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544B1 - 음용차 자동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음용차 자동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544B1
KR101123544B1 KR1020110047255A KR20110047255A KR101123544B1 KR 101123544 B1 KR101123544 B1 KR 101123544B1 KR 1020110047255 A KR1020110047255 A KR 1020110047255A KR 20110047255 A KR20110047255 A KR 20110047255A KR 101123544 B1 KR101123544 B1 KR 101123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pack
car pack
container
t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7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9830A (ko
Inventor
김수환
Original Assignee
김수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환 filed Critical 김수환
Priority to KR1020110047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544B1/ko
Publication of KR20110059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9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8Apparatus in which ground coffee or tea-leaves are immersed in the hot liquid in the beverag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0Urns with devices for keeping beverages hot or cool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번거러움 없이 음용차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장치로서. 본 장치에 일정량의 차팩을 넣어 놓으면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차팩을 가열탱크로 이송 차를 끓인후,회수통으로 이동시켜 탈수하여 보관하며 일정량이 되면 본 장치 외부로 사용한 차팩을 방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량의 차팩을 수용판(2)의 수용칸(2a)에 넣어 놓으면 가열탱크(12)의 저수위센서(12a)의 작동신호에 의해 이송통(8)이 상하구동모터(10)에 의해 수직상승하고 회전모터(11)에 의해 회수통(4)방향으로 90도 회전후 수납통(8)의 열림망(8e)이 탈착되고 다시 90도 역회전후 수용판(2)의 회전동작에 의해 투입판(2b) 개구부로 자중 투하되는 차팩을 수용한후 상하구동모터(10)에 의해 가열탱크 내부에 삽입되고 입수관 전자변(15)이 개방되어 급수를 시작 만수위 센서(12b)에 도달하면 전자변(15)은 폐쇄되고, 온도센서(12c)의 통제에 의해 차를 끓인다. 온도센서의 동작이 완료되면 가열탱크의 공급전자변(13)이 개방되어 하단 냉,온수탱크로 공급되고 냉,온콕크(17f,16f)를 통해 음용차가 공급된다. 상기 회수통(4)은 차팩이 낙하되면 회전,탈수후 보관하고 일정량이 감지되면 구동모터(6)에 의해 본장치 외부로 방출되고 회수통을 비운후 다시 내부로 삽입되어 대기한다. 음용차 공급(17f,16f)으로 가열탱크(12)의 수위가 저수위센서(12a)까지 하강하면 상기 연속동작이 이루어저 지속적인 음용차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차끓임에 따른 번거러움을 해소하고 고온으로 가열,살균된 안전한 음용차를 제공 할수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용차 자동 공급장치 {Tea automatic supply equipment}
본 발명은 팩형태로 가공된 각종 차팩(보리차,녹차,둥굴레차등)을 이용하여자동으로 차를 끓인후 이를 냉각 및 가온시켜 지속적으로 음용차를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장치에 일정수량의 차팩을 넣어 놓으면 유출되는 음용차의 량에 따라 자동으로 차팩을 차팩 가열부로 이송 투입하여 차를 끓인후 차팩을 다시 회수하여 차팩 회수통으로 이동시켜 탈수과정을 거친다. 이는 넣어놓은 차팩의 수량이 다할때 까지 지속적으로 동작하며 차팩 회수통이 가득차면 본 장치 외부로 차팩 회수통을 방출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여 차팩 회수통을 비워주도록 한 음용차 자동 공급장치이다.
본 발명은 가정이나 음식점등에서 각종 음용차(보리차,녹차,둥글레차등)를 많이 선호하고 있으나 끓여 먹을때 발생하는 번거러움 때문에 부득히 정수기를 사용하나 지속적인 정수필터를 교체 하여야 하는 비용을 감수하고 있는 실정이며 또한 일부 선행기술로 발명된 음용차 제공방식 역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가열부에 차팩을 직접넣고 끓인후 차팩을 건저 내어야 하는 방식을 취함으로 이또한 지속적인 음용차 공급시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 하는 것으로서 이에 따라 사용자와 관계없이 음용차를 지속적으로 자동 공급하고자 본 음용차 자동 공급장치를 발명하게 된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일정량의 차팩을 차팩 수용판의 차팩 수용칸에 넣어 놓으면 음용차의 유출량에 따라서 차팩이 자동으로 차팩 가열탱크에 이송 투입되고, 일정시간 차를 끓인 후 차팩은 차팩 가열탱크에서 회수되어 차팩 회수통으로 이동되며, 차팩 회수통에서는 차팩에 포함된 음용차 잔여물을 탈수 건조시켜 보관되고, 차폐 회수통에 일정량의 차팩이 가득 차면 이를 외부로 슬라이딩시켜 방출하고 차팩 회수통을 비운 후 다시 내부로 밀어넣도록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음용차의 지속적인 공급을 위해 별도로 관리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번거러움이 해소된 음용차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스크 형상으로서 상면, 하면 및 가장자리가 개구된 차팩 수용칸이 다수개 형성된 차팩 수용판과, 상기 차팩 수용판이 내설되고 상기 차팩 수용칸과 대응되는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된 차팩 투입판 및 상기 차팩 수용판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회전모터로 이루어진 차팩 투입부; 상기 차팩 투입부로부터 낙하되는 차팩이 수용되는 차팩 이송통과, 상기 차팩 이송통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송통 승강모터와, 상기 차팩 이송통을 회전시키는 이송통 회전모터로 이루어진 차팩 이송부; 상기 차팩 이송통이 삽입되어 차팩을 우려내는 차팩 가열탱크와 상기 차팩 가열탱크에서 우려낸 차를 일정온도로 유지시켜주는 저장탱크로 이루어진 차공급부; 및 상기 차팩 이송통으로부터 낙하하는 차팩을 수집하여 저면에 설치된 회전모터에 의해 차팩에 남아 있는 물을 탈수하는 회전망으로 이루어진 차팩 회수통을 구비하는 차팩 회수부;를 포함하는 음용차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차팩 회수부는 상기 차팩 회수통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레일이 설치된 회수통 외곽함과, 서로 힌지결합되는 제1접힘바와 제2접힘바가 접철되도록 하여 상기 차폐 회수통이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활주하여 회수통 외곽함의 내외부로 출몰하도록 작동하는 회수통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차공급부의 저장탱크는 전기 가열판이 내장되어 상기 차팩 가열탱크에서 우려낸 찻물을 일정온도로 저장하는 온수저장탱크와, 전기 냉각판이 내장되어 상기 차팩 가열탱크에서 우려낸 찻물을 일정온도로 저장하는 냉수저장탱크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용차 자동 공급장치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차팩을 편의점,슈퍼마켓 등 일용잡화점에서 구입하여, 일주일 또는 한 달 분을 본 장치 차팩 수용판에 사전 투입하여 놓으면 소비하는 음용차의 양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차팩을 이송, 투입, 가열, 회수하고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냉온 상태의 음용차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일정기간 동안 사용한 차팩이 회수된 차팩 회수통이 음성신호와 함께 본 장치의 외부로 방출되면 이를 비워주고 차팩 투입부에서 차팩의 투입을 요구하는 음성 신호음에 따라 새로운 차팩을 수용하도록 하여 주는 것으로 음용차의 지속적인 공급을 위해 별도의 관리가 필요 없다.
따라서 종래의 정수기 사용에 의해 야기되는 정수필터의 교체를 위한 인력 및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음용차는 고온으로 가열되므로 안전하게 살균된 음용차를 지속적으로 편리하게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용차 자동 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음용차 자동 공급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음용차 자동 공급장치의 차팩 이송통이 차팩 가열탱크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음용차 자동 공급장치의 차팩 이송통이 차팩 가열탱크에 반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음용차 자동 공급장치의 차팩 이송통으로부터 차팩이 방출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음용차 자동 공급장치의 차팩 이송통을 나타내는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음용차 자동공급장치의 차팩 이송통이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음용차 자동공급장치의 차팩 회수통이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음용차 자동공급장치의 음용 공급 계통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음용차 자동공급장치의 콘트롤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음용차 자동공급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팩 투입부는 차팩 수용판(2)과 차팩 투입판(2b),차팩 수용판 회전모터(2d)로 구성되며, 차팩 수용판(2)은 차팩을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차팩 수용칸(2a)을 구비한 상.하면 및 가장자리 면이 개구된 원형 형상으로 차팩 투입판(2b)에 내장되어 회전모터(2d)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하고, 차팩 투입판(2b)은 차팩 수용판(2)이 완전히 삽입 될수있는 규격에 차팩수용칸(2a)에 상응하는 개구부를 밑면 일정지점에 형성시켜 차팩 수용칸(2a)의 밑면 개구부에서 차팩 투입판(2b)의 개구부 및 차팩 이송통(8)의 개구부, 가열탱크(12)의 개구부가 서로 수직으로 일치하는 지점에 위치시키고 차팩 수용판(2)의 회전을 간섭하지 않도록 일정부위에 고정한 후 수직 정렬된 차팩 수용칸(2a)의 역회전 방향의 일 순위 수용칸에 일치하는 부위에 차팩(5c)의 수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차팩 감지센서(2c)를 일측면에 취부한다.
차팩 수용판 회전모터(2d)는 차팩 투입판(2b)에 간섭없이 중심을 관통하여 차팩수용판(2)의 중심부위에 구동점이 연동 되도록 하며, 이물질 차폐를 위해 차팩 수용판(2) 상면 일측에 열림 감지센서(1a)가 취부되고,경첩으로 결합되어 상하 회동이 가능한 커버(1)를 부착하여 차팩 투입부의 실시를 완성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핵심기술인 차팩 이송부의 실시를 도3~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차팩 이송부는 차팩을 이송하는 차팩 이송통(8)과 이송통을 상하작동 시키는 상하 구동모터(10),상하 구동모터을 회전시키는 이송통 회전모터(11)로 구성되며, 차팩 이송통(8)은 수직정렬된 차팩 수용칸(2a)에서 자중 낙하하는 차팩(5c)을 간섭없이 수용할수 있는 넓이로 상하면이 개구되고 측면이 폐쇄된 직사각 박스형태의 규격으로 차팩 가열탱크(12)에 삽입 되었을시 일정부분이 외부로 돌출 될수있는 소요 높이를 가진 구조에 차팩의 크기에 부합되는 일면으로 구성된 철망부재의 고정망(8f)이 하단부 일측면 수직으로 연결 고정하고, 고정망(8f)과 마주보며 열림망 바(8d)에 의해서 고정망(8f)에서 분리되는 철망부재의 열림망(8e)이 설치된다.
열림망(8e)은 수직으로 고정망(8f) 길이에 상응하며 상부면 및 고정망(8f)과 마주보는 일면 부분이 개구되고 밑면은 반원구 형상으로 차팩을 수용할수 있는 'ㄷ'형 형태로 구성하여 차팩 이송통(8)이 가열탱크(12)에 삽입 되었을시 외부로 돌출되는 일정부위의 양측면 중심부분에서 회전동작이 가능토록 이송통(8)의 몸체에 접합하고 접합부위(8g)에서 수평 일정길이로 돌출된 열림망 바(8d)와 직각으로 연결하여 열림망 바(8d)의 하강작동으로 열림망(8e)이 고정망(8f)에서 탈거되어 일정각도 회전 하였을시 수용된 차팩이 자중으로 배출될수 있도록 한다.
차팩 이송통(8)의 상단 일측면에 닫힘 방향으로 작동하는 스프링(8c)을 내장한 덮개(8a)가 경첩 형식으로 장착되며 장착된 덮개(8a)의 경첩형 원형관(8h)을 수평 방향으로 연장시켜 원형바(10a)의 일정지점에 장착된 원형관 받침대(10b)를 통과 시킨후 덮개(8a)의 수평면에서 상향 45도 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가진 덮개 프레임 바(8b)에 연결 고정하고 덮개 프레임 바(8b)의 상단 중심 일정지점은 이송통 승강모터(10) 일측면에 장착 연결된 이단 접힘바(9,9a)와 연동할수 있도록 연결한다.
이때,이단 접힘바(9,9a)의 펼친 길이와 덮개 프레임바(8b)의 길이를 합한 거리는 이송통(8)이 상하 구동모터(10)에 의해 상승 완료된 상태에서 상하 구동모터(10) 일측면에 장착된 이단 접힘바(9,9a)의 연결 중심점에서 덮개(8a)의 경첩 연결점 까지의 거리에 부합된다. 따라서 상하 구동모터(10)에 의해 이송통(8)이 수직 상승하면 이단 접힘바(9,9a)가 펼처지고 덮개 프레임바(8b)을 당겨서 닫힘 스프링(8c)에 의해 닫혀있는 이송통(8)의 덮개(8a)를 열어주고, 상하 구동모터(10)에 의해 이송통(8)이 하강하면 이단 접힘바(9,9a)는 접혀지고 스프링(8c)작용에 의해 차팩 이송통(8)의 덮개(8a)가 닫혀 지도록 구성된다.
차팩 이송통(8)의 상부 일측면에 차팩 이송통(8)의 무게를 지지할수 있는 소정 규격의 이송통 원형바(10a)을 고정한후 차팩 투입판(2b)의 개구부를 통해서 자중으로 떨어지는 차팩을 간섭없이 받을수 있는 차팩 이송통(8)의 일정위치에서 이송통(8)이 이송통 회전모터(11)에 의해 차팩 회수통(4) 방향으로 90도 회전하였을시 이송통(8)의 중심이 차팩 회수통(4)의 중심과 일치 되는 거리에 부합되도록 수평 연장하고 연장 끝지점에서 이송통(8)이 상하 구동모터(10)에 의해 차팩 가열탱크(12)에 삽입 장착된 지점에서 수직 상승하여 이송통(8)의 하단부 끝부분이 가열탱크(12)의 상부 개구부을 벗어날수 있는 일정거리로 수직하향 연장하여 상하 구동모터(10)의 중심 구동점에 삽입 장착한다,
상하 구동모터(10)는 또 다시 차팩 이송통(8)과 상하 구동모터(10)의 무게를 지지할수 있는 소정 규격의 상하 구동모터 원형바(11d)에 의해 고정되고 이 원형바(11d)는 상하 구동모터(10)로 수직 연장된 원형바(10a)가 삽입 될수있는 규격의 일정길이로 수직하향 연장하여 이송통 회전모터(11)의 구동점에 장착하고 이송통 회전모터(11)를 프레임 선반(6c)에 고정 설치한다.
이송통 회전모터(11)상단 중심부에 일정길이의 센서바(11c)를 이송통 원형바(10a)의 수평 방향과 일치하는 각도로 장착하여 회전모터(11)의 90도 회전시 제1접점 센서(11a)및 제2접점 센서(11b)와 접촉될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실시에 의해 구성된 차팩 이송통(8)의 중심은 회전모터(11)의 90도 반복 회전시 차팩 투입판 (2b)의 개구부 중심과 차팩 회수통(4)의 개구부 중심에 일치하고, 상하 구동모터 (10)의 수직구동시 차팩 투입판(2b)의 개구부 중심과 차팩 가열탱크(12) 개구부 중심에 수직 정렬 일치되도록 하여 차팩 이송부의 실시를 완성한다.
다음은 차팩 회수부의 실시를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차팩 회수부는 차팩 회수통(4)과 회수통에 분리.삽입되는 차팩 배출용기(5),회수통이 활주하여 삽입되는 회수통 외곽함(7),회수통를 활주시키는 구동모터(6)로 구성되며, 차팩 회수통(4)은 상부면이 개구된 내부 회전망(4a)를 갖춘 원형탈수기 형태에 별도의 차팩 배출용기(5)가 삽입되는 이중 구조로 형성되며 차팩 배출용기(5)는 차팩 이송통(8)에서 자중으로 낙하되는 차팩을 수용할수 있는 규격으로 상부면이 개구되고 가장자리 및 바닥면이 타공된 원형의 구조로 차팩 회수통(4)에서 착탈이 편리하도록 접힘식의 손잡이(5a)를 상단부에 취부하고 차팩 배출용기(5)의 가장자리 일정지점에 내부 회전망(4a)에 삽입 될수있는 돌출부(5b)를 형성시켜 내부 회전망(4a)의 함몰부에 결합하여 내부 회전망(4a)이 회전할시 내부 회전망(4a)으로 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차팩 회수통(4)의 하단부에 내부 회전망(4a)과 결합된 탈수용 회전모터(4b)가 장착되고, 내부 회전망(4a)에서 탈수시 생성되는 퇴수를 출수하기 위한 배수관(4c)이 연통되며 배수관(4c)은 PVC소재의 주름관으로 구성하며, 차팩 회수통(4)이 본 장치 외부로 방출 되었을시 배수관(4c)이 이탈되지 않는 일정길이를 갖도록 하고 차팩 회수통(4) 하단부 양밑면에 회수통 외곽함(7)하단 내 양면에 설치된 슬라이딩 레일(7b)을 따라 활주 할수있는 프레임 롤러(4d)를 장착하여 상하 및 일측면이 개구되고 차팩 회수통(4)을 수용 할수있는 "ㄷ"형상의 규격으로 프레임 선반(6c)에 고정 설치된 회수통 외곽함(7)에 삽입한다.
회수통 외곽함(7)은 차팩 이송통(8)의 열림망(8e)에서 직각으로 돌출된 열림망 바(8d)를 하강 시키기 위해 회수통 외곽함(7) 일측 상단부 중심에서 열림망 바(8d)의 높이에 상응하는 수직길이를 가지고 열림망 바(8d)와 마주보는 일면에 열림망 바(8d)가 하강 할수있는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된 외곽함 수직바(7a)를 구성한다.
회수통 외곽함(7)이 고정된 프레임 선반(6c) 하단부 일정지점에 차팩 회수통(4)을 활주 시키는 회수통 구동모터(6)를 장착하고 이단의 제1,제2접힘바(6a,6b)를 차팩 회수통(4) 하단부 내측면 중심 일정지점과 구동모터(6)의 구동점에 연결 장착하여 차팩 회수통(4)이 구동모터(6)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딩 레일(7b)을 따라 활주할수 있도록 한다. 이때 구동모터(6)의 90도 회전에 의해 회수통 이단접힘바(6a,6b)의 펼친 길이는 차팩 회수통(4)의 일정부분(7c)이 회수통 외곽함(7)에 삽입 되어있는 상태로 본 장치 외부로 방출되어 내부에 삽입된 배출용기(5)가 손잡이(5a)에 의해 탈착 될수있는 공간을 확보한 거리에 비례하고, 반대로 회수통 구동모터(6)의 90도 회전에 의해 이단의 제1,제2접힘바(6a,6b)의 접힘 길이는 차팩 회수통(4)이 슬라이딩 레일(7b)을 따라 활주하여 차팩 회수통(4) 외측면 끝선단이 회수통 외곽함(7) 외측면 끝선단과 일치한 지점까지 완전히 삽입된 거리에 상응 하도록 하여 차팩 회수부의 실시를 완성한다.
다음은 음용차를 공급하는 차 공급부에 대해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음용차를 공급하는 차 공급부는 차팩을 이용하여 차를 끓이는 차팩 가열탱크(12),가열탱크에서 끓인차를 공급받아 일정온도로 유지시켜 콕크(16f,17f)을 통해 음용차를 공급하는 저장탱크(16,17)로 구성되며, 차를 끓이는 차팩 가열탱크(12)는 상하 구동모터(10)에 의해 수직으로 상하 작동하는 차팩 이송통(8)이 삽입 될수있는 상부면 일정지점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일정량의 음용수를 수용할수 있는 사면이 밀폐된 박스형상의 규격에 상단부 일정지점에 Solenoid Valve 즉 전자변(15)이 장착된 소정규격의 입수관이 연통 되도록 하며 입수관에 수평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음용차 가열시 발생하는 증기를 배출 시킬수 있는 배출관(3)이 연통되도록 한다
가열탱크(12)의 밑면에 일정각의 경사면을 형성 시킨후 경사각의 꼭지점 일정지점에 저수위 센서(12a)를 부착하고 만수위 센서(12b)는 상부면 개구부 인근에 부착하며, 저장탱크(16,17)로 연결되는 공급관은 경사면 최상단 꼭지점에서 일정거리 이격한 지점에 전자변(13)을 장착하여 연통시켜 혹 발생 할수있는 차팩의 부산물이 저장탱크(16,17)로 공급 되는것을 방지한다,
퇴수로 연결되는 배수관은 경사면 최하단 끝지점에 전자변(14)을 장착하여 연통시켜 세척 또는 퇴수시 이물질의 배출이 원활하도록 하며 가열탱크(12)의 하단부에는 전기 가열판(12d)을 내장하고 전면 중심 일정지점에 온도 감지센서(12c)를 부착하여 프레임 선반(6c)에 설치한다.
가열탱크가 설치된 프레임 선반(6c) 하단에 일정량의 음용차를 수용할수 있는 사면이 밀폐된 박스형상의 규격에 내부 밑면은 일정각의 경사면을 형성 시킨후 전기 가열판(16d)을 내장한 온수 저장탱크(16)와 냉각판(17d)을 내장한 냉수 저장탱크(17)를 설치하여 자중에 의해 가열탱크(12)의 음용차가 각 저장탱크로 공급되도록 한다.
온수 저장탱크(16) 상단부에 가열탱크(12)에서 출수 전자변(13)을 통해 공급되는 공급관에 별도 입수 전자변(13a)을 장착하여 입수관을 연통시키고 상단부 일정지점에 상수위 센서(16a)와 하단 경사각의 꼭지점 일정지점에 하수위 센서(16b),하수위 센서와 동등한 높이에 온도 감지센서(16c)를 구비하고 하단 경사면 최상단 꼭지점에서 일정거리 이격한 지점에 콕크(16f)를 통해 음용차가 공급되는 공급관(16e)를 연통시키며 경사면 최하단 끝지점에 수동 배수장치(16g)가 장착된 배수관을 연통시킨다.
냉수 저장탱크(17) 역시 상단부에 가열탱크(12)에서 출수 전자변(13)을 통해 공급되는 공급관에 별도 입수 전자변(13b)을 장착하여 입수관을 연통시키고 상단부 일정지점에 상수위 센서(17a)와 하단 경사각의 꼭지점 일정지점에 하수위 센서(17b),하수위 센서와 동등한 높이에 온도 감지센서(17c)를 구비하고 하단 경사면 최상단 꼭지점에서 일정거리 이격한 지점에 콕크(17f)를 통해 음용차가 공급되는 공급관(17e)를 연통시키며 경사면 최하단 끝지점에 수동 배수장치(17g)가 장착된 배수관을 연통시켜 차 공급부의 실시을 완성한다.
상기와 같이 실시된 차팩 투입부,차팩 이송부,차팩 회수부,차 공급부를 연동시켜 도 1,2,3,4,5,7,8,9 및 도10를 참조하여 음용차 자동 공급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본 장치는 차팩 이송통(8)이 차팩 가열탱크(12)에 삽입 되어있고 장치의 모든 전자변(13,13a,13b,14,15,)은 폐쇄된 상태로 실시 완성되며, 먼저 본 장치에 전원을 투입한후 조작부(20)의 전원 스위치(20a)를 켜면 차팩 가열탱크(12)의 저수위 센서(12a),온수 저장탱크(16)의 상수위 센서(16b),냉수 저장탱크(17)의 상수위 센서(17b)가 수위가 없음을 감지하여 각각 콘트롤부(21)로 인가하고 콘트롤부(80)는 온수 저장탱크(16)의 입수 전자변(13a),냉수 저장탱크(17)의 입수 전자변(13b)을 개방하고, 가열탱크(12)의 퇴수관 전자변(14)을 개방한후 약 5초후 입수관 전자변(15)을 개방시켜 가열탱크(12)내부를 세척하며 약20초후 입수관 전자변(15)을 폐쇄하고, 퇴수관 전자변(14)를 폐쇄시킨다.
가열탱크(12) 퇴수관 전자변(14)의 개방 동작과 동시에 차팩 이송부의 이송통 승강모터(10)를 작동 이송통(8)을 수직 상승시켜 가열탱크(12)에서 탈출 되도록 하며, 이때 이송통의 덮개(8a)는 이단 접힘바(9,9a)와 덮개 프레임바(8b)의 연동에 의해 개방된다.
상하 구동모터(10)의 작동이 완료되면, 콘트롤부(21)는 이송통 회전모터(11)를 작동시켜 차팩 이송통(8)을 차팩 회수통(4)중심점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차팩 이송통(8)의 열림망 바(8d)는 차팩 외곽함(7)의 수직바(7a)에 의해 하강하고 직각으로 연결된 열림망(8e)이 고정망(8f)에서 이탈되어 회전 개방되며 회전모터(11) 일측에 장착된 센서바(11c)는 제1접점 센서(11a)에서 단락되고 제2접점 센서(11b)에 접촉된다.
약 5초 경과후 콘트롤부(21)은 다시 이송통 회전모터(11)를 작동시켜 이송통(8)을 차팩 가열탱크(12)개구부 중심점으로 역회전 시키고, 차팩 이송통(8)의 열림망 바(8d)는 차팩 외곽함 (7)의 수직바(7a)에서 이탈되어 자중으로 상승하고,직각으로 연결된 열림망(8e)은 고정망(8f)에 결합된다. 이때 회전모터(11)일측에 장착된 센서바(11c)가 제2접점 센서(11b)에서 단락 되고, 제2접점 센서(11b)는 단락 신호를 콘트롤부(21)에 인가하며 콘트롤부(21)는 차팩 회수부의 회수통(4) 하단에 장착된 탈수용 회전모터(4b)를 동작시켜 약10초간 작동시킨다.
역회전 한 센서바(11c)는 제1접점 센서(11a)에 접촉되고, 제1접점 센서(11a)는 접점신호를 콘트롤부(21)에 인가하며 콘트롤부(21)는 차팩 수용판 회전모터(2d)를 작동시켜 차팩 투입판(2b)의 개구부와 일치하는 지점으로 차팩 수용칸(2a)이 한칸 이동 하도록 회전시킨다.
이때 차팩수용을 감지하지 못한 차팩 감지센서(2c)가 콘트롤부(21)에 인가 되면 "차팩을 투입하세요" 라는 음성알림 경보가 방송되고 콘트롤부는 수용판 회전모터(2d)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사용자는 차팩 투입부 커버(1)을 열고 일정량의 차팩을 수용칸(2a)에 투입한후 커버(1)을 닫으면 차팩수용을 감지한 감지센서(2c)가 콘트롤부(21)로 인가되어 수용판 회전모터(2d)를 작동시키고 수용칸(2a)에 있는 차팩은 차팩 투입판(2b) 개구부로 자중 낙하되어 수직 정렬된 차팩 이송통(8) 내부에 투입된다. {동작중 커버(1)가 열리면 커버열림 감지센서(1a)작동에 의해 수용판 회전모터(2d)의 작동은 일시 정지된다}
수용판 회전모터(2d)의 정상작동이 완료되면, 콘트롤부(21)는 이송통 승강모터(10)를 작동 차팩이 수용된 이송통(8)을 수직 하강시켜 가열탱크(12)의 상단면 개구부에 삽입한다, 이때 이송통 이단 접힘바(9,9b)는 접혀지고 닫힘 스프링(8c)의 장력에 의해 이송통의 덮개(8a)가 닫혀진다.
이송통 승강모터(10)의 작동이 완료되면, 콘트롤부(21)는 가열탱크(12)의 입수관 전자변(15)을 개방시켜 입수관을 통해 직수을 유입시킨다. 유입된 직수가 만수위 센서(12b)에 도달하면 만수위 센서(12b)는 콘트롤부(21)로 인가되어 입수관 전자변(15)를 폐쇄시키고 가열탱크(12)의 가열판(12d)를 작동시켜 가열한다.
수온이 물의 끓는점 90~100℃에 도달하면 가열탱크 온도센서(12c)는 콘트롤부(21)로 인가되고 콘트롤부(21)는 가열판(12d)의 전력을 낮추어 물의 온도를 약 60~70℃정도 떨어뜨려 15분간(기본설정값) 지속시켜 차팩의 성분이 충분히 우러나오게 한후 가열판(12d)의 작동을 중지 시킨다. {이때 조작부(20)의 타임 조절버턴(20b)에 의해 설정된 값이 있으면 타임 조절버턴 (20b)의 설정값에 따라 가열판(12d)의 작동이 결정된다}
가열판(12d)의 작동이 완료되면 콘트롤부(21)로 인가되고 콘트롤부(21)는 가열탱크 출수 전자변(13)을 개방하여, 사전 개방되어 있는 온수 저장탱크 입수전자변(13a),냉수 저장탱크 입수전자변(13b)를 통해 온수 저장탱크(16)와 냉수 저장탱크(17)로 음용차가 공급된다.
온수,냉수탱크의 수위가 각각의 상수위 센서(16a,17a)에 도달하면 각각의 상수위 센서(16a,17a)는 콘트롤부(21)로 인가되고 콘트롤부(21)는 온수탱크 입수전자변(13a)과 냉수탱크 입수전자변(13b)를 폐쇄 시키고 온수탱크의 가열판(16d)과 냉수탱크의 냉각판(17d)를 가동시켜 조작부(20)의 온수탱크의 온도조절버턴(20c),냉수탱크의 온도조절버턴(20d)에 의해 설정된 각각의 온도(+℃,-℃)로 유지 지속시킨다. {가열판 과 냉각판의 작동 구성은 이미 선행기술로 실시되고 있으므로 별도 설명을 생략한다} 온수탱크(16)와 냉수탱크(17)에 저장된 음용차는 각각의 콕크(16f, 17f)를 통해 공급되고, 공급으로 인해 온수,냉수탱크(16,17)의 수위가 각각의 상수위 센서 (16a,17a)에서 하강하면 각각의 상수위 센서(16a,17a)는 콘트롤부(21)로 인가되고 콘트롤부(21)는 각각의 입수 전자변(13a,13b)를 개방하여 가열탱크(12)의 음용차를 유입시켜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시킨다.
이때 가열탱크(12)의 출수전자변(13)이 폐쇄되어 온수,냉수탱크(16,17)의 수위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지 못하고 하향하여 각각의 하수위 센서(16b,16b)까지 도달하면 각각의 하수위 센서(16b,17b)는 콘트롤부(21)로 인가되고 콘트롤부(21)는 온수 저장탱크의 가열판(16d)과 냉수 저장탱크의 냉각판(17d)의 작동을 중지시켜, 과열,과냉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이때 각탱크의 하수위 센서와 온도 센서는 동일선상에 위치하여야 한다.}
상기 가열탱크(12)의 수위가 하향하여 저수위 센서(12a)까지 도달하면 저수위 센서(12a)는 콘트롤부(21)로 인가되고 콘트롤부(21)는 가열탱크(12)의 출수 전자변(13)을 폐쇄하고, 퇴수관 전자변(14)을 개방하여 남아있는 일정량의 음용차의 잔여물을 퇴수 시키고 약 5초후 입수관 전자변(15)을 개방시켜 가열탱크(12)내부를 세척하며 약20초후 입수관 전자변(15)을 폐쇄한후 퇴수관 전자변(14)를 폐쇄시킨다.
가열탱크(12) 퇴수관 전자변(14)의 개방 동작과 동시에 이송통 승강모터(10)를 작동 이송통(8)을 수직 상승시켜 가열탱크(12)에서 탈출 시킨후 이송통 회전모터(11)를 작동시켜 차팩 이송통(8)을 차팩 회수통(4)중심점으로 회전시키며 이송통의 열림망(8e)은 열림망 바(8d)와 차팩 외곽함(7)의 수직바(7a)의 연동에 의해 고정망(8f)에서 이탈되어 회전 개방되며 차팩 이송통(8)내부에 있는 차팩은 자중 낙하하여 차팩 회수통(4)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차팩 배출용기(5)에 투하된다.
약 5초 경과후 콘트롤부(21)는 다시 이송통 회전모터(11)를 작동시켜 이송통(8)을 차팩 가열탱크(12)개구부 중심점으로 역회전 시키며 차팩 이송통(8)의 열림망(8e)은 고정망(8f)에 결합된다. 이때 회전모터(11)일측에 장착된 센서바(11c)가 제2접점 센서(11b)에서 단락 되고, 제2접점 센서(11b)는 단락 신호를 콘트롤부(21)에 인가하며 콘트롤부(21)는 차팩회수부의 회수통(4)하단에 장착된 탈수용 회전모터(4b)를 동작시켜 약10초간 작동시켜 차팩에 남아있는 잔여물를 제거한다.
차팩 회수통(4)에 수용된 차팩의 량이 일정수준 이상이 감지되면 콘트롤부(21)로 인가시키고 콘트롤부(21)는 회수통 구동모터(6)를 90도 회전시키며 구동모터 구동점과 회수통 하단 내측 중심점에 연결된 회수통 이단의 제1,제2접힘바(6a,6b)가 펼처저 회수통(4)은 회수통 외곽함(7)의 슬라이딩 레일(7b)를 활주하여 본 장치 외부로 방출되고 콘트롤부(21)는 "통을 비워주세요"라는 음성알림 경보를 방송한다.
사용자는 알림 경보에 따라 차팩 회수통(4)에 삽입되어 있는 차팩 배출용기(5)의 손잡이(5a)를 사용하여 배출용기(5)를 회수통(4)에서 분리시켜 차팩을 배출한후 다시 회수통(4)에 삽입시키고 차팩 회수통(4)을 본 장치 내부로 밀어 넣어준다. 이때 차팩 회수통(4)이 방출되어 있을경우 콘트롤부(21)는 차팩 이송통(8)의 이송통 회전모터(11)를 차팩 회수통(4)방향으로 회전 작동하지 못하도록 정지시킨다. {회수통(4)에 수용되는 차팩의 일정량 감지방법은 이미 각 세탁기에 적용되고 있는 선행기술임으로 별도의 감지설명을 생략한다}
역회전 한 센서바(11c)는 제1접점 센서(11a)에 접촉되고 제1접점 센서(11a)는 접점신호를 콘트롤부(21)에 인가하며 콘트롤부(21)는 차팩 수용판 회전모터(2d)를 작동시켜 차팩 투입판(2b)의 개구부와 일치하는 지점으로 차팩 수용칸(2a)이 한칸 이동 하도록 회전시켜 수용칸(2a)에 있는 차팩을 차팩 투입판(2b) 개구부를 통해 수직 정렬된 차팩 이송통(8)내부로 투입한다. 수용판 회전모터(2d)의 정상작동이 완료되면, 콘트롤부(21)는 이송통 승강모터(10)를 작동시켜 이송통(8)을 가열탱크(12) 상단면 개구부에 삽입시키고, 가열탱크(12)의 입수관 전자변(15)을 개방시켜 입수관을 통해 직수를 유입시킨다.
유입된 직수가 만수위 센서(12b)에 도달하면 만수위 센서(12b)는 콘트롤부(21)로 인가되어 입수관 전자변(15)를 폐쇄시키고 가열탱크(12)의 가열판(12d)를 작동시켜 가열한다. 가열판(12d)의 작동이 완료되면 콘트롤부(21)로 인가되고 콘트롤부(21)는 가열탱크 출수 전자변(13)을 개방하여 온수탱크 입수 전자변(13a),냉수탱크 입수 전자변(13b)를 통해 음용차를 온수 저장탱크(16)와 냉수 저장탱크(17)로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외부로 공급되는 음용차의 량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하여 지속적인 음용차를 공급한다. 본 장치의 부품교체등에 따른 A.S사항 발생시를 대비하여 본 장치 내부 일점지점에 A.S용 작동버턴을 구비하여 필요시 A.S버턴을 작동 시키면, 가열탱크(12)의 퇴수 전자변(14)이 개방되고 일체의 다른 전자변은 폐쇄되며 차팩 이송통(8)은 차팩 회수통(4)으로 이동한후 열림망(8e)이 열린 상태로 정지되고 전원은 자동 차단되도록 한다. 가열탱크(12)의 음용차를 모두 퇴수 시키고, 필요에 따라 각 저장탱크의 수동 배수장치(16g,17g,19i)를 작동 배수시켜 각 저장탱크의 음용차를 모두 배출 시킬수 있도록 하여 각종 센서등의 부품교체 작업이 원활하도록 한다. A.S가 끝난후 조작부(20)의 전원스위치(20a)을 작동시키면 본 장치는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본 장치에 공급되는 공급수는 직수(수돗물)을 원칙으로 하나 필요에 따라 정수수를 공급할수도 있으며, 별도로 정수필터를 사용 정수한 음용수를 음용수 저수탱크(18),음용수 온수탱크(19),음용수 온수콕크(19g)를 통해 공급할수 있도록 하여 일반차(커피,율무등)의 음용이 가능토록 구비 할수있다. {본 장치의 가열탱크(12) 수용량은 차팩 1개에 부합하는 약3리터가 적정하고 온수탱크(16)및 냉수탱크(17)의 수용량은 지속적인 음용차 공급을 위해 각각 4.5리터가 적합하며, 초기 작동시 각 저장탱크(16,17)의 만수위를 위해 연속동작이 4회 지속된다}
1:차팩 투입부 커버, 1a:커버열림 감지센서, 2:차팩 수용판,
2a:차팩 수용칸, 2b:차팩 투입판, 2c:차팩 감지센서,
2d:차팩 수용판 회전모터, 3:증기 배출관, 3a:퇴수관, 4:차팩 회수통,
4a:내부 회전망, 4b:탈수용 회전모터, 4c:배수관, 4d:프레임롤러,
5:차팩 배출용기, 5a:배출용기 손잡이, 5b:배출용기 톨출부, 5c:차팩,
6:회수통 구동모터, 6a.6b:회수통 이단 접힘바, 6c:프레임 선반,
7:회수통 외곽함, 7a:외곽함 수직바, 7b:슬라이딩 레일, 8:차팩 이송통,
8a:이송통 덮개, 8b:덮개 프레임바, 8c:닫힘 스프링, 8d:열림망 바,
8e:열림망, 8f:고정망, 8g:접합부, 8h:경첩형 원형관,
9.9a:이송통 이단접힘바, 10:이송통 승강모터, 10a:이송통 원형바,
10b:원형관 받침대, 11:이송통 회전모터, 11a:제1접점 센서,
11b:제2접점 센서, 11c:센서바, 11d:상하 구동모터 원형바,
12:차팩 가열탱크, 12a:가열탱크 저수위센서, 12b:가열탱크 만수위센서,
12c:가열탱크 온도센서, 12d:가열탱크 가열판, 13:가열탱크 출수전자변,
13a:온수탱크 입수전자변, 13b:냉수탱크 입수전자변, 14:퇴수전자변,
15:가열탱크 입수전자변, 15a:가열탱크 입수관, 16:온수 저장탱크,
16a:온수탱크 상수위센서, 16b:온수탱크 하수위센서, 16c:온수탱크온도센서,
16d:온수탱크 가열판, 16e:온수탱크 공급관, 16f:음용차 온수콕크,
16g:온수탱크 수동배수장치, 17:냉수 저장탱크, 17a:냉수탱크 상수위센서,
7b:냉수탱크 하수위센서, 17c:냉수탱크온도센서, 17d:냉수탱크 냉각판,
17e:냉수탱크 공급관, 17f:음용차 냉수콕크, 17g:냉수탱크 수동배수장치,
18:음용수 저수탱크, 18a:정수음용수 유입관, 19:음용수 온수탱크,
19a:온수탱크 입수전자변, 19b:온수탱크 상수위센서,
19c:온수탱크 하수위센서, 19d:온수탱크 온도센서, 19e:온수탱크 가열판,
19f:음용수 공급관, 19g:음용수 온수콕크,
19i:음용수 온수탱크 수동배수장치, 20:조작부, 20a:전원스위치,
20b:가열탱크 타임 조절버턴, 20c:온수탱크 온도 조절버턴,
20d:냉수탱크 온도 조절버턴, 20e:음용수 온도 조절버턴,
20f:액정표시창(LCD), 20g:스피커, 21:콘트롤부.

Claims (4)

  1. 디스크 형상으로서 상면, 하면 및 가장자리가 개구된 차팩 수용칸(2a)이 다수개 형성된 차팩 수용판(2)과, 상기 차팩 수용판(2)이 내설되고 상기 차팩 수용칸(2a)과 대응되는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된 차팩 투입판(2b) 및 상기 차팩 수용판(2)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회전모터(2d)로 이루어진 차팩 투입부;
    상기 차팩 투입부로부터 낙하되는 차팩이 수용되는 차팩 이송통(8)과, 상기 차팩 이송통(8)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송통 승강모터(10)와, 상기 차팩 이송통(8)을 회전시키는 이송통 회전모터(11)로 이루어진 차팩 이송부;
    상기 차팩 이송통(8)이 삽입되어 차팩을 우려내는 차팩 가열탱크(12)와 상기 차팩 가열탱크(12)에서 우려낸 차를 일정온도로 유지시켜주는 저장탱크(16, 17)로 이루어진 차공급부; 및
    상기 차팩 이송통(8)으로부터 낙하하는 차팩을 수집하여 저면에 설치된 회전모터(4b)에 의해 차팩에 남아 있는 물을 탈수하는 회전망(4a)으로 이루어진 차팩 회수통(4)을 구비하는 차팩 회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차 자동 공급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팩 회수부는 상기 차팩 회수통(4)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레일(7b)이 설치된 회수통 외곽함(7)과, 서로 힌지결합되는 제1접힘바(6a)와 제2접힘바(6b)가 접철되도록 하여 상기 차팩 회수통(4)이 상기 슬라이딩 레일(7b)을 따라 활주하여 회수통 외곽함(7)의 내외부로 출몰하도록 작동하는 회수통 구동모터(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차 자동 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공급부의 저장탱크(16, 17)는 전기 가열판(16d)이 내장되어 상기 차팩 가열탱크(12)에서 우려낸 찻물을 일정온도로 저장하는 온수저장탱크(16)와, 전기 냉각판(17d)이 내장되어 상기 차팩 가열탱크(12)에서 우려낸 찻물을 일정온도로 저장하는 냉수저장탱크(1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차 자동 공급장치.
KR1020110047255A 2011-05-19 2011-05-19 음용차 자동 공급장치 KR101123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255A KR101123544B1 (ko) 2011-05-19 2011-05-19 음용차 자동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255A KR101123544B1 (ko) 2011-05-19 2011-05-19 음용차 자동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830A KR20110059830A (ko) 2011-06-07
KR101123544B1 true KR101123544B1 (ko) 2012-03-12

Family

ID=44394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255A KR101123544B1 (ko) 2011-05-19 2011-05-19 음용차 자동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5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598B1 (ko) * 2012-04-13 2014-12-30 샤오티안 (종샨)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지능형 항온 차 우림기 및 차 우림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563B1 (ko) * 2012-10-24 2016-03-07 컨벡스코리아(주) 리셉터클 보관부를 구비한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
CN105231823A (zh) * 2015-10-10 2016-01-13 广西大美电器有限公司 一种带有自动沏茶功能饮水机
CN107252251A (zh) * 2017-05-31 2017-10-17 靖西市秀美边城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矿化饮水装置
CN107252252A (zh) * 2017-05-31 2017-10-17 靖西市秀美边城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饮水机
CN107259993A (zh) * 2017-05-31 2017-10-20 靖西市秀美边城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语音识别饮水机
CN209951060U (zh) * 2019-03-28 2020-01-17 张文丞 一种智能萃取饮料冷却机
CN114229224B (zh) * 2021-11-15 2024-05-03 江苏上福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密封效果好的eps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6788U (ko) 1985-11-14 1987-06-20
KR200244814Y1 (ko) * 2001-05-22 2001-10-15 김성찬 음용수 및 음용차 제공 장치
KR20050034251A (ko) * 2003-10-09 2005-04-14 장주원 티백 자동공급장치
KR20100049965A (ko) * 2008-11-04 2010-05-13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천연 차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6788U (ko) 1985-11-14 1987-06-20
KR200244814Y1 (ko) * 2001-05-22 2001-10-15 김성찬 음용수 및 음용차 제공 장치
KR20050034251A (ko) * 2003-10-09 2005-04-14 장주원 티백 자동공급장치
KR20100049965A (ko) * 2008-11-04 2010-05-13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천연 차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598B1 (ko) * 2012-04-13 2014-12-30 샤오티안 (종샨)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지능형 항온 차 우림기 및 차 우림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830A (ko) 201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3544B1 (ko) 음용차 자동 공급장치
US20140037794A1 (en) Disposable flavor insert for water dispenser
US20110239870A1 (en) Brewed Beverage Maker
JP5355567B2 (ja) 飲料製造装置においてカップ又は他の容器を支持する表面を2つ有する支持部
US20110072979A1 (en) Portable automatic beverage brewing drinking vessel
MX2008002255A (es) Dispositivos para el percolado de bebidas.
KR100633466B1 (ko) 다양한 종류의 밥을 지을 수 있는 자동취사장치
US20080178742A1 (en) Built-In Coffee Machine And Related Activation Process
US8992773B2 (en) Mobile oil filtration unit
CN108402907B (zh) 一种大容量智能一体式直饮水机
KR101152273B1 (ko) 세척기능을 갖는 전자동 전기압력밥솥
KR20210118427A (ko) 쓰레기 분리수거 장치
CN203647097U (zh) 自动泡茶机
WO2001065985A2 (en) Beverage brewing apparatus having automatic and semi-automatic brewing modes
RU2516862C2 (ru) Фильтров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CN110840259B (zh) 一种原液式茶水自动冲泡机
KR20100117252A (ko) 원액 추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액 추출방법
KR101595475B1 (ko) 아메리카노 커피 공급 기능을 구비한 음료 추출 장치 일체형 정수기
KR20170042172A (ko) 다기능 자동 젖병 살균장치
JP2002224578A (ja) 粒体気流搬送装置及び同装置を用いた自動洗米装置
CN218673004U (zh) 一种炒烤一体机
CN220543408U (zh) 一种自助茶水售卖机
CN214752066U (zh) 一种饮品自动售卖机
CN212438288U (zh) 一种现磨咖啡机
CN215532567U (zh) 一种具有茶叶渣回收功能的茶艺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