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9539B1 -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 Google Patents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9539B1
KR100599539B1 KR1020040116705A KR20040116705A KR100599539B1 KR 100599539 B1 KR100599539 B1 KR 100599539B1 KR 1020040116705 A KR1020040116705 A KR 1020040116705A KR 20040116705 A KR20040116705 A KR 20040116705A KR 100599539 B1 KR100599539 B1 KR 100599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sk engine
digital signal
signal processor
task
ds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6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8037A (ko
Inventor
최종찬
이승은
정용무
신대교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116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9539B1/ko
Publication of KR20060078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8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76Architectures of general purpose stored program computers
    • G06F15/78Architectures of general purpose stored program computers comprising a single central processing unit
    • G06F15/7839Architectures of general purpose stored program computers comprising a single central processing unit with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76Architectures of general purpose stored program computers
    • G06F15/78Architectures of general purpose stored program computers comprising a single central processing unit
    • G06F15/7807System on chip, i.e. computer system on a single chip; System in package, i.e. computer system on one or more chips in a single pack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06F9/38Concurrent instruction execution, e.g. pipeline or look ahead
    • G06F9/3836Instruction issuing, e.g. dynamic instruction scheduling or out of order instruction execution
    • G06F9/3851Instruction issuing, e.g. dynamic instruction scheduling or out of order instruction execution from multiple instruction streams, e.g. multistrea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Advan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로서, 특정 태스크 수행을 빠르게 처리하기 위한 태스크 엔진과, 상기 태스크 엔진과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의 시스템 버스와의 데이터 통신을 중개하는 SRR(software routing register)과, 상기 태스크 엔진에 대해서 데이터 경로에 대한 연산을 제공하는 데이터 경로부와,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내부의 로직을 제어하는 DSP 제어부와, 중앙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DSP 코어와, 상기 시스템 버스를 통하여 상기 DSP 코어와 상기 DSP 제어부에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공유 메모리와, 상기 시스템 버스를 통하여 상기 태스크 엔진과의 데이터 입출력을 수행하는 메모리 뱅크를 포함하는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DSP 구조가 전체적으로 인스트럭션 세트와 연계된 아키텍쳐로 구성되어 있어서 MAC 변형이나 다른 기능의 추가에 한계가 있던 문제점을 개선하여 태스크 엔진을 DSP 내의 MAC 연산부와 연계 구현하여 DSP의 성능을 높이면서 태스크 엔진의 파라미터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재구성가능한 기능을 가진다.
DSP, 태스크 엔진, SRR(software routing register), RISC, 데이터 경로, 재구성가능(reconfigurable), PCMCIA 카드, 커넥터, RFU

Description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RECONFIGURABLE DIGITAL SIGNAL PROCESSOR BASED ON TASK ENGIN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의 예시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의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제어 유닛 120: 어드레스 생성 유닛
130: 데이터 연산 유닛 140: 메모리
150: 프로그램 버스 160: 데이터 버스
210: DSP 코어 220: 공유 메모리
230: DSP 제어부 240: 데이터 경로부
250: SRR 260: 태스크 엔진
265a 내지 265d: 태스크 엔진 270: 메모리 뱅크
280: 커넥터
본 발명은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DSP 구조가 전체적으로 인스트럭션 세트와 연계된 아키텍쳐로 구성되어 있어서 MAC 변형이나 다른 기능의 추가에 한계가 있던 문제점을 개선하여 태스크 엔진을 DSP 내의 MAC 연산부와 연계 구현하여 DSP의 성능을 높이면서 태스크 엔진의 파라미터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재구성가능한 기능을 가지는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 관한 것이다.
DSP(digital signal processor)는 디지털 신호를 하드웨어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집적회로로서, 주로 디지털 신호를 고속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덧셈, 뺄셈, 곱셈 등의 반복 연산을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는 회로를 채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DSP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시되듯이 종래의 DSP는 제어 유닛(110), 어드레스 생성 유닛(120), 데이터 연산 유닛(130)과 메모리(140)를 포함하고 있으며, 데이터 버스(160) 및/또는 프로그램 버스(150)를 채택하여 데이터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교환을 수행한다.
제어 유닛(110)은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포함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메모리(140)로부터 로딩하여 디코딩한 후 어드레스 생성 유닛(120), 데이터 연산 유닛(130)에 전송하여 인스트럭션에 해당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며, 이를 위해서 프로그램 카운터, 인스트럭션 레지스터, 인스트럭션 디코더 등의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반복적인 연산의 처리를 위해 루프 제어(loop control)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중(multiple) 버스 구조를 포함하여 둘 이상의 오퍼랜드(operand)를 동시에 불러올 수 있는 구조를 취하는 경우도 있다.
어드레스 생성 유닛(120)은 제어 유닛(120)으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어드레스를 생성한다.
데이터 연산 유닛(130)은 제어 유닛(120)으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어드레스를 생성한다. 이러한 작업 수행을 위해서 MAC(multiply and accumulation) 등의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메모리(140)는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제어 유닛(110), 어드레스 생성 유닛(120), 데이터 연산 유닛(130)과 데이터 버스(160) 및/또는 프로그램 버스(150)를 사용하여 통신한다.
데이터 버스(160)와 프로그램 버스(150)는 각각 데이터와 인스트럭션을 로딩하는 데 사용되며 제어 유닛(110)에서 동시에 데이터와 인스트럭션을 불러올 수 있도록 데이터 버스(160)와 프로그램 버스(150)로 분리되어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밖에도 종래의 DSP는 메모리 제어기, 온칩 RAM, 온칩 PLL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DSP는 인스트럭션 세트와 연계된 아키텍쳐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따라서 다른 기능의 추가에는 한계가 있다.
예컨대 신호 처리의 가장 기능적인 블록인 제어 유닛(110)에서 디코딩된 인스트럭션에 의해서 MAC은 가감승제 및 논리 연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기본적인 연산은 프로그램에 의해 반복 수행됨으로서 특정 용도의 기능을 수행하도 록 구성되어 있다.
태스크 엔진은 소프트웨어만으로는 그 성능을 구현하는 것이 어려운 태스크들을 수행하도록 별도의 하드웨어 논리로 설계하여 태스크 수행을 빠르게 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암호화 로직에서의 암호 처리, 통신 장치에서 OFDM 처리 등등의 태스크를 처리하는 태스크 엔진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특정한 태스크(task)를 수행하는 태스크 엔진이 DSP 내에 집적되기 위해서는 태스크 엔진에 따라서 인스트럭션 세트 및 제어 유닛을 다시 설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 역시 갱신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태스크 엔진 역시 특정 용도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태스크 엔진을 사용하여 다용도의 프로그래머블 DSP로 활용하는 것 역시 한계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보다 고속의 성능을 얻으면서 일반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래머블(또는 재구성가능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MAC 이외의 특정 태스크 엔진을 DSP의 내부 MAC 블록과 연계하여 구현함으로써 DSP의 성능을 높이며 동시에 태스크 엔진의 파라미터 설정을 가능하도록 하여 재구성가능한 디지털 신호프로세서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DSP 구조가 전체적으로 인스트럭션 세트와 연계된 아키텍쳐로 구성되어 있어서 MAC 변형이나 다른 기능의 추가에 한계가 있던 문제점을 개선하여 태스크 엔진을 DSP 내의 MAC 연산부와 연계 구현하여 DSP의 성능을 높 이면서 태스크 엔진의 파라미터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재구성가능한 기능을 가지는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로서, 특정 태스크 수행을 빠르게 처리하기 위한 태스크 엔진과, 상기 태스크 엔진과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의 시스템 버스와의 데이터 통신을 중개하는 SRR(software routing register)과, 상기 태스크 엔진에 대해서 데이터 경로에 대한 연산을 제공하는 데이터 경로부와,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내부의 로직을 제어하는 DSP 제어부와, 중앙 처리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SRR에 대해 접근하는 인스트럭션을 가지는 DSP 코어와, 상기 시스템 버스를 통하여 상기 DSP 코어와 상기 DSP 제어부에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공유 메모리와, 상기 시스템 버스를 통하여 상기 태스크 엔진과의 데이터 입출력을 수행하는 메모리 뱅크를 포함하는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 있어서, 상기 DSP 코어는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경로부는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내의 MAC에 따라 태스크 엔진이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 있어서, 상기 SRR은 상기 시스템 버스 상에서 읽기 또는 쓰기가 가능한 레지스터 파일이고 태스크 엔진으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 있어서, 상기 SRR은 다중화기(MUX) 구조를 부가하여 각 태스크 엔진에 대해서 포트 별로 설정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 엔진은 파라미터 설정에 의해서 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 있어서, 상기 SRR은 상기 태스크 엔진의 파라미터 설정을 위한 구성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 엔진은 FFT(Fast Fourier Transform)을 위한 태스크 엔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 있어서, 상기 DSP 코어는 상기 SRR에 대한 인터럽트를 처리하는 인터럽트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에 있어서, 상기 SRR의 크기 또는 개수는 상기 태스크 엔진의 필요성에 따라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 있어서, 외부 인터페이스 규격에 의해서 상기 시스템 버스에 연결되어 특정 태스크를 수행하는 외부 태스크 엔진과, 상기 외부 태스크 엔진과 상기 시스템 버스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 있어서, 상기 외부 태스크 엔진은 PCMCIA 규격에 의한 카드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고, 상기 커넥터는 PCMCIA 규격에 의한 커넥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시스템-온-칩(system-on-chip)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를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의 블록도이다.
도시되듯이 본 발명에 따른 DSP는, DSP 코어(210)와, 공유 메모리(220)와, DSP 제어부(230)와, 데이터 경로부(data path, 240)와, SRR(software routing register, 250)과, 태스크 엔진(260, 265a 내지 265c)과, 메모리 뱅크(270)를 포함한다. 또한 외부 태스크 엔진(265d)과 이를 위한 커넥터(280)를 더 포함할 수 있 다.
DSP 코어(210)는 중앙 처리장치 즉 CPU이며 아키텍쳐가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DSP 코어(210)의 인스트럭션 세트는 기본적으로 SRR(250)에 접근하는 인스트럭션 명령어만을 구비하고, 이를 내부 제어 유닛에 반영한다. 즉 DSP 코어(210) 측면에서는 태스크 엔진(260, 265a 내지 265c)에 직접 접속하여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SRR(250)에만 접속하고 SRR(250)에서 태스크 엔진(260, 265a 내지 265c)을 운영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DSP 코어(210)는 SRR(250)에 대한 인터럽트를 처리하는 인터럽트 프로토콜을 구현하고 있다.
공유 메모리(220)는 DSP 코어(210)와 DSP 제어부(230) 등이 공유하는 데이터 저장수단이다.
DSP 제어부(230)는 DSP 내부의 로직을 제어하는 제어부이다. DSP 제어부(230)에 의해서 공유 메모리(220)에 저장된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으며, 시스템 버스를 통하여 DSP 코어(210)와 데이터 경로부(240)와 SRR(250)과 태스크 엔진(260, 265a 내지 265c)과 메모리 뱅크(270)와 기타 외부 태스크 엔진(265d)과 커넥터(280)가 연결되는 경우 외부 태스크 엔진(265d)과 커넥터(280)까지를 제어할 수 있다.
데이터 경로부(240)는 데이터 경로를 제공하는 연산 모듈이다. 데이터 경로부(240)는 DSP의 일반적인 구조 중 MAC을 중심으로 한 데이터 경로 블록을 확장성을 고려하여 설계하는 것이다. 예컨대, 쿼드(Quad) MAC을 설계하는 경우 태스크 엔 진이 MAC의 연장선상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데이터 경로부(240)를 구성한다.
SRR(250)은 시스템 버스와 태스크 엔진(260, 265a 내지 265c) 사이의 통신을 수행한다. 즉 DSP의 시스템 버스와 태스크 엔진(260, 265a 내지 265c)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에는 SRR(250)을 사용하여 중개하는 것이다. SRR(250)은 DSP 시스템 버스 상에서 읽기/쓰기가 가능한 레지스터 파일을 기본으로 하며 출력 채널은 태스크 엔진(260, 265a 내지 265c)과의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SRR(250)은 다중화기(MUX) 구조를 부가하여 각 태스크 엔진에 대해서 포트 별로 설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SRR(250)은 태스크 엔진의 확장성을 고려하여 설계할 수 있다.
태스크 엔진(260)은 FFT(Fast Fourier Transform)을 위한 태스크 엔진이다.
태스크 엔진(265a 내지 265c)은 특정 태스크를 위한 태스크 엔진이다. 태스크 엔진(260, 265a 내지 265c)은 고정적인 모드가 아니라 파라미터 설정에 의해 모드를 변경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따라서 파라미터 설정을 위한 구성 레지스터가 있어야 하며 이는 SRR(250)에 포함될 수 있다. 태스크 엔진(260, 265a 내지 265c)은 RFU(resynchronous function unit)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SRR(250)의 MUX 설정 역시 구성 레지스터의 특성을 가지도록 설계한다. SRR(250)에 포함된 구성 레지스터를 통하여 태스크 엔진(260, 265a 내지 265c)의 파라미터 설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SRR(250)의 크기나 개수는 태스크 엔진의 필요성에 따라서 설계된다.
메모리 뱅크(270)는 메모리 어레이로서, 시스템 버스를 통하여 태스크 엔진 (265a 내지 265c) 등에 저장된 데이터를 입출력한다.
외부 태스크 엔진(265d)은 특정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태스크 엔진으로서 카드 형태로 저장되어 커넥터(280)를 통하여 시스템 버스에 연결된다. 외부 태스크 엔진(265d)은 또한 외부 I/O 커넥터(280)를 통하여 연동되도록 구성되며, 외부 I/O를 위한 SRR을 통하여 운영된다. 이러한 외부 태스크 엔진(265d)은 예컨대 PCMCIA 규격에 의한 카드에 포함되어서 I/O 커넥터를 통해 DSP 내부 연산과 연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PCMCIA 이외의 다양한 인터페이스 규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는 시스템-온-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구성이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재를 통하여 정하여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DSP 구조가 전체적으로 인스트럭션 세트와 연계된 아키텍쳐로 구성되어 있어서 MAC 변형이나 다른 기능의 추가에 한계가 있던 문제점을 개선하여 태스크 엔진을 DSP 내의 MAC 연산부와 연계 구현하여 DSP의 성능을 높이면서 태스크 엔진의 파라미터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재구성가능한 기능을 가진다.
즉 DSP의 성능을 특정한 응용 그룹 군에서 태스크 엔진을 사용하여 향상시킬 수 있으며, DSP 고유의 인스트럭션 세트 및 제어 로직의 수정을 최소화하면서도 태스크 엔진을 탑재할 수 있으며, 결선 블록(Hardwired block)을 임베딩(embedding)시키는 설계 방식을 구축할 수 있다.

Claims (13)

  1.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로서,
    특정 태스크 수행을 빠르게 처리하기 위한 태스크 엔진과,
    상기 태스크 엔진과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의 시스템 버스와의 데이터 통신을 중개하는 SRR(software routing register)과,
    상기 태스크 엔진에 대해서 데이터 경로에 대한 연산을 제공하는 데이터 경로부와,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내부의 로직을 제어하는 DSP 제어부와,
    중앙 처리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SRR에 대해 접근하는 인스트럭션을 가지는 DSP 코어와,
    상기 시스템 버스를 통하여 상기 DSP 코어와 상기 DSP 제어부에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공유 메모리와,
    상기 시스템 버스를 통하여 상기 태스크 엔진과의 데이터 입출력을 수행하는 메모리 뱅크
    를 포함하는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SP 코어는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구조인 것인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경로부는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내의 MAC에 따라 태스크 엔진이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인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RR은 상기 시스템 버스 상에서 읽기 또는 쓰기가 가능한 레지스터 파일이고 태스크 엔진으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인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RR은 다중화기(MUX) 구조를 부가하여 각 태스크 엔진에 대해서 포트 별로 설정이 가능한 것인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 엔진은 파라미터 설정에 의해서 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인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SRR은 상기 태스크 엔진의 파라미터 설정을 위한 구성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인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 엔진은 FFT(Fast Fourier Transform)을 위한 태스크 엔진을 포함하는 것인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SP 코어는 상기 SRR에 대한 인터럽트를 처리하는 인터럽트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것인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RR의 크기 또는 개수는 상기 태스크 엔진의 필요성에 따라 설계되는 것인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11. 제1항에 있어서,
    외부 인터페이스 규격에 의해서 상기 시스템 버스에 연결되어 특정 태스크를 수행하는 외부 태스크 엔진과,
    상기 외부 태스크 엔진과 상기 시스템 버스를 연결하는 커넥터
    를 더 포함하는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태스크 엔진은 PCMCIA 규격에 의한 카드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고,
    상기 커넥터는 PCMCIA 규격에 의한 커넥터인 것인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13. 시스템-온-칩(system-on-chip)으로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
KR1020040116705A 2004-12-30 2004-12-30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KR100599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705A KR100599539B1 (ko) 2004-12-30 2004-12-30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705A KR100599539B1 (ko) 2004-12-30 2004-12-30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8037A KR20060078037A (ko) 2006-07-05
KR100599539B1 true KR100599539B1 (ko) 2006-07-13

Family

ID=37170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6705A KR100599539B1 (ko) 2004-12-30 2004-12-30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95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8921A (zh) * 2019-07-24 2019-11-01 理工雷科电子(西安)有限公司 一种基于fpga控制的多任务动态重构处理系统和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42041A2 (en) 1990-01-18 1991-08-21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Integrated digital signal processor/general purpose CPU with shared internal memory
JPH1115660A (ja) 1997-06-20 1999-01-22 Sony Corp マイクロプロセッサ
US6075935A (en) 1997-12-01 2000-06-13 Improv Systems, Inc. Method of generating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using a programmable hardware architecture
KR20050039068A (ko) * 2003-10-23 2005-04-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알아이에스시와 디에스피의 듀얼 프로세서를 갖는 비디오신호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42041A2 (en) 1990-01-18 1991-08-21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Integrated digital signal processor/general purpose CPU with shared internal memory
JPH1115660A (ja) 1997-06-20 1999-01-22 Sony Corp マイクロプロセッサ
US6075935A (en) 1997-12-01 2000-06-13 Improv Systems, Inc. Method of generating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using a programmable hardware architecture
KR20050039068A (ko) * 2003-10-23 2005-04-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알아이에스시와 디에스피의 듀얼 프로세서를 갖는 비디오신호처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8037A (ko)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4423B2 (en) Computer system including reconfigurable arithmetic device with network of processor elements
US11232247B1 (en) Adaptable dynamic region for hardware acceleration
TW201530320A (zh) 資料處理裝置及半導體積體電路裝置
JP2001092662A (ja) プロセッサコア及びこれを用いたプロセッサ
KR20170141205A (ko) Dsp 엔진 및 향상된 컨텍스트 스위치 기능부를 구비한 중앙 처리 유닛
KR20200139525A (ko) Fpga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JPH05100948A (ja) 2乗演算を実行する速度改良型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200602774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ower saving in pipelined microprocessors
Leibson et al. Configurable processors: a new era in chip design
WO2014006451A1 (en) Data path configuration component,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KR100599539B1 (ko) 태스크 엔진 기반의 재구성가능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JP2013161484A (ja) 再構成可能コンピューティング装置、その第1メモリ制御器及び第2メモリ制御器、並びにそのデバッギング用のトレースデータを処理する方法
JP2006018411A (ja) プロセッサ
CN112486904A (zh) 可重构处理单元阵列的寄存器堆设计方法及装置
US20090063821A1 (en) Processor apparatus including operation controller provided between decode stage and execute stage
US200301208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memory read/write speed by using internal registers
US20100031002A1 (en) Simd microprocessor and operation method
US11966749B2 (en) Processor and booting method thereof
KR100737802B1 (ko) 모듈형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블록 및 이를 이용한시스템-온-칩
US11726936B2 (en) Multi-host direct memory access system for integrated circuits
EP1550950A1 (en) Semiconductor device
US20060101291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microprocessor
Morales-Velazquez et al. FPGA embedded single-cycle 16-bit microprocessor and tools
Vuletic et al. Virtual memory window for a portable reconfigurable cryptography coprocessor
JPH0926945A (ja) 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