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9589B1 -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9589B1
KR100589589B1 KR1020040034758A KR20040034758A KR100589589B1 KR 100589589 B1 KR100589589 B1 KR 100589589B1 KR 1020040034758 A KR1020040034758 A KR 1020040034758A KR 20040034758 A KR20040034758 A KR 20040034758A KR 100589589 B1 KR100589589 B1 KR 100589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light
pixels
data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4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9745A (ko
Inventor
김낙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40034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9589B1/ko
Publication of KR20050109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9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9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9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 A47C27/06Spring inlays
    • A47C27/063Spring inlays wrapped or otherwise protec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 A47C27/12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with special fibres, such as acrylic thread, coconut, horseh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48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of different resilien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5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Abstract

본 발명은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개시된 데이터 복원장치는, 이미지를 페이지 단위로 캡쳐하는 이미지 캡쳐부와, 캡쳐된 이미지에서 데이터 이미지를 추출하여 픽셀 단위로 순차적으로 선택하면서 중심 픽셀과 주변 픽셀들과의 광량 비교를 통해 중심 픽셀이 최대 광량을 가질 경우에 주변 픽셀들의 광량을 소정 비율로 중심 픽셀에 흡수시키는 샤프닝 처리를 수행하는 이미지 샤프닝부와, 샤프닝 처리된 이미지를 오버 샘플링 과정을 통해 엔코딩 전의 원 데이터 사이즈를 갖는 데이터 이미지로 변환하는 오버 샘플링부와, 오버 샘플링으로부터 추출되어진 엔코딩된 데이터 이미지를 엔코딩 전의 원 데이터로 디코딩하는 변조 디코딩부를 포함하며, 블러한 홀로그래픽 이미지를 샤프닝 처리를 통해 샤프하게 보정함에 있어서 픽셀의 광량값 왜곡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디지털 신호 처리 특성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RESTORATING DATA OF HOLOGRAPHIC SYSTEM AND METHOD THEREFO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미지 샤프닝 필터의 일 실시예로서 3×3 마스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 과정 중에서 CCD로 촬영된 이미지의 광량 분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이미지를 도 1의 이미지 샤프닝 필터로 처리할 경우의 광량 분포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래픽 시스템 데이터 복원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래픽 시스템 데이터 복원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6은 도 2에 나타낸 이미지를 본 발명에 따라 이미지 샤프닝 처리를 한 후의 광량 분포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이미지 캡쳐부 103 : 이미지 샤프닝부
105 : 오버 샘플링부 107 : 변조 디코딩부
109 : ECC 디코딩부
본 발명은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의 번짐으로 인해 블러(Blur)한 이미지를 샤프닝(Sharpening) 처리를 통해 샤프하게 보정하도록 한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의 대용량 및 고속 처리를 위해 광 기록매체로 수∼수백 Gbytes를 저장할 수 있는 홀로그래픽 기록 매체와 그 기록/재생 장치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홀로그래픽 데이터의 기록은 대상 물체로부터 반사된 신호광의 강도와 방향을 기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대상 물체의 빛의 강도와 방향은 신호광과 기준광의 간섭으로 이루어져 간섭 무늬를 만들게 되고, 이렇게 형성된 간섭 무늬는 간섭 무늬의 강도에 반응하는 물질로 이루어진 홀로그래픽 저장매체 속에 기록된다. 저장매체에 기록된 홀로그래픽 데이터는 기록 과정에서 사용된 기준광으로만 읽어 낼 수 있고, 기록시에 사용된 기준광과 파장 또는 위상이 다른 기준광은 저장매체에 기록된 홀로그래픽 데이터를 통과하여 읽어 내지 못한다.
이와 같은 홀로그래픽 성질을 이용하여 각각 다른 기준광으로 기록 매체의 같은 장소에 많은 홀로그래픽 데이터를 기록함으로써 작은 기록 매체 내부에 방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전형적인 홀로그래픽 디지털 저장 및 재생 시스템은, 홀로그래픽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모드 시에 광원에서 발생한 레이저광을 기준광과 신호광으로 분기시키고, 신호광을 외부 입력 데이터(즉, 저장하고자 하는 입력 데이터)에 따라 픽셀들이 명암을 이루는 한 페이지 단위의 2진 데이터로 변조하며, 변조된 신호광과 분기되어 기 설정된 편향 각으로 반사시킨 기록용 기준광을 서로 간섭시킴으로서 얻어지는 간섭 무늬를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홀로그래픽 데이터로써 저장매체에 기록한다.
이때, 저장매체에 기록되는 A×A(예컨대, 240×240)의 홀로그래픽 데이터는 일련의 전처리(예를 들면, 픽셀 데이터를 엔코딩하고 에러 정정 코드(패리티 비트) 등을 삽입하는 엔코딩 처리, 디코딩에서의 오버 샘플링을 위한 테두리 생성 처리 등) 과정을 통해 엔코딩된 후 공간 광 변조기(SLM)를 통해 신호광으로 변조되어 저장매체에 기록되며, 저장매체로부터 재생되는 A×A(예를 들면, 240×240)의 홀로그래픽 데이터(즉, 간섭무늬 형상 이미지)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을 통해 조사되어 (A+B)×(A+B)의 사이즈를 갖는 데이터 이미지(예를 들면, 1024×1024의 데이터 이미지)로 변환되고, 오버 샘플링 과정을 통해 엔코딩 전의 데이터, 즉 A×A 사이즈를 갖는 데이터 이미지(예를 들면, 240×240이 데이터 이미지)로 변환되며, 이후 ECC 디코딩 등의 과정을 통해 엔코딩 전의 원래 데이터로 복원된다.
아울러, 저장매체로부터 CCD에 의해 검출되는 한 페이지 단위의 이미지 데이터는 (A+B)×(A+B)의 사이즈, 예를 들면 1024×1024의 사이즈를 갖는데, 이러한 페이지 이미지에는 띠 모양의 테두리와 테두리 안에 720×720의 사이즈를 갖는 데이터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A+B)×(A+B) 사이즈의 데이터 이미지에서 원래의 데이터 크기인 A×B 데이터 이미지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A+B)×(A+B) 사이즈의 데이터 이미지에서 테두리를 검출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각 행 라인의 픽셀 총 합과 각 열 라인의 픽셀 총 합을 구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즉 각 행 라인의 픽셀 총 합과 각 열 라인의 픽셀 총 합을 구하면 양쪽에 유난히 큰 값을 가지는 라인이 존재하며, 이 라인들이 양쪽의 테두리 위치가 되는 것이다. 여기서, 테두리를 이루는 픽셀 라인의 총 합이 큰 값으로 나타나는 것은 실제 데이터 이미지 영역의 픽셀들은 "1"과 "0"의 픽셀 데이터 값들이 랜덤에게 혼재하는 형태를 갖는 반면에, 테두리의 형성하는 픽셀들이 모두 동일한 픽셀 데이터 값(예컨대, "1")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음에, 전술한 일련의 과정들을 통해 테두리를 검출한 후에 예컨대 테두리 안의 왼쪽 상단 모서리 부분에서부터 시작하여 오른쪽 상단 모서리 부분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해 가면서 각 라인별로 픽셀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원래의 데이터 이미지가 240×240 사이즈이고, 재생 측에서 CCD를 통해 얻은 데이터 이미지가 720×720 사이즈라고 가정할 때, 각 라인별로 두 개의 픽셀을 건너뛰어 픽셀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240×240 사이즈의 데이터 이미지를 추출하며, 이와 같이 추출된 240×240 사이즈의 데이터 이미지는 디지털 신호 처리된 후 디코더 측으로 전달되어 엔코딩 전의 원래 데이터로 디코딩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홀로그래픽 시스템에서는 CCD에 의해 검출되는 이미지에서 광의 번짐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이미지 픽셀의 번짐 현상은 주변 픽셀에 영향을 주어 에러를 발생하거나 신호 레벨의 차이가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도록 한다. 종래에는 비록 명확하지 않더라도 신호 레벨이 약간의 차이는 가지므로 이를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를 수행하였다.
따라서, 디지털 신호 처리의 개선을 위해서는 이미지 픽셀의 번짐 현상을 보상하여 픽셀의 밝고 어두운 부분이 명확하게 구분되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이미지 처리 방법으로서 공지의 이미지 샤프닝 처리 기술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이미지 샤프닝은 도 1과 같이 중심에 양의 값을 가지며 바깥 경계는 음의 값을 갖는 마스크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필터링하는 기술로서, 이미지의 상세한 부분들이 더욱 강조되고, 경계 부분의 대비 효과가 증가된다.
이미지 샤프닝 처리의 한 예로서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 과정 중에 CCD로 촬영된 이미지가 도 2의 광량 분포를 나타낼 경우에 도 1의 마스크를 이용한 샤프닝 처리 결과는 도 3과 같이 나타난다. 여기서 픽셀의 광량값은 0레벨부터 254레벨까지 구분된 총 255가지의 레벨값이다.
촬영 이미지 중에서 광량값이 92인 픽셀은 샤프닝 마스크에 의해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은 필터링 결과가 나타난다.
Figure 112004020646668-pat00001
촬영 이미지 중에서 광량값이 26인 픽셀은 샤프닝 마스크에 의해 아래의 수 학식 2와 같은 필터링 결과가 나타난다. 수학식 2의 결과로 -11이 산출되나 광량값은 음의 값을 가질 수 없으므로 0으로 결정된다.
Figure 112004020646668-pat00002
촬영 이미지 중에서 광량값이 17인 픽셀은 샤프닝 마스크에 의해 아래의 수학식 3과 같은 필터링 결과가 나타난다. 수학식 3의 결과로 -17.6이 산출되나 광량값은 음의 값을 가질 수 없으므로 0으로 결정된다.
Figure 112004020646668-pat00003
촬영 이미지 중에서 광량값이 82인 픽셀은 샤프닝 마스크에 의해 아래의 수학식 4와 같은 필터링 결과가 나타난다.
Figure 112004020646668-pat00004
전술한 바와 같은 샤프닝 마스크를 이용하여 홀로그래픽 이미지를 필터링 처리하면 블러한 이미지가 어느 정도 샤프하게 보정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픽셀들 중에서 밝은 픽셀의 광량값이 왜곡되는 문제가 나타난다. 즉 도 2와 도 3을 비교하여 보면 광량값이 92인 픽셀이 53.1로 왜곡되며, 광량값이 82인 픽셀은 48.6으로 왜곡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 블러한 홀로그래픽 이미지를 샤프닝 처리를 통해 샤프하게 보정함에 있어서 픽셀의 광량값 왜곡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디지털 신호 처리 특성을 개선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견지로서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장치는, 홀로그래픽 저장매체로부터 검출한 이미지를 원 데이터로 복원하는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장치로서, 이미지를 페이지 단위로 캡쳐하는 이미지 캡쳐부와, 캡쳐된 이미지에서 데이터 이미지를 추출하여 픽셀 단위로 순차적으로 선택하면서 중심 픽셀과 주변 픽셀들과의 광량 비교를 통해 중심 픽셀이 최대 광량을 가질 경우에 주변 픽셀들의 광량을 소정 비율로 중심 픽셀에 흡수시키는 샤프닝 처리를 수행하는 이미지 샤프닝부와, 샤프닝 처리된 이미지를 오버 샘플링 과정을 통해 엔코딩 전의 원 데이터 사이즈를 갖는 데이터 이미지로 변환하는 오버 샘플링부와, 오버 샘플링으로부터 추출되어진 엔코딩된 데이터 이미지를 엔코딩 전의 원 데이터로 디코딩하는 변조 디코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로서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방법은, 홀로그래픽 저장매체로부터 검출한 이미지를 원 데이터로 복원하는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방법으로서, 이미지를 페이지 단위로 캡쳐하여 캡쳐된 이미지에서 데이터 이미지를 추출한 후 픽셀 단위로 순차적으로 선택하면서 중심 픽셀과 주변 픽셀들과의 광량 비교를 통해 중심 픽셀이 최대 광량을 가질 경우에 주변 픽셀들의 광량을 소정 비율로 중심 픽셀에 흡수시키는 샤프닝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와, 샤프닝 처리된 이미지를 오버 샘플링 과정을 통해 엔코딩 전의 원 데이터 사이즈를 갖는 데이터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와, 오버 샘플링으로부터 추출되어진 엔코딩된 데이터 이미지를 엔코딩 전의 원 데이터로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로서 홀로그래픽 이미지의 샤프닝 처리방법은, 이미지를 픽셀 단위로 순차적으로 선택하면서 해당 픽셀의 광량과 기 설정된 기준 광량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노이즈를 판정하는 단계와, 노이즈로 판정되지 않은 픽셀에 대해 그 주변 픽셀들과의 광량 비교를 통해 최대 광량 픽셀을 판정하는 단계와, 주변 픽셀들의 광량을 소정 비율로 최대 광량 픽셀에 흡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래픽 시스템 데이터 복원장치는 도 1의 구성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장매체로부터 CCD에 의해 검출되는 이미지를 페이지 단위로 캡쳐하는 이미지 캡쳐부(101)와, 캡쳐된 이미지에서 데이터 이미지를 추출하여 픽셀 단위로 순차적으로 선택하면서 노이즈를 제외한 후 중심 픽셀과 주변 픽셀들과의 광량 비교를 통해 중심 픽셀이 최대 광량을 가질 경우에 주변 픽셀들의 광량을 소정 비율로 중심 픽셀에 흡수시키는 이미지 샤프닝부(103)와, 샤프닝 처리된 이미지를 오버 샘플링 과정을 통해 엔코딩 전의 원 데이터 사이즈를 갖는 데이터 이미지로 변환하는 오버 샘플링부(105)와, 오버 샘플링으로부터 추출되어진 엔코딩된 데이터 이미지를 엔코딩 전의 원 데이터로 디코딩하는 변조 디코딩부(107)와, 디코딩된 데이터 이미지에 삽입된 에러 정정 코드를 이용하는 에러 정정 디코딩을 통해 재생 데이터 이미지의 ECC 에러를 정정하는 ECC 디코딩부(10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홀로그래픽 시스템 데이터 복원장치에 의한 홀로그픽 데이터 복원과정을 도 2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이미지 캡쳐부(101)는 저장매체로부터 CCD에 의해 검출되는 이미지를 페이지 단위로 캡쳐하여 이미지 샤프닝부(103)로 전달하며, 이미지 샤프닝부(103)는 캡쳐된 이미지에서 테두리를 제외한 데이터 이미지를 추출한다(S202).
데이터 이미지의 추출을 위해 먼저 테두리를 검출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각 행 라인의 픽셀 총 합과 각 열 라인의 픽셀 총 합을 구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즉 각 행 라인의 픽셀 총 합과 각 열 라인의 픽셀 총 합을 구하면 양쪽에 유난히 큰 값을 가지는 라인이 존재하며, 이 라인들이 양쪽의 테두리 위치가 되는 것이다. 여기서, 테두리를 이루는 픽셀 라인의 총 합이 큰 값으로 나타나는 것은 실제 데이터 이미지 영역의 픽셀들은 "1"과 "0"의 픽셀 데이터 값들이 랜덤에게 혼재하는 형태를 갖는 반면에, 테두리의 형성하는 픽셀들이 모두 동일한 픽셀 데이터 값(예컨대, "1")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테두리가 검출되면 캡쳐된 이미지에서 실제 데이터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된 데이터 이미지를 픽셀 단위로 순차적으로 선택하면서 해당 픽셀의 광량과 기 설정된 노이즈 판정용 기준 광량을 비교하여 노이즈 여부를 판정한다. 예로서 픽셀의 광량값이 10 이하일 경우에는 노이즈로 판정한다(S204∼S206).
노이즈로 판정되지 않은 픽셀들은 중심 픽셀과 주변 픽셀들과의 광량 비교를 통해 중심 픽셀이 최대 광량을 가질 경우에 주변 픽셀들의 광량을 소정 비율로 최대 광량 픽셀에 흡수시키는 이지지 샤프닝 처리를 수행한다. 즉 주변 픽셀들의 광량을
Figure 112004020646668-pat00005
씩 감산한 후 주변 픽셀들에서 감산된 광량 총합을 중심 픽셀의 광량에 가산한다. 여기서 주변 픽셀들은 중심 픽셀이 중앙에 배치되는 3×3 픽셀 영역에 포함되는 픽셀들이다(S208∼S212).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샤프닝 처리의 한 예로서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 과정 중에 CCD로 촬영된 이미지가 도 2의 광량 분포를 나타낼 경우에 샤프닝 처리 결과는 도 6과 같이 나타난다.
먼저, 데이터 이미지의 1열 1행을 시작 픽셀로 하여 열 방향으로 픽셀들을 순차 선택하면서 해당 픽셀의 광량과 기 설정된 노이즈 판정용 기준 광량(일예로, 10)을 비교하여 노이즈를 판정하며, 노이즈로 판정되지 않은 픽셀은 그 주변 픽셀들과 광량을 비교하여 해당 픽셀이 최대 광량을 갖는 가를 판정한다. 여기서 노이즈로 판정된 픽셀을 제외하는 것은 이후의 샤프닝 처리에 의해 노이즈가 강조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이러한 픽셀 선택 과정을 수행하다 보면 1열에서는 해당 픽셀이 존재하지 않 으며, 다음으로 2열의 픽셀들을 열 방향으로 순차 선택하다 보면 2열 2행 픽셀이 해당 픽셀로 판정된다.
다음으로, 2열 2행 픽셀을 중심 픽셀로 하여 주변 픽셀들의 광량을
Figure 112004020646668-pat00006
씩 감산한 후 주변 픽셀들에서 감산된 광량 총합을 중심 픽셀의 광량에 가산하는 샤프닝 처리를 수행한다. 즉 광량값이 92인 2열 2행 픽셀은 아래의 수학식 5와 같은 샤프닝 결과가 나타난다.
Figure 112004020646668-pat00007
계속하여 픽셀 선택 과정을 수행하면 광량값이 82인 2열 5행 픽셀이 선택되며, 전술한 바와 같은 샤프닝 처리에 의해 아래의 수학식 6과 같은 결과가 나타난다.
Figure 112004020646668-pat00008
전술한 바와 같은 샤프닝 처리 결과를 나타낸 도 6을 살펴보면 중심 픽셀인 2열 2행 픽셀과 2열 5행 픽셀이 주변 픽셀들로부터 광량을 흡수하며, 이로써 광량차가 증대되므로 픽셀의 밝고 어두운 부분이 명확하게 구분된다. 즉 블러한 이미지는 광의 번짐 현상에 기인하므로 주변 픽셀들로 번진 광을 다시 중심 픽셀에 되돌려 줌으로써 이미지가 샤프하게 보정되는 것이다.
물론, 도 6을 참조하여 주변 픽셀들의 광량을
Figure 112004020646668-pat00009
씩 감산한 후 주변 픽셀들에서 감산된 광량 총합을 중심 픽셀의 광량에 가산하는 샤프닝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중심 픽셀이 주변 픽셀들로부터 광량을 흡수하는 비율은 얼마든지 변화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샤프닝 처리된 데이터 이미지는 오버 샘플링부(105)로 전달되며, 오버 샘플링부(105)는 오버 샘플링을 통해 엔코딩 전의 원 데이터 사이즈를 갖는 데이터 이미지로 변환한 후에 변조 디코딩부(107)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원래의 데이터 이미지가 240×240 사이즈이고, 샤프닝 처리된 데이터 이미지가 720×720 사이즈라고 가정할 때, 각 라인별로 두 개의 픽셀을 건너뛰어 픽셀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240×240 사이즈의 데이터 이미지를 추출하며, 이와 같이 추출된 240×240 사이즈의 데이터 이미지는 디지털 신호 처리된 후 변조 디코딩부(107)로 전달되는 것이다.
이어서, 변조 디코딩부(107)는 오버 샘플링으로부터 추출되어진 엔코딩된 데이터 이미지를 엔코딩 전의 원 데이터로 디코딩한다. 예를 들어 6:4, 8:6, 12:8 등 데이터 변환 방식으로 픽셀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ECC 디코딩부(109)는 디코딩된 데이터 이미지에 삽입된 에러 정정 코드를 이용하는 에러 정정 디코딩을 통해 재생 데이터 이미지의 ECC 에러를 정정하며, 이와 같이 에러 정정을 수행한 한 페이지의 데이터 이미지는 재생 측으로 전달된다.
앞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국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다.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블러한 홀로그래픽 이미지를 샤프닝 처리를 통해 샤프하게 보정함에 있어서 픽셀의 광량값 왜곡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로써 디지털 신호 처리 특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홀로그래픽 저장매체로부터 검출한 이미지를 원 데이터로 복원하는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장치로서,
    상기 이미지를 페이지 단위로 캡쳐하는 이미지 캡쳐부와,
    상기 이미지 캡쳐부를 통해 캡쳐한 이미지로부터 데이터 이미지를 추출하여 픽셀 단위로 순차적으로 선택하면서 중심 픽셀과 주변 픽셀들과의 광량 비교를 통해 상기 중심 픽셀이 최대 광량을 가질 경우에 상기 주변 픽셀들의 광량을 소정 비율로 상기 중심 픽셀에 흡수시키는 샤프닝 처리를 수행하는 이미지 샤프닝부와,
    상기 이미지 샤프닝부를 통해 상기 샤프닝 처리를 수행한 이미지를 오버 샘플링 과정을 통해 엔코딩 전의 원 데이터 사이즈를 갖는 데이터 이미지로 변환하는 오버 샘플링부와,
    상기 오버 샘플링부에 의한 상기 오버 샘플링 과정을 통해 변환된 데이터 이미지를 엔코딩 전의 원 데이터로 디코딩하는 변조 디코딩부
    를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샤프닝부는 상기 순차적으로 선택된 해당 픽셀의 광량과 기 설정된 기준 광량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노이즈를 판정한 후 상기 노이즈로 판정되지 않은 픽셀만을 선택적으로 상기 샤프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샤프닝부는 상기 샤프닝 처리시 상기 주변 픽셀들의 광량을
    Figure 112004020646668-pat00010
    씩 감산한 후 상기 주변 픽셀들에서 감산된 광량 총합을 상기 중심 픽셀의 광량에 가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픽셀들은 상기 중심 픽셀이 중앙에 배치되는 3×3 픽셀 영역에 포함되는 픽셀들인 것을 특징으로 한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장치.
  5. 홀로그래픽 저장매체로부터 검출한 이미지를 원 데이터로 복원하는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방법으로서,
    (a) 상기 이미지를 페이지 단위로 캡쳐하여 캡쳐된 이미지에서 데이터 이미지를 추출한 후 픽셀 단위로 순차적으로 선택하면서 중심 픽셀과 주변 픽셀들과의 광량 비교를 통해 상기 중심 픽셀이 최대 광량을 가질 경우에 상기 주변 픽셀들의 광량을 소정 비율로 상기 중심 픽셀에 흡수시키는 샤프닝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와,
    (b) 상기 (a) 단계를 통해 상기 샤프닝 처리를 수행한 이미지를 오버 샘플링 과정을 통해 엔코딩 전의 원 데이터 사이즈를 갖는 데이터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에 의한 상기 오버 샘플링 과정을 통해 변환된 데이터 이미지를 엔코딩 전의 원 데이터로 디코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순차적으로 선택된 해당 픽셀의 광량과 기 설정된 기준 광량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노이즈를 판정한 후 상기 노이즈로 판정되지 않은 픽셀만을 선택적으로 상기 샤프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데이터 이미지의 픽셀들을 열 방향으로 순차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샤프닝 처리시 상기 주변 픽셀들의 광량을
    Figure 112006020875428-pat00011
    씩 감산한 후 상기 주변 픽셀들에서 감산된 광량 총합을 상기 중심 픽셀의 광량에 가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방법.
  9. 제 5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픽셀들은 상기 중심 픽셀이 중앙에 배치되는 3×3 픽셀 영역에 포함되는 픽셀들인 것을 특징으로 한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방법.
  10. 홀로그래픽 이미지를 샤프닝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이미지를 픽셀 단위로 순차적으로 선택하면서 해당 픽셀의 광량과 기 설정된 기준 광량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노이즈를 판정하는 단계와,
    (b) 상기 (a) 단계에서 노이즈로 판정되지 않은 상기 픽셀 단위의 이미지에 대해 그 주변 픽셀들과의 광량 비교를 통해 최대 광량 픽셀을 판정하는 단계와,
    (c) 상기 주변 픽셀들의 광량을 소정 비율로 상기 최대 광량 픽셀에 흡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이미지의 샤프닝 처리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닝 처리방법은 상기 주변 픽셀들의 광량을
    Figure 112004020646668-pat00012
    씩 감산한 후 상기 주변 픽셀들에서 감산된 광량 총합을 상기 최대 광량 픽셀의 광량에 가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홀로그래픽 이미지의 샤프닝 처리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픽셀들은 상기 최대 광량 픽셀이 중앙에 배치되는 3×3 픽셀 영역에 포함되는 픽셀들인 것을 특징으로 한 홀로그래픽 이미지의 샤프닝 처리방법.
KR1020040034758A 2004-05-17 2004-05-17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장치 및 방법 KR100589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758A KR100589589B1 (ko) 2004-05-17 2004-05-17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758A KR100589589B1 (ko) 2004-05-17 2004-05-17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9745A KR20050109745A (ko) 2005-11-22
KR100589589B1 true KR100589589B1 (ko) 2006-06-14

Family

ID=37285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4758A KR100589589B1 (ko) 2004-05-17 2004-05-17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95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473B1 (ko) * 2013-12-27 2020-08-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3d 홀로그램 생성 장치 및 3d 홀로그램 생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9745A (ko) 2005-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04612B2 (ja) ホログラフィックシステムで再生されたデータイメージを補償する装置及びその方法
US20100061213A1 (en) Optical holographic device and method with gain compensation
JP2012013901A (ja) ホログラム再生画像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KR100589589B1 (ko)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장치 및 방법
JPH11272151A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方法
JP4662081B2 (ja) ホログラム記録装置及び方法、ホログラム再生装置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589590B1 (ko)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장치 및 방법
JP5023916B2 (ja) ホログラム復号装置、及びホログラム復号方法
KR100551374B1 (ko) 홀로그램 데이터 엔코딩/디코딩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267539A (ja) 歪除去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ホログラムデータ再生装置
KR100589588B1 (ko) 홀로그램 데이터 엔코딩/디코딩 시스템 및 그 방법
TW20083006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on and/or from holographic storage medium
JP2006259816A (ja) デジタルイメージ2値化装置、デジタルイメージ2値化方法及びデジタルデータ再生装置
KR100588966B1 (ko) 홀로그램 데이터 엔코딩/디코딩 시스템 및 그 방법
JP7189742B2 (ja) 復号装置、ホログラム再生装置、及び復号方法
JP7212543B2 (ja) 復号装置、ホログラム再生装置、及び復号方法
KR100579627B1 (ko) 홀로그램 재생 시스템의 포커싱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Ou-Yang et al. A gray level weighting method to reduce optical aberration effect in holographic data storage system
KR100682259B1 (ko)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서 최적 프레임검출 방법
JP2010015635A (ja) 2次元信号変換装置、2次元信号変換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N101193247B (zh) 全像光学储存系统中侦测与补偿损坏像素的方法
KR100794026B1 (ko) 광정보 기록방법, 광정보 검출방법 및 광정보 검출장치
US9940964B2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device, optical information reproducing device, and optical information reproducing method
JP2007279430A (ja) データ記録再生装置
KR20090071121A (ko) 광정보 처리장치 및 광정보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