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9395B1 - 삼 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삼 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9395B1
KR100599395B1 KR1020040019471A KR20040019471A KR100599395B1 KR 100599395 B1 KR100599395 B1 KR 100599395B1 KR 1020040019471 A KR1020040019471 A KR 1020040019471A KR 20040019471 A KR20040019471 A KR 20040019471A KR 100599395 B1 KR100599395 B1 KR 100599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red ginseng
extract
concentrate
dr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9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4292A (ko
Inventor
구영태
김성룡
김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농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농심 filed Critical 주식회사농심
Priority to KR1020040019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9395B1/ko
Publication of KR20050094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4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3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11Other article loading or unloa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2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2Fi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Landscapes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볶지 않은 홍삼 및 볶은 홍삼을 혼합하여 농축한 홍삼 농축액 0.02~0.5%(w/w), 인삼 농축액 0.02~0.5%(w/w) 및 정제수로 구성된 삼 음료와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홍삼액과 인삼액을 효과적인 조성비로 혼합하여 보리차나 생수 대용으로 거부감 없이 음용하여 홍삼의 기능성 성분을 간단하게 섭취할 수 있게 된다.
홍삼, 음료

Description

삼 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Ginseng Drinks and The Process for The Same}
본 발명은 볶지 않은 홍삼 및 볶은 홍삼을 혼합하여 농축한 홍삼 농축액 0.02~0.5%(w/w), 인삼 농축액 0.02~0.5%(w/w) 및 정제수로 구성된 삼 음료와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과다한 자외선 노출, 스트레스, 알코올, 과산화물 및 약물남용 등에 의해 일중항산소(singlet oxygen, 1O2), 슈퍼옥시드(O2 -), 수산화 라디칼(OH·), 과산화수소(H2O2) 등의 유해산소 또는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이 체내에 과다하게 생성되어 있다.
이들은 체내에서 세포의 주요 성분인 단백질, 핵산, 지질 등을 파괴해 세포기능에 결정적인 해악을 미칠 뿐 아니라 지질과 쉽게 결합하여 연쇄적으로 제 2의 산화를 유발시켜 여러 가지 자유 라디칼들과 산화 생성물을 생성하여 각종 질병과 부작용을 일으킨다.
인체의 몸에는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슈퍼 옥사이드 디스뮤타제(Super Oxide Dismutase, SOD)라는 생리활성 효소가 있지만, 산화에 대항하는 능력을 증가시키는 데 가장 효과적인 것은 항산화 물질(scavenger)을 다량 함유하는 식품을 섭취하는 방법이다.
한편, 인삼(ginseng)은 고대로부터 남녀의 모든 허증(虛症), 신체허약을 신속히 회복시켜주며 인체 오장육부의 기능을 보충하여 준다고 알려져 왔다. 인삼은 일반적으로 재배하여 채취한 그대로의 수삼, 수삼을 건조시킨 백삼 또는 수삼을 98∼100℃에서 가열 처리하여 제조되는 홍삼의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이들 중 홍삼에는 수삼이나 백삼 등 다른 인삼에는 들어있지 않은 노화억제성분(Maltol), 암세포 증식 억제 성분, 항종양성분(Ginsenoside Rh2), 암세포 전이 억제성분(Ginsenoside Rg3) 등 특수 성분과 다른 어떤 인삼보다 가장 많은 종류의 사포닌이 들어 있다. 사포닌이란 인삼의 여러 가지 유효성분 중 주된 약리 작용을 하는 진세노사이드라 불리는 성분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사포닌의 약리작용으로는 항종양작용, 항피로작용, 정신안정작용, 항염증작용, 노화억제작용 등 여러 가지 약리작용을 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따라서, 현재 국내에서는 노화억제, 항동맥경화, 고지혈증 개선, 간기능항진, 방사선장애 제거, 면역증강, 항혈전, 뇌기능항진, 항스트레스, 혈당강하, 혈압강하 및 항암효과 등의 효과를 가진 홍삼 관련 식품, 특히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진 홍삼 음료가 시판되고 있다. 주로 숙취해소와 건강 증진을 위한 음료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갈증해소를 위한 스포츠 음료에 관한 공개특허도 있다.
예를 들면, 특허1998-134024에는 '참다래 착즙액을 이용한 홍삼음료의 제조'에 대한 것으로 참다래를 주원료로 하고 홍삼, 감초, 과당을 첨가하여 만들거나 이에 3배 용량의 이산화탄소를 충진하여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공개특허 1985-0005757은 인삼엑기스에 사과엑기스를 첨가한 음료의 제조에 관한 것이 있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 제087163호에는 인삼, 오미자, 맥문동을 1:1:2의 비율로 혼합하고, 증류수로 80℃에서 4시간동안 2회 추출, 여과하고, 추출액을 100℃, 수은 23 밀리미터의 진공에서 브릭스(Brix) 20∼22까지 감압농축하고, 염화나트륨이나 염화칼륨 등 전해질을 첨가하여 삼투압이 260∼380 mOsm/kg 되도록 조절할 수 있는 생맥산과 전해질을 병용한 스포츠 음료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은 홍삼 및 인삼에 숙취 해소에 좋은 각종 한약재를 넣거나, 전해질 및 탄산을 첨가해 음료를 제조한 것이며, 이 때 맛이나 향을 위해 감미보조제로서 사과쥬스, 액상과당, 벌꿀, 안식향산 나트륨 및 펙틴 등을 사용한다.
한편, 가정에서는 보편적으로 보리차나 생수를 식수로서 이용하고 있으나, 급속한 사회 환경 변화에 따라 인체에 유익한 음료를 찾아 현재는 홍삼류를 가정에서 직접 만들거나 구매하여 끓여서 보리차처럼 식수의 형태로 음용하는 가정이 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홍삼 관련 음료수는, 생약재의 맛과 향이 강해 약으로 느껴져 거부감이 생기며 청량감이 떨어지고, 또한 감미보조제로 인해 단맛이 강해 물처럼 항시 음용하기에는 부담스러우며, 기존의 홍삼음료에 사용되는 홍삼 농축액은 주로 알코올추출법에 의한 것으로 물 추출법 보다 맛과 향미가 좋지 않고 홍삼 특유의 쓴맛이 강하게 느껴져 어린이나 젊은 층이 선호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리차와는 달리 가정에서 홍삼을 다려서 항시 음용하기란 경제적, 시간적으로 여의치 않으며, 홍삼의 경우 재탕, 삼탕하여 음용하는 경우가 많아 번거로운 가사노동으로 이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홍삼의 기능성 성분을 섭취하되 보리차나 생수 대용으로 거부감 없이 간단하게 음용할 수 있는 삼 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볶지 않은 홍삼 및 볶은 홍삼을 혼합하여 농축한 홍삼 농축액 0.02~0.5%(w/w), 인삼 농축액 0.02~0.5%(w/w) 및 정제수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삼 음료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볶지 않은 홍삼 및 볶은 홍삼을 혼합하여 추출한 홍삼 추출액 0.6~15%(w/w), 인삼 추출액 0.6~15%(w/w) 및 정제수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삼 음료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볶지 않은 홍삼과 85℃∼95℃에서 30~90분간 볶은 홍삼을 혼합하여 정제수를 홍삼대비 7배~8배로 가하고 90℃∼95℃에서 여러번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150㎛ 표준망체를 통과시켜 혼합한 후, 0℃∼4℃에서 냉각시키면서 침전물을 침강시키고, 상기에서 얻어진 상등액을 9,000rpm으로 연속식 원심분리하여 홍삼 추출액을 얻는 공정;
인삼에 정제수를 인삼 대비 7배~8배로 가하고 85∼90℃에서 여러번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혼합하여 0℃-4℃에서 냉각시키면서 침전물을 침강시킨 후 그 상등액을 9,000rpm으로 연속식 원심분리하여 인삼 추출액을 얻는 공정; 및
상기의 공정에서 얻은 홍삼 추출액 및 인삼 추출액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균질화하는 삼 음료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볶지 않은 홍삼과 85℃∼95℃에서 30~90분간 볶은 홍삼을 혼합하여 정제수를 홍삼대비 7배~8배로 가하고 90℃∼95℃에서 여러번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150㎛ 표준망체를 통과시켜 혼합한 후, 0℃∼4℃에서 냉각시키면서 침전물을 침강시키고, 상기에서 얻어진 상등액을 9,000rpm으로 연속식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원심분리액을 65℃이하의 감압농축기에서 고형분 45~50% 정도로 1차 농축시킨 후 95℃∼98℃의 상압농축 방식으로 2차 농축시켜 고형분 60% 이상의 홍삼 농축액을 얻는 공정;
인삼에 정제수를 인삼 대비 7배~8배로 가하고 85∼90℃에서 여러번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혼합하여 0℃-4℃에서 냉각시키면서 침전물을 침강시킨 후 그 상등액을 9,000rpm으로 연속식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원심분리액을 65℃이하의 감압농축기에서 고형분 60% 이상의 인삼 농축액을 얻는 공정; 및
상기의 공정에서 얻은 홍삼 농축액 및 인삼 농축액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균질화하는 삼 음료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사용된 홍삼 농축액 및 추출액은 볶지 않은 홍삼과 85~95℃에서 30~90분간 볶은 홍삼을 혼합한 후 추출기에 넣고 정제수를 홍삼대비 7배-8배로 투입하여 90℃~95℃에서 3시간씩 3회 추출한다. 추출액을 150㎛ 표준망체를 통과시켜 혼합한 후 0℃~4℃에서 냉각시키면서 침전물을 침강시키고 그 상등액을 9,000rpm으로 연속 원심분리를 하여 추출액을 제조한다. 추출액을 65℃ 이하의 감압농축기에서 고형분 45~50%로 1차 농축시킨 후 95℃~98℃의 상압농축 방식으로 2차 농축시켜 고형분 60% 이상의 홍삼 농축액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 사용한 볶은 홍삼은 60분 정도로 볶았을 때 추출액의 풍미취가 가장 좋으며, 추출시간은 3시간씩 3회 추출한 추출액의 풍미취가 가장 좋다. 또한 볶지 않은 홍삼과 볶은 홍삼의 비율이 2:8정도 일 때 홍삼의 풍미취와 구수한 맛이 가장 좋다.
본 발명에 사용한 인삼 농축액 및 추출액은 인삼을 추출기에 넣고 정제수를 인삼대비 7배~8배로 투입하여 85~90℃에서 5시간씩 3회 추출하며 추출액을 150㎛ 표준망체를 통과시켜 혼합한 후 0℃~4℃에서 냉각시키면서 침전물을 침강시킨 후 그 상등액을 9,000rpm으로 연속 원심분리를하여 인삼 추출액을 제조한다. 추출액을 65℃이하의 감압농축기에서 고형분 60% 이상의 인삼 농축액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홍삼 음료는 홍삼 농축액과 인상농축액을 합한 농도가 0.5%(w/w)를 초과하면 쓴맛과 고미가 강하여 물처럼 음용하기에는 문제가 있으며, 반대로 0.15%(w/w)이하일 경우 맛이 너무 약해지며 효능이 부족한 단점이 있다. 또한 추출액을 사용할 경우도 홍삼 추출액과 인삼 추출액을 합한 농도가 15%(w/w)를 초과하면 쓴맛과 고미가 강하여 물처럼 음용 하기에는 문제가 있으며, 반대로 6%(w/w)이하일 경우 맛이 너무 약해지며 효능이 부족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홍삼 음료를 1차 여과(1㎛), 2차 여과(0.5㎛), 3차 여과(0.1㎛)하여 98℃에서 40초간 순간 살균하고, 0.5ℓ와 2.0ℓ의 PET에 충진, 포장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홍삼 음료는 홍삼 농축액, 인삼 농축액 및 정제수;와 홍삼 추출액, 인삼 추출액 및 정제수; 뿐만 아니라, 홍삼 농축액, 인삼 추출액 및 정제수; 홍삼 추출액, 인삼 농축액 및 정제수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예 1]
볶지 않은홍삼과 95℃에서 60분간 볶은 홍삼을 2:8의 비율로 혼합하여 추출 망체에 담아 정제수를 홍삼대비 7배량으로 가하고 90℃에서 3시간 동안 추출(1차 추출)하고, 1차 추출 후 남은 홍삼에 정제수를 홍삼 대비 5배량 가하고 9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는 공정을 2회 반복하여 1차, 2차, 3차를 150㎛ 표준망체를 통과시켜 혼합한 후 0℃에서 24시간 냉각시키면서 침전물을 침강시키고 그 상등액을 9,000rpm으로 연속 원심분리를 하였다. 원심분리액을 65℃ 이하의 감압농축기에서 고형분 50%로 1차 농축시킨 후 농축물을 95℃의 상압농축 방식으로 2차 농축시켜 고형분 62% 의 홍삼 농축액을 얻었다.
인삼 농축액은 인삼을 추출기에 넣고 정제수를 인삼대비 7배량으로 가하여 90℃에서 5시간 추출(1차추출)하고 1차 추출 후 남은 인삼에 정제수를 인삼대비 5배량 가하고 90℃에서 5시간 동안 추출하는 공정을 2회 반복하여 1차, 2차, 3차를 150㎛ 표준망체를 통과시켜 혼합한 후 0℃에서 24시간 냉각시키면서 침전물을 침강시키고 그 상등액을 9,000rpm으로 원심분리를 한다. 원심분리액을 65℃이하의 감압농축기에서 농축시켜 고형분 62%의 인삼 농축액을 얻었다.
[실시예 2]
볶지 않은홍삼과 95℃에서 60분간 볶은 홍삼을 2:8의 비율로 혼합하여 추출 망체에 담아 정제수를 홍삼대비 7배량으로 가하고 90℃에서 3시간 동안 추출(1차 추출)하고, 1차 추출후 남은 홍삼에 정제수를 홍삼 대비 5배량 가하고 9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는 공정을 2회 반복하여 1차, 2차, 3차를 150㎛ 표준망체를 통과시켜 혼합한 후 0℃에서 24시간 냉각시키면서 침전물을 침강시키고 그 상등액을 9,000rpm으로 원심분리를 한다. 원심분리액을 정제수로 희석하여 고형분 2%의 홍삼 추출액을 얻었다.
인삼 추출액은 인삼을 추출기에 넣고 정제수를 인삼대비 7배량으로 가하여 90℃에서 5시간 추출(1차추출)하고 1차 추출 후 남은 인삼에 정제수를 인삼대비 5배량 가하고 90℃에서 5시간 동안 추출하는 공정을 2회 반복하여 1차, 2차, 3차를 150㎛ 표준망체를 통과시켜 혼합한 후 0℃에서 24시간 냉각시키면서 침전물을 침강시키고 그 상등액을 9,000rpm으로 원심분리를 한다. 원심분리액을 정제수로 희석하여 고형분 2%의 인삼 추출액을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1의 홍삼 농축액 0.223%(w/w)과 인삼 농축액 0.027%(w/w)를 정제수 99.75%(w/w)와 같이 혼합 균질화하여 1㎛의 필터로 여과 후 500ml의 무균처리된 병에 충전하여 중탕살균하면서 내용물의 온도가 91℃에 도달하면 중탕을 중단하고 즉시 병을 밀봉한 후 냉각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2의 홍삼 추출액 7%(w/w)과 인삼 추출액0.7%(w/w)을 정제수 92.3%(w/w)와 혼합 균질화하여 1㎛의 필터로 여과 후 500ml의 무균처리된 병에 충전하여 중탕살균하면서 내용물의 온도가 91℃에 도달하면 중탕을 중단하고 즉시 병을 밀봉한 후 냉각하였다.
한 편 본 발명에 의한 삼농축액 및 삼추출액 배합에 따른 음료의 관능검사 결과는 표1 내지 표2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홍삼 음료의 맛과 상품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예3과 실시예4에 의한 농축액 및 추출액을 혼합하여 음료를 제조한 후 20~50세 남녀 20명을 상대로 물 처럼 음용함을 전제로 하여 관능검사를 5점 척도법으로 실시하였고 검사시 페널들에게 한모금에 최소 20ml이상을 음용하게 하였다. 수치가 높을수록 양호함을 의미 한다.
<표1> 농축액으로 제조한 본 발명에 따른 홍삼 음료의 제조배합비 및 관능검사 결과
(농축액 고형분 62% 기준)
농축혼합액 홍삼 농축액 (%)(w/w) 인삼 농축액 (%)(w/w) 정제수 (%)(w/w) 전체적인맛 상품성
혼합액1 0.6 0 99.4 2.5 2.2
혼합액2 0.5 0 99.5 3.9 3.8
혼합액3 0.4 0.15 99.45 4.2 4.3
혼합액4 0.25 0.02 99.72 4.5 4.7
혼합액5 0.02 0.25 99.72 4.1 4.2
혼합액6 0.15 0.4 99.45 4.1 4.1
혼합액7 0 0.5 99.5 3.8 3.8
혼합액8 0 0.6 99.4 2.2 2.1
<표2> 추출액으로 제조한 본 발명에 따른 홍삼 음료의 제조배합비 및 관능검사 결과
(추출액 고형분 2% 기준)
추출혼합액 홍삼 추출액 (%)(w/w) 인삼 추출액 (%)(w/w) 정제수 (%)(w/w) 전체적인맛 상품성
혼합액 1 18 0 82 2.3 2.4
혼합액 2 15 0 85 3.8 3.9
혼합액 3 12 4.5 83.5 3.8 4.1
혼합액 4 8 0.6 91 4.5 4.7
혼합액 5 5 1 94 4.1 4.1
혼합액 6 1 5 94 4.1 4.3
혼합액 7 0.6 8 91 4.3 4.4
혼합액 8 4.5 12 83.5 3.9 4.0
혼합액 9 0 15 85 3.8 3.8
혼합액10 0 18 82 2.1 2.2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홍삼 음료에 따르면 홍삼액과 인삼액을 효과적인 조성비로 혼합함으로써 보리차나 생수 대용으로 거부감 없이 음용하여 홍삼의 기능성 성분을 간단하게 섭취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볶지 않은 홍삼 및 볶은 홍삼을 혼합하여 농축한 홍삼 농축액 0.02~0.5%(w/w), 인삼 농축액 0.02~0.5%(w/w) 및 정제수로 구성된 삼 음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 농축액과 인삼 농축액의 고형분 비율은 60%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삼 음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 농축액과 인삼 농축액의 농도의 합이 0.15% (w/w)초과하고 0.5% (w/w)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삼 음료.
  4. 볶지 않은 홍삼 및 볶은 홍삼을 혼합하여 추출한 홍삼 추출액 0.6~15%(w/w), 인삼 추출액 0.6~15%(w/w) 및 정제수로 구성된 삼 음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 추출액과 인삼 추출액의 농도의 합이 6% (w/w)초과 15% (w/w)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삼 음료.
  6. 볶지 않은 홍삼과 85℃∼95℃에서 30~90분간 볶은 홍삼을 혼합하여 정제수를 홍삼대비 7배~8배로 가하고 90℃∼95℃에서 여러번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150㎛ 표준망체를 통과시켜 혼합한 후, 0℃∼4℃에서 냉각시키면서 침전물을 침강시키고, 상기에서 얻어진 상등액을 9,000rpm으로 연속식 원심분리하여 홍삼 추출액을 얻는 공정;
    인삼에 정제수를 인삼 대비 7배~8배로 가하고 85∼90℃에서 여러번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혼합하여 0℃-4℃에서 냉각시키면서 침전물을 침강시킨 후 그 상등액을 9,000rpm으로 연속식 원심분리하여 인삼 추출액을 얻는 공정; 및
    상기의 공정에서 얻은 홍삼 추출액 및 인삼 추출액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균질화하는 삼 음료의 제조방법.
  7. 볶지 않은 홍삼과 85℃∼95℃에서 30~90분간 볶은 홍삼을 혼합하여 정제수를 홍삼대비 7배~8배로 가하고 90℃∼95℃에서 여러번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150㎛ 표준망체를 통과시켜 혼합한 후, 0℃∼4℃에서 냉각시키면서 침전물을 침강시키고, 상기에서 얻어진 상등액을 9,000rpm으로 연속식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원심분리액을 65℃이하의 감압농축기에서 고형분 45~50% 정도로 1차 농축시킨 후 95℃∼98℃의 상압농축 방식으로 2차 농축시켜 고형분 60% 이상의 홍삼 농축액을 얻는 공정;
    인삼에 정제수를 인삼 대비 7배~8배로 가하고 85∼90℃에서 여러번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혼합하여 0℃-4℃에서 냉각시키면서 침전물을 침강시킨 후 그 상등액을 9,000rpm으로 연속식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원심분리액을 65℃이하의 감압농축기에서 고형분 60% 이상의 인삼 농축액을 얻는 공정; 및
    상기의 공정에서 얻은 홍삼 농축액 및 인삼 농축액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균질화하는 삼 음료의 제조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볶은 홍삼은 60분 동안 볶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 음료의 제조방법.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의 추출은 3시간씩 3회, 상기 인삼의 추출은 5시간씩 3회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 음료의 제조방법.
  10.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볶지 않은 홍삼과 볶은 홍삼의 비율은 2: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 음료의 제조방법.
KR1020040019471A 2004-03-22 2004-03-22 삼 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599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471A KR100599395B1 (ko) 2004-03-22 2004-03-22 삼 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471A KR100599395B1 (ko) 2004-03-22 2004-03-22 삼 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4292A KR20050094292A (ko) 2005-09-27
KR100599395B1 true KR100599395B1 (ko) 2006-07-12

Family

ID=37275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9471A KR100599395B1 (ko) 2004-03-22 2004-03-22 삼 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93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1861A (ko) * 2017-03-06 2018-09-14 충청남도 사포닌 추출효율이 개선된 인삼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의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678B1 (ko) * 2007-04-12 2008-09-04 금산인삼약초 영농조합법인 홍삼 음료 조성물
CN112978406B (zh) * 2021-02-23 2023-01-06 上海澄穆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红参提取物用作护肤品中添加物的原料处理平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1861A (ko) * 2017-03-06 2018-09-14 충청남도 사포닌 추출효율이 개선된 인삼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의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24280B1 (ko) * 2017-03-06 2019-02-22 충청남도 사포닌 추출효율이 개선된 인삼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의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4292A (ko) 2005-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094B1 (ko)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CN1907060A (zh) 一种速溶普洱茶及其制备方法
CN104106825B (zh) 果醋饮料的制作方法
CN104997091A (zh) 蛹虫草速溶固体饮料
KR101049424B1 (ko) 메밀 생맥산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67509B1 (ko) 에너지 음료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에너지 음료
KR100599395B1 (ko) 삼 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RU2612779C2 (ru) Концентрат напитка (варианты)
KR100692519B1 (ko) 냉온음료용 과립 홍삼 생맥산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613848A (zh) 醒酒护肝保健茶及其制备方法
KR100617500B1 (ko) 생약 재료로부터 한방음료 농축물을 제조하는 방법
CN107629928A (zh) 甜叶菊草莓酒的勾兑工艺
CN108185083A (zh) 一种菊花茶及其制作方法
KR20160001320A (ko) 과일 발효주와 과채류를 포함하는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5097475A (ja) ルイボスティーエキス含有ノンアルコール飲料
Gallo et al. An overview of natural beverages
CN112931734A (zh) 刺梨高果汁气泡饮料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1368747B1 (ko)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CN110839895A (zh) 一种复方淡竹叶鲜石斛饮料及制备方法
KR100568939B1 (ko) 캡사이신 성분이 함유된 주류 및 그 제조방법
RU2758495C1 (ru) Безалкогольный напиток
KR100596144B1 (ko) 감초추출액이 함유된 진귤차 및 진귤식초차
JP2020092667A (ja) 渋味抑制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15616B1 (ko) 무를 이용한 탄산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821888A (zh) 软枣猕猴桃果汁及其加工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