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6196B1 - 볼로메타용 산화물 박막 및 이를 이용한 적외선 감지소자 - Google Patents

볼로메타용 산화물 박막 및 이를 이용한 적외선 감지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6196B1
KR100596196B1 KR1020040005559A KR20040005559A KR100596196B1 KR 100596196 B1 KR100596196 B1 KR 100596196B1 KR 1020040005559 A KR1020040005559 A KR 1020040005559A KR 20040005559 A KR20040005559 A KR 20040005559A KR 100596196 B1 KR100596196 B1 KR 100596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adium
tungsten
thin film
oxide
vw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5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7899A (ko
Inventor
문성욱
신현준
한용희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005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6196B1/ko
Priority to US10/953,700 priority patent/US7250604B2/en
Priority to EP04023365A priority patent/EP1560008B1/en
Publication of KR20050077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7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6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6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04G17/065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E04G17/0658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remaining completely or partially embedded in the cast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4Casings
    • G01J5/046Materials; Selection of thermal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1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5/2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using resistors, thermistors or semiconductors sensitive to radiation, e.g. photoconduc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7/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sistors
    • H01C17/0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sistors adapted for coating resistive material on a base
    • H01C17/075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sistors adapted for coating resistive material on a base by thin film techniques
    • H01C17/1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sistors adapted for coating resistive material on a base by thin film techniques by sputt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7/0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 H01C7/006Thin film re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7/0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 H01C7/04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having 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 H01C7/042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having 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non-metallic substances
    • H01C7/043Oxides or oxidic compounds
    • H01C7/047Vanadium oxides or oxidic compounds, e.g. V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감도 특성을 갖는 볼로메타형 비냉각 적외선 감지소자를 위한 볼로메타용 산화물 박막에 관한 것이다.
현재 비냉각 적외선 감지소자의 적외선 감지물질로 사용되는 바나듐 산화물는 TCR값이 -2.0%/℃ 내외이며, 물질 특성상 무수히 많은 중간상의 존재로 인하여 정확한 상 조절과 재현성 달성이 어렵다. 이로 인하여 고가의 이온빔 장치 등이 달린 박막 증착장비를 이용하여 제조되며, 공정온도도 400℃ 이상으로 높은 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볼로메타용 산화물 박막은 바나듐에 텅스텐이 첨가된 바나듐 텅스텐 산화물(V-W-Ox)로서, 300℃의 저온에서 바나듐-텅스텐 금속박막을 산화시켜 텅스텐 조성변화 및 산화시간 변화에 따라 5∼200㏀의 저항 범위내에서 -1.5 내지 -4.1 %/℃의 다양한 TCR값을 갖는 볼로메타용 산화물의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고가의 이온빔 장치없이 저가의 박막증착 장비로 저온에서 재현성 있는 박막의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결과로 100㏀ 이내의 낮은 저항에서 -3%/℃ 이상의 높은 TCR값을 갖는 볼로메타 물질을 재현성 있게 제조할 수 있으며, 고감도를 갖는 비냉각형 적외선 소자의 제조가 가능하다.
바나듐, 텅스텐, 볼로메타, 저온 산화법, TCR

Description

볼로메타용 산화물 박막 및 이를 이용한 적외선 감지소자 {Oxide thin film for bolometer and infrared detector using the oxide thin film}
도 1은 바나듐과 텅스텐의 함량비에 따른 저항 및 TCR값의 변화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r.f 스퍼터링 증착시 텅스텐 칩의 개수에 의해 텅스텐의 함량을 조절하는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텅스텐 함량이 5 at%일 때 열처리 시간에 따른 저항 및 TRC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볼로메타용 산화물 박막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감도 특성을 갖는 볼로메타형 비냉각 적외선 감지소자를 위한 볼로메타용 산화물 박막에 관한 것이다.
볼로메타(bolometer)는 적외선 센서의 일종으로, 물체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을 흡수하여 열에너지로 바뀔 때 그로 인한 온도상승으로 전기저항이 변화하는 것을 측정하여 적외선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징을 갖는 볼로메타를 2차원으로 집적 배열화(Focal plane array)하여 적외선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볼로메타 물질에 요구되는 조건은 높은 TCR(temperature coefficient of resistence)값, 낮은 소자 저항, IC공정과의 연계성, 제조공정의 저렴화 및 단순화, 높은 재현성 등이 있다.
현재 사용되는 볼로메타 물질에는 Ti 등의 금속박막, 바나듐 산화물, 비정질 실리콘 등이 있다. 금속박막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온저항이 매우 낮다는 장점을 가지지만 TCR값이 매우 작아 소자의 응답특성(responsibity)을 향상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비정질 실리콘의 경우에는 TCR값이 높아 응답특성이 좋은 반면에 높은 소자 저항으로 생기는 존슨 잡음(Johnson noise)이 높다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바나듐 산화물의 경우에는 금속박막에 비해 비교적 높은 -2.0%/℃ 내외의 TCR값을 가지고 비정질 실리콘에 비해 비교적 낮은 100㏀ 이내의 소자 저항값을 가지지만, 무수히 많은 중간상의 존재로 인하여 재현성 있는 박막의 제조가 어렵고, 통상 이온빔 장치 등 고가의 장비와 400℃ 이상의 고온에서 제조되어야 하는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저항이 매우 높아 볼로메타 소자에 적용이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고자 바나듐 옥사이드에 텅스텐, 크롬, 망간, 등 다른 금속을 도핑하여 바나듐 옥사이드의 저항을 낮추는 방법이 미국특허 제5,288,380호로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단지 도핑에 의해 바나듐옥사이드의 저항을 낮추는 목적으로 발명되었으며, 정확한 도핑 조성 등의 표시없이 매우 광범위하게 기술하였고, 도핑으로 인한 적외선 소자의 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TCR값의 향상에 대해서는 발명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바나듐 옥사이드에 텅스텐 등의 다른 금속을 도핑하는 방법으로 산소분위기에서의 co-sputtering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데 산소분위기에서 반응성 방법에 의해 산화바나듐을 형성시키는 이런 방법은 산소분압을 매우 미세하게 조절하여야 하고 무수히 많은 중간상의 존재로 인해 산소분압에 민감하게 그 특성이 변화하며 따라서 정확한 특성 및 상의 조절이 어려워 산화바나듐 박막의 재현성 및 그 특성 조절이 매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특허 제6489613호(공개일: 2002년 12월 3일)는 바나듐 산화물의 바나듐을 다른 금속(Cr, Al, Fe, Mn, Nb, Ta, Ti)으로 치환하고 졸-겔법 및 400 내지 450℃ 온도에서의 열처리를 이용하여 높은 TCR값과 비교적 낮은 저항값을 갖는 산화물 박막을 제공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열처리 온도가 400℃ 이상으로 비교적 높을 뿐만 아니라 산화물 박막을 제조한후 산화분위기에서의 열처리와 환원분위기에서의 열처리 등 장시간의 열처리 시간이 소요되는 공정상의 단점을 가지며, 또한 졸-겔법이 아닌 스퍼터법을 사용하여 산화물 박막을 제조할 경우에는 산소 함량 조절의 어려움으로 재현성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낮은 소자저항과 높은 TCR값을 가지는 볼로메타 물질을 제공함으로써 볼로메타 소자의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감도의 특성을 갖는 적외선 감지소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볼로메타용 산화물 박막은 V-W-Ox에 의해 표현되는 바나듐 텅스텐 산화물을 포함하며, 여기서 x는 0.5≤x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볼로미터를 포함하는 적외선 검출소자에 있어서, 상기 볼로미터는 V-W-Ox에 의해 표현되는 바나듐 텅스텐 산화물을 포함하며, 여기서 x는 0.5≤x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검출소자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볼로메타용 산화물은 바나듐에 텅스텐이 첨가된 바나듐 텅스텐 산화물(이하, V-W-Ox라 함)로서, 비냉각형 적외선 감지소자에서 적외선 감지 물질로 사용될 수 있으며, 기존의 산화바나듐 물질보다 낮은 소자저항과 더 큰 상온 TRC값을 가진다. 상기 V-W-Ox 박막은 텅스텐 및 산소의 함량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 으며, 이들의 함량에 따라 저항 및 TRC값의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V-W-Ox 박막의 제조방법은 바나듐-텅스텐(V-W) 금속박막의 증착 및 이들의 저온 산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V-W-Ox 박막은 바나듐(V)과 텅스텐(W)의 함량비가 1 내지 50 at% 범위에서 변화될 수 있으며, 산소(O)의 함량은 0.5≤x ≤2 범위의 값을 갖는다. 박막의 구조는 결정질 또는 비정질 구조를 가지며, 350℃ 이하의 저온 공정으로 제조시 일반적으로 완전히 결정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비정질 상태의 특성을 보인다.
볼로메타의 적용에 있어서, V-W-Ox 박막의 두께는 25 내지 200㎚ 범위가 될 수 있는데, 열 부하(thermal mass)를 고려하여 100㎚ 이하의 두께가 바람직하다.
또한, 산소의 함량에 있어서, x가 2보다 클 경우에는 저항이 매우 높아서 볼로메타 소자에 적용이 어렵고, x가 0.5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온에서 매우 낮은 저항을 가지지만 온도에 따른 저항변화가 매우 불안정한 특성을 보이므로 볼로메타 소자에 적용이 어렵다. 일반적으로, 특정 텅스텐의 함량과 관련하여 산소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상온 저항 및 TRC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도 1은 바나듐과 텅스텐의 함량비에 따른 저항 및 TCR값의 변화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텅스텐 함량이 1 내지 10 at%일 때 100㏀ 이하의 저항에서 -3.0%/℃ 이상의 큰 TCR값이 얻어짐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V-W-Ox 박막의 제조방법은 기판상에 바나듐-텅스텐 박막을 증착하는 공정 및 상기 증착된 바나듐-텅스텐 박막의 저온 산화 공정으로 이루어 진다.
먼저, 바나듐-텅스텐(V-W) 박막의 증착 공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기존에는 산화 바나듐 박막의 증착시 많은 중간상들의 존재와 산소 함량 조절에 기인한 재현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고가의 이온빔 또는 레이저 장치를 구비한 이온 빔 스퍼터, 또는 PLD(pulse laser deposition : 펄스 레이저 증착)법을 사용해야만 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재현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가의 장비를 통해 산화물을 직접 증착하는 것이 아니라 증착이 용이하며 재현성 문제가 생기지 않는 바나듐 텅스텐 금속 박막을 증착한 후 이를 저온에서 산화시켜 산화물을 얻는 방법을 사용한다. 바나듐 텅스텐 금속 박막은 통상의 r.f 스퍼터로 쉽게 증착 가능하며 기존의 졸-겔(sol-gel)법, CVD법, PLD법, 증발기(evaporator) 등 각종 박막증착 장비로도 쉽게 증착이 가능하다.
삭제
상기 r.f. 스퍼터를 이용하여 바나듐-텅스텐 박막을 제조하는 경우에, 플라즈마 가스로 아르곤(Ar)이 사용되고, 0.5 내지 10 mTorr 범위의 작업압력과 150 내지 350W 범위의 플라즈마 파워로 수행된다. 여기서, 바나듐과 텅스텐의 조성비를 조절하는 방법에는 바나듐에 텅스텐이 특정 조성으로 함유된 합금 타겟을 스퍼터링하는 방법, 또는 바나듐과 텅스텐을 각각 동시에 스퍼터링하는 방법,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나듐 타겟 상에 텅스텐 칩을 고정시킨후 스퍼터링하여 텅스텐 칩의 개수에 의해 조성비를 조절하는 방법이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증착된 바나듐-텅스텐 박막은 열처리에 의한 산화과정을 거치게 된다.
기존에는 바나듐만을 이용하여 볼로메타용 산화물을 제조하였기 때문에 400℃ 이상의 고온에서 장시간의 열처리를 필요로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바나듐에 텅스텐을 첨가함으로써 산화공정 시간의 단축 뿐만 아니라 400℃ 이하의 온도에서 열처리가 가능해진다. 이는 바나듐에 첨가되는 텅스텐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낮은 온도에서도 매우 쉽게 산화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바나듐에 텅스텐을 첨가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저온산화법에 의한 고특성의 볼로메타 물질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바나듐-텅스텐 박막의 열처리는 약 300℃의 저온 및 일정 산소 분압하에서 텅스텐의 함량과 박막의 두께에 따라 시간을 조절하면서 수행된다. 이때, 열처리 온도는 경우에 따라 250 내지 450℃ 범위내에서 변화가능하고, 산소분압도 변화가능하다.
도 3은 텅스텐 함량이 5 at%일 때 열처리 시간에 따른 저항변화 및 TCR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열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산소함량이 증가하여 상온저항 및 TCR값도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저온산화법에 따르면, 텅스텐 함량 1 내지 10 at%에서 두께에 따라 산화시간(열처리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100㏀ 이하의 저항 및 -4%/℃ 이상의 TCR값을 갖는 매우 우수한 특성의 볼로메타용 산화물을 제공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100㏀ 이하의 저항 및 -4%/℃ 이상의 TCR값을 갖는 매우 우수한 특성의 볼로메타용 산화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산화물을 볼로메타 소자의 제조에 응용하여 소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저온에서 금속박막을 증착후 산화시키는 저온산화법에 의해 무수히 많은 중간상의 존재 또는 산소 함량 조절의 어려움으로 야기되는 재현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저가의 박막증착 장비의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텅스텐 첨가에 의해 열처리 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 절감 및 제조공정 단순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삭제

Claims (14)

  1. V-W-Ox에 의해 표현되며 상전이가 일어나지 않는 비정질 바나듐 텅스텐 산화물을 포함하며, 여기서 x는 0.5≤x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로메타용 산화물 박막.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텅스텐(W)의 함량은 바나듐(V)의 at% 대비 1 내지 50 a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로메타용 산화물 박막.
  3. 삭제
  4. 볼로미터를 포함하는 적외선 검출소자에 있어서,
    상기 볼로미터는 V-W-Ox에 의해 표현되는 바나듐 텅스텐 산화물을 포함하며, 여기서 x는 0.5≤x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검출소자.
  5.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바나듐(V)과 텅스텐(W)의 함량비는 1 내지 50 at% 범위에서 변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검출소자.
  6. 삭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바나듐 텅스텐 산화물의 두께는 25 내지 20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검출소자.
  8. 기판상에 바나듐-텅스텐 박막을 증착하는 공정과,
    상기 증착된 바나듐-텅스텐 박막의 저온 산화 공정을 포함하는 바나듐 텅스텐 산화물(V-W-Ox)박막의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바나듐-텅스텐 박막을 증착하는 공정은,
    r.f 스퍼터로 제작하여 증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나듐 텅스텐 산화물(V-W-Ox)박막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r.f. 스퍼터로의 제조는 플라즈마 가스로 아르곤(Ar)이 사용되고, 0.5 내지 10 mTorr 범위의 작업압력과 150 내지 350W 범위의 플라즈마 파워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나듐 텅스텐 산화물(V-W-Ox)박막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바나듐-텅스턴 박막의 증착공정은 졸-겔(sol-gel)법, CVD법, PLD법, 증발기(evaporator)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나듐 텅스텐 산화물(V-W-Ox)박막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r.f. 스퍼터를 이용하여 바나듐-텅스텐 박막을 제조하는 경우에, 바나듐과 텅스텐의 조성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바나듐과 텅스텐의 조성비 조절방법에는 바나듐에 텅스텐이 특정 조성으로 함유된 합금 타겟을 스퍼터링하는 방법,
    또는 바나듐과 텅스텐을 각각 동시에 스퍼터링하는 방법,
    또는, 바나듐 타겟 상에 텅스텐 칩을 고정시킨후 스퍼터링하여 텅스텐 칩의 개수에 의해 조성비를 조절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나듐 텅스텐 산화물(V-W-Ox)박막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바나듐-텅스텐 박막의 저온 산화 공정은 저온 열처리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열처리공정은 250℃ ~ 400℃ 범위의 저온 및 소정의 산소 분압하에서 텅스텐의 함량과 박막의 두께에 따라 시간을 조절하면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나듐 텅스텐 산화물(V-W-Ox)박막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텅스텐 함량 1 내지 10 at%에서 두께에 따라 상기 열처리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100㏀ 이하의 저항 및 -4%/℃ 이상의 TCR값 특성을 갖는 볼로메타용 산화물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나듐 텅스텐 산화물(V-W-Ox)박막의 제조방법.
KR1020040005559A 2004-01-29 2004-01-29 볼로메타용 산화물 박막 및 이를 이용한 적외선 감지소자 KR100596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5559A KR100596196B1 (ko) 2004-01-29 2004-01-29 볼로메타용 산화물 박막 및 이를 이용한 적외선 감지소자
US10/953,700 US7250604B2 (en) 2004-01-29 2004-09-29 Oxide thin film for bolometer and infrared detector using the oxide thin film
EP04023365A EP1560008B1 (en) 2004-01-29 2004-09-30 A method for fabricating an amorphous vanadium tungsten oxide thin fil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5559A KR100596196B1 (ko) 2004-01-29 2004-01-29 볼로메타용 산화물 박막 및 이를 이용한 적외선 감지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899A KR20050077899A (ko) 2005-08-04
KR100596196B1 true KR100596196B1 (ko) 2006-07-03

Family

ID=34651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5559A KR100596196B1 (ko) 2004-01-29 2004-01-29 볼로메타용 산화물 박막 및 이를 이용한 적외선 감지소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250604B2 (ko)
EP (1) EP1560008B1 (ko)
KR (1) KR1005961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143B1 (ko) * 2013-02-28 2014-12-30 한국세라믹기술원 볼로미터용 바나듐 산화물 박막 제조방법, 볼로미터 제조방법, 및 이들에 의해서 제조된 볼로미터와 적외선 검출 소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62837B2 (ja) * 2006-02-27 2012-06-27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赤外線センサの製造方法
JP2008066612A (ja) * 2006-09-11 2008-03-21 Fujitsu Ltd トンネル磁気抵抗効果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7827852B2 (en) * 2007-12-20 2010-11-09 General Electric Company Gas sensor and method of making
US20110279680A1 (en) * 2010-05-13 2011-11-1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assive infrared imager
US8502147B2 (en) * 2011-10-04 2013-08-06 Flir Systems, Inc. Microbolometer detector layer
RU2554304C2 (ru) * 2013-07-16 2015-06-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Петрозавод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чувствительного элемента матрицы теплового приемника
JP6221572B2 (ja) * 2013-09-27 2017-11-01 株式会社デンソー 温度センサ
JP6652046B2 (ja) * 2016-01-07 2020-02-19 株式会社デンソー 温度センサ
JP7120857B2 (ja) * 2018-05-10 2022-08-17 株式会社アルバック 抵抗体膜の製造方法及び抵抗体膜
RU2740633C1 (ru) * 2018-05-17 2021-01-18 Аселсан Электроник Санайи Ве Тиджарет Аноним Ширкети АКТИВНЫЙ МАТЕРИАЛ НА ОСНОВЕ V(MO)Oх С ВАНАДИЕВОЙ МИШЕНЬЮ, ЛЕГИРОВАННОЙ ОКСИДОМ ПЕРЕХОДНОГО МЕТАЛЛА,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МИКРОБОЛОМЕТРЕ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KR102156664B1 (ko) * 2018-12-18 2020-09-16 한국세라믹기술원 볼로미터용 산화물 저항 박막 및 그 제조방법
FR3099573B1 (fr) * 2019-07-30 2021-07-23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microbolomètre comportant un matériau sensible à base d’oxyde de vanadium
CN111116050A (zh) * 2020-01-08 2020-05-08 武汉理工大学 一种钨掺杂二氧化钒薄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921291A (zh) * 2021-01-26 2021-06-08 上海交通大学 一种相变温度可调控的钨掺杂二氧化钒薄膜的制备方法
CN113380916B (zh) * 2021-04-23 2023-04-28 武汉高芯科技有限公司 双模式非制冷红外探测器热敏层结构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3110A (en) * 1967-05-19 1969-12-09 Bell Telephone Labor Inc Preparation of thin films of vanadium dioxide
US3899407A (en) * 1973-08-01 1975-08-12 Multi State Devices Ltd Method of producing thin film devices of doped vanadium oxide material
US5288380A (en) * 1992-07-23 1994-02-2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Method for fabrication of thin-film bolometric material
US5801383A (en) * 1995-11-22 1998-09-01 Masahiro Ota, Director General, Technical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Japan Defense Agency VOX film, wherein X is greater than 1.875 and less than 2.0, and a bolometer-type infrared sensor comprising the VOX film
JP3080093B2 (ja) 1998-09-01 2000-08-21 日本電気株式会社 ボロメータ用酸化物薄膜および該酸化物薄膜を用いた赤外線センサ
JP3727208B2 (ja) * 1999-11-15 2005-12-14 シャープ株式会社 感温抵抗変化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遠赤外線センサー
JP2001247958A (ja) * 2000-03-07 2001-09-14 Nec Corp ボロメータ材料の作製方法及びボロメータ素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143B1 (ko) * 2013-02-28 2014-12-30 한국세라믹기술원 볼로미터용 바나듐 산화물 박막 제조방법, 볼로미터 제조방법, 및 이들에 의해서 제조된 볼로미터와 적외선 검출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67592A1 (en) 2005-08-04
EP1560008A1 (en) 2005-08-03
KR20050077899A (ko) 2005-08-04
US7250604B2 (en) 2007-07-31
EP1560008B1 (en) 200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6196B1 (ko) 볼로메타용 산화물 박막 및 이를 이용한 적외선 감지소자
Soltani et al. Effects of Ti–W codoping on the optical and electrical switching of vanadium dioxide thin films grown by a reactive pulsed laser deposition
US5801383A (en) VOX film, wherein X is greater than 1.875 and less than 2.0, and a bolometer-type infrared sensor comprising the VOX film
Wang et al. Nanostructured vanadium oxide thin film with high TCR at room temperature for microbolometer
KR100983818B1 (ko) 볼로미터용 저항재료, 이를 이용한 적외선 검출기용 볼로미터, 및 이의 제조방법
CA1184642A (en) Infrared radiation detector
US8502639B1 (en) Nanocomposite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reduced resistivity
JPH06317475A (ja) 赤外線セ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Karunagaran et al. Study of a pulsed laser deposited vanadium oxide based microbolometer array
US6585909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oxide thin film for bolometer
US20180016187A1 (en) Titanium-ruthenium co-doped vanadium dioxide thermosensitive film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H10318842A (ja) 薄膜感温抵抗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713763B2 (en) Oxide thin film for a bolometer,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infrared sensor using the same
EP0640815B1 (en) Pyroelectric infrared radiation detecto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2006278478A (ja) 赤外線センサ用薄膜、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赤外線センサ
US5854587A (en) REx M1-x Mny O.sub.δ films for microbolometer-based IR focal plane arrays
Wada et al. Fabrication process for 256x256 bolometer-type uncooled infrared detector
US8173280B2 (en) Nickel oxide film for bolome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infrared detector using the same
JP2002118004A (ja) 感温抵抗変化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感温抵抗変化膜を用いた赤外線センサ
KR20220075310A (ko) 산화바나듐 기반 감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볼로미터를 생성하는 방법
KR102065528B1 (ko) 마이크로볼로미터용 저항체 박막 및 그 제조방법
KR100475590B1 (ko) 칼코게나이드 비정질 반도체를 이용한 박막온도센서 및 그제조방법
KR101838277B1 (ko) 볼로미터용 티타늄 산화막 및 그의 제조 방법, 티타늄 산화막을 이용한 적외선 감지소자
Wang et al. Reactive ion beams sputtering of vanadium oxides films for uncooled microbolometer
KR100395246B1 (ko) 마이크로 열센서용 측온저항체형 온도센서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