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8909B1 - 고밀도 재생전용 광 디스크내의PIC(Permanent Information &Control data) 영역의 데이터 검출장치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고밀도 재생전용 광 디스크내의PIC(Permanent Information &Control data) 영역의 데이터 검출장치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8909B1
KR100598909B1 KR1020040106640A KR20040106640A KR100598909B1 KR 100598909 B1 KR100598909 B1 KR 100598909B1 KR 1020040106640 A KR1020040106640 A KR 1020040106640A KR 20040106640 A KR20040106640 A KR 20040106640A KR 100598909 B1 KR100598909 B1 KR 100598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area
cyclic
phase shif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6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7742A (ko
Inventor
정우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6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8909B1/ko
Publication of KR20060067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7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8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8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36Auxiliary data, e.g. lead-in, lead-out, Power Calibration Area [PCA], Burst Cutting Area [BCA], control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37A/D conversion, D/A conversion, sampling, slicing and digital quantisation or adjusting parameter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222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clock-related aspects, e.g. phase or frequency adjustment or bit synchronis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268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bit detection or demodulation metho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5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18Groove and land recording, i.e. user data recorded both in the grooves and on the lan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G11B2020/1285Status of the record carrier, e.g. space bit maps, flags indicating a formatting status or a write permiss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드인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밀도 재생전용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광 디스크 내 리드인 영역 중 특정 영역에, 바이-페이즈 변조된 고주파 변조 그루브(Bi-phase modulated HFM groove)의 기록 패턴을 인식하여 이에 대한 신호를 생성하는 광 픽업부; 상기 광 픽업부에서 인식된 고주파 변조 신호를 샘플링하고 이를 양자화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상기 샘플링된 값의 부호를 이용하여 위상변위 여부를 판단하는 위상 변위 검출기; 상기 샘플링된 값을 연속적으로 가산하는 순환 덧셈기; 상기 광 픽업부에서 인식된 고주파 변조 신호 내에 포함된 싱크패턴을 길이를 검출한 후 상기 순환 덧셈기의 순환값을 생성하는 싱크 길이 검출기; 및 상기 위상변위 검출기에서 위상변위가 검출될 때 상기 고주파 변조 그루브에 기록된 비트열을 검출하는 비트 검출기를 포함한다.
BD, PIC, HFM, 그루브

Description

고밀도 재생전용 광 디스크내의 PIC(Permanent Information & Control data) 영역의 데이터 검출장치 및 그 방법{Data Detecting System of PIC area in Blue-Ray Disc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일반적인 재기록 가능 광디스크(BD-RW)에 대한 디스크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재기록 가능 광디스크의 리드인(Lead-In) 영역에 변조 기록된 HFM 그루브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일반적인 재기록 가능 광디스크 장치에 적용되는 푸시풀(Push/Pull) 방식의 트래킹 서보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일반적인 고밀도 재생전용 광디스크(BD-ROM)에 대한 디스크 구조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고밀도 광디스크(BD-ROM) 재생장치내의 PLL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밀도 광디스크내 HFM데이터를 재생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 길이 검출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 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 덧셈기와 비트 검출기의 동작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 덧셈기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 검출기의 흐름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602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603 : 위상 변위 검출기
604 : 순환 덧셈기 605 : 싱크 길이 검출기
606 : 비트 검출기 607 : HFM 비트 데이터
본 발명은 고밀도 재생전용 광 디스크내의 PIC(Permanent Information & Control data) 영역의 데이터 검출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고밀도 광디스크 기록/재생 시스템에서 고밀도 광디스크의 리드인 영역 중 PIC영역은 HFM 그루브 방식으로 정보가 기록이 되어 있는데 HFM의 특성을 이용한 데이터 복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고화질의 비디오 데이터와 고음질의 오디오 데이터를 장시간 동안 기록 저장할 수 있는 새로운 고밀도 재기록 가능 광디스크,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기록 가능 블루-레이 디스크(이하, BD-RW라 함.)에 대한 규격화 작업이 급속히 진전됨에 따라, 관련 제품이 개발 출시되어 상용화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BD-RW의 경우, 디스크의 내주면에는 클램핑 영역과, 트랜지션 영역 및 BCA 영역, 그리고 리드인 영역(Lead-In Area)이 차례대로 존재하며, 디스크의 중심면과 외주면에는, 데이터 영역(Data Area)과 리드아웃 영역(Lead-Out Area)이 각각 존재하는 디스크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리드인 영역에는, 제1 가아드(Guard 1) 영역과 PIC(Permanent Information amp; Control data) 영역, 그리고 제2 가아드(Guard 2) 영역과 정보 2(Info 2) 영역 및 OPC(Optimum Power Control) 영역 등이 구분 할당되어 있는 데, 상기 제1 가아드 영역과 PIC 영역은, 사전에 데이터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 영역(Pre-recorded area)인 반면, 그 나머지 리드인 영역과, 상기 데이터 영역, 그 리고 상기 리드아웃 영역은, 새로운 데이터가 재 기록되는 영역(Rewritable area)이다.
그리고, 상기 PIC 영역에는, 영구적으로 보존되어야 할 디스크의 주요 일반 정보들이 기록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고주파 변조(HFM: High Frequency Modulated) 그루브가 형성 기록되는 데, 상기 HFM 그루브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이-페이즈 변조(Bi-Phase Modulated) 방식에 의해 변조 기록되어 디스크 정보를 기록 저장하게 된다.
예를 들어, '36T'의 기록구간 동안 동일한 위상의 HFM 그루브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 그 값이 '0'이 되고, '36T'의 기록구간 동안 서로 다른 위상의 HFM 그루브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값이 '1'이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PIC 영역에 기록된 HFM 그루브를 추적하기 위한 트래킹 서보는, 널리 알려진 푸시풀(Push/Pull) 방식을 사용하게 되는 데, 이를 위해 광디스크 장치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물렌즈(10) 및 콜리메이트 렌즈(11)를 통해 수광되는 광을 전기신호로 광전 변환하기 위한 2 분할 수광소자(12)와, 상기 2 분할 수광소자를 통해 각각 광전 변환된 전기신호(Ea, Eb)들을 차동 증폭하기 위한 차동 증폭기(13)가 포함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광디스크 장치에서는, 상기 차동 증폭기를 통해 출력되는 트래킹 오차신호(TE= Ea-Eb)를 참조하여, 상기 HFM 그루브에 대한 트래킹 서보 동작을 수행하게 되며, 또한 상기 데이터 영역과 리드아웃 영역에 기록되는 워블(Wobble) 형상의 그루브에 대해서도, 상기 차동 증폭기를 통해 출력되는 트래킹 오차신호(TE= Ea-Eb)를 참조하여, 상기 워블 형상의 그루브에 대한 트래킹 서보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BD-RW의 개발과 더불어 현재 관련업체들간에 논의되고 있는 고밀도 재생전용 광디스크, 예를 들어 BDROM의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내주면에 클램핑 영역과 리드인 영역이 존재하며, 디스크의 중심면과 외주면에는 데이터 영역과 리드아웃 영역이 각각 존재하는 디스크 구조를 갖음과 동시에, 상기 리드인 영역에는, BD-RW에서와 같이 HFM 그루브 방식으로 디스크 정보를 기록하게 되며, 또한 상기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에는, 통상적인 CD-ROM 또는 DVD-ROM 등에서와 같이 프리-피트열의 데이터가 기록 저장되는 디스크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지니는 고밀도 재생가능 디스크는 PIC영역에 기록된 HFM그루브를 인식하고 데이터를 복원을 해야 디스크 자체의 정보를 읽을 수 있다. 바이-페이즈 변조 방식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36T 동안 동일한 위상의 HFM그루브이면 데이터가 0이고 위상이 바뀌게 되면 1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36T의 시간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도 5와 같이 PLL을 이용한 클럭 복구방식이 사용이 된다. 이렇게 복구된 클럭으로 36T동안 위상 변화 유무를 판단하여 데이터를 검출하게 된다.
이처럼 PLL을 이용한 방법은 일반적이지만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 복구에 이용되는 PLL과 공유를 위해서는 또 하나의 HFM 그루브에 맞게 주파수 설계를 해야 하고 공유를 위한 프리-프로세싱 로직이 부가적으로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상기 고밀도 광디스크에서 PIC영역의 데이터를 PLL의 사용 없이 바이-페이즈 변조방식의 특성을 이용한 데이터 복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리드인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밀도 재생전용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장치는 상기 광 디스크 내 리드인 영역 중 특정 영역에, 바이-페이즈 변조된 고주파 변조 그루브(Bi-phase modulated HFM groove)의 기록 패턴을 인식하여 이에 대한 신호를 생성하는 광 픽업부; 상기 광 픽업부에서 인식된 고주파 변조 신호를 샘플링하고 이를 양자화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상기 샘플링된 값의 부호를 이용하여 위상변위 여부를 판단하는 위상 변위 검출기; 상기 샘플링된 값을 연속적으로 가산하는 순환 덧셈기; 상기 광 픽업부에서 인식된 고주파 변조 신호 내에 포함된 싱크패턴을 길이를 검출한 후 상기 순환 덧셈기의 순환값을 생성하는 싱크 길이 검출기; 및 상기 위상변위 검출기에서 위상변위가 검출될 때 상기 고주파 변조 그루브에 기록된 비트열을 검출하는 비트 검출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리드인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밀도 재생전용 광 디스크 내 PIC영역의 데이터를 검출하는 방법은 상기 PIC(Permanent Information & Control data)영역에 바이-페이즈 변조된 고주파 변조(Bi-phase modulated HFM groove) 패턴을 인식하고 이를 디지털화 샘플링하여 양자화하는 단계; 상기 고주파 변조 그루브 패턴 내 포함된 싱크패턴을 이용하여 순환값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샘플링된 값 중 위상변위 발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샘플링 된 값을 연속적으로 가산하는 단계; 및 상기 위상 변위가 발생했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고주파 변조 그루브 패턴의 비트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순환값을 생성하는 방법은 상기 PIC(Permanent Information & Control data)영역내의 고주파 변조 그루브(HFM groove)화 된 패턴을 적어도 하나의 싱크패턴이 포함되는 구간으로 나누고, 상기 싱크패턴 중 분할된 하나의 구간 내에서 가장 큰 싱크길이를 각각의 분할구간 마다 추출한 후, 각 분할구간마다 추출된 최대 싱크길이 중 최소길이와 최대길이를 제외한 나머지 길이의 평균값에 마진값(M)을 더한 것을 2로 나누어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순환값이 생성된 이후에 순환 덧셈기에 그 값을 출력하고, 상기 순환 덧셈기의 동작 플래그를 '1'로 세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샘플링된 값을 연속으로 가산하는 방법은 위상변위가 발생할 때까지 입력되는 고주파 변조 그루브 패턴에서 추출한 샘플링 값을 계속해서 누적한 후, 위상변위가 발생하면 상기 누적값의 부호 및 현재 가산되는 샘플링값의 기울기 부호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산된 샘플링 값이 순환값을 초과하는 경우 순환 플래그를 '1'로 세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재생전용 광 디스크내의 PIC 영역의 데이터 검출방법.
본 발명에서 상기 위상 변위가 발생한 경우 순환 플래그의 값이 '1'이면 순환 덧셈기의 현재 가산값을 '0'으로 세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이-페이즈 변조된 고주파 변조 그루브(Bi-phase modulated HFM groove)패턴의 비트를 검출하는 방법은 상기 위상 변위가 발생한 경우 순환 플래그가 1이면 순환 덧셈기의 결과와 기울기를 보고 상기 고주파 변조 패 턴의 비트를 '0'으로 판단하고, 프레임 플래그를 '0'으로 세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이-페이즈 변조된 고주파 변조 그루브(Bi-phase modulated HFM groove)패턴의 비트를 검출하는 방법은 상기 위상 변위가 발생한 경우 순환 플래그가 '0'이면 프레임 플래그가 '1'인 경우에는 상기 고주파 변조된 바이-페이즈 그루브 패턴의 비트를 '1'로 판단하고, 상기 프레임 플래그가 '0'이면 프레임 플래그를 '1'로 설정하고 아무런 데이터를 출력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 덧셈기를 포함한 고밀도 광디스크 HFM 데이터 재생장치의 블록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HFM 데이터 재생장치는 광 픽업부(60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602), 위상 변위 검출기(603), 순환 덧셈기(604), 싱크 길이 검출기(605), 비트 검출기(606) 및 HFM 비트 데이터(607)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에는, 고밀도 광디스크 드라이브 내 PIC영역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고밀도 광디스크 드라이브 내 리드인 영역에는 PIC영역이 존재하는데 상기 PIC영역에는 고주파 변조된 피트열이 패턴화 되어 있다. 상기 피트열은 광 디스크 드라이브내 광 픽업부에 의해서 인식되고 상기 인식된 신호는 고주파 정현파형의 신호로 재생된다. 상기 재생된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602)를 거쳐 고정된 주파수로 샘플링된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602)는 상기 샘플링된 신호를 양자화하여 여러 비트 값으로 표현한다.
상기 위상 변위 검출기(603)는 상기 샘플링 되어 양자화된 비트값을 부호를 보고 위상 변위 발생 유무를 판단한다. 즉, 상기 양자화된 비트값이 (+)값에서 (-)값, 또는 (-)값에서 (+)값으로 어느 순간에 변경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위상 변위 발생 유무 신호는 상기 순환 덧셈기(604), 상기 싱크 길이 검출기(605), 상기 비트 검출기(605)의 입력신호로 사용된다.
상기 싱크 길이 검출기(605)는 상기 HFM 신호에 포함된 싱크패턴을 추출하여 상기 순환 덧셈기(604)의 순환값을 생성한다. HFM신호에는 54T/54T 길이의 싱크 패턴이 존재한다. 싱크 길이 검출기(605)에서는 54T의 길이를 검출한다. 위상 변위가 발생할 때까지 샘플된 값을 누적하여 싱크 예비 검출 구간 동안 가장 큰 값을 찾게 된다. 이렇게 찾은 싱크 예비값 중에서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외하고 나머지 싱크 예비값의 평균값을 구하면 싱크 길이를 검출할 수 있다. 싱크 예비값의 평균에 마진(M)값을 더하고 이를 반으로 나누어 순환 덧셈기(604)의 순환값을 구한다. 이 과정은 HFM 데이터 재생을 하는 동안 계속 수행을 하여 현재의 입력에 맞는 싱크 길 이를 계속 갱신하게 된다. 이상적인 환경에서는 M=0이고 순환값은 27T에 해당되는 값이다. 하지만 입력 HFM신호에는 노이즈 성분이 존재하고 샘플값은 0위치가 움직이는 현상이 있다. 즉 센터 레벨이 저주파 성분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M값을 이용하여 순환값은 20T~25T사이가 되게 설정한다.
상기 과정을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싱크예비값N과 싱크후보값을 '0'으로 세팅한다. 상기 싱크후보값은 상기 위상 변위 검출기(603)에서 샘플링된 값의 위상 변위가 발생되기 전까지 계속해서 샘플링된 값을 더하여 업데이트 된다. 상기 위상 변위 검출기(603)에서 샘플링된 값의 위상 변위가 발생이 검색되면, 싱크예비값N과 싱크후보값의 크기를 비교한 후에 싱크후보값이 싱크예비값N 보다 크면 싱크예비값N을 싱크 후보값으로 대치하고 싱크 후보값을 '0'으로 세팅하고, 그렇지 않으면 바로 싱크후보값을 '0'으로 세팅한다. 상기 과정은 싱크 예비 검출 구간동안 계속되며 상기 과정이 상기 싱크 예비 검출 구간동안 완료되면 싱크예비값N을 출력한다. 상기 싱크예비값N은 싱크검출구간동안 계속하여 출력된다.
HFM신호의 특성상 싱크는 일반 데이터 보다 길이가 더 크다. 즉, 싱크는 54T이고 일반적인 데이터는 36T이다. 그리고 이 싱크는 반복적으로 검출된다. 싱크 예비 검출구간에서는 최소 1개의 싱크가 존재하도록 구간을 설정하고 이 구간에서 최대값을 찾는 것이다. 그러면 그 최대값이 싱크 예비값 1개가 된다. 즉, S1이라고 한다. 싱크 검출 구간은 싱크 예비 구간을 N개 포함하고 있다. 그러면, 총 S1~SN까지 N개의 값이 검출된다.
만일 디스크상에 에러가 없으면 즉 결함이 없으면 S1~SN의 값은 거의 동일할 것이고 이것이 바로 현재 속도에서 싱크길이가 괼것이다. 그러나 실제 상황에서는 겸함이 존재하므로 S1~SN중에서 최소값과 최대값을 버리고 나머지 값 중에서 싱크 길이값을 찾는다. 만약 에러가 없는 상황이면 상기와 같이 싱크 예비 검출구간과 싱크 검출구간을 구분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싱크예비값이 N개 출력되면 이중 최소, 최대값을 버리고 이에 대한 평균값을 구한다. 상기 평균값은 마진(M)과 더해져 반으로 나뉘어짐으로써 순환 덧셈기(604)의 순환값으로 도출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끝나면 상기 싱크 길이 검출기(605)는 순환 덧셈기(604)에 상기 순환값을 출력하고 순환 덧셈기(604) 동작 플래그를 '1'로 세팅함으로써 순환 덧셈기(604)가 상기 순환값을 이용하도록 한다.
상기 순환 덧셈기(604)는 샘플링된 HFM신호를 가산하는 것으로써, 싱크 길이 검출기(605)에서 검출된 순환값으로 초기화를 하고 순환 덧셈기(604) 동작 플래그가 '1'이 될 때 마다 순환값을 갱신하여 적응적으로 입력의 변화에 대처한다. 위상 변위가 발생할 때까지 순환 덧셈기(604)는 입력되는 HFM 샘플값을 계속 누적한다. 위상 변위가 발생하면 순환 덧셈기(604)의 결과의 부호및 기울기의 부호를 출력한다. 도 8에는 순환 덧셈기(604)의 동작이 나타나 있는데 18T동안의 길이에서는 순환 덧셈기(604)의 결과 값이 순환값까지 갈 수 없다. 36T의 길이에서는 순환 덧셈 기(604)의 결과가 순환값을 통과한 결과가 나오게 되고 이 때 순환 플래그를 1로 설정한다. 위상 변위가 발생했을 때 순환 플래그가 1이면 순환 덧셈기(604)를 0으로 다시 설정한다. 이것은 입력되는 HFM신호의 (+)의 길이와 (-)의 길이가 달라서 생기는 누적 오차를 없애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PLL을 사용하는 HFM 비트 데이터 재생장치에서는 (+)와 (-)의 길이가 다른 경우를 보상하기 위한 로직을 부가적으로 필요하다.
도 9를 참조하여 순환 덧셈기(604)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순환 덧셈기(604)를 '0'으로 세팅한다. 상기 순환 덧셈기(604)는 상기 위상 변위 검출기(603)에서 샘플링값의 위상 변위 여부가 검출될 때까지 샘플링값을 연속으로 가산한다. 상기 샘플링값을 가산하는 경우 순환 덧셈 발생여부도 연속적으로 검출하게 되는데 상기 순환 덧셈이라는 것은 샘플링의 값이 연속적으로 가산됨에 따라 상기 싱크 길이 검출기(605)에서 생성되었던 순환값의 최대 또는 최소를 초과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경우 순환 플래그를 '1'로 세팅한다.
상기 위상 변위 검출기(603)에서 샘플링값의 위상 변위여부가 검출되면 상기 순환 덧셈기(604)의 부호와 순환 덧셈기(604)의 기울기 부호를 출력한다. 순환 덧셈기(604)의 부호란 현재까지 가산된 샘플링값의 부호를 의미하며, 상기 기울기 부호란 현재 입력되는 샘플링값을 일차함수로 표현하는 경우 이에 대한 직선의 기울기를 의미한다.
상기 값을 출력한 후 순환 덧셈기(604) 동작 플래그의 값을 검색하여 '1'로 세팅되어 있으면 이를 '0'으로 세팅하고 그렇지 않으면 바로 다음동작을 진행한다.
이후 순환 플래그의 값을 검색하여 '1'로 세팅되어 있으면 순환 덧셈기(604) 동작 플래그와 순환 플래그를 '0'으로 세팅하고 그렇지 않으면 바로 단계 909를 실행한다.
상기 순환 덧셈기(604)는 상기 샘플링되어 양자화된 값을 연속적으로 가산하는데 그 최대값은 양의 순환값을 넘지 못하며, 그 최소값 역시 음의 순환값을 넘지 못한다.
상기 비트 검출기(606)는 상기 위상 변위 검출기(603) 및 상기 순환 덧셈기(604)의 값에 의해 PIC영역내 기록된 고주파 변호 패턴에 대한 데이터를 인식한다. 도 10에 그 자세한 방법이 도시되어 있는데 위상 변위가 발생했을 때 순환 플래그가 1이면 순환 덧셈기(604)의 결과와 기울기 부호를 보고 싱크와 HFM 데이터 0을 판단한다. 그리고 프레임 플래그는 0을 설정한다. 순환 플래그가 0이면 프레임 플래그가 1이면 HFM비트 데이터 1을 출력한다. 프레임 플래그가 0이면 프레임 플래그에 1을 설정하고 HFM 비트 데이터는 아무 것도 출력하지 않는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프레임 플래그를 '0'으로 세팅하고 위상 변위 여부를 검출한다. 상기 위상 변위 검출기(603)에서 샘플링된 값의 위상 변위 여부가 검출되면 순환 플래그의 값을 검색한다. 상기 순환 플래그의 값이 '1'로 세팅되어 있으면, 순환 덧셈기 (604) 결과 부호와 순환 덧셈기(604) 기울기의 부호를 비교하여 같지 않으면 HFM 비트데이터로 '0'의 값을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HFM비트 데이터 싱크를 출력한다.
상기 순환 플래그의 값이 '1'로 세팅되어 있지 않으면 프레임 플래그의 값을 검색한 후 '1'로 세팅되어 있으면 HFM비트데이터로 '1'을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프레임 플래그를 '1'로 세팅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밀도 광 디스크의 HFM 비트 데이터를 기존의 PLL을 이용하지 않고 간단한 순환 덧셈기(604)를 이용하여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생 능력은 동일하며 기존의 복잡한 PLL구조보다 간단히 덧셈기만 이용함으로써 구현시 필요한 로직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리드인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밀도 재생전용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 디스크 내 리드인 영역 중 특정 영역에, 바이-페이즈 변조된 고주파 변조 그루브(Bi-phase modulated HFM groove)의 기록 패턴을 인식하여 이에 대한 신호를 생성하는 광 픽업부; 상기 광 픽업부에서 인식된 고주파 변조 신호를 샘플링하고 이를 양자화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상기 샘플링된 값의 부호를 이용하여 위상변위 여부를 판단하는 위상 변위 검출기; 상기 샘플링된 값을 연속적으로 가산하는 순환 덧셈기; 상기 광 픽업부에서 인식된 고주파 변조 신호 내에 포함된 싱크패턴을 길이를 검출한 후 상기 순환 덧셈기의 순환값을 생성하는 싱크 길이 검출기; 및 상기 위상변위 검출기에서 위상변위가 검출될 때 상기 고주파 변조 그루브에 기록된 비트열을 검출하는 비트 검출기를 포함하는 고밀도 재생전용 광 디스크내의 PIC(Permanent Information & Control data) 영역의 데이터 검출장치.
  2. 리드인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밀도 재생전용 광 디스크 내 PIC영역의 데이터를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PIC(Permanent Information & Control data)영역에 바이-페이즈 변조된 고주파 변조(Bi-phase modulated HFM groove) 패턴을 인식하고 이를 디지털화 샘플링하여 양자화하는 단계; 상기 고주파 변조 그루브 패턴 내 포함된 싱크패턴을 이 용하여 순환값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샘플링된 값 중 위상변위 발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샘플링 된 값을 연속적으로 가산하는 단계; 및 상기 위상 변위가 발생했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고주파 변조 그루브 패턴의 비트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재생전용 광 디스크내의 PIC 영역의 데이터 검출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순환값을 생성하는 방법은 상기 PIC(Permanent Information & Control data)영역내의 고주파 변조 그루브(HFM groove)화 된 패턴을 적어도 하나의 싱크패턴이 포함되는 구간으로 나누고, 상기 싱크패턴 중 분할된 하나의 구간 내에서 가장 큰 싱크길이를 각각의 분할구간 마다 추출한 후, 각 분할구간마다 추출된 최대 싱크길이 중 최소길이와 최대길이를 제외한 나머지 길이의 평균값에 마진값(M)을 더한 것을 2로 나누어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재생전용 광 디스크내의 PIC 영역의 데이터 검출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값이 생성된 이후에 순환 덧셈기에 그 값을 출력하고, 상기 순환 덧셈기의 동작 플래그를 '1'로 세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재생전용 광 디스크내의 PIC 영역의 데이터 검출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된 값을 연속으로 가산하는 방법은
    위상변위가 발생할 때까지 입력되는 고주파 변조 그루브 패턴에서 추출한 샘 플링 값을 계속해서 누적한 후, 위상변위가 발생하면 상기 누적값의 부호 및 현재 가산되는 샘플링값의 기울기 부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재생전용 광 디스크내의 PIC 영역의 데이터 검출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산된 샘플링 값이 순환값을 초과하는 경우 순환 플래그를 '1'로 세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재생전용 광 디스크내의 PIC 영역의 데이터 검출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변위가 발생한 경우 순환 플래그의 값이 '1'이면 순환 덧셈기의 현재 가산값을 '0'으로 세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재생전용 광 디스크내의 PIC 영역의 데이터 검출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페이즈 변조된 고주파 변조 그루브(Bi-phase modulated HFM groove)패턴의 비트를 검출하는 방법은
    상기 위상 변위가 발생한 경우 순환 플래그가 1이면 순환 덧셈기의 결과와 기울기를 보고 상기 고주파 변조 패턴의 비트를 '0'으로 판단하고, 프레임 플래그를 '0'으로 세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재생전용 광 디스크내의 PIC 영역의 데이터 검출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페이즈 변조된 고주파 변조 그루브(Bi-phase modulated HFM groove)패턴의 비트를 검출하는 방법은
    상기 위상 변위가 발생한 경우 순환 플래그가 '0'이면 프레임 플래그가 '1'인 경우에는 상기 고주파 변조된 바이-페이즈 그루브 패턴의 비트를 '1'로 판단한고, 상기 프레임 플래그가 '0'이면 프레임 플래그를 '1'로 설정하고 아무런 데이터를 출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재생전용 광 디스크내의 PIC 영역의 데이터 검출방법.
KR1020040106640A 2004-12-15 2004-12-15 고밀도 재생전용 광 디스크내의PIC(Permanent Information &Control data) 영역의 데이터 검출장치 및 그방법 KR100598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640A KR100598909B1 (ko) 2004-12-15 2004-12-15 고밀도 재생전용 광 디스크내의PIC(Permanent Information &Control data) 영역의 데이터 검출장치 및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640A KR100598909B1 (ko) 2004-12-15 2004-12-15 고밀도 재생전용 광 디스크내의PIC(Permanent Information &Control data) 영역의 데이터 검출장치 및 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742A KR20060067742A (ko) 2006-06-20
KR100598909B1 true KR100598909B1 (ko) 2006-07-12

Family

ID=37162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6640A KR100598909B1 (ko) 2004-12-15 2004-12-15 고밀도 재생전용 광 디스크내의PIC(Permanent Information &Control data) 영역의 데이터 검출장치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890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5754A (ko) * 2002-05-01 2003-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재생전용 광디스크와, 그에 따른 광디스크 장치 및방법
KR20040049551A (ko) * 2002-12-06 200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재생전용 광디스크와, 그에 따른 광디스크 장치 및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5754A (ko) * 2002-05-01 2003-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재생전용 광디스크와, 그에 따른 광디스크 장치 및방법
KR20040049551A (ko) * 2002-12-06 200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재생전용 광디스크와, 그에 따른 광디스크 장치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742A (ko) 2006-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5632B2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JP3791776B2 (ja) 光記録媒体のプリピット検出装置
JP2000311344A (ja) プリピット検出装置
JP4598355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プリピット検出方法
KR100932506B1 (ko) 고밀도 광디스크의 재생 제어정보 관리 및 데이터 재생제어방법
US8934325B2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producing method, and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KR100598909B1 (ko) 고밀도 재생전용 광 디스크내의PIC(Permanent Information &Control data) 영역의 데이터 검출장치 및 그방법
US20040125731A1 (en) High-density optical disc,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recording data thereon
JP2002237052A (ja) 光記録媒体のプリピット検出装置
KR100640658B1 (ko) 블루-레이 디스크 드라이브에서 시간 변화량를 이용하여hmw 신호를 검출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915874B1 (ko) 고밀도 광디스크와, 그에 따른 광디스크 장치 및 방법
JP2002092884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3714117B2 (ja) プリピット検出装置、プリピット検出方法、位置及び周波数信号の検出回路
CN100508050C (zh) 高密度光盘永久信息和控制数据区域的数据检测装置及其方法
KR100932503B1 (ko) 고밀도 재생전용 광디스크와, 그에 따른 광디스크 장치 및방법
US8619526B1 (en) Offset loop for wobble
KR100550402B1 (ko) 광학 레코딩 매체의 링크 갭 검출장치 및 그 방법
KR100686066B1 (ko) 광 기록매체의 제어 장치
KR100938393B1 (ko) 고밀도 재생전용 광디스크와, 그에 따른 광디스크 장치 및방법
JP4277781B2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のアドレス情報検出回路
KR20060100568A (ko) 정보 기록 매체 및 그 기록/재생 장치
JP4360302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同期パターン検出方法、ディスク回転制御方法
JP2002074675A (ja) プリピット信号検出装置及び検出方法
KR100920658B1 (ko) 고밀도 재생전용 광디스크와, 그에 따른 광디스크 장치 및방법
JP4403659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