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6970B1 - 냉장고의 순간온수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순간온수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6970B1
KR100676970B1 KR1020050028585A KR20050028585A KR100676970B1 KR 100676970 B1 KR100676970 B1 KR 100676970B1 KR 1020050028585 A KR1020050028585 A KR 1020050028585A KR 20050028585 A KR20050028585 A KR 20050028585A KR 100676970 B1 KR100676970 B1 KR 100676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steam
chamber
outlet
high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8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6140A (ko
Inventor
이명렬
김성재
서창호
한동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8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6970B1/ko
Publication of KR20060106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6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1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 A47L11/14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with rotating tools
    • A47L11/18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with rotating tools the tools being roll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63Driving means;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11/4069Driving or transmission means for the clean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Landscapes

  • Cookers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순간온수공급장치는 가열을 위한 물이 유동되는 온수관; 상기 온수관을 유동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 상기 온수관을 지나면서 가열된 온수 및 고온 고압의 증기가 유입되는 챔버; 상기 챔버에 형성되어 상기 증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증기 배출구; 상기 증기 배출구에 제공되는 증기 밸브; 및 상기 챔버의 증기 배출구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온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온수 배출구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 온수와 고온 고압의 증기를 분리시켜 고온 고압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고온 고압의 증기로부터 피해를 입지 않고 보다 안전하게 온수를 취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냉장고, 순간온수공급장치, 증기배출

Description

냉장고의 순간온수공급장치{Instant hot water supplier in refrigerator}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순간온수공급장치가 적용된 냉장고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순간온수공급장치의 증기배출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순간온수공급장치의 증기배출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순간온수공급장치 7 : 출구밸브
8 : 챔버 9 : 증기밸브
10 : 증기배출구 11 : 온수배출구
13 : 증기배출장치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고온의 온수를 빠른 시간에 취수할 수 있는 냉장고의 순간온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온수의 취출시 사용자가 고온 고압의 증기에 의한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하는 냉장고의 순간온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온수공급장치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 20-0336424에 개시된 바와 같이, 1차적으로 압축기의 폐열을 이용하여 일정량의 물을 가열하여 온수탱크에 저장하도록 하고 있다. 그 후, 사용자가 온수버튼을 작동시키면 별도의 히터를 가동시켜 소정 온도로 더 가열하여 온수를 공급하고, 사용자는 온수디스펜서에 의해 온수을 취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때 사용자에게 최종적으로 공급되는 온수디스펜서의 취출부에는 히터의 오작동에 따른 과열수를 차단할 수 있는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2000-055179에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취수부 직전에 안전을 위한 에어벤트를 장착하였다.
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은 사용자가 온수버튼을 작동시키면 가열관을 타고 취수부로 이동하며, 상기 가열관을 타고 이동하는 물은 선형히터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된다.
고온으로 가열된 온수는 취수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데, 상기 취수부의 직전에는 에어벤트가 위치하고 있어, 과열수 또는 과열증기를 상기 저장탱크로 환원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는 에어벤트가 저장탱크와 직접 연결됨으로 인하여 단열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안전측면에서도 불리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고 온 고압의 증기를 냉장고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냉장고의 순간온수공급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의 온수 취수시 고온 고압의 수증기에 의해 피해를 입지 않고 보다 안전하게 온수를 취수할 수 있는 냉장고의 순간온수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순간온수공급장치는 가열을 위한 물이 유동되는 온수관; 상기 온수관을 유동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 상기 온수관을 지나면서 가열된 온수 및 고온 고압의 증기가 유입되는 챔버; 상기 챔버에 형성되어 상기 증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증기 배출구; 상기 증기 배출구에 제공되는 증기 밸브; 및 상기 챔버의 증기 배출구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온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온수 배출구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의 순간온수공급장치는 가열부에 의해서 가열된 온수 및 고온 고압의 증기가 유동되는 온수관; 상기 온수관이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온수관 내의 온수 및 증기가 유입되는 챔버; 상기 챔버에 형성되어 상기 증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증기 배출구; 상기 증기 배출구에 제공되는 증기 밸브; 및 상기 챔버의 상기 증기 배출구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온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온수 배출구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순간온수공급장치에 의해서 사용자는 안전하게 온수를 취수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제안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제 1 실시예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순간온수공급장치가 적용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는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1)와,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2)와,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급수관(3)과, 상기 냉동실 도어(1)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급수관(3)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는 순간온수공급장치(6)와, 상기 순간온수공급장치(6)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5)가 포함된다.
상세하게, 상기 급수관(3)의 상단에는 상기 급수관(3)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냉수 또는 온수용으로 분리하여 분배시키는 분급밸브(4)가 형성된다.
상기 순간온수공급장치(6)에는 상기 분급밸브(4)에 의하여 분배되어 가열시키기 위한 물이 유동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온수관(15)과, 상기 온수관(15)을 통하여 흐르는 물을 가열시키기 위한 히터(도 2의 12참조)와, 상기 히터(도 2의 12참조)에 의해 가열된 온수와 고온 고압의 증기를 분리시키고, 이 중 고온 고압의 증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증기배출장치(13)가 포함된다.
상세하게, 상기 증기배출장치(13)에는 온수와 고온 고압의 증기가 유입되는 챔버(8)와, 상기 챔버(8)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챔버(8)로 유입된 고온 고압의 증기를 배출시키는 증기밸브(9)와, 상기 증기밸브(9)의 개폐시 고온 고압의 증기가 배출되도록 유동통로 역할을 하는 증기 배출구(10)가 포함된다.
상기 순간온수공급장치(6)와 관련되는 구성의 동작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급수관(3)을 유동하는 물은 분급밸브(4)에 의해 온수관(15)으로 유동하고, 상기 온수관(15)으로 유동하는 물은 순간온수공급장치(6)로 유입되어 히터(도 2의 12참조)에 의해서 가열된다.
히터(도 2의 12참조)에 의해 물이 가열되면, 상기 온수관(15)에는 고온의 온수와 고온 고압의 증기가 함께 존재하게 되며, 상기 온수관(15)을 따라 유동하는 온수와 고온 고압의 증기는 함께 증기배출장치(13)로 유입된다. 상기 증기배출장치(13)로 유입된 온수와 고온 고압의 증기 중 고온 고압의 증기는 증기밸브(9)에 의해 빠져나가게 되고, 따라서, 사용자는 고온 고압 증기의 위험없이 온수만을 디스펜서(5)를 통해 취수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순간온수공급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순간온수공급장치의 증기배출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순간온수공급장치의 증기배출구조에는 분급밸브(4)에 의하여 분배되어 가열시키기 위한 물의 유동통로 역할을 하는 온수관(15)과, 상기 온수관(15)을 유동하는 물을 가열시키기 위한 히터(12)와, 상기 히터(12)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증기배출장치(13)로 보내기 위한 출구밸브(7)와, 가열된 온수과 고온 고압의 증기를 분리시키기 위한 증기배출장치(13)가 포함된다.
상세하게, 상기 증기배출장치(13)에는 온수와 고온 고압의 증기가 유입되는 챔버(8)와, 상기 챔버(8)의 일측에 위치하여 고온 고압의 증기를 배출시키도록 하는 증기 밸브(9)와, 상기 증기밸브(9)의 개폐시 고온 고압의 증기가 배출되는 유동 통로 역할을 하는 증기 배출구(1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증기배출장치(13)의 일측에는 디스펜서(15)와 연결되어 온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온수배출구(11)가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챔버(8)의 하부는 유입되는 온수가 온수배출구(11)로 흘러 내려 가도록 하기 위해 온수배출구(11)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증기밸브(9)는 챔버(8)의 어느 부분에도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챔버(8)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고온 고압의 증기가 챔버(8)로 유입될 때에는 유동방향이 중력의 반대방향이기 때문에 챔버(8)의 상측으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챔버(8)의 상측에 상기 증기밸브(9)가 형성되면, 보다 효과적으로 고온 고압의 증기를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증기밸브(9)는 일방향 밸브로서, 고온 고압의 증기의 증기압이 미리 설정된 일정 증기압보다 크게 되는 경우, 상기 증기밸브(9)가 열리게 되어 고온 고압의 증기가 상기 증기 배출구(10)를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설정된다.
상기 증기밸브(9)에 의해 고온 고압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므로써 사용자는 보다 안전하게 온수를 취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증기밸브(9)를 통하여 배출된 고온 고압의 증기는 냉장고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응축기(미도시)와 연결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된 구성을 참조하여 증기배출장치(13)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자가 온수를 취수하기 위하여 온수버튼을 누르면 급수관(3)을 유동하는 물은 분급밸브(4)에 의해 분배되어 온수관(15)으로 유동하게 되며, 상기 온수관 (15)으로 유동하는 물은 순간온수공급장치(6)로 유입된다.
상기 순간온수공급장치(6)로 유입되는 물은 히터(12)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되며, 물이 가열되면 상기 온수관(15)에는 온수와 고온 고압의 증기가 함께 존재하게 되고, 상기 온수와 고온 고압의 증기는 출구밸브(7)를 거쳐 챔버(8)로 유입된다.
상기 챔버(8)로 유입된 온수와 고온 고압의 증기중에서, 고온 고압의 증기는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온수는 챔버(8)의 경사면을 따라 온수배출구(11)로 흘러내려간다. 상기 챔버(8)의 상측으로 이동한 고온 고압 증기의 증기압이 일정한 증기압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증기밸브(9)가 열리게 되어 고온 고압의 증기가 챔버(8)에서 빠져나가게 된다. 상기 증기밸브를 통해 고온 고압의 증기가 빠져나가게 되므로, 상기 온수배출구에는 온수만이 나오게 된다.
만약, 고온 고압의 증기의 증기압이 일정한 증기압보다 높지 않아 증기밸브(9)의 개폐에 의해 배출되지 않더라도, 상기 챔버(8)로 유입되는 온수는 온수배출구(11)로 바로 흘러내려 가고 고온 고압의 증기는 상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고온 고압의 증기에 의한 피해를 입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고온 고압의 증기로 인한 피해없이 안전하게 온수를 취수할 수 있게 된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증기배출장치의 구성과, 출구밸브의 위치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그 외의 구성 및 번호등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실시예를 원용하고 특이하게 달라지는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순간온수공급장치의 증기배출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순간온수공급장치(6)의 증기배출구조에는 급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유동통로 역할을 하는 온수관(15)과, 히터(12)와, 가열된 온수과 고온 고압의 증기를 분리시키고, 이 중 고온 고압의 증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증기배출장치(13)가 포함된다.
상세하게, 상기 증기배출장치(13)에는 가열된 온수와 고온 고압의 증기가 유입되는 챔버(8)와, 상기 챔버(8)의 외부에 형성되어 챔버(8)에 저장되는 온수가 지속적으로 고온으로 유지시키도록 하는 단열재(14)와, 상기 챔버(8)의 일측에 위치하여 고온 고압의 증기를 배출시키도록 하는 증기밸브(9)와, 상기 증기밸브(9)의 개폐시 고온 고압의 증기가 배출되는 유동 통로를 형성하는 증기 배출구(1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증기배출장치(13)의 일측에는 디스펜서(5)와 연결되어 온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온수배출구(11)가 형성되며, 상기 온수배출구(11)의 전단에는 상기 온수배출구(11)로의 온수의 유동을 조절하는 출구밸브(7)가 형성된다.
상기 증기밸브(9)는 상기 챔버의 어느 부분에도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챔버(8)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온 고압의 증기가 챔버(8)로 유입될 때에는 유동방향이 중력의 반대방향이기 때문에 챔버(8)의 상측으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챔버(8)의 상측에 상기 증기밸브(9)가 형성되면, 보다 효과적으로 고온 고압의 증기를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증기밸브(9)는 일방향 밸브로서, 고온 고압의 증기의 증기압이 미리 설정된 일정 증기압보다 크게 되는 경우, 상기 증기밸브(9)가 열리게 되어 고온 고압의 증기가 상기 증기 배출구(10)를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설정된다.
상기 증기밸브(9)에 의해 고온 고압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므로써 온수취출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도달하지 못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온수를 취수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증기배출장치(13)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자가 온수를 취수하기 위하여 온수버튼을 누르면 급수관(3)으로 물이 유동하고 상기 급수관(3)으로 유동하는 물은 분급밸브(4)에 의해 온수관(15)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온수관(15)으로 유동하는 물은 순간온수공급장치(6)로 유입된다.
상기 순간온수공급장치(6)로 유입되는 물은 히터(12)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되며, 물이 가열되면 온수관(15)에는 온수와 고온 고압의 증기가 함께 존재하게 된다.
가열된 온수와 고온 고압의 증기는 챔버(8)유입되며, 상기 챔버(8)로 유입된 고온 고압의 고압의 증기는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온수는 챔버(8)에 저장되게 된다. 상기 챔버(8)에 저장된 온수는 챔버(8)의 외부에 형성된 단열재(14)에 의하여 사용자에 의한 온수의 취출 전까지 고온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 다.
상기 챔버(8)의 상측으로 이동한 고온 고압 증기의 증기압이 일정한 증기압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증기밸브(9)가 열리게 되어 상기 챔버(8)에서 빠져나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펜서(5)에 컵을 갖다대면 상기 출구밸브(7)는 열리고 사용자는 고온 고압의 증기에 의한 위험없이 온수만을 취수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온수가 일시적으로 저장되어 배출되므로써, 제 1 실시예에 따른 온수의 온도보다는 낮은 온도의 온수를 취수하게 되나, 상기 챔버(8)가 출구밸브(7)에 의해 밀폐되면 고온 고압의 증기에 의해 압력의 증가가 생기게 되어, 고온 고압의 증기는 제 1 실시예의 증기 배출보다 효과적으로 배출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과 같은 냉장고의 순간온수공급장치에 의해서 온수와 고온 고압의 증기를 분리시켜 고온 고압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고온 고압의 증기로부터 피해를 입지 않고 보다 안전하게 온수를 취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2)

  1. 가열을 위한 물이 유동되는 온수관;
    상기 온수관을 유동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
    상기 온수관을 지나면서 가열된 온수 및 고온 고압의 증기가 유입되는 챔버;
    상기 챔버에 형성되어 상기 증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증기 배출구;
    상기 증기 배출구에 제공되는 증기 밸브; 및
    상기 챔버의 증기 배출구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온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온수 배출구가 포함되는 냉장고의 순간온수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배출구는 상측을 향하고, 온수 배출구는 하측을 향하는 냉장고의 순간온수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하측면은 온수가 중력에 의해서 흐를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냉장고의 순간온수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관에 제공되어, 상기 챔버로 유입되는 온수의 유동을 조절하는 출구 밸브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의 순간온수공급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배출구에 제공되어, 상기 챔버에서 배출되는 온수의 유동을 조절하는 출구 밸브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의 순간온수공급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외벽에는 단열재가 제공되는 냉장고의 순간온수공급장치.
  7. 가열부에 의해서 가열된 온수 및 고온 고압의 증기가 유동되는 온수관;
    상기 온수관이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온수관 내의 온수 및 증기가 유입되는 챔버;
    상기 챔버에 형성되어 상기 증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증기 배출구;
    상기 증기 배출구에 제공되는 증기 밸브; 및
    상기 챔버의 상기 증기 배출구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온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온수 배출구;가 포함되는 냉장고의 순간온수공급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배출구 또는 온수관에 형성되어, 온수의 유동을 조절하는 출구 밸브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의 순간온수공급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50028585A 2005-04-06 2005-04-06 냉장고의 순간온수공급장치 KR100676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8585A KR100676970B1 (ko) 2005-04-06 2005-04-06 냉장고의 순간온수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8585A KR100676970B1 (ko) 2005-04-06 2005-04-06 냉장고의 순간온수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6140A KR20060106140A (ko) 2006-10-12
KR100676970B1 true KR100676970B1 (ko) 2007-02-01

Family

ID=37626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8585A KR100676970B1 (ko) 2005-04-06 2005-04-06 냉장고의 순간온수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69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9303A1 (ko) * 2021-02-08 2022-08-11 코웨이 주식회사 온수 생성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및 온수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4058B2 (en) 2013-08-27 2016-02-09 General Electric Company Dispensing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0597Y1 (ko) * 1996-05-20 1999-11-15 배길성 자동판매기용 수증기 흡입장치
KR20000017948U (ko) * 1999-03-09 2000-10-05 장인수 진공용기 또는 압력용기로 겸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압축용기
KR20050004927A (ko) * 2003-06-27 200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디스펜서의 물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0597Y1 (ko) * 1996-05-20 1999-11-15 배길성 자동판매기용 수증기 흡입장치
KR20000017948U (ko) * 1999-03-09 2000-10-05 장인수 진공용기 또는 압력용기로 겸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압축용기
KR20050004927A (ko) * 2003-06-27 200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디스펜서의 물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9303A1 (ko) * 2021-02-08 2022-08-11 코웨이 주식회사 온수 생성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및 온수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6140A (ko) 200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3217A (ko) 과냉각 장치
KR20120010924A (ko) 얼음 이송수단을 갖는 냉장고
KR100676970B1 (ko) 냉장고의 순간온수공급장치
KR20150016158A (ko) 기능수 공급 장치
KR101529626B1 (ko) 저온저장고용 제상장치
KR102339121B1 (ko) 제빙 유닛
CN105650981B (zh) 冰箱
KR20050104129A (ko) 투명제빙장치
WO2020233541A1 (zh) 具有储冰盒的制冷电器
KR20220125917A (ko) 디스펜서의 잔수배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3401436B1 (en) An improved laundry washer-dryer
EP2366317A1 (fr) Dispositif de séchage des mains et des pieds
KR101365655B1 (ko) 냉장고
KR101169696B1 (ko) 차량용 냉온수기
KR100602221B1 (ko) 냉장고용 온수디스펜서의 증기방출 방지장치
KR20080112710A (ko) 냉장고
KR102411219B1 (ko) 냉각장치 및 냉각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0273955B1 (ko) 냉장고의 제상장치
KR20090006437U (ko) 냉장고
CN220669911U (zh) 冰箱
KR20100061959A (ko) 냉장고
KR100565609B1 (ko) 냉장고
JP4972419B2 (ja) 自動製氷機
CN210772961U (zh) 干燥器组件及具有其的制冷器具
KR101293344B1 (ko) 식품저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