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0402B1 - 버클 및 배낭 - Google Patents

버클 및 배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0402B1
KR100590402B1 KR1020050001215A KR20050001215A KR100590402B1 KR 100590402 B1 KR100590402 B1 KR 100590402B1 KR 1020050001215 A KR1020050001215 A KR 1020050001215A KR 20050001215 A KR20050001215 A KR 20050001215A KR 100590402 B1 KR100590402 B1 KR 100590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uckle
belt
shaped body
back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1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2698A (ko
Inventor
요시구치마나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50072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2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0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0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1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sliding wed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2003/045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and one additional strap around the waist

Landscapes

  • Buckles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과제) 최소의 부품점수를 가지고, 독립한 4개의 띠형상체를 적절하게 연결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버클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띠형상체(W)의 제 1 구멍부(1)와, 이 제 1 구멍부(1)에 대향한 위치에 형성됨과 아울러, 중간 크로스 바(20)에 의해서 2개로 구분되어 있고, 버클(B)의 이면(B')측에서 인입되고 이 중간 크로스 바(20)에 걸어 돌리도록 하고 다시 버클(B)의 이면(B')측에서 인출되는 띠형상체(W)의 인출치수를 조정가능하게 한 상태로 이와 같이 끼워져서 통과된 띠형상체(W)에 대한 고정을 이루는 제 2 구멍부(2)와, 버클(B)의 일측부에 형성된 띠형상체(W)의 제 3 구멍부(3)와, 이 제 3 구멍부(3)에 대향한 위치에 형성된 띠형상체(W)의 제 4 구멍부(4)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버클 및 배낭{BUCKLE AND RUCKSACK}
도 1은 버클(B)의 구성예의 하나를 나타낸 정면 구성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버클(B)의 구성예의 다른 하나를 나타낸 정면 구성도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3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
도 6은 버클(B)의 구성예의 또 다른 하나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도 6에 있어서의 버클(B)의 평면도
도 8은 도 6에 있어서의 버클(B)의 우측면도
도 9는 도 6에 있어서의 버클(B)의 저면도
도 10은 도 6에 있어서의 버클(B)의 배면도
도 11은 도 6에 있어서의 D-D선 단면도
도 12는 버클(B)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배낭(100)의 사시 구성도(우측 전방방향에서 본 도면)
도 14는 도 13에 있어서의 배낭(100)의 요부 사시도
도 15는 배낭(100)의 사시 구성도(좌측 전방방향에서 본 도면)
도 16은 도 15에 있어서의 배낭(100)의 요부 사시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B - 버클 W - 띠형상체
1 - 제 1 구멍부 2 - 제 2 구멍부
3 - 제 3 구멍부 4 - 제 4 구멍부
본 발명은 버클을 통해서 독립한 4개의 띠형상체를 연결시키는데 사용되는 버클의 개량 및 이 버클을 이용한 배낭에 관한 것이다.
버클을 통해서 독립한 3개의 띠형상체를 연결시키도록 한 버클로서,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나타내어진 것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버클은, 부품점수가 많고, 또 독립한 3개의 띠형상체를 연결시키는 것에 불과한 것이었다.
한편, 배낭에 있어서는 배낭을 메는 사용자의 몸에 배낭 본체를 밀착시키는 관점이나 배낭의 흔들림고정의 관점에서, 한쌍의 숄더 스트랩간에 걸치는 체스트 스트랩(사용자의 흉부 앞부분에 접하는 띠형상체)과, 사용자의 둔부에 둘러 감는 힙 스트랩 이외에, 사용자의 주로 웨이스트 앞부분에 접하는 웨이스트 스트랩을 구비한 것이 있지만, 이 웨이스트 스트랩에 의한 배낭의 하부측에서의 사용자의 몸과 배낭 본체의 밀착성 향상이나 흔들림고정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하게 하는 태양으로, 이 웨이스트 스트랩을 배낭에 용이하게 구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망되는 중이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1-252107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2002-159309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주된 문제점은, 최소의 부품점수를 가지고, 독립한 4개의 띠형상체를 적절하게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한 버클을 제공하는 점에 있다.
또 배낭에 웨이스트 스트랩을 용이하게 또한 적절하게 구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점에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버클이 이하의 (1)∼(5)의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하였다.
(1) 버클을 통해서 4개의 띠형상체를 연결시키도록 구성된 일부품으로 이루어지는 버클로서,
(2) 띠형상체의 제 1 구멍부와,
(3) 이 제 1 구멍부에 대향한 위치에 형성됨과 아울러, 중간 크로스 바에 의 해서 2개로 구분되어 있고, 버클의 이면측에서 인입되고 이 중간 크로스 바에 걸어 돌리도록 하고 다시 버클의 이면측에서 인출되는 띠형상체의 인출치수를 조정가능하게 한 상태로 이와 같이 끼워져서 통과된 띠형상체에 대한 고정을 이루는 제 2 구멍부와,
(4) 버클의 일측부에 형성된 띠형상체의 제 3 구멍부와,
(5) 이 제 3 구멍부에 대향한 위치에 형성된 띠형상체의 제 4 구멍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1 구멍부에 끼워서 통과하게 한 띠형상체, 제 2 구멍부에 끼워서 통과하게 한 띠형상체, 제 3 구멍부에 끼워서 통과하게 한 띠형상체, 및 제 4 구멍부에 끼워서 통과하게 한 띠형상체, 즉 독립한 4개의 띠형상체를 일부품으로 이루어지는 버클을 통해서 연결시킬 수 있다. 또, 제 2 구멍부에 끼워서 통과하게 하는 띠형상체는 제 2 구멍부의 중간 크로스 바에 걸어 돌려서 인출되는 그 띠형상체의 단부측의 인출치수를 조정가능하게 한 상태로 버클에 고정되기 때문에, 이 제 2 구멍부에 끼워서 통과된 띠형상체의 단부측의 이 제 2 구멍부로부터의 인출치수를 조정함으로써, 버클의 위치, 즉, 4개의 띠형상체의 연결위치를 필요에 따라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 3 구멍부 및 제 4 구멍부의 양측 또는 어느 일측이, 중간 크로스 바에 의해서 2개로 구분되어 있고, 버클의 이면측에서 인입되고 이 중간 크로스 바에 걸어 돌리도록 하고 다시 버클의 이면측에서 인출되는 띠형상체의 인출치수를 조정가능하게 한 상태로 이와 같이 끼워져서 통과된 띠형상체에 대한 고정을 이루도록 구성시켜 두기도 한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제 2 구멍부에 통과된 띠형상체의 단부측의 인출치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제 3 구멍부나 제 4 구멍부에 통과된 띠형상체의 단부측의 인출치수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버클의 위치, 즉 4개의 띠형상체의 연결위치를 필요에 따라서 보다 자유도높게 조정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멍부가 끼워져서 통과되는 띠형상체의 폭보다 광폭의 긴구멍형상을 이루도록 구성시켜 두기도 한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제 1 구멍부에 끼워서 통하게 한 띠형상체를, 이 제 1 구멍부의 길이와 띠형상체의 폭과의 치수차분의 범위에서, 제 1 구멍부가 상방 또는 하방에 위치되는 버클의 이용상태에 있어서는 좌우로, 제 1 구멍부가 측방에 위치되는 버클의 이용상태에 있어서는 상하로, 제 1 구멍부내에 있어서 약간 이동하게 할 수 있고, 버클을 통해서 연결시킨 띠형상체에 부가되는 장력의 방향에 버클이 저항하여 연결시킨 띠형상체에 꼬임 등을 발생시키는 사태를, 가능한 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또한 상기 제 1 구멍부에 있어서의 끼워져서 통과되는 띠형상체가 감겨서 걸려지는 개소의 내측부를, 이 제 1 구멍부의 내측을 만곡내측으로 한 호상(弧狀)을 이루도록 형성시켜 두기도 한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제 1 구멍부에 끼워져서 통과된 띠형상체에 대해 흔들림 등이 작용된 경우에 있어서, 이 제 1 구멍부에 끼워서 통하게 한 띠형상체를, 이 제 1 구멍부의 길이와 띠형상체의 폭과의 치수차분의 범위에서, 상기 내측부를 안 내하게 하여 원활하게 약간 이동하게 해서, 상기한 바와 같은 띠형상체의 꼬임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생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배낭이 이하의 (1)∼(3)의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하였다.
(1) 상기 버클을 좌우에 1개씩 가지고 있고, 이 좌우의 버클 사이에 사용자의 주로 웨이스트 앞부분에 접하도록 한 웨이스트 스트랩을 구비한 배낭으로서,
(2) 좌측의 버클을,
상단부가 배낭 본체의 상부측에 고정된 좌측 숄더패드에 연접된 띠형상체를 제 1 구멍부에 통과하게 하고,
하단부가 배낭 본체의 좌하부측에 연접된 띠형상체를 제 2 구멍부에 통과하게 하고,
일단부가 배낭 본체의 좌측부에 연접된 띠형상체를 제 4 구멍부에 통과하게 하고,
또한, 웨이스트 스트랩을 구성하는 띠형상체의 좌단부측을 제 3 구멍부에 통과하게 하여 구비함과 아울러,
(3) 우측의 버클을,
상단부가 배낭 본체의 상부측에 고정된 우측 숄더패드에 연접된 띠형상체를 제 1 구멍부에 통과하게 하고,
하단부가 배낭 본체의 우하부측에 연접된 띠형상체를 제 2 구멍부에 통과하게 하고,
일단부가 배낭 본체의 우측부에 연접된 띠형상체를 제 3 구멍부에 통과하게 하고,
또한, 웨이스트 스트랩을 구성하는 띠형상체의 우단부측을 제 4 구멍부에 통과하게 하여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배낭에 있어서는 첫째, 제 1 구멍부에 통과되고 숄더패드에 연접된 띠형상체와 제 2 구멍부에 통과된 띠형상체에 의해서 버클을 통해 숄더 스트랩의 길이조정을 가능하게 한 상태로, 숄더 스트랩을 구성할 수 있다.
또 둘째, 좌측의 버클의 제 3 구멍부와 우측의 버클의 제 4 구멍부를 이용하여, 한쌍의 숄더 스트랩 사이에 웨이스트 스트랩을 적절하게 연결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연결되는 웨이스트 스트랩에 의해서 배낭을 멘 사용자의 주로 웨이스트 앞부분에 대한 숄더 스트랩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셋째, 좌측의 버클의 제 4 구멍부에 통과되는 띠형상체와 우측의 버클의 제 3 구멍부에 통과되는 띠형상체에 의해서, 배낭의 하부측이 사용자의 활동에 수반하여 과도하게 흔들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띠형상체를 길이조정할 수 있도록 해 두면, 숄더 스트랩과 배낭의 하부 배면 간의 간격을 좁힐 수 있어, 상기 흔들림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즉, 이러한 배낭에 있어서는 상기 좌우의 버클을 이용해서 배낭을 구성하는 좌측 4개의 띠형상체와, 우측 4개의 띠형상체를 연결시킴으로써, 이상의 기능을 주효하는 배낭을 심플하게 또한 적절하게 구성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도 1 내지 도 16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 도 1 및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버클(B)의 구성예의 하나를, 도 3 내지 도 5는, 이러한 구성예의 다른 하나를, 도 6 내지 도 12는, 이러한 구성예의 또 다른 하나를, 도 13 내지 도 16은, 도 6 내지 도 12에 나타낸 버클(B)을 이용해서 구성된 배낭(100)의 일례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버클(B)은, 버클(B)을 통해서 독립한 4개의 띠형상체(W,W…)를 연결시키도록 사용되는 것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배낭(100)은 사용자, 즉, 배낭(100)을 멘 사용자의 주로 웨이스트 앞부분에 접하도록 한 웨이스트 스트랩(140)을 숄더패드(121)를 구비해서 구성되는 한쌍의 숄더 스트랩(120,120)간에 걸치도록 구비한 것이다.
{버클(B)}
이러한 버클(B)은, 이 버클(B)을 통해서 4개의 띠형상체(W,W…)를 연결시키도록 구성된 일부품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버클(B)은 띠형상체(W)가 각각 끼워져서 통과되는 4개의 구멍부(1,2,3,4)를 가지고 있다.
즉, 이러한 버클(B)은 띠형상체(W)의 제 1 구멍부(1)와,
이 제 1 구멍부(1)에 대향한 위치에 형성됨과 아울러, 중간 크로스 바(20)에 의해서 2개로 구분되어 있고, 버클(B)의 이면(B')측에서 인입되고 이 중간 크로스 바(20)에 걸어 돌리도록 하고 다시 버클(B)의 이면(B')측에서 인출되는 띠형상체 (W)의 인출치수를 조정가능하게 한 상태로 이와 같이 끼워져서 통과된 띠형상체(W)에 대한 고정을 이루는 제 2 구멍부(2)와,
버클(B)의 일측부에 형성된 띠형상체(W)의 제 3 구멍부(3)와,
이 제 3 구멍부(3)에 대향한 위치에 형성된 띠형상체(W)의 제 4 구멍부(4)를 구비하고 있다.
제 3 구멍부(3)는 제 1 구멍부(1) 및 제 2 구멍부(2)에 끼워져서 통과된 띠형상체(W)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 제 3 구멍부(3)에 끼워져서 통과된 띠형상체(W)의 길이방향을 따르도록, 버클(B)에 그 띠형상체(W)를 접속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 4 구멍부(4)는 제 3 구멍부(3)에 대향한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이 제 4 구멍부(4)도 제 1 구멍부(1) 및 제 2 구멍부(2)에 끼워져서 통과된 띠형상체(W)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 제 4 구멍부(4)에 끼워져서 통과된 띠형상체(W)의 길이방향을 따르도록, 버클(B)에 그 띠형상체(W)를 접속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버클(B)에 의하면, 제 1 구멍부(1)에 끼워서 통하게 한 띠형상체(W), 제 2 구멍부(2)에 끼워서 통하게 한 띠형상체(W), 제 3 구멍부(3)에 끼워서 통하게 한 띠형상체(W) 및 제 4 구멍부(4)에 끼워서 통하게 한 띠형상체(W), 즉 독립한 4개의 띠형상체(W,W…)를 버클(B)을 통해서 연결시킬 수 있다. 연결시킨 이들 띠형상체(W,W…)는 버클(B)을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十자형상을 이룬다(도 1). 또, 제 2 구멍부(2)에 끼워서 통하게 한 띠형상체(W)는 제 2 구멍부(2)의 중간 크로스 바(20)에 걸어 돌려져서 인출되는 그 띠형상체(W)의 단부측의 인출치수를 조정가능하 게 한 상태로 버클(B)에 고정되기 때문에, 이 제 2 구멍부(2)에 끼워져서 통과된 띠형상체(W)의 단부측의 이 제 2 구멍부(2)로부터의 인출치수를 조정함으로써, 버클(B)의 위치, 즉 4개의 띠형상체(W,W…)의 연결위치를 필요에 따라서 조정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는, 제 1 구멍부(1), 제 3 구멍부(3) 및 제 4 구멍부(4)는 띠형상체(W)를 끼워서 통과하게 할 수 있는 긴구멍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들 구멍부에 끼워져서 통과된 띠형상체(W)는, 전형적으로는 끼우고 통과시켜서 인출된 띠형상체(W)의 단부에 빠짐방지부를 형성시키거나, 이 단부를 버클(B)의 외측에 있어서 그 띠형상체(W)의 중간부에 고정시키거나 함으로써, 이들 구멍부(1,3,4)에 대한 끼우고 통과시킨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제 3 구멍부(3) 및 제 4 구멍부(4)의 양측 또는 어느 일측을 중간 크로스 바(30,40)에 의해서 2개로 구분시키고, 버클(B)의 이면(B')측에서 인입되고 이 중간 크로스 바에 걸어 돌리도록 하고 다시 버클(B)의 이면(B')측에서 인출되는 띠형상체(W)의 인출치수를 조정가능하게 한 상태로 이와 같이 끼워져서 통과된 띠형상체(W)에 대한 고정을 이루도록 해 두기도 한다.
도 3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는, 제 3 구멍부(3) 및 제 4 구멍부(4)의 양측이, 중간 크로스 바(30,40)에 의해서 2개로 구분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제 2 구멍부(2)에 통과된 띠형상체(W)의 단부측의 인출치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제 3 구멍부(3)나 제 4 구멍부(4)에 통과된 띠형상체(W)의 단부측의 인출치수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버클(B)의 위치, 즉 4개의 띠형상체(W,W…)의 연결위치를 필요에 따라서 보다 자유도높게 조정할 수 있 다.
도 6 내지 도 12는, 이러한 버클(B)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버클(B)은 대략 사각형의 테두리형상을 이루는 내측 구성체(5)와, 이 내측 구성체(5)의 3변을 외측에서 둘러싸도록 내측 구성체(5)에 일체로 접속된 외측 프레임(6)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측 구성체(5)와 외측 프레임(6)은, 내측 구성체(5)의 4모서리와 외측 프레임(6)의 내측부에 걸치는 연접편(7)에 의해서 일체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것에 의해서 이러한 버클(B)은, 내측 구성체(5)의 3변의 외측에 각각, 이들 각 변과 연접편(7)과 외측 프레임(6)에 의해서 둘러싸여진 3개소의 구멍부(1,3,4)를 가지도록 되어 있다. 이 내측 구성체(5)의 3변 중, 대향위치에 있는 2변의 외측에 형성된 구멍부(3,4)가, 상기 제 3 구멍부(3) 및 제 4 구멍부(4)가 되고, 나머지 1변의 외측에 형성된 구멍부(1)가 상기 제 1 구멍부(1)가 되도록 되어 있다. 이들 제 1, 제 3, 제 4 구멍부(1,3,4)는, 어느 것이나 내측 구성체(5)의 변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는 긴구멍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제 1 구멍부(1)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제 3 구멍부(3) 및 제 4 구멍부(4)의 길이방향은 거의 직교하는 방향이 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 2 구멍부(2)는 내측 구성체(5)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대략 사각형의 테두리형상을 이루는 내측 구성체(5)의 내부에는, 이 내측 구성체(5)에 있어서의 제 3 구멍부(3)를 외측에 위치하게 하는 변부(51)의 내측부와, 제 4 구멍부(4)를 외측에 위치하게 하는 변부(52)의 내측부와의 사이에 걸쳐서, 제 1 구멍부(1)를 외측에 위치하게 하는 변부(50)를 따르도록 연장되는 중간 크로스 바(20)가 형성되어 있고, 이 중간 크로스 바(20)에 의해서 내측 구성체(5)의 내부공간이 2개로 구분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예에 있어서는, 이 제 2 구멍부(2)에 대해서 띠형상체(W)를, 버클(B)의 이면(B')측에서 이 중간 크로스 바(20)와 제 1 구멍부(1)를 외측에 위치하게 하는 변부(50)와의 사이에 통과하게 하여 버클(B)의 표면(B")측으로 인출시킨 후, 이 중간 크로스 바(20)와 내측 구성체(5)에 있어서의 외측 프레임(6)이 외측에 위치되어 있지 않은 변부{이하, 이 변부를, 엔드 크로스 바(53)라 함}와의 사이에 통과하게 해서 다시 버클(B)의 이면(B')측으로 인출시키도록 함으로써, 제 2 구멍부(2)에 이 띠형상체(W)의 단부(W')측의 인출치수를 조정가능하게 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중간 크로스 바(20)는 버클(B)의 표면(B")에 거의 평행을 이루는 표면(21)을 가지는 동시에, 엔드 크로스 바(53)에 향하여진 측면(22)을 버클(B)의 두께방향에 거의 평행을 이루는 면으로 하고, 이 표면(21)과 측면(22)의 사이에 에지형상을 이루는 모서리부(23)를 가지고 있다. 한편, 엔드 크로스 바(53)는 버클(B)의 표면(B")측에서 이면(B')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중간 크로스 바(20)의 상기 측면(22)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상으로 돌출된 고정편부(54)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중간 크로스 바(20)의 상기 모서리부(23)를 지나는 버클(B)의 두께방향을 따른 가상의 직선(x)과, 고정편부(54)의 돌출단부(55)를 지나는 버클(B)의 두께방향을 따른 가상의 직선(y)간의 간격이, 제 2 구멍부(2)에 상기한 바와 같이 끼워져서 통과되는 띠형상체(W)의 두께보다 작아지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제 2 구멍부(2)에 끼워져서 통과된 띠형상체(W)에는, 이 띠형상체(W)에 장력이 작용되면 작용될수록, 중간 크로스 바(20)의 상기 모서리부(23)와 고정편부(54)의 돌출단부(55)가 강하게 부딪치게 되어, 제 2 구멍부(2)에 대한 띠형상체(W)의 고정상태가 안정적으로 확보된다. 이 고정상태는 엔드 크로스 바(53)에 버클(B)의 이면(B')측에서 손가락 등을 걸고, 이 엔드 크로스 바(53)의 형성측을, 인출되어 있는 띠형상체(W)의 단부(W')측의 안쪽에 위치되는 띠형상체(W)의 중간부(W")로부터 떨어져 나오도록 조작함으로써, 해제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조작을 행하면, 띠형상체(W)의 중간부(W")에 의한 띠형상체(W)의 단부(W')측의 고정편부(54)의 돌출단부(55)에 대한 압압이 해제되고, 띠형상체(W)에는 중간 크로스 바(20)의 상기 모서리부(23)만이 부딪치도록 되기 때문에, 이 중간 크로스 바(20)와 엔드 크로스 바(53)의 사이에서의 띠형상체(W)의 고정력이 저하된다. 이것에 의해 제 2 구멍부(2)에 끼워져서 통과된 띠형상체(W)의 단부(W')측의 인출치수를 조정할 수 있다.
또 이 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구멍부(1)가 끼워져서 통과되는 띠형상체(W)의 폭보다 광폭의 긴구멍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이 예에 있어서는, 제 1 구멍부(1)에 끼워서 통하게 한 띠형상체(W)를, 이 제 1 구멍부(1)의 길이와 띠형상체(W)의 폭과의 치수차분의 범위에서, 제 1 구멍부(1)가 상방 또는 하방에 위치되는 버클(B)의 이용상태에 있어서는 좌우로, 제 1 구멍부(1)가 측방에 위치되는 버클(B)의 이용상태에 있어서는 상하로, 제 1 구멍부(1)내에 있어서 약간 이동하게 할 수 있고, 버클(B)을 통해서 연결 되는 띠형상체(W)에 가해지는 장력의 방향에 버클(B)이 저항하여 연결된 띠형상체(W)에 꼬임 등을 발생시키는 사태를, 가능한 한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제 1 구멍부(1)에 있어서의 끼워져서 통과되는 띠형상체(W)가 감겨서 걸려지는 개소의 내측부(11)가, 이 제 1 구멍부(1)의 내측을 만곡내측으로 한 호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이 예에 있어서는, 제 1 구멍부(1)에 끼워져서 통과된 띠형상체(W)에 대하여 흔들림 등이 작용된 경우에 있어서, 이 제 1 구멍부(1)에 끼워서 통하게 한 띠형상체(W)를, 이 제 1 구멍부(1)의 길이와 띠형상체(W)의 폭과의 치수차분의 범위에서, 상기 내측부(11)를 안내하게 하여 원활하게 약간 이동하게 해서, 상기한 바와 같은 띠형상체(W)의 꼬임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생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배낭(100)}
도 13 내지 도 16은, 도 6 내지 도 12에 나타낸 버클(B)을 좌우에 1개씩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이 좌우의 버클(B)간에 사용자의 웨이스트 앞부분에 접하는 웨이스트 스트랩(140)을 구비한 배낭(100)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배낭(100)은 배낭(100)의 배면에 한쌍의 숄더 스트랩(120,120)을 가짐과 아울러, 이 숄더 스트랩(120)간에 걸치는 체스트 스트랩(130)을 가지고 있다. 체스트 스트랩(130)은 숄더 스트랩(120)에 팔을 통과하게 하고 배낭(100)을 멘 사용자의 흉부에 접한다. 또 이러한 배낭(100)은, 그 하부에 배낭(100)을 멘 사용자의 둔부에 둘러 감는 힙 스트랩(150)을 가지고 있다. 상기 웨 이스트 스트랩(140)은, 이러한 체스트 스트랩(130)과 힙 스트랩(150)의 사이에 있어서, 배낭(100)을 멘 사용자의 주로 웨이스트 앞부분에 접하도록 구비되고, 배낭(100)의 하부측에 있어서 숄더 스트랩(120)에 사용자의 주로 웨이스트 앞부분을 밀착시키기 위해서 형성되는 것이다. 체스트 스트랩(130), 힙 스트랩(150) 및 웨이스트 스트랩(140)은, 어느 것이나 좌우 2개로 구분되어 있고, 또 구분된 좌우를 좌단부와 우단부에 구비시킨 버클체(160)에 의해서 분리가능하게 접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사용자는 체스트 스트랩(130)을 구성하는 좌우 띠형상체(131,131), 힙 스트랩(150)을 구성하는 좌우 띠형상체(151,151) 및 웨이스트 스트랩(140)을 구성하는 좌우 띠형상체(141,141)를 버클체(160)의 분리에 의해 분리시킨 상태에 있어서, 숄더 스트랩(120)에 팔을 통과하게 하여 배낭(100)을 메고, 이후, 이들 각 스트랩(130,140,150)의 좌우를 접합시켜서 배낭(100)을 장비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버클체(160)로서는, 전형적으로는 측부에 걸어맞춤창을 구비한 편평 통형상을 이루는 암버클과, 이 암버클내로의 인입부를 가짐과 아울러 이 인입부의 인입에 수반하는 탄성변형후의 탄발에 의해서 상기 걸어맞춤창에 인입하여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를 이 인입부에 구비한 수버클로 이루어지는 사이드 릴리스 버클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배낭(100)에 있어서는, 배낭(100)의 좌우에 1개씩 설치되는 버클(B) 중,
배낭(100)을 멘 측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 좌측에 위치되는 좌측의 버클(B)을,
상단부가 배낭(100) 본체의 상부측에 고정되어 좌측 숄더패드(121)에 연접된 띠형상체(122)를 제 1 구멍부(1)에 통과하게 하고,
하단부가 배낭(100) 본체의 좌하부측에 연접된 띠형상체(170)를 제 2 구멍부(2)에 통과하게 하고,
일단부가 배낭(100) 본체의 좌측부에 연접된 띠형상체(180)를 제 4 구멍부(4)에 통과하게 하고,
또한, 웨이스트 스트랩(140)을 구성하는 띠형상체(141)의 좌단부측을 제 3 구멍부(3)에 통과하게 해서 구비하고 있다.
또 배낭(100)의 좌우에 1개씩 설치되는 버클(B) 중,
배낭(100)을 멘 측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 우측에 위치되는 우측의 버클(B)을,
상단부가 배낭(100) 본체의 상부측에 고정되어 우측 숄더패드(121)에 연접된 띠형상체(122)를 제 1 구멍부(1)에 통과하게 하고,
하단부가 배낭(100) 본체의 우하부측에 연접된 띠형상체(190)를 제 2 구멍부(2)에 통과하게 하고,
일단부가 배낭(100) 본체의 우측부에 연접된 띠형상체(200)를 제 3 구멍부(3)에 통과하게 하고,
또한, 웨이스트 스트랩(140)을 구성하는 띠형상체(141)의 우단부측을 제 4 구멍부(4)에 통과하게 해서 구비하고 있다.
이 결과, 이러한 배낭(100)에 있어서는 첫째, 제 1 구멍부(1)에 통과되고 숄 더패드(121)에 연접된 띠형상체(122)와 제 2 구멍부(2)에 통과된 띠형상체(170,190)에 의해서 버클(B)을 통하여 숄더 스트랩(120)의 길이조정을 가능하게 한 상태로, 숄더 스트랩(120)을 구성할 수 있다.
또 둘째, 좌측의 버클(B)의 제 3 구멍부(3)와 우측의 버클(B)의 제 4 구멍부(4)를 이용하여, 한쌍의 숄더 스트랩(120,120) 사이에, 웨이스트 스트랩(140)을 적절하게 연결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연결되는 웨이스트 스트랩(140)에 의해서 배낭(100)을 멘 사용자의 웨이스트 앞부분에 대한 숄더 스트랩(120)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셋째, 좌측의 버클(B)의 제 4 구멍부(4)에 통과되는 띠형상체(180)와 우측의 버클(B)의 제 3 구멍부(3)에 통과되는 띠형상체(200)에 의해서, 배낭(100)의 하부측이 사용자의 활동에 수반하여 과도하게 흔들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띠형상체(W)를 길이조정할 수 있도록 해 두면, 숄더 스트랩(120)과 배낭(100)의 하부 배면간의 간격을 좁힐 수 있어, 상기 흔들림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즉, 이러한 배낭(100)에 있어서는, 상기 좌우의 버클(B,B)을 이용해서 배낭(100)을 구성하는 좌측 4개의 띠형상체(W,W…)와, 우측 4개의 띠형상체(W,W…)를 연결함으로써, 이상의 기능을 주효하는 배낭(100)을 심플하게 또한 적절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이러한 좌우의 버클(B,B) 모두, 제 1 구멍부(1)를 상방에 위치하게 하도록 해서 배낭(100)에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이러한 좌우의 버클(B,B) 모두, 제 1 구멍부(1)가 끼워져서 통과되는 띠형상 체(W)의 폭보다 광폭의 긴구멍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제 1 구멍부(1)에 있어서의 끼워져서 통과되는 띠형상체(122)가 감겨서 걸려지는 개소의 내측부(11)가, 이 제 1 구멍부(1)의 내측을 만곡내측으로 한 호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숄더 스트랩(120)이 흔들린 경우라도 제 1 구멍부(1)에 통과된 띠형상체(122)는 제 1 구멍부(1)내에서 이 흔들림을 흡수하도록 약간 이동하게 할 수 있고, 숄더 스트랩(120)측에 꼬임 등을 가능한 한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버클에 의하면, 일부품이면서, 독립한 4개의 띠형상체를 적절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배낭에 의하면, 배낭에 웨이스트 스트랩을 용이하게 또한 적절하게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6)

  1. 버클을 통해서 4개의 띠형상체를 연결시키도록 구성된 일부품으로 이루어지는 버클로서,
    띠형상체의 제 1 구멍부와,
    상기 제 1 구멍부에 대향한 위치에 형성됨과 아울러, 중간 크로스 바에 의해서 2개로 구분되어 있고, 버클의 이면측에서 인입되고 상기 중간 크로스 바에 걸어 돌리도록 하고 다시 버클의 이면측에서 인출되는 띠형상체의 인출치수를 조정가능하게 한 상태로 이와 같이 끼워져서 통과된 띠형상체에 대한 고정을 이루는 제 2 구멍부와,
    버클의 일측부에 형성된 띠형상체의 제 3 구멍부와,
    상기 제 3 구멍부에 대향한 위치에 형성된 띠형상체의 제 4 구멍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3 구멍부 및 제 4 구멍부의 양측 또는 어느 일측이, 중간 크로스 바에 의해서 2개로 구분되어 있고, 버클의 이면측에서 인입되고 상기 중간 크로스 바에 걸어 돌리도록 하고 다시 버클의 이면측에서 인출되는 띠형상체의 인출치수를 조정가능하게 한 상태로 이와 같이 끼워져서 통과된 띠형상체에 대한 고정을 이루도록 구 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제 1 구멍부가, 끼워져서 통과되는 띠형상체의 폭보다 광폭의 긴구멍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제 1 구멍부에 있어서의 끼워져서 통과되는 띠형상체가 감겨서 걸려지는 개소의 내측부가, 상기 제 1 구멍부의 내측을 만곡내측으로 한 호상(弧狀)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5.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버클을 좌우에 1개씩 가지고 있고, 상기 좌우의 버클 사이에 사용자의 주로 웨이스트 앞부분에 접하도록 한 웨이스트 스트랩을 구비한 배낭으로서,
    좌측의 버클을,
    상단부가 배낭 본체의 상부측에 고정된 좌측 숄더패드에 연접된 띠형상체를 제 1 구멍부에 통과하게 하고,
    하단부가 배낭 본체의 좌하부측에 연접된 띠형상체를 제 2 구멍부에 통과하게 하고,
    일단부가 배낭 본체의 좌측부에 연접된 띠형상체를 제 4 구멍부에 통과하게 하고,
    또한, 웨이스트 스트랩을 구성하는 띠형상체의 좌단부측을 제 3 구멍부에 통과하게 하여 구비함과 아울러,
    우측의 버클을,
    상단부가 배낭 본체의 상부측에 고정된 우측 숄더패드에 연접된 띠형상체를 제 1 구멍부에 통과하게 하고,
    하단부가 배낭 본체의 우하부측에 연접된 띠형상체를 제 2 구멍부에 통과하게 하고,
    일단부가 배낭 본체의 우측부에 연접된 띠형상체를 제 3 구멍부에 통과하게 하고,
    또한, 웨이스트 스트랩을 구성하는 띠형상체의 우단부측을 제 4 구멍부에 통과하게 하여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
  6. 청구항 3에 기재된 버클을 좌우에 1개씩 가지고 있고, 상기 좌우의 버클 사이에 사용자의 주로 웨이스트 앞부분에 접하도록 한 웨이스트 스트랩을 구비한 배낭으로서,
    좌측의 버클을,
    상단부가 배낭 본체의 상부측에 고정된 좌측 숄더패드에 연접된 띠형상체를 제 1 구멍부에 통과하게 하고,
    하단부가 배낭 본체의 좌하부측에 연접된 띠형상체를 제 2 구멍부에 통과하게 하고,
    일단부가 배낭 본체의 좌측부에 연접된 띠형상체를 제 4 구멍부에 통과하게 하고,
    또한, 웨이스트 스트랩을 구성하는 띠형상체의 좌단부측을 제 3 구멍부에 통과하게 하여 구비함과 아울러,
    우측의 버클을,
    상단부가 배낭 본체의 상부측에 고정된 우측 숄더패드에 연접된 띠형상체를 제 1 구멍부에 통과하게 하고,
    하단부가 배낭 본체의 우하부측에 연접된 띠형상체를 제 2 구멍부에 통과하게 하고,
    일단부가 배낭 본체의 우측부에 연접된 띠형상체를 제 3 구멍부에 통과하게 하고,
    또한, 웨이스트 스트랩을 구성하는 띠형상체의 우단부측을 제 4 구멍부에 통과하게 하여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
KR1020050001215A 2004-01-07 2005-01-06 버클 및 배낭 KR1005904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02363 2004-01-07
JP2004002363A JP2005192812A (ja) 2004-01-07 2004-01-07 バックル、および、リュックサッ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698A KR20050072698A (ko) 2005-07-12
KR100590402B1 true KR100590402B1 (ko) 2006-06-19

Family

ID=34817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1215A KR100590402B1 (ko) 2004-01-07 2005-01-06 버클 및 배낭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5192812A (ko)
KR (1) KR100590402B1 (ko)
TW (1) TWI2499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77458A (zh) * 2013-06-19 2013-09-04 苏州新达电扶梯部件有限公司 一种万向捆绳连接扣
CN107996442A (zh) * 2016-11-02 2018-05-08 清远市普理斯贸易有限公司 一种宠物随身集便器
DE102016225790A1 (de) * 2016-12-21 2018-06-21 Adidas Ag Rucksack
RU195311U1 (ru) * 2019-11-18 2020-01-22 Марк Валерьевич Галеев Каркасный рюкзак для изолирующего противогаза
JP7243995B1 (ja) 2022-05-17 2023-03-22 東洋物産株式会社 防災型リュックサ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192812A (ja) 2005-07-21
TW200522886A (en) 2005-07-16
TWI249997B (en) 2006-03-01
KR20050072698A (ko) 2005-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6882B1 (ko) 스트랩 조절구
KR100590402B1 (ko) 버클 및 배낭
US8166571B2 (en) Apron with a bendable pocket-forming device
JPH02194288A (ja) リユツクサツクの支持枠
US8833623B2 (en) Bag with self-adjusting straps
US9131762B2 (en) Backpack having removable frame
TWI418311B (zh) 帶扣
KR20040111339A (ko) 유모차
US5378046A (en) Portable shopping cart seat belt
US10334911B2 (en) Buckle
US7478439B2 (en) Adjustable padding system
JP7365057B2 (ja) 姿勢矯正サポーター
US20020163240A1 (en) Cushioning device
CN101237794B (zh) 儿童约束带
KR20070001787A (ko) 충격 흡수 버클
JP2006334213A (ja) リュックサック用バックル、および、リュックサック
JP4294177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CN209563694U (zh) 一种背包支撑结构和背包
JP5851109B2 (ja) バックル
CN108968305A (zh) 一种背包支撑结构和背包
KR100561773B1 (ko) 사이드 릴리스 타입의 버클 및 배낭
KR200284167Y1 (ko) 통풍수단이 구비된 배낭
US2361895A (en) Buckle
JP2006051207A (ja) 荷物移動補助ベルト
JP3107212U (ja) 荷物移動補助ベル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