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4300B1 -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4300B1
KR100594300B1 KR1020040089694A KR20040089694A KR100594300B1 KR 100594300 B1 KR100594300 B1 KR 100594300B1 KR 1020040089694 A KR1020040089694 A KR 1020040089694A KR 20040089694 A KR20040089694 A KR 20040089694A KR 100594300 B1 KR100594300 B1 KR 100594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it
output
inversion
co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9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0853A (ko
Inventor
배천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9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4300B1/ko
Priority to US11/265,922 priority patent/US20060098731A1/en
Publication of KR20060040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0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H03M7/3002Conversion to or from differential modul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5/00Conversion of the form of the representation of individual digits
    • H03M5/02Conversion to or from representation by pulses
    • H03M5/04Conversion to or from representation by pulses the pulses having two lev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전송 방법이 제공된다.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공간적 유사성을 가지는 입력 비디오 데이터들 중 유효한 제1 데이터를 비트-인버젼 코딩하지 않고 출력 인코딩 정보로서 버스로 송신하며, 입력 비디오 데이터들 중 인접하는 데이터들의 차분 값에 근거하여 입력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출력 인코딩 데이터의 이전 데이터를 비트-인버젼 코딩하고 코딩 값을 출력 인코딩 정보로서 버스로 송신하는 송신부와, 버스를 통해 병렬로 전송되는 출력 인코딩 정보인 제1 데이터를 디코딩하지 않으며, 버스를 통해 병렬로 전송되는 출력 인코딩 정보를 차분 값에 근거하여 디코딩하는 수신부를 구비하며, 출력 인코딩 정보는 출력 인코딩 데이터 및 출력 인코딩 데이터의 이전 데이터의 비트-인버젼 코딩 여부를 지시하는 코딩 인에이블 정보를 포함한다.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전송 방법은 버스를 통해 전송되는 비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비트의 천이 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전력 소비 및 전자파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전송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video data transmission}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락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flow chart)이다.
도 3은 도 1의 송신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블락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도 3의 송신부에 적용되는 도 2의 송신 단계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세한 송신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표(table)이다.
도 6은 차분 값의 절대값에 따른 비트-인버젼 위치 코드(code)를 포함하는 테이블의 일례이다.
도 7은 도 3의 송신부 및 도 4의 송신 단계에 의해 생성되는 출력 인코딩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1의 수신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블락 다이어그램이다.
도 9는 도 8의 수신부에 적용되는 도 2의 수신 단계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상세한 수신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표이고, 도 5의 도표에 대응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송신부 400: 수신부
220: 비트-인버젼 위치 결정부 230: 비트-인버젼 코딩부
420: 차분 발생부 430: 가산부
본 발명은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디오 데이터의 공간적 유사성(spatial locality)을 이용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비디오 컨트롤러(video controller)와 같은 영상 처리부(image processing unit), 송신부(transmitting unit), 수신부(receiving unit), 송신부와 수신부를 연결하는 버스(bus), 및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panel)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일례가 미국 특허 공개 공보 제2003/0043141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영상 처리부는 영상 데이터(image data)(즉,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송신부에 포함된 레지스터(register)로 병렬로 전송한다. 송신부의 레지스터는 상기 처리된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고 버스를 통해 수신부의 레지스터로 송신한다. 상기 수신부의 레지스터는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고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한다.
상기 영상 처리부는 많은 연산(operation)을 수행하므로, 송신부, 버스, 및 수신부로 구성되는 인터페이스 장치(interface device)는 버스를 통해 많은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 따라서, 인터페이스 장치는 많은 전력을 소비(consumption)한다. 인터페이스 장치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코딩 방식들(coding schemes)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IEEE Transaction on VLSI Systems, Vol. 3, NO.1, 1995에 "Bus-Invert Coding for Low Power I/O"의 제목으로 발표된 코딩 방식이 있다. 그러나, 상기 코딩 방식은 공간적 유사성(spatial locality)과 같은 비디오 데이터의 특성이 고려되지 않았다.
또한, 많은 비디오 데이터가 버스를 통해 전송되므로, 버스에서 비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비트(bit)의 천이(transition)가 많이 발생하고 그 천이 속도도 증가한다. 따라서, 버스를 구성하는 비디오 데이터 라인들(lines) 상호간의 전자파 간섭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비디오 데이터의 특성을 이 용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공간적 유사성을 가지는 입력 비디오 데이터들 중 유효한 제1 데이터를 비트-인버젼 코딩하지 않고 출력 인코딩 정보로서 버스로 송신하며, 상기 입력 비디오 데이터들 중 인접하는 데이터들의 차분 값에 근거하여 상기 입력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출력 인코딩 데이터의 이전 데이터를 비트-인버젼 코딩하고 상기 코딩 값을 상기 출력 인코딩 정보로서 상기 버스로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버스를 통해 병렬로 전송되는 출력 인코딩 정보인 제1 데이터를 디코딩하지 않으며, 상기 버스를 통해 병렬로 전송되는 출력 인코딩 정보를 상기 차분 값에 근거하여 디코딩하는 수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출력 인코딩 정보는 상기 출력 인코딩 데이터 및 상기 출력 인코딩 데이터의 이전 데이터의 비트-인버젼 코딩 여부를 지시하는 코딩 인에이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 인코딩 데이터는 극성 변경 정보 및 비트-인버젼 코딩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극성 변경 정보는 상기 차분 값의 극성 변화가 있을 때 상기 출력 인코딩 데이터의 이전 데이터에 포함된 최상위 비트의 반전을 지시하고, 상기 비트-인버젼 코딩 정보는 상기 차분 값의 절대값에 따른 비트-인버젼 코딩이 발생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그리고, 상기 차분 값의 극성에 대한 디폴트 극성은 플러스로 설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송신부는 상기 입력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차분 값의 절대 값이 소정의 기준 값을 초과할 때 상기 입력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출력 인코딩 데이터의 이전 데이터를 비트-인버젼 코딩하지 않고 상기 입력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출력 인코딩 정보로서 상기 버스로 송신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버스를 통해 전송되는 비트-인버젼 코딩되지 않은 출력 인코딩 데이터를 디코딩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송신부는, 상기 입력 비디오 데이터 및 상기 입력 비디오 데이터의 이전 데이터와의 차분 값을 계산하여, 상기 코딩 인에이블 정보, 상기 극성 변경 정보, 및 상기 차분 값의 절대값에 따른 출력 인코딩 데이터의 이전 데이터의 비트-인버젼 위치를 지시하는 비트-인버젼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비트-인버젼 위치 결정부; 상기 극성 변경 정보 및 상기 비트-인버젼 위치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입력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출력 인코딩 데이터의 이전 데이터를 비트-인버젼 코딩하고, 상기 코딩 값을 인코딩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비트-인버젼 코딩부; 및 상기 코딩 인에이블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인코딩 데이터 및 상기 입력 비디오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출력 인코딩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송신 멀티플렉서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트-인버젼 위치 정보는 상기 차분 값의 절대값에 따른 비트-인버젼 위치 코드를 포함하는 테이블로부터 출력되고, 상기 테이블에 포함된 비트-인버젼 위치 코드의 해밍 거리는 3 이하이며, 상기 3 이하의 해밍 거리는 상기 기준 값이 63으로 설정될 때의 거리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신부는 상기 출력 인코딩 데이터와 상기 출력 인코딩 데이터의 이전 데이터를 배타적 논리합하여 비트-인버젼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검출된 비트-인버젼 위치에 대응되는 차분 값의 절대값을 발생하며, 상기 출력 인코딩 데이터의 이전 데이터에 포함된 최상위 비트에 대한 상기 출력 인코딩 데이터의 최상위 비트의 변화를 근거로 하여 상기 차분 값의 극성을 결정하는 차분 발생부; 상기 출력 인코딩 데이터에 대응하는 출력 디코딩 데이터의 이전 데이터에 상기 차분 값을 가산하여 디코딩 데이터를 출력하는 가산부; 및 상기 코딩 인에이블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디코딩 데이터 및 상기 출력 인코딩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출력 디코딩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수신 멀티플렉서를 구비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방법은, (a) 공간적 유사성을 가지는 입력 비디오 데이터들 중 유효한 제1 데이터를 비트-인버젼 코딩하지 않고 출력 인코딩 정보로서 송신하며, 상기 입력 비디오 데이터들 중 인접하는 데이터들의 차분 값에 근거하여 상기 입력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출력 인코딩 데이터의 이전 데이터를 비트-인버젼 코딩하고 상기 코딩 값을 상기 출력 인코딩 정보로서 송신하는 단계; (b) 버스를 통해 상기 송신된 출력 인코딩 정보를 병렬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버스를 통해 전송되는 출력 인코딩 정보인 제1 데이터를 디코딩하지 않고 수신하며, 상기 버스를 통해 전송되는 출력 인코딩 정보를 상기 차분 값에 따라 디코딩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출력 인코딩 정보는 상기 출력 인코딩 데이터 및 상기 출력 인코딩 데이터의 이전 데이터의 비트-인버젼 코딩 여부를 지시하는 코딩 인에이블 정보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전송 방법은 공간적 데이터 유사성을 가지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인접하는 데이터들의 차분 값에 따라 해밍 거리(Hamming distance)가 작아지도록 비트-인버젼 코딩하여 버스로 전송한다. 그 결과, 버스를 통해 전송되는 비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비트의 천이 수(transition number)가 감소하므로, 전력 소비 및 전자파 간섭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락 다이어그램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시스템(100)은 송신부(200), 버스(300), 및 수신부(400)를 구비한다.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IN)는 비디오 컨트롤러와 같은 영상 처리부(미도시)에 의해 송신부(200)에 연속적으로 입력된다.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IN)들은 하나의 영상(또는 프레임(frame))의 배경(background)을 구성하는 데이터들이고,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IN)들 중 인접하는 데이터들 상호간의 차분 값(difference value)은 상대적으로 작다. 이를 비디오 데이터의 공간적 유사성(spatial locality)이라 한다.
송신부(200)는 공간적 유사성을 가지는 입력 비디오 데이터(IN)들 중 유효한(valid) 제1 데이터(즉, 첫 번째 데이터)를 비트-인버젼 코딩(bit-inversion coding)하지 않고 출력 인코딩 정보(OUT_E, CEN)로서 버스(300)로 송신하며, 입력 비디오 데이터(IN)들 중 인접하는 데이터들의 차분 값에 근거하여 입력 비디오 데이터(IN)에 대응하는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의 이전 데이터를 비트-인버젼 코딩하고 상기 코딩 값을 출력 인코딩 정보(OUT_E, CEN)로서 버스(300)로 송신한다.
출력 인코딩 정보(OUT_E, CEN)는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 및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의 이전 데이터의 비트-인버젼 코딩 여부를 지시하는 코딩 인에이블 정보(coding enable information)(CEN)를 포함한다.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는 극성 변경 정보 및 비트-인버젼 코딩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극성 변경 정보(polarity change information)는 상기 차분 값의 극성 변화가 있을 때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의 이전 데이터에 포함된 최상위 비트(Most Significant Bit)의 반전(inversion)을 지시하고, 상기 비트-인버젼 코딩 정보는 인접하는 데이터들의 차분 값의 절대값에 따른 비트-인버젼 코딩이 발생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수신부(400)는 버스(300)를 통해 병렬로 전송되는 출력 인코딩 정보(OUT_E, CEN)인 제1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지 않고 상기 제1 데이터와 동일한 값을 가지는 출력 디코딩 데이터(OUT_D)로서 출력하며, 버스(300)를 통해 병렬로 전송되는 출력 인코딩 정보(OUT_E, CEN)를 상기 차분 값에 근거하여 디코딩하여 입력 비디오 데이터(IN)와 동일한 값을 가지는 출력 디코딩 데이터(OUT_D)를 출력한다. 출력 디코딩 데이터(OUT_D)는 LCD 패널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로 전송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flow chart)이다.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방법은 도 1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방법이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송신 단계(S110)에 따르면, 공간적 유사성을 가지는 입력 비디오 데이터(IN)들 중 유효한 제1 데이터를 비트-인버젼 코딩하지 않고 출력 인코딩 정보(OUT_E, CEN)로서 송신하며, 입력 비디오 데이터(IN)들 중 인접하는 데이터들의 차분 값에 근거하여 입력 비디오 데이터(IN)에 대응하는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의 이전 데이터를 비트-인버젼 코딩하고 상기 코딩 값을 출력 인코딩 정보(OUT_E, CEN)로서 송신한다.
출력 인코딩 정보(OUT_E, CEN)는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 및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의 이전 데이터의 비트-인버젼 코딩 여부를 지시하는 코딩 인에이블 정보(CEN)를 포함한다.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는 극성 변경 정보 및 비트-인버젼 코딩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극성 변경 정보는 상기 차분 값의 극성 변화가 있을 때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의 이전 데이터에 포함된 최상위 비트의 반전을 지시하고, 상기 비트-인버젼 코딩 정보는 인접하는 데이터들의 차분 값의 절대값에 따른 비트-인버젼 코딩이 발생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송신 단계(S110)는 후술하는 도 4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전송 단계(S120)에 따르면, 버스(200)를 통해 상기 송신된 출력 인코딩 정보(OUT_E, CEN)가 병렬로 전송된다.
수신 단계(S130)에 따르면, 버스(200)를 통해 전송되는 출력 인코딩 정보(OUT_E, CEN)인 제1 데이터를 디코딩하지 않고 수신하며, 버스(200)를 통해 전송되는 출력 인코딩 정보(OUT_E, CEN)를 상기 차분 값에 따라 디코딩하여 수신한다. 수신 단계(S130)는 후술하는 도 9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3은 도 1의 송신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블락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송신부(200)는 입력 레지스터(input register)(210), 비트-인버젼 위치 결정부(bit-inversion position decision unit)(220), 비트-인버젼 코딩부(bit-inversion coding unit)(230), 송신 멀티플렉서(transmitting multiplexer)(MUX_T, 240), 및 송신 레지스터(transmitting register)(250)를 구비한다.
입력 레지스터(210)는 클락 신호(CK)의 소정의 사이클(cycle)에 응답하여 저장된 이전(previous) 입력 비디오 데이터(IN_P)를 현재(current) 입력 비디오 데이터(IN)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현재 입력 데이터(IN)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현 재 입력 데이터(IN)는 8 비트 데이터일 수 있다.
비트-인버젼 위치 결정부(220)는 현재 입력 데이터(IN)와 현재 입력 데이터(IN)의 이전 데이터(IN_P)와의 차분 값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차분 값을 근거로 하여 코딩 인에이블 정보(CEN), 극성 변경 정보(SIGN), 및 비트-인버젼 위치 정보(bit-inversion position information)(BIP)를 출력한다. 코딩 인에이블 정보(CEN)는 MUX_T(240)의 제어 단자 및 버스(도 1의 300)로 전송된다.
코딩 인에이블 정보(CEN)는 1 비트의 값을 가진다. 상기 차분 값의 절대값이 소정의 기준 값 보다 작을 때 코딩 인에이블 정보(CEN)는 "1(논리 하이 상태(logic high state))"가 되고 현재 입력 데이터(IN)가 유효한 제1 데이터이거나 또는 상기 차분 값의 절대값이 상기 기준 값 보다 클 때 "0(논리 로우(low) 상태)"가 된다. "1"인 코딩 인에이블 정보(CEN)는 현재 입력 데이터(IN)에 대응하는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의 이전 데이터의 비트-인버젼 코딩을 지시하고, "0"인 코딩 인에이블 정보(CEN)는 현재 입력 데이터(IN)가 비트-인버젼 코딩부(230)에 의해 비트-인버젼 코딩되지 않고 그대로 바이패스(bypass)되는 것을 지시한다.
극성 변경 정보(SIGN)도 1 비트의 값을 가지며, 상기 차분 값의 극성 변화가 있을 때 현재 입력 데이터(IN)에 대응하는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의 이전 데이터에 포함된 최상위 비트(Most Significant Bit; MSB)의 반전(inversion)을 지시한다. 상기 차분 값의 극성에 대한 디폴트 극성(default polarity)은 플러스(plus)(+)로 설정된다.
비트-인버젼 위치 정보(BIP)는 다수의 비트 값을 가지며, 상기 차분 값의 절 대값에 따른 현재 입력 데이터(IN)에 대응하는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의 이전 데이터의 비트-인버젼 위치를 지시한다.
비트-인버젼 코딩부(230)는 극성 변경 정보(SIGN) 및 비트-인버젼 위치 정보(BIP)를 근거로 하여 현재 입력 데이터(IN)에 대응하는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의 이전 데이터를 비트-인버젼 코딩하여 인코딩 데이터(IN_E)를 출력한다. 비트-인버젼 코딩부(230)는 RDBI 코딩부(Relative Difference Bit-Inversion coding unit)라고도 한다.
MUX_T(240)는 코딩 인에이블 정보(CEN)에 응답하여 현재 입력 데이터(IN)와 인코딩 데이터(IN_E)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값을 현재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C)로서 출력한다. 코딩 인에이블 정보(CEN)가 "1"인 경우 인코딩 데이터(IN_E)가 선택되고, 코딩 인에이블 정보(CEN)가 "0"인 경우 현재 입력 데이터(IN)가 선택된다.
송신 레지스터(250)는 클락 신호(CK)의 소정의 사이클에 응답하여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를 현재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C)로서 변환하고 현재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C)를 저장된다. 저장된 현재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C)는 버스(도 1의 300) 및 비트-인버젼 코딩부(230)로 전송된다.
도 4는 도 3의 송신부에 적용되는 도 2의 송신 단계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세한 송신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표(table)이다.
도 4에 도시된 상세한 송신 단계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 명된다.
수신 단계(S205)에 따르면, 입력 레지스터(210), 비트-인버젼 위치 결정부(220), 및 MUX_T(240)는 현재 입력 데이터(IN)를 수신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현재 입력 데이터(IN)가 각각 8 비트 데이터인 제1 내지 제9 데이터(D1 ~ D9)의 순서로 연속적으로 수신된다. 예를 들어, 제1 데이터는 D1(124) = 0111_1100이고 상기 괄호 안의 124는 이진수 0111_1100에 대응하는 십진수이다.
제1 확인 단계(S210)에 따르면, 비트-인버젼 위치 결정부(220)는 수신된 현재 입력 데이터(IN)가 유효한 제1 데이터(D1)인 지 여부를 확인한다. 현재 입력 데이터(IN)가 유효한 제1 데이터(D1)일 때 제1 코딩 정보 출력 단계(S215)로 진행되고, 현재 입력 데이터(IN)가 제1 데이터(D1)가 아닐 때(즉, 현재 입력 데이터(IN)가 제2 데이터 내지 제9 데이터(D2 ~ D9)일 때) 계산 단계(S220)로 진행된다.
제1 코딩 정보 출력 단계(S215)에 따르면, 비트-인버젼 위치 결정부(220)가 "0"인 코딩 인에이블 정보(CEN)를 출력한다.
제1 출력 단계(S220)에 따르면, MUX_T(240)는 "0"인 코딩 인에이블 정보(CEN)에 응답하여 현재 입력 데이터(IN)를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로서 출력한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제1 데이터(D1)는 비트-인버젼 코딩되지 않고 제1 인코딩 데이터(O1)(즉,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로서 출력된다.
계산 단계(S225)에 따르면, 비트-인버젼 위치 결정부(220)는 현재 입력 데이터(IN)와 입력 레지스터(210)에 저장된 이전 입력 데이터(IN_P)와의 차분 값을 계산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현재 입력 데이터(IN)가 제2 데이터(D2(128))이고 이전 입력 데이터(IN_P)가 제1 데이터(D1(124))일 때, 차분 값은 +4가 된다. 나머지 입력 데이터들(D3 ~ D9)에 대한 차분 값 계산 과정도 제2 데이터(D2)에 대한 차분 값의 계산 과정과 동일하다.
제2 확인 단계(S230)에 따르면, 비트-인버젼 위치 결정부(220)는 계산 단계(S225)에서 계산된 차분 값의 절대값이 기준 값을 초과하는 지 여부를 확인한다. 일반적으로, 공간적 유사성을 가지는 8 비트 입력 데이터(IN)들 중 인접하는 데이터들의 차분 값의 절대값은 대부분 64 보다 작은 영역에 분포하므로, 상기 기준 값은 63으로 설정될 수 있다. 기준 값이 63으로 설정될 때, 인접하는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들의 해밍 거리(Hamming distance)는 3 이하가 된다.
차분 값의 절대값이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1 코딩 정보 출력 단계(S215) 및 제1 출력 단계(S220)로 진행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7 데이터(D7(51))가 0011_0011이고 제6 데이터(D6(126))가 0111_1110이므로, 차분 값의 절대값은 75가 되어 63인 기준 값을 초과하므로 코딩 인에이블 정보(CEN)가 "0"이 되어 비트-인버젼 코딩되지 않고 그대로 제7 인코딩 데이터(O7)로서 출력된다.
차분 값의 절대값이 기준 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제2 코딩 정보 출력 단계(S235)로 진행된다. 제2 코딩 정보 출력 단계(S235)에 따르면, 비트-인버젼 위치 결정부(220)는, 상기 차분 값을 근거로 하여, 비트-인버젼 위치 정보(BIP), 극성 변경 정보(SIGN), 및 코딩 인에이블 정보(CEN)를 출력한다.
상기 차분 값의 절대값에 따른 비트-인버젼 위치 정보(BIP)는 도 6의 테이블(table)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도 6은 차분 값의 절대값에 따른 비트-인버젼 위치 코드(code)를 포함하는 테이블의 일례이다. 일례로서 도시된 도 6의 테이블에 포함된 비트-인버젼 위치 코드들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도 6의 테이블에 있어서, 차분 값의 절대값이 0인 경우 해밍 거리가 0 인 비트-인버젼 위치 코드가 배치되고 차분 값의 절대값이 1 이상이고 7이하인 경우 해밍 거리가 1인 비트-인버젼 위치 코드들이 배치되며, 차분 값의 절대값이 8이상이고 28이하인 경우 해밍 거리가 2인 비트-인버젼 위치 코드들이 배치되고 차분 값이 29이상이고 63인 이하인 경우 해밍 거리가 3인 비트-인버젼 위치 코드가 배치된다. 상기 비트-인버젼 위치 코드에서 "0"은 비트-인버젼 코딩이 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1"은 비트-인버젼 코딩이 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현재 입력 데이터(IN)가 제2 데이터(D2)일 때의 비트-인버젼 위치 정보(BIP), 극성 변경 정보(SIGN), 및 코딩 인에이블 정보(CEN)가 출력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데이터(D2)에 대한 차분 값의 절대값은 4이다. 4 인 차분 값의 절대값에 대응하는 비트-인버젼 위치 코드는 도 6의 테이블을 참조하면 000_1000이다. 따라서, 제1 데이터(D1)에 대응하는 제1 인코딩 데이터(O1)의 비트-인버젼 위치는 제1 인코딩 데이터(O1)의 제4 비트이다. 그리고, 제2 데이터(D2)에 대한 극성 변경 정보(SIGN)는 차분 값의 극성이 변경되지 않았으므로, 제1 인코딩 데이터(O1)의 최상위 비트인 제8 비트의 반전을 지시하지 않는다. 즉, 제1 인코딩 데이터(O1)의 최상위 비트인 제8 비트는 그대로 유지된다. 그리고, 코딩 인에이블 정보(CEN)는 제1 데이터(D1)가 아니고 차분 값의 절대값이 기준 값 보다 작으므로 비트-인버젼 코딩을 지시하 는 "1"이 된다.
나머지 입력 데이터들(D3 ~ D6, D8, D9)의 코딩 정보들(BIP, SIGN, CEN)도 제2 데이터(D2)에 대한 비트-인버젼 위치 정보(BIP), 극성 변경 정보(SIGN), 및 코딩 인에이블 정보(CEN)가 출력되는 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출력된다. 예를 들어, 제3 데이터(D3)에 대한 비트-인버젼 위치 정보(BIP)는 제2 인코딩 데이터(O2)의 제1 비트의 반전을 지시한다. 그리고, 제3 데이터(D3)에 대한 극성 변경 정보(SIGN)는 차분 값의 극성이 변경되었으므로, 제2 인코딩 데이터(O2)의 최상위 비트인 제8 비트의 반전을 지시한다. 그리고, 제3 데이터(D3)에 대한 코딩 인에이블 정보(CEN)는 제1 데이터(D1)가 아니고 차분 값의 절대값이 기준 값 보다 작으므로 "1"이 된다.
비트-인버젼 코딩 단계(S240)에 따르면, 비트-인버젼 코딩부(230)는 비트-인버젼 위치 정보(BIP) 및 극성 변경 정보(SIGN)에 근거하여 현재 입력 데이터(IN)에 대응하는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의 이전 데이터를 비트-인버젼 코딩하여 인코딩 데이터(IN_E)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여 현재 입력 데이터(IN)가 제2 데이터(D2)일 때 제2 데이터(D2)에 대응하는 제2 인코딩 데이터(O2)(즉, 0111_0100)의 생성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인코딩 데이터(O1)에 대한 비트-인버젼 위치 정보(BIP)는 제4 비트의 반전을 지시하므로, 제1 인코딩 데이터(O1)의 제4 비트가 반전된다. 그리고, 차분 값의 극성이 변경되지 않음을 지시하는 극성 변경 정보(SIGN)에 근거하여 제1 인코딩 데이터(O1)의 최상위 비트인 제8 비트는 반전되지 않고 그대로 유 지된다. 따라서, 제2 인코딩 데이터(O2)의 비트-인버젼 코드(BI code)(즉, 인코딩 데이터(IN_E))는 0111_0100 으로 생성된다. 나머지 인코딩 데이터들(O3 ~ O6, O8, O9)의 생성 과정도 제2 인코딩 데이터(O2)의 생성 과정과 동일하다.
제2 출력 단계(S245)에 따르면, MUX_T(240)는 "1"인 코딩 인에이블 정보에 응답하여 비트-인버젼 코딩 단계(S240)에서 인코딩된 데이터를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로서 출력한다.
도 3의 송신부 및 도 4의 상세한 송신 단계에 따라 9개의 입력 비디오 데이터들(D1 ~ D9)을 전송할 때의 비트의 천이 수(transition number)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9개의 입력 비디오 데이터(D1 ~ D9)를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송신부 및 도 4의 송신 단계에 따라 전송할 때의 비트의 천이 수는 16이 되고, 9개의 입력 비디오 데이터(D1 ~ D9)를 종래 기술에 따라 전송할 때의 비트의 천이 수는 26이 된다. 따라서, 비트의 천이 수가 약 38(%) 감소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전송 방법은 공간적 데이터 유사성을 가지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인접하는 데이터들의 차분 값에 따라 해밍 거리(Hamming distance)가 작아지도록 비트-인버젼 코딩하여 버스로 전송한다. 그 결과, 버스를 통해 전송되는 비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비트의 천이 수가 감소하므로, 전력 소비 및 전자파 간섭이 감소될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송신부 및 도 4의 송신 단계에 의해 생성되는 출력 인코딩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다. 즉, 도 7은 입력 비디오 데이터(IN)가 8 비트일 때의 출력 인코딩 정보(OUT_E, CEN)의 비트 구성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출력 인코딩 정보(OUT_E, CEN)의 제9 비트는 코딩 인에이블 정보(CEN)이고,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의 제8 비트는 극성 변경 정보(SIGN)를 포함하는 비트이고,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의 제1 내지 제7 비트(BIT1 ~ BIT7)는 인접하는 데이터들의 차분 값의 절대값에 따른 비트-인버젼 코딩이 발생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비트-인버젼 코딩 정보이다.
도 8은 도 1의 수신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블락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수신부(400)는 수신 레지스터(receiving register)(410), 차분 발생부(difference generating unit)(420), 가산부(adding unit)(430), 수신 멀티플렉서(receiving multiplexer)(MUX_R, 440), 및 출력 레지스터(output register)(450)를 구비한다.
수신 레지스터(410)는 클락 신호(CK)의 소정의 사이클(cycle)에 응답하여 버스(도 1의 300)를 통해 전송된 현재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를 수신하여 이전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P)를 현재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로 변환하고, 현재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를 저장한다.
차분 발생부(420)는 현재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와 수신 레지스터(410)에 저장된 이전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P)를 배타적 논리합(exclusive OR; XOR)하여 비트-인버젼 위치를 검출한다. 계속하여, 차분 발생부(420)는 도 6의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검출된 비트-인버젼 위치에 대응되는 차분 값(DIF)의 절대값을 발생한다. 또한, 차분 발생부(420)는 이전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P)의 최상위 비트에 대한 현재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의 최상위 비트의 변화를 근거로 하여 차분 값(DIF)의 극성을 결정한다. 즉, 상기 두 개의 최상위 비트들 상호간에 비트 변화가 있을 때(즉, "0"에서 "1"로 또는 "1"에서 "0"으로) 차분 값의 극성은 변화되고, 차분 값의 극성에 대한 디폴트 극성은 플러스(+)로 설정된다.
가산부(430)는 이전 출력 디코딩 데이터(OUT_D)에 차분 값(DIF)을 가산하여 디코딩 데이터(DC)를 출력한다.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가 8 비트 데이터일 때, 가산부(430)는 8 비트 가산기(adder)로 구현될 수 있다.
MUX_R(440)은 버스(도 1의 300)를 통해 전송된 코딩 인에이블 정보(CEN)에 응답하여 디코딩 데이터(DC)와 현재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 중 하나를 선택하여 현재 출력 디코딩 데이터(OUT_DC)로서 출력한다. 코딩 인에이블 정보(CEN)가 "1"인 경우 디코딩 데이터(DC)가 선택되고, 코딩 인에이블 정보(CEN)가 "0"인 경우 현재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가 선택된다.
출력 레지스터(450)는 클락 신호(CK)의 소정의 사이클에 응답하여 이전 출력 디코딩 데이터(OUT_D)를 현재 출력 디코딩 데이터(OUT_DC)로서 변환하고 현재 출력 디코딩 데이터(OUT_DC)를 저장한다.
도 9는 도 8의 수신부에 적용되는 도 2의 수신 단계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상세한 수신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표이고, 도 5의 도표에 대응한다. 도 9의 상세한 수신 단계가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수신 단계(S305)에 따르면, 수신 레지스터(410), 차분 발생부(420), 및 MUX_R(440)은 현재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를 수신한다. 또한, MUX_R(440)은 코 딩 인에이블 정보(CEN)를 수신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현재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와 그에 대응되는 코딩 인에이블 정보(CEN)가 제1 내지 제9 데이터들(D1 ~ D9)의 순서로 수신된다. 상기 제1 내지 제9 데이터들(D1 ~ D9)은 각각 8 비트 데이터이다.
확인 단계(S310)에 따르면, MUX_R(440)은 코딩 인에이블 정보(CEN)가 "1" 인 지 여부를 확인한다. 코딩 인에이블 정보(CEN)가 "1"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즉, 코딩 인에이블 정보(CEN)가 "0"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출력 단계(S315)로 진행된다. 코딩 인에이블 정보(CEN)가 "1"인 것으로 확인되면, 발생 단계(S320)로 진행된다.
제1 출력 단계(S315)에 따르면, MUX_R(440)은 "0"인 코딩 인에이블 정보(CEN)에 응답하여 현재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를 출력 디코딩 데이터(OUT_D)로서 출력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데이터(D1)는 전송되는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의 유효한 제1 데이터이고 제7 데이터(D7)는 그것의 차분 값(-75)의 절대 값이 기준 값인 63을 초과하므로 디코딩되지 않고(즉, 바이패스되어) 그대로 출력 디코딩 데이터(OUT_D)로서 출력된다.
발생 단계(S320)에 따르면, 차분 발생부(420)는 현재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와 수신 레지스터(410)에 저장된 이전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P)에 대해 배타적 논리합 연산(XOR operation)을 수행하여 비트-인버젼 위치(bit-inversion position)를 검출하고, 도 6의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검출된 비트-인버젼 위치에 대응되는 차분 값(DIF)의 절대값을 발생한다(또는 계산한다). 또한, 차분 발생부 (420)는 이전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P)의 최상위 비트에 대한 현재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의 최상위 비트의 변화를 근거로 하여 차분 값(DIF)의 극성을 결정한다.
도 10의 도표에서 현재 출력 인코딩 데이터(OUT_E)가 제2 데이터(D2)이라고 가정하고 그에 대한 차분 값(DIF)이 발생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 데이터(D2)와 제1 데이터(D1)의 XOR 값(D2 XOR D1)은 0000_1000 이고 도 6의 테이블에서 0000_1000에 대응되는 차분 값(DIF)의 절대값은 4이다. 계속하여, 제2 데이터(D2)의 최상위 비트(0) 및 제1 데이터(D1)의 최상위 비트(0)는 반전되지 않고 유지되므로, 차분 값(DIF)의 극성은 디폴트 값(default value)인 플러스(plus)가 되어 차분 값(DIF)은 최종적으로 +4가 된다. 나머지 데이터들(D3 ~ D6, D8, D9)에 대한 차분 값들의 발생 과정도 제2 데이터(D2)에 대한 차분 값의 발생 과정과 동일하다.
가산 단계(S325)에 따르면, 가산부(430)는 이전 출력 디코딩 데이터(OUT_D)에 발생 단계(S320)에서 발생된 차분 값(DIF)을 가산하여 디코딩 데이터(DC)를 출력한다.
제2 출력 단계(S330)에 따르면, MUX_R(440)은 "1"인 코딩 인에이블 정보(CEN)에 응답하여 디코딩 데이터(DC)를 출력 디코딩 데이터(OUT_D)로서 출력한다.
도 10의 도표에서 현재 인코딩 데이터(OUT_E)가 제2 데이터(D2)이라고 가정하고 그에 대한 출력 디코딩 데이터(OUT_D)의 제2 출력 값(O2)이 계산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출력 디코딩 데이터(01)의 값인 124(0111_1100)에 차분 값인 +4가 가산되어 제2 출력 디코딩 데이터(O2)의 값이 128(1000_0000)로 복원(decoding)된다. 나머지 출력 디코딩 데이터들의 출력 값들(O3 ~ O6, O8, O9)도 제2 출력 디코딩 데이터(O2)가 계산되는 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계산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전송 방법은 공간적 데이터 유사성을 가지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인접하는 데이터들의 차분 값에 따라 해밍 거리(Hamming distance)가 작아지도록 비트-인버젼 코딩하여 버스로 전송한다. 그 결과, 버스를 통해 전송되는 비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비트의 천이 수가 감소하므로, 전력 소비 및 전자파 간섭이 감소될 수 있다.

Claims (24)

  1. 공간적 유사성을 가지는 입력 비디오 데이터들 중 유효한 제1 데이터를 비트-인버젼 코딩하지 않고 출력 인코딩 정보로서 버스로 송신하며, 상기 입력 비디오 데이터들 중 인접하는 데이터들의 차분 값에 근거하여 상기 입력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출력 인코딩 데이터의 이전 데이터를 비트-인버젼 코딩하고 상기 코딩 값을 상기 출력 인코딩 정보로서 상기 버스로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버스를 통해 병렬로 전송되는 출력 인코딩 정보인 제1 데이터를 디코딩하지 않으며, 상기 버스를 통해 병렬로 전송되는 출력 인코딩 정보를 상기 차분 값에 근거하여 디코딩하는 수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출력 인코딩 정보는 상기 출력 인코딩 데이터 및 상기 출력 인코딩 데이터의 이전 데이터의 비트-인버젼 코딩 여부를 지시하는 코딩 인에이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인코딩 데이터는
    극성 변경 정보 및 비트-인버젼 코딩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극성 변경 정보는 상기 차분 값의 극성 변화가 있을 때 상기 출력 인코딩 데이터의 이전 데이터에 포함된 최상위 비트의 반전을 지시하고, 상기 비트-인버젼 코딩 정보는 상기 차분 값의 절대값에 따른 비트-인버젼 코딩이 발생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분 값의 극성에 대한 디폴트 극성은 플러스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입력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차분 값의 절대 값이 소정의 기준 값을 초과할 때 상기 입력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출력 인코딩 데이터의 이전 데이터를 비트-인버젼 코딩하지 않고 상기 입력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출력 인코딩 정보로서 상기 버스로 송신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버스를 통해 전송되는 비트-인버젼 코딩되지 않은 출력 인코딩 데이터를 디코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입력 비디오 데이터 및 상기 입력 비디오 데이터의 이전 데이터와의 차분 값을 계산하여, 상기 코딩 인에이블 정보, 상기 극성 변경 정보, 및 상기 차분 값의 절대값에 따른 출력 인코딩 데이터의 이전 데이터의 비트-인버젼 위치를 지시하는 비트-인버젼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비트-인버젼 위치 결정부;
    상기 극성 변경 정보 및 상기 비트-인버젼 위치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입력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출력 인코딩 데이터의 이전 데이터를 비트-인버젼 코딩하고, 상기 코딩 값을 인코딩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비트-인버젼 코딩부; 및
    상기 코딩 인에이블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인코딩 데이터 및 상기 입력 비디오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출력 인코딩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송신 멀티플 렉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인버젼 위치 정보는
    상기 차분 값의 절대값에 따른 비트-인버젼 위치 코드를 포함하는 테이블로부터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에 포함된 비트-인버젼 위치 코드의 해밍 거리는 3 이하이며, 상기 3 이하의 해밍 거리는 상기 기준 값이 63으로 설정될 때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입력 비디오 데이터의 이전 데이터를 저장하는 입력 레지스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출력 인코딩 데이터를 저장하는 송신 레지스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출력 인코딩 데이터와 상기 출력 인코딩 데이터의 이전 데이터를 배타적 논리합하여 비트-인버젼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검출된 비트-인버젼 위치에 대응되는 차분 값의 절대값을 발생하며, 상기 출력 인코딩 데이터의 이전 데이터에 포함된 최상위 비트에 대한 상기 출력 인코딩 데이터의 최상위 비트의 변화를 근거로 하여 상기 차분 값의 극성을 결정하는 차분 발생부;
    상기 출력 인코딩 데이터에 대응하는 출력 디코딩 데이터의 이전 데이터에 상기 차분 값을 가산하여 디코딩 데이터를 출력하는 가산부; 및
    상기 코딩 인에이블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디코딩 데이터 및 상기 출력 인코딩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출력 디코딩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수신 멀티플렉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출력 인코딩 데이터의 이전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신 레지스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출력 디코딩 데이터를 저장하는 출력 레지스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시스템.
  13. (a) 공간적 유사성을 가지는 입력 비디오 데이터들 중 유효한 제1 데이터를 비트-인버젼 코딩하지 않고 출력 인코딩 정보로서 송신하며, 상기 입력 비디오 데이터들 중 인접하는 데이터들의 차분 값에 근거하여 상기 입력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출력 인코딩 데이터의 이전 데이터를 비트-인버젼 코딩하고 상기 코딩 값을 상기 출력 인코딩 정보로서 송신하는 단계;
    (b) 버스를 통해 상기 송신된 출력 인코딩 정보를 병렬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버스를 통해 전송되는 출력 인코딩 정보인 제1 데이터를 디코딩하지 않고 수신하며, 상기 버스를 통해 전송되는 출력 인코딩 정보를 상기 차분 값에 따라 디코딩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출력 인코딩 정보는 상기 출력 인코딩 데이터 및 상기 출력 인코딩 데이터의 이전 데이터의 비트-인버젼 코딩 여부를 지시하는 코딩 인에이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인코딩 데이터는
    극성 변경 정보 및 비트-인버젼 코딩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극성 변경 정보는 상기 차분 값의 극성 변화가 있을 때 상기 출력 인코딩 데이터의 이전 데이터에 포함된 최상위 비트의 반전을 지시하고, 상기 비트-인버젼 코딩 정보는 상기 차분 값의 절대값에 따른 비트-인버젼 코딩이 발생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차분 값의 극성에 대한 디폴트 극성은 플러스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a) 송신 단계는 상기 입력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차분 값의 절대 값이 소정의 기준 값을 초과할 때 상기 입력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출력 인코딩 데이터의 이전 데이터를 비트-인버젼 코딩하지 않고 상기 입력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출력 인코딩 정보로서 상기 버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며,
    상기 (c) 수신 단계는 상기 버스를 통해 전송되는 비트-인버젼 코딩되지 않은 출력 인코딩 데이터를 디코딩하지 않고 수신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a) 송신 단계는
    (a1) 상기 입력 비디오 데이터 및 상기 입력 비디오 데이터의 이전 데이터와의 차분 값을 계산하여, 상기 코딩 인에이블 정보, 상기 극성 변경 정보, 및 상기 차분 값의 절대값에 따른 출력 인코딩 데이터의 이전 데이터의 비트-인버젼 위치를 지시하는 비트-인버젼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a2) 상기 극성 변경 정보 및 상기 비트-인버젼 위치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입력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출력 인코딩 데이터의 이전 데이터를 비트-인버젼 코딩하고, 상기 코딩 값을 인코딩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단계; 및
    (a3) 상기 코딩 인에이블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인코딩 데이터 및 상기 입력 비디오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출력 인코딩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a1) 단계의 비트-인버젼 위치 정보는
    상기 차분 값의 절대값에 따른 비트-인버젼 위치 코드를 포함하는 테이블로부터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에 포함된 비트-인버젼 위치 코드의 해밍 거리는 3 이하이며, 상기 3 이하의 해밍 거리는 상기 기준 값이 63으로 설정될 때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a) 송신 단계는
    (a4) 상기 입력 비디오 데이터의 이전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a) 송신 단계는
    (a4) 상기 출력 인코딩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c) 수신 단계는
    (c1) 상기 출력 인코딩 데이터와 상기 출력 인코딩 데이터의 이전 데이터를 배타적 논리합하여 비트-인버젼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검출된 비트-인버젼 위치에 대응되는 차분 값의 절대값을 발생하며, 상기 출력 인코딩 데이터의 이전 데이터에 포함된 최상위 비트에 대한 상기 출력 인코딩 데이터의 최상위 비트의 변화를 근거로 하여 상기 차분 값의 극성을 결정하는 단계;
    (c2) 상기 출력 인코딩 데이터에 대응하는 출력 디코딩 데이터의 이전 데이터에 상기 차분 값을 가산하여 디코딩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및
    (c3) 상기 코딩 인에이블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디코딩 데이터 및 상기 출력 인코딩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출력 디코딩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c) 수신 단계는
    (c4) 상기 출력 인코딩 데이터의 이전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c) 수신 단계는
    (c4) 상기 출력 디코딩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방법.
KR1020040089694A 2004-11-05 2004-11-05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전송 방법 KR100594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9694A KR100594300B1 (ko) 2004-11-05 2004-11-05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전송 방법
US11/265,922 US20060098731A1 (en) 2004-11-05 2005-11-03 Digital video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9694A KR100594300B1 (ko) 2004-11-05 2004-11-05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전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853A KR20060040853A (ko) 2006-05-11
KR100594300B1 true KR100594300B1 (ko) 2006-06-30

Family

ID=36316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9694A KR100594300B1 (ko) 2004-11-05 2004-11-05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60098731A1 (ko)
KR (1) KR1005943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4255A (ko) * 2008-08-25 2010-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출력 인터페이스 및 입출력 데이터 전송 방법
US7825835B2 (en) * 2008-12-15 2010-11-02 Nvid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ncoded video compression
JP5384210B2 (ja) * 2009-06-11 2014-01-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及びデータ伝送システム
US8543891B2 (en) * 2011-09-21 2013-09-24 Apple Inc. Power-optimized decoding of linear codes
US11128993B2 (en) * 2019-06-25 2021-09-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itigation of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electronic communication
CN115037411B (zh) * 2021-03-05 2024-03-19 信骅科技股份有限公司 信号收发系统及其信号接收器
US11502712B2 (en) * 2021-03-05 2022-11-15 Aspeed Technology Inc. Signal transceiving system and signal receiver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5483A (ko) * 1998-03-20 1999-10-15 윤종용 비트 평면 압축장치 및 비트 평면 압축/복원 방법
JP2001044847A (ja) 1999-05-21 2001-02-1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可逆符号化方法、可逆復号化方法、これらの装置及びその各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3274398A (ja) 2002-03-14 2003-09-26 Canon Inc 画像符号化装置
US20030184454A1 (en) 2000-05-24 2003-10-02 Okamura Jun-Ichi Encoder for transmitting digital imag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9688B1 (en) * 1993-11-30 2001-04-1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um of plural absolute differenc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5483A (ko) * 1998-03-20 1999-10-15 윤종용 비트 평면 압축장치 및 비트 평면 압축/복원 방법
JP2001044847A (ja) 1999-05-21 2001-02-1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可逆符号化方法、可逆復号化方法、これらの装置及びその各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20030184454A1 (en) 2000-05-24 2003-10-02 Okamura Jun-Ichi Encoder for transmitting digital image
JP2003274398A (ja) 2002-03-14 2003-09-26 Canon Inc 画像符号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853A (ko) 2006-05-11
US20060098731A1 (en) 200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15533B1 (en) Multiple differential transmission system
CN108694918B (zh) 编码方法及装置、解码方法及装置及显示装置
US10089173B2 (en) Error detection constants of symbol transition clocking transcoding
US20060098731A1 (en) Digital video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US20180054216A1 (en) Flipped bits for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for symbol transition clocking transcoding
KR20170134470A (ko) N-베이스 수들 투 물리적 배선 상태들 심볼들 변환 방법
EP3117527B1 (en) Method for using error correction codes with n factorial or cci extension
US20080211701A1 (en) Process and devices for transmitting digital signals over b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efore
JP5384210B2 (ja)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及びデータ伝送システム
WO2022193101A1 (zh) 一种数据处理方法及相关装置
JP2005210695A (ja) データ伝送方式およびデータ伝送回路
US6357031B1 (en) Serial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with a data checking feature
KR20110004801A (ko) 디스플레이 포트의 디지털 엔코더 및 디지털 디코더
EP1403775B1 (en) Process and devices for transmiting digital signals over b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efor
US81662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bus signal
CN113193873A (zh) 编码方法、解码方法、编码装置及解码装置
JP2010250048A (ja) 送信装置、受信装置、データ伝送システ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5286662A (ja)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データ伝送方法
JP2011155330A (ja) 伝送システム
US7519892B1 (en) Binary data encoding/decoding with error detection, such as for communicating between computing platform components
JPH0653931A (ja) スペクトラム拡散方式通信装置
KR101726546B1 (ko) 효율적인 하드웨어 면적을 가지는 리스트 연속제거부호장치의 디코더
JP2006053770A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復元装置、データ処理方法及び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CN113411163A (zh) 解码方法、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070090447A (ko) 저전력 대규모 집적 회로 시스템을 위한 어드레스 버스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