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4814Y1 - 음용수 및 음용차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음용수 및 음용차 제공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44814Y1 KR200244814Y1 KR2020010015015U KR20010015015U KR200244814Y1 KR 200244814 Y1 KR200244814 Y1 KR 200244814Y1 KR 2020010015015 U KR2020010015015 U KR 2020010015015U KR 20010015015 U KR20010015015 U KR 20010015015U KR 200244814 Y1 KR200244814 Y1 KR 20024481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tank
- hot water
- drinking
- tea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정한 포장단위로 시판되는 생수를 적용하여 냉, 온생수 및 뜨거운 음용차(飮用茶)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음용수 및 음용차 장치에 관한 것으로, 포장용기의 생수를 저장시키는 저수탱크와, 생수를 소정온도로 물이 가열시키는 온수탱크와, 냉수를 얻게 하는 냉수탱크를 구비하는 공지의 생수기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의 생수를 공급받는 차온수탱크와, 상기 차온수탱크는 음용차를 만들기 위한 차팩을 투입 및 인출하기 위하여 개폐 가능한 덮개와, 최고수위를 설정시키기 위한 상수위센서 및 최저 수위의 설정과 순환 가열부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하수위센서와, 상기 상, 하수위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생수의 유입 및 차단을 제어하는 차온수 탱크용 밸브, 상기 차온수탱크 내부에 유입된 생수를 물의 대류현상을 통해 소정온도로 순환 가열시키기 위한 순환 가열부와; 상기 차온수탱크에서 차팩의 차성분과 혼합된 음용차를 유출시켜 음용 가능하게 하며 상기 차온수 탱크와 직결된 차콕크와; 상기 차온수탱크에서 발생된 증기가 유출되는 증기구 및 상기 증기구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증기를 응축시키는 그물망 부재가 내장된 응축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하는 음용수 및 음용차 제공장치.
Description
본 고안은 일정한 포장단위로 시판되는 생수를 적용하여 온, 냉수 및 뜨거운 음용차(飮用茶)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음용수 및 음용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소독 처리된 수돗물을 정수휠터장치(이하 정수 휠터라고 약칭함)를 통과시켜 무해한 물을 음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생수기는 그 자체에 정수기능을 갖지 않고 다만 그 명칭에서 의미하는 바와 같이 도 5에서와 같이 이미 별도의 정수과정을 거쳐 일정한 포장단위로 시판되는 생수(W)를 생수기(1)의 내부에 설치되는 냉수탱크(2)로 공급시킨 후 냉각장치(3)를 이용하여 냉수로 만든 다음 냉수콕크(2')를 이용하여 음용하거나 또는 냉수탱크(2)의 물을 온수 탱크(4)로 공급시켜 이를 가열부(5)를 통해 온수로 만든 다음 온수콕크(4')를 통해 음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기존의 생수기는 냉생수와 온생수만이 공급될 수 있는 한정적인 구조로 인하여 예를 들어 음식점 등에서 보리차, 둥글래차 녹차, 등의 차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생수기가 쓰이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보리차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끓인 보리차를 대형의 보온 용기에 넣고 일일이 제공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며, 보리차가 소모되었을 때에는 다시 보온용기에 보리차를 보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노출되는 것이다.
상기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생수를 받아 보리차로 연속 처리되도록 할 수 있으나 이는 보리차 제조기와 생수기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효율성과 경제성이 떨어져 실용성이 없다.
또한 수돗물을 받아 보리차로 처리하면 식수오염이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현실을 감안할 때 안심하고 음용 하기에는 심리적 부담감을 많게 되어 적용에 애로가 있게되는 것이다.
따라서, 냉, 온수 뿐만 아니라 보리차와 같은 음용차도 제공될 수 있는 정수기 개발이 개시되었으며, 여기서 선행기술의 음용수(냉,온수) 제공시스템 및 장치의 이용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선행기술의 음용수 제공시스템과 장치는 그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여기에 새로운 시스템으로 고안된 음용차 제공시스템 및 장치를 부가시키는데는 부적합한 문제가 초래되었다.
선행기술의 음용수 제공시스템 및 장치는 직수(수돗물)를 정수하고 저수한 다음 냉각과정 또는 가열과정을 갖도록 함으로써 냉, 온수를 얻게 하며 냉, 온수는 냉, 온수콕크를 통해 유출되어 음용수로 이용된다.
하지만 선행기술의 음용수 제공시스템 및 장치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냉수탱크를 통해 온수탱크로 물이 투입되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이 경우 냉수탱크에서 차갑게 냉각된 물이 온수탱크에서 다시 덥혀지게 된다. 그러므로 온수를 만드는데 시간이 걸리며, 에너지 낭비가 초래된다.
더욱이, 온수처리 속도가 늦으므로 많은 온수를 필요로 하는 경우 그 온수량을 미처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를 가지며, 그로 인해 음식업소와 같이 많은 온수가 필요로 되는 곳에서는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을 갖는다.
본 고안은 온수 및 냉수와 같은 음용수 공급을 효율적으로 하면서도 음용차를 제공할 수 있는 생수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존 생수기의 음용수 제공장치를 개량하고, 이를 포함한 음용차 제공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용기를 통해 포장된 상태의 생수를 공급받아 저장시키는 저수탱크와, 상기 저수탱크에서 생수를 공급받으며, 전원을 통해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부에 의해 소정온도로 물이 가열되어 온수를 얻게 하는 온수탱크와, 상기 저수탱크에서 직접 생수를 공급받고, 냉각장치에 의해 냉매가 순환되는 냉각부에서 열 교환되어 소정온도로 생수를 냉각시켜 냉수를 얻게 하는 냉수탱크를 구비하는 공지의 생수기에 있어서,
상기 저수탱크의 물을 직접 공급받는 차온수탱크를 가지며; 상기 차온수탱크는 음용차를 만들기 위한 차팩을 투입 및 인출하기 위하여 개폐 가능한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차온수탱크 내부의 최고 수위를 설정시키기 위한 상수위센서와 상기 차온수탱크내의 최저 수위를 설정함과 아울러 하기(下記)되는 순환 가열부를 선택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안전장치기능을 하는 하수위센서가 장착되며; 상기 상, 하수위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생수의 유입 및 차단을 제어하는 차온수 탱크용 밸브를 가지며;
상기 차온수탱크 내부에 유입된 생수를 소정온도로 순환 가열시키기 위한 순환 가열부와;
상기 차온수탱크에서 차팩의 차성분과 혼합된 음용차를 유출시켜 음용 가능하게 하며 상기 차온수 탱크와 직결된 차콕크와;
상기 차온수탱크에서 발생된 증기가 유출되는 증기구 및 상기 증기구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증기를 응축시키는 그물망 부재가 내장된 응축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장치를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을 적용한 생수기의 구성을 보이는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을 적용한 생수기의 내부의 개략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음용차탱크의 일 구성예를 보이는 사시도.
도 4는 음용차탱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 예시도.
도 5는 기존 생수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생수기 10:저수탱크 20:차온수탱크
21:차온수탱크용 밸브 22:유입구 23:덮개
24:차콕크 25:순환관 30:냉수탱크
31:냉수콕크 40:온수탱크 41:온수콕크
50:냉각장치 60:순환가열부 70:상수위센서
71:하수위센서 80:증기구 81:응축관
82:그물망부재 83:호스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의 음용수 및 음용차 제공장치를 첨부한 바람직한 실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보다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도 2은 본 고안에 의한 음용수 및 음용차 제공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생수기(1)는 임의 용량의 포장용기(P)로 포장되어 시판되는 생수를 공급받으며, 이러한 생수는 튜브나 관 등으로 연결된 저수탱크(10) 및 차온수탱크(20)로 동시 공급된다. 한편 튜브나 관은 단순히 연결하는 것이므로 부호를 생략하기로 한다.
저수탱크(10) 및 차온수탱크(20)는 생수기(1)의 상단부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양호하며, 그 이유는 다음 처리단계로 생수가 양호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상기 저수탱크(10)는 그 내부에 일정량의 생수가 충만되면 자동적으로 별도의 저수탱크용 밸브(11)가 폐쇄되게 동작하여 생수의 공급을 차단하며, 반대로 부족하면 저수탱크용 밸브(11)가 개방되게 동작됨으로서 생수가 공급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생수가 공급되는 저수탱크(10)의 역할은 냉수탱크(30) 및 온수탱크(40)로 공급할 생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것이다.
저수탱크(10)에서 생수를 공급받는 냉수탱크(30)는 냉수를 만들어서 저장하는 곳으로, 냉수는 그 물온도가 보통 4∼5℃가 바람직하며, 그 이상의 물온도가 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냉수온도센서에 의해 냉각장치(50)가 가동되며 냉각된 생수는 냉수콕크(31)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어 음용수로 이용되게 된다.
한편, 저수탱크(10)에서 온수탱크(40)로 보내진 생수는 전원에 의해서 열을 발생하는 가열부(42)에 의해서 가열된다.
온수탱크(40)에 있는 생수의 온도는 90℃까지 가열시켜 저장될 수 있으며, 온수온도는 적절히 조절 가능하다.
온수탱크(40)내의 물은 별도의 온도센서를 통해 온수탱크(40)의 물온도를 감지하고 이 온도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미리 설정한 적정한 온도가 될 때까지 가열부(42)를 작용되게 한다. 가온된 온수는 온수콕크(41)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어 음용수로 이용된다.
상기에서의 저수탱크(10)의 수위제어와 냉수탱크(30)의 냉각 구조 및 작동, 온수탱크(40)의 온수형성구조 및 작동은 이미 공지의 기술로서 본 고안에서 권리의 요부로 주장하지 않는다.
한편, 포장용기(P)의 생수는 차온수탱크용 밸브(21)와 유입구(22)를 통해 직접 차온수탱크(20)로 공급되며 상기 차온수탱크용 밸브(21)는 차온수탱크(20)의 일측에 설치되는 상수위센서(70) 및 하수위센서(71)에 의해서 동작된다. 즉, 상수위센서(70)가 위치하는 지점까지 생수가 채워지면 이를 상수위센서(70)가 감지하여 별도의 콘트롤러를 통해 차온수탱크용 밸브(21)가 차폐되도록 하며, 그리고, 하수위센서(71)의 위치 이하로 수위가 내려가면 이것을 감지하여 콘트롤부에서 순환가열부(60)의 전원을 차단하여 소정량 이하의 수위에서는 기기의 과열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열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차온수탱크용 밸브(21)를 개방시켜 생수를 보충시키게 된다.
또한, 차온수탱크(20) 내부의 생수는 순환 가열부(60)에 의해서 가열되며, 바람직한 가열온도는 70∼100℃이다.
그러므로 70℃ 이하가 되면 별도의 온도센서가 감지하여 순환 가열부(60)를 작동시켜 지속적으로 가열되게 하는 한편, 100℃ 이상이 되면 순환 가열부(60) 가동을 차단시켜 적정한 온도를 유지하게 한다.
또한, 차온수탱크(20)에는 내부의 세척 시 세척수가 배수될 수 있도록 별도의 퇴수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 ∼도 4는 본 고안의 핵심적인 장치가 되는 차온수탱크(20)를 나타낸 것이다.
차온수탱크(20)는 덮개(23)를 가지며, 이 덮개(23)를 열고 차팩(TP)이 투입된다.
차팩(TP)에는 뜨거운 물이 침투되므로 그 성분이 우러나오게 되기 때문에 특정한 음용차가 된다.
음용차는 차온수탱크(20) 내부에 저장되어 있다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개폐되는 차콕크(24)를 통해 유출되어 음용차로 이용된다.
순환 가열부(60)는 도면에서와 같이 차온수탱크(20)의 하측에 외부로 연장되는 순환관(25)을 구성하고 이에 순환가열부(60)를 두어 차온수탱크(20)내의 물을 가열하는 것으로, 생수의 대류현상을 통해 자동적으로 물이 순환되면서 가열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것이나 이외에도 가열판을 이용하거나 또는 코일형태의 것이 이용될 수 있으며, 밴드타입의 가열부를 형성하거나 가열봉 등이 쓰일 수 있다. 그 외에 어떠한 형태이든 지간에 물을 가열시키는 것은 모두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가열부(60)에 의해 가열되는 차온수탱크(20) 내부의 생수는 100℃ 정도로 가열되므로 증기의 발생은 필연적이다.
이 증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지 못한다면 생수기의 외부케이스 밖으로 유출되어 제품신뢰성을 저하시키는 하나의 요인이 된다. 또한, 외부케이스 내부에 머물게 되어 각각의 부품에 악영향을 주게 되는 동시에 내구성을 약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차온수탱크(20)의 상부 일측에 증기구(80)를 구비하고, 이 증기구(80)는 수직형태의 응축관(81)을 갖도록 한다.
상기 응축관(81) 위쪽에는 그물망부재(82)를 장착시키고, 하측에는 호스(83)를 연결하여 외부의 하수로와 연결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차온수탱크(20)에서 발생되는 증기는 증기구(80)로 유출되고 응축관(81)에서는 위쪽으로 상승된다.
상승되는 증기는 그물망부재(82)에서 접촉되므로 응축되어 점차 물방울이 되며, 소정 크기의 물방울이 되면 자중에 의해 밑으로 떨어져서 호스(83)를 타고 하수로로 배수된다.
한편, 그물망부재(82)에서 응축되는 증기는 한정적이며, 일부는 증기상태로 응축관(81) 위쪽으로 방출된다. 방출된 증기는 실내로 나가므로 가습 효과를 가지도록 한다. 때문에 응축관(81)의 출구는 외부케이스 외부로 약간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생수기를 나타낸 것이다. 이 생수기는 냉생수가 나오는 냉수콕크(31)와 온생수를 공급하는 온수콕크(41)를 포함하여 음용차가 나오는 차콕크(24)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은 냉, 온생수를 포함하여 이미 출하 전에 자체적으로 정수된 상태의 시판되는 생수로 보리차와 같은 각종 음용차를 끓여서 제공할 수 있으며, 모든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음용차는 차온수탱크(20)에서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므로 항상 신선하고 살아있는 음용차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음용차 맛 보존이 가능하다.
특히, 음식업소와 같은 곳에서는 생수 상태의 냉, 온수뿐만 아니라 보리차나 녹차 결명자차 등과 같은 음용차를 생수기를 통해 제공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 간편한 사용을 도모하게 한다.
이상의 설명에 의하면, 생수기에 있어서 기본적인 냉, 온생수와 더불어 다양한 음용차를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 생수기의 활용도를 높여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생수기가 제공하는 음용차를 선택적으로 선정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생수기에서 음용차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 폭넓게 적용되고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하다.
Claims (1)
- 소정 규격의 포장용기에 수용되는 생수를 공급받아 저장시키는 저수탱크와, 상기 저수탱크에서 생수를 공급받으며, 전원을 통해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부에 의해 소정온도로 물이 가열되어 온수를 얻게 하는 온수탱크와, 상기 저수탱크에서 직접 생수를 공급받고, 냉각장치에 의해 냉매가 순환되는 냉각부에서 열교환되어 소정온도로 생수를 냉각시켜 냉수를 얻게 하는 냉수탱크를 구비하는 공지의 생수기에 있어서;상기 포장용기에 수용되는 생수를 직접 공급받는 차온수탱크를 가지며;상기 차온수탱크는 음용차를 만들기 위한 차팩을 투입 및 인출하기 위하여 개폐 가능한 덮개를 구비하고;상기 차온수탱크 내부의 최고 수위를 설정시키기 위한 상수위센서와 상기 차온수탱크내의 최저 수위를 설정함과 아울러 하기(下記)되는 순환 가열부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안전장치기능을 하는 하수위센서가 장착되며;상기 상, 하수위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생수의 유입 및 차단을 제어하는 차온수 탱크용 밸브를 가지며;상기 차온수탱크 내부에 유입된 생수를 물의 대류현상을 통해 소정온도로 순환 가열시키기 위한 순환 가열부와;상기 차온수탱크에서 차팩의 차성분과 혼합된 음용차를 유출시켜 음용 가능하게 하며 상기 차온수 탱크와 직결된 차콕크와;상기 차온수탱크에서 발생된 증기가 유출되는 증기구 및 상기 증기구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증기를 응축시키는 그물망 부재가 내장된 응축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및 음용차 제공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15015U KR200244814Y1 (ko) | 2001-05-22 | 2001-05-22 | 음용수 및 음용차 제공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15015U KR200244814Y1 (ko) | 2001-05-22 | 2001-05-22 | 음용수 및 음용차 제공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44814Y1 true KR200244814Y1 (ko) | 2001-10-15 |
Family
ID=73054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15015U KR200244814Y1 (ko) | 2001-05-22 | 2001-05-22 | 음용수 및 음용차 제공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44814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02221B1 (ko) | 2005-01-04 | 2006-07-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용 온수디스펜서의 증기방출 방지장치 |
KR101123544B1 (ko) * | 2011-05-19 | 2012-03-12 | 김수환 | 음용차 자동 공급장치 |
-
2001
- 2001-05-22 KR KR2020010015015U patent/KR20024481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02221B1 (ko) | 2005-01-04 | 2006-07-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용 온수디스펜서의 증기방출 방지장치 |
KR101123544B1 (ko) * | 2011-05-19 | 2012-03-12 | 김수환 | 음용차 자동 공급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286351A (en) | Water distilling method | |
US8394241B2 (en) | Distillation-type drinking fountain and energy-saving heating unit thereof | |
JP2010196992A (ja) | 温水器 | |
ES2400850T3 (es) | Aparato de tratamiento de agua de auto-desinfección con un depósito para agua tratada que incluye un elemento de calentamiento | |
JP2005249266A (ja) | 飲料水のディスペンサ | |
KR200244814Y1 (ko) | 음용수 및 음용차 제공 장치 | |
KR200474898Y1 (ko) | 음용 증류수 및 온수를 제조할 수 있는 저탕식 온수보일러 | |
KR100487872B1 (ko) | 냉온 정수기 구조 | |
KR100293767B1 (ko) | 음용수및음용차제공장치 | |
JPH0870995A (ja) | 蒸留水製造ポット | |
KR101164517B1 (ko) | 축열식 물끓임기의 순간냉각방식을 이용한 순환살균 냉각시스템 | |
CN209819856U (zh) | 一种饮用热水与冷气供应一体机 | |
TW422716B (en) | Distillation device | |
KR100458924B1 (ko) | 가스 보일러의 온수 탱크 장치 | |
CN105962782A (zh) | 一种饮水系统的蒸汽消毒方法及实现该方法的饮水系统 | |
RU2778899C1 (ru) | Система нагрева и охлаждения жидкости | |
CN206120031U (zh) | 一种能够实现蒸汽消毒方法的饮水系统 | |
KR200304015Y1 (ko) | 순간 냉온수기 | |
EP4417899A1 (en) | System for heating and cooling a liquid | |
JPH10185306A (ja) | 給湯システム | |
CN209819857U (zh) | 一种饮用热水与水冷空调一体机 | |
KR200189355Y1 (ko) | 우리차 ,냉,온수기 | |
CN109916080B (zh) | 一种饮用热水与冷气供应一体机 | |
KR200386682Y1 (ko) | 냉,온수기 | |
US20200148553A1 (en) | Liquid Preparat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221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