILLUMINATOR HAVING AUTOMATIC ASCENDING AND DESCEND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의 본체 내부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의 본체 상부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의 본체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본체에 조명등이 결합된 결합 실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본체에 안정기와 조명등이 결합된 실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라 가로등의 승하강 상태를 나타내는 실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 110 - 고정결합부
120 - 하우징 200 - 승하강구동부
210 - 구동모터 220 - 동력전달수단
221 - 회전축 230 - 권취릴
240 - 와이어 250 - 파워커넥터
300 - 조명등결합부 310 - 가이드부싱
320 - 전원공급부 321 - + 단자
322 - - 단자 400 - 조명등부
410 - 가이드포스트 420 - 원형전극판
430 - 조명등 500 - 클램프부
510 - 캠 520 - 캐치
521 - 가압면 530 - 암대
531 - 가이드홈 532 - 지지축
540 - 로커암대 550 - 클램프
600 - 승하강조절부 610 - 조절수단
620 - 수신부
본 발명은 높은 곳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등을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승하강시키는 자동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등을 조명등결합부에서 분리한 후 하강시켜 지상에서 정비하고 이를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상승시켜 조명등결합부에 결합할 때 그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조명등결합부가 가이드포스트와 가이드부싱으로 구성되고, 가이드부싱에 결합된 가이드포스트의 단차진 저면을 지지하는 클램프가 구비되어 결합을 견고하게 한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체육관 또는 가로등과 같이 높은 곳에 설치되는 조명등은 그 수명이 일정시간으로 제한되어 있어 전구의 교체가 주기적으로 요청되고, 또한 보다 밝은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빈번한 청소가 요구되는 등 주기적인 정비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와 같이 높은 곳에 설치된 조명등을 정비하기 위해 종래에는 사람이 탈 수 있는 바스켓 등이 구비된 크레인이나 사다리차를 이용하여, 정비하는 사람을 조명등이 있는 높은 위치까지 이동시켜서 정비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크레인이나 사다리차를 이용한 종래의 조명등 정비는 다수의 인원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높은 위치에서 정비가 이루어지므로 정비하는 사람의 부상위험이 항상 존재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거리에 설치되어 있는 가로등의 경우 그 정비를 위해서 크레인이나 사다리차가 하나의 차선을 점거하고 이루어지므로 교통체증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그에 따라 가로등의 청소 및 정비가 자주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조명등을 착탈가능한 구조로 구성한 후, 조명등의 상부에 와이어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와이어의 타단을 구동모터에 연결된 권취릴에 연결하여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서 조명등을 승하강시켜 지상으로 내린 후 정비하는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이 소개되었다.
이런 근래의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은 높은 곳에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 분리되는 조명등과, 상기 조명등에 연결되어 조명등을 승하강시키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 수 있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데, 본체와 조명등의 결합부분을 단순히 소켓형식으로 구성하고 와이어를 구동수단에 단단히 고정시켜서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조명등이 지지되도록 하여 본체와 조명등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5579호에 개시된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가로등의 경우, 본체에서 조명등으로의 전원공급을 위해 전원공급선을 조명등에 직접 연결하고 승하강와이어와 함께 승하강시키는 내용이 소개되었으나, 전원공급선의 잦은 이동은 단선의 발생가능성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가로등 뿐 아니라 공장이나 체육관의 높은 곳에 설치되는 조명등을 지상으로 하강시켜 안전하고 용이하게 정비하도록, 높은 곳에 고정된 본체와 조명등 사이에 조명등을 본체에 결합하고 여기에서 분리하여 승하강시키도록 가이드포스트와 가이드부싱으로 이루어진 조명등결합부가 형성된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와 조명등의 결합이 견고하게 되도록, 조명등이 결합된 가이드포스트가 가이드부싱에 삽입되고 가이드포스트의 상부가 단차지게 형성되며, 가이드부싱 측면에 설치된 클램프의 말단 윗면이 상기 가이드부싱에 결합된 가이드포스트의 단차진 면을 지지하여 가이드포스트와 조명등이 중력에 의해 아래로 하강되지 않도록 한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명등에 전원공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조명등결합부에 전원공급부가 형성되고 와이어의 감김과 풀림에 의해 승하강하는 가이드포스트 측면에 원형고리 형태의 전극이 형성되어, 승하강시 가이드포스트가 바람 등의 외력이나 와이어의 꼬임에 의해 회전되어도 전원공급부에 정확히 접촉하여 조명등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장이나 체육관 또는 가로등과 같이 높은 곳에 고정된 본체에 연결된 조명등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우징내에 설치되며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동력전달수단에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권취릴과, 상기 권취릴의 중심축에 연결된 와이어로 구성된 승하강구동부와; 상기 승하강구동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가 통공되고 그 하단의 내주면이 사선으로 넓게 형성되고 일 측이 통공된 가이드부싱과, 상기 가이드부싱의 타 측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조명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로 구성된 조명등결합부와; 상기 가이드부싱에 삽입되며 상부가 단차지게 형성되고 일단에 와이어가 연결된 가이드포스트와, 상기 전원공급부에 접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전극판과, 상기 전극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조명등으로 이루어진 조명등부와; 상기 가이드부싱 상부 일 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가이드부싱 측면의 통공된 곳에 삽입되어 가이드포스트의 단차진 저면을 지지하며 상기 구 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상기 고정된 부위를 중심으로 이동하는 클램프부; 및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조절수단과, 상기 조절수단으로부터 조절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로 이루어진 승하강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가이드포스트의 단차진 곳 상부는 테이퍼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차진 곳의 하부는 상기 클램프 말단의 지지면이 상기 가이드포스트의 단차진 저면을 지지하도록 일정길이 좁게 형성된 후 상기 가이드부싱 내주면에 접하도록 다시 원래의 가이드포스트 지름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클램프부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외주면에 돌기가 형성된 캠과, 상기 캠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돌기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가압면이 형성된 캐치와, 상기 캐치에 일단이 연결되고 가이드홈에 설치된 지지축을 중심으로 가이드홈 상에서 전후 이동하는 판상구조의 암대와, 상기 암대에 일단이 연결되고 그 타단이 클램프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암대의 이동에 의해 클램프를 회전시키는 로커암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클램프가 대략‘┓’형상의 하단이 사선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그 경사진 클램프 말단의 윗면이 상기 가이드포스트의 단차진 면을 지지하도록 평평하게 형성되고, 그 저면은 테이퍼형상의 가이드포스트 상부와의 접촉시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경사지게 사선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전원공급부는 ‘+’단자와‘-’단자가 안전판에 의해 분리되어 상기 가이드부싱 일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각 단자에 토션스프 링이 연결되며, 상기 토션스프링 하단에 접하는 전극판은 상기 가이드포스트 주위를 둘러싸는 2개의 원형고리로 이루어진 원형전극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토션스프링 하단에 원형고리가 각각 접하도록 원형전극판의 위치가 설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승하강조절부는 조절버튼이 형성된 리모콘과 상기 리모콘에서 입력되는 조절신호를 상기 승하강구동부로 전송하도록 잭이 구비된 커넥터와 상기 리모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선이 구비된 조절수단과, 상기 커넥터에 구비된 잭이 결합되는 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승하강구동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승하강조절부는 조절버튼이 형성된 리모콘과 상기 조절버튼에서 입력되는 조절신호를 발생시키는 적외선발생포트와 상기 리모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선으로 구성된 조절수단과, 상기 적외선발생포트에서 발생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수신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승하강구동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의 본체 내부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은 공장이나 체육관 등의 높은 곳에 결합 고정되어 있는 본체(100)와, 조명등을 승하강시키는 동력이 발생되는 승하강구동부(200)와, 상기 승하강구동부(2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조명등이 착탈 가능하게 하는 결합수단이 구비된 조명등결합부(300)와, 상기 조명등결합부(300)에 의해 상기 본체(100)에 결합되 는 조명등부(400)와, 상기 조명등결합부(300)의 측면에 설치되어 조명등의 결합상태를 안정되게 하는 클램프부(500)와, 상기 조명등의 승하강을 조절하는 승하강조절부(60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공장이나 체육관 또는 가로등의 상부지지대와 같이 높은 곳에 일측이 결합되고 그 타측이 하우징(120)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결합부(110)와, 상기 고정결합부(110) 하단에 연결되고 내부에 조명등결합부 등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하강구동부(200)는 상기 하우징(120) 내의 공간에 설치되며,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210)와, 상기 구동모터(210)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220)과, 상기 동력전달수단(220)으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권취릴(230)과, 상기 권취릴(230)의 회전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240)와, 다수의 전원접점이 형성된 파워커넥터(250)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2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20) 후면에 설치되고 구동모터가 구동되기 위한 전원을 공급받도록 일단이 상기 파워커넥터(250)에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파워커넥터(2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후술하는 승하강조절부(600)에서 인가되는 조절수단(610)의 상승, 하강, 및 정지신호에 의해 정회전과 역회전 및 정지하게 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220)은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권취릴과 클램프부로 전달하도록, 일측이 상기 구동모터(21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권취 릴(230)과 클램프부의 캠에 연결된 회전축(221)인 샤프트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수단(220)은 동력원인 상기 구동모터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권취릴 및 캠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쓰이는 장치로서, 기계식으로 구성되어 기기를 이용한 기어전동장치, 벨트체인을 이용한 벨트전동장치, 또는 발전기를 돌려 발생한 전류를 전동기로 보내 동력을 전달하는 전기식 전동장치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전달수단(220)은 제작비용이 저렴하면서도 동력전달이 용이한 기어전동장치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나사모양의 웜과 원통형의 웜휠로 이루어진 웜기어로 구성된다.
상기 권취릴(230)은 상기 구동모터(210)의 동작에 의해 정방향이나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그 중심축이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권취릴(230)이 회전되면서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상기 중심축에 와이어(240)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240)는 상기 권취릴(230)의 중심축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정되고, 그 타단이 후술하는 조명등부의 가이드포스트(410) 상부에 연결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240)는 상기 구동모터(210)의 동작에 의해 상기 권취릴(230)의 중심축에 감기거나 풀리고, 그에 따라 조명등부(400)가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된다.
상기 파워커넥터(250)는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와 같이 그 동작을 위해 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 록 다수의 커넥터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조명등결합부(300)는 상기 승하강구동부(200)의 하부에 설치되며, 후술하는 조명등부의 상부에 결합된 가이드포스트(410)가 삽입되도록 내부가 통공되고 일 측면이 통공된 통형상의 가이드부싱(310)과, 상기 가이드부싱(310)의 타 측에 형성되어 조명등(4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20)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싱(310)은 후술하는 테이퍼형상의 가이드포스트(410) 상부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내부가 통공되고 그 하단의 내주면이 사선으로 넓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싱(310)의 일 측면은 상기 클램프(550)의 하단이 출입할 수 있도록 통공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공급부(320)는 조명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곳으로 ‘+’단자(321)와 ‘-’단자(322)가 안전판에 의해 분리되어 상기 가이드부싱(310)의 일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각 단자에는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 이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토션스프링은 상부가 막힌 수납홈에 설치되어 토션스프링의 일단이 상기 수납홈의 상부면에 의해 지지되고 그 타단은 후술하는 원형전극판(420)에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토션스프링 중 원형전극판에 접하는 부분의 하단에 전극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토션스프링 하단의 전극부와 원형전극판의 접점부위 접촉시, 토션스프링에 저장된 탄성에너지에 의한 복원력이 지속적으로 원형전극판으로 가해져서 그 접점부위가 견고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단자(321)와 ‘-’단자(322) 사이에 접점이 이루어질 때 발 생하는 아크에 의한 전원공급부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안전판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명등부(400)는 상기 조명등결합부(300)에 결합되는 가이드포스트(410)와, 상기 가이드포스트(410)의 하단 주위를 둘러싸며 형성된 2개의 원형고리로 이루어진 원형전극판(420)과, 전원의 공급에 의해 빛을 발산하는 조명등(430)과, 상기 조명등에서 발산되는 빛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반사판으로 구성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포스트 하부와 조명등의 상부 사이에 조명등을 안정시키는 안정기를 안정기 케이스에 삽입하여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가이드포스트(410)는 상기 가이드부싱(3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는 바로서 상기 클램프(550)의 말단에 걸리도록 단차지게 형성되고, 단차진 곳의 상부는 위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진 테이퍼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차진 곳의 하부는 상기 클램프(550) 말단이 상기 단차진 가이드포스트(410) 저면을 용이하게 지지하도록 단차져서 좁아진 형태로 일정길이 형성된 후 다시 원래 가이드포스트(410)의 지름으로 형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싱(310) 내에 상기 가이드포스트(410)의 외주면이 견고하게 결합 지지되어 바람등의 외력에 의해 조명등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포스트(410) 상부에는 와이어(240)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240) 타단이 상기 승하강구동부에 구비된 권취릴(230)의 중심축에 연결된 다.
상기 원형전극판(420)은 상기 가이드포스트의 하단 주위를 둘러싸는 도넛형태로 형성된 두 개의 원형고리로 구성되고 전류가 흐를 수 있는 동판 등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명등결합부의 전원공급부를 구성하는 ‘+’단자(312)와 ‘-’단자(322)의 토션스프링 하단에 원형고리가 각각 접하도록 그 위치가 설정된다.
또한, 상기 원형전극판(420)의 하단에는 조명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공급선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포스트(410) 하단에 연결된 조명등(43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전극판을 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조명등부(400)가 상기 조명등결합부(300)에서 분리된 후 다시 결합되기 위해 상승할 때에 바람 등의 외력이나 와이어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어도 상기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전극에 용이하게 접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토션스프링 하단과 원형전극판이 이루는 거리를 이완된 상태에서의 토션스프링 길이보다 짧게 구성하여 상기 토션스프링과 원형전극판의 접점시 토션스프링 내에 탄성에너지가 축적되고, 이러한 탄성에너지에 의한 복원력이 지속적으로 원형전극판에 가해져서 그 접점의 접촉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명등(430)과 반사판은 상기 가이드포스트(410)와 원형전극판(420)의 하단에 설치되어 와이어(240)의 감김과 풀림에 의해 상기 가이드포스트와 함께 승하강하게 된다.
상기 클램프부(500)는 상기 구동모터(210)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캠(510)과, 상기 캠의 동작에 의해 이동하는 캐치(520)와, 상기 캐치(520)에 연결되어 왕복운동하는 암대(530)와, 상기 암대(530) 일단에 연결된 로커암대(540)와, 상기 로커암대(540)에 연결된 클램프(550)로 구성된다.
상기 캠(510)은 회전운동을 왕복운동 또는 진동으로 바꾸어주도록 일정한 형태나 홈이 형성된 장치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외주면에 서로 직각을 이루는 4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캠(510)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동력전달수단(220)에 연결된 회전축(221)에 연결된다.
상기 캐치(520)는 상기 캠(510)의 하부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캠(510)의 회전시 외부 돌기에 걸려서 상기 돌기의 회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캠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캠(510)의 돌기에 캐치의 가압면(521)이 접하게 되어 돌기의 회전방향인 후방으로 밀리고, 상기 캠이 정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캠(510)의 돌기에 캐치(520)의 상부면이 눌리면서 이동하지 않게 된다.
상기 암대(530)는 상기 캐치(520)에 일단이 연결되고 그 타단이 로커암대(540)에 연결되며 중앙부분이 층지게 절곡된 판상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캐치(520)의 연결부분 전단과 상기 로커암대(540)의 연결부분 후단에 상기 암대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축(532)이 설치되는 가이드홈(531)이 일정길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532)을 중심으로 상기 암대가 전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의 회전시 외부돌기에 의해 상기 캐치 가 캠의 역회전방향(A방향)으로 이동하면, 그에 따라 상기 암대(530)가 가이드홈(531)을 따라 뒤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로커암대(540)는 일단이 상기 암대(530)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클램프(55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로커암대는 상기 암대와 상기 클램프를 연결하여 상기 암대의 수평운동에 의해 클램프(550)를 상기 가이드부싱(310)에 고정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그에 따라 상기 클램프(550)는 상기 가이드포스트(410)의 저면에서 이탈되고 가이드포스트(410)가 가이드부싱(310)에서 분리된다.
상기 클램프(550)는 상기 가이드부싱(310) 상부 일 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클램프가 가이드부싱에 고정된 부분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로커암대(540)의 일단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클램프(550)는 대략 ‘┓’형상의 하단이 사선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그 경사진 클램프(550) 말단의 윗면은 상기 가이드포스트의 단차진 면을 지지하도록 평평하게 형성되고, 그 저면은 테이퍼형상의 가이드포스트 상부와의 접촉시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경사지게 사선으로 형성된다.
상기 승하강조절부(6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모터(2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조절수단(610)과, 상기 조절수단(610)으로부터 조절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620)로 구성된다.
상기 승하강조절부(600)가 유선으로 구성될 경우, 상기 조절수단(610)은 조절버튼이 형성된 리모콘과, 상기 리모콘에서 입력되는 조절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승하강구동부(200)로 전송하도록 잭이 구비된 커넥터와, 상기 리모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일단이 자동차의 전원용 시거잭에 연결되는 전원공급선이 구비된다. 상기 리모콘에 별도의 건전지를 삽입하여 리모콘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리모콘에는 상기 승하강구동부의 구동모터를 정회전시키는 하강버튼과, 구동모터를 역회전시키는 상승버튼, 및 구동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정지버튼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신부(620)는 조명등을 정비하는 정비자의 손이 닿을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되며, 상기 조절수단의 커넥터부에 구비된 잭이 결합되는 포트가 형성되고, 그 포트에서 상기 승하강구동부(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조명등이 가로등인 경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등의 지지대 하단에 설치되고, 공장이나 체육관에 설치된 다수의 조명등인 경우에는 다수의 조명등에 각각 연결된 수신부(620)가 정비소나 관리실과 같은 장소에 집합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정비자가 상기 리모콘의 잭을 상기 수신부(620)의 포트에 결합하고 리모콘에 구비된 조절버튼을 조작하면 그 신호가 상기 구동모터(210)에 전송되어 동작이 조절된다.
또한, 상기 승하강조절부(600)가 무선으로 구성될 경우, 상기 조절수단(610)은 조절버튼이 형성된 리모콘과, 상기 조절버튼에서 입력되는 조절신호를 발생시키는 적외선발생포트와, 상기 리모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일단이 자동차의 전원용 시거잭에 연결되는 전원공급선이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리모콘에 별도의 건전지 를 삽입하여 리모콘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수신부(620)는 정비자의 손이 닿을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리모콘의 적외선발생포트에서 발생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수신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적외선수신포트에서 상기 승하강구동부(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모콘에는 상기 유선으로 승하강조절부를 형성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강버튼, 상승버튼 및 정지버튼이 형성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의 작용을 설명한다.
공장이나 체육관 등의 천정에 설치된 고정지지대나 가로등의 지지대와 같이 사용자가 쉽게 닿을 수 없는 높은 곳에 고정된 본체에 결합되어 있는 조명등을 아래로 하강시켜 전구교체나 청소 등의 정비를 한 후, 다시 원래의 위치로 상승시키는 것을 설명한다.
승하강조절부(600)가 유선의 조절수단(610)으로 구성된 경우, 사용자가 승하강조절부의 조절수단(610)에 구비된 전원공급선을 자동차의 전원용 시거잭에 연결하거나 건전지를 삽입하여 리모콘에 전원을 공급시키고, 커넥터의 잭을 수신부(620)의 포트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리모콘에 구비된 조절버튼 중 하강버튼을 선택하여 누르면, 구동모터의 역회전 신호가 상기 수신부(620)의 포트를 통하여 높은 곳에 설치 고정되어 있는 승하강구동부(200)로 전송된다.
상기 역회전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가 역회전하고 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된 동력이 동력전달수단(220)을 통하여 회전축(221)인 샤프트에 전달된다.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샤프트 일단에 연결된 캠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캠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가 캐치의 가압면(521)을 가압하여 캐치(520)를 상기 돌기의 회전방향인 후방으로 밀게 된다.
상기 캐치의 밀림에 따라 상기 캐치에 연결된 암대가 지지축(532)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암대(530) 일단에 연결된 로커암대(540)를 잡아당긴다. 그에 따라 상기 로커암대(540)의 타단에 연결된 클램프가 가이드부싱에 고정된 곳을 축으로 하여 상기 로커암대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클램프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포스트의 단차진 저면을 지지하던 상기 클램프(550)의 말단면이 상기 가이드포스트(410)에서 이탈되고 가이드포스트는 중력에 의해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클램프(550)가 이탈되면 전원공급부의 전원단자에 연결된 토션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포스트가 중력방향과 동일한 아래 방향으로 밀려난다.
그리고, 상기 리모콘에서 입력되는 추가적인 조절신호가 없을 경우 하강신호에 의한 상기 구동모터의 역회전 상태가 지속되면서,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된 동력이 동력전달수단(220)을 통하여 회전축(221)인 샤프트에 전달된다.
상기 샤프트의 역회전에 의해 상기 샤프트에 연결된 권취릴의 중심축이 역회전하면서 상기 권취릴(230)에 감겨있던 와이어(240)가 풀리게 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연결된 캠(510)은 상기 샤프트와 함께 역회전방향(A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캠의 돌기가 상기 캐치의 가압면(521)을 지속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암대 및 클램프(550)가 소정거리를 반복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암대 및 클램프(550)의 이동은 상기 가이드포스트(410)가 상기 가이드부싱(310)에서 분리된 후의 이동이므로 조명등의 하강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상기 조명등이 정비자가 전구 교체나 청소 등을 하기 용이한 위치까지 하강하면 상기 리모콘에 구비된 조절버튼 중 정지버튼을 눌러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멈춘다.
이후 정비자가 상기 조명등의 전구 교체나 청소 등의 정비를 마친 후 상기 리모콘에 구비된 조절버튼 중 상승버튼을 누르면 상기 구동모터(210)의 정회전 신호가 상기 수신부(620)의 포트를 통하여 상기 승하강구동부(200)로 전송된다.
상기 정회전 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가 정회전하고 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된 동력이 동력전달수단(220)을 통하여 회전축(221)인 샤프트에 전달된다.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샤프트 일단에 연결된 캠이 정회전방향(B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캠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가 캐치의 상부면을 가압하는데, 이에 의해 상기 캐치(520)는 아래로 밀렸다가 다시 상승하면서 상하이동만을 하게 되어, 암대 및 클램프는 이동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의 정회전 상태가 지속되면서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된 동력이 동력전달수단(220) 및 샤프트를 통하여 권취릴(230)에 전달되어 상기 샤프트에 연결된 권취릴의 중심축이 정회전하게 된다. 상기 샤프트의 정회전에 의해 상기 권취릴(230)에 와이어(240)가 감기면서 조명등(430)이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210)의 정회전에 의해 상기 권취릴에 와이어가 감기면서 상기 조명등부(400)가 상승하여 상기 조명등결합부의 가이드부싱(310) 저면에 이른다.
이때, 상기 조명등부에 있는 가이드포스트(410) 상부의 테이퍼형상의 경사진 면이 사선으로 형성된 상기 가이드부싱(310) 내주면의 하단에 접하게 되어 상기 가이드포스트(410)가 가이드부싱(310)내로 용이하게 삽입된다.
이때, 상기 클램프(550)는 상기 암대가 이동되지 않아 상기 가이드부싱(310) 측면에 통공된 구멍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포스트(410)가 상기 가이드부싱(310)내에 삽입된 후 상기 가이드포스트의 테이퍼진 상부면이 상기 클램프(550)의 경사지게 형성된 클램프(550) 하부면에 접하면서 이를 밀면서 삽입된다.
그에 따라 상기 클램프는 외부로 일정거리 밀린 후, 상기 클램프를 상기 가이드부싱에 고정시키려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가이드부싱(310)내로 삽입되어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포스트가 가이드부싱 내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조명등부의 원형전극판(420)이 상기 전원공급부의 토션스프링에 접하면서 이를 가압하여 토션스프링내에 탄성에너지를 축적하게 되고 조명등(430)에 전원이 공급된다.
이 후, 상기 가이드포스트(410)가 상기 가이드부싱(310)내에 완전히 결합되면 상기 가이드포스트의 단차진 면이 상기 클램프 말단의 평평한 면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가이드포스트의 외주면이 상기 가이드부싱(310)의 내주면에 의해 지지되 어 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승하강조절부(600)가 무선으로 구성된 경우, 사용자가 전원공급선 또는 건전지를 이용하여 조절수단(610)의 리모콘에 전원을 공급시킨다.
그리고, 상기 리모콘에 구비된 조절버튼의 하강버튼을 선택하여 누르면 적외선발생포트에서 적외선을 발생시켜 외부로 전송하고, 이 적외선 신호를 수신부(620)에 형성된 적외선수신포트에서 수신하여 승하강구동부에 하강신호에 의한 구동모터의 역회전 신호를 전송한다.
이 후, 상기 승하강조절부가 유선으로 구성된 경우와 동일하게 가이드부싱에서 가이드포스트(410)가 분리되어 조명등부(400)가 하강하게 되고, 사용자가 상기 리모콘의 조절버튼에서 선택한 정지신호에 의해 정지하고, 상승신호에 의해 상승하게 된다.
도 6a 및 도 6b에서는 가로등의 경우만을 도시하였으나, 공장이나 체육관과 같이 넓은 공간에 다수의 조명등이 높이 설치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 경우 다수의 조명등을 전체적으로 승하강시키거나 선택적으로 승하강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나 도면에 기재된 내용에 그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특유한 효과는, 높은 곳에 고정된 본체에 연결된 조명등결합부의 가이드부싱에 조명등이 하부에 연결된 가이드포스트가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포스트에 연결된 와이어를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감거나 풀어서 조명등을 승하강시킴으로써, 공장이나 체육관 또는 가로등과 같이 높은 곳에 설치된 조명등을 지상으로 하강시켜 안전하고 용이하게 정비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조명등이 결합된 가이드포스트의 단차진 면을 클램프에 의해 지지하여 본체부에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고,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지상에서의 간단한 조작으로 클램프를 가이드포스트에서 이탈시킴으로써, 가이드포스트의 본체부에의 결합을 견고하게 함과 더불어 그 분리가 용이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조명등에 전원이 공급되는 전극을 높은 곳에 고정된 조명등결합부와 상하이동되는 조명등부에 각각 설치하고, 조명등부에 설치된 전극을 원형고리로 형성하여 승하강시 조명등부가 회전되어도 정확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Claims (7)

  1. 공장이나 체육관 또는 가로등과 같이 높은 곳에 고정된 본체에 연결된 조명등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우징내에 설치되며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동력전달수단에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권취릴과, 상기 권취릴의 중심축에 연결된 와이어로 구성된 승하강구동부;
    상기 승하강구동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가 통공되고 그 하단의 내주면이 사선으로 넓게 형성되고 일 측이 통공된 가이드부싱과, 상기 가이드부싱의 타 측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조명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로 구성된 조명등결합부;
    상기 가이드부싱에 삽입되며 상부가 단차지게 형성되고 일단에 와이어가 연결된 가이드포스트와, 상기 전원공급부에 접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전극판과, 상기 전극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조명등으로 이루어진 조명등부;
    상기 가이드부싱 상부 일 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가이드부싱 측면의 통공된 곳에 삽입되어 가이드포스트의 단차진 저면을 지지하며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상기 고정된 부위를 중심으로 이동하는 클램프부; 및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조절수단과, 상기 조절수단으로부터 조절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로 이루어진 승하강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포스트의 단차진 곳 상부는 테이퍼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차진 곳의 하부는 상기 클램프 말단의 지지면이 상기 가이드포스트의 단차진 저면을 지지하도록 일정길이 좁게 형성된 후 상기 가이드부싱 내주면에 접하도록 다시 원래의 가이드포스트 지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외주면에 돌기가 형성된 캠과, 상기 캠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돌기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가압면이 형성된 캐치와, 상기 캐치에 일단이 연결되고 가이드홈에 설치된 지지축을 중심으로 가이드홈 상에서 전후 이동하는 판상구조의 암대와, 상기 암대에 일단이 연결되고 그 타단이 클램프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암대의 이동에 의해 클램프를 회전시키는 로커암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대략‘┓’형상의 하단이 사선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그 경 사진 클램프 말단의 윗면은 상기 가이드포스트의 단차진 면을 지지하도록 평평하게 형성되고, 그 저면은 테이퍼형상의 가이드포스트 상부와의 접촉시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경사지게 사선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단자와‘-’단자가 안전판에 의해 분리되어 상기 가이드부싱 일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각 단자에 토션스프링이 연결되며, 상기 토션스프링 하단에 접하는 전극판은 상기 가이드포스트 주위를 둘러싸는 2개의 원형고리로 이루어진 원형전극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토션스프링 하단에 원형고리가 각각 접하도록 원형전극판의 위치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조절부는 조절버튼이 형성된 리모콘과 상기 리모콘에서 입력되는 조절신호를 상기 승하강구동부로 전송하도록 잭이 구비된 커넥터와 상기 리모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선이 구비된 조절수단과, 상기 커넥터에 구비된 잭이 결합되는 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승하강구동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조절부는 조절버튼이 형성된 리모콘과 상기 조절버튼에서 입력되는 조절신호를 발생시키는 적외선발생포트와 상기 리모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선으로 구성된 조절수단과, 상기 적외선발생포트에서 발생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수신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승하강구동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
KR1020040055507A 2004-07-16 2004-07-16 자동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 KR100602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507A KR100602615B1 (ko) 2004-07-16 2004-07-16 자동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507A KR100602615B1 (ko) 2004-07-16 2004-07-16 자동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272U Division KR200364535Y1 (ko) 2004-07-26 2004-07-26 자동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602A KR20050043602A (ko) 2005-05-11
KR100602615B1 true KR100602615B1 (ko) 2006-07-24

Family

ID=37244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507A KR100602615B1 (ko) 2004-07-16 2004-07-16 자동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26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476B1 (ko) * 2006-09-11 2007-02-26 조만규 조명기 승강장치
CN110708842A (zh) * 2019-09-10 2020-01-17 珠海王之王软件有限公司 一种场馆灯光控制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602A (ko) 200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79308C (zh) 用于具有升降功能的高吊灯的装置
CN102954449B (zh) 高顶灯升降机构及高顶灯
KR101056847B1 (ko) 고소조명 승강장치
CN1479912A (zh) 带有自行发电机的便携式电子信号灯
KR100602615B1 (ko) 자동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
KR100602613B1 (ko)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
KR200364535Y1 (ko) 자동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
CN210921132U (zh) 一种智能吸顶灯
JP4530903B2 (ja) 昇降装置付き照明器具
CN112555779A (zh) 一种高空中led灯具自动替换方法
KR20050082842A (ko) 천장설치용 조명등 승강장치
KR20050082833A (ko) 천장설치용 조명등 승강장치
KR200364533Y1 (ko)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
KR200299943Y1 (ko) 가로등 승하강 장치
CN114963048B (zh) 一种智能照明灯及照明系统
CN219389619U (zh) 一种便于更换灯泡的高杆灯
CN216790110U (zh) 一种新型组装式智慧灯杆
CN218845875U (zh) 交替照明路灯
CN216383862U (zh) 一种智能遥控的家居吸顶灯
CN213334072U (zh) 一种免布线的led照明灯
CN216897036U (zh) 风扇照明设备
CN113129533B (zh) 光警式视觉传感用高精度数控led光源
CN214369616U (zh) 一种可自动降低高度的节能直发光面板灯
KR101934868B1 (ko) 와이어가 연결되는 결합유도돌기를 구비한 조명등 리프팅 장치
CN216897102U (zh) 一种太阳能路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