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9024B1 - 관통공이 형성된 각막굴절교정용 콘택트 렌즈 - Google Patents

관통공이 형성된 각막굴절교정용 콘택트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9024B1
KR100599024B1 KR1020050004849A KR20050004849A KR100599024B1 KR 100599024 B1 KR100599024 B1 KR 100599024B1 KR 1020050004849 A KR1020050004849 A KR 1020050004849A KR 20050004849 A KR20050004849 A KR 20050004849A KR 100599024 B1 KR100599024 B1 KR 100599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hole
cornea
corneal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4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범진선
Original Assignee
범진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범진선 filed Critical 범진선
Priority to KR1020050004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9024B1/ko
Priority to PCT/KR2005/003905 priority patent/WO200607808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7Contact lens fitting; Contact lenses for orthokeratology; Contact lenses for specially shaped cornea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0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323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means of a rack-and-pinion or like gearing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8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for changing a straight chair into an easy chair, e.g. by inverting or tilting seat and back-rest in the base frame or by overturning the whole ch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6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 A47C1/03266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with adjustable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47C3/025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 A47C3/026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with central column, e.g. rocking office chairs; Tilting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4Chair or stool bases for chairs or stools with central column, e.g. offic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7/425Supplementary back-rests to be positioned on a back-res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막굴절교정용 콘택트 렌즈의 부작용인 각막(10)부종, 이로 인한 렌즈의 각막(10)유착 및 통증, 중심이탈에 의한 시력저하를 개선하기 위한 관통공(40)이 형성된 각막굴절교정용(Orthokeratology) 콘택트 렌즈에 관한 것이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각막굴절교정용 렌즈를 구성하는 4개의 부위중에서 고정부(34)에 수개의 관통공(40)을 만들어, 각막(10)에 산소공급을 원활히 하여 렌즈유착, 각막(10)부종, 통증 등을 개선하고, 또한 관통공 일면(42)의 결막접촉과 관통공 타면(44)의 각막(10)접촉을 이용하여 렌즈의 중심이탈을 줄여 안정된 시력개선효과를 유지하기 위한 중심부(30), 피팅부(32), 고정부(34), 주변부(36) 그리고 고정부(34)에 형성된 관통공(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굴절교정용 콘택트 렌즈에 관한 것이다.
콘택트 렌즈, 각막, 결막, 각막굴절교정용 렌즈, 렌즈유착, 중심부, 피팅부, 고정부, 주변부, 관통공, 관통공 전면, 관통공 후면.

Description

관통공이 형성된 각막굴절교정용 콘택트 렌즈{Orthokeratology contact lens with penetration hole}
도 1는 중심부, 눈물저장부, 주변부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각막굴절교정용 콘택트 렌즈에 관통공이 형성된 렌즈의 단면도,
도 2은 중심부, 피팅부, 고정부, 주변부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또 다른 각막굴절교정용 콘택트 렌즈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통공이 형성된 각막굴절교정용 콘택트 렌즈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중 A-A 방향의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관통공이 형성된 각막굴절교정용 콘택트 렌즈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관통공이 형성된 각막굴절교정용 콘택트 렌즈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2 : 각막굴절교정용 렌즈,
4 : 각막굴절교정용 렌즈,
6 : 각막굴절교정용 렌즈,
10 : 각막,
20 : 중심부,
22 : 눈물저장부,
24 : 주변부,
26 : 관통공,
30 : 중심부,
32 : 피팅부,
34 : 고정부,
36 : 주변부,
40 : 관통공,
42 : 관통공(40) 일면,
44 : 관통공(40) 타면.
본 발명은 각막굴절교정용(Orthokeratology, 일명 OK 렌즈)) 콘택트 렌즈의 부작용인 각막(10)부종, 이에 의한 렌즈의 각막(10)유착과 각막(10)통증, 그리고 렌즈의 중심이탈에 의한 시력저하 등을 개선하기 위한 관통공(40)이 형성된 각막굴절교정용 콘택트 렌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막굴절교정술은 특수하게 고안된 콘택트 렌즈를 수면중에 착용 함으로써 각막(10)의 형태를 변화시켜 근시나 난시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최근에 개발된 각막굴절교정용 콘택트 렌즈는 주로 수면중에 착용시켜 각막(10)의 만곡도를 편평하게 변화시켜 근시의 돗수를 줄이게 되며, 이 변화된 곡률은 하루 이상 유지되므로 낮시간에 안경이나 렌즈 착용을 하지 않고서도 불편없이 생활할 수 있다. 또 청소년기에 근시의 진행을 어느 정도 억제시킬수 있다고 알려져 있어,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다만, 이 각막굴절교정용 렌즈는 수술과 달리 그 치료효과가 영구적인 것이 아니므로 밤시간에 거의 매일 착용하여 주어야만 그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최근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26)을 갖는 각막굴절교정용 콘택트 렌즈(2)가 사용된 바 있다(미국특허 제 6,010,219호). 각막굴절교정용 렌즈(2)는 중심부(20), 눈물저장부(22), 주변부(24)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종래 기술은 눈물저장부(22)에 형성된 유체압력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눈물저장부(22)에 국한하여 관통공(26)을 만들었다. 도 1의 각막굴절교정용 렌즈(2)의 눈물저장부(22)는 도 2의 각막굴절교정용 렌즈(4)의 피팅부(32)에 해당한다. 또한, 오래전부터 근시치료용이 아닌 일반 하드렌즈인 공막하드렌즈(Scleral hard lens)가 나온 이후, 각막(10)의 산소부족으로 인한 각막(10)부종을 해결하고자 공막하드렌즈에 관통공을 만들어 사용한 적이 있었다.
이하에서는 최근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각막굴절교정용 렌즈(4),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역기하렌즈(Reverse geometry lens)에 대하여 설명한다. 역기하렌즈(4)는 4개의 부위로 구성된다. 중심부(30)는 각막(10)의 중심부위를 직접 눌러 편평하게 변화하도록 하여 근시를 교정하는 부위다. 피팅부(32)는 각막(10)의 중심에서 눌린 조직이 주변부로 이동하고 눈물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부위이다, 고정부(34)는 렌즈(4)가 각막(10)에 안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주변부(36)는 렌즈(4)와 각막(10) 사이의 눈물이 적절하게 순환되도록 한다.
이러한 각막굴절교정용 렌즈는 주로 성장기(8세~18세)에 착용하는데 안과의사에 의해 각막(10)의 형태를 정확히 측정하여 처방하여도 수일 내지 수개월 뒤 일부 환자에게 간혹 부작용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부작용은 크게 2가지로 요약될 수 있는데 각막(10)부종과 이로 인한 렌즈유착, 렌즈의 중심이탈이다.
각막(10)부종과 렌즈유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리가 잠을 잘 때 눈을 감으면 눈물의 산소 분압이 155mmHg에서 55mmHg로 떨어지게 되는데, 각막굴절교정용 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는 산소분압이 더 떨어지게 된다. 또 잠을 잘 때는 눈의 깜빡임도 없어 눈물 순환이 원할히 되지 않으므로 각막(10)은 심한 산소부족을 일으키게 되고 나아가 각막(10) 실질의 부종을 초래하게 된다. 부종으로 각막(10)두께가 증가하면 렌즈는 각막(10)을 더욱 조이게 되어 눈물순환이 더욱 안되어 각막(10)부종을 가중시키는 악순환을 초래하게 된다. 그래서, 아침에 렌즈가 각막(10)에 유착되어 잘 떨어지지 않게 되고, 때로 각막(10)미란을 동반하여 통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대개 이런 경우 초음파 각막두께 측정기(Pachymeter)를 이용하여 각막(10)두께를 측정하여 보면 두께가 심하게 증가되어 있어 각막(10)부종이 초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렌즈의 중심이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막굴절교정용 렌즈를 착용하다 보면 처음에는 시력이 잘 나오다가도 간혹 시력이 감소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 때 각막지형도검사(Topography)를 해보면 각막(10)의 편평해진 부위(렌즈의 중심부에 눌린 부위)가 중심에서 약간 벗어나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수면중에는 렌즈의 중심이탈을 가능한 줄여 안정된 시력을 유지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각막굴절교정용 렌즈(2)의 눈물저장부위(22)에 해당하는 도 2의 각막굴절교정용 렌즈(4)의 피팅부(32)에 관통공을 만드는 경우의 문제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의 종래 기술(미국특허 제 6,010,219호), 즉 관통공(26)을 갖는 각막굴절교정용 렌즈(2)는 눈물저장부위(22)에 국한하여 관통공(26)을 만들어 유체압력을 감소시키고 상기 부작용중 각막(10)부종과 렌즈유착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도 2에 도시된 각막굴절교정용 렌즈(4)의 피팅부(32)에는 도 1의 각막굴절교정용 렌즈(2)와 달리 흡착력(음압)이 형성되며, 이 흡착력은 시력교정효과에 큰 영향을 주는 요소이다. 따라서, 도 2의 각막굴절교정용 렌즈(4)의 피팅부(32)에 관통공를 만드는 경우, 이 흡착력(음압)이 없어져 각막굴절교정용 렌즈의 주목적인 근시교정효과가 크게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도 2의 각막굴절교정용 렌즈의 피팅부(32)에 관통공을 만드는 경우에, 피팅부(32)의 오목한 면에 형성된 관통공의 일면은 각막(10)과 접촉하지 않게 되어 렌즈의 중심이탈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각막굴절교정용 렌즈(4)를 구성하는 4개의 부위중에서 고정부(34) 에 수개의 관통공(40)을 만들어, 각막(10)에 산소공급을 원활히 함으로써 각막굴절교정용 렌즈(4)의 가장 큰 문제점인 각막(10)으로의 산소공급 부족에 의한 각막(10)부종과 이로 인한 렌즈유착 등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또한, 관통공 일면(42)의 결막접촉과 관통공 타면(44)의 각막(10)접촉을 이용하여 렌즈의 중심이탈을 줄이며, 피팅부(32)에 관통공(40)을 만드는 경우의 문제점인 피팅부(32)의 흡착력(음압) 소멸에 의해 근시교정효과가 감소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안정적인 시력개선효과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통공이 형성된 각막굴절교정용 콘택트 렌즈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중 A-A 방향의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관통공이 형성된 각막굴절교정용 콘택트 렌즈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관통공이 형성된 각막굴절교정용 콘택트 렌즈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관통공(40)이 형성된 각막굴절교정용 렌즈(6)는, 중심부(30), 피팅부(32), 고정부(34), 주변부(36), 그리고 고정부(34)에 형성된 관통공(40)으로 이루어진다.
중심부(3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중심부(30)는 그 오목한 면이 각막(10)의 중심부위를 직접 눌러 편평하게 변화시켜 근시를 감소시킬수 있도록 하는데 필요한 곡률 및 두께를 갖으며, 이는 환자의 각막(10) 형상에 따라 결정된다. 그 오목한 면은 각막(10)과 접촉하고 그 볼록한 면은 눈을 감으면 결막이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피팅부(32)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피팅부(32)는 중심부(30)의 둘레에 인접한다. 그 볼록한 면은 결막에 자극을 주지 않도록 중심부(30)의 곡률과 비슷한 곡률을 갖는다. 하지만, 그 오목한 면은 중심부(30)의 곡률 보다 훨씬 큰 곡률을 갖는다. 따라서, 각막(10)을 향하는 오목한 면은 각막(10)과 접촉하지 않으며, 각막(10)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고정부(34)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고정부(34)는 피팅부(32)의 둘레에 인접하며, 각막(10)에 강하게 밀착한다. 고정부(34)는 렌즈가 각막(10)에 안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도록 하는데 필요한 곡률, 두께를 갖으며, 이는 환자의 각막(10)의 형상에 따라 결정된다. 고정부(34)는 관통공(40)을 갖는데 이에 대하여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관통공(4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40)은 고정부(34)에 형성되는데, 렌즈(6) 표면에 대하여 120˚의 등각도로 위치하며 그 갯수는 3개로 형성된다. 하지만, 관통공(40)은 고정부(34)의 범위안에서 임의의 위치에 존재할 수 있으며, 그 갯수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관통공(40)은 도 6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 렌즈(6) 표면에 대하여 60˚의 등각도로 위치하며 그 갯수는 6개일 수 있다. 관통공(40)은 렌즈(6) 표면에 대하여 임의의 등각도를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45˚, 60˚,90˚, 120˚, 180˚의 등각도 를 갖도록 배치하여 그 갯수가 8개, 6개, 4개, 3개, 또는 2개가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만약, 관통공(40)의 갯수가 2 이하가 되면 효과가 미비하고, 지나치게 많으면 렌즈자체가 약해지는 한계가 있다.
관통공(40)의 직경은 각막(10)의 산소공급도 조절, 중심이탈 예방 등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렌즈(6)의 볼록면에 형성되는 관통공 일면(42)은 눈을 감을 때 눈꺼풀의 안쪽인 결막(상안검)과 접촉하고, 렌즈(6)의 오목면에 형성되는 관통공 타면(42)은 각막과 접촉한다.
주변부(36)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변부(34)는 고정부(32)의 둘레에 인접한다. 주변부(36)는 렌즈(6)와 각막(10) 사이의 눈물이 적절하게 순환되도록 하기 위하여 가장자리가 각막(10)과 밀착되지 않고 각막(10)으로부터 약간 떠 있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의한 관통공(40)을 갖는 각막굴절교정용 렌즈(6)의 작용에 대하여, 관통공(40)의 작용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작동상태 및 관통공(40)을 통한 산소공급 작용에 의하여 각막(10)부종이 예방되고 이로 인하여 렌즈유착의 문제점이 해소됨에 대하여 설명한다. 눈을 뜬 상태에서 본 발명에 의한 각막굴절교정용 렌즈(6)를 착용하면 눈을 깜빡일 때마다 관통공(40)을 통하여 눈물이 들락거리고 관통공(40)이 없을 때의 각막굴절교정용 렌즈(4)보다 흡착력이 약간 떨어져 렌즈의 고정이 불안해 보일 수 있다.(이런 이유로 과거의 공막 렌즈에 시도했던 관통공은 낮에 사용하기에 너무 불완전하여 실용화되지 못했다.). 하지만 각막굴절교정용 렌즈는 밤에 수면중 에 눈꺼풀을 감은 상태에서 착용하는 렌즈이기에 때문에 눈을 뜬 상태에서 렌즈의 고정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절대적인 것이 되지 못한다. 고정부(34)는 각막(10)과 밀착이 강한 부위이기 때문에 여기에 관통공(40)을 만들면, 각막(10)의 표면과 렌즈(6)의 오목면에 형성되는 관통공 타면(44)은 강한 밀착을 이룬다. 또 수면중에 눈꺼풀이 감기므로 눈꺼풀의 결막부위(상안검)가 렌즈(6)의 볼록면에 형성되는 관통공 일면(42)의 대부분을 막게 된다. 따라서, 수면중 관통공(40)은 상안검 결막의 혈관과 각막(10) 세포 사이의 밀착으로 산소의 확산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각막(10)과 결막에 의하여 관통공이 100% 완전히 폐쇄되는 것이 아니기에 외부로부터 각막(10)으로의 산소공급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관통공(40)은 결막의 혈관 또는 외부로부터 각막(10)으로의 산소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산소공급 통로 기능을 한다. 관통공(40)의 이러한 기능에 의하여 관통공을 갖지 않는 각막굴절교정용 렌즈(4)의 가장 큰 문제점인 각막(10)의 산소부족에 의한 각막(10)부종 및 이로 인한 렌즈유착 등의 문제점를 개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관통공(40)의 중심이탈 방지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의 본 발명의 실시작동상태에 의하면, 렌즈(6)의 볼록면에 형성되는 관통공 일면(42)은 결막부위에 의하여 대부분 폐쇄되고 렌즈(6)의 오목면에 형성되는 관통공 타면(44)은 각막(10)과 강한 밀착을 이룬다. 이 경우에 관통공(40)의 양단에 작용하는 각막(10)조직과 결막조직의 힘은 각막굴절교정용 렌즈(6)의 고정 및 중심이탈 방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또한 두개의 조직이 이완될 때 대부분 폐쇄된 관통공(40)에 음압이 발생하여 렌즈의 중심이탈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렌즈(6)의 볼록면에 형성되는 관통공 일면(42)은 결막에 의하여 대부분 폐쇄되고 렌즈(6)의 오목면에 형성되는 관통공 타면(44)은 각막(10)에 강하게 밀착되기 때문에, 피팅부(32)가 아닌 고정부(34)에 형성된 관통공(40)의 존재로 인하여 피팅부(32)의 흡착력(음압)이 크게 감소되지 않는다. 따라서, 피팅부(32)는 중심부 각막(10)조직 이동을 용이하는 기능을 유지하여 각막굴절교정용 렌즈(6)의 주목적인 근시교정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를 기준으로 주로 설명되어졌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많은 다른 가능한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데, 앞으로 상용화가 예상되는 효소에 의한 각막굴절교정용 하드렌즈 등의 다른 형태의 시력교정용 하드렌즈의 각막(10)과 접촉이 강한 곳의 렌즈 부위에 관통공을 만드는 것은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로부터 당업자가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는 변경일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관통공(40)을 갖는 각막굴절교정용 렌즈(6)에 의하면, 각막(10)에 산소공급을 원활히 함으로써 산소공급 부족에 의한 각막(10)부종, 이로 인한 렌즈유착 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관통공(40)의 양단이 각막(10) 및 결막에 의해 폐쇄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렌즈의 중심이탈을 방지하고, 피팅부(32)에 관통공를 만드는 경우의 문제점인 흡착력(음압) 소멸에 의해 근시교정효과가 감소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안정적인 시력개선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근시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피팅규칙(Fitting rule)에 의 거해 렌즈를 맞추어야 하는데, 그런 경우 각막(10)부종이 초래되는 경우가 많아 규칙보다 좀 더 평편하게 또는 느슨하게 처방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다보니 근시교정효과가 떨어지고 고정이 불안전하여 중심이탈이 잦아지고 근시치료효과를 얻는데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뿐더러 시력도 일정치 못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고정부(34)에 관통공(40)을 갖는 각막굴절교정용 렌즈(6)에 의하면 피팅 규칙에 의해 과감히 처방하여도 각막(10)부종과 이로 인한 렌즈유착, 중심이탈의 문제가 해결된다.
전술한 발명에 대한 권리범위는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정해지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의 기재에 구속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균등범위에 속하는 변형과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것이다.

Claims (3)

  1. 각막굴절교정용 콘택트렌즈에 있어서,
    각막(10)의 중심부위가 편평하게 변화되도록 각막(10)에 압력을 가하는 중심부(30);
    상기 중심부(30) 둘레에 인접하고 상기 각막(10)과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되며, 착용시에 상기 각막(10)을 향하는 일면의 곡률이 상기 중심부(30)의 곡률보다 크게 형성되는 피팅부(32);
    상기 피팅부(32) 둘레에 인접하며, 상기 렌즈(6)가 상기 각막(10)에 대하여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각막(10)과 밀착하는 고정부(34);
    상기 고정부(34) 둘레에 인접하며, 상기 렌즈(6)와 각막(10) 사이의 눈물이 순환되도록 가장자리가 떠 있는 주변부(36); 및
    상기 고정부(34)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굴절교정용 콘택트 렌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40)은 상기 고정부(34) 영역내에 2개 내지 8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굴절교정용 콘택트 렌즈.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40)은 상기 렌즈(6)에 대해 등각도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굴절교정용 콘택트 렌즈.
KR1020050004849A 2005-01-19 2005-01-19 관통공이 형성된 각막굴절교정용 콘택트 렌즈 KR100599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849A KR100599024B1 (ko) 2005-01-19 2005-01-19 관통공이 형성된 각막굴절교정용 콘택트 렌즈
PCT/KR2005/003905 WO2006078089A1 (en) 2005-01-19 2005-11-17 Orthokeratology contact lens with penetration ho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849A KR100599024B1 (ko) 2005-01-19 2005-01-19 관통공이 형성된 각막굴절교정용 콘택트 렌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9024B1 true KR100599024B1 (ko) 2006-07-12

Family

ID=36692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4849A KR100599024B1 (ko) 2005-01-19 2005-01-19 관통공이 형성된 각막굴절교정용 콘택트 렌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99024B1 (ko)
WO (1) WO200607808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496B1 (ko) * 2010-05-28 2012-03-05 이무석 각막교정술렌즈의 각막중심 위치고정 장치
KR101305238B1 (ko) * 2010-12-31 2013-09-10 주식회사 필립다보스메디컬 하드 콘택트렌즈
WO2014058205A1 (ko) * 2012-10-12 2014-04-17 Ha Jeonghun 대칭형 광량 보강부가 형성된 핀홀 콘택트렌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406380B1 (es) * 2010-04-30 2014-11-17 Jaume Paune Fabre Lente de contacto de ortoqueratología.
ES2396101B1 (es) * 2011-07-21 2013-09-02 Fit And Cover Servilens S L "procedimiento para la obtencion de una lente de contacto fenestrada"
ES2386790B1 (es) * 2011-02-04 2013-03-13 Fit And Cover Servilens, S.L. Lente de contacto
WO2012104450A1 (es) * 2011-02-04 2012-08-09 Fit And Cover Servilens, S.L. Lente de contacto fenestrada y procedimiento para la obtención de la misma
CN104035208B (zh) * 2014-06-13 2015-07-08 万马电子医疗有限公司 一种用于睡眠状态下对角膜进行塑形的高透氧角膜塑形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0051A (en) 1991-10-15 1993-12-14 Harris Donald H Enzyme-orthokeratology
US5929968A (en) 1995-11-01 1999-07-27 Cotie; Robert L. Scleral-corneal contact lens
JP2003107411A (ja) 2001-10-01 2003-04-09 Universal Vision Kk コンタクトレンズ
KR100411542B1 (ko) 2000-12-20 2003-12-24 주식회사 인터로조 산소 투과성 하드렌즈의 눈물 순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0809A (en) * 1996-12-30 1999-03-09 Scientific Optics, Inc. Contact lens
US6652095B2 (en) * 2000-11-17 2003-11-25 Hsiao-Ching Tung Orthokeratology and bi-focal contact le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0051A (en) 1991-10-15 1993-12-14 Harris Donald H Enzyme-orthokeratology
US5929968A (en) 1995-11-01 1999-07-27 Cotie; Robert L. Scleral-corneal contact lens
KR100411542B1 (ko) 2000-12-20 2003-12-24 주식회사 인터로조 산소 투과성 하드렌즈의 눈물 순환장치
JP2003107411A (ja) 2001-10-01 2003-04-09 Universal Vision Kk コンタクトレン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496B1 (ko) * 2010-05-28 2012-03-05 이무석 각막교정술렌즈의 각막중심 위치고정 장치
KR101305238B1 (ko) * 2010-12-31 2013-09-10 주식회사 필립다보스메디컬 하드 콘택트렌즈
WO2014058205A1 (ko) * 2012-10-12 2014-04-17 Ha Jeonghun 대칭형 광량 보강부가 형성된 핀홀 콘택트렌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78089A1 (en) 2006-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9024B1 (ko) 관통공이 형성된 각막굴절교정용 콘택트 렌즈
US7070275B2 (en) Orthokertology and bi-focal contact lens
JP4842266B2 (ja) 屈折手術後若しくは以前受けた角膜矯正後の、又は円錐角膜の変形した角膜を再成形するコンタクトレンズ
US3973837A (en) Contact lenses
US3973838A (en) Contact lenses
Alharbi et al. Overnight orthokeratology lens wear can inhibit the central stromal edema response
WO2009149116A2 (en) Soft contact lenses for treating ametropia
CN111290143A (zh) 隐形眼镜和为个体的眼睛测定隐形眼镜的适配的方法
JP2008507345A6 (ja) 屈折手術後若しくは以前受けた角膜矯正後の、又は円錐角膜の変形した角膜を再成形するコンタクトレンズ
CN211293489U (zh) 多焦点角膜接触镜
CN117631322A (zh) 接触镜片
WO1989007281A1 (en) Pattern contact lens
WO2019109862A2 (zh) 角膜塑形镜以及用于制造角膜塑形镜的方法
US3698802A (en) Hydrophilic contact lens
WO2005121874A1 (en) Tear groove hard contact lens
CN211293490U (zh) 角膜接触镜
KR20080011097A (ko) 각막교정술에 사용되는 콘택트렌즈
Jessen Contact lenses as a therapeutic device
US20120307200A1 (en) Contact lenses having hybrid orientation features
US20210255484A1 (en) Soft contact lens with new stabilization zones for improved angular stability and comfort
JP6216214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
CN212808822U (zh) 一种角膜接触镜
CN218767660U (zh) 一种带药物缓释功能的巩膜镜
KR0129569Y1 (ko) 콘택트렌즈
CN214098005U (zh) 角膜塑形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