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4436B1 - 이중모드 이동통신단말기의 접속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중모드 이동통신단말기의 접속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4436B1
KR100594436B1 KR1020040093162A KR20040093162A KR100594436B1 KR 100594436 B1 KR100594436 B1 KR 100594436B1 KR 1020040093162 A KR1020040093162 A KR 1020040093162A KR 20040093162 A KR20040093162 A KR 20040093162A KR 100594436 B1 KR100594436 B1 KR 100594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mode system
mobile communication
roaming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3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4562A (ko
Inventor
오대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3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4436B1/ko
Priority to CNB2005100693538A priority patent/CN100364351C/zh
Publication of KR20060054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4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7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a plurality of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s, e.g. multi-call or multi-bearer end-to-end data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이중모드(DBDM : Dual Band Dual Mode) 이동통신단말기의 접속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가지 방식의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이중모드 이동통신단말기의 접속시간 및 로밍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중모드 이동통신단말기의 접속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원발명은 서로 다른방식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주 모드시스템 및 부 모드 시템을 가지는 이중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모드 시스템을 모두 구동시키고 초기화하는 시스템초기화단계와, 상기 주 모드 시스템으로의 RF경로를 스위칭한 후 이동통신시스템과의 접속을 시도하여 접속되는 경우 부 모드 시스템을 오프하는 주 모드 시스템접속단계와, 상기 주 모드시스템접속단계에서 접속에 실패한 경우, 상기 부 모드시스템으로 RF경로를 스위칭한 후 부 모드 시스템에 의한 이동통신시스템과의 접속을 시도하여 접속되는 경우 상기 주 모드시스템을 오프하고, 접속에 실패한 경우 상기 주 모드 시스템 접속단계부터 반복 수행하도록 하는 부 모드 시스템 접속단계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중모드, 이동통신단말기, 주 모드 시스템, 부 모드 시스템, 부팅, 로밍

Description

이중모드 이동통신단말기의 접속제어 방법{A mode connection method of the dual band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1과 도2는 이중모드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구성도이고,
도3은, 본원발명에 따르는 이중모드 이동통신단말기의 접속제어 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4는, 도3의 이중모드 이동통신단말기의 접속 제업 방법 중 로밍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11 : 제1RF경로 2 : 제1모뎀
3, 12 : 제2RF경로 4 : 제2모뎀
13 : 통합모뎀 5, 15 : RF스위치
6, 14 : 사용자인터페이스
본원발명은 이중모드(DBDM : Dual Band Dual Mode) 이동통신단말기의 접속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가지 방식의 이동통신서비스를 제 공받을 수 있는 이중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초기 부팅시간을 단축하고, 서로 다른 이동통신시스템으로의 로밍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중모드 이동통신단말기의 접속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IMT-2000을 구현하기 위한 방식으로 동기식인 CDMA2000 방식과 비동기식인 WCDMA 방식이 있는데, 이중 국내에서 상기 동기식인 CDMA2000 망이 이미 구축되어 있으며, 향후 비동기식인 WCDMA 망도 구축될 것이다.
상기 CDMA2000 망은 전국을 서비스하므로 커버리지가 넓고, EV(Evolution)-DO(Data Only) 방식을 적용하면 최대 전송속도가 전방향(forward direction)인 경우 2.4Mbps의 높은 전송율을 나타내지만 무선 환경에 따라 전송률의 변화폭이 커 화상전화와 같은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을 보장해야 하는 서비스에는 적합하지 않다. 반면에 WCDMA는 상용화 초기에는 투자비용 과다로 전국망 서비스를 하기에는 힘들지만 회선(Circuit) 모드 방식이 지원되어 화상전화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에 적합하다.
따라서, IMT-2000 초기에는 두 개의 망이 공존하게 되어 이동통신단말기는 이동통신서비스 방식에 따라 두 개 이상의 모뎀칩을 구비하게 된다. 이를 이중모드 이동통신단말기라 하며, 도1에는 두 개의 모뎀칩을 구비한 이중모드 이동통신 단말기가, 도2에는 두 개의 모뎀이 한 개의 모뎀칩으로 통합된 형태의 이중모드 이동통신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중모드 단말기는 두 개의 제1 모뎀칩(2) 및 제 2 모뎀칩(4)을 구비하거나 하나로 통합된 하나의 모뎀칩(13)을 구비 하는 경우에도 RF신호처리를 위한 회로의 구성은 내부적으로 제1RF경로(1,11))와 제2RF경로(2,12)로 분리되어 각각의 경로(path)를 갖게 된다. 그리고 도면부호 6 , 14는 LCD, 송수화기, 키패드 등이 구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이중모드 이동통신단말기는 전원이 인가되면, 우선 선호되는 모드(예:WCDMA 등)의 시스템으로 RF스위치(5,15)가 스위칭된 후에 서호되는 모드의 시스템 프로세서의 부팅 작업을 수행한 후 EEPROM에 저장된 NAM파라미터를 RAM으로 로딩하여 NAM파라미터의 시스템 선호 정보, 주(primary)주파수 채널, 부(secondary) 주파수 채널 등의 정보를 획득하는 초기화절차를 수행한다. 그리고, 기지국과의 초기동기를 수행하는 초기동기획득절차를 수행하여 해당 모드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초기화 및 초기동기획득절차에서 선호되는 서비스 모드(예, WCDMA)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네트워크가 최적화되지 않았거나, 기지국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이유 등에 의해 상술한 초기동기획득절차에서 이동통신시스템과의 접속에 실패하는 경우, 이중모드 이동통신단말기는 다른 모드(예:CDMA200 또는 CDMA 등)의 시스템을 구동한 후, 초기화 및 초기동기획득절차를 처음부터 다시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절차에 의해 특정 모드의 시스템이 이동통신시스템과 접속에 성공하면, 다른 모드의 시스템은 오프시킨 후 접속에 성공한 모드 시스템이 통화대기 상태 및 통화를 위한 액세스 절차등을 수행함으로써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즉, 이중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선호되는 주 모드의 시스템이 이동통신시 스템과의 초기동기획득에 실패하여 다른 모드(예, CDMA200 또는 CDMA)의 시스템으로 전환되기 까지는 선호되는 모드(예, WCDMA)의 시스템의 부팅 등의 초기화시간, 초기동기획득 시간과 초기동기 획득에 따라 부 모드(예, CDMA200 또는 CDMA)로의 전환을 위해 부 모드의 시스템을 구동한 후 초기화한 후, 초기동기획득 시간이 경과한 후에야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됨으로써 심각한 서비스 지연이 발생된다.
또한, 이종 간의 이동통신서비스 시스템의 경계지역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로밍 절차가 수행되는 경우, 접속되 모드의 시스템을 종료된 후 로밍 대상 모드 시스템의 부팅 및 초기화가 별도로 수행됨으로써 호 단절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중모드 이동통신단말기의 초기 부팅시 두 개의 모드를 동시에 구동시킨 상태에서, 하나의 모드의 이동통신서비스 시스템으로 접속을 우선 시도하고, 이에 실패한 경우 즉시 다른 모드의 이동통신서비스 시스템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통신서비스 시스템으로의 접속시간을 단축시키며, 서로 다른 모드의 이동통신서비스 시스템으로의 로밍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중모드 이동통신단말기의 모드 전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의 이중모드 이동통신단말기의 모드별 시스템의 접속제어 방법은, 서로 다른방식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주 모드시스템 및 부 모드 시템을 가지는 이중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주 모드 시스템 및 부 모드 시스템을 모두 구동시키고 초기화하는 시스템초기화단계와, 상기 시스템초기화단계 이후에 주 모드 시스템으로의 RF경로를 스위칭한 후 이동통신시스템과의 접속을 시도하여 접속되는 경우 부 모드 시스템을 오프하는 주 모드 시스템접속단계와, 상기 주 모드시스템접속단계에서 접속에 실패한 경우, 상기 부 모드시스템으로 RF경로를 스위칭한 후 부 모드 시스템에 의한 이동통신시스템과의 접속을 시도하여 접속되는 경우 상기 주 모드시스템을 오프하고, 접속에 실패한 경우 상기 주 모드 시스템 접속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부 모드 시스템 접속단계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 모드 시스템과 상기 부 모드 시스템은, 동기식과 비동기식 방식의 통신 신호처리를 각각이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상기 주 모드 시스템과 상기 부 모드 시스템은, 또한, 각각 코드분할다중접속 및 시분할다중접속 방식의 통신 신호처리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원발명에서 상기 주 모드 시스템접속단계 또는 상기 부 모드 시스템접속단계는 상기 주 모드 시스템의 오프 후 또는 상기 부 모드 시스템의 오프 후에, 상기 로밍이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제1로밍판단단계와, 상기 로밍이 필요한 경우 로밍 대상 모드 시스템을 구동하여 초기화하는 로밍 대상 모드 시스템 초기화단계와, 상기 로밍 대상 모드 시스템의 RF경로로 스위칭하는 RF경로스위칭단계와, 상 기 로밍 대상 모드 시스템에 의한 이동통신시스템과의 접속을 시도하고, 접속에 실패한 경우, RF경로스위칭을 수행하여 이전의 모드 시스템으로 전환하고, 접속에 성공한 경우 이전의 시스템을 오프하는 로밍수행단계로 이루어지는 로밍제어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의 처리과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원발명의 이중모드 이동통신단말기의 모드별 시스템의 접속제어 방법의 전체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3의 순서도에서 주 모드 시스템은 도1에서는 제1모뎀(2)에 대응되며, 부 모드 시스템은 제2모뎀(4)에 대응된다. 도2에서는 주 모드 시스템 및 부 모드 시스템은 통합모뎀(13)의 내부에 통합구성된다.
도1 및 도2를 참좌여 도3의 처리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은 시스템초기화단계(S100)와, 주 모드 RF경로스위칭단계(S110)와, 주 모드시스템접속시도단계(S120)와, 접속이 성공했는 지를 판단하는 접속성공 판단단계(S130)와, 상기 접속성공 판단단계(S130)에서 접속에 성공한 경우 부 모드시스템을 오프하고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주 모드 시스템 통신 서비스 제공단계(S140)와, 상기 접속성공 판단단계(S130)에서 접속에 실패한 경우 부 모드 시스템으로 RF경로를 전환하도록 RF경로를 스위칭하는 RF경로스위칭단계(S150)와, 부 모드시스템에 의한 이동통신시스템에 접속하는 부 모드시스템접속시도단계(S160)와, 부 모드시템에 의한 접속이 성공되었는 지를 판단하여 접속에 실패한 경우 상기 S110단계의 RF경로스위칭단계부터 반복 수행하도록 하는 부 모드 시스템 접속 성공 판단단계(S170)와, 상기 부 모드 시스템 접속 성공 판단단계 (S170)의 판단결과 접속에 성공한 경우 주 모드 시스템을 오프하고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부 모드 시스템 통신 서비스 제공단계(S180)를 순차적을 수행한다.
상술한 절차에서 시스템초기화단계(S100)는 본원발명의 시스템초기화단계에 대응된다.
그리고, 주 모드 RF경로스위칭단계(S110)와, 주 모드시스템접속시도단계(S120)와, 접속성공 판단단계(S130)와, 주 모드 시스템 통신 서비스 제공단계(S140)는 본원발명의 주 모드 시스템 접속단계에 대응된다.
그리고, RF경로스위칭단계(S150)와, 부 모드시스템접속시도단계(S160)와, 부 모드 시스템 접속 성공 판단단계(S170)와, 부 모드 시스템 통신 서비스 제공단계(S180)는 본원발명의 부 모드 시스템 접속단계에 대응된다.
상술한 시스템초기화단계(S120)는 주 모드 시스템과 부 모드 시스템이 구비된 이중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두 개의 모드 시스템을 모두구동한 후 시스템을 초기화한다. 여기서, 주 모드 및 부 모드 시스템은, WCDMA, GSM, CDMA200, CDMA 등의 통신 방식에 대한 신호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선택적을 지정된다. 즉, 주 모드 시스템을 WCDMA로 지정하고, 부 모드 시스템을 CDMA로 지정하거나 이와는 반대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주 모드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또는 이동통신단말기 제조자에 의해 먼저 호처리 절차를 수행하여 해당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되도록 설정된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신호처리를 위한 모뎀을 말한다. 상술한 주 모드 및 부 모드 시스템의 초기화는 각각의 시스템에 대한 부팅을 수행하며, EEPROM 등의 저장부에 저장된 이동통신단말기의 NAM파라미터 등의 식별 자를 RAM으로 옮긴 후 해당 소프트웨어 블록을 수행시킴으로서 이동통신시스템과 접속할 수 있는 상태로 시스템을 구동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상술한 시스템초기화단계(S100) 이후에 수행되는 주 모드 RF경로스위칭단계(S110)에서는 주 모드 시스템에 의한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도1 또는 도2의 RF스위치(5,15)가 제1RF경로(1,11)로 스위칭된다. 주 모드 RF경로스위칭은 이중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최초 구동시 동작되도록 설정된다.
상술한 주 모드 RF경로 스위치단계(S110)이후에 수행되는 주 모드시스템접속시도단계(S120)에서는 CDMA, CDMA200, WCDMA 등 각각의 통신 방식에서 정해진 절차에 따라 이동통신시스템과의 접속을 시도한다.
상술한 주 모드시스템접속시도단계(S120) 이후에는 접속이 성공했는 지를 판단하는 주 모드 시스템 접속성공판단단계(S13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주 모드 시스템 접속성공판단단계(S130)에서 주 모드 시스템이 성공적으로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과 접속되면, 주 모드 시스템 통신 서비스 제공단계(S140)를 수행한다. 주 모드 시스템 통신 서비스 제공 단계(S140)에서는 전원을 차단하여 부 모드 시스템을 오프하고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 왈쉬코드의 수신, 채널할당, 주파수할당 등 각각의 이동통신방식에 따른 접속 절차에 의해 통신서비스를 제공받게 되며, 이후 부 모드시스템으로의 로밍이 필요한 경우는 로밍제어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주 모드 시스템 접속성공판단단계(S130)에서 주 모드 시스템이 해당 이동통신시스템과의 접속이 실패하게 되면, RF경로스위칭단계(S150)를 수행하게 된 다. RF경로스위칭단계(S150)는 부 모드시스템에 의해 RF신호가 송수신될 수 있도록 RF스위치(5,15)를 스위칭하는 것을 말한다.
다음으로 S150단계에 의해 RF경로가 부 모드 시스템으로 스위칭되면, 부 모드 시스템 또한, 상술한 S120단계의 주 모드 시스템 접속시도 단계와 같이 해당 이동통신시스템과의 접속을 시도하는 부 모드시스템접속시도단계(S160)가 수행되며, 이 후 상술한 S130단계에서와 같이 부 모드시스템이 해당 이동통신시스템과 접속이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부 모드 시스템 접속 성공 판단단계(S170)를 수행하여 판단결과 접속에 성공한 경우 주 모드 시스템을 오프하고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부 모드 시스템 통신 서비스 제공단계(S180)를 순차적을 수행한다.
상술한 부 모드 시스템 통신서비스 제공단계(S180) 또한, 상술한 주 모드 시스템 통신 서비스 제공단계(S140)와 같이 부 모드 시스템이 해당 이동통신시스템을 통한 통신을 수행하게 되며, 이 후 주 모드 시스템으로의 로밍이 필요한 경우 로밍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도4는, 도3의 처리과정 중 주 모드 시스템 통신서비스 제공단계(S140)와 부 모드 시스템 통신서비스 제공단계(S180)에서의 로밍을 위한 로밍제어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중모드 이동통신단말기는 주 모드 시스템 서비스 지역에서 부 모드 시스템 서비스 지역으로 이동하거나, 그 반대의 경우 각각에서 서로 반대 되는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로밍을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로밍과정을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중모드 이동통신단말기는 기지국의 제어명령에 의하거나, 이동통신단말기 자체의 판단에 의해 로밍이 필요한 지를 판단하는 제1로밍판단단계(S210)를 수행하여 상기 S210단계의 판단 결과 로밍이 필요하면 로밍 대상 모드 시스템을 구동시킨 후 상기 S100의 시스템초기화단계와 동일하게 로밍 대상 모드 시스템에 대한 초기화를 수행하는 로밍 대상 모드 시스템 초기화단계를 수행한다(S220).
상기 S220단계의 시스템초기화 단계가 완료되면, RF스위치(5,15)를 스위칭하여 현재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모드의 시스템으로부터 로밍 대상 모드 시스템으로 RF경로를 변환하는 RF경로 스위칭을 수행하는 RF경로스위칭단계(S230)를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현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이전 모드 시스템은 오프되지 않고 휴지상태(idle state)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S230단계에 의해 RF경로가 로밍 대상 모드 시스템으로 전환된 후에는, 로밍 대상 모드 시스템이 주 모드 시스템이면 도3의 주 모드 시스템 접속단계(S120)와 동일한 절차에 의한 로밍을 시도하고, 부 모드 시스템이면 도3의 부 모드 시스템 접속단계(S160)와 동일한 절차에 의한 로밍을 시도하는 시스템 로밍시도단계(S230)를 수행한다.
상술한 시스템로밍시도단계(S230) 이후에는 로밍성공판단단계(S240)에서 로밍에 성공했는 지를 판단하여, 로밍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통신서비스를 수행하던 모드의 시스템을 오프시키고, 로밍에 성공한 로밍 대상 모드 시스템을 통해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로밍절차를 종료한다.
이와 달리, 상술한 접속성공판단단계(S240)에서 접속에 실패한 경우에는 로 밍이 필요한지를 다시판단하는 제2로밍판단단계(S260)을 수행한다.
제2로밍판단단계(S260)의 판단결과, 로밍이 필요한 경우에는 S230단계부터 처리과정을 반복수행한다.
상술한 제2로밍판단단계(S260)의 판단결과, 로밍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RF경로스위칭(S270)을 수행하여 이전의 시스템으로 RF경로를 전환하고 로밍 대상 모드 시스템은 오프(S280)하여 이전의 모드 시스템에 의한 통신을 계속 수행한다.
상술한 S230 내지 S270단계를 로밍수행 단계라 한다.
상술한 본원발명의 이중모드 이동통신단말기의 접속제어 방법은 초기에 주 모드 및 부 모드 시스템을 동시에 초기화 시킴으로서, 주 모드 시스템의 접속이 실패한 경우 곧바로 부 모드 시스템에 의해 접속을 시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로밍과정에서도, 로밍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로밍 대상 모드의 시스템과 현재 통신을 수행하는 모드의 시스템이 모두 구동되어 초기화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수행되므로, RF스위치의 스위칭하는 것만으로도 신속하게 로밍 대상 모드의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로밍을 수행하거나, 로밍이 실패된 경우 이전 통신을 수행하던 모드의 시스템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의 본원발명의 이중모드 이동통신단말기의 접속제어 방법은 초기에 주 모드 및 부 모드 시스템을 동시에 초기화 시킴으로서, 주 모드 시스템의 접속이 실패한 경우 곧바로 부 모드 시스템에 의해 접속을 시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 모드 시스템이 접속에 실패하는 경우, 부 모드 시스템의 부팅시간, 초기화시간의 경과 없이 곧바로 부 모드 시스템으로 접속을 시도하게 함으로써, 이중모드 이동통신단말기의 접속시간을 현저히 단축하여, 초기 서비스 지연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술한 본원발명은 로밍과정에서도, 로밍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로밍 대상 모드의 시스템과 현재 통신을 수행하는 모드의 시스템이 모두 구동되어 초기화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수행되므로, RF스위치의 스위칭하는 것만으로도 신속하게 로밍 대상 모드의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로밍을 수행하거나, 로밍이 실패된 경우 이전 통신을 수행하던 모드의 시스템으로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초기 로밍 수행시 로밍 대상 모드 시스템으로 전환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으며, 로밍에 실패한 경우에도 본래의 시스템으로 돌아가는 시간을 단축하여 시스템의 단벌시간을 최소로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서로 다른방식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주 모드 시스템 및 부 모드 시템을 가지는 이중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주 모드 시스템 및 부 모드 시스템을 모두 구동시키고 초기화하는 시스템초기화단계와,
    상기 시스템초기화단계 이후에 주 모드 시스템으로의 RF경로를 스위칭한 후 이동통신시스템과의 접속을 시도하여 접속되는 경우 부 모드 시스템을 오프하는 주 모드 시스템접속단계와,
    상기 주 모드시스템접속단계에서 접속에 실패시 상기 부 모드시스템으로 RF경로를 스위칭한 후 부 모드 시스템에 의한 이동통신시스템과의 접속을 시도하여 접속되는 경우 상기 주 모드시스템을 오프하고, 접속에 실패한 경우 상기 주 모드 시스템 접속단계부터 반복 수행하도록 하는 부 모드 시스템 접속단계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모드 이동통신단말기의 접속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모드 시스템과 상기 부 모드 시스템은, 동기식과 비동기식 방식의 통신 신호처리를 각각이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모드 이동통신단말기의 접속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모드 시스템과 상기 부 모드 시스템은, 각각 코드 분할다중접속 및 시분할다중접속 방식의 통신 신호처리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모드 이동통신단말기의 접속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모드 시스템접속단계 또는 상기 부 모드 시스템접속단계는 상기 주 모드 시스템의 오프 후 또는 상기 부 모드 시스템의 오프 후에,
    상기 로밍이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로밍판단단계와,
    상기 로밍이 필요한 경우 로밍 대상 모드 시스템을 구동하여 초기화하는 로밍 대상 모드 시스템 초기화단계와,
    상기 로밍 대상 모드 시스템의 RF경로로 스위칭하는 RF경로스위칭단계와,
    상기 로밍 대상 모드 시스템에 의한 이동통신시스템과의 접속을 시도하여 로밍을 시도하고, 로밍에 실패한 경우, RF경로스위칭을 수행하여 이전의 모드 시스템으로 전환하며, 로밍에 성공한 경우 이전의 시스템을 오프하는 로밍수행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 제어 방법.
KR1020040093162A 2004-11-15 2004-11-15 이중모드 이동통신단말기의 접속제어 방법 KR100594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162A KR100594436B1 (ko) 2004-11-15 2004-11-15 이중모드 이동통신단말기의 접속제어 방법
CNB2005100693538A CN100364351C (zh) 2004-11-15 2005-05-13 一种双模移动通信终端的连接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162A KR100594436B1 (ko) 2004-11-15 2004-11-15 이중모드 이동통신단말기의 접속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562A KR20060054562A (ko) 2006-05-23
KR100594436B1 true KR100594436B1 (ko) 2006-07-03

Family

ID=36766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3162A KR100594436B1 (ko) 2004-11-15 2004-11-15 이중모드 이동통신단말기의 접속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94436B1 (ko)
CN (1) CN10036435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749B1 (ko) * 2005-12-08 2007-08-08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뎀 구동방법
CN101090565B (zh) * 2006-06-13 2010-05-12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双模终端及双模终端中双模同时运行的方法
KR100765484B1 (ko) 2006-08-29 2007-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스탠바이 휴대 통신 단말의 시스템 접속 방법 및 장치
CN101068404B (zh) * 2006-09-26 2010-06-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双模移动终端中从模块的控制系统及方法
US8108002B2 (en) * 2008-03-21 2012-01-31 Mediatek Inc. Communication apparatuses equipped with more than one subscriber identity card and capable of providing reliable communication quality
US8204542B2 (en) 2008-03-21 2012-06-19 Mediatek Inc. Methods for processing apparatus originated communication request and communication apparatuses utilizing the same
TW200945865A (en) 2008-04-23 2009-11-01 Mediatek Inc Method for handling the equipment identity requests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tilizing the same
CN102026250B (zh) * 2010-12-14 2013-04-24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模基站及其故障容灾方法
US8718685B2 (en) * 2011-12-12 2014-05-06 Broadcom Corporation Enhanced multiple SIM page reception
KR102198103B1 (ko) * 2015-10-28 2021-01-0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8117B1 (en) * 2000-01-07 2002-08-20 Qualcomm Incorporated Base station synchronization for handover in a hybrid GSM/CDMA network
US7194263B2 (en) * 2001-09-17 2007-03-20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current operation of a wireless device in two disjoint wireless networks
JP4039932B2 (ja) * 2002-10-08 2008-01-30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CN1505413A (zh) * 2002-12-03 2004-06-16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双模移动台在cdma系统和gsm系统之间切换的方法
KR20040062037A (ko) * 2002-12-31 2004-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방식 전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562A (ko) 2006-05-23
CN1777306A (zh) 2006-05-24
CN100364351C (zh) 200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66107C2 (ru) Контроллер связи и способ для поддержания соединения связи во время повторного выбора сотовой ячейки
RU2499363C2 (ru) Способ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коммутационная станция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базовая радиостанция и мобильная станция
US20060073829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098634B2 (en) Method for performing a handover from a WCDMA system to a CDMA system in a multi-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0364351C (zh) 一种双模移动通信终端的连接控制方法
US7079841B2 (en) Apparatus for performing a handover between different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7916696B2 (en) Traffic handover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multi-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744580A1 (en) Dual-mod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handover of packet service call between different communication networks
US8345626B2 (en) Handover method for minimizing packet call reconnection delay time between different mobile communication schemes and multi-mode terminal for the same
US20020105913A1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20010030762A (ko) 대체 통신 시스템을 획득하는 방법
US8848652B2 (en) Method and multimode terminal for minimizing mute interval
TW200841752A (en) Efficient PLMn search order
KR20020068298A (ko) 이동 통신 시스템, 이동 터미널, 및 그것에 이용되는 송신다이버시티 적용방법
JP4316612B2 (ja) Mm−mb端末機のモデム間切替方法
KR100319122B1 (ko) 셀룰러시스템에서이동교환국간소프트핸드오프이후의위치등록방법
US8605636B2 (en) Method for acquiring handover network in multi-mode terminal and multi-mode terminal therefor
WO2002054798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oft handoff and other diversity communication using base stations supporting common radio configurations
KR100810293B1 (ko) 서로 다른 이동통신시스템들 사이의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WO2014085191A2 (en) Adaptive frequency list for pseudo-fast return in a communication system
JP2001359134A (ja) ハンドオーバー制御方法及び該制御方法を実施する移動局装置
JP2010098612A (ja) 移動無線端末および通信処理方法
JP2001103529A (ja) 通信端末装置及び送信局選択方法
KR20040035969A (ko) Wcdma 우선방식의 다중모드 단말기에서의 호 단절방지방법
JP2006109181A (ja) ソフトハンドオーバー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移動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