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9590B1 -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9590B1
KR100589590B1 KR1020040032808A KR20040032808A KR100589590B1 KR 100589590 B1 KR100589590 B1 KR 100589590B1 KR 1020040032808 A KR1020040032808 A KR 1020040032808A KR 20040032808 A KR20040032808 A KR 20040032808A KR 100589590 B1 KR100589590 B1 KR 100589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mage
pixel
unit
bi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2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7707A (ko
Inventor
김낙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40032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9590B1/ko
Publication of KR20050107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9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9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65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by using optical interference patterns, e.g.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2Details of features involved during the holographic process; Replication of holograms without interference recording
    • G03H2001/0208Individual components other than the hologram
    • G03H2001/0224Active addressable light modulator, i.e. Spatial Light Modulator [SL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18Particular processing of hologram record carriers, e.g. for obtaining blazed holograms
    • G03H2001/186Swelling or shrinking the holographic record or compensation thereof, e.g. for controlling the reconstructed wavelengt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60/00Recording materials or recording processes
    • G03H2260/50Reactivity or recording processes
    • G03H2260/54Photorefractive reactivity wherein light induces photo-generation, redistribution and trapping of charges then a modification of refractive index, e.g. photorefractive polymer

Abstract

본 발명은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개시된 복원장치는 이미지를 페이지 단위로 캡쳐하는 이미지 캡쳐부와, 캡쳐된 이미지에서 데이터 이미지를 추출하여 원 데이터의 이미지 크기와 비교해 구간화 크기를 결정한 후 픽셀들의 광강도를 기준으로 하여 구간화 위치가 결정되면 캡쳐된 이미지를 픽셀 구간화하는 픽셀 구간화부와, 캡쳐된 이미지의 구간화에 의한 단위 픽셀 구간을 인식하여 1:1 픽셀 매칭을 이용한 오버 샘플링을 수행하는 오버 샘플링부와, 오버 샘플링으로부터 추출되어진 엔코딩된 데이터 이미지를 엔코딩 전의 원 데이터로 디코딩하는 변조 디코딩부를 포함하며, 캡쳐된 이미지의 픽셀 구간화를 통해 1:1 픽셀 매칭을 구현함으로써 오버 샘플링 시간을 단축시켜 궁극적으로는 데이터 복원 속도를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RESTORATING DATA OF HOLOGRAPHIC SYSTEM AND METHOD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래픽 시스템 데이터 복원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래픽 시스템 데이터 복원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래픽 시스템 데이터 복원방법 중의 하나인 픽셀 구간화 과정의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이미지 캡쳐부 103 : 픽셀 구간화부
105 : 오버 샘플링부 107 : 변조 디코딩부
109 : ECC 디코딩부
본 발명은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캡쳐된 이미지의 픽셀 구간화(Binning)를 통해 1:1 픽셀 매칭을 구현하는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의 대용량 및 고속 처리를 위해 광 기록매체로 수 ∼수백 Gbytes를 저장할 수 있는 홀로그래픽 기록 매체와 그 기록/재생 장치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홀로그래픽 데이터의 기록은 대상 물체로부터 반사된 신호광의 강도와 방향을 기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대상 물체의 빛의 강도와 방향은 신호광과 기준광의 간섭으로 이루어져 간섭 무늬를 만들게 되고, 이렇게 형성된 간섭 무늬는 간섭 무늬의 강도에 반응하는 물질로 이루어진 홀로그래픽 저장매체 속에 기록된다. 저장매체에 기록된 홀로그래픽 데이터는 기록 과정에서 사용된 기준광으로만 읽어 낼 수 있고, 기록시에 사용된 기준광과 파장 또는 위상이 다른 기준광은 저장매체에 기록된 홀로그래픽 데이터를 통과하여 읽어 내지 못한다.
이와 같은 홀로그래픽 성질을 이용하여 각각 다른 기준광으로 기록 매체의 같은 장소에 많은 홀로그래픽 데이터를 기록함으로써 작은 기록 매체 내부에 방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전형적인 홀로그래픽 디지털 저장 및 재생 시스템은, 홀로그래픽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모드 시에 광원에서 발생한 레이저광을 기준광과 신호광으로 분기시키고, 신호광을 외부 입력 데이터(즉, 저장하고자 하는 입력 데이터)에 따라 픽셀들이 명암을 이루는 한 페이지 단위의 2진 데이터로 변조하며, 변조된 신호광과 분기되어 기 설정된 편향 각으로 반사시킨 기록용 기준광을 서로 간섭시킴으로서 얻어지는 간섭 무늬를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홀로그래픽 데이터로써 저장매체에 기록한다.
이때, 저장매체에 기록되는 A×A(예컨대, 240×240)의 홀로그래픽 데이터는 일련의 전처리(예를 들면, 픽셀 데이터를 엔코딩하고 에러 정정 코드(패리티 비트) 등을 삽입하는 엔코딩 처리, 디코딩에서의 오버 샘플링을 위한 테두리 생성 처리 등) 과정을 통해 엔코딩된 후 공간 광 변조기(SLM)를 통해 신호광으로 변조되어 저장매체에 기록되며, 저장매체로부터 재생되는 A×A(예를 들면, 240×240)의 홀로그래픽 데이터(즉, 간섭무늬 형상 이미지)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을 통해 조사되어 (A+B)×(A+B)의 사이즈를 갖는 데이터 이미지(예를 들면, 1024×1024의 데이터 이미지)로 변환되고, 오버 샘플링 과정을 통해 엔코딩 전의 데이터, 즉 A×A 사이즈를 갖는 데이터 이미지(예를 들면, 240×240이 데이터 이미지)로 변환되며, 이후 ECC 디코딩 등의 과정을 통해 엔코딩 전의 원래 데이터로 복원된다.
아울러, 저장매체로부터 CCD에 의해 검출되는 한 페이지 단위의 이미지 데이터는 (A+B)×(A+B)의 사이즈, 예를 들면 1024×1024의 사이즈를 갖는데, 이러한 페이지 이미지에는 띠 모양의 테두리와 테두리 안에 720×720의 사이즈를 갖는 데이터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A+B)×(A+B) 사이즈의 데이터 이미지에서 원래의 데이터 크기인 A×B 데이터 이미지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A+B)×(A+B) 사이즈의 데이터 이미지에서 테두리를 검출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각 행 라인의 픽셀 총 합과 각 열 라인의 픽셀 총 합을 구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즉 각 행 라인의 픽셀 총 합과 각 열 라인의 픽셀 총 합을 구하면 양쪽에 유난히 큰 값을 가지는 라인이 존재하며, 이 라인들이 양쪽의 테두리 위치가 되는 것이다. 여기서, 테두리를 이루는 픽셀 라인의 총 합이 큰 값으로 나타나는 것은 실제 데이터 이미지 영역의 픽셀들은 "1"과 "0"의 픽셀 데이터 값들이 랜덤에게 혼재하는 형태를 갖는 반면에, 테두리의 형성하는 픽셀들이 모두 동일한 픽셀 데이터 값(예컨대, "1")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음에, 전술한 일련의 과정들을 통해 테두리를 검출한 후에 예컨대 테두리 안의 왼쪽 상단 모서리 부분에서부터 시작하여 오른쪽 상단 모서리 부분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해 가면서 각 라인별로 픽셀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원래의 데이터 이미지가 240×240 사이즈이고, 재생 측에서 CCD를 통해 얻은 데이터 이미지가 720×720 사이즈라고 가정할 때, 각 라인별로 두 개의 픽셀을 건너뛰어 픽셀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240×240 사이즈의 데이터 이미지를 추출하며, 이와 같이 추출된 240×240 사이즈의 데이터 이미지는 디코더 측으로 전달되어 엔코딩 전의 원래 데이터로 디코딩 된다.
특히, 오버 샘플링 과정은 현재 3*3이나 2*2 오버 샘플링을 이용하지만 궁극적인 목적은 1:1 픽셀 매칭이라 할 것이다. 1:1 픽셀 매칭은 더 많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더 빨리 오버 샘플링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1:1 매칭을 사용하려면 픽셀 내부에 비교적 정확하게 광점이 맺혀야 한다. 그러나 CCD를 통해 캡쳐되는 이미지는 이미지마다 광점의 위치가 약간씩 변하고 또한 확대, 축소, 회전 등의 문제로 인해 광점의 위치가 약간씩 틀어지게 된다. 따라서 광점이 두 픽셀 사이에 걸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에는 더 작은 단위의 세부 픽셀로 나누어서 3*3이나 2*2로 분석하여 데이터를 추출하였다.
디코딩 과정은 오버 샘플링으로부터 추출되어진 엔코딩된 데이터 이미지를 엔코딩 전의 원 데이터로 디코딩, 예를 들어 6:4, 8:6, 12:8 등 데이터 변환 방식으로 픽셀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재생 데이터 이미지에 삽입된 에러 정정 코드를 이용하는 에러 정정 디코딩을 통해 재생 데이터 이미지의 ECC 에러를 정정하며, 이와 같이 에러 정정을 수행한 한 페이지의 데이터 이미지는 재생 측으로 전달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홀로그래픽 시스템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3*3이나 2*2 오버 샘플링을 수행함에 따라 1:1 픽셀 매칭에 비하여 오버 샘플링의 소요 시간이 늘어나서 결과적으로는 데이터 복원 속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 캡쳐된 이미지의 픽셀 구간화를 통해 1:1 픽셀 매칭을 구현함으로써 오버 샘플링 시간을 단축시켜 궁극적으로는 데이터 복원 속도를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견지로서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장치는, 홀로그래픽 저장매체로부터 검출한 이미지를 원 데이터로 복원하는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장치로서, 이미지를 페이지 단위로 캡쳐하는 이미지 캡쳐부와, 캡쳐된 이미지에서 데이터 이미지를 추출하여 원 데이터의 이미지 크기와 비교해 구간화 크기를 결정한 후 픽셀들의 광강도를 기준으로 하여 구간화 위치가 결정되면 캡쳐된 이미지를 픽셀 구간화하는 픽셀 구간화부와, 캡쳐된 이미지의 구간화에 의한 단위 픽셀 구간을 인식하여 1:1 픽셀 매칭을 이용한 오버 샘플링을 수행하는 오버 샘플링부와, 오버 샘플링으로부터 추출되어진 엔코딩된 데이터 이미지를 엔코딩 전의 원 데이터로 디코딩하는 변조 디코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로서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방법은, 홀로그래픽 저장매체로부터 검출한 이미지를 원 데이터로 복원하는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방법으로서, 이미지를 페이지 단위로 캡쳐하여 캡쳐된 이미지에서 데이터 이미지를 추출한 후 원 데이터의 이미지 크기와 비교해 구간화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와, 데이터 이미지의 픽셀별 광강도를 기준으로 하여 구간화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캡쳐된 이미지를 결정된 구간화 크기 및 위치에 따라 픽셀 구간화하는 단계와, 구간화에 의한 단위 픽셀 구간을 인식하여 1:1 픽셀 매칭을 이용한 오버 샘플링을 수행하는 단계와, 오버 샘플링으로부터 추출되어진 엔코딩된 데이터 이미지를 엔코딩 전의 원 데이터로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요지는, CCD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의 픽셀 구간화를 통해 1:1 픽셀 매칭을 구현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1:1 픽셀 매칭을 사용할 수 없었던 이유는 각각의 이미지마다 광점이 맺히는 위치가 변하기 때문이었으나 픽셀 구간화를 통해 픽셀 크기를 적당히 조절하면 각각의 이미지 광점이 벗어나는 정도가 그다지 크지 않기 때문에 광점이 벗어나도 에러를 피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래픽 시스템 데이터 복원장치는 도 1의 구성도에 나타 낸 바와 같이, 저장매체로부터 CCD에 의해 검출되는 이미지를 페이지 단위로 캡쳐하는 이미지 캡쳐부(101)와, 캡쳐된 이미지에서 데이터 이미지를 추출하여 공간 광 변조기(SLM)의 이미지 크기와 비교해 구간화 크기를 결정한 후 최대 광강도를 갖는 픽셀을 기준으로 하여 구간화 위치가 결정되면 캡쳐된 이미지를 픽셀 구간화하는 픽셀 구간화부(103)와, 캡쳐된 이미지의 단위 픽셀 구간을 인식하여 1:1 픽셀 매칭을 이용한 오버 샘플링을 수행하는 오버 샘플링부(105)와, 오버 샘플링으로부터 추출되어진 엔코딩된 데이터 이미지를 엔코딩 전의 원 데이터로 디코딩하는 변조 디코딩부(107)와, 디코딩된 데이터 이미지에 삽입된 에러 정정 코드를 이용하는 에러 정정 디코딩을 통해 재생 데이터 이미지의 ECC 에러를 정정하는 ECC 디코딩부(10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홀로그래픽 시스템 데이터 복원장치에 의한 홀로그픽 데이터 복원과정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이미지 캡쳐부(101)는 저장매체로부터 CCD에 의해 검출되는 이미지를 페이지 단위로 캡쳐하여 픽셀 구간화부(103)로 전달하며, 픽셀 구간화부(103)는 캡쳐된 이미지에서 테두리를 제외한 데이터 이미지를 추출한다.
데이터 이미지의 추출을 위해 먼저 테두리를 검출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각 행 라인의 픽셀 총 합과 각 열 라인의 픽셀 총 합을 구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즉 각 행 라인의 픽셀 총 합과 각 열 라인의 픽셀 총 합을 구하면 양쪽에 유난히 큰 값을 가지는 라인이 존재하며, 이 라인들이 양쪽의 테두리 위치가 되는 것이다. 여기서, 테두리를 이루는 픽셀 라인의 총 합이 큰 값으로 나타나는 것은 실제 데이터 이미지 영역의 픽셀들은 "1"과 "0"의 픽셀 데이터 값들이 랜덤에게 혼재하는 형태를 갖는 반면에, 테두리를 형성하는 픽셀들이 모두 동일한 픽셀 데이터 값(예컨대, "1")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테두리가 검출되면 캡쳐된 이미지에서 실제 데이터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된 데이터 이미지의 크기와 공간 광 변조기의 이미지 크기를 비교해 구간화 크기를 결정한다. 일예로, 공간 광 변조기의 원래 이미지 X축×Y축 크기가 240×240이고, 추출된 데이터 이미지의 X축×Y축 크기가 960×960일 경우에는 추출된 데이터 이미지 크기를 원래 이미지 크기로 나누어서 구간화 X축×Y축 크기가 4×4(∵ 960/240 = 4)로 결정된다(S202).
이후, 픽셀 구간화부(103)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 장의 캡쳐 이미지에 대해 테두리 검출을 수행하여 실제 데이터 이미지들을 추출하며, 추출된 데이터 이미지들의 좌측 상단에 위치한 구간화 크기 영역(311, 321)에서 광강도가 최대인 픽셀들(312, 322)의 위치를 찾는다. 이후 최대 광강도 픽셀들(312, 322)이 모두 포함되도록 정방형 픽셀 영역(330)으로 묶은 후, 정방형 픽셀 영역(330)에 대각선 방향으로 인접한 픽셀들 중에서 좌측 상단에 위치한 픽셀(340)을 구간화의 시작 위치로 하여 픽셀 구간화 위치(350)를 결정한다(S204). 도 3에서 참조부호 311, 321로 기재된 실제 데이터 이미지들은 추출된 전체 데이터 이미지를 도시한 것이 아니라 추출된 전체 데이터 이미지 중에서 좌측 상단에 위치한 구간화 크기 영역만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정방형 픽셀 영역(33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2×2 픽셀 크기로 묶일 수도 있고, 더 큰 크기로 묶일 수도 있다. 도 3의 실시 예에서는 첫 번째(또는 두 번째) 이미지에서 광강도가 최대인 픽셀이 312이고, 두 번째(또는 첫 번째) 이미지에서 광강도가 최대인 픽셀이 322일 때에 정방형 픽셀 영역(330)이 2×2 픽셀 크기로 묶이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이와 같이 픽셀 구간화의 위치가 결정되면 이미지 캡쳐부(101)는 CCD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픽셀 구간화부(103)에 제공하며, 픽셀 구간화부(103)는 단계 S204에서 결정된 구간화 위치와 단계 S202에서 결정된 구간화 크기에 의거하여 페이지 단위의 이미지 데이터들을 픽셀 구간화한다(S206∼S208).
그리고, 오버 샘플링부(105)는 단계 S208에서 구간화된 단위 픽셀 구간의 광량을 합산하여 1:1 픽셀 매칭을 이용한 오버 샘플링을 수행한다(S210).
이어서, 변조 디코딩부(107)는 단계 S210의 오버 샘플링으로부터 추출되어진 엔코딩된 데이터 이미지를 엔코딩 전의 원 데이터로 디코딩한다. 예를 들어 6:4, 8:6, 12:8 등 데이터 변환 방식으로 픽셀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것이다(S212).
다음으로, ECC 디코딩부(109)는 디코딩된 데이터 이미지에 삽입된 에러 정정 코드를 이용하는 에러 정정 디코딩을 통해 재생 데이터 이미지의 ECC 에러를 정정하며, 이와 같이 에러 정정을 수행한 한 페이지의 데이터 이미지는 재생 측으로 전달된다(S214).
여기서, ECC 디코딩 과정 중에 ECC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각각의 이미지가 동일한 디바이스에서 기록되었을 경우에는 각각의 이미지 광점이 벗어나는 정도가 그다지 크지 않으나 다른 디바이스에서 기록된 경우에는 많이 벗어난 위치에서 광점이 맺힐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ECC 에러가 발생하면 ECC 디코딩부(109)는 ECC 에러 신호를 생성하여 픽셀 구간화부(103)로 전달하며, 픽셀 구간화부(103)는 ECC 에러 신호가 입력되면 단계 S204에서 수행하였던 픽셀 구간화의 위치 결정 과정을 다시 수행한 후에 갱신된 구간화 위치에 의거하여 이후의 픽셀 구간화를 수행한다(S216).
앞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국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다.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 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캡쳐된 이미지의 픽셀 구간화를 통해 1:1 픽셀 매칭을 구현함으로써 오버 샘플링 시간을 단축시켜 궁극적으로는 데이터 복원 속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홀로그래픽 저장매체로부터 검출한 이미지를 원 데이터로 복원하는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장치로서,
    상기 이미지를 페이지 단위로 캡쳐하는 이미지 캡쳐부와,
    상기 캡쳐된 이미지에서 데이터 이미지를 추출하여 상기 원 데이터의 이미지 크기와 비교해 구간화 크기를 결정한 후 픽셀들의 광강도를 기준으로 하여 구간화 위치가 결정되면 상기 캡쳐된 이미지를 픽셀 구간화하는 픽셀 구간화부와,
    상기 캡쳐된 이미지의 상기 구간화에 의한 단위 픽셀 구간을 인식하여 1:1 픽셀 매칭을 이용한 오버 샘플링을 수행하는 오버 샘플링부와,
    상기 오버 샘플링으로부터 추출되어진 엔코딩된 데이터 이미지를 엔코딩 전의 원 데이터로 디코딩하는 변조 디코딩부
    를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된 데이터 이미지에 삽입된 에러 정정 코드를 이용하는 에러 정정 디코딩을 통해 재생 데이터 이미지의 ECC 에러를 정정하는 ECC 디코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ECC 디코딩부는 상기 ECC 에러가 발생하면 ECC 에러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픽셀 구간화부로 전달하며, 이를 전달받은 상기 픽셀 구간화부는 상기 픽셀 구간화의 위치를 다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구간화부는 상기 캡쳐된 이미지에서 데이터 이미지를 제외한 실제 데이터 이미지를 추출한 후에 상기 추출된 데이터의 이미지 크기를 상기 원 데이터의 이미지 크기로 나누어 상기 구간화 크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구간화부는 여러 장의 캡쳐 이미지에 대해 테두리 검출을 수행하여 데이터 이미지들을 추출하며, 추출된 데이터 이미지들의 좌측 상단에 위치한 상기 구간화 크기 영역에서 광강도가 최대인 픽셀들의 위치를 찾으며, 상기 최대 광강도 픽셀들이 모두 포함되도록 정방형 픽셀 영역으로 묶은 후, 상기 정방형 픽셀 영역에 대각선 방향으로 인접한 픽셀들 중에서 좌측 상단에 위치한 픽셀을 구간화의 시작 위치로 하여 상기 구간화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 샘플링부는 상기 단위 픽셀 구간의 광량을 합산하여 1:1 픽셀 매칭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장치.
  6. 홀로그래픽 저장매체로부터 검출한 이미지를 원 데이터로 복원하는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방법으로서,
    상기 이미지를 페이지 단위로 캡쳐하여 캡쳐된 이미지에서 데이터 이미지를 추출한 후 상기 원 데이터의 이미지 크기와 비교해 구간화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이미지의 픽셀별 광강도를 기준으로 하여 구간화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캡쳐된 이미지를 상기 결정된 구간화 크기 및 위치에 따라 픽셀 구간화하는 단계와,
    상기 구간화에 의한 단위 픽셀 구간을 인식하여 1:1 픽셀 매칭을 이용한 오버 샘플링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오버 샘플링으로부터 추출되어진 엔코딩된 데이터 이미지를 엔코딩 전의 원 데이터로 디코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된 데이터 이미지에 삽입된 에러 정정 코드를 이용하는 에러 정정 디코딩을 통해 재생 데이터 이미지의 ECC 에러를 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ECC 에러 정정단계에서 상기 ECC 에러가 발생하면 상기 픽셀 구간화의 위치를 다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화 크기 결정단계는 상기 캡쳐된 이미지에서 데이터 이미지를 제외한 실제 데이터 이미지를 추출한 후에 상기 추출된 데이터의 이미지 크기를 상기 원 데이터의 이미지 크기로 나누어 상기 구간화 크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화 위치 결정단계는 여러 장의 캡쳐 이미지에 대해 테두리 검출을 수행하여 데이터 이미지들을 추출하며, 추출된 데이터 이미지들의 좌측 상단에 위치한 상기 구간화 크기 영역에서 광강도가 최대인 픽셀들의 위치를 찾으며, 상기 최대 광강도 픽셀들이 모두 포함되도록 정방형 픽셀 영역으로 묶은 후, 상기 정방형 픽셀 영역에 대각선 방향으로 인접한 픽셀들 중에서 좌측 상단에 위치한 픽셀을 구간화의 시작 위치로 하여 상기 구간화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 샘플링 단계는 상기 단위 픽셀 구간의 광량을 합산하여 1:1 픽셀 매칭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방법.
KR1020040032808A 2004-05-10 2004-05-10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장치 및 방법 KR100589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808A KR100589590B1 (ko) 2004-05-10 2004-05-10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808A KR100589590B1 (ko) 2004-05-10 2004-05-10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707A KR20050107707A (ko) 2005-11-15
KR100589590B1 true KR100589590B1 (ko) 2006-06-14

Family

ID=37284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2808A KR100589590B1 (ko) 2004-05-10 2004-05-10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95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871B1 (ko) * 2005-12-22 2007-02-0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광정보 검출장치, 이를 이용한 광정보 검출방법
KR100676870B1 (ko) * 2005-12-22 2007-02-0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광 정보 검출 방법 및 광 정보 검출기
KR100794026B1 (ko) * 2006-11-21 2008-01-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광정보 기록방법, 광정보 검출방법 및 광정보 검출장치
KR101456297B1 (ko) * 2007-12-27 2014-11-04 메이플 비젼 테크놀로지스 인크. 오버샘플링 이미지의 패턴 검출방법, 이를 이용한 광정보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707A (ko) 2005-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810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data image reproduced from holographic system
KR930020305A (ko) 전하결합소자/전하변조소자 카메라를 사용한 2차원 바코드 해독용 장치와 그 방법
KR100589590B1 (ko)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장치 및 방법
EP153146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holographic data reproduced from a holographic medium
JPH11272151A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方法
KR100999099B1 (ko)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
KR100601283B1 (ko) 홀로그램 재생 시스템에서의 오우버 샘플링용 얼라인 마크검출 장치 및 그 방법
US20010055259A1 (en) Digital signal recording/reproducing method
KR100589589B1 (ko)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장치 및 방법
KR100569480B1 (ko) 홀로그래픽 데이터 인코딩/디코딩 방법
KR100551374B1 (ko) 홀로그램 데이터 엔코딩/디코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89620B1 (ko) 홀로그래픽 데이터 엔코딩/디코딩 방법
KR100589588B1 (ko) 홀로그램 데이터 엔코딩/디코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88966B1 (ko) 홀로그램 데이터 엔코딩/디코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79627B1 (ko) 홀로그램 재생 시스템의 포커싱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589594B1 (ko) 홀로그래픽 데이터 엔코딩/디코딩 방법
KR100728817B1 (ko) 광 정보 검출 방법, 광 정보 검출기 및 광 정보 처리 방법
KR100555920B1 (ko) Hdds 시스템에서 재생 시 디스토션 이미지 오버샘플링방법
KR100551384B1 (ko) 홀로그래픽 데이터 디코딩 방법
KR100794026B1 (ko) 광정보 기록방법, 광정보 검출방법 및 광정보 검출장치
KR101084093B1 (ko) Hdds 시스템에서 이미지의 회전 검출방법
KR100657690B1 (ko) 홀로그래픽 데이터 인코딩/디코딩 방법
KR100717588B1 (ko) 광정보 검출 방법 및 장치, 광정보 처리장치
CN101193247B (zh) 全像光学储存系统中侦测与补偿损坏像素的方法
KR100682259B1 (ko)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서 최적 프레임검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