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2221B1 - 냉장고용 온수디스펜서의 증기방출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온수디스펜서의 증기방출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2221B1
KR100602221B1 KR1020050000532A KR20050000532A KR100602221B1 KR 100602221 B1 KR100602221 B1 KR 100602221B1 KR 1020050000532 A KR1020050000532 A KR 1020050000532A KR 20050000532 A KR20050000532 A KR 20050000532A KR 100602221 B1 KR100602221 B1 KR 100602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water
hot water
water supply
pipe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0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0264A (ko
Inventor
김성재
이명렬
서창호
한동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0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2221B1/ko
Publication of KR20060080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0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108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from analysis of pulse wave characteristics
    • A61B5/02116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from analysis of pulse wave characteristics of pulse wave amplitu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6Measuring blood flow
    • A61B5/0261Measuring blood flow using optical means, e.g. infrared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수디스펜서를 통한 온수의 취출 시에 증기의 방출이 방지되도록 하는 냉장고용 온수디스펜서의 증기방출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식수를 유입하고, 끝단에 전환밸브를 갖는 급수관과; 상기 전환밸브에 연결되고, 공급된 식수를 가열하도록 가열부를 갖는 온수공급관과; 상기 전환밸브에 연결되고, 공급된 냉수를 저장하도록 관로상에 냉수저장탱크를 갖는 냉수공급관과; 상기 온수공급관과 냉수공급관의 끝단에 연결되고 도어의 정면에 노출되는 온수디스펜서 및 냉수디스펜서와;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온수공급관을 통해 상기 온수디스펜서로 취출되는 온수에 포함된 증기가 응축되도록 상기 온수디스펜서의 상부로 상기 온수공급관에 설치되는 증기응축수단을; 포함한다.
냉장고, 온수공급, 가열부, 증기, 안전

Description

냉장고용 온수디스펜서의 증기방출 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steam ejection of hot-water dispenser using a refrigerator}
도 1은 종래 냉장고의 일예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어상태를 보인 요부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급수관
11 : 전환밸브 12 : 상수원 13 : 정수필터
20 : 온수공급관
21 : 가열부
30 : 냉수공급관
31 : 냉수저장탱크
40 : 온수디스펜서 50 : 냉수디스펜서
60 : 증기응축수단
61 : 냉수순환관
62 : 냉수공급부
621 : 제1유입관 622 : 제1드레인관 623 : 제2유입관
624 : 제2드레인관 625 : 개폐밸브 626 : 저장탱크
627 : 제3유입관 628 : 순환배출관 629 : 펌프
70 : 제어부
71 : 압력센서 72 : 온도센서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수디스펜서를 통한 온수의 취출 시에 증기의 방출이 방지되도록 하는 냉장고용 온수디스펜서의 증기방출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그 전면 도어에 디스펜서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온수 및 냉수를 원활히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디스펜서를 갖는 냉장고의 일예를 도 1에 도시하여 그 구성과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냉장고는 급수관(100)에 온수공급관(200)과 냉수공급관(300)이 연결되고, 상기 온수공급관(200)이 압축기(400)와 연결된 응축기(500)가 통과하는 온수탱크(201)와 연결된 후에 도어(D)의 전면에 설치된 온수디스펜서(202)로 연결되고, 상기 냉수공급관(300)에 냉수탱크(301)와 연결된 후에 상기 도어(D)의 전면에 설치된 냉수디스펜서(302)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디스펜서(202)로 취출되는 온수는 온수탱크(201)에서 응축기(500)에서 배출되는 열에 의해 1차적으로 가열되고 온수공급관(200)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히터(203)를 통해 2차적으로 가열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히터에 의해 온수가 가열되어 증기가 발생되고, 이 증기가 온수와 함께 온수디스펜서를 통해 방출되어 사용자에게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증기의 방출로 인해 온수디스펜서의 사용상 불편함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온수디스펜서를 통한 온수의 취출 시에 증기의 방출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수저장탱크의 냉수를 순환시켜 온수공급관의 증기가 응축되도록 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급수관으로 공급되는 상수원의 냉수를 순환시켜 온수공급관의 증기가 응축되도록 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수의 순환이 보다 원활하게 제어되어 증기의 응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온수디스펜서의 증기방출 방지장치는 외부로부터 식수를 유입하고, 끝단에 전환밸브를 갖는 급수관과; 상기 전환밸브에 연결되고, 공급된 식수를 가열하도록 가열부를 갖는 온수공급관과; 상기 전환밸브에 연결되고, 공급된 냉수를 저장하도록 관로상에 냉수저장탱크를 갖는 냉수공급관과; 상기 온수공급관과 냉수공급관의 끝단에 연결되고 도어의 정면에 노출되는 온수디스펜서 및 냉수디스펜서와;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온수공급관을 통해 상기 온수디스펜서로 취출되는 온수에 포함된 증기가 응축되도록 상기 온수디스펜서의 상부로 상기 온수공급관에 설치되는 증기응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증기응축수단은, 상기 온수공급관의 관로상 소정위치로 그 둘레에 권취되는 냉수순환관과, 상기 냉수순환관에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공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수공급부는, 상기 전환밸브를 통해 상기 냉수공급관을 개방하여 상기 냉수저장탱크의 냉수를 상기 냉수순환관에 공급하도록 상기 냉수순환관의 일단과 상기 냉수저장탱크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1유입관과, 상기 냉수순환관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1드레인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수공급부는, 상기 냉수순환관의 일단과 상기 급수관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2유입관과, 상기 냉수순환관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드레인관과, 상기 제2유입관에 설치되는 개폐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수공급부는, 상기 냉수순환관의 일단과 상기 냉수저장탱크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3유입관과, 상기 냉수순환관의 타단과 상기 냉수저장탱크의 사이에 연결되는 순환배출관과, 상기 제3유입관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펌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밸브와 급수관의 사이로 상기 제2유입관의 관로상에 저장탱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온수공급관을 통한 온수의 압력을 감지하도록 상기 온수공급관에 압력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냉수순환관에 의한 온수의 온도변화를 감지하도록 상기 냉수순환관의 사이로 상기 온수공급관에 한 쌍의 온도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압력센서와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냉수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온수디스펜서의 증기방출 방지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방출 방지장치는 상수원(12)과 연결되는 급수관(10)이 설치되고, 상기 급수관(10)에 가열부(21)를 갖는 온수공급관(20)과 냉수저장탱크(31)를 갖는 냉수공급관(30)이 설치되며, 상기 온수공급관(20)과 냉수공급관(30)의 끝으로 도어의 전면으로 설치된 온수디스펜서(40)와 냉수디스펜서(50)가 연결되고, 상기 온수디스펜서(40)의 상부로 상기 온수공급관(20)에 증기응축수단(60)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급수관(10)은 상수원(12)과 연결되면서 관로상에 정수필터(13)가 설치되어 정수된 물이 전환밸브(11)로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온수공급관(20)은 급수관(10)에 설치된 전환밸브(11)의 작동으로 정수된 물을 공급받아 관로상에 설치된 가열부(21)에 의해 가열시킨 후에 온수디스펜서(4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냉수공급관(30)은 급수관(10)에 설치된 전환밸브(11)의 작동으로 정수된 물을 공급받아 관로상에 설치된 냉수저장탱크(31)에 저장한 후에 냉수디스펜서(5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증기응축수단(60)은 온수공급관(20)의 관로상 소정위치로 그 둘레에 권취되는 냉수순환관(61)과, 상기 냉수순환관(61)에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공급부(62)로 구성되어 상기 냉수공급부(62)를 통해 상기 냉수순환관(61)에 냉수를 순환시킴으로써, 가열부(21)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온수공급관(20)을 통해 온수디스펜서(40)로 취출되는 온수에 포함된 증기를 응축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냉수공급부(62)는 전환밸브(11)를 통해 냉수공급관(30)을 개방하여 냉수저장탱크(31)의 냉수를 냉수순환관(61)에 공급하도록 상기 냉수순환관(61)의 일단과 상기 냉수저장탱크(31)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1유입관(621)과, 상기 냉수순환관(61)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1드레인관(622)으로 구성된다.
상기 냉수공급부(62)는 전환밸브(11)를 개방하여 냉수공급관(30)을 통해 냉수저장탱크(31)로 냉수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냉수저장탱크(31)에 저장되어 있는 냉수가 제1유입관(621)을 거쳐 냉수순환관(61)으로 순환시킨 다음에 제1드레인관 (622)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냉수의 순환을 통해 온수공급관(20)에서 온수디스펜서(40)로 유동되는 과열된 온수에 포함된 증기를 냉각시켜 응축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증기응축수단(60)은 전환밸브(11)를 개방하여 냉수공급관(30)을 통해 냉수저장탱크(31)에 냉수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냉수저장탱크(31)의 냉수가 제1유입관(621)과 제1드레인관(622)의 사이에 구비된 냉수순환관(61)을 통해 순환되면서 온수공급관(20)을 냉각시켜 과열수에 포함된 증기를 응축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방출 방지장치의 증기응축수단(60)은 온수공급관(20)의 관로상 소정위치로 그 둘레에 권취되는 냉수순환관(61)과, 상기 냉수순환관(61)에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공급부(6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수공급부(62)는 냉수순환관(61)의 일단과 급수관(10)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2유입관(623)과, 상기 냉수순환관(61)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드레인관(624)과, 상기 제2유입관(623)에 설치되는 개폐밸브(625)와, 상기 개폐밸브(625)와 급수관(10)의 사이로 상기 제2유입관(623)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저장탱크(626)로 구성된다.
상기 냉수공급부(62)는 급수관(10)과 연결된 제2유입관(623)을 통해 저장탱크(626)에 냉수를 저장한 다음에 개폐밸브(625)를 개방하여 상기 저장탱크(626)에 저장되어 있는 냉수가 상기 제2유입관(623)을 통해 제2드레인관(624)으로 배출되도 록 함으로써, 상기 제2유입관(623)과 제2드레인관(624)의 사이에 설치된 냉수순환관(61)에 냉수가 순환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냉수의 순환을 통해 온수공급관(20)에서 가열부(21)에 의해 가열되어 온수디스펜서(40)로 유동되는 과열된 온수에 포함된 증기를 냉각시켜 응축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증기응축수단(60)은 개폐밸브(625)를 개방하여 급수관(10)과 연결된 제2유입관(623)을 통해 저장탱크(626)의 냉수를 제2드레인관(624)으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저장탱크(626)의 냉수가 제2유입관(623)과 제2드레인관(624)의 사이에 구비된 냉수순환관(61)을 통해 순환되면서 온수공급관(20)을 냉각시켜 과열수에 포함된 증기를 응축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방출 방지장치의 증기응축수단(60)은 온수공급관(20)의 관로상 소정위치로 그 둘레에 권취되는 냉수순환관(61)과, 상기 냉수순환관(61)에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공급부(6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수공급부(62)는 냉수순환관(61)의 일단과 냉수저장탱크(31)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3유입관(627)과, 상기 냉수순환관(61)의 타단과 상기 냉수저장탱크(31)의 사이에 연결되는 순환배출관(628)과, 상기 제3유입관(627)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펌프(629)로 구성된다.
상기 냉수공급부(62)는 냉수순환관(61)에 제3유입관(627)과 순환배출관(628)을 설치하고 상기 제3유입관(627)과 순환배출관(628)을 냉수공급관(30)에 설치된 냉수저장탱크(31)에 연결한 후에 상기 제3유입관(627)에 설치된 펌프(629)를 작동 시켜 상기 냉수저장탱크(31)의 냉수가 상기 냉수순환관(61)을 통해 순환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냉수의 순환을 통해 온수공급관(20)에서 가열부(21)에 의해 가열되어 온수디스펜서(40)로 유동되는 과열된 온수에 포함된 증기를 냉각시켜 응축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증기응축수단(60)은 펌프(629)를 작동시켜 냉수저장탱크(31)의 냉수를 제3유입관(627)을 통해 순환배출관(628)으로 순환시킴으로써, 상기 냉수저장탱크(31)의 냉수가 상기 제3유입관(627)과 순환배출관(628)의 사이에 구비된 냉수순환관(61)을 통해 순환되면서 온수공급관(20)을 냉각시켜 과열수에 포함된 증기를 응축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어상태를 보인 요부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증기방출 방지장치는 온수공급관(20)을 통한 온수의 압력을 감지하도록 상기 온수공급관(20)에 압력센서(71)가 설치되고, 냉수순환관(61)에 의한 온수의 온도변화를 감지하도록 상기 냉수순환관(61)의 사이로 상기 온수공급관(20)에 한 쌍의 온도센서(72)가 설치되며, 상기 압력센서(71)와 온도센서(72)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입력받아 냉수공급부(62)를 제어하는 제어부(7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70)는 압력센서(71)를 통해 온수공급관(20)으로 온수의 압력상태를 감지한 후에 온도센서(72)를 통해 상기 온수공급관(20)의 과열상태를 감지하고, 과열된 경우에 냉수공급부(62)를 제어하여 상기 냉수공급부(62)를 통해 냉수순환관(61)으로 냉수가 순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를 통한 냉수공급부(62)의 제어는 급수관(10)의 전환밸브(11)를 제어하거나, 제2유입관에 설치된 개폐밸브를 제어하거나 또는 순환배출관에 설치된 펌프의 가동을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온수디스펜서를 통한 온수의 취출 시에 증기의 방출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온수의 취출 시에 증기의 방출로 인한 안전사고 및 사용상의 불편함이 미연에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냉수저장탱크의 냉수를 순환시켜 온수공급관의 증기가 응축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온수의 과열이 방지되면서 온수디스펜서를 통해 항상 고온의 물만이 취출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급수관으로 공급되는 상수원의 냉수를 순환시켜 온수공급관의 증기가 응축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온수의 과열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냉수의 순환이 보다 원활하게 제어되어 증기의 응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온수디스펜서를 통한 증기의 방출이 보다 안정적으로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7)

  1. 외부로부터 식수를 유입하고, 끝단에 전환밸브를 갖는 급수관과;
    상기 전환밸브에 연결되고, 공급된 식수를 가열하도록 가열부를 갖는 온수공급관과;
    상기 전환밸브에 연결되고, 공급된 냉수를 저장하도록 관로상에 냉수저장탱크를 갖는 냉수공급관과;
    상기 온수공급관과 냉수공급관의 끝단에 연결되고 도어의 정면에 노출되는 온수디스펜서 및 냉수디스펜서와;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온수공급관을 통해 상기 온수디스펜서로 취출되는 온수에 포함된 증기가 응축되도록 상기 온수디스펜서의 상부로 상기 온수공급관에 설치되는 증기응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온수디스펜서의 증기방출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응축수단은,
    상기 온수공급관의 관로상 소정위치로 그 둘레에 권취되는 냉수순환관과,
    상기 냉수순환관에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공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온수디스펜서의 증기방출 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공급부는,
    상기 전환밸브를 통해 상기 냉수공급관을 개방하여 상기 냉수저장탱크의 냉수를 상기 냉수순환관에 공급하도록 상기 냉수순환관의 일단과 상기 냉수저장탱크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1유입관과,
    상기 냉수순환관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1드레인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온수디스펜서의 증기방출 방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공급부는,
    상기 냉수순환관의 일단과 상기 급수관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2유입관과,
    상기 냉수순환관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드레인관과,
    상기 제2유입관에 설치되는 개폐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온수디스펜서의 증기방출 방지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공급부는,
    상기 냉수순환관의 일단과 상기 냉수저장탱크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3유입관과,
    상기 냉수순환관의 타단과 상기 냉수저장탱크의 사이에 연결되는 순환배출관 과,
    상기 제3유입관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펌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온수디스펜서의 증기방출 방지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와 급수관의 사이로 상기 제2유입관의 관로상에 저장탱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온수디스펜서의 증기방출 방지장치.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공급관을 통한 온수의 압력을 감지하도록 상기 온수공급관에 압력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냉수순환관에 의한 온수의 온도변화를 감지하도록 상기 냉수순환관의 사이로 상기 온수공급관에 한 쌍의 온도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압력센서와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냉수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온수디스펜서의 증기방출 방지장치.
KR1020050000532A 2005-01-04 2005-01-04 냉장고용 온수디스펜서의 증기방출 방지장치 KR100602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532A KR100602221B1 (ko) 2005-01-04 2005-01-04 냉장고용 온수디스펜서의 증기방출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532A KR100602221B1 (ko) 2005-01-04 2005-01-04 냉장고용 온수디스펜서의 증기방출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264A KR20060080264A (ko) 2006-07-10
KR100602221B1 true KR100602221B1 (ko) 2006-07-19

Family

ID=37171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0532A KR100602221B1 (ko) 2005-01-04 2005-01-04 냉장고용 온수디스펜서의 증기방출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22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47304A (zh) * 2013-03-15 2016-01-13 伊莱克斯家用产品公司 具有热水分送器的制冷设备
KR20170100191A (ko) * 2016-02-25 2017-09-04 코웨이 주식회사 순간온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9415B2 (en) * 2013-03-15 2015-09-2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or appliance with hot water dispens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814Y1 (ko) 2001-05-22 2001-10-15 김성찬 음용수 및 음용차 제공 장치
KR100435837B1 (ko) 2001-08-06 2004-06-12 이봉한 냉온수기
KR100487768B1 (ko) 2003-03-03 2005-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수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814Y1 (ko) 2001-05-22 2001-10-15 김성찬 음용수 및 음용차 제공 장치
KR100435837B1 (ko) 2001-08-06 2004-06-12 이봉한 냉온수기
KR100487768B1 (ko) 2003-03-03 2005-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수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47304A (zh) * 2013-03-15 2016-01-13 伊莱克斯家用产品公司 具有热水分送器的制冷设备
CN105247304B (zh) * 2013-03-15 2017-09-22 伊莱克斯家用产品公司 具有热水分送器的制冷设备
KR20170100191A (ko) * 2016-02-25 2017-09-04 코웨이 주식회사 순간온수기
KR102560383B1 (ko) 2016-02-25 2023-07-27 코웨이 주식회사 순간온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264A (ko) 2006-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7998B2 (en) Hot water supplying system
KR20060115333A (ko) 스팀 오븐으로부터 물을 배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5705332B2 (ja) 瞬間湯沸器
US9664425B2 (en) Heat pump water heater applian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0602221B1 (ko) 냉장고용 온수디스펜서의 증기방출 방지장치
KR102044482B1 (ko) 진공식 스팀과 온수 복합 보일러
JP5068599B2 (ja) 給湯装置
JP5821002B2 (ja) 給湯システム
JP3949050B2 (ja) 給湯式暖房装置
KR101339659B1 (ko) 정수기의 온수가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63388B1 (ko) 온수제공장치
JP2009002599A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
KR100852511B1 (ko) 정수기의 온수 가열 장치
KR101564263B1 (ko) 온수가열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100293767B1 (ko) 음용수및음용차제공장치
KR100676970B1 (ko) 냉장고의 순간온수공급장치
KR20060107663A (ko) 냉장고의 순간온수공급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43681A (ko) 보일러 및 보일러의 물보충방법
JP5248433B2 (ja) 貯湯式風呂給湯装置
KR101717108B1 (ko) 정수기
KR200426707Y1 (ko) 냉장고용 온수 공급장치
JP4072140B2 (ja) 貯湯式給湯装置
JP2006347556A (ja) 飲料ディスペンサ
JP2007198691A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
JP3622568B2 (ja) 1缶2水路給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