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7239B1 - 습식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습식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7239B1
KR100597239B1 KR1020040116606A KR20040116606A KR100597239B1 KR 100597239 B1 KR100597239 B1 KR 100597239B1 KR 1020040116606 A KR1020040116606 A KR 1020040116606A KR 20040116606 A KR20040116606 A KR 20040116606A KR 100597239 B1 KR100597239 B1 KR 100597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unit
dust collecting
collecting tube
image
waste develo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6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7958A (ko
Inventor
강동주
김용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6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7239B1/ko
Publication of KR20060077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7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7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7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21Details of unit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68Toner cartridges fulfilling a continuous function within the electrographic apparatus during the use of the supplied developer material, e.g. toner discharge on demand, storing residual toner, acting as an active closure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04Preparing, mixing, transport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with means for handling the intermediate support, e.g. heating, cleaning, coating with a transfer ag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88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removing liquid developer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습식 화상형성장치는, 이미지 카트리지유닛,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 이미지 카트리지유닛에서 발생된 폐현상제를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으로 안내하는 집진관, 집진관을 개폐하는 집진관 커버 및 이미지 카트리지유닛과 페현상제 카트리지유닛의 착탈과 연동하여 작동하는 집진관 커버 개폐유닛을 포함한다. 집진관 커버 개폐유닛은 이미지 카트리지유닛과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이 모두 장착된 경우 집진관 커버를 개방시키고, 이미지 카트리지유닛과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 중 어느 하나가 분리된 경우 집진관 커버를 폐쇄시킨다.
이미지 카트리지유닛,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 집진관, 센서, 분리캠, 간섭

Description

습식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이미지 카트리지유닛 및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이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의 정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이미지 카트리지유닛의 하부 일측면도,
도 4는 도 1의 집진관 커버 개폐유닛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집진관 커버 개폐유닛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30. 이미지 카트리지유닛 40.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
50. 집진관 52. 집진관 커버
54. 스프링 60. 집진관 커버 개폐유닛
61. 프레임 62. 분리캠
63. 구동모터 65. 제1 장착감지센서
66. 제2 장착감지센서 70. 콘트롤러
본 발명은 습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미지 카트리지유닛과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을 포함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 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이미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대전유닛에 의해 소정전위로 대전된 색상별 예를 들면, 블랙, 시안, 마젠타, 옐로우등의 감광매체에, 노광유닛에서 주사되는 레이저 빔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색상별 현상기는 각 감광매체에 색상별 현상제를 공급하고, 이 정전잠상이 현상제에 의해 가시화상으로 형성되고 중간전사매체를 통해 공급된 인쇄용지에 전사된다. 이후, 칼라화상이 옮겨진 인쇄용지는 일련의 정착과정을 거쳐 화상형성장치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감광매체 및 현상기는 일정한 수명을 가지는 소모품이므로, 최근에는 사용자가 설치 및 장착의 용이를 위해 각 칼라별 감광매체 및 현상기를 하나의 유닛으로 하는 이미지 카트리지유닛이 제작되고 있다. 이렇게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됨으로써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장착 및 취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액체 현상제를 사용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는 좋은 품질의 화상을 얻기 위해 건식 화상형성장치보다 감광매체에 현상제를 더 많이 공급하게 되며, 그에 따라 폐현상제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습식 화상형성장치에는 상기 이미지 카트리지유닛의 각 감광매체 및 현상기에서 발생하는 폐현상제를 집진하는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이 별도로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이미지 카트리지유닛에는 폐현상제가 흐르도록 하는 연결통 로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통로를 통해 이미지 카트리지유닛의 폐현상제는 자중에 의해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에 수거된다. 따라서, 상기 두 유닛이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모두 장착된 경우에는 상기 연결통로를 열어주어야 하며, 어느 하나의 유닛이 화상형성장치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연결통로는 닫아주어야 한다. 한편, 연결통로의 개폐는 상기 두 유닛의 장착 및 분리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하게 된다. 즉, 이미지 카트리지유닛이 장착된 후,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이 장착되면서, 상기 연결통로의 커버를 기구적 동작에 의해 간섭하여 오픈시키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습식 화상형성장치는 이미지 카트리지유닛만을 분리하는 경우에도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을 먼저 분리한 후 이미지 카트리지유닛을 분리해야 하는 등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지 카트리지유닛과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을 각각 별도로 장착 및 분리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습식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습식 화상형성장치는, 이미지 카트리지유닛과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카트리지유닛에서 발생된 폐현상제를 상기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으로 안내하는 집진관, 상기 집진관을 개폐하는 집진관 커버 및 상기 이미지 카트리지유닛과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의 착탈과 연동하여 작동하는 집진관 커버 개폐유닛을 포함한다. 집진관 커버 개폐유 닛은 상기 이미지 카트리지유닛과 상기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이 모두 장착된 경우 상기 집진관 커버를 개방시키고, 상기 이미지 카트리지유닛과 상기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 중 어느 하나가 분리된 경우 상기 집진관 커버를 폐쇄시킨다.
상기 집진관 커버 개폐유닛은 상기 집진관 커버와 접촉하여 오픈시키는 분리캠, 상기 분리캠을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구동모터, 상기 이미지 카트리지유닛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제1 장착감지센서, 상기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제2 장착감지센서 및 상기 제1 및 제2 장착감지센서와 신호교환하며,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집진관 커버는 상기 집진관 커버를 폐쇄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캠은 회전시 상기 집진관커버와 접촉하여 오픈시키는 오픈레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이미지 카트리지유닛과 상기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이 모두 장착된 경우 상기 집진관 커버와 접촉하도록 상기 분리캠을 회전시키며, 상기 이미지 카트리지유닛과 상기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 중 어느 하나가 분리된 경우 상기 집진관 커버와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분리캠을 회전시키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집진관 커버 개폐유닛은, 상기 집진관 커버와 접촉하여 오픈시키는 분리캠 및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분리캠과 연결된 핸들 조작레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화상형성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습식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을 형성하는 이미지 카트리지유닛(30)과, 상기 이미지 카트리지유닛(30)으로부터 발생되는 폐현상제가 수거되는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40)을 포함한다. 이미지 카트리지유닛(30) 및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40)은 화상형성장치 본체(10)의 장착부(20)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미지 카트리지유닛(30)은 이미지 카트리지 프레임(31)과, 상기 이미지 카트리지 프레임(31)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이미지 카트리지유닛(30)을 장착부(20)에 장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32)를 포함한다. 이미지 카트리지 프레임(31) 내부에는 복수의 컬러, 예를 들면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등 컬러별로 화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감광매체, 현상기가 복수개 마련된다. 감광매체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되고, 현상기는 상기 감광매체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컬러별 가시화상을 형성시킨다. 한편, 상기 복수의 감광매체 및 현상기는 컬러별로 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40)은 상기 이미지 카트리지유닛(30)에서 화상형성 작업시 발생하는 폐현상제가 수거되며, 이미지 카트리지유닛(30)의 하부에 설치된다.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40)은 폐현상제 카트리지 프레임(41)과, 폐현상제 카트리지 프레임(31)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40)을 장착부(20)에 장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42)가 설치된다.
참조부호 "60"은 집진관 커버 개폐유닛을 나타낸 것으로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집진관(50)은 이미지 카트리지유닛(30)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어, 각 색상별 감광매체 및 현상기에서 발생하는 폐현상제를 상기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40)으로 안내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집진관(50)은 일단이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50)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이미지 카트리지유닛(30)에서 발생한 폐현상제는 집진관(50)을 통해 자중에 의해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40)으로 흘러 들어간다. 화살표 A는 이미지 카트리지유닛(30)의 장착 방향을 나타낸다.
집진관(50) 일단에는 상기 집진관(50)을 개폐하는 집진관 커버(52)가 설치된다. 집진관 커버(52)는 집진관(50) 상부에 설치된 고정 구조물(57)에 힌지축(56) 결합되어 집진관(50)을 개폐한다. 집진관 커버(52)는 후술할 분리캠(62, 도4 참조)에 설치된 오픈레버(64)와 간섭한다. 집진관 커버(52)의 전면에는 실링부재(53)가 설치된다. 실링부재(53)는 고무재질등으로 형성되어 집진관 커버(52)가 집진관(50)을 닫고 있을 때 폐현상제가 집진관(50)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집진관 커버(52)에는 스프링(54)이 설치된다. 스프링(54)은 상기 집진관 커버(52)를 집진관(50)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킨다. 따라서, 별도의 간섭이 없으면 집진관 커버(52)는 스프링(54)에 의해 집진관(50)을 클로즈시킨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집진관 커버 개폐유닛(60)은 화상형성장치 본체(10)의 장착부(20) 일측에 설치되어(도 1참조), 상기 이미지 카트리지유닛(30)과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40)의 착탈에 연동하여 집진관 커버(52)를 동작시킨다. 집진관 커버 개폐유닛(60)은 장착부(20)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61)과, 프레임(61)에 설치되는 분리캠(62), 구동모터(63), 복수의 감지센서(65, 66) 및 콘트롤러(70) 를 포함한다.
분리캠(62)은 상기 프레임(61)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집진관 커버(52, 도3 참조)와 간섭하는 오픈레버(64)를 구비한다. 분리캠(62)은 상기 구동모터(63)에 의해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회전구동이 가능하며, 분리캠(62)의 일방향(B) 회전시 오픈레버(64)는 회전하여 집진관 커버(52)와 간섭하게 된다. 따라서, 집진관(50, 도3 참조)을 닫고 있던 집진관 커버(52)는 분리캠(62)의 회전시 오픈레버(64)와 간섭되어 열리게 되고, 집진관(50)은 개방된 상태가 된다. 집진관(50)이 개방됨으로써, 이미지 카트리지유닛(30)의 폐현상제는 상기 집진관(50)을 통해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40)으로 흘러들어간다. 한편, 집진관 커버(52)가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분리캠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분리캠(62)의 오픈레버(64)가 집진관 커버(52)의 간섭을 해제하게 되어, 집진관 커버(52)는 집진관(50)을 닫게 된다.
구동모터(63)는 분리캠(62)의 후방에 설치되어 분리캠(62)을 회전 구동시킨다. 구동모터(63)는 상기 분리캠(62)을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복수의 감지센서(65, 66)는 프레임(61)상에 설치되어, 이미지 카트리지유닛(30) 및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40)이 장착부(20)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여부에 따른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복수의 감지센서(65, 66)는 이미지 카트리지유닛(30)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제1 장착감지센서(65)와,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40)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제2 장착감지센서(66)를 포함한다.
콘트롤러(70)는 상기 복수의 감지센서(65, 66)와 신호교환하며, 복수의 감지 센서(65, 66)의 송출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모터(63)를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콘트롤러(70)는 이미지 카트리지유닛(30)과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40)이 모두 장착부(20)에 장착되어서, 상기 제1 장착감지센서(65) 및 제2 장착감지센서(66)의 장착신호를 모두 수신하면 구동모터(63)를 구동시킨다. 그러나, 장착된 이미지 카트리지유닛(30)과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40) 중 어느 하나가 장착부(2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제1 장착감지센서(65) 또는 제2 장착감지센서(66)중 어느 하나의 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구동모터(63)를 구동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미지 카트리지유닛(30)이 화상형성장치 본체(10)의 장착부(20)에 장착되면, 제1 장착감지센서(65)는 이미지 카트리지유닛(30)의 장착을 감지하여 콘트롤러(70)에 신호를 송출한다. 또한,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40)이 장착부(20)에 장착되면, 제2 장착감지센서(66)는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40)의 장착을 감지하여 콘트롤러(70)에 신호를 송출한다.
콘르롤러(70)가 제1 및 제2 장착감지센서(65, 66)의 송출신호를 모두 수신하면 이미지 카트리지유닛(30)과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40)이 모두 정상적으로 장착이 완료된 것으로 인식하게 되어 구동모터(63)를 구동시킨다. 여기서, 콘트롤러(70)는 이미지 카트리지유닛(30)과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40) 중 어느 하나라도 정상적으로 장착이 완료되지 않으면, 구동모터(63)를 구동시키지 않으며,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에러메세지를 띄워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구동모터(63)의 구동에 의해 분리캠(62)은 일방향, 예를 들면 도 4와 같이 반시계방향(B)으로 회전하게 된다. 분리캠(62)이 회전함에 따라 분리캠(62)의 오픈레버(64)는 집진관 커버(52)를 간섭하며, 이에 의해 집진관 커버(52)는 오픈된다. 따라서, 집진관(50)은 개방된 상태가 되고, 집진관(50)이 개방됨으로써 이미지 카트리지유닛(30)의 폐현상제는 상기 집진관(50)을 통해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40)으로 자중에 의해 흘러들어간다.
한편, 사용자가 보수, 교체등을 위하여 이미지 카트리지유닛(30)을 화상형성장치 본체(1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제1 장착감지센서(65)는 이를 감지하여 콘트롤러(70)에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신호를 수신한 콘트롤러(70)는 구동모터(63)를 구동시킨다. 구동모터(63)가 일방향 구동모터라면, 분리캠(62)은 반시계방향(B)으로 더 회전하면서 오픈레버(64)가 집진관 커버(52)를 쳐올리게 되고, 따라서 오픈레버(64)는 집진관 커버(52)의 구속을 해제하게 된다. 한편, 구동모터(63)가 양방향 구동모터라면, 분리캠(6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오픈레버(64)가 집진관 커버(52)의 구속을 해제하게 된다. 오픈레버(64)로부터 구속이 해제된 집진관 커버(52)는 스프링(54)의 탄성력에 의해 집진관(50)을 닫게 된다.
사용자가 폐현상제 카트리지(40)만을 분리하는 경우, 제2 장착감지센서(66)는 이를 감지하여 콘트롤러(70)에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신호를 수신한 콘트롤러(70)는 구동모터(63)를 구동시킨다. 이후는 상기 과정과 같다. 즉, 구동모터(63)의 구동에 의해 분리캠(62)은 회전하게 되고, 분리캠(62)의 회전에 의해 오픈레버(64)는 집진관 커버(52)의 구속을 해제하며, 집진관 커버(52)는 스프링(54)에 의해 탄 성바이어스되어 집진관(50)을 닫게 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미지 카트리지유닛과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의 착탈과 연동하여 집진관 커버(52)가 자동으로 개폐되는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분리캠(62)을 구동하여 상기 집진관 커버(52)를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구동모터(63) 및 복수의 감지센서(65, 66)들을 설치하는 대신, 분리캠(62)과 연결된 핸들 조작레버를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습식 화상형성장치는, 이미지 카트리지유닛과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을 순서에 구속되지 않고 별도로 장착 및 분리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5)

  1. 이미지 카트리지유닛 및 상기 이미지 카트리지유닛으로부터 발생되는 폐현상제를 수거하는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을 포함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카트리지유닛에서 발생된 폐현상제를 상기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으로 안내하는 집진관;
    상기 집진관을 개폐하는 집진관 커버; 및
    상기 이미지 카트리지유닛과 상기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의 착탈과 연동하여 작동하며, 상기 이미지 카트리지유닛과 상기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이 모두 장착된 경우 상기 집진관 커버를 개방하고, 상기 이미지 카트리지유닛과 상기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 중 어느 하나가 분리된 경우 상기 집진관 커버를 폐쇄하는 집진관 커버 개폐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관 커버 개폐유닛은,
    상기 집진관 커버와 접촉하여 오픈시키는 분리캠;
    상기 분리캠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이미지 카트리지유닛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제1 장착감지센서;
    상기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제2 장착감지센서; 및
    상기 제1 및 제2 장착감지센서와 신호교환하며,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관 커버를 폐쇄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분리캠은 회전시 상기 집진관커버와 접촉하여 오픈시키는 오픈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이미지 카트리지유닛과 상기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이 모두 장착된 경우 상기 집진관 커버와 접촉하도록 상기 분리캠을 회전시키며, 상기 이미지 카트리지유닛과 상기 폐현상제 카트리지유닛 중 어느 하나가 분리된 경우 상기 집진관 커버와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분리캠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관 커버 개폐유닛은,
    상기 집진관 커버와 접촉하여 오픈시키는 분리캠; 및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분리캠과 연결된 핸들 조작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
KR1020040116606A 2004-12-30 2004-12-30 습식 화상형성장치 KR100597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606A KR100597239B1 (ko) 2004-12-30 2004-12-30 습식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606A KR100597239B1 (ko) 2004-12-30 2004-12-30 습식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7958A KR20060077958A (ko) 2006-07-05
KR100597239B1 true KR100597239B1 (ko) 2006-07-06

Family

ID=37169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6606A KR100597239B1 (ko) 2004-12-30 2004-12-30 습식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72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5301A (ko) 2020-07-06 2022-01-13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모터를 이용하여 현상 카트리지의 유입 셔터를 구동하는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7958A (ko)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0262B2 (en) Process cartridge, developer supply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CN101158833B (zh) 调色剂盒以及图像形成装置
JP4417788B2 (ja) 画像形成措置
EP0468749B1 (en)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9244539A (ja) 画像形成装置
EP0533484B1 (en)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2234200A (ja) 画像形成装置
CN102053521B (zh) 电子照相成像装置
US8971753B2 (en) Process cartridge
KR100597239B1 (ko) 습식 화상형성장치
EP2549336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927373B2 (ja) 廃トナー回収装置、画像形成装置
JP2005316430A (ja) 湿式電子写真方式画像形成装置及び湿式電子写真方式画像形成装置のセット方法
CN102053522B (zh) 电子照相成像装置
JP5106212B2 (ja) 画像形成装置
JP495460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8096770A (ja) 画像形成装置
JP4343663B2 (ja) 画像形成装置
JPH10115961A (ja) 画像形成装置
JP4634070B2 (ja) 画像形成装置
JP2761197B2 (ja) クリーニングトナーマガジン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9274384A (ja)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4543775B2 (ja) 画像形成装置
JP598761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48716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