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9099B1 -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 - Google Patents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9099B1
KR100999099B1 KR1020090011265A KR20090011265A KR100999099B1 KR 100999099 B1 KR100999099 B1 KR 100999099B1 KR 1020090011265 A KR1020090011265 A KR 1020090011265A KR 20090011265 A KR20090011265 A KR 20090011265A KR 100999099 B1 KR100999099 B1 KR 100999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ixel data
recording
pixel
overla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2081A (ko
Inventor
이연호
이종서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11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9099B1/ko
Priority to US12/393,841 priority patent/US8094538B2/en
Publication of KR20100092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65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by using optical interference patterns, e.g. hologra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Landscapes

  • Holo Graphy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2차원의 픽셀 데이터 페이지를 기록 매질에 기록하기 위한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픽셀 데이터 페이지에 포함된 1차원의 픽셀 데이터 라인들 각각에 상응하는 신호광을 기준광을 이용하여 상기 기록 매질에 순차 기록하되, 기록 위치를 기준으로 이웃하게 될 2개의 상기 픽셀 데이터 라인에 관한 신호광 간이 상기 기록 매질에서 서로 중첩되는 영역을 가지면서 기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기록 매질, 패리티 데이터.

Description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Method for recording data in holography optical memory system}
본 발명은 광메모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기록 매체로서 광 디스크(optical disc)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광 디스크는 기록 밀도를 더 높이기 위해서 빔 스팟(beam spot)의 지름을 작게 하고, 인접 트랙 또는 인접 비트의 거리를 짧게 하는 등의 기술이 필요하다. 그러나 광 디스크의 기록 밀도는 빛의 회절로 인해 현재 물리적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광 디스크 등과 같은 기록 매체를 대체할 차세대 메모리로서, 3차원적 다중 기록이 가능함에서 유래하는 대용량성과 2차원적 일괄 기록 및 재생이 가능함에서 유래하는 고속성을 겸비한 홀로그래피 광메모리(holography optical memory)가 주목받고 있다. 홀로그래피 광메모리에서의 정보의 기록 및 재 생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광굴절 결정체나 포토 폴리머 등과 같은 기록 매질에 기록하고자 하는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광(signal beam)을 기준광(reference beam)과 함께 조사하게 되면, 그 두 개의 광 사이의 간섭에 따른 간섭 패턴이 상기 기록 매질 내에서 굴절률의 변화로서 인식되어 기록된다. 이후 정보의 재생시에는 기록 매질에 상기 기준광만을 조사함으로써, 기록 정보를 재생(복원)해낼 수 있다.
그러나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기록 및 재생 과정에서도 정보 기록시의 에러 또는 재생시의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 기록시의 에러 혹은 정보 재생시의 에러는 메모리 시스템의 정확성 및 신뢰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 기술에서는 리드 솔로몬 코드 등과 같은 별도의 에러 수정 코드를 생성한 후, 이를 기록 매질에 함께 저장하는 방법 등을 통해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방법은 에러 수정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복잡한 전처리 과정을 거쳐야 함은 물론, 에러 수정 코드의 인코딩을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에러 수정 코드 등을 생성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에러 수정 코드의 생성을 위한 복잡한 전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고서도, 정보의 기록 및 재생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에러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는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2차원의 픽셀 데이터 페이지를 기록 매질에 기록하기 위한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픽셀 데이터 페이지에 포함된 1차원의 픽셀 데이터 라인들 각각에 상응하는 신호광을 기준광을 이용하여 상기 기록 매질에 순차 기록하되, 기록 위치를 기준으로 이웃하게 될 2개의 상기 픽셀 데이터 라인에 관한 신호광 간이 상기 기록 매질에서 서로 중첩되는 영역을 가지면서 기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픽셀 데이터 페이지가 M×N 행렬 형태(여기서, M 및 N은 각각 2 이상의 임의의 자연수)를 갖는 경우, 상기 픽셀 데이터 라인들은 상기 픽셀 데이터 페이지에서 행 방향으로 N개의 픽셀 데이터를 갖는 M개의 픽셀 데이터 라인 또는 열 방향으로 M개의 픽셀 데이터를 갖는 N개의 픽셀 데이터 라인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록 매질에서의 전체 기록 영역은 비중첩 기록 영역과 상기 비중첩 기록 영역의 사이 마다에 존재하는 상기 중첩 기록 영역으로 구분되되, 상기 비중첩 기록 영역에는 상기 픽셀 데이터 라인들 각각에 관한 원본 데이터가 기록되고, 상기 중첩 기록 영역에는 기록 위치를 기준으로 이웃하게 될 2개의 픽셀 데이터 라인에 관한 신호광 간의 중첩에 따른 패리티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픽셀 데이터 페이지를 구성하는 본래의 픽셀 데이터가 광강도에 따라 '0' 또는 '1'의 값으로 구분되는 2진 데이터인 경우, 상기 패리티 데이터는 상기 픽셀 데이터 라인에 상응하는 신호광 간의 중첩에 의한 광강도에 따라 구분되는 3진 데이터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픽셀 데이터 페이지에 포함된 1차원의 픽셀 데이터 라인들을 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동일 그룹에 속한 픽셀 데이터 라인들은 동일한 데이터 페이지에 포함되도록, 상기 픽셀 데이터 페이지를 2개의 서브 페이지로 재구성하는 단계; 및 기록 위치를 기준으로 이웃하게 될 2개의 상기 픽셀 데이터 라인에 관한 신호광 간이 상기 기록 매질에서 서로 중첩되는 영역을 가지면서 기록되도록, 상기 2개의 서브 페이지에 상응하는 각각의 신호광을 기준광을 이용하여 상기 기록 매질에 순차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픽셀 데이터 페이지가 M×N 행렬 형태(여기서, M 및 N은 각각 2 이상의 임의의 자연수)를 갖는 경우, 상기 픽셀 데이터 라인들은 상기 픽셀 데이터 페이지에서 행 방향으로 N개의 픽셀 데이터를 갖는 M개의 픽셀 데이터 라인 또 는 열 방향으로 M개의 픽셀 데이터를 갖는 N개의 픽셀 데이터 라인일 수 있다.
여기서, 기록 위치를 기준으로 이웃할 상기 2개의 픽셀 데이터 라인 간은 서로 다른 서브 페이지에 속하게 되도록, 상기 픽셀 데이터 라인들을 2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픽셀 데이터 라인들은 상기 픽셀 데이터 페이지에서 홀수번째 위치하는 라인들에 의한 제1 그룹과 짝수번째 위치하는 라인들에 의한 제2 그룹으로 나뉘어, 그룹별로 상기 2개의 서브 페이지에 분리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2개의 서브 페이지는 동일한 페이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2개의 서브 페이지를 완전히 중첩시켰을 경우를 가상(假想)할 때, 기록 위치를 기준으로 이웃할 2개의 픽셀 데이터 라인 간이 서로 중첩하게 될 중첩 라인 영역과, 기록 위치를 기준으로 이웃할 2개의 픽셀 데이터 라인 간이 서로 중첩되지 않을 비중첩 라인 영역이 공존하도록, 상기 픽셀 데이터 라인들을 상기 2개의 서브 페이지에 분리 삽입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2개의 서브 페이지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비중첩 라인 영역에 대응되는 라인에 상기 픽셀 데이터 라인이 삽입된 경우, 상기 2개의 서브 페이지 중 다른 하나에서 상기 비중첩 라인 영역에 대응되는 라인에는 미리 지정된 더미 데이터 라인이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록 매질에서의 전체 기록 영역은 상기 비중첩 라인 영역에 상응할 비중첩 기록 영역과 상기 중첩 라인 영역에 상응하여 상기 비중첩 기록 영역의 사이 마다에 존재하는 상기 중첩 기록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 기 비중첩 기록 영역에는 상기 픽셀 데이터 라인에 관한 원본 데이터에 상응하는 신호광과 상기 더미 데이터 라인에 관한 더미 데이터에 상응하는 신호광 간의 중첩에 따른 변형 원본 데이터가 기록되고, 상기 중첩 기록 영역에는 기록 위치를 기준으로 이웃하게 될 2개의 픽셀 데이터 라인에 관한 신호광 간의 중첩에 따른 패리티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픽셀 데이터 페이지를 구성하는 본래의 픽셀 데이터가 광강도에 따라 '0' 또는 '1'의 값으로 구분되는 2진 데이터인 경우, 상기 패리티 데이터는 상기 픽셀 데이터 라인에 상응하는 신호광 간의 중첩에 의한 광강도에 따라 구분되는 3진 데이터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더미 데이터 라인은 광강도에 따라 '0' 또는 '1'의 값으로 구분되는 2진 데이터들이 미리 지정된 패턴을 가지면서 배열된 라인이고, 상기 변형 원본 데이터는 상기 픽셀 데이터 라인에 상응하는 신호광과 상기 더미 데이터 라인에 상응하는 신호광 간의 중첩에 의한 광강도에 따라 구분되는 3진 데이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더미 데이터 라인에 속한 모든 데이터 값은 '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픽셀 데이터 페이지에 포함된 픽셀 데이터들을 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동일 그룹에 속한 픽셀 데이터들은 동일한 데이터 페이지에 포함되도록, 상기 픽셀 데이터 페이지를 2개의 서브 페이지로 재구성하는 단계; 및 기록 위치를 기준으로 어느 하나의 픽셀 데이터에 관한 신호광과 상기 어느 하나의 픽셀 데이터의 둘레에서 이웃하게 될 다른 픽셀 데이터에 관한 신호광 간이 상기 기록 매질에서 서로 중첩되는 영역을 가지면서 기록되도록, 상기 2개의 서브 페이지에 상응하는 각각의 신호광을 기준광을 이용하여 상기 기록 매질에 순차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어느 하나의 픽셀 데이터와 기록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어느 하나의 픽셀 데이터의 둘레에서 이웃할 다른 픽셀 데이터 간은 서로 다른 서브 페이지에 속하게 되도록, 상기 픽셀 데이터들을 2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픽셀 데이터 페이지는 M×N 행렬 형태(여기서, M 및 N은 각각 2 이상의 임의의 자연수)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픽셀 데이터들은 i+j 값이 홀수인 i번째 행 및 j번째 열의 픽셀 데이터들에 의한 제1 그룹과 i+j 값이 짝수인 i번째 행 및 j번째 열의 픽셀 데이터들에 의한 제2 그룹으로 나뉘어, 그룹별로 상기 2개의 서브 페이지에 분리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2개의 서브 페이지는 동일한 페이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2개의 서브 페이지를 완전히 중첩시켰을 경우를 가상(假想)할 때, 기록 위치를 기준으로 이웃할 2개의 픽셀 데이터 간이 서로 중첩하게 될 중첩 픽셀 영역과, 기록 위치를 기준으로 이웃할 2개의 픽셀 데이터 간이 서로 중첩하지 않을 비중첩 픽셀 영역과, 상기 픽셀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미사용 픽셀 영역이 공존하도록, 상기 픽셀 데이터들을 상기 2개의 서브 페이지에 분리 삽입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사용 픽셀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2개의 서브 페이지 내의 각 각의 픽셀에는 미리 지정된 더미 데이터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2개의 서브 페이지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비중첩 픽셀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의 픽셀에 원본의 픽셀 데이터가 삽입된 경우, 상기 2개의 서브 페이지 중 다른 하나에서 상기 비중첩 픽셀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의 픽셀에는 미리 지정된 더미 데이터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록 매질에서의 전체 기록 영역은 상기 비중첩 픽셀 영역에 상응할 비중첩 기록 영역과 상기 중첩 픽셀 영역에 상응할 상기 중첩 기록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비중첩 기록 영역에는 상기 픽셀 데이터에 관한 원본 데이터에 상응하는 신호광과 상기 더미 데이터에 상응하는 신호광 간의 중첩에 따른 변형 원본 데이터가 기록되고, 상기 중첩 기록 영역에는 기록 위치를 기준으로 이웃할 2개의 픽셀 데이터에 관한 신호광 간의 중첩에 따른 패리티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픽셀 데이터 페이지를 구성하는 본래의 픽셀 데이터가 광강도에 따라 '0' 또는 '1'의 값으로 구분되는 2진 데이터인 경우, 상기 패리티 데이터는 상기 픽셀 데이터에 상응하는 신호광 간의 중첩에 의한 광강도에 따라 구분되는 3진 데이터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더미 데이터는 광강도에 따라 '0' 또는 '1'의 값을 갖는 2진 데이터이고, 상기 변형 원본 데이터는 원본의 픽셀 데이터에 상응하는 신호광과 상기 더미 데이터에 상응하는 신호광 간의 중첩에 의한 광강도에 따라 구분되는 3진 데이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더미 데이터들은 모두 '0'의 데이터 값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어느 하나의 픽셀 데이터가 서브 페이지에 삽입될 위치를 기준으로 동일 서브 페이지 내의 인접 사방에 위치한 픽셀들에는 각각 상기 어느 하나의 픽셀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 값의 복제 데이터가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픽셀 데이터 및 이의 인접 사방에 위치한 복제 데이터들은 동일 서브 페이지 내의 다른 픽셀 데이터들 및 이의 인접 사방에 위치할 복제 데이터들과는 상호간 영역을 달리하여 위치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어느 하나의 픽셀 데이터 및 이의 인접 사방에 위치한 복제 데이터들은 해당 서브 페이지 내에서 십자가 형태의 영역을 형성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에 의하면, 별도의 에러 수정 코드 등을 생성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에러 수정 코드의 생성을 위한 복잡한 전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고서도, 정보의 기록 및 재생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에러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본 명세서를 통해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만 한정하려 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이하의 설명을 통해서는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 2차원의 픽셀 데이터 페이지를 기록 매질에 홀로그램으로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기록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핵심 특징 및 원리를 대표할 수 있는 총 3가지의 실시예들에 관해서 주로 설명하게 될 것이다. 다만, 이와 동일 원리에 따라 구현 또는 변형될 수 있는 또다른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에 관하여 차례차례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데이터 기록 방법에 의해 기록된 데이터를 복원시킨 데이터 페이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도면들을 통해 대표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2 차원의 픽셀 데이터 페이지를 기록 매질에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기록 방법은 기본적으로 1차원의 픽셀 데이터 라인들 각각에 의한 순차 주사 방식에 기초하고 있다.
이에 관한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 전반을 통해 사용될 용어인 '픽셀 데이터 페이지' 및 '픽셀 데이터 라인'에 관해 먼저 설명한다. '픽셀 데이터 페이지' 및 '픽셀 데이터 라인'은 본 명세서를 통해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2차원 영상은 영상 구현의 최소 단위인 픽셀 복수개가 모여 2차원적 배열에 의한 집합을 이룸으로써 만들어진다. 이때, '픽셀 데이터 페이지'는 이와 같은 2차원 영상을 픽셀 데이터로서 표현한 것을 지칭한다. 또한,'픽셀 데이터 라인'은 2차원 영상을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라인(즉, 행(row) 또는 열(column))에 해당하는 1차원 영상을 픽셀 데이터로서 표현한 것을 지칭한다.
따라서, 2차원 영상에 관한 픽셀 데이터 페이지가 M×N 행렬 형태(여기서, M 및 N은 각각 2 이상의 임의의 자연수)를 갖는다고 가정하면, 상기 픽셀 데이터 페이지에는 행 방향으로 N개의 픽셀 데이터를 갖는 총 M개의 픽셀 데이터 라인 또는 열 방향으로 M개의 픽셀 데이터를 갖는 총 N개의 픽셀 데이터 라인이 존재하게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순차 주사 방식이란 2차원 영상을 구성하는 각각의 1차원의 라인 영상들을 그 라인 영상의 길이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순차 스캔함으로써 본래 의도한 그대로의 2차원 영상을 복원해내는 방식을 말한다. 이와 같은 순차 주사 방식은 레이저 프린터, 프로젝션 TV, 프로젝터, 스캐닝 디스플레이 장치 등 많은 응용 분야를 통해 널리 쓰이고 있다.
예를 들어, 1차원 광변조기(one-dimensional optical modulator)와 스캐닝 미러 스캐너(scannig mirror scanner)를 이용하는 스캐닝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순차 주사 방식은 다음과 같이 적용된다. 만일, 상기 광변조기가 M×N 행렬 형태의 2차원 영상에서 각각의 열(column)에 해당하는 1차원 영상의 구현을 위한 광변조를 담당한다고 가정하면, 상기 스캐너는 광변조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1차원 영상들을 각각 전달받고 이를 수평 방향(즉, 2차원 영상의 행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스캔시킴으로써 본래 의도한 2차원 영상이 스크린 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도, 전술한 바와 같은 순차 주사 방식에 따른 기본 원리는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 방법의 실행을 위한 장치 구성으로서, 1차원 광변조기 등과 같이 1차원 영상의 구현을 위한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와, 갈바노 미러 스캐너(galvanometer mirror scanner), 폴리곤 미러 스캐너(polygon mirror scanner), 회전바(rotation bar) 등과 같이 1차원 영상의 스캔을 위한 스캐너가 필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도 1 및 도 2로서 대표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스캐닝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와 비교할 때, '스크린(screen)'이 아닌 '기록 매질(recording medium)'에, '2차원 영상 그 자체'가 아닌 '2차원 영상에 상응하는 홀로그램'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아니라 '기록'되는 것이라는 차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이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 관한 것인 반면 앞선 예는 스캐닝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인 점(즉, 응용 분야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일 뿐, 전술한 순차 주사 방식의 기본 원리가 위의 2가지 경우에 본질적으로 서로 다르게 적용되고 있기 때문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본 명세서를 통해서 전술한 순차 주사 방식의 기본 원리를 본 발명에 적용시키는데 필요한 장치 구성(예를 들어, 광원, 화상 형성 장치, 스캐너 등)에 관한 별도의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위와 유사한 이유에서, 본 발명의 응용 분야인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 자체의 구현을 위한 구체적 장치 구성에 관한 별도의 설명도 생략한다. 본 발명은 현존하는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을 가정하에 둔 후 그 시스템 내에서 데이터를 어떤 방식으로 기록할 것인가에 관한 기록 방법 상의 특징에 기반한 것이지,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의 장치 구성 자체에 특징을 두고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갖는 데이터 기록 방식 상의 핵심 특징들에 주목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앞서도 설명한 바이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은 기본적으로 1차원의 픽셀 데이터 라인들 각각에 관한 신호광을 기록 매질 상에 순차 주사 하는 방식에 기초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채용하고 있는 순차 주사 방식에는 기존의 전형적인 순차 주사 방식과는 구별되는 특징적 차이점이 존재한다. 그 특징적 차이점은 광주사의 순서에 따라 연속하게 될 어느 2개의 픽셀 데이터 라인에 관한 신호광 간이 기록 매질 상의 이웃한 위치에서 일부 중첩되도록 순차 주사된다는 점에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록하고자 하는 2차원의 픽셀 데이터 페이지 내에 포함된 1차원의 픽셀 데이터 라인들 각각에 상응하는 신호광을 기준광을 이용하여 기록 매질에 순차 저장(기록)시킴에 있어서, 그 기록 위치를 기준으로 이웃하여 위치하게 될 어느 2개의 픽셀 데이터 라인에 관한 신호광 간이 기록 매질 상에서 서로 중첩되는 영역을 가지면서 중첩 기록되도록 한다.
전형적인 순차 주사 방식의 경우에는 광주사의 순서에 따라 연속하게 될 어느 2개의 1차원 영상 간에 중첩이 발생되지 않도록 스캔 위치를 조정함이 일반적이다. 이는 광주사 순서에 따라 연속하는 2개의 1차원 영상 간에 중첩이 발생하는 경우, 그 중첩된 부분에서는 영상 왜곡이 일어나기 때문에 본래 의도한 2차원 영상을 구현하는데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의도적으로, 광주사 순서에 따라 연속할 어느 2개의 신호광 간이 기록 매질 상에서 일부 중첩되도록 한다. 이는 그 중첩 부분을 통해 기록될 데이터가 데이터 기록 과정 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록 에러의 검출 또는/및 보정을 위한 일종의 패리티 비트(parity bit)들로서 추후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데이터 기록 방법이 갖는 핵심 특 징에 관한 보다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고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매질에 기록하고자 하는 픽셀 데이터 페이지가 5×5 행렬 형태를 갖는 경우를 가정하면, 그 픽셀 데이터 페이지에는 열 방향의 총 5개의 픽셀 데이터 라인(도 1의 C1 ~ C5 참조, 이를 이하'컬럼 데이터(column-data)'라 약칭함)이 존재한다.
이때, 상기 5개의 컬럼 데이터(C1 ~ C5)는 소정의 광주사 순서에 따라 기록 매질 상에 홀로그램으로 순차 기록된다. 즉, 상기 5개의 컬럼 데이터(C1 ~ C5)는 광주사 순서에 따라 한번에 하나씩 총 5번에 걸쳐 기록 매질 상에 기록되는 것이다.
도 1의 경우, 2차원의 이진 데이터 페이지 중 첫번째 열의 컬럼 데이터(C1)에 관한 신호광(signal beam) -> 두번째 열의 컬럼 데이터(C2)에 관한 신호광 -> 세번째 열의 컬럼 데이터(C3)에 관한 신호광 -> 네번째 열의 컬럼 데이터(C4)에 관한 신호광 -> 다섯번째 열의 컬럼 데이터(C5)에 관한 신호광의 순서로 광주사됨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광주사 순서는 위와 같이 픽셀 데이터 페이지의 열 순서와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광주사 순서와 픽셀 데이터 페이지의 열 순서가 동일한 경우 추후의 복원 데이터의 해석 과정이 보다 단순하고 용이해진다는 이점이 있지만, 반드시 이와 같지 않더라도 광주사 순서에 관한 미리 지정된 규칙을 알고 있다면 본래 그대로의 픽셀 데이터 페이지를 복원해내는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이와 같이 신호광의 광주사 순서를 미리 지정한 규칙에 따라 픽셀 데이터 페이지의 열 순서와 상이하게 조정한다면, 픽셀 데이터 페이지의 열 순서가 재배열(즉, 인터리빙(interleaving))됨으로써 데이터 기록 과정 상에서 발생 가능한 버스트(burst error)에 대비할 수 있는 효과를 노릴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순차 기록되는 상기 5개의 컬럼 데이터(C1 ~ C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그 지정된 광주사 순서에 따라 연속하게 될 어느 2개의 컬럼 데이터에 관한 신호광 간이 기록 매질 상에서 일부 중첩 영역을 가지면서 이웃하여 기록된다. 예를 들어, 도 1의 경우, 컬럼 데이터 C1과 C2에 관한 신호광 간, 컬럼 데이터 C2와 C3에 관한 신호광 간, 컬럼 데이터 C3와 C4에 관한 신호광 간, 컬럼 데이터 C4와 C5에 관한 신호광 간이 기록 매질 상에서 일부분씩 중첩되어 기록되고 있다(도 1의 하단 최우측 그림 참조). 즉, 광주사 순서에 따라 먼저 주사된 어느 하나의 컬럼 데이터의 신호광에 의한 기록 영역과 연이어 주사될 다른 하나의 컬럼 데이터의 신호광에 의한 기록 영역 간이 일부분에서 중첩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다.
광주사 순서에 따라 연이은 2개의 컬럼 데이터 간 마다의 중첩 기록은 스캐너의 회전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제어 요소들(즉, 회전 위치(각도), 회전 방향, 회전 속도/시간 등)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충분히 실행 가능하다. 기록 매질 상에서 각각의 컬럼 데이터들을 기록하게 될 기록 영역(즉, 기록 위치의 시작점과 끝점)이 정해지기만 하면, 각각의 컬럼 데이터에 관한 신호광들을 상기 정해진 기록 영역에 맞추어 스캔하기 위한 스캐너의 회전 동작 범위(즉, 회전 위치(각도) 및 방향 등) 도 정해질 것이기 때문이다.
이때, 그 2개의 컬럼 데이터 간의 기록 매질 상의 중첩 영역의 사이즈(즉, 폭)는 최소한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의 기록 재생 과정에 사용될 이미지 센서, 포토 다이오드 등의 광검출기(photo detector)에서의 1 픽셀 사이즈에 상응하도록만 설정해두면 족하다. 즉, 상기 중첩 영역의 사이즈에 관한 하한은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 사용될 광검출기의 해상도(resolution)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 방법에 따라 기록 매질에 기록된 픽셀 데이터 페이지가 복원(재생)되었을 때의 복원 영상이 도 2를 통해 예시되고 있다.
도 2는 도 1의 하단 중간을 통해 제시된 5×5 행렬 형태의 픽셀 데이터 페이지를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 방법에 따라 기록한 후 이를 복원시켰을 때의 복원 데이터 페이지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할 때, 복원 데이터 페이지는 5×9 행렬 형태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래의 픽셀 데이터 페이지 내의 총 5개의 컬럼 데이터에 관한 것(도 2의 복원 데이터 페이지에서 1, 3, 5, 7, 9열의 컬럼 데이터 참조) 이외에도, 그 2개의 컬럼 데이터 간 마다의 중첩에 따른 총 4개의 컬럼 데이터(도 2의 복원 데이터 페이지에서 2, 4, 6, 8열의 컬럼 데이터 참조)가 더 추가되었기 때문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중첩에 따라 추가 생성된 컬럼 데이터들을 오버랩 컬럼 데이터(overlap-column-data)라 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2의 복원 데이터 페이지에서, 1열의 컬럼 데이터는 도 1의 픽셀 데이터 페이지(즉, 원본 데이터 페이지)의 컬럼 데이터 C1과 대응되고, 3열의 컬럼 데이터는 원본 데이터 페이지의 컬럼 데이터 C2와 대응되고, 5열의 컬럼 데이터는 원본 데이터 페이지의 컬럼 데이터 C3와 대응되고, 7열의 컬럼 데이터는 원본 데이터 페이지의 컬럼 데이터 C4와 대응되고, 9열의 컬럼 데이터는 원본 데이터 페이지의 C5와 대응된다.
그리고 도 2의 복원 데이터 페이지에서, 2열의 컬럼 데이터는 원본 데이터 페이지의 컬럼 데이터 C1과 C2에 관한 신호광 간의 중첩에 의한 오버랩 컬럼 데이터이고, 4열의 컬럼 데이터는 원본 데이터 페이지의 컬럼 데이터 C2와 C3에 관한 신호광 간의 중첩에 의한 오버랩 컬럼 데이터이고, 6열의 컬럼 데이터는 원본 데이터 페이지의 컬럼 데이터 C3과 C4에 관한 신호광 간의 중첩에 의한 오버랩 컬럼 데이터이고, 8열의 컬럼 데이터는 원본 데이터 페이지의 컬럼 데이터 C4과 C5에 관한 신호광 간의 중첩에 의한 오버랩 컬럼 데이터이다.
일반적으로, 원본 데이터 페이지가 총 N개의 컬럼 데이터를 포함한다고 가정하면, 복원 데이터 페이지는 총 (2N-1)개의 컬럼 데이터를 포함하게 되고, 이 중 오버랩 컬럼 데이터는 (N-1)개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후술할 바이지만, 이러한 오버랩 컬럼 데이터들은 기록 에러의 확인을 위한 패리티 데이터(parity data)로서 활용된다.
이때, 원본 데이터 페이지가 도 1과 같이 광강도(light intensity)에 따라 'O' 또는 '1'의 값으로 구분되는 2진 데이터들에 의한 2진 데이터 페이지인 경우, 복원 데이터 페이지 내의 오버랩 컬럼 데이터들은 광강도에 따라 구분되는 3진 데이터로서 표현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3진 데이터는 본 명세서를 통해서 간단히 '0', '1', '2' 중 어느 하나로 표현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의 원본 데이터 페이지에서의 색 구분에 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원본 데이터 페이지에서, 흰색은 빛의 세기가 강함을 의미하며, 2진 데이터로는 '1'과 대응된다. 검은색은 빛의 세기가 약함을 의미하며, 2진 데이터로는 '0'과 대응된다. 따라서, 이 경우, 복원 데이터 페이지의 오버랩 컬럼 데이터가 표현할 수 있는 빛의 세기는 총 3가지로 구분될 것이다.
첫번째로는, 동일 기록 위치에서 2진 데이터 '1'과 '0'에 해당하는 광 간의 중첩에 의한 그 중간 정도의 빛의 세기와 대응되는 데이터(이하, 이를 3진 데이터 '1'이라 함), 두번째로는, 동일 기록 위치에서 2진 데이터 '1'과 '1'에 해당하는 광 간의 중첩에 의한 강한 빛의 세기와 대응되는 데이터(이하, 이를 3진 데이터 '2'라 함), 세번째로는, 동일 기록 위치에서 2진 데이터 '0'과 '0'에 해당하는 광 간의 중첩에 의한 약한 빛의 세기와 대응되는 데이터(이하, 이를 3진 데이터 '0'라 함)가 바로 그것이다. 도 2의 복원 데이터 페이지의 각각 짝수번째 열에 위치한 오버랩 컬럼 데이터에서 흰색은 3진 데이터 '2'를, 회색은 3진 데이터 '1'을, 검은색은 3진 데이터 '0'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복원 데이터 페이지의 2열의 오버랩 컬럼 데이터는, 윗행으로부터 아랫행 방향으로 [회색, 검은색, 흰색, 회색, 회색]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이는 2열의 오버랩 컬럼 데이터가 [1, 0, 2, 1, 1]의 픽셀 데이터들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복원 데이터 페이지 2열의 오버랩 컬럼 데이터가 3진 데이터 [1, 0, 2, 1, 1]의 값을 갖게 됨은 다음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복원 데이터 페이지 2열의 오버랩 컬럼 데이터는 원본 데이터 페이지의 컬럼 데이터 C1과 C2 간의 중첩에 의해 생성된 것인 바, 컬럼 데이터 C1의 2진 데이터들, 즉 [1, 0, 1, 0, 1]과 컬럼 데이터 C2의 2진 데이터들, 즉 [0, 0, 1, 1, 0] 간의 동일 행 성분 간을 중첩시키면, 위와 같은 3진의 오버랩 컬럼 데이터, 즉 [1, 0, 2, 1, 1]가 생성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복원 데이터 페이지 8열의 오버랩 컬럼 데이터가 윗행으로부터 아랫행 방향으로 3진 데이터 [1(회색), 1(회색), 2(흰색), 0(검은색), 1(회색)]의 값을 가짐은, 원본 데이터 페이지의 컬럼 데이터 C4의 2진 데이터들, 즉 [1, 0, 1, 0, 1]과 컬럼 데이터 C5의 2진 데이터들, 즉 [0, 1, 1, 0, 0] 간이 중첩되었기 때문이다.
이와 달리, 도 2의 복원 데이터 페이지에서 각각의 홀수번째에 위치한 컬럼 데이터에는 도 1의 원본 데이터 페이지의 각 컬럼 데이터들(C1 ~ C5)에서와 동일한 광강도 값이 기록된다. 복원 데이터 페이지의 홀수번째 컬럼 데이터들은 다른 컬럼 데이터들과의 중첩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1의 원본 데이터 페이지 의 '흰색'을 도 2의 복원 데이터 페이지에서 '회색'으로 표시한 것은 광강도 값 자체의 변화를 표현하고자 한 것은 아니며, 복원 데이터 페이지를 전체적으로 3진 데이터로서 표시하는 경우에는 그 데이터 값이 종전의 2진 데이터 값과는 달라질 수 있음을 나타낸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데이터 기록 방법을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 채용하는 경우에는, 추후의 데이터 재생 과정을 통해 원본 데이터 페이지의 각 컬럼 데이터들 이외에도 그 컬럼 데이터들 사이 사이마다에 위치하는 오버랩 컬럼 데이터들도 함께 복원되므로, 이러한 오버랩 컬럼 데이터들을 확인/분석함으로써 데이터 기록 과정 상의 기록 에러를 확인해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오버랩 컬럼 데이터로부터 획득된 3진 데이터가 '2'의 값을 갖는다는 것은 기록 위치 상에서 좌우에 인접한 데이터가 모두 2진 데이터 '1'에 상응하는 광강도를, 3진 데이터 '1'의 값을 갖는다는 것은 좌우에 인접한 데이터가 어느 하나는 2진 데이터 '1', 다른 하나는 2진 데이터 '0'에 상응하는 광강도를, 3진 데이터 '0'의 값을 갖는다는 것은 좌우에 인접한 데이터가 모두 2진 데이터 '0'에 상응하는 광강도를 가져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복원된 오버랩 컬럼 데이터에 근거하여 유추된 인접 좌우의 컬럼 데이터들과 실제 복원된 그 좌우의 컬럼 데이터들 간을 비교 분석하게 되면, 데이터 기록 과정 상에서 발생한 기록 에러를 쉽게 확인해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복원(재생)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원본 데이터 페이지에 속한 1차원의 '컬럼 데이터'들을 한번에 하나씩 순차 주사하는 방식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 방법은 원본 데이터 페이지에 속한 1차원의 '로우 데이터(row-data)'들을 한번에 하나씩 순차 주사하는 방식에 의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이때는 복원 데이터 페이지 내에 '오버랩 로우 데이터(overlap-row-data)'가 추가로 존재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원본 데이터 페이지가 2진 데이터들에 의한 2진 데이터 페이지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이하의 설명에서도 이와 같음)하였지만, 반드시 이와 같을 필요는 없다. 즉, 원본 데이터 페이지를 구성하는 각각의 픽셀 데이터들은 보다 많은 수(즉, 3 이상)의 광강도 구분에 따라 표현된 데이터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 데이터 재생에 사용될 광검출기의 분해능의 한계를 벗어나지 않은 한, 복원 데이터 페이지 내의 데이터들이 갖는 광강도를 구분해내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는 바,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다만, 중복될 수 있는 내용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 이터 기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 방법도 2차원의 픽셀 데이터 페이지를 기록 매질 상에 홀로그램으로 기록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다만,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원본 데이터 페이지에 속한 '1차원의 픽셀 데이터 라인'(앞선 예의 '컬럼 데이터'참조, 이하에서도 이와 같이 가정하여 설명함)들을 각각 한번에 하나씩 순차 주사하는 방식을 이용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와는 상이한 방식이 적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 방법은 크게 다음의 두 단계에 의해 실행된다.
먼저, 원본 데이터 페이지에 속한 1차원의 픽셀 데이터 라인들을 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동일 그룹에 속한 픽셀 데이터 라인들은 동일한 데이터 페이지에 속하도록, 원본 데이터 페이지를 2개의 서브 데이터 페이지로 재구성한다.
이후, 기록 위치를 기준으로 이웃하게 될 2개의 픽셀 데이터 라인에 관한 신호광 간이 기록 매질 상에서 서로 중첩되는 영역을 가지면서 기록되도록, 상기 2개의 서브 데이터 페이지에 관한 신호광을 동일 기준광을 이용하여 기록 매질에 순차 기록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 방법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비교할 때, 다음과 같은 시스템 구성 상의 차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은 순차 주사 방식이 이용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광메모리 시스템에 스캐너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대 신, 상기 서브 데이터 페이지에 상응하는 2차원의 신호광을 단번에 생성하기 위해, 2차원의 화상 형성 장치가 요구될 것이다. 이는 도 4에서 도 6c까지를 통해 후술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라 할 것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 방법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의 (a)는 기록 매질에 기록하고자 하는 원본 데이터 페이지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도 1의 하단 중간에 도시된 원본 데이터 페이지와 같다. 즉, 원본 데이터 페이지는 5×5 행렬 형태를 가진 2진 데이터 페이지이며, 총 5개의 컬럼 데이터(C1 ~ C5)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원본 데이터 페이지를 2개의 서브 데이터 페이지로 재구성한 예가 도 3의 (b) 및 (c)를 통해 도시되고 있다. 도 3의 (b)는 원본 데이터 페이지의 총 5개의 컬럼 데이터(C1 ~ C5) 중 홀수번째 컬럼 데이터들(즉, C1, C3, C5)을 이용하여 재구성한 어느 하나의 서브 데이터 페이지이고, 도 3의 (c)는 짝수번째 컬럼 데이터들(즉, C2, C4)을 이용하여 재구성한 다른 하나의 서브 데이터 페이지이다.
즉, 도 3의 예의 경우에는 원본 데이터 페이지에 속한 컬럼 데이터들을 홀수번째 위치한 컬럼 데이터들에 의한 제1 그룹과 짝수번째 위치한 컬럼 데이터들에 의한 제2 그룹으로 나누어, 동일 그룹에 속한 컬럼 데이터들은 동일한 서브 데이터 페이지에 속하도록 재구성하고 있다. 다만, 원본 데이터 페이지에 속한 컬럼 데이 터들을 2개의 그룹으로 나누는 방식에 어떤 특별한 제한이 있을 수는 없는 것임은 물론이다.
원본 데이터 페이지를 2개의 서브 데이터 페이지로 재구성하는 방법으로는 다음의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먼저, 그 2개의 서브 데이터 페이지의 페이지 크기를 동일하게 설정한다. 도 3의 (b) 및 (c)에 예시된 2개의 서브 데이터 페이지의 경우에도 모두 5×9 행렬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때, 서브 데이터 페이지는 추후 복원될 복원 데이터 페이지(도 3의 (d) 참조)와 동일한 페이지 크기를 갖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후, 2개의 서브 데이터 페이지를 완전히 중첩시켰을 경우를 가상(假想)할 때, 기록 위치를 기준으로 이웃하게 될 어느 2개의 컬럼 데이터 간이 서로 중첩하게 될 중첩 라인 영역(도 3의 (b) 및 (c)의 서브 데이터 페이지에서 각각 2, 4, 6, 8열 참조)과, 상기 이웃할 2개의 픽셀 데이터 라인 간이 서로 중첩되지 않을 비중첩 라인 영역(도 3의 (b) 및 (c)의 서브 데이터 페이지에서 각각 1, 3, 5, 7, 9열 참조)이 공존하도록, 원본 데이터 페이지 내의 컬럼 데이터들(도 3의 (a)의 C1 ~ C5 참조)을 그 2개의 서브 데이터 페이지에 분리 삽입시킨다.
이를 도 3의 (b) 및 (c)의 예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본 데이터 페이지에서 홀수번째 위치한 컬럼 데이터들(C1, C3, C5)은 제1 그룹에 속하여 도 3의 (b)의 서브 데이터 페이지에 포함되고 있다. 이때, 컬럼 데 이터 C1은 그 서브 데이터 페이지의 1열 및 2열에 삽입시키고, 컬럼 데이터 C3는 그 서브 데이터 페이지의 4열에서 6열에 걸쳐서 삽입시키며, 컬럼 데이터 C5는 그 서브 데이터 페이지의 8열 및 9열에 삽입시키고 있다.
또한, 원본 데이터 페이지에서 짝수번째 위치한 컬럼 데이터들(C2, C4)은 제2 그룹에 속하여 도 3의 (c)의 서브 데이터 페이지에 포함되고 있다. 이때, 컬럼 데이터 C2는 그 서브 데이터 페이지의 2열에서 4열에 걸쳐서 삽입시키고, 컬럼 데이터 C4는 그 서브 데이터 페이지의 6열에서 8열에 걸쳐서 삽입시키고 있다.
이때, 각각의 서브 데이터 페이지에서 원본 데이터 페이지 내의 컬럼 데이터들(C1 ~ C5)이 삽입되지 않는 열(즉, 도 3의 (b)에서는 3열과 7열, 도 3의 (c)에서는 1열, 5열, 9열)에는 미리 지정해둔 데이터 값들에 의한 더미 컬럼 데이터(dummy-column-data)가 삽입될 수 있다. 도 3의 (b) 및 (c)에서 더미 컬럼 데이터는 모두 2진 데이터'0'의 값을 갖는 것으로 예시되고 있지만, 이와는 다를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컬럼 데이터의 분리 삽입 방식에 의하면, 그 2개의 서브 데이터 페이지를 완전히 중첩시킨 경우를 가상한 가상 데이터 페이지 상의 2열에는 컬럼 데이터 C1과 C2가 중첩되고, 4열에는 컬럼 데이터 C2와 C3가 중첩되고, 6열에는 컬럼 데이터 C3와 C4가 중첩되며, 8열에는 컬럼 데이터 C4와 C5가 중첩된다.
이때, 가상 데이터 페이지 상의 2, 4, 6, 8열이 바로 전술한 중첩 라인 영역을 의미하며, 이는 추후의 데이터 재생 과정에 의해 복원될 복원 데이터 페이지의 오버랩 컬럼 데이터에 대응될 것이다.
아울러, 가상 데이터 페이지 상의 1, 3, 5, 7, 9열에는 각각 컬럼 데이터 C1, C2, C3, C4, C5 하나씩과 더미 컬럼 데이터가 중첩된다. 이때, 가상 데이터 페이지 상의 1, 3, 5, 7, 9열이 바로 전술한 비중첩 라인 영역이 된다.
상술한 방법에 따라 재구성된 2개의 서브 데이터 페이지는 순서대로 기록 매질 상의 동일 기록 영역에서 완전히 중첩되도록 기록된다. 즉, 도 3의 (a)에 해당하는 서브 데이터 페이지에 관한 2차원의 신호광을 기준광을 이용하여 기록 매질 상의 특정 위치에 기록한 후, 도 3의 (b)에 해당하는 서브 데이터 페이지에 관한 2차원의 신호광을 동일 기준광을 이용하여 동일 위치에 연이어 기록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록 방법에 따라 기록된 데이터 페이지를 복원하였을 때의 복원 데이터 페이지가 도 3의 (d)를 통해 예시되고 있다. 도 3의 (d)의 복원 데이터 페이지를 참조할 때, 도 2의 복원 데이터 페이지의 경우와 매우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그 2개의 실시예가 구체적 데이터 기록 방법 상의 차이점을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양자 모두 '컬럼 데이터 간의 일부 중첩'에 의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도 3의 (d)의 복원 데이터 페이지에서도, 2, 4, 6, 8열에는 각각 컬럼 데이터 C1과 C2의 신호광 간, 컬럼 데이터 C2와 C3의 신호광 간, 컬럼 데이터 C3와 C4의 신호광 간, 컬럼 데이터 C4와 C5의 신호광 간의 중첩에 따른 오버랩 컬럼 데이터(즉, 패리티 데이터)가 위치하게 된다. 또한, 본 예의 경우에도, 원본 데이터 페이지가 2진 데이터 페이지인 경우, 복원 데이터 페이지의 오버랩 컬럼 데이터는 3진 데이터로 표현될 것이다.
그리고 도 3의 (d)의 복원 데이터 페이지에서, 1, 3, 5, 7, 9열에는 각각 컬럼 데이터 C1, C2, C3, C4, C5 하나씩과 더미 컬럼 데이터 간의 중첩에 따른 변형 원본 데이터가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변형 원본 데이터라 칭한 이유는, 더미 컬럼 데이터가 특정의 광강도를 갖는 데이터 값들로 이루어진 경우, 원본의 컬럼 데이터와의 중첩에 의해 그 데이터 값 혹은 그 광강도가 본래와는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더미 컬럼 데이터가 모두 2진 데이터 '0'의 값을 갖고, 그 2진 데이터 '0'이 광원의 온/오프에 있어서 오프(off)에 대응되는 것이라면, 도 3의 (d)의 복원 데이터 페이지의 1, 3, 5, 7, 9열에는 본래의 컬럼 데이터 그대로(즉, 본래의 컬럼 데이터에 따른 광강도 그대로)가 기록될 것이다. 이 경우에는, 도 3의 (d)의 복원 데이터 페이지와 도 2의 복원 데이터 페이지는 완전히 동일해질 것이다.
이에 따라,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 방법의 경우에도, 도 3의 (d)에서와 같은 복원 데이터 페이지로부터 오버랩 컬럼 데이터들을 획득한 후, 그 오버랩 컬럼 데이터들을 분석하게 되면,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과정 상의 에러를 확인/보정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는 바,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패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에 관하여 도 4a에서 도 6c까지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 방법도, 도 3에서 설명한 데이터 기록 방법에서와 유사하게, 원본 데이터 페이지를 소정의 규칙에 따라 2개의 서브 데이터 페이지로 재구성한 후, 그 2개의 서브 데이터 페이지에 관한 2차원의 신호광을 각각 동일 기준광을 이용하여 기록 매질 상에 연이어 저장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다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 방법은, 서브 데이터 페이지를 재구성하는 방식에 있어서 도 3에서 설명한 데이터 기록 방법과 다음과 같이 차이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도 3이 대표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 방법의 경우, 원본 데이터 페이지에 속한 '컬럼 데이터들'을 2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그 그룹별로 동일 그룹에 속한 '컬럼 데이터들'이 동일 서브 데이터 페이지 내에 포함되도록, 서브 데이터 페이지를 구성하였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 방법의 경우, 원본 데이터 페이지에 속한 '픽셀 데이터들'을 2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그 그룹별로 동일 그룹에 속한 '픽셀 데이터들'이 동일 서브 데이터 페이지 내에 포함되도록, 서브 데이터 페이지를 구성한다. 이에 관하여 도 4a에서 도 6b까지를 참조하여 구체적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원본 데이터 페이지는 도 3의 (a)와 동 일하게 5×5 행렬 형태를 가진 2진 데이터 페이지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원본 데이터 페이지 내에는 총 25개의 픽셀 데이터(도 5 좌측 도면의 D11 ~ D55 참조)가 존재하며, 그 픽셀 데이터들 각각의 데이터 값은 도 5 우측 도면과 같다.
이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5의 원본 데이터 페이지를 2개의 서브 데이터 페이지로 재구성한 예가 도 4a 및 도 4b를 통해 도시되고 있다.
도 4a는 원본 데이터 페이지의 총 25개의 픽셀 데이터(D11 ~ D55) 중 i+j 값이 짝수인 i번째 행 및 j번째 열의 픽셀 데이터들(즉, D11, D13, D22 등 총 13개의 픽셀 데이터 참조)을 이용하여 재구성한 어느 하나의 서브 데이터 페이지이고, 도 4b는 i+j 값이 홀수인 i번째 행 및 j번째 열의 픽셀 데이터들(즉, D12, D21 등 총 12개의 픽셀 데이터 참조)을 이용하여 재구성한 다른 하나의 서브 데이터 페이지이다.
즉, 도 4a 및 도 4b의 경우, 원본 데이터 페이지에서의 i+j 값이 짝수인 i번째 행 및 j번째 열의 픽셀 데이터들에 의한 제1 그룹과 i+j 값이 홀수인 i번째 행 및 j번째 열의 픽셀 데이터들에 의한 제2 그룹으로 나누어, 동일 그룹에 속한 픽셀 데이터들은 동일 서브 데이터 페이지에 속하도록 하고 있다. 전술한 바이지만, 원본 데이터 페이지에 속한 픽셀 데이터들을 2개의 그룹으로 나누는 방식은 위와 다른 다양한 방식이 존재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서브 데이터 페이지는 다음의 규칙에 따라 재구성될 수 있다.
먼저, 그 2개의 서브 데이터 페이지의 페이지 크기를 동일하게 설정한다.
이후, 2개의 서브 데이터 페이지를 완전히 중첩시킨 경우를 가상(假想)할 때, 기록 위치를 기준으로 이웃할 2개의 픽셀 데이터 간이 서로 중첩하게 될 중첩 픽셀 영역과, 기록 위치를 기준으로 이웃할 2개의 픽셀 데이터 간이 서로 중첩하지 않을 비중첩 픽셀 영역과, 원본 데이터 페이지의 픽셀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을 미사용 픽셀 영역이 존재하도록, 픽셀 데이터들을 그 2개의 서브 페이지에 분리 삽입시킨다.
이하, 전술한 '미사용 픽셀 영역', '중첩 픽셀 영역', '비중첩 픽셀 영역'에 관하여, 도 4a에서 도 6b까지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미사용 픽셀 영역'은 다음과 같다. 도 4a 및 도 4b의 경우를 예로 들때, 각각의 서브 데이터 페이지에서 검은색으로 표시된 픽셀 영역들 중 2행의 2, 4, 6, 8열과, 4행의 2, 4, 6, 8열과, 6행의 2, 4, 6, 8열 그리고 8행의 2, 4, 6, 8열에 위치한 각각의 픽셀 영역은 '미사용 픽셀 영역' 에 해당한다(도 6a 및 도 6b의 각각의 우측 도면의 경우에는 'x' 표시된 영역들 참조).
이때, 서브 데이터 페이지 내의 미사용 픽셀 영역에 해당하는 픽셀들에는 미리 지정된 더미 데이터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지정된 더미 데이터는 2진 데이터 '0' 및 '1'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2진 데이터 '0'인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와 같은 미사용 픽셀 영역의 경우에는 원본 데이터 페이지에 관한 정보 를 전혀 담고 있지 않으므로, 추후의 데이터 재생 과정을 통해 복원된 복원 데이터 페이지(도 6c 참조) 내에 포함되어 있다 하더라도 무의미한 데이터가 될 것이다. 즉, 미사용 픽셀 영역은 원본 픽셀 데이터들(D11 ~ D55 참조)을 2개의 서브 데이터 페이지로 분리 삽입시키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추가하게 된 더미 픽셀 영역들인 것이다.
또한,'중첩 픽셀 영역'은 다음과 같다. 도 4a 및 도 4b의 경우를 예로 들때, 각각의 서브 데이터 페이지에서 원본 데이터 페이지 내의 픽셀 데이터들(D11 ~ D55)이 삽입된 위치를 기준으로 그 인접 사방에 위치한 각각의 픽셀들(도 4a 및 도 4b에서 흰색으로 표시된 영역들 참조)은 '중첩 픽셀 영역'에 해당한다.
이때, 중첩 픽셀 영역에는 인접 위치의 해당 픽셀 데이터에 관한 복제 데이터가 삽입된다. 도 4a의 서브 데이터 페이지의 3행 3열에 삽입된 픽셀 데이터 D22의 경우를 예로 들면, 그 인접 사방에서 십자가 형태를 이루며 위치한 4개의 흰색 표시 영역(즉, 3행 2열, 3행 4열, 2행 3열, 4행 3열의 픽셀)에는 그 픽셀 데이터 D22에 관한 복제 데이터가 삽입된다.
즉, 도 5의 우측 도면을 참조할 때, 픽셀 데이터 D22는 2진 데이터 '0'의 값을 가지고 있는 바, 도 4a의 서브 데이터 페이지의 중첩 픽셀 영역인 3행 2열, 3행 4열, 2행 3열, 4행 3열의 픽셀에도 비중첩 픽셀 영역인 3행 3열의 픽셀과 동일하게 2진 데이터 '0'이 삽입될 것이다.
후술할 바이지만, 기록 매질 상에서 상기 중첩 픽셀 영역에 대응되는 기록 영역에서는 원본 데이터 페이지에 속한 픽셀 데이터들 중 어느 2개의 픽셀 데이터 간의 중첩에 따른 패리티 데이터가 생성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중첩 픽셀 영역은 데이터 기록 과정을 통해 발생된 기록 에러를 확인/보정하기 위한 패리티 데이터의 생성에 기초가 되는 픽셀 영역을 의미한다.
그리고'비중첩 픽셀 영역'은 다음과 같다. 도 4a 및 도 4b의 경우를 예로 들때, 각각의 서브 데이터 페이지에서 1행의 1, 3, 5, 7, 9열과, 3행의 1, 3, 5, 7, 9열과, 5행의 1, 3, 5, 7, 9열과, 7행의 1, 3, 5, 7, 9열 그리고 9행의 1, 3, 5, 7, 9열에 위치한 각각의 픽셀 영역은 '비중첩 픽셀 영역'에 해당한다.
도 4a 및 도 4b의 서브 데이터 페이지의 상기 비중첩 픽셀 영역 중 원본 데이터 페이지 내의 픽셀 데이터들(D11 ~ D55)이 삽입되지 않는 픽셀 영역에는 미리 지정된 더미 데이터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의 서브 데이터 페이지의 3행 3열에는 픽셀 데이터 D22가 삽입되고 있으나, 도 4b의 서브 데이터 페이지의 동일행 동일열에는 원본 데이터 페이지 내의 픽셀 데이터가 삽입되지 않고 있으며, 이 경우 도 4b의 3행 3열에는 더미 데이터가 삽입될 것임이 바로 그것이다. 여기서도 더미 데이터는 2진 데이터 '0' 또는 '1' 일 수 있음은 물론이나, 본 예에서는 2진 데이터 '0'인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비중첩 픽셀 영역은 원본 데이터 페이지에 속한 본래의 픽셀 데이터들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게 된다.
전술한 방식에 근거하여, 도 5의 원본 데이터 페이지를 도 4a 및 도 4b의 예시에 따른 서브 데이터 페이지의 형태로 재구성한 실제예가 도 6a 및 도 6b를 통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6a 및 도 6b는 도 4a 및 도 4b와 각각 대응된다.
도 6a 및 도 6b에서, 검은색 표시는 더미 데이터(본 예에서는 2진 데이터 '0')가 삽입되고 있음을 표현한 것이고, 회색 표시는 2진 데이터 '0'인 원본 픽셀 데이터와 이에 관한 복제 데이터가 삽입되고 있음을 표현한 것이고, 흰색 표시는 2진 데이터 '1'인 원본 픽셀 데이터와 이에 관한 복제 데이터가 삽입되고 있음을 표현한 것이다.
상술한 방법에 따라 재구성된 2개의 서브 데이터 페이지는 순서대로 기록 매질 상의 동일 기록 영역에서 완전히 중첩되도록 기록된다. 예를 들어, 도 6a에 해당하는 서브 데이터 페이지에 관한 2차원의 신호광을 기준광을 이용하여 기록 매질 상의 특정 위치에 기록한 후, 도 6b에 해당하는 서브 데이터 페이지에 관한 2차원의 신호광을 동일 기준광을 이용하여 동일 위치에 연이어 기록함이 바로 그것이다. 이는 앞선 실시예(즉, 도 3이 대표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 방법)에서와 완전히 동일하다.
상기와 같은 기록 방법에 따라 기록된 데이터 페이지를 복원하였을 때의 복원 데이터 페이지가 도 6c를 통해 예시되고 있다. 도 6c는 도 6a 및 도 6b의 서브 데이터 페이지를 기록 매질 상에 연이어 기록한 후, 이를 복원시켰을 때의 복원 데이터 페이지를 나타낸다.
도 6c를 참조할 때, 도 6c의 좌측 도면의 검은색 표시 영역(즉, 도 6c의 우측 도면의 'x'표시 영역)은 도 6a 및 도 6b의 서브 데이터 페이지의 미사용 픽셀 영역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2개의 더미 데이터가 연이어 중첩 기록된 픽셀 영역들이 된다. 도 6a 및 도 6b의 미사용 픽셀 영역(즉, 'x' 표시 영역들)에 삽입될 더미 데이터가 2진 데이터 '0'인 경우를 가정한다면, 도 6c의 좌측 도면의 검은색 표시 영역(즉, 도 6c의 우측 도면의 'x' 표시 영역)은 3진 데이터로도 '0'이 될 것이다.
도 6c에서 짙은 회색 표시 영역 또한 2진 데이터 '0'과 2진 데이터 '0'의 중첩이 발생하는 픽셀 영역들로서, 3진 데이터로는 '0'이 된다. 회색 표시 영역은 2진 데이터 '0'과 2진 데이터 '1'의 중첩이 발생하는 픽셀 영역들로서, 3진 데이터로는 '1'이 된다. 흰색 표시 영역은 2진 데이터 '1'과 2진 데이터 '1'의 중첩이 발생하는 픽셀 영역으로서, 3진 데이터로는 '2'가 된다.
이 경우, 복원 데이터 페이지에는 원본 데이터 페이지 내의 어느 2개의 픽셀 데이터 간의 중첩에 따라 생성된 패리티 데이터들이 포함된다. 도 6c의 우측 도면을 참조할 때, 점 표시된 영역들이 바로 패리티 데이터가 위치하는 픽셀 영역들이다.
예를 들어, 도 6c의 복원 데이터 페이지에서, 3행 2열의 픽셀 영역에는 픽셀 데이터 D22와 D21 간의 중첩에 따른 패리티 데이터가 위치하고, 2행 3열의 픽셀 영역에는 픽셀 데이터 D22와 D12 간의 중첩에 따른 패리티 데이터가 위치하고, 3행 4열의 픽셀 영역에는 픽셀 데이터 D22와 D23 간의 중첩에 따른 패리티 데이터가 위치하며, 4행 3열의 픽셀 영역에는 픽셀 데이터 D22와 D32 간의 중첩에 따른 패리티 데이터가 위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 방법의 경우에도, 도 6c에서와 같은 복원 데이터 페이지로부터 패리티 데이터들을 획득한 후, 그 패리티 데이터들을 분석하게 되면,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과정 상의 에러를 확인/보정할 수 있다.
특히, 도 4a에서 도 6c까지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 방법의 경우, 어느 하나의 픽셀 데이터가 기록 위치 상에서 그 인접 사방에 위치한 최대 4개의 다른 픽셀 데이터들과 중첩될 수 있어, 다른 2개의 실시예의 경우에서보다 데이터 기록 과정 상의 기록 에러를 더 정확히 확인/검출해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데이터 기록 방법에 의해 기록된 데이터를 복원시킨 데이터 페이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과 관련하여, 5×5 행렬 형태의 데이터 페이지를 재구성한 2개의 서브 페이지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도 3의 (a)의 픽셀 데이터 값들을 갖는 5×5 행렬 형태의 데이터 페이지를 예시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 예시된 5×5 행렬 형태의 데이터 페이지에 관해 재구성한 2개의 서브 페이지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를 나타낸 도면.
도 6c는 도 6a 및 도 6b의 2개의 서브 페이지에 관한 신호광 간이 기록 매질에 중첩되도록 기록된 후, 복원되었을 때의 복원된 데이터 페이지를 나타낸 도면.

Claims (26)

  1. 2차원의 픽셀 데이터 페이지를 기록 매질에 기록하기 위한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으로서,
    상기 픽셀 데이터 페이지에 포함된 1차원의 픽셀 데이터 라인들 각각에 상응하는 신호광을 기준광을 이용하여 상기 기록 매질에 순차 기록하되,
    기록 위치를 기준으로 이웃하게 될 2개의 상기 픽셀 데이터 라인에 관한 신호광 간이 상기 기록 매질에서 서로 중첩되는 영역을 가지면서 기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데이터 페이지가 M×N 행렬 형태(여기서, M 및 N은 각각 2 이상의 임의의 자연수)를 갖는 경우,
    상기 픽셀 데이터 라인들은 상기 픽셀 데이터 페이지에서 행 방향으로 N개의 픽셀 데이터를 갖는 M개의 픽셀 데이터 라인 또는 열 방향으로 M개의 픽셀 데이터를 갖는 N개의 픽셀 데이터 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질에서의 전체 기록 영역은 비중첩 기록 영역과 상기 비중첩 기록 영역의 사이 마다에 존재하는 상기 중첩 기록 영역으로 구분되되,
    상기 비중첩 기록 영역에는 상기 픽셀 데이터 라인들 각각에 관한 원본 데이터가 기록되고, 상기 중첩 기록 영역에는 기록 위치를 기준으로 이웃하게 될 2개의 픽셀 데이터 라인에 관한 신호광 간의 중첩에 따른 패리티 데이터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데이터 페이지를 구성하는 본래의 픽셀 데이터가 광강도에 따라 '0' 또는 '1'의 값으로 구분되는 2진 데이터인 경우,
    상기 패리티 데이터는 상기 픽셀 데이터 라인에 상응하는 신호광 간의 중첩에 의한 광강도에 따라 구분되는 3진 데이터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
  5. 2차원의 픽셀 데이터 페이지를 기록 매질에 기록하기 위한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으로서,
    상기 픽셀 데이터 페이지에 포함된 1차원의 픽셀 데이터 라인들을 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동일 그룹에 속한 픽셀 데이터 라인들은 동일한 데이터 페이지에 포함되도록, 상기 픽셀 데이터 페이지를 2개의 서브 페이지로 재구성하는 단계; 및
    기록 위치를 기준으로 이웃하게 될 2개의 상기 픽셀 데이터 라인에 관한 신호광 간이 상기 기록 매질에서 서로 중첩되는 영역을 가지면서 기록되도록, 상기 2개의 서브 페이지에 상응하는 각각의 신호광을 기준광을 이용하여 상기 기록 매질에 순차 기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데이터 페이지가 M×N 행렬 형태(여기서, M 및 N은 각각 2 이상의 임의의 자연수)를 갖는 경우,
    상기 픽셀 데이터 라인들은 상기 픽셀 데이터 페이지에서 행 방향으로 N개의 픽셀 데이터를 갖는 M개의 픽셀 데이터 라인 또는 열 방향으로 M개의 픽셀 데이터를 갖는 N개의 픽셀 데이터 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기록 위치를 기준으로 이웃할 상기 2개의 픽셀 데이터 라인 간은 서로 다른 서브 페이지에 속하게 되도록, 상기 픽셀 데이터 라인들을 2개의 그룹으로 나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데이터 라인들은 상기 픽셀 데이터 페이지에서 홀수번째 위치하는 라인들에 의한 제1 그룹과 짝수번째 위치하는 라인들에 의한 제2 그룹으로 나뉘어, 그룹별로 상기 2개의 서브 페이지에 분리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광메로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서브 페이지는 동일한 페이지 크기를 갖되,
    상기 2개의 서브 페이지를 완전히 중첩시켰을 경우를 가상(假想)할 때, 기록 위치를 기준으로 이웃할 2개의 픽셀 데이터 라인 간이 서로 중첩하게 될 중첩 라인 영역과, 기록 위치를 기준으로 이웃할 2개의 픽셀 데이터 라인 간이 서로 중첩되지 않을 비중첩 라인 영역이 공존하도록, 상기 픽셀 데이터 라인들을 상기 2개의 서브 페이지에 분리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서브 페이지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비중첩 라인 영역에 대응되는 라인에 상기 픽셀 데이터 라인이 삽입된 경우, 상기 2개의 서브 페이지 중 다른 하나에서 상기 비중첩 라인 영역에 대응되는 라인에는 미리 지정된 더미 데이터 라인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질에서의 전체 기록 영역은 상기 비중첩 라인 영역에 상응할 비중첩 기록 영역과 상기 중첩 라인 영역에 상응하여 상기 비중첩 기록 영역의 사이 마다에 존재하는 상기 중첩 기록 영역으로 구분되되,
    상기 비중첩 기록 영역에는 상기 픽셀 데이터 라인에 관한 원본 데이터에 상응하는 신호광과 상기 더미 데이터 라인에 관한 더미 데이터에 상응하는 신호광 간의 중첩에 따른 변형 원본 데이터가 기록되고, 상기 중첩 기록 영역에는 기록 위치를 기준으로 이웃하게 될 2개의 픽셀 데이터 라인에 관한 신호광 간의 중첩에 따른 패리티 데이터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데이터 페이지를 구성하는 본래의 픽셀 데이터가 광강도에 따라 '0' 또는 '1'의 값으로 구분되는 2진 데이터인 경우,
    상기 패리티 데이터는 상기 픽셀 데이터 라인에 상응하는 신호광 간의 중첩에 의한 광강도에 따라 구분되는 3진 데이터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데이터 라인은 광강도에 따라 '0' 또는 '1'의 값으로 구분되는 2진 데이터들이 미리 지정된 패턴을 가지면서 배열된 라인이고, 상기 변형 원본 데이터는 상기 픽셀 데이터 라인에 상응하는 신호광과 상기 더미 데이터 라인에 상응하는 신호광 간의 중첩에 의한 광강도에 따라 구분되는 3진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데이터 라인에 속한 모든 데이터 값은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
  15. 2차원의 픽셀 데이터 페이지를 기록 매질에 기록하기 위한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으로서,
    상기 픽셀 데이터 페이지에 포함된 픽셀 데이터들을 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동일 그룹에 속한 픽셀 데이터들은 동일한 데이터 페이지에 포함되도록, 상기 픽셀 데이터 페이지를 2개의 서브 페이지로 재구성하는 단계; 및
    기록 위치를 기준으로 어느 하나의 픽셀 데이터에 관한 신호광과 상기 어느 하나의 픽셀 데이터의 둘레에서 이웃하게 될 다른 픽셀 데이터에 관한 신호광 간이 상기 기록 매질에서 서로 중첩되는 영역을 가지면서 기록되도록, 상기 2개의 서브 페이지에 상응하는 각각의 신호광을 기준광을 이용하여 상기 기록 매질에 순차 기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픽셀 데이터와 기록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어느 하나의 픽셀 데이터의 둘레에서 이웃할 다른 픽셀 데이터 간은 서로 다른 서브 페이지에 속하게 되도록, 상기 픽셀 데이터들을 2개의 그룹으로 나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데이터 페이지는 M×N 행렬 형태(여기서, M 및 N은 각각 2 이상의 임의의 자연수)를 갖되,
    상기 픽셀 데이터들은 i+j 값이 홀수인 i번째 행 및 j번째 열의 픽셀 데이터들에 의한 제1 그룹과 i+j 값이 짝수인 i번째 행 및 j번째 열의 픽셀 데이터들에 의한 제2 그룹으로 나뉘어, 그룹별로 상기 2개의 서브 페이지에 분리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서브 페이지는 동일한 페이지 크기를 갖되,
    상기 2개의 서브 페이지를 완전히 중첩시켰을 경우를 가상(假想)할 때, 기록 위치를 기준으로 이웃할 2개의 픽셀 데이터 간이 서로 중첩하게 될 중첩 픽셀 영역과, 기록 위치를 기준으로 이웃할 2개의 픽셀 데이터 간이 서로 중첩하지 않을 비중첩 픽셀 영역과, 상기 픽셀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미사용 픽셀 영역이 공존하도록, 상기 픽셀 데이터들을 상기 2개의 서브 페이지에 분리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미사용 픽셀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2개의 서브 페이지 내의 각각의 픽셀에는 미리 지정된 더미 데이터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서브 페이지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비중첩 픽셀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의 픽셀에 원본의 픽셀 데이터가 삽입된 경우, 상기 2개의 서브 페이지 중 다른 하나에서 상기 비중첩 픽셀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의 픽셀에는 미리 지정된 더미 데이터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질에서의 전체 기록 영역은 상기 비중첩 픽셀 영역에 상응할 비중첩 기록 영역과 상기 중첩 픽셀 영역에 상응할 상기 중첩 기록 영역으로 구분되되,
    상기 비중첩 기록 영역에는 상기 픽셀 데이터에 관한 원본 데이터에 상응하 는 신호광과 상기 더미 데이터에 상응하는 신호광 간의 중첩에 따른 변형 원본 데이터가 기록되고, 상기 중첩 기록 영역에는 기록 위치를 기준으로 이웃할 2개의 픽셀 데이터에 관한 신호광 간의 중첩에 따른 패리티 데이터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데이터 페이지를 구성하는 본래의 픽셀 데이터가 광강도에 따라 '0' 또는 '1'의 값으로 구분되는 2진 데이터인 경우,
    상기 패리티 데이터는 상기 픽셀 데이터에 상응하는 신호광 간의 중첩에 의한 광강도에 따라 구분되는 3진 데이터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데이터는 광강도에 따라 '0' 또는 '1'의 값을 갖는 2진 데이터이고, 상기 변형 원본 데이터는 원본의 픽셀 데이터에 상응하는 신호광과 상기 더미 데이터에 상응하는 신호광 간의 중첩에 의한 광강도에 따라 구분되는 3진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데이터들은 모두 '0'의 데이터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
  25. 제20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픽셀 데이터가 서브 페이지에 삽입될 위치를 기준으로 동일 서브 페이지 내의 인접 사방에 위치한 픽셀들에는 각각 상기 어느 하나의 픽셀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 값의 복제 데이터가 삽입되되,
    상기 어느 하나의 픽셀 데이터 및 이의 인접 사방에 위치한 복제 데이터들은 동일 서브 페이지 내의 내의 다른 픽셀 데이터들 및 이의 인접 사방에 위치할 복제 데이터들과는 상호간 영역을 달리하여 위치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픽셀 데이터 및 이의 인접 사방에 위치한 복제 데이터들은 해당 서브 페이지 내에서 십자가 형태의 영역을 형성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
KR1020090011265A 2009-02-12 2009-02-12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 KR100999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265A KR100999099B1 (ko) 2009-02-12 2009-02-12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
US12/393,841 US8094538B2 (en) 2009-02-12 2009-02-26 Data recording method in holography optical memor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265A KR100999099B1 (ko) 2009-02-12 2009-02-12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081A KR20100092081A (ko) 2010-08-20
KR100999099B1 true KR100999099B1 (ko) 2010-12-08

Family

ID=42540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265A KR100999099B1 (ko) 2009-02-12 2009-02-12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94538B2 (ko)
KR (1) KR1009990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63423A1 (en) * 2007-11-15 2009-05-27 Deutsche Thomson OHG Shift-insensitive storage of information in page oriented optical data storage systems
JP2012230736A (ja) * 2011-04-26 2012-11-22 Sharp Corp 磁気記録再生装置及び磁気記録媒体
US10366674B1 (en) 2016-12-27 2019-07-30 Facebook Technologies, Llc Display calibration in electronic display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980B1 (ko) 2006-06-07 2007-07-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홀로그래픽 광 정보 기록 장치를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홀로그래픽 광 정보 재생 장치의 데이터 처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1517B2 (ja) * 2003-07-14 2009-06-03 Tdk株式会社 ホログラフィック記録媒体、ホログラフィック記録媒体へのアドレス情報付加方法及びアドレス方法
JP2006201467A (ja) * 2005-01-20 2006-08-03 Fujitsu Ltd ホログラム記録再生装置、その記録方法、再生方法およびホログラム記録媒体
KR20080064356A (ko) * 2007-01-04 2008-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홀로그래픽 저장매체에의 데이터 기록/재생 방법 및 그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980B1 (ko) 2006-06-07 2007-07-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홀로그래픽 광 정보 기록 장치를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홀로그래픽 광 정보 재생 장치의 데이터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02269A1 (en) 2010-08-12
US8094538B2 (en) 2012-01-10
KR20100092081A (ko) 201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50127B2 (ja) ホログラム記録用2次元変調方法及びホログラム装置
JP4442162B2 (ja) ホログラフィック記録再生システム
US20070047042A1 (en) Hologram recording apparatus and hologram recording method
CN101432807A (zh) 记录/再现全息图的设备和方法以及全息记录介质
KR100999099B1 (ko)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
KR20050099852A (ko) 홀로그래픽 시스템에서의 재생 홀로그램 데이터 전처리장치 및 그 방법
EP153146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holographic data reproduced from a holographic medium
JP4181616B2 (ja) ホログラム記録装置、ホログラム再生装置、情報符号化方法、記録方法および情報再生方法
JP2007066377A (ja) 記録装置、記録方法、ホログラム記録媒体
KR100589590B1 (ko)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장치 및 방법
EP2071566B1 (en) Sync mark correction for holographic data pages
JP5023916B2 (ja) ホログラム復号装置、及びホログラム復号方法
KR100277944B1 (ko) 홀로그래픽 저장 장치의 데이터 기록 방법
KR100569480B1 (ko) 홀로그래픽 데이터 인코딩/디코딩 방법
JP2007065138A (ja) ホログラム記録装置、ホログラム記録方法、ホログラム記録媒体
WO2015011745A1 (ja) 光情報記録媒体、光情報記録方法および光情報再生方法
KR100749100B1 (ko) 광 정보 검출 방법 및 광 정보 검출기
KR100589620B1 (ko) 홀로그래픽 데이터 엔코딩/디코딩 방법
JP2008140485A (ja) ホログラム記録再生装置、ホログラム記録媒体の再生方法
US9966106B2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an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KR100589594B1 (ko) 홀로그래픽 데이터 엔코딩/디코딩 방법
KR100589588B1 (ko) 홀로그램 데이터 엔코딩/디코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78206B1 (ko)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 시스템의 비매칭 보정 장치
JP2007279430A (ja) データ記録再生装置
KR20050099853A (ko) 홀로그램 데이터 엔코딩/디코딩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