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9242B1 -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 - Google Patents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9242B1
KR100599242B1 KR1020007000076A KR20007000076A KR100599242B1 KR 100599242 B1 KR100599242 B1 KR 100599242B1 KR 1020007000076 A KR1020007000076 A KR 1020007000076A KR 20007000076 A KR20007000076 A KR 20007000076A KR 100599242 B1 KR100599242 B1 KR 100599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vibration damper
plate
mass member
double fly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0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1520A (ko
Inventor
베르땡빼뜨리스
페니오다니엘
그리에꼬지오반니
Original Assignee
발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R9805652A external-priority patent/FR2778441B1/fr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filed Critical 발레오
Publication of KR20010021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1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3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 F16F15/13164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arrangement of the damper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3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3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 F16F15/133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16F15/134Wound springs
    • F16F15/13407Radially mounted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찰 클러치에 속하는 반작용 판(21)을 구비하는 제 2 질량부재(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제 1 질량부재(1)에 속하는 제 1 허브(5, 50)와, 구동축에 고정되도록 설계된 제 2 허브(7)를 포함하는 이중 플라이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에 적용가능하다.

Description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DOUBLE TORQUE FLYWHEEL,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
본 발명은 프랑스 특허 공개 제 FR-A-2 736 116 호 및 유럽 특허 공개 제 EP-A-0 798 490 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유형의 특히 자동차에 이용하기 위한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a double flywheel vibration damper)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댐퍼에서, 이중 플라이휠은 서로에 대해서 자유 회전하고 탄성 부품에 대항하여 작용하는 2개의 가동 동축 질량부재(mass)를 포함한다.
제 1 질량부재라 칭하는 질량부재중 하나는 차량의 엔진 크랭크축과 같은 구동축에 체결되는 한편, 제 2 질량부재라 칭하는 다른 질량부재는 기어박스 입력축과 같은 피동축에 분리 가능한 방법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제 1 질량부재는 제 2 질량부재를 베어링 수단을 구비한 허브상에 회전식으로 지지하며, 상기 베어링은 허브와 제 2 질량부재 사이에 위치된다.
허브는 제 2 질량부재의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돌출되고, 이에 의해 제 1 질량부재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오프셋된다.
상기 탄성 부품은 2개의 질량부재 사이에 장착되며, 제 1 질량부재와 제 2 질량부재 사이에 탄성 비틀림 흡수 커플링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허브는 제 1 질량부재의 내측 에지에서 중심으로 연장된다.
프랑스 특허 공개 제 FR-A-2 736 116 호에서, 탄성 부품은 원주방향으로 작용한다. 유럽 특허 공개 제 EP-A-0 798 490 호에서, 탄성 부품은 반경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몇몇 형태의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발명의 요약
그러나, 크랭크축과 같은 구동축의 단부상에 모든 형태의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를 끼워맞출 수 있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고 비용면에서 효율적인 방법으로 이러한 요구에 부합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문제는, 허브가 축방향으로 정렬된 2개의 동축 부품, 즉 제 1 허브에 장착된 베어링 수단상에 제 2 질량부재를 회전 지지하는 제 1 허브와, 구동축과 상기 제 1 허브 사이에서 축방향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제 2 허브로 구성되는 사실에 의해 해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서로 자유롭게 회전하고 탄성 부품에 대항하여 작용하는 두 개의 동축 질량부재를 구비하는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에 있어서, 제 1 질량부재라 하는 상기 질량부재중 하나는 구동축에 고정되도록 의도되고, 제 2 질량부재라 하는 다른 질량부재는 피동축에 대한 회전 접속을 보증하는 반작용 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질량부재는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중앙 허브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 허브는 상기 제 2 질량부재와 상기 중앙 허브 사이에서 작동하는 베어링 수단을 지지하여서, 상기 제 2 질량부재가 상기 제 1 질량부재상에서 회전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중앙 허브는 두 개의 정렬된 동축 부품, 즉 제 1 허브상에 끼워맞춤되어 있는 상기 베어링 수단을 거쳐 상기 제 2 질량부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허브와, 상기 구동축에 고정되도록 의도된 제 2 허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허브는 상기 구동축과 상기 제 1 허브 사이에 축방향 스페이서를 구성하는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점은, 제 1 허브가 제 2 허브를 연장시키는 것인데, 이것은 제 1 허브를 구비하는 모든 형태의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를 제 2 허브상에 끼워맞출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 2 허브에 의해 구동축이 짧아지며, 이 허브는 예를 들면 단조 및 기계가공되는 크랭크축과 같은 구동축의 재료보다 상당히 저렴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허브는 내연 기관의 크랭크케이스 내측을 관통한다.
따라서, 이러한 해결책은 간단하고 저렴하다.
바람직하게, 제 2 허브는 그 외측 에지상에 리세스, 제 1 스로트(throat) 및 제 1 스로트보다 큰 제 2 스로트를 축방향으로 연속하여 구비하고 있다.
엔진 크랭크케이스의 벽과 같은 고정 벽과 접촉하는 리세스는 이러한 벽과 제 2 허브 사이에 시일을 내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동적 시일은 제 2 허브와 회전 접촉되어 있고, 엔진에서 오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스로트는 엔진으로부터 누출하는 모든 오일을 회수하는 기능을 한다. 제 2 스로트는 외측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도달하는 모든 입자 및 누출된 액체를 수집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제 2 장착 허브는 오염방지 허브로서 그리고 고정 벽상에 장착된 시일과 회전 접촉하는 허브로서도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있어서, 제 2 허브는 전기 기계의 로터를 지지한다. 또한, 이러한 전기 기계는 로터에 대해 축방향으로 장착된 스테이터를 포함한다. 로터 및 스테이터는 하나가 다른 것 위에 반경방향으로 장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테이터는 로터를 둘러싼다. 스테이터는 고정된 지지 부품과, 이 지지 부품과 상기 제 2 허브 사이의 제 2 베어링 수단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스테이터는 로터에 대해 위치되고, 스테이터/로터 공극(air-gap)이 정밀하게 형성된다.
스테이터는 권선을 포함하며, 그에 따라 동기 또는 비동기 모터 형태의 전기 기계가 자동차용의 스타터 또는 교류발전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 기계는 진동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러한 플라이휠의 탄성 부품의 각 운동이 보다 작게 되기 때문에,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는 기본적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로터를 지지하는 제 2 허브에 의해, 시스템의 관성에 의해서 진동의 효율적인 제거가 달성된다.
전기 기계는 자동차의 내연 기관이 가속 또는 제동되게 한다.
전기 기계는 차량 엔진을 교통신호에 따라 정지시키고 재시동시킨다. 보다 상세한 것은 예를 들어 국제출원 공개 제 WO 98/05882 호에 개시되어 있다.
물론, 제 2 허브는 기계의 로터를 지지할 수 있으며, 리세스 및 제 1 스로트를 구비하고 있다. 그 이유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로터가 제 2 허브의 자유 단부 근방에, 즉 구동축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장착된 구불구불한 형상의 제 2 웨브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 2 허브는 리세스, 제 1 스로트, 제 2 베어링 수단(예를 들면 볼 베어링) 및 구불구불한 형상의 제 2 웨브를 축방향으로 연속하여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중 플라이휠은 제 1 허브와 관련된 횡방향 금속 지지 판과 끼워맞춰질 수 있고, 프랑스 특허 공개 제 FR-A-2 736 116 호에 개시된 플러그는 제거된다(제 2 질량부재에 고정된 대향 핀에 위치된 이들 플러그는 제 1 질량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마찰 수단의 일부를 형성하는 마찰 링을 회전 구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허브의 자유 단부에는 상기 구멍을 차단하도록 상기 구멍 위로 연장되는 림이 구비되어 있다.
고정 벽을 향한 이러한 림의 측면은 제 2 스로트의 하나의 측방향 면을 구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에 의해 제 2 질량부재의 일부를 형성하는 반작용 판의 마찰면은 제 2 허브에 의해 양호하게 보호된다. 이러한 것은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마찰 수단과, 제 1 질량부재 내측의 부품에도 적용된다. 변형예에 있어서, 제 2 허브의 자유 단부의 면은 상술한 구멍을 차단한다.
상술한 구멍은 반드시 존재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이중 플라이휠은 리벳결합에 의해 조립된 판의 부품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를 구성하는 소조립체를 형성하도록 지지 판이 제 1 허브에 고정되는 것이 유리하며, 제 2 허브는 이러한 지지 판용 베어링 표면을 제공한다. 변형예에 있어서, 제 1 허브는 지지 판용의 베어링 표면을 제공하는 웨브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허브는 지지 판용의 베어링 표면을 제공하는 횡방향 숄더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소조립체는 고정 벽과, 이 고정 벽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지지 판 사이에서 외측을 향해 개방된 환상 채널의 형성부를 갖는 제 2 허브상에 위치되는 모듈을 형성한다. 이러한 채널의 바닥은 제 2 허브에 의해 형성된다. 단일의 일련의 체결 부품이 구동축에 2개의 허브를 체결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지만 2개의 일련의 체결 부품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2개의 일련의 체결 부품은 원주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된다. 변형예에 있어서, 이들 부품은 상이한 직경의 원상에 위치된다.
일련의 제 1 체결 부품은 상술한 소조립체를 제 2 허브에 고정하는 기능을 하는 반면에, 일련의 제 2 체결 부품은 제 2 허브를 구동축의 단부에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볼트와 같은 체결 부품은 보다 짧아진다. 또한, 수리하기 위해서, 제 2 허브를 소정 위치에 잔류시키면서 이중 플라이휠을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일련의 제 1 체결 부품은 일련의 제 2 체결 부품보다 축방향으로 더 짧다. 이들 일련의 체결 부품은 상이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지지 디스크가 제 2 허브의 자유 단부를 둘러싸고, 이에 의해 제 1 질량부재의 관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디스크는 그 내측 에지가 일련의 내부 리벳과 같은 제 1 체결 수단에 의해 지지 판에 고정된다.
지지 디스크의 외측 에지와 지지 판 사이에 제 2 체결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지지 판은 특정 엔진 속도에서 구동축에 의해 야기되는 축방향 진동에 덜 민감하다.
지지 디스크는 지지 판의 외측 에지상에서 축방향 배향의 환상 림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스타터 링 기어를 지지한다.
또한, 지지 디스크는 프랑스 특허 공개 제 FR-A-2 526 106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점화 타이밍 마크를 그 외측 에지상에서 지지할 수도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 판은 그 두께부내에 마찰 수단을 끼워맞출 수 있도록 지지 판상에 고정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디스크는 반작용 판을 지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구불구불한 형상을 갖고 있다. 이러한 판은 지지 판과 지지 디스크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유리하게 제 2 질량부재의 반작용 판은 스타터 링 기어 및 제 1 질량부재를 향해 배향된 축방향 배향의 환상 림을 그 외측 에지상에 구비하고 있다.
림은 지지 판을 지나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반작용 판의 후방 면은 마찰 디스크용의 평평한 마찰면이다. 이러한 마찰면은 표준 보울형(bowl-shaped) 클러치 커버를 체결하기 위한 테이퍼진 구멍을 구비하는 반작용 판의 에지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물론, 반작용 판에는 그 에지 근처 그리고 지지 판의 에지 외측에서 팬 블레이드가 끼워맞춰질 수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 반작용 판은 반작용 판이 연장되는 클러치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는 마찰 디스크의 패드를 커버하는 축방향 스커트를 외측 에지상에 구비하고 있다.
이것은 마찰 패드의 마모에 의해 생성되는 먼지가 제 2 허브상에 장착된 전기 기계의 로터 또는 스테이터를 오염시키기 않게 한다.
변형예에 있어서, 지지 디스크는 프랑스 특허 공개 제 FR-A-2 526 106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반작용 판의 방향으로 그리고 지지 판을 지나서 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음에, 이러한 연장부는 그 자유 에지상에서 팬 블레이드를 지지한다.
모든 경우에, 블레이드가 축으로부터 상당한 거리에 위치되기 때문에 통기가 효율적이다. 물론, 제 2 질량부재는 그 반작용 판의 바로 아래에 마찰면의 반경방향으로 공기 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그 에지가 존재함으로써 이러한 반작용 판은 지지 판의 에지용 간극을 제공하기 위해서 제 1 질량부재를 향하는 면이 오목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허브 또는 제 2 허브는 피동축의 단부를 수용하는 파일럿 베어링을 내부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파일럿 베어링은 제 2 허브를 구동축에 고정된 상태로 이중 플라이휠을 쉽게 제거할 수 있게 하도록 제 1 허브상에 장착된다.
제 1 허브의 내측은 반작용 판을 구비하는 마찰 클러치의 마찰 디스크의 허브를 수용하도록 이용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제 1 허브와 제 2 허브 사이에 중심설정 수단이 제공된다.
모든 이러한 장치에 의해서, 제 1 허브는 얇은 벽의 저렴한 금속 튜브로 간단하게 구성될 수 있다.
지지 판과 같은 다른 부품은,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이러한 튜브에 체결될 수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 크림핑이 이용된다. 파일럿 베어링은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갖는 자동 조정 링을 이용하여 제 1 허브의 내측에 장착된다. 이러한 링은 재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고 얇은 벽의 관형 허브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중 플라이휠은 대부분 바람직하게 판으로 프레스 가공된 금속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중 플라이휠은 적어도 3개의 부품을 포함한다. 즉, 스타터 링 기어의 지지 디스크(기어 및 디스크는 단일 부품일 수 있음)와, 지지 판과, 지지 판의 에지에 체결된 가이드 링 또는 폐쇄 링을 포함한다.
지지 디스크는 어떤 유형의 이중 플라이휠이든 표준형일 수 있다.
가이드 링 또는 폐쇄 링은 큰 내경을 갖고 있다. 지지 판은 제 1 허브에 의해 중심설정되며, 제 1 허브에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 디스크는 엔진 크랭크케이스에, 특히 그 헤드가 축방향으로 돌출한 체결 나사에 매우 근접할 수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 지지 디스크는 폐쇄 링을 형성하며, 웨이트는 지지 판과 지지 디스크 사이에 둘러싸여 있다.
크랭크축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구동축은 피동축의 단부를 수납하도록 중공형일 필요는 없다. 더욱이, 허브는 간단한 형상이며, 예컨대 원통형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보다 잘 이해될 것이며 추가의 이점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의 3개의 실시예에 대한 축방향 단면도,
도 4는 도 3의 것과 유사한 도면으로 베어링 수단이 평면 베어링의 형태인 도면,
도 5 및 도 6은 전기 기계가 존재하는 도 3의 것과 유사한 도면.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한다.
모든 도면은 자동차의 내연 기관과 그 변속기 시스템 사이에 사용되어 특히 진동을 제거하고 클러치 결합/클러치 해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를 도시한다.
이러한 플라이휠은, 자동차 엔진에 의해 구동될 때, 이중 플라이휠의 대칭축을 구성하는 회전축(X-X)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두 개의 동축 질량부재(1, 2)를 갖는다. 제 2 질량부재(2)는, 구동축(여기서는 자동차의 크랭크축)에 연결되도록 의도된 제 1 질량부재(1)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반면, 제 2 질량부재(2)는 회전 피동축(여기서는 자동차의 기어박스 입력축)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의도된다.
제 1 질량부재(1)는 그 내측 에지의 중심에 제 1 허브[5(도 1 및 도 2), 50(도 3)]를 갖는다.
이러한 제 1 허브(5, 50)는 제 1 질량부재(1)상에서의 제 2 질량부재(2)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베어링 수단[4(도 1 및 도 2), 40(도 3)]을 지지한다.
제 1 허브(5, 50)는 제 2 질량부재(2)의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돌출하며 원통 형상을 갖는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제 1 허브(5)는 중량인 반면, 도 3에 있어서 제 1 허브(50)는 경량이며 제조가 용이하고 저렴한 얇은 금속 튜브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허브(5, 50)의 외측 표면과 제 2 질량부재(2)의 내측 표면 사이에 베어링 수단이 장착된다. 제 2 질량부재(2)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중앙 하우징을 갖는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 1 허브(5, 50)의 자유 단부는 제 2 질량부재(2)의 중앙 구멍내로 침투하므로, 제 2 질량부재(2)는 제 1 질량부재(1)에 대해 축방향으로 오프셋된다.
베어링 수단(4, 40)은 예컨대 유리 또는 카본 등의 섬유로 보강된 합성 재료와 같은, 저 탄성계수의 재료로 제조된 평면 베어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평면 베어링은 도 4에서 참조부호(400)로 표시된다.
변형예에 있어서, 프랑스 특허 공개 제 FR-A-2 706 006 호에 개시된 비결정질 카본-다이아몬드의 코팅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코팅은 준결정체(quasicrystalline)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베어링 수단(4, 40)은 볼 베어링으로 구성된다.
도면에 있어서, 베어링 수단은 단일 열의 볼로 구성되어 있지만, 베어링은 2 열의 볼을 가질 수 있음이 명백하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볼 베어링(4)은 도 3의 볼 베어링(40)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다.
모든 도면에 있어서, 제 1 허브(5, 50)는 그 외측 에지가 가변 직경을 가지므로, 제 1 허브(5, 50)의 보다 작은 직경의 자유 단부상으로 슬라이딩된 볼 베어링(4, 40)의 내측 레이스를 일 방향으로 차단하는데 사용되는 숄더를 형성한다. 다른 축방향에 있어서, 베어링(4, 40)의 내측 레이스는 제 1 허브(50)의 자유 단부의 홈 내에 수용된 베어링 와셔[51(도 1 및 도 2)] 또는 서클립(circlip)[260(도 3)]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제 2 질량부재(2)의 내측 에지상에는, 그 내측 보어가 볼 베어링(4, 40)의 외측 레이스상으로 결합되며 베어링 와셔(51) 또는 서클립(260)과 동일한 축방향으로 베어링을 차단하는 숄더를 갖는 내측 허브[22(도 1 및 도 2), 220(도 3)]가 있다.
따라서, 내측 허브(22, 220)는, 마찰 클러치의 반작용 판을 형성하는 판(21)을 포함하는 제 2 질량부재(2)의 중앙 구멍의 경계를 한정한다. 이러한 판(21)은 성형 재료, 여기서는 주철로 제조된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반작용 판(21)은 내측 허브(22)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 3에 있어서, 내측 허브(220)와 판(21)은 별개의 부품이며, 유럽 특허 공개 제 EP-A-0 798 490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마찰형 토크 리미터(250)가 판(21)의 내측 에지와 내측 허브(220)의 외측 에지 사이에 끼워맞춰진다.
자동차 엔진이 시동되거나 정지될 때, 이러한 토크 리미터는 이중 플라이휠에 손상을 주지 않고 공진 주파수를 통과시킬 수 있다. 그 이유는, 리미터가 회전하는 판(21)을 지지하는 내측 허브(220)에 대해 판(21)이 약간 상대적으로 미끄러지도록 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내측 허브(220)는 경화된(hardened) 스틸로 제조되며,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에 있어서, 유럽 특허 공개 제 EP-A-0 798 490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볼 베어링의 외측 레이스를 형성한다.
도 3에 있어서, 제 2 질량부재(2)는 명백하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될 수 있다. 역으로, 도 1 및 도 2의 제 2 질량부재(2)는 도 3에서와 같이 두 개의 부품으로 될 수 있다. 다른 모든 조합이 가능하다.
볼 베어링(4, 40)은, 캐패시터 방전을 사용하는 압력하에서의 용접과 같은 용접에 의해, 제 1 허브(5, 50) 및/또는 내측 허브(22, 220)상에 결합될 수 있다.
모든 도면에 있어서, 두 개의 질량부재(1, 2)는 서로에 대해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되어, 탄성 부품[3(도 1 및 도 2), 30(도 3)] 및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마찰 수단[8(도 1 및 도 2), 80(도 3)]에 대항하여 작용한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탄성 부품(3)은, 예컨대 프랑스 특허 공개 제 FR-A-2 736 16에 개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질량부재(1, 2)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장착된다. 도 3에 있어서, 탄성 부품(30)은, 예컨대 1997년 9월 30일자로 출원된 프랑스 특허 출원 제 FR 97/12115 호 또는 유럽 특허 공개 제 EP-A-0 798 490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질량부재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장착된다.
보다 상세한 점에 대해서는, 상기 3개의 문헌을 참조하면, 도 3에 있어서, 탄성 부품(30)은 압축 작용을 하지만 명백히 인장 스프링으로 대체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 스프링(3, 30)은 코일 스프링이다.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질량부재(1)는 자동차 엔진 크랭크축상에 결합되도록 의도된다. 제 1 질량부재(1)는 변형예로서 탄성 중합체와 같은 탄성재의 블록으로 구성된 탄성 부품(3, 30)을 통해 제 2 질량부재에 탄성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탄성 부품(3, 30)으로 제조된 비틀림 진동 댐퍼가 두 개의 질량부재(1, 2) 사이에 결합되며, 진동 댐퍼는 이들 두 질량부재 사이에 축방향으로 결합된다. 축방향 작용 마찰 수단(8, 80)이 진동 댐퍼의 일부를 형성하며, 가능하면 유격을 흡수한 후에, 제 2 질량부재(2)에 의해 구동되고 그리고 제 1 질량부재(1)의 두 표면에 대해 마찰되는 마찰 링을 포함한다. 마찰 링은 제 1 질량부재상에 장착된다.
제 2 질량부재(2)는, 반작용 판(21)에 의해 기어박스 입력축에 분리가능하게 회전 결합된다. 공지된 방식으로, 반작용 판(21)은 상기 프랑스 특허 공개 제 FR-A-2 706 006 호, 유럽 특허 공개 제 EP-A-0 798 490 호 및 프랑스 특허 출원 제 FR 97/12115 호 또한 도 5에 도시된 마찰 디스크를 위한 마찰면(29)을 갖는다.
따라서, 제 2 질량부재(2)는 마찰 디스크를 통해 기어박스 입력축에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며, 마찰 디스크는 그 내측 에지가 중앙 허브를 가지며, 중앙 허브의 내측 스플라인은 기어박스 입력축과의 회전 결합을 제공한다.
반작용 판(21)은 마찰 클러치의 일부를 형성하며 그 외측 에지에 축방향으로 배향된 환상 림(25)을 갖고, 이 환상 림(25)에는 보울형 리드(bowl-shaped lid)를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산 구멍(도면에는 참조부호가 부여안됨)이 제공된다.
마찰 패드는 마찰 디스크의 외측 에지상에 결합된다. 이들은 격판 스프링과 같은 탄성 결합 수단의 작용에 의해 반작용 판(21)의 마찰면(29)과 반대측의 가압판의 마찰면 사이에서 압축되어 리드를 가압하여 가압판을 가동시킨다. 결합 수단은 클러치 해제 제어 레버 형태인 분리 수단, 예컨대 격판의 핑거와 결합된다. 예컨대, 클러치의 유형에 따라 밀거나 당기는 클러치 해제 베어링의 도움을 받아 작용함으로써, 결합 수단에 의해 가압판상에 작용하는 힘을 점진적으로 줄이며 마찰 디스크로부터 마찰 패드를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상세한 점에 대해서는, 예컨대 프랑스 특허 출원 제 FR 97/12115 호의 도 2 및 프랑스 특허 공개 제 FR-A-2 166 604 호를 참조하기 바란다.
이러한 기구에 의해, 마찰 클러치는 통상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토크는 엔진 크랭크축으로부터 기어박스 입력축으로 전달된다. 클러치 해제 베어링의 보조에 의해, 클러치 해제 제어 레버의 중심에 작용함으로써, 클러치 마찰 결합은 분리되고 그 뒤 엔진 토크는 더이상 제 1 허브(5, 50) 내측으로 침투하는 기어박스 입력축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기어박스 입력축의 자유 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파일럿 베어링(9)이 제공되고 또한 기어박스 케이싱내에 결합된 베어링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마찰 디스크의 허브는 상기 프랑스 특허 출원 제 FR 97/12115 호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허브(5, 50)의 내측으로 침투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 1 허브(5, 50)는 제 2 허브(7)에 단단히 결합되도록 의도되며, 제 2 허브(7)는 고정 부품[10(도 1 및 도 2), 100(도 3)]의 도움으로, 자동차의 엔진 크랭크축에 고정되거나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다른 구동축에 고정된다.
제 1 허브(5, 50)는 제 2 허브(7)를 축방향으로 연장시킨다. 이들 허브(5, 50, 7)는 동일한 축방향 대칭축 즉, X-X축을 갖는다. 이들은 여기서 원통형상을 가지며 축방향으로 배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질량부재의 중앙 허브는 단순한 형상의 두 개의 원통형 동축 부품으로 되어 있는 바, 이들은 서로 축방향으로 연속되어 있다. 여기서 원통형상을 갖는 이들 부품은 서로에 대해 중심설정되고,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따라서, 제 2 질량부재(2)의 지지 허브를 제공하는 제 1 허브(5, 50)는, 고정 장착 허브를 형성하는 제 2 허브(7)를 통해서 엔진 크랭크축에 부착되거나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는 임의의 구동축에 부착된다. 따라서, 제 1 허브(5, 50)만을 갖는 이중 플라이휠을 포함하는 비틀림 흡수 이중 플라이휠 형태의 단일 조립체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모듈을 형성하는 이 단일 조립체는 그 뒤 후술하는 방식으로 제 2 허브(7)상에 장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및 제 2 허브가 축방향으로 정렬되기 때문에, 제 1 허브(5, 50)의 중앙 보어는 제 2 허브(7)의 중앙 보어를 축방향으로 연장시킨다.
엔진 크랭크축은 축방향으로 짧아진다. 제 1 허브는 고전적 진동 댐핑(즉, 비틀림 흡수) 이중 플라이휠의 허브를 구성한다. 제 2 허브(7)는 크랭크축과 제 1 허브(5, 50) 사이의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중간 부품이다. 이 스페이서는 제 1 허브(5, 50)가 크랭크축에 체결될 수 있게 함으로써 제 2 질량부재(2)를 지지하는 제 1 허브(5, 50)를 지지한다.
제 1 허브(5, 50)와 제 2 허브(7) 사이에 후술하는 중심설정 수단이 삽입되어 서로에 대해 허브(5, 50, 7)의 중심을 맞춤으로써 이들은 동일한 축방향 대칭축(X-X)을 갖는다.
도 1 및 도 3에 있어서, 베어링 파일럿(9)이 제 1 허브(5, 50)의 내측에 장착되는 반면, 도 2의 베어링은 제 2 허브(7)의 내측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지지 판(6)이 제 1 허브(5, 50)와 제 2 허브(7) 사이에 축방향으로 삽입된다. 탄성 부품(3, 30)이 지지 판(6)과 제 2 질량부재(2) 사이에서 작용한다. 축(X-X)에 수직한 지지 판(6)은 스타터 링 기어(31)를 지지하는 환상 지지 디스크(32)에 의해 보강된다. 지지 판(6)은 제 2 허브(7)의 자유 단부에 있는 면을 가압하며, 이것에 의해 지지 판(6)의 위치가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압인된 금속 강판으로 제조된 지지 판(6)과 지지 디스크(32)는 반작용 판(21)에 평행하게 놓인다.
중심설정 수단은 외측이 스톱 숄더에 의해 경계가 설정되는 환상 중심설정 슬리브를 포함한다.
슬리브는 제 1 허브(5, 50) 또는 제 2 허브(7)의 일부이며, 다른 부품[제 2 허브(7) 또는 제 1 허브(5, 50)](이하, "제 2 부품"이라 함)의 내측 에지와 협동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슬리브의 외측 에지는, 그 내부 보어에 의해 제공된 제 2 부품의 내측 에지에 밀접된다. 슬리브는 제 2 부품내로 침투하며 파일럿 베어링(9)은 그 내측에 결합된다. 변형예에 있어서, 이 베어링은 저마찰계수의 평면 베어링에 의해 또는 비결정질 다이아몬드-카본형의 코팅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슬리브는 항상 파일럿 베어링(9)을 지지하여 기어박스 입력축의 자유 단부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다른 피동축의 자유 단부를 수용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 2 허브(7)는 [크랭크축으로부터 제 2 허브(7)에 축방향으로 정렬된 제 1 허브(5, 50)를 향해 축방향으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리세스(71), 제 1 스로트(72), 제 2 스로트(73) 및 축(X-X)으로부터 멀리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림(74)을 갖는다. 제 2 허브(7)의 외측 에지에 형성된 두 개의 스로트(72, 73)는 바닥이 둥글며 경사진 측면을 갖는다. 따라서, 스로트(72, 73)는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둥근 리세스의 형상을 갖는다. 제 1 스로트(72)는, 여기서는 환상 형태를 갖는 리세스(71)에 인접하며, 제 2 스로트(73)의 측면 중 하나는 림(74)의 면 중 하나에 원활하게 접합된다.
자동차 엔진 크랭크케이스의 고정 벽(75)은, 제 1 허브(5, 50)로부터 축방향으로 멀리 향하는, 축방향으로 배향된 림(76)에 의해 경계지어진 중앙 구멍을 갖는다. 림(76)은 크랭크케이스의 고정 벽(75)의 일부를 형성하며 리세스(71)를 덮도록 연장한다.
림(76)은 리세스(71)를 둘러싸서, 이들은 함께 밀봉 링(77)을 수용하도록 의도된 환상 공동의 경계를 한정하고, 이 밀봉 링(77)은 제 2 허브(7)와 탄성 접촉하며 림(76)에 의해 축방향 및 회전방향으로 고정된다. "작동 시일(running seal)"이라 칭하는 밀봉 링(77)은 엔진 오일이 새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구동축(여기서는 크랭크축)의 단부는 단순화되는데, 이는 밀봉 링(77)이 크랭크축과 접촉하지 않아 결과적으로 크랭크축이 축방향으로 보다 짧아지기 때문이다. 제 2 허브(7)는 여기서 금속으로 제조되며, 이 금속은, 그 자유 단부가 예컨대 구동 벨트 피니언을 지지하는 크랭크축의 것보다 저렴한 재료이다. 제 2 허브는 엔진 크랭크케이스내로 부분적으로 침투한다.
변형예에 있어서, 제 2 허브(7)는 소결 재료로 제조된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제 2 허브(7)는 성형 가능한 재료로 제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해결책은 저렴하다. 제 1 스로트(72)는 엔진으로부터의 오일 누출을 편향시켜 재순환시키는 작용을 한다. 지지 판(6)(여기서는 스탬프 가공된 강판으로 제조됨) 부근의 다른 스로트(73)는 엔진 크랭크케이스 벽(75)과 그에 평행한 지지 판(6) 사이에 형성된 채널의 바닥에 위치된다. 지지 판(6) 부근에 위치된 림(74)은 후술하는 구멍(70)을 갖는다.
림(74)은 구멍(70)에 대한 플러그를 형성하는데, 이는 그 외측 에지가 이들 구멍을 지나 연장하기 때문이다.
제 2 스로트(73)는 오일(또는 다른 액체)용 배출 스로트이며 또한 외부로부터 진입하는 입자들을 포획한다.
따라서, 제 2 허브(7)는, 엔진으로부터의 오일 누출 또는 다른 입자들이 반작용 판(21)의 마찰면(29) 및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마찰 수단(8, 80)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는 지지 판(6)과 반작용 판(21) 사이에 위치된 모든 부품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허브(7)는 또한 모든 오염에 대한 방지, 구멍(70)의 차단, 밀봉 링(77)과의 접촉, 및 지지 판(6)에 대한 베어링 면을 제공한다.
지지 디스크(32)의 중앙 구멍은 환상 림(74)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이 림의 바로 외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디스크(32)는 림(74)을 반경방향으로 연장시키며 구멍(70)의 반경방향 외측에 놓인다.
따라서, 이 지지 디스크(32)는 림(74)의 반경방향 외측의 지지 판(6)의 두께를 2배로 하고, 상기 림의 외측 에지에서의 두께는 지지 디스크(32)의 두께와 거의 동일하고, 여기서는 균일한 두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에 따라, 특히 엔진의 시동중에 자동차의 스타터 모터와 결합될 치형부(131)의 세트를 갖는 스타터 링 기어(31)가 디스크(32)의 외측 에지상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질량부재(1)의 관성은 단순하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증가된다. 따라서, 전술한 채널은 크랭크케이스 벽(75), 디스크(32) 및 림(74)에 의해 한정된다. 이러한 환상 채널은 일단부가 막혀 있고, 그의 바닥은 제 2 허브의 2개의 스로트(72, 73)에 의해 형성된다. 크랭크케이스 벽(75)은 지지 디스크(32)와 지지 판(6)에 평행하다.
제 2 스로트(73)는 누출 오일을 회수하는데 사용되는 제 1 스로트(72) 보다 깊이가 더 깊고 폭이 더 넓다. 변형예에 있어서, 제 1 스로트가 제 2 스로트(73) 보다 더 큰 반경으로 배치되도록 제 2 허브(7)는 제 1 스로트(72)의 위치에서 반경이 크고, 림(74)은 더 짧고, 그리고 반작용 판의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오프셋된 지지 판(6)의 내측 에지에 대향된 구멍(70)으로부터 이격되어 정지한다.
판(6)의 내측 에지는, 편향기를 형성하고 또 림(74) 위로 연장된 둥글거나 경사진 섹션을 거쳐 판의 주요부에 결합됨으로써, 구멍(70)을 보호한다.
리세스(71) 및 스로트(72, 73)는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제 2 허브(7)의 구조에 따라 기계가공, 소결 또는 몰딩에 의해 형성된다.
지지 판(6)은 축방향으로 배향된 외측 에지를 갖는 환상 림[61(도 1 및 도 2), 610(도 3)]을 구비한다. 스타터 링 기어(31)는 이 에지의 외부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가이드 링(62)(도 1 및 도 2) 또는 폐쇄 링(620)(도 3)은 반작용 판(21)에 근접한 환상 림의 외측 에지에 부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 디스크(32)는 축(X-X)에 수직인 디스크(32)의 주요 부분으로부터 반작용 판(21)의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오프셋된 그의 외측 에지에 주변 부분(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다.
횡방향의 이러한 주변 부분은 림(61, 610)을 지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또 만곡된 부분(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에서 디스크(32)의 주요부와 결합한다. 만곡된 부분에는 지지 디스크(32)의 주변 부분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스타터 링 기어(31)의 완전한 위치설정을 달성하는데 사용되는 구멍(36)(도 1 참조)이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링 기어(31)의 치형부는 축(X-X)에 평행하다. 이러한 링 기어(31)는 반작용 판(21)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면의 내측 에지상에 리세스를 구비하여, 디스크(32)의 주변 부분을 수용한다. 구멍(36)의 바로 위, 반작용 판(21)을 향하는 지지 디스크(32)의 면과 링 기어(31)의 내측 에지의 사이에서 용접을 수행하여 완전한 평탄도를 보증한다. 반작용 판(21)의 외주 림(25)은 판(6)의 환상 림(61, 610)을 지나 반경방향으로 연장하고 그리고 링 기어(31)를 향해 축방향으로 연장한다.
판(21)의 림(25)은 링 기어(31)와 동일한 평균 원주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림(25)은 상기 림(25)과 전체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가진 링 기어(31)를 약간 지나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림(25)은 반작용 판(21)을 강화시키고 또한 제 2 질량부재(2)의 관성을 증가시키지만 이중 플라이휠과 마찰 클러치 진동 댐퍼를 포함하는 조립체의 전체 축방향 치수를 증가시키지는 않는다. 따라서, 표준 클러치 커버가 반작용 판 위에 끼워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외측 에지가 연장된 마찰면(29)을 포함하는 평탄한 배면을 갖는 반작용 판(21)을 구비하면서 프랑스 특허 출원 제 FR 97/12115 호의 도 2의 커버 보다 깊이가 더 깊은 커버가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판은 림(25)에 의해 보강된다.
지지 디스크(32)는 프랑스 특허 공개 제 FR-A-2 526 106 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서로 반경방향으로 오프셋된 2개의 개별 섹션을 갖는 축방향 섹션을 그의 외주 에지에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축방향 섹션중 하나는 스타터 링 기어(31)를 지지하고 있는 반면, 다른 하나의 축방향 섹션(이 경우에는 둘 중 반작용 판(21)에 더 가까운 섹션)은 점화 마커를 지지하고 있다. 상기 점화 마커는 경사진 섹션에 의해 [대칭 축(X-X )에 수직인] 지지 디스크(32)의 주요 부분에 결합된 축방향 섹션의 일체부이다. 변형예에 있어서, 축방향 섹션은 그의 자유 단부에 팬 블레이드를 달고 있다.
이것은 림(25)과 링 기어(31) 사이의 축방향 공간(도 1 및 도 2 참조)의 존재에 의하여 가능해진다.
더욱이, 이러한 공간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팬 블레이드(240)를 끼워맞추는데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팬 블레이드(240)는 림(610)의 외측에 반경방향으로 위치설정되고 또 반작용 판(21)과 함께 성형될 수 있다. 상기 팬 블레이드(240)는 반작용 판(21)의 원주 둘레에 균일하게 위치설정된다.
팬 블레이드(240)는 링 기어(31)를 향해 축방향으로 지향되고 그리고 반작용 판(21)의 림(25)의 축방향 한계를 지나 돌출된다. 이러한 팬 블레이드(240)는 경사지거나 또는 만곡 형상으로 되어 효과적인 통기를 보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들 팬 블레이드는 반경방향 외부 측면상에서 림(25)에 결합되며, 그들의 축방향 자유 단부(241)는 링 기어(31)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링 기어에 평행하다. 이 자유 단부(241)는 내부 경사면 에지(242)에 결합되며 그의 단부는 반작용 판(21)에 결합된다. 자유 단부(241)와 링 기어(31) 사이의 갭은 작다.
제 2 질량부재(2)의 내측 에지[판(21)의 마찰면(29)의 반경방향 내측]에는 통기 구멍[23(도 1 및 도 2 참조), 230(도 3 참조)]이 존재하며, 상기 통기 구멍은 반작용 판(21)의 내부면[마찰면(29)으로부터 반대 측면]과 제 1 질량부재(1) 사이에서 팬 블레이드(240)에 의해 흡인된 공기의 유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판(21)과 베어링 수단(4, 40)이 양호하게 냉각되는 것을 보증한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제 1 질량부재의 지지 판(6)을 지나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반작용 판(21)의 림(25)은 이러한 반작용 판(21)에 의한 열 질량(thermal mass) 에 기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타터 링 기어(31)는 금속 지지 디스크(32)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일체부로 될 수 있고 그리고 디스크(32)의 축방향 주변 부분상에서 금속을 스핀 가공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명백하게, 상기 구조체는 반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말해서, 도 1 및 도 2에서 판(21)에 블레이드를 끼울 수 있고, 폐쇄 링(620)을 림(610)에 고정시키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이드 링(62)을 림(61)에 고정시킬 수 있다.
통상적으로, 가이드 링(62)과 반작용 판(21)은 함께 채널을 형성하며, 상기 채널 내부에서 통풍 구멍(23)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순환할 수 있고, 이러한 공기의 흐름은 블레이드(240)의 작용에 의해 향상된다. 도 3에 있어서, 구멍(230)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탄성 부품(30)위로 흘러서 판(21)을 계속 양호하게 냉각시킨다.
통상적으로, 링 기어(31)의 존재를 무시하고 림(25) 근처에 그리고 제 1 질량부재(1) 위에서 축(X-X)으로부터 최대 반경 부분에 장착된다는 사실 때문에 블레이드(240)는 매우 효과적이다. 도 3에 있어서, 블레이드(240)는 링 기어(31)의 치형부의 반경방향 내부에 장착되어 있다.
지지 디스크(32)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축(X-X)으로부터 동일 거리에 배치된 일련의 제 1 내부 고정 영역 또는 리벳(34)에 의해 그의 내측 에지가 판(6)에 고정된다.
변형예에 있어서, 리벳 대신에 용접, 예컨데 레이저 지원 투명체에 의한 용접이 사용된다. 따라서, 제 1 내부 고정 영역(34)은 지지 판(6)과 지지 디스크(32)(양자는 금속으로 제조됨)를 결합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엔진 크랭크축이 축방향으로 진동하기 때문에, 제 2 외부 고정 영역[33(도 1 및 도 2 참조), 133(도 3 참조)]이 제 1 고정 영역(34) 보다 큰 직경부에 판(6)의 외측 에지를 향하여 제공되며, 그에 따라 그의 림(61, 610)에 부가하여 디스크(32)에 의해 강화된다.
도 3에 있어서, 제 2 고정 영역은 용접부(133), 보다 정확하게는 용접 비드로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이러한 제 2 고정 영역은 축(X-X)으로부터 동일 거리에 그리고 제 1 내부 고정 영역(34) 보다 큰 직경부에 배치된 일련의 리벳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체는 차량 엔진의 출력축상의 축방향 진동을 제어하기 위해 제공되며 지지 판(6)을 강화한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리벳결합은 도 3의 용접으로 명백하게 대체할 수 있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
도 3에 있어서, 지지 디스크(32)는 지지 판(6)에 부착된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지지 디스크(32)는 내부 및 외부 고정 영역(34, 33)에서만 지지 판(6)과 접촉하여 지지 판(6)이 축(X-X)에 완전히 수직인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지지 판(6)은 리벳(33)을 사용하여 지지 디스크(32)를 고정시키기 위해 제공된 그의 외측 에지 근처의 평탄한 지지 영역(37)을 구비한다. 내부 고정 리벳(34)(도 1 및 도 2 참조)은 제 1 질량부재(1)의 방향으로 벌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는 통기 구멍(23)과 축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구멍(23)의 형상은 원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판(6)은 제 1 허브(5)와 제 2 허브(7)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보다 명확하게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 부품(10)은 베어링 와셔(51)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긴 볼트와, 2개의 허브(5, 7)와, 지지 판(6)으로 구성되며, 축(X-X)과 평행한 상기 부품내의 구멍을 거쳐 크랭크축내로 나사 결합된다. 볼트(10)의 헤드는 볼 베어링(4)의 내측 레이스를 축방향으로 고정시키는 베어링 와셔(51)상에 가압된다.
제 2 허브(7)는 지지 판(6)내의 축방향 정렬 구멍과, 제 1 허브(5) 및 와셔를 관통하는 리벳(53)의 헤드를 수용하기 위해 일련의 국부적 리세스(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이런 방식으로,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 소조립체는 전술한 진동 댐퍼에 의해 제 2 질량부재(2)에 결합된 제 1 질량부재(1)를 수납하여 리벳결합하는 것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질량부재는 그 후에 제 2 허브(7)와 크랭크축상에 볼트(10)로 장착될 수 있다.
실제로, 지지 판(6)은 제 1 허브(5, 50)상에 미리 끼워맞춰져서 제 2 허브(7)를 거쳐 크랭크축상에 장착되는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한가지 이점은 이중 플라이휠을 크랭크축상에 장착하기 전에 별도로 시험할 수 있다는데 있다.
도 3에 있어서, 지지 판(6)은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용접 비드(54)가 판(6)의 내측 에지와 제 1 관상 허브(50)의 외측 에지 사이에 형성되며, 이 비드는 제 2 허브(7)로부터 반대편의 판(6)의 측면상에 형성된다. 제 1 허브(50)는 그의 축방향 자유 단부에서 베어링(40)을 지지하고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 지지 판(6)은 크림핑(crimping)에 의해 고정되며, 이 경우에, 판(6)은 그 판(6)을 끼우는 베어링 숄더를 구비한 허브(50)내의 홈에 결합되는 치형부를 그의 내측 에지에 구비한다.
허브(50)의 다른 축방향 단부는 중심설정 기능을 수행하며 제 2 허브(7)를 관통한다. 허브(50)의 외부 표면은 제 2 허브(7)의 내부 표면(보어)과 긴밀하게 접촉한다. 따라서, 제 1 허브(50)는 중간 분할 링(55)상에 장착된 파일럿 베어링(9)을 그 내부에서 지지하는 중심설정 슬리브를 제공하며, 상기 중간 분할 링은 파일럿 베어링(9)의 자동 조정을 제공한다.
상기 중간 분할 링(55)은 전방 또는 후방에서 관상 허브(50)의 내부에 끼워진다. 상기 링(55)은 숄더를 구비하며, 상기 숄더는 도 3에 있어서 베어링(40)의 반대쪽의 허브(50)의 축방향 단부의 에지에 결합된다. 상기 분할 링은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구비하며 허브(50)의 내부 표면과 파일럿 베어링(9)의 외부 표면 사이에 끼워맞춤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링(55)을 사용함으로써, 제 1 허브를 형성하는 허브(50)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제 1 허브의 내부를 기계가공해야 하는 필요성을 없앨 수 있다. 도 3에 있어서, 통기 구멍(230)은 다른 기능을 갖는다. 상기 통기 구멍은 원통형상이며, 지지 판(6) 및 제 1 질량부재(1)를 제 2 허브(7)에 조립하는데 사용되는 고정 볼트(101)의 나사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구의 통과를 허용한다. 볼트(101)는 길이가 짧다. 볼트의 헤드는 구멍(230)을 향하는 판(6)의 표면에 대해 가압된다. 상기 볼트(101)는 판(6)의 내측 에지 근처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이러한 목적을 위해 나사산 구멍을 갖는 제 2 허브(7)내로 나사결합된다. 구멍(230)은 내측 허브(220)내에 형성된다.
볼트(101)의 헤드는 하나 이상의 나사결합 공구를 수납하기 위해 적절한 공동(cavity)을 갖고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2개의 질량부재(1, 2)를 갖는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를 제 2 허브(7)상에 볼트로 장착하고, 또 지지 판(6)을 지나 축방향으로 돌출된 제 1 허브(50)로 인하여 2개의 허브(7, 50) 사이에 중심설정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중심설정 슬리브를 형성한다.
제 2 허브(7)는 전술한 고정 부품(100) 또는 다른 고정 수단을 사용하여 자동차의 엔진 크랭크축상에 미리 고정된다. 도 3에 있어서, 이러한 부품(100)은 도 1 및 도 2의 부품 보다는 길이가 짧은 볼트(100)이다. 볼트(100)는 볼트(101) 보다 길이가 길고 볼트(101)는 볼트(100) 보다 직경이 작으며, 볼트(100)는 제 2 허브(7)만을 가로질러 크랭크축상에 나사결합된다. 국부적인 리세스가 제 2 허브(7)의 내측 에지 근처에 제공되어, 볼트(100)의 헤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볼트(101)에서와 같이 공구를 나사결합시키기에 적합한 공동을 갖는 원통형 헤드를 수용한다.
이런 방식으로, 볼트(101)에 의해서, 제 2 허브(7)를 상기 볼트(101)에 의해 크랭크축상에 적소에 고정된 상태로 두는 것에 의해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허브(50)는 지지 판(6)의 중심을 설정하며, 상기 지지 판의 내측 에지는 허브(50)의 외부 표면과 접촉된다.
도 3과 관련하여 설명한 2개의 일련의 고정 부품을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실시예에 사용할 수도 있음은 명확하다.
지지 판(6)이 볼트(100)의 헤드를 덮고 그리고 제 1 허브(50)가 제 2 허브(7)내에 중심설정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도 1에 있어서, 제 1 허브(5)는 베어링(4)의 반대쪽에서 그의 내부 표면에 축방향 슬리브(60)를 구비하며, 이 축방향 슬리브의 외부 표면은 지지 판(6)의 내측 에지와 긴밀하게 접촉하는 것에 의해 지지 판(6)을 중심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슬리브(60)의 외부 표면은 크랭크축상에 고정되기 전에 슬리브(60)상에 중심설정되는 제 2 허브(7)의 내부 표면(보어)과 긴밀하게 접촉한다.
도 2에 있어서, 이러한 구조체는 반대로 되어 있는 바, 제 2 허브(7)는 제 1 허브(5)를 중심설정하는 기능을 하는 축방향 슬리브(160)에 의해 그의 자유 단부가 연장되어 있다. 슬리브(160)의 외부 표면은 제 1 허브(5)의 내부 표면과 긴밀하게 접촉한다.
지지 판(6)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 1 허브(5)내에 형성된 리세스내에 수용되는 내측 에지에 의해 중심이 설정된다. 이 경우에, 판(6)은 슬리브(160)의 외측에 반경방향으로 중심설정된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지지 판(6)은 제 1 허브(5, 50)에 의해 중심이 설정된다.
베어링 수단(9)은 슬리브(60, 160) 또는 제 1 허브(50)의 내부에 끼워맞춤된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제 1 허브(5) 및 제 2 허브(7)는 가변 직경의 단차형 내부 보어를 구비하여, 먼저 마찰 디스크의 허브가 제 1 허브(5)내로 관통하도록 하고, 그 다음 마찰 디스크 허브 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파일럿 베어링(9)의 끼워맞춤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제 1 허브(5)의 내부 보어의 직경은 제 2 허브(7) 근처의 근의 단부에서는 작고 마찰 디스크의 허브를 관통하는 타단부에서는 크다.
도 3에 있어서, 제 1 허브(50)의 내부 보어의 직경 변화는 링(55)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것은 제 1 허브(50)의 보어가 일정한 내경을 가져서 필요한 기계가공을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그의 제조를 단순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링(55)은 몇 개의 균일하게 이격된 슬롯을 구비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는 중심설정 슬리브(160)를 갖거나 또는 갖지 않은 상태로 크랭크축상에 끼워맞춤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크랭크축의 단부는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 1 허브(5, 50)와 크랭크축 사이의 상대 중심설정을 보장하는 중심 구멍을 구비한다. 통상적으로, 완전한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는 리벳(53) 또는 용접을 사용하여 지지 판(6)을 제 1 허브상에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그 다음, 이러한 소조립체는 제 2 허브에 또는 크랭크축에 고정된다.
이러한 이중 플라이휠은 탄성 부품(3, 3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중 플라이휠은 보다 상세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는 프랑스 특허 공개 제 FR-A2-736 116 호에 개시된 유형이다.
제 2 금속 웨브(26)는 통기 구멍(23)의 거리보다 작은 축(X-X)으로부터의 거리에 배치되어 있는 리벳(27)에 의해서 내측 허브(22)에 고정된다.
이 웨브(26)는, 그 외측 에지가 지지 판(6), 가이드 링(62) 및 림(61)에 의해 한정되는 환상 하우징 또는 밀봉 챔버(63)의 내측을 관통한다. 2개의 밀봉 와셔(66, 67)는 하우징(63)을 폐쇄하며 하우징의 내측은 2개의 질량부재 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전술한 탄성 부품을 구성하는 코일 스프링(3)에 끼워맞춤된다. 이런 방식으로, 리벳(27)은 밀봉 와셔를 고정하는데 사용되지 않는다. 금속 판(6) 및 금속 가이드 링(62)은 도면에서, 각각 도면번호(68, 69)로 나타내는 외측을 향해 디스크(26)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스탬핑되어 스프링(3)용 환상 채널을 형성한다. 하우징(63)은 그리스로 채워져 스프링(3)을 윤활한다.
스탬핑 가공된 부분(68, 69)은, 스프링 단부용 멈춤부를 제공하는 변형부(64, 65)에 의해서 각기 방해됨으로써 환상 채널의 원주방향 세그먼트안에 보유된다. 이중 플라이휠의 정지 위치에 있어서, 웨브(26)의 아암은 변형부(64, 65)와 대향하고 있다.
웨브(26)의 외측 에지는 반작용 판의 내부면과 접촉하는 웨브(26)의 내측 에지에 대해서 지지 판(6)의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리벳(27)은 구멍(70)과 정렬된다.
스프링(3)은 미리 구부러져 있어서 아크 형상을 한다. 웨브(26)는 프랑스 특허 공개 제 FR-A-2 736 116 호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63)의 내측에 아암을 가진다. 이들 아암은 스프링(3)을 수용하는 공동을 제한한다.
아암 및 이에 따라서 웨브(26)는 판(6)과 가이드 링(62)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밀봉 와셔(66)는 지지 디스크(32)를 지지 판(6)에 체결하는 내부 리벳(34)을 사용하여 판(6)에 고정된다. 와셔(66)는 웨브(26)의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며 그 외측 에지는 탄성적으로 이 웨브(26)를 가압한다. 밀봉 와셔(67)는 통기 구멍(23)과 축방향으로 정렬된 일련의 리벳(134)에 의해서 웨브(26)에 고정된다. 리벳(134)은 본 명세서에서 스탬프형 강판으로 이루어진 웨브(26)를 압출성형함으로서 형성된다. 리벳(134, 34, 27)의 외측에 반경방향으로 끼워맞춰진 와셔(67)의 외측 에지는 가이드 링(62)에 대해서 그 내측 에지에서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와셔(67)는 거의 평탄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림(74)은 프랑스 특허 공개 제 FR-A-2 736 116 호의 플러그를 대체하며, 리벳(27)은, 가능하면 모든 원주방향의 유격을 흡수한 후,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마찰 수단(8)의 일부를 형성하는 마찰 링을 회전 구동시키는 핀(28)을 형성하는 중공형 헤드를 가진다. 이들 마찰 수단(8)은 프랑스 특허 공개 제 FR-A 2 736 116 호에 개시된 유형이므로, 슬롯을 그 외측 에지에 가지는 마찰 링을 구비하며, 원주방향의 유격이 있거나 또는 없는 상태로 그 슬롯내로 핀(28)을 관통시켜 제 2 질량부재(2)가 마찰 링을 회전시킬 수 있게 한다.
마찰 링은 제 1 허브(5)의 횡방향 숄더와, 반경방향 탭에 의해서 제 1 허브에 회전 접속된 어플리케이션 와셔를 가압하며, 반경방향 탭은 장부구멍 형태의 축방향 홈 내로 관통하는 핀을 형성하고 제 1 허브의 자유 단부에서 베어링(4)을 지지하는 직경보다 큰 외경부상의 기계가공 여유부(52)에 형성된다. 어플리케이션 와셔는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 와셔,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접시형 와셔의 작용을 받으며, 제 1 허브(5)의 기계가공 여유부(52)에서 절단된 환상 홈 내에 끼워맞춤된 서클립에 의해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스프링 와셔는 제 1 질량부재(1)의 2개의 면 또는 표면들 사이에 마찰 링을 압착하며, 2개의 질량부재(1, 2)의 상대운동 동안에 제 2 질량부재(2)에 의해서 구동되는 마찰 와셔는 제 1 질량부재(1)의 2개의 면과 마찰한다.
지지 판(6)의 림(61)은 그 외측 에지에 단차형 직경을 가지며 숄더를 거쳐 실제의 림(61)에 결합되는 더 큰 직경의 자유 단부에 외축부를 가진다. 이 숄더는 림(61)의 외측부의 내측에 장착된 가이드 링(62)을 일 축방향으로 차단한다. 그 외측 에지상에서 가이드 링(62)은 림(61)의 외측부의 내측과 긴밀하게 접촉하며 그것에 의해서 중심설정된다. 가이드 링(62)은 림(61)의 외측부의 자유 단부와 가이드 링(62)의 축방향으로 배향된 외측 에지를 서로 용접함으로써 판(6)의 림(61)에 체결된다. 가이드 링의 외측 에지는 림(61)의 외측부에 끼워맞춤되며 가이드 링(62)의 중심 설정을 보증한다.
용접은 용접 비드로 이루어진다. 반작용 판(21)의 내부면[제 1 질량부재(1)를 향함]은 리세스(24)가 형성되어 그 축방향 크기가 줄어든다.
리세스(24)는 림(25)에 의해서 한정된다. 림(61)의 자유 단부와 대면하는 부분이 평탄한 바닥부이므로 림(61)과의 접촉을 피한다. 이러한 평탄한 바닥부는 제 1 질량부재(1)를 향해 배향되고 축(X-X)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경사부에 의해서 반작용 판(21)의 더 두꺼운 부분과 결합하여 가이드 링(62)의 변형부(69)와 접촉하는 것을 회피한다.
리세스(24)는 사다리꼴이다. 두 질량부재 사이의 상대적인 각 운동 동안에, 웨브(26)는 스프링(3)의 압축에 의해 판(6)에 대해 가이드 링(62) 내에서 운동한다.
물론, 가이드 링(62)은 크림핑(crimping)에 의해서 림(61)에 체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예컨대, 림(61)은 가이드 링(62)의 외측 에지상에 핀을 수납하는 슬롯을 그 자유 단부에 가진다. 이 때 슬롯의 에지는 압착되어 핀을 슬롯 내에 크림프시킨다.
림(61)의 외측부와 가이드 링(62)의 외측 에지의 존재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그러나, 외측 에지는 가이드 링(62)을 보강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제 1 허브(5) 및 스프링(3)을 제외하고, 제 1 질량부재(1)는, 본 명세서에 있어서 스탬프 가공된 강판으로 된 간단한 형상의 경금속 부품만, 즉 디스크(32), 지지 판(6), 가이드 링(62) 및 제 2 웨브(26)만을 포함한다. 밀봉 와셔(66, 67)는 얇은 금속으로 제조되어 그 탄성을 보증한다. 와셔(66)는 웨브(26)에 대해 탄성적으로 가압되며 와셔(67)는 더 큰 내경을 갖는 가이드 링(62)의 내측 에지에 대해서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판(6)의 지지 영역(37)은 판(6)의 내측 에지의 평면에 놓인다.
지지 영역(37)은 웨브(2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6)의 변형부(68)의 상부에 있다. 이들 변형부(68)는 축(X-X)에 직교하고 변형부(64)의 평면에 놓이는 판(6)의 평탄부(164)와 결합한다.
따라서, 평탄부(164)는 스프링의 단부와 접촉하여 변형부(64)에 의해서 연장되며 그 내측 에지에서, 지지 영역(37)의 평면에 놓이는 판(6)과 결합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지지 판(6)은 축(X-X)에 수직인 중간 섹션(164)을 포함하며, 이 중간 섹션은 동일 횡방향 평면에 놓이는 그 내측 및 외측 에지에 대해 웨브(26)의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오프셋된다. 내측 허브(22)가 마찰면(29)과 반작용 판에 대해 판(6)의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오프셋된다. 스탬프부(69)는 또한 내측 허브(22)를 향해 여기서는 그 리세스(24)를 향해 축방향으로 오프셋된다. 웨브(26)의 내측 에지는 베어링(4)의 외부 레이스용 멈춤부를 제공한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마찰 수단(8)은 제 1 허브(5)에 의해 지지되며, 베어링(4)과, 제 2 질량부재를 향해 지향된 제 1 허브(5)의 횡방향 숄더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3에 있어서, 마찰 수단(80)은 제 1 질량부재(1)의 지지 판(6)에 의해 지지된다. 이들 수단(80)은 베어링(40) 및 고정 볼트(100, 101)를 지나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들 수단(80)은 핀에 대향하는 단부에 리벳을 형성하도록 성형된 트러니언(127)의 일 부분을 형성하는 핀(128)을 수납한다. 이들 핀(128)에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판(6)에는 구멍(도면에 도시안됨)이 있다. 이들 구멍은 제 2 허브(7)의 자유면에 의해서 차단된다. 트러니언(127)은 유럽 특허 공개 제 EP-A-0 798 490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내측 허브(220)의 구멍을 관통한다. 따라서, 트러니언(127)은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스프링 와셔(도면에 도시안됨)를 관통하며 스프링 와셔와 접촉하는 압착된 헤드와, 판(6)과 대면하는 허브(220)의 내부면과 접촉하는 잠금 칼라(collar)를 가진다.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스프링 와셔는 토오크 리미터(250)의 일부를 형성한다. 여기서 와셔는 접시형 와셔의 형상으로 그 외측 에지에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 내측 에지에서 이 부분은 연결 섹션과 결합하며, 트러니언(127)에 의해서 횡단되는 스프링 와셔와 그 내측 에지에서 결합한다.
연결 섹션은 어플리케이션 와셔(도면에 도시안함)상의 대응 내부 탭와 결합하는 구멍(도면에 도시안함)을 가진다. 어플리케이션 와셔는 토오크 리미터(250)의 일부를 형성하며 그 내부 탭에 의해서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스프링 와셔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된다.
어플리케이션 와셔는, 반작용 판(21)의 내측 에지상에 횡방향으로 배향된 내부 링(도면에 도시안함)과 결합하는 스로트의 횡방향 면들중 하나를 구성한다.
내부 링은 반작용 판보다 더 두껍다. 스로트의 다른 측방향 면은, 마찰면(29)에 대해 판(6)의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오프셋된 내측 허브(220)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그 외측 에지에, 구비하는 웨브면으로 형성된다.
스로트의 바닥부는 허브(220)의 외부면의 일부인 축방향 배향의 환상면으로 형성된다. 이 바닥부는 내부링의 내측 에지에 대해 중심 설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반작용 판은 토오크 리미터(250)에 속하는 스로트의 바닥부상에 회전식으로 장착된다.
토오크 리미터(250)의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 와셔는 어플리케이션 와셔를 지탱하며 스로트의 측방향 면들 사이에서, 다시 말해서 어플리케이션 와셔와 내측 허브의 웨브 사이에서 반작용 판의 내부 링을 압착한다. 일반적으로, 스프링 와셔를 압착함으로써, 스로트의 바닥부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반작용 판(21)과 내측 허브(220) 사이에 회전 운동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과도한 토오크가 발생하는 경우에, 상대적인 미끄럼운동이 반작용 판(21)과 허브(220) 사이에 발생한다.
폐쇄 링(620)은 림(610)의 자유 단부에 용접 비드에 의해서 고정된다.
국부적으로, 단차형 직경을 갖는 스페이서(81)는 폐쇄 링(620)을 지지 판(6)에 접속한다. 리벳(82)은 스페이서(81), 판(6) 및 폐쇄 링(620)의 구멍을 관통하여 스페이서를 지지 판(6) 및 폐쇄 링(620)에 고정시키며, 그에 따라 축(X-X)으로부터 반경방향 거리가 다른 두 영역에서 고정된다.
스페이서(81)는 내부 고정 리벳(34)의 반경방향 외측 위치에 배치된다.
리벳(34)은 디스크(32), 판(6), 금속 판(83) 및 컵 와셔(84)의 축방향으로 정렬된 구멍을 관통한다. 따라서, 리벳(34)은 부품(83, 84)을 지지 판(6)에 체결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명세서에서는 스탬프형 강판으로 된, 지지 디스크(32)와 판(83)이 제 2 허브(7)의 림(74)의 에지의 반경방향 외측에 판(6)의 어느 한쪽에 배치된다. 컵 와셔(84)는 축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며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마찰 수단(80)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컵 와셔(84)의 탄성은 예를들어 와셔의 중간부에 기다란 슬롯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진다. 정지시, 컵 와셔(84)는 테이퍼형이며 판(6)의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판(83)은 스페이서(81)에 의해 지지 판(6)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서, 다른 단부보다 직경이 작은 스페이서(81)의 일단부가 판(83)의 구멍(85)으로 끼워맞춤된다. 스페이서(81)중 더 작은 섹션의 축방향 길이는 물론 판(83)의 두께보다 작다.
이러한 방법으로, 판(83)은 스페이서(81)와 리벳(82)에 의해서 지지 판(6)에 리벳(34)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체결된다.
스페이서(81)와 판(83)은 제 1 질량부재의 관성을 간단하고 저렴한 방법으로 증가시킨다. 구멍이 리벳(82)에 대향하는 지지 디스크(32)에 형성되며, 리세스가 폐쇄 링(620)에 형성되어 리벳(82)의 발을 수용한다. 이에 의해서 스페이서(81)와 리벳(82)은 폐쇄 링(620)과 판(83)을 지지 판(6)에 체결한다. 판(83)의 외측 에지는 질량부재의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림(610)이 지지 판(6)에 결합하는 영역을 방해하지 않게 한다.
판(83)은 어플리케이션 와셔의 내측 에지상에 반경방향 탭을 결합하는 노치를 그 내측 에지에 가진다.
어플리케이션 와셔는 마찰 수단(80)의 일부를 형성하며 제 2 질량부재(2)를 향해 배향되는 판(6)의 내부면과 접촉상태인 마찰 링에 대해 마찰면을 제공한다.
제 1 마찰 링은 판(6)의 내부면과 어플리케이션 와셔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 와셔, 여기서는 접시형 와셔(도면에 도시안함)의 작용으로 압착되며, 상기 스프링 와셔는 컵 와셔(84)상에 지탱되어 어플리케이션 와셔가 판(6)의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게 한다.
컵 와셔(84)의 내측 에지는 제 2 마찰 링상에 지탱되어 판(6)의 내부면의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제 2 마찰 링에 가압된다.
제 2 마찰 링은 합성 재료로 제조되며, 핀(128)이 결합되는 내측 에지상에 노치를 갖고 있다.
제 2 마찰 링은 그 외측 에지에 한 세트의 수 치형부를 가지며, 제 1 마찰 링은 그 내측 에지에 한 세트의 암 치형부를 가진다. 이들 세트의 치형부는 교호형 치형부와 바람직하게 사다리꼴인 슬롯을 구성한다. 수 치형부의 치형부와 슬롯은 각각 암 치형부의 슬롯과 치형부에 결합함으로써, 가능하면 약간의 백래시(backlash)를 갖는 원주방향의 기어 맞물림 수단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 1 마찰 링은 제 2 마찰 링과 원주방향으로 맞물린다.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 와셔는 제 1 마찰 링(84)상에 더 큰 부하를 제공한다. 제 2 마찰 링은 2개의 질량부재의 모든 상대 운동 동안 영구적으로 마찰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 1 마찰 링은 조금 더 작동하여 원주방향 기어 맞물림 수단의 임의의 원주방향 백래시를 흡수한다.
따라서, 판(83)의 두께는 2개의 마찰 와셔, 어플리케이션 와셔, 접시형 와셔 및 컵 와셔(84)를 갖는 마찰 수단을 수용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마찰 수단(80)은 판(6)과 판(83)에 의해 지지되며 제 2 질량부재(2)에 고정된 핀(128)에 의해서 회전식으로 구동된 제 2 마찰 링을 구비한다.
제 2 일련의 트러니언(86)은 폐쇄 링(620) 및 판(6)의 외측 에지에 끼워맞춤된다. 모든 트러니언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칼라를 가진다. 그 축방향 단부중 하나는 폐쇄 링(620)의 개구와 결합하며 다른 단부는 판(83), 판(6) 및 디스크(32)의 축방향으로 정렬된 구멍과 결합한다.
모든 트러니언의 칼라는 판(83)의 외측 에지를 갖는 면중 하나상에 접촉하고 있다. 칼라의 다른 면은 상기 프랑스 특허 출원 제 FR 97/12115 호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관절 부분과 접촉하고 있다. 제 1 관절 부분은, 트러니언(86)에 의해 횡단되고 본 명세서에서는 원통형인 유닛(87)의 일부를 형성하고, 이 유닛은 유닛(87)의 하측 단부에 고정되는 와셔(90)를 가로지르는 로드(89)에 연결되는 피스톤(88)을 포함한다. 로드(89)의 내측 에지상에는 제 2 트러니언(86)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원주상에 배치된 제 1 트러니언(127)상에 장착되는 제 2 관절 부분이 있다.
동심으로 장착된 코일 스프링(30)은 피스톤(88)과 와셔(90) 사이에 결합된다.
따라서, 스프링(30)은 2개의 질량부재의 상대 운동시에 압축 작용하고, 그들은 유닛(87), 피스톤(88) 및 로드(89)를 구비하는 카세트의 부분을 형성한다.
압축 스프링(30)은 그들의 단부 권선부가 트러니언(127, 86)과 결합하는 인장 스프링으로 명확하게 대체될 수 있다.
핀(28, 128)에 대향하여 위치한 판(6)은 항상 제 2 허브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제 1 질량부재의 내부가 보호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마찰 수단(8, 80)은 제 2 허브(7)에 의해 어떤 오염에 대해서도 보호된다. 가이드 링(62)과 폐쇄 링(620)은 큰 내경을 갖고, 소정의 거리에서 내측 허브(22, 220)를 둘러싸고 있다.
제 2 허브(7)에 의해서, 지지 디스크(32)는 내연 기관의 크랭크케이스 벽(75)에 대해 돌출한 볼트(100)의 헤드에 매우 근접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마모 방지 부분, 예를 들면 튜브는 스프링(3)의 외측면과 하우징(63)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도 3에 있어서, 제 1 허브(50)는 튜브이고, 베어링(40)과 대향하는 단부에서 도 1의 슬리브(60)와 같은 센터링 슬리브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 1 허브(50)는 매우 얇고, [통기 및 볼트(100, 101)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구의 통과를 위하여 제공된 구멍(230) 바로 내부에 위치한] 베어링 수단(40)의 크기를 감소시키며, 또한 카세트 및 스프링(30)의 길이를 최대로 할 수 있다.
도 2에 있어서, 구동축(300)(크랭크축), 피동축(301)(기어박스 입력축) 및 마찰 디스크의 허브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3)의 개수를 증가시키고 및/또는 그들을 2개의 상이한 직경의 원을 따라 결합하는 것이 물론 가능하다.
스프링(3)은 프랑스 특허 공개 제 FR-A-2 166 604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그리스가 도포될 수 없다.
도 3에 있어서, 스프링 카세트(30)는 일정한 간격으로 원주방향으로 분포된다(별 모양). 카세트는 스페이서(81)와 함께 원주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고, 제 1 질량부재의 관성을 증가시킨다.
모든 도면에서 제 2 허브(7)의 자유 단부는 지지 판(6)을 위한, 보다 정확하게는 이러한 지지 판의 내측 에지를 위한 축방향 베어링 표면을 제공한다.
볼트(100, 101)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직경의 원상에 교대로 배치되는 대신에 상이한 직경으로 배치될 수 있다(도 3).
용접에 의해 제 1 허브(50)상에 판(6)을 고정함으로써 제 1 허브(50)를 최적으로 단순하게 할 수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 반작용 판(21)의 림(25)은 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규칙적인 방식으로 원주방향으로 분포된 팬 블레이드(340)에 의해 스타터 링 기어(31)의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블레이드(340)는 링 기어(31)를 약간 지나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물론, 지지 디스크(32)는 물론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링 기어(31)가 림(25) 및 블레이드(340)를 지나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터 링 기어(31)는 제 2 질량부재상의 블레이드와 함께 작동하는 블레이드(440)를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반작용 판(21)상의 블레이드는 축방향으로 보다 짧아진다. 블레이드는 보다 큰 효율을 위해 경사지거나 만곡되어 있다.
도 4에 있어서, 도 3의 베어링(40)은 전술한 평면 베어링(400)으로 대체되어, 카세트 및 스프링(30)의 길이를 더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71)는 제 2 허브(7)의 직경의 변화에 의해 형성되어, 크랭크축에 직경(D1)의 단부를 제공한다. 이러한 경우에 크랭크축은 제 2 허브(7)의 주요 부분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D1)의 단부를 갖고, 그 다음 제 2 허브(7)는 크랭크축의 단부보다 크게 된다.
도 4의 제 1 허브는 베어링(400)을 지지하는 섹션의 축방향 신장에 의해서만 도 3의 허브와 상이하고, 베어링은 도 3에서와 같이 서클립(260) 및 직경의 변화에 의해 축방향으로 차단된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지지 판(6)은 제 2 질량부재(2)의 방향으로 국부적으로 변형됨으로써 제 2 마찰 링(80)을 위한 베어링 표면을 제공한다.
판(83)에 의해서, 마찰 수단(80)은 전체적인 축방향 밀집을 증가시키지 않고 판(6)과 스프링 카세트(30) 사이에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다. 제 2 허브(7)는 예를 들면 지지 판(6) 및/또는 제 1 허브(5)를 결합하는 핀의 형태의 간단한 결합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구조는 변형될 수 있다.
도 5에 있어서, 제 2 허브(7)는 로터(500)를 둘러싸는 스테이터(700)를 갖는 전기 기계(600)의 로터(500)를 지지한다.
이러한 로터(500) 및 스테이터(700)는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에 반경방향으로 장착되고 공극(800)에 의해 분리된 동축 부품이다. 자유 단부 근방에서 제 2 허브(7)에는 구불구불한 형상의 제 2 웨브(701)가 형성되며, 이 제 2 웨브는 후단부상의 횡방향 숄더(703)를 갖는 축방향 배향의 슬리브(702)를 그 외측 단부상에서 지지한다..
제 2 웨브(701) 및 슬리브(702)의 말단은 리브(704)에 의해 결합된다.
제 2 허브(7)는 구동축(300)측상의 웨브(701)의 루트에 위치되는 제 2 베어링 수단(710), 여기서는 볼 베어링을 지지한다.
베어링(710)의 내측 레이스는 제 2 허브상에서 활주 끼워맞춤되고, 베어링의 외측 레이스는 벨 하우징(712) 내측에 형성된 숄더를 갖는 부싱(bushing)(711) 내측에 결합하고, 벨 하우징은 그 외측 에지상에 스커트(713) 및 구멍을 갖는 러그(715)를 갖고, 하우징(712)을 볼트(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엔진 크랭크케이스(도시하지 않음)의 고정 벽에 고정시킨다. 러그의 수는 적용에 따라 달라진다.
하우징(712)은 로터(500), 슬리브(702) 및 웨브(701)를 그것에 근접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불구불한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하우징(712)은 보강 리브(714)를 갖고, 볼트(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차량의 엔진 블록상에 장착되게 된다. 제 2 베어링 수단(710)은 로터(500)와 스테이터(700) 사이의 공극이 정밀하게 규정되도록 보장한다.
제 2 허브(7)는 물론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엔진을 통과할 수 있고, 밀봉 링을 수용할 수 있는 리세스 및 제 1 스로트(throat)를 구비할 수 있다.
공지된 방식으로, 로터(500) 및 스테이터(700)는 산화(oxidation) 및 절연 재료에 의해 서로 절연되는 박판(코어 판)의 적층체를 포함한다. 박판은 연철로 제조되고, 예를 들면 바인딩 또는 수축에 의해 슬리브(702) 및 스커트(713)상에 각기 장착된 축방향 배향 링으로 재구성되고, 이것은 슬리브(702)가 숄더(703)를 갖기 때문이다. 변형예에서, 조립체는 그루빙(grooving), 용접, 나사결합 또는 홈내의 로드에 의해 제조된다.
변형예에서, 스커트(713) 및 슬리브(702) 및 코어 판의 적층체는 원추형 섹션을 갖는다. 스테이터(700)는 전원 및 제어 유닛에 결합된 전선의 권선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기 기계(600)는 내연 기관용 교류발전기 및 스타터를 제공한다.
여기서 전기 기계는 비동기식이지만, 이것은 동기식일 수도 있으므로, 공극(800)내에 장착되거나 또는 매설된 자석을 갖는다. 전기 기계(600)는 반경방향 또는 축방향 플럭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 이러한 플럭스 스위칭 전기 기계는 브러시 없는 클램프, 가변 릴럭턴스(reluctance), 단일 및 이중의 여기, 횡방향 유입 등을 갖는 자석으로만으로 또는 혼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 기계(600)는 진동을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차량의 열 엔진을 제동 또는 가속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국제 출원 공개 제 WO 98/05832 호를 참조할 수 있다.
따라서, 이중 휠 진동 댐퍼의 제 1 질량부재는 제 2 허브(7)를 경유하여 전기 기계(600)의 로터(500)를 지지한다.
도 5에 있어서, 피동축(301)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허브(302)를 갖는 마찰 디스크(261)의 마찰 패드는 도면부호(260)로 도시되어 있다.
마찰 패드(260)는 허브(302)에 크림핑에 의해 부착된 웨브(263)에 리벳결합함으로써 지지부(262)에 고정된다. 따라서, 마찰 패드(260)는 허브(302)에 견고한 방식으로 결합된다. 또한, 도면부호(264)에서 접선방향 탭(266)에 의해 커버(265)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면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가압판이 도시되어 있다.
반작용 판(21)의 외측 에지상에는 판(21)과 함께 성형되는 축방향 배향의 환상 스커트(350)가 구비된다. 스커트(350)는 도 3의 림(25)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축방향을 향해 있다.
커버(265)의 외측 에지상에는 구멍을 갖는 반경방향 림(267)이 구비되어, 마찰 패드(260)를 둘러싸는 스커트(350)에 볼트(268)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커버(265)는 격판(269)을 지지하고, 이 격판(269)은 격판(269)을 축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소형 핀(270)을 사용하여 관절식으로 장착되어, 커버(265)내에 가압 형성된 제 1 지지부(272)에 대향하는 격판(269)용 제 2 지지부(271)를 제공하는 롤 링에 리벳결합된다. 개략적으로 도면부호(273)로 도시되어 있는 클러치 해제 베어링을 사용하여 가압함으로써, 격판(269)은 클러치를 분리하도록 피봇 회전할 수 있다.
지지 판(6)은 도 3과 같이 판(83)에 고정되지만, 본 실시예에서 지지 디스크(32)는 판(6)의 다른 측면상에 변형 및 장착된다. 지지 디스크(32)는 판(6)과 함께 공동을 형성하는 폐쇄 링(620)의 일부를 형성하고, 이 공동에은 도 3에서와 같이 2개의 일련의 리벳(34, 82)으로 스페이서(81)가 끼워맞춤된다. 여기서, 판(83)은 지지 디스크(32)와 판(6) 사이에 끼워진다.
리벳(82)은 단지 스페이서(81), 판(6), 및 디스크(32)와 폐쇄 링(620)을 결합하는 부품을 고정하는 기능만을 한다.
이러한 결합 부품은 스탬프 가공된 강판이다. 폐쇄 링(620) 및 그에 따른 디스크(32)는 그 외측 에지에 스커트(350) 외측에 배치되는 축방향 배향의 환상 에지를 갖는다.
플라이휠 진동 댐퍼의 나머지는 도 3의 것과 동일하다. 일련의 볼트(10)는 도 2에서와 같이 허브(50, 7)를 크랭크축(300)에 고정한다.
물론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2개의 일련의 볼트가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1 허브(50)는 반경방향 웨브(150)를 갖는다. 판(6)은 제 2 허브로부터 대향하는 측면상에 웨브(150)의 면과 접촉한다. 볼트(10)는 판(6), 웨브(150) 및 제 2 허브(7)를 가로질러 크랭크축내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판(6)은 제 1 허브(50)와 결합된다.
판(6)은 용접 또는 접착제에 의해 웨브(150)에 고정될 수 있다.
변형예에서, 판(6)은 웨브(150)상에 리벳 결합되고, 이러한 경우에 제 2 허브(7)는 도 1에서와 같이 리세스를 구비하여 고정 리벳의 헤드를 수용한다. 변형예에서, 판(6)은 자유 상태에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교류 전류를 사용하는 스테이터(700)의 권선부에 전기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전기 기계(600)는 스타터로 변형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엔진이 작동될 때, 전기 기계(600)는 정류될 수 있는 교류 전류를 발생시키는 교류발전기를 형성한다. 다른 조합도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 5의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유형일 수 있다.
그것은 도 3의 베어링(400)을 가질 수도 있다. 도 5에 있어서, 판(6)은 트러니언(86)의 위치에서 국부적으로 가압된다.
로터(500)는 여기서 마찰 패드(260)의 외경(D2)의 내측에 반경방향으로 그리고 마찰 패드(260) 및 마찰면(29)의 내경의 외측에 반경방향으로 리브(702)에 고정된다. 피동축(301)은 제 1 허브(50)내에 가압 끼워맞춤되고 파일럿 베어링 및 수밀 동적 시일을 포함하는 케이지(cage)(306)를 지지한다.
물론, 로터(500)는 여러 도면에 도시된 형상을 조합한, 마찰면(29)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피동축에 더 근접하게 고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변형예에서, 제 2 허브(7)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형태를 취하며 반작용 판(21)은 도 5에 도시된 형태의 축방향으로 배향된 환상 스커트를 그 외측 에지에 가지며, 이 스커트는 바람직하게는 판의 일체형 부분이다. 그리고 스커트는 그 외측 에지에 전기 기계의 로터(500)를 지지하며, 로터 반대측에서 스테이터가 기어박스에 체결된 클러치 벨 하우징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스테이터는 로터를 둘러싼다. 변형예에서, 클러치는 도 5에 도시된 형태의 2개의 마찰 디스크와, 두 디스크의 마찰 패드 사이의 중간 가압판을 갖는 이중 디스크형이다. 예컨대, 스커트의 외부면상에 바인딩에 의해 로터가 장착되기 때문에, 반작용 판의 스커트는 축방향으로 더 길다. 이에 의해 클러치의 전체적인 반경방향 크기가 감소한다.
따라서,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의 제 2 질량부재는 전기 기계의 로터를 지지할 수도 있다. 모든 경우에 진동의 양호한 제거가 엔진의 고속 회전에서 달성된다.
변형예에서, 지지 판(6)이 제거되고, 중량 부재에 의해서 대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6에서, 제 1 허브(50)와 판(900)은 단일 부품으로 형성된다.
판(900)은 도 3 내지 도 5의 부품(6, 83, 81)을 대체한다. 본 명세서에서 판(900)은, 예를들어 주철 또는 알루미늄으로 제 1 허브(50)와 함께 성형함으로써 제조된다.
제 2 질량부재(2)에 대향하는 판(900)의 면은 도 3 내지 도 5에 개시된 유형의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마찰 수단(80)용의 마찰면을 형성한다.
제 2 허브(7)는 전기 기계(600)의 로터(500)를 직접 지지한다. 로터(500)는 예컨대 볼트를 사용하여, 자동차의 엔진(901)에 고정된 스테이터(700)로 둘러싸인다. 제 2 웨브(701')는 여기서 횡방향으로 배향되며, 그에 따라 도 5의 웨브(701)보다 간단한 형상을 갖는다. 웨브(701)는 개구(도면에 도시안됨)를 가짐으로써 특히 제 2 허브(7), 웨브(701') 및 로터(500)를 포함하는 조립체의 무게를 감소시킨다.
도 5의 베어링 수단(710)이 제거되어, 전체 크기가 감소한다. 여기서, 웨브(701'), 슬리브(702), 숄더(703) 및 제 2 허브(7)는 예컨대 주조에 의해서 형성된 단일 부품을 구성한다. 따라서, 제 1 질량부재(1)는 제 2 허브(7)를 거쳐 로터(500)를 지지한다. 제 2 질량부재(2)는 도 5의 질량부재와 유사하다.
소형 핀(270)이 격판(269)의 제 2 지지부를 직접 성형하는 윤곽 헤드(271)를 갖는다. 웨브(263)는 단순화된 것으로서, 이 실시예에서는 사인파형 윤곽을 갖지 않는다.
지지부(262)는 그것의 에지에 내부 절곡부를 구비하며, 도 5에서와 같이 지지부(262)의 외측 에지상에 그 내측 에지를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리벳결합에 의하여 고정된다.
제 1 허브(50)는 제 2 허브(7)의 중심을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스페이서(81)가 제거되고 판(900)의 재료로 대체되기 때문에 폐쇄 링(620)이 단순화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265), 가압판(264) 및 격판(269)은 "클러치 기구"라 칭하는 단일의 유닛을 형성하는데, 이 클러치 유닛은 도 6의 상부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는 나사체결함으로써 그것의 커버(265)가 반작용 판(21)에 부착된다.
상기 단일 조립체는 적어도 마찰 디스크의 마찰 패드(들)의 마모를 보상하는 마모 보상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한 장치는 예를 들면 독일 특허 공개 제 DE-A-42 39 289 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그것에서 더욱 상세한 정보를 알 수 있다.
이 마모 보상 장치는 경사부와 역 경사부를 구비한다. 경사부는 격판상으로 가압되는 링과 연관되어 있는 반면, 역 경사부는 반작용 판(도 28 내지 도 34)이나 커버(도 1 내지 도 27, 도 35 및 도 36)중 어느 하나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판(900)이 제 1 허브(50)에 고정되기 때문에, 제 2 허브(7)를 제외하고 이중 플라이휠과 클러치 기구를 구비하는 제 1 모듈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다른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격판(269), 마찰 디스크의 웨브(263) 및 제 2 질량부재(2)(본 명세서에서는 내측 허브내에 있음)내에 축방향으로 정렬된 개구가 형성된다. 이 개구는 하나 이상의 공구가 고정 볼트(10)[변형예에서는 도 3 및 도 4의 볼트(101)]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데, 전기 기계의 로터(500)와 제 2 허브(7)를 구비하는 제 2 모듈을 삽입하여서 제 1 모듈을 크랭크축에 부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볼트(10)에 의해서 예를 들면 제 2 허브(7)와 볼트(10) 사이에서 작용하는 가요성 체결 수단 또는 다른 수단을 이용하여 제 2 모듈이 볼트(10)상에 장착되어서, 그들을 포획할 수 있다. 다음에, 조립체는 격판(269), 웨브(263) 및 내측 허브(220)내의 정렬 구멍을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 체결 공구를 이용해서 크랭크축에 고정된다.
변형예에 있어서, 제 2 모듈이 도 3의 볼트(100)와 동일한 유형의 볼트를 이용하여 미리 크랭크축에 고정되고, 제 1 모듈이 도 3의 볼트(101)와 동일한 유형의 보다 짧은 볼트를 이용하여 제 2 모듈에 고정된다.
격판(269)내의 구멍의 직경은 볼트(10 또는 101)의 헤드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유리하다. 이것은 마찰 디스크 및 내측 허브에 있는 구멍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고정 볼트(10, 101)가 포획된다.
볼트는 예를 들어 볼트(10, 101)의 나사부와 판(900) 또는 판(6)에 형성된 나사산 구멍 사이에 접착 또는 가요성 수단을 이용해서 포획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정 볼트가 제 1 및/또는 제 2 모듈에 통합될 수 있다.
제 2 허브(7)는 물론 제 1 허브(5, 50)상에 억지끼워맞춤되어서 제 1 및 제 2 모듈을 포함하는 하나의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는 두 개의 허브가 리벳결합, 접착, 나사체결, 크림핑 등에 의해서 미리 고정되어서, 볼트를 크랭크축에 고정하기 전에 하나의 완전한 소조립체를 형성한다.

Claims (21)

  1. 서로 자유롭게 회전하고 탄성 부품(3, 30)에 대항하여 작용하는 두 개의 동축 질량부재(1, 2)를 구비하는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에 있어서, 제 1 질량부재(1)라 칭하는 상기 질량부재중 하나는 구동축에 고정되도록 의도되는 한편, 제 2 질량부재(2)라 칭하는 다른 질량부재는 피동축에 대한 회전 접속을 보증하는 반작용 판(21)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질량부재(1)는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중앙 허브(5, 50; 7)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 허브(5, 50; 7)는 상기 제 2 질량부재(2)와 상기 중앙 허브(5, 50; 7) 사이에서 동작하는 베어링 수단(4, 40)을 지지하여서, 상기 제 2 질량부재(2)가 상기 제 1 질량부재(1)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중앙 허브(5, 50; 7)는 두 개의 정렬된 동축 부품, 즉 제 1 허브상에 끼워맞춤되어 있는 상기 베어링 수단(4, 40)을 거쳐 상기 제 2 질량부재(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허브(5, 50)와, 상기 구동축에 고정되도록 의도된 제 2 허브(7)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허브(7)는 상기 구동축과 상기 제 1 허브(5, 50) 사이에 축방향 스페이서를 구성하는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허브(7)는 원통 형상이고, 상기 제 2 허브(7)와 고정 벽(75) 사이에서 작용하는 시일(77)을 수용하도록 설치되는 리세스(71)를 외측 에지에 갖는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허브(7)는 상기 리세스(71) 근방의 외측 에지에 제 1 스로트(72)를 갖는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허브(7)는 상기 제 1 스로트(72)보다 큰 제 2 스로트(73)를 갖는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로트(73)의 한쪽의 경계가 경사진 플랭크에 의해서 설정되는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플랭크는 상기 리세스를 갖는 단부와 반대쪽에 있는 상기 제 2 허브(7)의 자유 단부상에서 반경방향 외향으로 돌출하는 림(74)에 속하는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허브(7)는 전기 기계(600)의 로터(500)를 지지하는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500)는, 반경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제 2 허브(7)의 일부를 형성하는 웨브(701)에 연결된 슬리브(702)상에 장착되는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허브(7)는 상기 전기 기계의 스테이터(700)를 지지하는 제 2 베어 링 수단(710)을 갖는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어링 수단은 상기 웨브(701)의 기부에 끼워맞춤되는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질량부재(1)는 상기 제 1 허브(5, 50)와 관련되어 있는 지지 판(6)을 구비하는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판(6)은 상기 제 1 허브(5, 50)에 의해서 중심이 설정되는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고정 부품(100, 101; 10)이 상기 제 1 허브(5, 50)와 상기 지지 판(6)을 횡단하는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품(10)이 상기 제 2 허브(7)를 횡단하여 그것을 상기 구동축에 고정하는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 항에 있어서,
    제 1 고정 부품(101)이 상기 제 2 허브(7)내로 끼워맞춤되고, 상기 제 2 허브(7)를 상기 구동축에 고정하는 제 2 고정 부품(100)과 원주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는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판(6)은 제 1 고정 부품(101)에 의해서 상기 허브(7)에 고정되고, 제 2 고정 부품(100)은 상기 제 2 허브(7)를 상기 구동축에 고정하도록 제공되는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허브(5, 50)의 부품 또는 상기 제 2 허브(7)의 부품중 하나는 상기 피동축의 단부를 수용하는 파일럿 베어링(9)을 내측 표면상에서 지지하는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질량부재(2)로부터 상기 지지 판(6)의 반대쪽에서 상기 제 2 허브(7)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상기 지지 판(6)에 지지 디스크(32)의 내측 에지가 고정되는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디스크(32)는 상기 두 개의 질량부재(1, 2)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부품(30)의 관절운동식 장착을 제공하는 제 2 트러니언(86)을 갖는 폐쇄 링(620)을 지지하는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질량부재는 상기 탄성 부품(30)의 관절운동식 장착을 제공하는 제 1 트러니언(127)을 내측 에지상에서 지지하는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질량부재(2)는 두 개의 동축 부품으로, 즉 상기 제 1 질량부재의 방향으로 상기 반작용 판(21)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오프셋된 내측 허브(220)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반작용 판(21)으로 되어 있고, 마찰형 토오크 리미터(250)가 상기 반작용 판(21)과 상기 내측 허브(220) 사이에 끼워맞춤되는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
KR1020007000076A 1998-05-05 1999-05-05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 KR1005992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805652A FR2778441B1 (fr) 1998-05-05 1998-05-05 Double volant amortisseur de torsion,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98/05652 1998-05-05
FR98/09638 1998-07-28
FR9809638A FR2778442B1 (fr) 1998-05-05 1998-07-28 Double volant amortisseur de torsion,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PCT/FR1999/001066 WO1999057456A1 (fr) 1998-05-05 1999-05-05 Double volant amortisseur de torsion,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520A KR20010021520A (ko) 2001-03-15
KR100599242B1 true KR100599242B1 (ko) 2006-07-13

Family

ID=26234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0076A KR100599242B1 (ko) 1998-05-05 1999-05-05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0996832B1 (ko)
JP (1) JP2002513895A (ko)
KR (1) KR100599242B1 (ko)
AU (1) AU3609399A (ko)
BR (1) BR9906423A (ko)
DE (2) DE69910141D1 (ko)
ES (1) ES2205810T3 (ko)
FR (1) FR2778442B1 (ko)
HU (1) HUP0003941A3 (ko)
WO (1) WO19990574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17709B4 (de) * 2000-05-17 2007-04-05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Tilger zur Schwingungsdämpfung eines rotierenden Bauteiles, insbesondere in einer Rotationsdruckmaschine
KR20020044225A (ko) * 2000-12-05 2002-06-15 이계안 인장 스프링을 이용한 다중 질량 진동 감쇠 플라이휠
JP4235939B2 (ja) * 2001-02-02 2009-03-11 ロース−フォイクト パテントフェアヴェルトゥングス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グレンツター ハフトゥング ねじり振動ダンパ
KR100512491B1 (ko) * 2002-11-25 2005-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듀얼매스 플라이 휠
DE10331371A1 (de) * 2003-07-11 2005-01-27 Zf Friedrichshafen Ag Synchronmaschine
DE502004001516D1 (de) * 2003-07-28 2006-11-02 Luk Lamellen & Kupplungsbau Drehschwingungsdämpfer
KR100921296B1 (ko) * 2007-10-30 2009-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자동 변속기용 토셔널 댐퍼
JP5338616B2 (ja) * 2009-10-28 2013-11-1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ダンパ装置
CN104391505B (zh) * 2014-08-13 2017-02-22 北京工业大学 一种变惯量反作用飞轮
CA2986138A1 (en) 2015-07-23 2017-01-26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DE102015225110A1 (de) * 2015-12-14 2017-06-14 Zf Friedrichshafen Ag Zweimassenschwungrad
DE102017119724A1 (de) 2017-08-29 2019-02-2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Drehschwingungsdämpf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7217A (ja) * 1990-03-26 1995-07-04 Valeo 自動車用防振複式はずみ車
JPH1073147A (ja) * 1996-07-05 1998-03-17 Luk Lamellen & Kupplungsbau Gmbh ねじり振動減衰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8657A (en) * 1989-12-26 1991-09-17 Dyneer Corporation Centrifugal clutch with vibration dampening means
FR2660038B1 (fr) * 1990-03-26 1994-07-08 Valeo Double volant amortisseur,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2662767B1 (fr) * 1990-05-31 1996-09-27 Luk Lamellen & Kupplungsbau Volant divise.
US5611416A (en) * 1995-12-26 1997-03-18 Ford Motor Company Speed limiting accessory drive and crankshaft damper
DE19645174B4 (de) * 1996-03-08 2006-04-20 Zf Sachs Ag Schwungmassenvorrichtung mit einer Gleitlagerung
DE69707733T2 (de) * 1996-03-28 2003-03-13 Valeo Zweimassen-Schwungrad,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7217A (ja) * 1990-03-26 1995-07-04 Valeo 自動車用防振複式はずみ車
JPH1073147A (ja) * 1996-07-05 1998-03-17 Luk Lamellen & Kupplungsbau Gmbh ねじり振動減衰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P0003941A2 (hu) 2001-04-28
AU3609399A (en) 1999-11-23
EP0996832A1 (fr) 2000-05-03
ES2205810T3 (es) 2004-05-01
WO1999057456A1 (fr) 1999-11-11
FR2778442A1 (fr) 1999-11-12
BR9906423A (pt) 2000-07-11
EP0996832B1 (fr) 2003-08-06
HUP0003941A3 (en) 2002-01-28
FR2778442B1 (fr) 2001-02-09
JP2002513895A (ja) 2002-05-14
DE69910141D1 (de) 2003-09-11
KR20010021520A (ko) 2001-03-15
DE19981058T1 (de) 2000-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9541B1 (en) Double torque flywheel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
KR100219914B1 (ko) 분리된 플라이 휘일
US5794750A (en) Torque transmitting apparatus
US7500416B2 (en) Vibration filter for a transmission with automatic, continuous or discontinuous, gearchange,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US6048284A (en) Pulley with a damper between rotary input and output members
KR100599242B1 (ko) 이중 플라이휠 진동 댐퍼
US7238111B2 (en) Damper unit with torque limiter
JP2002039210A (ja) トルク変動吸収装置のトルクリミッター部組付け偏芯低減構造および方法
KR20130129237A (ko) 벨트 풀리 댐퍼
KR100371118B1 (ko) 토션댐퍼
JPH0461208B2 (ko)
US6186898B1 (en) Elastic coupling device between two substantially aligned shafts
KR100339657B1 (ko) 특히자동차용마찰클러치의반동플레이트
US20050150734A1 (en) Device for coupling a housing arrangement of a coupling device to a rotor arrangement of an electric machine
US5681221A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
EP0308829B1 (en) Torque variation absorbing device
WO2000056565A1 (fr) Ensemble constitue d'un embrayage associe a une machine electriqu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US6586852B2 (en) Drive system
US5105680A (en) Damped double flywheel for a motor vehicle
JP2006160096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駆動装置
JP7122397B2 (ja) 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JP7108719B2 (ja) 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FR2783292A1 (fr) Embrayage a friction portant le rotor d'une machine electriqu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GB2280726A (en) Torque transmitting apparatus
FR2792981A1 (fr) Ensemble constitue d'un embrayage associe a une machine electriqu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