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7504B1 - 종이재로 이루어진 받침접시 - Google Patents

종이재로 이루어진 받침접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7504B1
KR100597504B1 KR1020040035214A KR20040035214A KR100597504B1 KR 100597504 B1 KR100597504 B1 KR 100597504B1 KR 1020040035214 A KR1020040035214 A KR 1020040035214A KR 20040035214 A KR20040035214 A KR 20040035214A KR 100597504 B1 KR100597504 B1 KR 100597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per
paper material
plat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5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0263A (ko
Inventor
서정수
Original Assignee
서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수 filed Critical 서정수
Priority to KR1020040035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7504B1/ko
Publication of KR20050110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0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7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7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02Ash-trays with removable insets
    • A24F19/025Ash-trays with removable insets of the disposable type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재로 이루어진 받침접시에 관한 것으로서, 폐기시 자연분해가 가능한 종이재를 이용하여 접시의 성형성 및 강도보완이 이루어지는 받침접시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환경오염의 문제 및 제작공정상의 어려움이 해결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받침접시는, 종이재질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양면에는 코팅층을 형성하고 있는 복수의 받침체(10,20)가 상호 열융착에 의해 적층 결합된 구조를 이루되, 각각의 받침체(10,20)는 평면을 이루는 받침부(11,21) 및 상기 받침부(11,21)의 주변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각도로 상향 절곡 연장되어진 테두리부(12,22)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테두리부(12,22)는 각 모서리부위에서 절첩이 이루어진 주름부(13,23)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테두리부(12,22)의 상단부에는 강도보강을 위해 외측으로 말려져 형성되어진 컬링부(14)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이, 접시, 받침, 일회용, 컬링, 성형, 보강

Description

종이재로 이루어진 받침접시{A PAPER PLAT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재 받침접시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받침접시의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받침접시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 종이재 받침접시의 완성된 상태의 외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 받침체 20 : 하부 받침체
11,21 : 받침부 12,22 : 테두리부
13,23 : 주름부 14 : 컬링부
본 발명은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받침접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기시 자연분해가 가능한 종이재로 이루어지는 가운데 일정한 형상의 유지가 가능하며 대량생산을 통한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종이재 접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회용 받침접시의 일예로 케익을 담는 케익 받침대는 원형 혹은 사각형상의 두꺼운 백판지로 제작하여 외면부를 합성수지로 코팅하여 강도를 강화하고, 백판지 위에 발생할 수 있는 독성에 대한 위생성도 개선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재질의 백판지는 가격이 고가이면서 강도는 강한편이 못되며, 성형이 필요하다거나 그 위에 코팅을 시행코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로 장시간 압지하여야 되는 등, 제품을 성형 제작하기 위한 작업시간이 너무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낮은 결점을 갖고 있다.
한편, 현재 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은박재나 발포합성수지재 등의 일회용 접시나 컵, 라면용기, 포장용기 등은 가공성과 취급성이 양호함은 물론, 가격 경쟁력이 좋아 사회 전반 분야에서 다방면으로 사용하면서 기존의 종이(펄프)재 용기의 강도와 가공성을 혁신적으로 개선하여, 저가의 원료를 이용한 대량생산으로 제품의 가격을 낮추어 경제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많은 장점을 갖고 있으면서 우리 사회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이러한 은박재나 발포합성수지재 등의 일회용 받침접시는 환경적으로 치명적인 결함이 되는 결점이 있다.
즉, 사용되는 은박재나 발포합성수지재가 수백년이 지나도록 자연분해가 어려운 재질로서, 별다른 처리방법이 없이 땅속에 매립 폐기되고 있어 자연환경을 극도로 오염시키고 있고, 소각처리시에는 대기오염은 물론 인체에 유해한 환경호르몬이나 각종 발암물질을 배출하게 된다.
이로인해, 제품을 사용한 후에 사용자는 제품을 선별, 분리하여야 하고, 이 를 수거해야 하는 생산자 입장에서는 다시 선별, 세척, 분쇄, 용융, 성형 등의 재가공을 위한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 재활용을 하여야 하므로, 결국은 정부차원에서 은박재나 발포합성수지재 접시의 사용을 제한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일회용 받침접시의 사용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종이재이면서 성형성이 향상되며 일정강도 유지가 가능한 구조를 이루어 폐기시 환경오염이 발생하지 않는 받침접시를 제공토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종이재질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양면에는 코팅층을 형성하고 있는 복수의 받침체가 상호 열융착에 의해 적층 결합된 구조를 이루되, 각각의 받침체는 사각형상의 평면을 이루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주변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각도로 상향 절곡 연장되어진 테두리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테두리부는 각 모서리부위에서 절첩이 이루어진 주름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테두리부의 상단부에는 강도보강을 위해 외측으로 말려져 형성되어진 컬링부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재로 이루어진 받침접시 구조를 통해 이룰 수 있게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사각형상 종이재 받침접시의 상,하체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상,하체 분리시의 단면 상태도이며, 도 3은 상,하체가 결합된 상태 의 받침접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도이며, 도 5는 완성된 받침접시의 외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종이재로 이루어진 받침접시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받침접시는 도 1에 나타내어진 바와같이 박판의 종이를 소정 형상으로 절개하여 구비된 상부 받침체(10)와 하부 받침체(20)가 상호간에 융착 결합되어 2겹의 구조를 이루게 되는데, 각각의 상,하부 받침체(10,2)는 사각형상의 평면을 이루는 받침부(11,21)를 중앙에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받침부(11,21)의 주변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각도로 상향 절곡되어진 테두리부(12,22)가 연장 형성되어진 구조를 이룬다.
상기 양측의 테두리부(12,22)는 절곡과정에서 각 모서리부에 종이가 겹쳐지면서 주름부(13,23)가 형성되어지게 되는데, 양측의 주름부(13,23)는 상호간에 융착결합이 이루어지면서 각각의 주름부(13,23)가 원상태로 펼쳐지는 것이 방지됨으로 형상유지가 가능하게 되는데, 이는 양측 주름부(13,23)의 형상이 완전히 동일하게 일치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테두리부(12,22)의 상단부를 따라 강도보강 및 가장자리 마감처리를 위해 외측으로 말려져 형성되어진 컬링부(14)를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컬링처리를 위하여 상부 받침체(10)의 테두리부(12) 길이(L)는 하부 받침체(20)의 테두리부(22) 길이(L')보다 길도록(L > L') 재단하여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즉, 이를 위해서는 상부 받침체(10)의 원형 재단시 지름길이를 하부 받침체(20)의 지름길 이보다 크도록 재단하여야 한다.
이와같은 구조를 이루고 있는 본 발명 받침접시의 제작과정 및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2겹의 종이재로 이루어진 받침접시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롤상태로 공급되는 박막의 종이원단을 사각형상의 커터로 절개한 후, 절개된 사각형상 종이를 그보다 적은 크기의 사각형상을 갖고 있는 별도의 절곡틀에 밀어넣어 눌러주게 되면 절곡틀 크기로 평면의 받침부(11,21)를 형성함과 함께 그 가장자리로는 소정 경사로 절곡되어진 테두리부(12,22)가 형성되어지게 된다.
이와같이 제작이 이루어진 받침체를 상부 및 하부 받침체(10,20)로 이루도록 2겹으로 하여 적층시켜 겹쳐지도록 한 뒤 겹쳐진 테두리부(12,22)를 일정온도로 예열하게 하게 되는데, 이때 양측의 받침체(10,20)는 양면에 침수 방지를 위한 코팅층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호 접촉면의 코팅층이 용융되어지게되며, 이 상태에서 회전롤렛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테두리부(12,22)를 눌러서 밀착시키게 되면 상호간에 융착에 따른 결합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에는 양측 테두리부(12,22)에 형성되어져 있는 주름부(13,23) 역시 상호간의 융착에 의해 접합된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서 양측 주름부(13,23)가 공히 원상태로 펼쳐짐이 방지되어지게 되고, 따라서 소정 각도로의 상향 절곡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지는 가운데 주름부(13,23)에 의한 테두리부(12,22)의 강도보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2겹으로 가접착이 이루어진 받침접시를 뒤집은 상태에서 서서히 하강시 키면 상호 접합된 상태를 이루고 있는 테두리부(12,22)의 컬링틀에 의해 도 4의 확대도에 나타내어진 바와같이 외측으로 말려지면서 단부 마감 및 강도 유지를 위한 컬링부(14)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과정을 통해 테두리부(12,22)의 접합 및 컬링부(14) 형성이 완료되어지면, 최종적으로 평면의 받침부(11,21)를 상호 가열 압착시킴으로서 상호 접촉면의 코팅층 용융에 따른 2겹이 하나의 뚜껑체를 이루는 접합구조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제작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받침접시는 박판의 종이재로 이루어진 가운데 주름부(13,23) 및 컬링부(14)에 의해 소정 강도가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됨으로 음식물을 담거나 포장할 수 있는 포장용 받침접시로 사용될 수 있게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종이재 받침접시는 사용후 폐기에 따른 환경오염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됨은 물론, 박막의 종이를 복수의 층으로 겹쳐서 일정 수준 이상의 강도가 유지될 수 있게 됨으로 성형성이 매우 낮은 두꺼운 판재종이로 제작함에 비하여 성형성 및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또한, 종이의 절개로 부터 절곡, 예열, 융착, 컬링 등의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작설비를 자동화 함으로서 제품의 대량생산을 가능케 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종이재 받침접시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들면, 상기 실시예 설명 및 도면에서는 사각형상의 받침접시 형태 및 구조를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의 종이접시는 원형 및 다각형 등 여러가지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받침체(10,20)는 필요에 따러서 3겹 이상으로 겹쳐서 제작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발명은, 폐기시 자연분해가 가능한 종이재를 이용하여 받침접시를 제작함으로서 제품의 사용후 공해물질 배출 등의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종이재질의 특성상 종래 문제점이 었던 성형과정에서의 어려움 및 강도저하의 문제가 본 발명의 구조를 통해 해결되어지는 가운데 박막의 두께로 제작이 가능하게 되어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게됨을 알 수 있다.

Claims (3)

  1. 종이재질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양면에는 코팅층을 형성하고 있는 복수의 받침체(10,20)가 상호 열융착에 의해 적층 결합된 구조를 이루되, 각각의 받침체(10,20)는 평면을 이루는 받침부(11,21) 및 상기 받침부(11,21)의 주변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각도로 상향 절곡 연장되어진 테두리부(12,22)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테두리부(12,22)는 각 모서리부위에서 절첩이 이루어진 주름부(13,23)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테두리부(12,22)의 상단부에는 강도보강을 위해 외측으로 말려져 형성되어진 컬링부(14)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재로 이루어진 받침접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받침체(10)의 테두리부(12) 길이(L)는 하부 받침체(20)의 테두리부(22) 길이(L')보다 길도록(L > L') 재단하여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재로 이루어진 받침접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13,23)는 상부 받침체(10)의 주름부(13)와 하부 받침체(20)의 주름부(23)가 상호 엇갈리는 형태로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융착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재로 이루어진 받침접시.
KR1020040035214A 2004-05-18 2004-05-18 종이재로 이루어진 받침접시 KR100597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214A KR100597504B1 (ko) 2004-05-18 2004-05-18 종이재로 이루어진 받침접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214A KR100597504B1 (ko) 2004-05-18 2004-05-18 종이재로 이루어진 받침접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753U Division KR200360221Y1 (ko) 2004-05-18 2004-05-18 종이재로 이루어진 받침접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263A KR20050110263A (ko) 2005-11-23
KR100597504B1 true KR100597504B1 (ko) 2006-07-11

Family

ID=37285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5214A KR100597504B1 (ko) 2004-05-18 2004-05-18 종이재로 이루어진 받침접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75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654B1 (ko) * 2010-02-18 2012-05-17 김민기 닥나무 펄프를 이용하여 황토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KR20170024986A (ko) 2015-08-27 2017-03-08 현진제업주식회사 컬링부를 갖는 일회용 종이접시,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974972B1 (ko) 2018-02-21 2019-05-03 (주)리치원 적층된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분리가능한 접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9126B1 (ko) * 2021-03-11 2023-03-09 위소이 음식물 조리용 종이호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2014A (ja) * 2000-01-13 2001-07-17 Dainippon Printing Co Ltd トレー状複合紙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2014A (ja) * 2000-01-13 2001-07-17 Dainippon Printing Co Ltd トレー状複合紙容器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35214 - 581633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1-192014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654B1 (ko) * 2010-02-18 2012-05-17 김민기 닥나무 펄프를 이용하여 황토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KR20170024986A (ko) 2015-08-27 2017-03-08 현진제업주식회사 컬링부를 갖는 일회용 종이접시,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974972B1 (ko) 2018-02-21 2019-05-03 (주)리치원 적층된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분리가능한 접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263A (ko) 2005-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7504B1 (ko) 종이재로 이루어진 받침접시
JP2013542138A (ja) 折畳み式紙カップの側紙成型方法及び折畳み式紙カップ
KR200360221Y1 (ko) 종이재로 이루어진 받침접시
KR101728061B1 (ko) 컬링부를 갖는 일회용 종이접시,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009102038A (ja) 紙容器
JP2003276721A (ja) 紙カップと紙カップ胴部の貼り合わせ方法。
KR102040109B1 (ko) 걸림턱이 형성된 종이재질의 용기뚜껑 제조방법
JP6250287B2 (ja) パルプモールド成型体
KR200312935Y1 (ko) 고강도 종이용기
JP6103961B2 (ja) 蓋付きパルプモールド容器
WO2021229057A1 (en) Two part container with ultrasonic welded bottom joint, methods of manufacturing thereof and fixtures for ultrasonically welding elements of a two part container
JP2005035071A (ja) プラスチック気泡ボードの端面閉鎖処理方法
KR20070113467A (ko) 라운드 모서리를 갖는 지기
JPH03295B2 (ko)
KR101227778B1 (ko) 접이식 컵라면 용기
JP6103960B2 (ja) パルプモールド成型体
JPH0257559A (ja) プラスチック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146348A (ja) 角形蓋材の製造法
JPH04261837A (ja) 食品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46027B1 (ko) 일회용용기 뚜껑 제작방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된 뚜껑
JP4478287B2 (ja) コップ状容器
JP2023045858A (ja) 味噌収容用容器及び味噌容器形成用樹脂フィルム
KR102564870B1 (ko) 종이재 상품 포장 용기의 제조방법
JP7464311B2 (ja) 包装用部材
JPH03247442A (ja) 箱包装用プラスチック基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