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9535B1 - 이동 통신 시스템, 이동 통신 방법, 이동 단말 및 기지국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 이동 통신 방법, 이동 단말 및 기지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9535B1
KR100589535B1 KR1020020076966A KR20020076966A KR100589535B1 KR 100589535 B1 KR100589535 B1 KR 100589535B1 KR 1020020076966 A KR1020020076966 A KR 1020020076966A KR 20020076966 A KR20020076966 A KR 20020076966A KR 100589535 B1 KR100589535 B1 KR 100589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power saving
sleep
sleep timer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6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7768A (ko
Inventor
모테기마사유키
가야마히데토시
우메다나루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30047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7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9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9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no transmission is received, e.g. out of range of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dependent on the time of the day, e.g. according to expected transmission activ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절전 모드를 가진 이동 단말과 무선 기지국 사이에서 패킷 송수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패킷의 종류가 판단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마지막으로 패킷이 송수신된 때부터 상기 절전 모드가 개시될 때까지의 시간 길이를 나타내는 슬립 타이머 값이 설정된다. 다음에는, 상기 패킷이 송수신된 때부터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슬립 타이머가 작동되고,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립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경과 시간이 상기 슬립 타이머 값을 초과하는 시점에서 절연 모드를 실행하도록 제어된다.
이동 통신 시스템, 이동 단말, 무선 기지국, 패킷, 절전 모드, 절전부, 패킷 종류 판단부, 슬립 타이머 설정부, 슬립 타이머, 슬립 실행부, 간헐 수신부, 간헐 수신 주기 변경부.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 이동 통신 방법, 이동 단말 및 기지국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COMMUNICATION METHOD, MOBILE TERMINAL AND BASE ST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이동 단말과 무선 기지국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송수신될 패킷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절전 모드로 이행할 때까지의 동작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송수신될 간헐 신호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절전 모드 동안의 동작 GM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이동 단말과 무선 기지국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절전 모드로의 이행 시까지의 동작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절전 모드 동안의 동작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위치 정보 관리 서버 12: 통신망
13: 이동 단말 14: 무선 기지국
15: 무선 기지국이 형성하는 무선 존
16: 무선 존의 세트가 형성하는 위치 등록 영역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절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 패킷 통신에서 이동 단말 상에서 절전 모드 이행(transition)용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PHS 또는 HIPERLAN 타입 2(고성능 무선 근거리 통신망) 등 이동 통신 시스템에는 이동 단말의 전지(battery) 소모를 감소시키는 절전 모드 기능이 제공된다.
예로서, PHS 등 셀룰러 시스템은 회선 교환형 통신 시스템으로서, 통신의 끝이 명확하여 통신이 종료된 후에 이동 단말이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간헐적으로 신 호를 수신하는 절전 모드로 이행한다. 이 절전 모드에서는 슈퍼 프레임 주기라고 지칭되는 한가지 주기만 존재한다(ARIB RCR STD-28 제2 세대 코드리스 전화 시스템 표준 규격을 참조하기 바란다).
또한, HIPERLAN 타입 2에서, 절전 시에 액세스 포인트(AP)로부터의 신호를 간헐적으로 수신하는 절전 모드로 이행한다. 이 절전 모드에서는, AP로부터의 신호를 모든 단말(이동 단말)이 수신하는 방송 프레임의 시간 길이를 간헐 수신 주기의 최대치로 하여, 최대 16 종류의 간헐 수신 주기를 선택할 수 있다. 이 16 종류의 절전 모드는 하나의 절전 모드에 이동 단말이 집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존재하여, AP와 이동 단말의 협의를 행하여, 절전 모드로 이행 시에 16 종류 중에서 하나의 간헐 수신 주기가 결정되고, 절전 모드 시에는 결정된 단 하나의 간헐 수신 주기에서만 간헐 수신이 행해지고, 동적으로 간헐 수신 주기가 변화하지 않는다(ETSI TS 101 761-2 V1.1.1 ETSI BRAN HIPERLAN 타입 2 기술 규격 참조).
그러나, 전술한 종래기술에서는, 절전 모드 시에 이동 단말 또는 이동 단말은 무선 기지국 또는 AP로부터 신호를 간헐 수신함과 동시에, 신호를 수신하여 통신 상태로 복귀하기 때문에, 통신 상태로 이행할 때에는, 통신 기지국(AP)으로부터의 신호가 송신될 때부터 통신 상태로 복귀할 때까지 최대로 간헐 수신 주기만큼의 지연이 발생한다. 따라서, 실시간 통신 동안에 절전 모드로 이행한 경우에는 호출(paging) 지연이 발생하고 패킷 수신이 정상적으로 행해지지 않아 패킷 손실로 인한 품질 열화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특히, 전술한 셀룰러 시스템에서는, 절전 모드 시의 간헐 수신 주기가 한번 밖에 설정되지 않기 때문에, 실시간과 비실시간 패킷이 혼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간헐 수신 주기를 실시간 통신에 맞추어 감소시켜야만 하지만, 호출 지연을 감소시키고자 하면, 이에 따른 간헐 수신 주기가 감소되어야만 하고, 절전의 관점에서 볼 때 충분한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전술한 HIPERLAN 타입 2에서는, 절전 모드 시에 있어서 복수의 간헐 수신 주기가 존재하지만, 이동 단말의 간헐 수신 주기는 절전 모드로 이행 시에 선택된 값이 계속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통신 상황의 변화에 대응할 수 없고, 충분한 절전 효과가 실현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패킷 통신 포맷에 따라 절전 모드로 이행하는 타이밍과 절전 모드 중의 간헐 수신의 주기를 조절하여, 응답 지연을 감소시키면서 효과적인 절전 모드를 실현할 수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 이동 통신 방법, 이동 단말 및 통신 기지국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과 무선 기지국 사이에서 패킷의 송수신을 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에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절전 모드를 실행하는 절전부, 상기 패킷의 패킷 형태를 판단하는 패킷 종류 판단부, 상기 패킷 종류 판단부에 의한 판단 결과에 따라 마지막 패킷이 송수신된 때부터 상기 절전 모드가 개시될 때까지의 시간 길이를 나타내는 슬립(sleep) 타이머 값을 설정하는 슬립 타이머 설정부, 패킷이 송수신된 때부터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립 타이머, 및 패킷이 송수신된 후에 상기 슬립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립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상기 경과 시간이 상기 슬립 타이머 값을 초과한 시점에서 절전 모드를 실행하기 위해서 상기 절전부를 제어하는 슬립 실행부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이 제공되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절전 모드를 가진 이동 단말과 무선 기지국 사이에서 패킷 송수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방법에 있어서, (1) 상기 패킷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 의한 판단 결과에 따라 마지막으로 패킷이 송수신된 때부터 상기 절전 모드가 개시될 때까지의 시간 길이를 나타내는 슬립 타이머 값을 설정하는 단계, (3) 상기 패킷이 송수신된 때부터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슬립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립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경과 시간이 상기 슬립 타이머 값을 초과하는 시점에서 절전 모드를 실행하기 위해 상기 이동 단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방법이 제공되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 무선 기지국과 패킷 송수신하는 이동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 장치에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절전 모드를 실행하는 절전부, 상기 패킷의 패킷 형태를 판단하는 패킷 종류 판단부, 상기 패킷 종류 판단부에 의한 판단 결과에 따라 마지막 패킷이 송수신된 때부터 상기 절전 모드가 개시될 때까지의 시간 길이를 나타내는 슬립 타이머 값을 설정하는 슬립 타이머 설정부, 패킷이 송수신된 때부터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립 타이머, 및 패킷이 송수신된 후에 상기 슬립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립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상기 경과 시간이 상기 슬립 타이머 값을 초 과한 시점에서 절전 모드를 실행하기 위해서 상기 절전부를 제어하는 슬립 실행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장치가 제공되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절전 모드를 가진 이동 단말과 패킷의 송수신을 행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킷의 패킷 형태를 판단하는 패킷 종류 판단부, 상기 패킷 종류 판단부에 의한 판단 결과에 따라 마지막 패킷이 송수신된 때부터 상기 절전 모드가 개시될 때까지의 시간 길이를 나타내는 슬립 타이머 값을 설정하는 슬립 타이머 설정부, 패킷이 송수신된 때부터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립 타이머, 및 패킷이 송수신된 후에 상기 슬립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립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상기 경과 시간이 상기 슬립 타이머 값을 초과한 시점에서 절전 모드를 실행하기 위해서 상기 이동 단말을 제어하는 슬립 허용 신호를 송신하는 슬립 허용 신호 송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가 제공되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제1 실시예)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이하에 설명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본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데, 그것은 제2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 다.
도 1에 도시되듯이, 이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은 통신 채널을 상호 접속하여 형성된 통신망(12)과, 통신망(12)에 접속되어 이동 단말(13)과 패킷 통신을 행하는 무선 기지국(14)과, 유저에 의해 사용되고 무선 기지국(14)과 패킷 송수신을 행하는 이동 단말(13)과, 통신망(12)에 접속되어 이동 단말(13)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11)를 구비한다.
각 이동 단말(13)은 무선 기지국(14)이 형성하는 셀(cell)(15)에 위치되고, 한 세트의 무선 존(15)이 형성하는 위치 등록 영역(16) 상에서 자기의 위치 등록을 행한다. 이 위치 정보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11)에 의해 관리된다.
각 이동 단말(13)은 통신 중에도 소정의 시간 주기 동안에 무선 기지국(14)과 패킷의 송수신이 없으면, 무선 기지국(14)으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주기적으로 간헐적으로 수신하는 절전 모드로 이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2는 이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13)과 기지국(14)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되듯이, 이동 단말(13)은 무선 기지국(14)에 대하여 패킷 등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수신부(17) 및 송신부(18)와, 송수신되는 패킷에 대하여 부호화, 복호화 등의 처리를 행하는 신호 변환부(19)와, 수신된 신호의 내용을 해석하는 신호 해석부(20)와, 절전 모드를 실행하는 절전부(24)를 구비한다.
신호 해석부(20)는 신호 변환부(19)에 의해 변환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신호로부터 슬립 허가 신호(sleep permission signal)를 추출하고, 슬립 허가 신호에 따라 절전부(24)를 제어하여 절전 모드를 실행한다.
절전부(24)는 이동 단말(13)에서 전력 소모를 절감하는 절전 모드를 실행하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동 단말(13)의 액정 모니터의 백 라이트(back light)를 끄고 후술하는 간헐 수신을 행한다.
한편, 무선 기지국(14)은 도 2에 도시하듯이, 수신부(27), 송신부(28), 신호 변환부(29), 패킷 종류 판단부(30), 슬립 타이머 설정부(31), 슬립 타이머(32a, 32b), 슬립 허가 신호 생성부(33), 간헐 신호 생성부(35)와 간헐 신호 주기 변경부(36)를 구비한다.
송신부(28) 및 수신부(27)는 이동 단말(13)에 대하여 패킷 데이터와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고, 송수신되는 신호는 신호 변환부(29)에 의해 변환된다.
패킷 종류 판단부(30)는 신호 변환부(29)로부터 입력된 패킷의 우선 레벨(priority level)과, 상기 패킷이 실시간 포맷인지 비실시간 포맷인지를 나타내는 패킷 종류를 판단하는 회로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패킷에 기술된 패킷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해석하고, 이 식별자에 기초하여 패킷의 우선 레벨과 무선 기지국(14) 또는 이동 단말(13)이 실시간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 결과는 간헐 신호 주기 변경부(36) 및 슬립 타이머 설정부(31)로 송출된다.
슬립 타이머 설정부(31)는 패킷 종류 판단부(30)에 의한 판단 결과에 따라서, 마지막 패킷이 송수신된 때부터 절전 모드를 개시한 때까지의 시간 기간을 나타내는 슬립 타이머 값을 설정하는 회로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슬립 타이머 설정부(31)는 패킷 종류 판단부(30)로부터 판단 결과를 수신하고, 실시간 통신인지 비실시간 통신인지 등을 나타내는 패킷의 종류에 따라 내부 메모리에 기억된 복수 의 슬립 타이머 값으로부터 선택된 값을 슬립 허가 신호 생성부(33)에 입력한다.
슬립 타이머(32a, 32b) 는 패킷이 송수신된 때부터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이고, 수신부(28)는 패킷을 수신하였다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경과 시간은 슬립 허가 신호 생성부(33)에 입력된다.
경과 시간 측정 동안에, 측정에 관련된 패킷의 종류와 다른 종류의 패킷을 수신한 경우에는, 슬립 타이머(32, 32) 중의 하나는 그 다른 종류의 패킷에 관한 측정을 수행하도록 작동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슬립 타이머(32a)는 실시간 통신의 패킷이 수신된 경우에 작동되고, 슬립 타이머(32b)는 비실시간 통신의 패킷이 수신된 경우에 작동된다.
슬립 허가 신호 생성부(33)는 패킷이 송수신된 후에 슬립 타이머(32a)를 작동시키고, 이 슬립 타이머(32)에 의해 측정된 시간이 슬립 타이머 값을 초과한 시점에 이동 단말(13)에 절전 모드를 실행시키는 슬립 허가 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슬립 허가 신호는 신호 변환부(29) 및 송신부(27)를 거쳐 이동 단말(13)에 송신된다.또한, 슬립 허가 신호 생성부(33)는 복수의 슬립 타이머가 작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모든 슬립 타이머가 만료된(expired) 후에 슬립 허가 신호를 생성하고 송신한다.
간헐 신호 생성부(35)는 절전 모드에서 이동 단말(13)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회로로서, 송신하는 주기는 간헐 신호 주기 변경부(36)의 결정에 따른다. 간헐 신호 주기 변경부(36)는 패킷 종류 판단부(30)에 의한 판단 결과에 따라서 간헐 신호의 주기를 변경하는 회로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이동 통신 방법)
이러한 구성을 가진 이동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이동 통신 방법의 절차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무선 기지국(14)과 이동 단말(13)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패킷을 도시하는 설명도로서, 도 3a는 실시간 통신의 경우를 도시하고, 도 3b는 비실시간 통신의 경우를 도시한다.
도 3a에 도시되듯이, 실시간 통신의 경우에는, 6번째의 패킷이 송수신된 직후에 슬립 타이머가 작동되고, 다음에 슬립 주기(절전 모드)가 제공된다.
무선 기지국(14)에서, 6번째 패킷의 패킷 헤더에 기술된 식별자에 기초하여 무선 기지국(14)이 실시간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다음에, 이 패킷 종류에 기초하여 슬립 타이머 설치부(31)에서 슬립 타이머 값을 결정한다.
이 때에 슬립 타이머(32)는 수신부(27)가 6번째 패킷을 수신한 것을 검출하여 경과 시간의 측정을 개시하고, 슬립 허가 신호 생성부(33)는 슬립 타이머 설정부(31)가 결정한 슬립 타이머 시간이 경과한 후에 슬립 허가 신호를 생성하고 송신한다.
한편, 도 3b에 도시되듯이, 비실시간 통신의 경우에도 유사하여, 절전 모드로 이행하기 직전에 송수신된 패킷이 5번째 패킷이면, 무선 기지국(14)은 5번째 패킷의 패킷 종류를 판단하고, 이 판단 결과에 따라 슬립 타이머 값을 설정하고, 5번째 패킷의 송수신 후에 슬립 타이머(32b)를 작동시키고, 슬립 타이머(32b)에 대해 설정된 슬립 타이머 시간이 경과한 후에 슬립 허가 신호를 생성하고 송신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
위에서 설명한 이동 통신 방법을 실현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을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4에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우선, 무선 기지국(14)의 패킷 종류 판단부(30)에 의해 이동 단말(13)과의 사이에 패킷이 송수신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 S41). 이 단계(S41)에서, 패킷의 송수신이 행해지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루프 처리에 의해 패킷의 송수신이 있을 때까지 대기 상태로 된다.
다음에, 단계(S41)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14)과 이동 단말(13)이 패킷의 송수신을 행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패킷 종류 판단부(30)에서 헤더의 식별자를 해석하여, 송수신을 행하고 있는 패킷이 실시간 형태인지 비실시간 형태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42). 이 패킷 종류 판단부(30)에 의한 판단 처리 동안에, 슬립 타이머(32a, 32b)는 수신부(27)가 패킷을 수신한 것을 검출하고 작동 대기 상태로 된다.
이 단계(S42)에서 실시간 형태라고 판단한 경우에, 패킷 종류 판단부(30)는 슬립 타이머 설정부(31)로 그 판단 결과를 송출하고, 슬립 타이머 설정부(31)는 슬립 허가 신호 생성부(33)에 대하여 슬립 타이머 값 TS를 TS2로 설정한다. 이에 응답하여, 슬립 허가 신호 생성부(33)는 슬립 타이머(32a)를 작동시킨다(단계 S43). 슬립 타이머(32a)는 이 작동 명령에 따라서 대기 상태를 해제하고, 수신부(27)가 패킷을 수신한 시점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카운트한다.
한편, 단계(S42)에서의 판단 결과가 비실시간 형태인 경우에, 슬립 타이머 설정부(31)는 슬립 허가 신호 생성부(33)에 대하여 슬립 타이머 값 TS를 TS1으로 설정한다. 이에 응답하여, 슬립 허가 생성부(33)는 슬립 타이머(32b)를 작동한다(단계 S44). 슬립 타이머(32b)는 이 작동 명령에 따라서 대기 상태를 해제하고, 수신부(27)가 패킷을 수신한 시점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카운트한다.
다음에, 슬립 허가 신호 생성부(33)는 슬립 타이머(32a 또는 32b)가 측정하는 경과 시간을 획득하고, 설정된 슬립 타이머 값 TS1, TS2가 둘 다 만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45). 이 단계(S45)에서, 슬립 타이머 값이 만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 무선 기지국(14)과 이동 단말(13) 사이에서 패킷이 송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46).
단계(S46)에서, 송수신이 없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루프 처리에 의해 단계(S45 및 S46)를 반복하여 타이머 작동을 계속한다. 한편, 단계(S46)에서, 송수신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슬립 타이머(32a 및 32b)를 리셋하고, 전술한 단계(S41 내지 S46)의 동작을 반복한다.
단계(S45)에서, 슬립 타이머 값 TS1, TS2가 만료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슬립 허가 신호 생성부(33)는 슬립 허가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슬립 허가 신호를 신호 변환부(29) 및 송신부(28)를 거쳐 이동 단말(13)로 송신한다(단계 S47). 이 슬립 허가 신호를 수신한 이동 단말(13)측에서는, 수신된 신호는 신호 변환부(19)에 의해 변환되고 신호 해석부(20)에 의해 해석되고, 절전부(24)는 슬립 허가 신호에 따라 절전 모드를 실행하도록 제어된다.
다음에, 절전 모드 시에 간헐 수신은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도 5a 및 도5b는 본 실시예에서 절전 모드로 이행할 때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되듯이, 절전 모드 시의 간헐 수신 주기를 복수로 설정하고, 패킷 통신의 포맷에 따라 적절히 선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a에 도시되듯이, 실시간의 경우에서 주기로서 주기 1 및 주기 2의 두가지 종류를 설정하고, 도 5b에 도시되듯이, 비실시간의 경우에서 주기로서 주기 1 내지 주기 3의 세가지 종류가 설정된다. 다음에, 무선 기지국(14)과 이동 단말(13)의 사이에서 송수신된 패킷 종류에 따라서 절전 모드 시의 간헐 수신 주기가 최대치를 갖도록 주기를 선택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의 헤더에는, 각 패킷 종류에 독립된 슬립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식별자가 기술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이 주기 선택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슬립 타이머는 전술한 패킷 종류에 따라서 각 패킷에 대해 독립적으로 작동되고, 가장 짧은 간헐 수신 주기를 가진 절전 모드로의 이행이 패킷 송수신으로부터의 경과된 시간에 따라 가장 먼저 이루어진다. 다음에는, 간헐 수신 주기가 경과된 시간에 따라 단계적으로 순차적으로 더욱 길게 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설정된 간헐 수신 주기로 이행한다. 그 결과, 이 실시예에서 절전 모드 시의 간헐 수신 주기의 최대치는 실시간 형태의 경우에 두 번째로 긴 주기로 되고, 비실시간 형태의 경우에는 가장 긴 간헐 수신 주기로 설정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서 절전 모드 시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되듯이, 무선 기지국(14)과 이동 단말(13)이 패킷의 송수신을 행 할 때, 패킷 종류 판단부(30)는 송수신되고 있는 패킷의 우선 레벨과, 상기 패킷이 실시간 형태의 패킷인지 비실시간 형태의 패킷인지 등 패킷의 종류를 판단한다(단계 S51).
단계(S51)에서 패킷이 실시간 형태인 경우에 간헐 신호 주기 변경부(36)는 간헐 수신 주기를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까지 순차적으로 길게 하고, 단계(S51)에서 패킷이 비실시간 형태인 경우에는 간헐 신호 주기 변경부(36)는 간헐 수신 주기를 소정의 표준치로부터 순차적으로 길게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단계(S51)에서 패킷이 비실시간 형태라고 판단한 경우에 간헐 신호 주기 변경부(36)는 절전 모드 시의 간헐 수신 주기의 최대치 TC를 표준치 TC_max1으로 설정한다(단계 S52). 또한, 단계(S51)에서 패킷이 실시간 형태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간헐 신호 주기 변경부(36)는 절전 모드 시의 간헐 수신 주기의 최대치 TC를 표준치 TC_max2로 설정한다(단계 S53). 이 실시예에서 TC_max1과 TC_max2는 TC_max1 < TC_max2로 한정된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다음에, 슬립 허가 신호 생성부(33)는 슬립 타이머(32a 또는 32b)를 작동시키고, 직전의 패킷이 송수신된 시간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의 측정을 개시한다(단계 S54). 슬립 허가 신호 생성부(33)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행하고(단계 S55),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전술한 단계(S51)로부터 단계(S55)까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슬립 허가 신호 생성부(33)가 경과 시간이 소정의 값을 초과하고 또한 패킷의 송수신이 행해지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 한 단계 더 긴 간헐 수신 주기 TC+N과 설정된 간헐 수신 주기의 최대치 Tmax를 비교하고, 간헐 수신 주기가 짧은 쪽을 새로운 간헐 수신 주기의 최대치 TC로서 선택한다(단계 S56). 전술한 단계(S51 내지 S56)는 간헐 수신 주기가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최대치가 될 때까지 반복된다. 그 결과, 패킷의 송수신이 행해지지 않는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간헐 수신 주기가 길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전술한 패킷 종류 판단부, 슬립 타이머 설정부, 및 간헐 신호의 주기를 변경하는 수단이 이동 단말측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이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53)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다.
즉, 도 7에 도시되듯이, 이동 단말(53)은 송신부(18), 수신부(17), 신호 변환부(19), 패킷 종류 판단부(20), 슬립 타이머 설정부(21), 슬립 타이머(22a, 22b), 슬립 타이머 실행부(23), 절전부(24), 간헐 신호 주기 결정부(25), 및 통지 신호 생성부(26)를 구비한다.
송신부(18)와 수신부(17)는 무선 기지국(54)에 대하여 패킷 데이터와 제어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고, 송수신되는 신호는 신호 변환부(19)에 의해 변환된다.
패킷 종류 판단부(20)는 신호 변환부(19)로부터 입력된 패킷의 우선 레벨과 이 패킷이 실시간 포맷인지 비실시간 포맷인지 등을 나타내는 패킷 종류를 판단하는 회로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판단은 패킷 헤더에 기술된 식별자에 따라서 이 루어진다. 이 판단 결과는 간헐 신호 주기 결정부(25) 및 슬립 타이머 설정부(21)로 송출된다.
슬립 타이머 설정부(21)는 패킷 종류 판단부(20)에 의한 판단 결과에 따라 슬립 타이머 값을 설정하는 회로이다. 구체적으로는 이 슬립 타이머 설정부(21)는 패킷 종류 판단부(20)로부터 판단 결과를 수신하고, 패킷의 우선 레벨 또는 실시간 통신인지 비실시간 통신인지 등의 패킷 종류에 따라서, 슬립 타이머 설정부(21)는 내부 메모리에 기억된 복수의 슬립 타이머 값으로부터 선택된 값을 슬립 타이머 실행부(23)에 입력한다.
슬립 타이머(22a 및 22b)는 패킷이 송신된 때부터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이고, 수신부(27)가 패킷을 수신한 것을 검출하여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경과된 시간은 슬립 타이머 실행부(23)에 입력된다.
경과된 시간을 측정하는 동안에, 측정과 관련된 패킷의 종류와 다른 종류의 패킷이 수신될 때, 슬립 타이머(22a 및 22b) 중의 하나는 다른 종류의 패킷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작동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슬립 타이머(22a)는 실시간 통신의 패킷이 수신될 때 작동되고, 슬립 타이머(22b)는 비실시간 통신이 수신될 때 작동된다.
슬립 타이머 실행부(23)는 패킷이 송수신된 후에 슬립 타이머(22)를 작동시키고, 이 스립 타이머(22)에 의해 측정된 시간이 슬립 타이머 값을 초과한 시점에 절전 모드를 실행하도록 절전부(24)를 제어한다. 또한, 슬립 타이머 실행부(23)는 복수의 슬립 타이머가 작동하는 경우에는 모든 슬립 타이머가 만료된 후에 절전 모 드를 실행하도록 절전부(24)를 제어한다.
간헐 신호 주기 결정부(25)는 패킷 종류 판단부(20)에 의한 판단 결과에 따라서 간헐 신호 주기를 결정하고, 결정된 주기를 통지 신호 생성부(26)에 출력한다. 또한, 간헐 신호 주기 결정부(25)는 결정된 주기에 따라서 수신부(17)를 제어하여 수신부(17)에 의해 간헐 수신을 행한다.
통지 신호 생성부(26)는 절전 모드 동안에 통신 기지국(54)에 대하여 간헐 신호 주기 결정부(25)가 결정한 간헐 수신 주기를 통지하는 통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회로이다. 이 통지 신호 생성부(26)에서 생성된 통지 신호는 신호 변환부(19) 및 송신부(18)를 통해서 무선 기지국(54)에 송신된다. 송신된 통지 신호의 내용은 무선 기지국(54)에서 신호 해석부(30)에 의해 해석되고, 이 해석 결과는 간헐 신호 주기 변경부(36)에 입력된다. 간헐 신호 주기 변경부(36)는 통지 신호의 내용에 따라서 간헐 신호의 주기를 변경하고, 이 변경된 주기에 따라서 간헐 신호 생성부(35)는 간헐 신호를 생성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이동 통신 방법)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이동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이동 통신 방법의 절차를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8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우선, 이동 단말(53)의 패킷 종류 판단부(20)에 의해 무선 기지국(54)과의 사이에 패킷이 송수신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 S61). 이 단계(S61)에서, 패킷의 송수신이 행해지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루프 처리에 의해 패킷의 송수신이 있을 때까지 대기 상태로 된다.
다음에, 단계(S61)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54)과 이동 단말(53)이 패킷의 송수신을 행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패킷 종류 판단부(20)에서 헤더의 식별자를 해석하여, 송수신을 행하고 있는 패킷의 종류를 판단한다(단계 S62). 이 패킷 종류 판단부(20)에 의한 판단 처리 동안에, 슬립 타이머(22a, 22b)는 수신부(17)가 패킷을 수신한 것을 검출하고 작동 대기 상태로 된다.
이 단계(S62)에서 실시간 형태라고 판단한 경우에, 패킷 종류 판단부(20)는 슬립 타이머 설정부(21)로 그 판단 결과를 송출하고, 슬립 타이머 설정부(21)는 슬립 타이머 실행부(23)에 대하여 슬립 타이머 값 TS를 TS2로 설정한다. 이에 응답하여, 슬립 타이머 실행부(23)는 슬립 타이머(22a)를 작동시킨다(단계 S63). 슬립 타이머(22a)는 이 작동 명령에 따라서 대기 상태를 해제하고, 수신부(17)가 패킷을 수신한 시점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카운트한다.
한편, 단계(S62)에서의 판단 결과가 비실시간 형태인 경우에, 슬립 타이머 설정부(21)는 슬립 타이머 실행부(23)에 대하여 슬립 타이머 값 TS를 TS1으로 설정한다. 이에 응답하여, 슬립 타이머 실행부(23)는 슬립 타이머(22b)를 작동한다(단계 S64). 슬립 타이머(22b)는 이 작동 명령에 따라서 대기 상태를 해제하고, 수신부(17)가 패킷을 수신한 시점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카운트한다.
다음에, 슬립 타이머 실행부(23)는 슬립 타이머(22a 또는 22b)가 측정하는 경과 시간을 획득하고, 설정된 슬립 타이머 값 TS1, TS2가 둘 다 만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65). 이 단계(S65)에서, 슬립 타이머 값이 만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 무선 기지국(54)과 이동 단말(53) 사이에서 패킷이 송수신되었는지를 판 단한다(단계 S66).
단계(S66)에서, 송수신이 없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루프 처리에 의해 단계(S65 및 S66)를 반복하여 타이머 작동을 계속한다. 한편, 단계(S66)에서, 송수신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슬립 타이머(22a 및 22b)를 리셋하고, 전술한 단계(S61 내지 S66)의 동작을 반복한다.
단계(S65)에서, 슬립 타이머 값 TS1, TS2가 만료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슬립 타이머 실행부(23)는 절전부(24)에 절전 모드를 실행시킨다(단계 S67).
다음에, 절전 모드 시에 간헐 수신은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도 9는 본 실시예에서 절전 모드로 이행할 때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되듯이, 무선 기지국(54)과 이동 단말(53)이 패킷의 송수신을 행할 때, 패킷 종류 판단부(20)에서 송수신되고 있는 패킷의 종류를 판단한다(단계 S71).
단계(S71)에서 패킷이 비실시간 형태라고 판단한 경우에 간헐 신호 주기 결정부(25)는 절전 모드 시의 간헐 수신 주기의 최대치 TC를 표준치 TC_max1으로 설정한다(단계 S72). 또한, 단계(S71)에서 패킷이 실시간 형태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간헐 신호 주기 결정부(25)는 절전 모드 시의 간헐 수신 주기의 최대치 TC를 표준치 TC_max2로 설정한다(단계 S73). 이 실시예에서 TC_max1과 TC_max2는 TC_max1 < TC_max2로 한정된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다음에, 간헐 신호 주기 결정부(25)는 이 결정된 간헐 수신 주기를 통지 신호 생성부(26)에 송출하고, 통지 신호 생성부(26)는 이 결정을 통지하는 통지 신호 를 생성하고, 이것을 신호 변환부(19) 및 송신부(18)를 통하여 무선 기지국(54)에 송신한다. 이 통지 신호를 수신한 무선 기지국(54)에서는 신호 해석부(30)에 의해 통지 신호의 내용을 해석하고, 이 해석 결과를 간헐 신호 주기 변경부(36)로 출력한다. 간헐 신호 주기 변경부(36)는 통지 신호의 내용에 따라서 간헐 신호의 주기를 변경하고, 이 변경된 주기에 따라서 간헐 신호 생성부(35)는 간헐 신호를 생성한다.
다음에, 슬립 타이머 실행부(23)는 슬립 타이머(22a 또는 22b)를 작동시키고, 직전의 패킷이 송수신된 시간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의 측정을 개시한다(단계 S74). 슬립 타이머 실행부(23)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행하고(단계 S75),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전술한 단계(S71)로부터 단계(S75)까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슬립 타이머 실행부(23)가 경과 시간이 소정의 값을 초과하고 또한 패킷의 송수신이 행해지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 한 단계 더 긴 간헐 수신 주기 TC+N과 설정된 간헐 수신 주기의 최대치 Tmax를 비교하고, 간헐 수신 주기가 짧은 쪽을 새로운 간헐 수신 주기의 최대치 TC로서 선택한다(단계 S76). 전술한 단계(S71 내지 S76)는 간헐 수신 주기가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최대치가 될 때까지 반복된다. 그 결과, 패킷의 송수신이 행해지지 않는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간헐 수신 주기가 길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절전 모드 동 안의 간헐 신호 주기와 패킷 통신 포맷에 따라 절전 모드로 이행하는 타이밍을 조정함으로써 응답 지연을 감소시키면서 효과적인 절전 모드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절전 모드로의 이행하는 타이밍이 통신 포맷에 따라 설정되는데, 그 통신 포맷에 의하면, 마지막 통신은 패킷 통신 포맷이 실시간일 때 절전 모드로의 이행을 위한 타이밍인 더 큰 슬립 타이머 값을 사용하여 지연될 수 있고 예로서 슬립으로의 이행 회수를 감소시켜 호출 지연으로 인한 영향이 더욱 작게 될 수 있도록 수행된다. 또한, 패킷 통신 포맷이 비실시간 통신인 경우에, 호출 지연은 허용가능하여 절전 모드로의 이행을 위한 타이밍은 작은 슬립 타이머 값을 사용하여 더욱 빨리 이루어질 수 있고, 효과적인 절전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간헐 수신 주기는 패킷 통신 포맷에 따라 설정될 수 있는데, 그 패킷 통신 포맷에 의하면, 마직막 통신은 절전 모드의 시점에서 복수의 간헐 수신 주기로부터 수행되어, 패킷 통신이 실시간 통신일 때 호출 지연은 예로서 절전 모드의 시간에 간헐 수신 주기를 소정 임계치보다 더욱 길게 설정함으로써 억제될 수 있다. 또한, 패킷 통신 포맷이 비실시간 통신인 경우에, 효과적인 절전은 절전 모드의 시간에 간헐 수신 주기를 시스템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레벨까지 최대한 길게 설정하여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 외에도, 전술한 실시예에 대한 여러 가지 수정 및 변경이 본 발명의 신규하고 이점을 가진 특징들로부터 이탈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모든 그러한 수정 및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 것이다.

Claims (20)

  1. 이동 단말과 무선 기지국 사이에서 패킷의 송수신을 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에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절전 모드를 실행하는 절전부,
    상기 패킷의 패킷 형태를 판단하는 패킷 종류 판단부,
    상기 패킷 종류 판단부에 의한 판단 결과에 따라 마지막 패킷이 송수신된 때부터 상기 절전 모드가 개시될 때까지의 시간 길이를 나타내는 슬립(sleep) 타이머 값을 설정하는 슬립 타이머 설정부,
    패킷이 송수신된 때부터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립 타이머, 및
    패킷이 송수신된 후에 상기 슬립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립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상기 경과 시간이 상기 슬립 타이머 값을 초과한 시점에서 절전 모드를 실행하기 위해서 상기 절전부를 제어하는 슬립 실행부
    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립 타이머는 복수의 슬립 타이머를 포함하여, 상기 패킷에 대한 경과 시간의 측정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상기 패킷의 종류와 다른 종류의 패킷이 수신된 때에, 다른 슬립 타이머가 상기 다른 패킷에 대한 경과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서 작동되고,
    상기 슬립 실행부는 모든 슬립 타이머가 만료된 때에 절전 모드를 실행하기 위해 상기 절전부를 제어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모드 동안에 상기 이동 단말에서 주기적으로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간헐 수신을 실행하는 수신부, 및
    상기 패킷 종류 판단부에 의한 판단 결과에 따라서 상기 간헐 수신의 주기를 변경하는 주기 변경부
    를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 변경부는 패킷의 송수신이 없는 주기가 길어질 때에 상기 간헐 수신의 주기를 더 길게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종류 판단부는 상기 패킷 종류를 실시간 형태 또는 비실시간 형태로 판단하고,
    상기 주기 변경부는 상기 패킷 종류가 실시간 형태일 때는 상기 간헐 수신 주기를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순차적으로 길게 하고, 상기 패킷 종류가 비실시간 형태일 때에는 상기 간헐 수신 주기를 소정의 표준치로부터 순차적으로 길게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6.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절전 모드를 가진 이동 단말과 무선 기지국 사이에서 패킷 송수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방법에 있어서,
    (1) 상기 패킷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 의한 판단 결과에 따라 마지막으로 패킷이 송수신된 때부터 상기 절전 모드가 개시될 때까지의 시간 길이를 나타내는 슬립 타이머 값을 설정하는 단계,
    (3) 상기 패킷이 송수신된 때부터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슬립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립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경과 시간이 상기 슬립 타이머 값을 초과하는 시점에서 절전 모드를 실행하기 위해 상기 이동 단말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립 타이머는 복수의 슬립 타이머를 포함하여, 상기 패킷에 대한 경과 시간의 측정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상기 패킷의 종류와 다른 종류의 패킷이 수신된 때에, 상기 단계 (3)은 상기 다른 패킷에 대한 경과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서 다른 슬립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상기 단계 (4)는 모든 슬립 타이머가 만료된 때에 절전 모드를 실행하기 위해 상기 이동 단말을 제어하는
    이동 통신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5) 상기 절전 모드 동안에 상기 이동 단말에서 주기적으로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간헐 수신을 실행하는 단계, 및
    (6) 상기 단계 (1)의 판단 결과에 따라서 상기 간헐 수신의 주기를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6)은 패킷의 송수신이 없는 주기가 길어질 때에 상기 간헐 수신의 주기를 더 길게 하는, 이동 통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상기 패킷 종류를 실시간 형태 또는 비실시간 형태로 판단하고,
    상기 단계 (6)은 상기 패킷 종류가 실시간 형태일 때는 상기 간헐 수신 주기를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순차적으로 길게 하고, 상기 패킷 종류가 비실시간 형태일 때에는 상기 간헐 수신 주기를 소정의 표준치로부터 순차적으로 길게 하는
    이동 통신 방법.
  11. 무선 기지국과 패킷 송수신하는 이동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 장치에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절전 모드를 실행하는 절전부,
    상기 패킷의 패킷 형태를 판단하는 패킷 종류 판단부,
    상기 패킷 종류 판단부에 의한 판단 결과에 따라 마지막 패킷이 송수신된 때부터 상기 절전 모드가 개시될 때까지의 시간 길이를 나타내는 슬립 타이머 값을 설정하는 슬립 타이머 설정부,
    패킷이 송수신된 때부터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립 타이머, 및
    패킷이 송수신된 후에 상기 슬립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립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상기 경과 시간이 상기 슬립 타이머 값을 초과한 시점에서 절전 모드를 실행하기 위해서 상기 절전부를 제어하는 슬립 실행부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립 타이머는 복수의 슬립 타이머를 포함하여, 상기 패킷에 대한 경과 시간의 측정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상기 패킷의 종류와 다른 종류의 패킷이 수신된 때에, 다른 슬립 타이머가 상기 다른 패킷에 대한 경과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서 작동되고,
    상기 슬립 실행부는 모든 슬립 타이머가 만료된 때에 절전 모드를 실행하기 위해 상기 절전부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모드 동안에 상기 이동 단말 장치에서 주기적으로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간헐 수신을 실행하는 수신부, 및
    상기 패킷 종류 판단부에 의한 판단 결과에 따라서 상기 간헐 수신의 주기를 변경하는 주기 변경부
    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 변경부는 패킷의 송수신이 없는 주기가 길어질 때에 상기 간헐 수신의 주기를 더 길게 하는, 이동 단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종류 판단부는 상기 패킷 종류를 실시간 형태 또는 비실시간 형태로 판단하고,
    상기 주기 변경부는 상기 패킷 종류가 실시간 형태일 때는 상기 간헐 수신 주기를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순차적으로 길게 하고, 상기 패킷 종류가 비실시간 형태일 때에는 상기 간헐 수신 주기를 소정의 표준치로부터 순차적으로 길게 하는
    이동 단말 장치.
  16.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절전 모드를 가진 이동 단말과 패킷의 송수신을 행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킷의 패킷 형태를 판단하는 패킷 종류 판단부,
    상기 패킷 종류 판단부에 의한 판단 결과에 따라 마지막 패킷이 송수신된 때부터 상기 절전 모드가 개시될 때까지의 시간 길이를 나타내는 슬립 타이머 값을 설정하는 슬립 타이머 설정부,
    패킷이 송수신된 때부터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립 타이머, 및
    패킷이 송수신된 후에 상기 슬립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립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상기 경과 시간이 상기 슬립 타이머 값을 초과한 시점에서 절전 모드를 실행하기 위해서 상기 이동 단말을 제어하는 슬립 허용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립 타이머는 복수의 슬립 타이머를 포함하여, 상기 패킷에 대한 경과 시간의 측정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상기 패킷의 종류와 다른 종류의 패킷이 수신된 때에, 다른 슬립 타이머가 상기 다른 패킷에 대한 경과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서 작동되고,
    상기 송신부는 모든 슬립 타이머가 만료된 때에 상기 슬립 허용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종류 판단부에 의한 판단 결과에 따라서 상기 간헐 수신의 주기를 변경하는 주기 변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는 또한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절전 모드 동안에 주기적으로 간헐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간헐 수신을 실행하도록 상기 이동 단말에 상기 간헐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 변경부는 패킷의 송수신이 없는 주기가 길어질 때에 상기 간헐 수신의 주기를 더 길게 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종류 판단부는 상기 패킷 종류를 실시간 형태 또는 비실시간 형태로 판단하고,
    상기 주기 변경부는 상기 패킷 종류가 실시간 형태일 때는 상기 간헐 수신 주기를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순차적으로 길게 하고, 상기 패킷 종류가 비실시간 형태일 때에는 상기 간헐 수신 주기를 소정의 표준치로부터 순차적으로 길게 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
KR1020020076966A 2001-12-10 2002-12-05 이동 통신 시스템, 이동 통신 방법, 이동 단말 및 기지국 KR1005895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76414 2001-12-10
JP2001376414A JP3886795B2 (ja) 2001-12-10 2001-12-10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方法、移動端末及び通信基地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768A KR20030047768A (ko) 2003-06-18
KR100589535B1 true KR100589535B1 (ko) 2006-06-13

Family

ID=19184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6966A KR100589535B1 (ko) 2001-12-10 2002-12-05 이동 통신 시스템, 이동 통신 방법, 이동 단말 및 기지국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548519B2 (ko)
EP (1) EP1318687B1 (ko)
JP (1) JP3886795B2 (ko)
KR (1) KR100589535B1 (ko)
CN (1) CN1327717C (ko)
AU (1) AU2002317524B2 (ko)
CA (1) CA2413858C (ko)
SG (1) SG1083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351B1 (ko) * 2002-06-05 2006-08-25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서버, 이동 통신 시스템, 위치 정보 관리 방법, 무선기지국, 이동국,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 방법및 이동 통신 방법
DE60220267T2 (de) * 2002-07-08 2008-01-17 Sony Deutschland Gmbh Konvergenzschichten für Netzwerkgeräte und Verfahren zur Datenverkehrübertragung
JP3654284B2 (ja) * 2002-10-03 2005-06-02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端末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無線通信システム
US7340615B2 (en) * 2003-01-31 2008-03-04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in network interface modules
WO2004071022A1 (ja) * 2003-02-03 2004-08-19 Sony Corporation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4312452A (ja) * 2003-04-08 2004-11-04 Sony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端末装置
JP2005026862A (ja) 2003-06-30 2005-01-27 Sony Corp 無線端末管理方法及び基地局、並びに無線端末管理プログラム
US20040264396A1 (en) * 2003-06-30 2004-12-30 Boris Ginzburg Method for power saving in a wireless LAN
JP4197629B2 (ja) * 2003-07-01 2008-12-1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および移動局
KR20050014552A (ko) * 2003-07-31 2005-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휴대 단말기 제어 방법
US7430421B2 (en) 2003-09-01 2008-09-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sleep mode in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50048960A1 (en) * 2003-09-03 2005-03-03 Sharp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equipment,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power management method, power management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WO2005026929A1 (ja) * 2003-09-03 2005-03-24 Sharp Kabushiki Kaisha 情報処理装置、無線モジュール、電子制御装置、制御装置、通信装置、通信機器、電子装置、電力制御方法、電力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6917598B1 (en) * 2003-12-19 2005-07-12 Motorola, Inc. Unscheduled power save delivery method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for real time communication
US7363010B2 (en) * 2004-04-15 2008-04-22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for intermittently active data channe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628162B2 (ja) * 2004-04-16 2011-02-09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通信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電力制御方法
US7181190B2 (en) * 2004-04-30 2007-02-20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for maintaining wireless network response time while saving wireless adapter power
CN1973489B (zh) * 2004-05-07 2011-09-14 Lg电子株式会社 用于宽带无线接入系统的网际协议(ip)寻址的方法
KR20060047692A (ko) 2004-05-07 2006-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 적용되는 수면모드 수행 및 제어방법
KR101119372B1 (ko) 2004-05-10 2012-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Ip 연결 설정 방법
EP1759538A4 (en) * 2004-06-22 2013-07-24 Ntt Docom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CONSCIOUS MODE PACKETS
JP4028527B2 (ja) 2004-06-30 2007-12-26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装置、無線キー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3955290B2 (ja) * 2004-06-30 2007-08-08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装置
KR100606084B1 (ko) * 2004-08-17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의 슬립 식별자 업데이트 시스템 및 방법
JP2006094341A (ja) 2004-09-27 2006-04-06 Toshiba Corp 移動通信端末装置の間欠受信方法及び移動通信端末装置
US7804850B2 (en) 2004-10-01 2010-09-28 Nokia Corporation Slow MAC-e for autonomous transmission in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along with service specific transmission time control
IL164576A (en) * 2004-10-14 2006-10-05 Alvarion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aving in wireless systems
US8379553B2 (en) * 2004-11-22 2013-02-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the impact of receiving unsolicited IP packets at a wireless device
KR100622892B1 (ko) * 2004-12-09 200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저 전력소비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05442B1 (ko) * 2004-12-23 2007-04-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슬립모드 방법 및 슬립모드 방법을 이용하는 이동 통신단말기
KR100606054B1 (ko) * 2005-01-04 2006-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소모 전류 감소 장치 및 방법
US7907957B2 (en) * 2005-01-14 2011-03-15 Swisscom Ag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data in mobile network nodes
US9112620B2 (en) * 2005-03-10 2015-08-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of enabling power savings when no data is being transmitted on a media logical channel
US7733835B2 (en) 2005-07-20 2010-06-0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KR100976301B1 (ko) 2005-10-28 2010-08-16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및 그것들에 이용되는전력절약 송수신 방법
CN100450241C (zh) * 2005-12-19 2009-01-07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省电的方法
ATE521209T1 (de) * 2005-12-22 2011-09-15 Korea Electronics Telecomm Verfahren für diskontinuierlichen sende- /empfangsbetrieb zur verringerung des stromverbrauchs in einem zellularen system
CN1992611B (zh) * 2005-12-30 2010-05-12 联想(北京)有限公司 移动计算装置及其接收数据包的方法
CN101390328A (zh) * 2006-02-21 2009-03-18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支持ofdm和cdma方案的方法与装置
KR101208271B1 (ko) * 2006-03-07 2012-12-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셀룰라 시스템에서의 단말기 저전력 소모 동작 방법
WO2007102689A1 (en) 2006-03-07 2007-09-1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terminal in cellular system
JP4767746B2 (ja) * 2006-04-21 2011-09-0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パケット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基地局及び移動局
EP1850489B1 (en) * 2006-04-25 2008-12-03 Dibcom Method and device for power management
WO2007144956A1 (ja) * 2006-06-16 2007-12-2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端末
JP4740049B2 (ja) * 2006-06-29 2011-08-03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CN101507339A (zh) * 2006-09-28 2009-08-12 高通股份有限公司 移动端接的信令上数据消息的处理
US8284707B2 (en) * 2006-11-07 2012-10-09 Qualcomm Incorporated Hybrid power-saving mechanism for VoIP services
JP4698555B2 (ja) * 2006-11-17 2011-06-08 富士通株式会社 検出方法、検出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402986B1 (ko) * 2006-12-01 2014-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수면 모드 관리 장치 및 그방법
JP2008171292A (ja) * 2007-01-15 2008-07-24 Toshiba Corp 画像生成装置,表示端末,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690467B2 (ja) * 2007-01-22 2011-06-01 富士通株式会社 間欠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及び移動局装置
PL2958395T3 (pl) 2007-01-30 2018-05-30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Domniemana kontrola regulacji długości cyklu DRX w aktywnym trybie LTE
ES2882659T3 (es) * 2007-02-05 2021-12-02 Nec Corp Método para una estación de telefonía móvil, y estación de telefonía móvil
US20080207249A1 (en) * 2007-02-23 2008-08-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GB2447299A (en) * 2007-03-09 2008-09-10 Nec Corp Control of discontinuous Rx/Tx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08115108A1 (en) * 2007-03-20 2008-09-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method and a device for improved state switching
KR101434268B1 (ko) * 2007-03-26 2014-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불연속 수신 방법 및 장치
US8412145B2 (en) * 2007-05-31 2013-04-02 Telenav, Inc. Mobile battery management system
KR101340177B1 (ko) 2007-10-19 2014-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슬립모드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090150101A1 (en) * 2007-12-06 2009-06-11 Mitsumi Electric Co., Lt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Battery Pack
JP4984162B2 (ja) * 2008-01-17 2012-07-25 日本電気株式会社 監視制御方法および監視制御装置
US8908570B2 (en) 2008-02-01 2014-12-09 BlackBerrry Limited Control signa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8111642B2 (en) 2008-02-13 2012-02-0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Using traffic patterns to improve sleep mode efficiency in a radio handset
US8063762B2 (en) * 2008-05-23 2011-11-22 Goren Trade Inc. Alarm system for monitoring at rural locations
JP5092945B2 (ja) 2008-07-03 2012-12-05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及び移動端末並びに方法
WO2010006142A1 (en) * 2008-07-11 2010-01-14 Marvell World Trade Ltd. Power save mode for access points
US8576759B2 (en) 2008-07-11 2013-11-05 Marvell World Trade Ltd. Partial power save mode for access points during device discovery
DE102008047246A1 (de) * 2008-09-10 2010-04-15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Aktivieren eines elektrischen Gerätes sowie elektrisches Gerät und Anordnung
US8634879B2 (en) * 2008-10-29 2014-01-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to prolong mobile station operation during low battery power
US20100128645A1 (en) * 2008-11-26 2010-05-27 Murata Manufacturing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power conservation based on traffic profiles
US8452311B1 (en) * 2008-12-30 2013-05-28 Marvell International Ltd. Sleep estimator for cellular telephones
CN101784009B (zh) * 2009-01-16 2013-05-22 联芯科技有限公司 省电终端以及使终端省电的方法
US8477670B2 (en) 2009-03-06 2013-07-02 Nec Infrontia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wireless LA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terminal
US8892722B1 (en) 2009-06-22 2014-11-18 Marvell International Ltd. Peer-to-peer discovery systems and methods
ES2363671B1 (es) * 2009-11-11 2012-06-13 Vodafone España, S.A.U Metodo y elmento de red para reducir el consumo de energia en celdas wcdma de una red movil
CN102111856A (zh) * 2009-12-24 2011-06-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Mtc终端的节电方法及系统、mtc终端
JP2011145963A (ja) * 2010-01-18 2011-07-28 Canon Inc 複合機能デバイス、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24749B1 (ko) * 2010-01-29 2016-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 기반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절전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US9681385B2 (en) * 2010-11-15 2017-06-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power consumption of a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5411213B2 (ja) * 2011-07-14 2014-02-1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中継装置および無線中継方法
GB2493332B (en) * 2011-07-25 2013-10-09 Renesas Mobile Corp Wireless devic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device
US8594646B2 (en) 2011-07-26 2013-11-26 Renesas Mobile Corporation Wireless devic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device
US9526069B2 (en) * 2012-04-20 2016-12-20 Qualcomm Incorporated Early initiation of dormancy of a radio connection
CN103428873B (zh) * 2012-05-18 2018-03-09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处理的方法、用户终端和基站
CN102695279B (zh) * 2012-06-06 2016-06-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启动终端休眠定时器的方法和装置
US9414311B2 (en) * 2012-10-30 2016-08-0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 savings in wireless communications
KR102151456B1 (ko) * 2013-09-17 2020-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단말의 전력 소모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N104519557B (zh) 2013-09-29 2020-01-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小小区唤醒的方法与接入网元设备
WO2015084380A1 (en) * 2013-12-05 2015-06-11 Nokia Technologies Oy Dynamic ungrouping of ip packets before cellular transmission
JP6337641B2 (ja) * 2014-06-23 2018-06-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通信端末
US9713192B2 (en) * 2015-03-27 2017-07-18 Intel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audio data
JP2017022550A (ja) * 2015-07-10 2017-01-26 サイレックス・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
KR101872107B1 (ko) * 2016-09-19 2018-06-27 전자부품연구원 전력 저감을 위한 지연 전송 기법을 적용한 네트워크 대기모드 운용 방법
US10225802B2 (en) 2016-11-29 2019-03-05 At&T Mobility Ii Llc Managing negotiation of power saving mode parameters between a user equipment and a core network device
US10231281B2 (en) 2016-11-29 2019-03-12 At&T Mobility Ii Llc Managing negotiation of extended idle mode discontinuous reception parameters between a user equipment and a core network device
CN107172691B (zh) * 2017-04-05 2020-11-03 新智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表计的通信模块的休眠方法及表计
CN112398527B (zh) * 2020-11-03 2021-06-29 上海擎昆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卫星系统快速进入睡眠状态的控制方法和系统
CN117409516B (zh) * 2023-12-15 2024-03-22 杭银消费金融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助终端的节能控制方法以及自助终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22239A1 (en) * 1993-03-24 1994-09-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Control of a radio communications system base station
KR20010016415A (ko) * 2000-12-08 2001-03-05 안병엽 코드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송수신 전력을이용한 호 수락 제어 방법
WO2001047144A1 (en) * 1999-12-22 2001-06-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Queue based power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4843A (en) * 1987-11-28 1993-12-28 Kabushiki Kaisha Toshiba Paging apparatus having a battery saving function
CA2036533C (en) * 1990-02-19 1995-07-04 Yoshio Ichikaw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pager signals without useless sampling operation
JP3003714B2 (ja) 1991-03-29 2000-01-3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移動通信着信制御方法
GB9114808D0 (en) * 1991-07-09 1991-08-28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DE69232639T2 (de) * 1991-10-01 2003-02-20 Norand Corp Lokales funkfrequenznetzwerk
JP2796464B2 (ja) 1991-12-27 1998-09-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5745860A (en) * 1994-12-16 1998-04-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system of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a mobile station within a radio telecommunications system
US5845204A (en) * 1995-08-11 1998-12-01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wakeup logic of a radio receiver in sleep mode
JP3270306B2 (ja) 1995-09-14 2002-04-02 株式会社東芝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この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移動通信網並びに移動通信装置
JP3208305B2 (ja) * 1995-11-14 2001-09-10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5842141A (en) * 1996-01-01 1998-11-24 Nokia Mobile Phones Limited Mobile terminal having user-actuated pager mode
US5752201A (en) * 1996-02-09 1998-05-12 Nokia Mobile Phones Limited Mobile terminal having power saving mode that monitors specified numbers of filler messages
US6212175B1 (en) * 1997-04-22 2001-04-03 Telxon Corporation Method to sustain TCP connection
JP3272273B2 (ja) * 1997-07-07 2002-04-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間欠受信装置
JPH11313370A (ja) * 1998-04-28 1999-11-09 Toshiba Corp 移動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とそのデータ通信装置、基地局装置及び移動端末装置
US6473607B1 (en) * 1998-06-01 2002-10-29 Broadcom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with a self-calibrating sleep timer
DE59912837D1 (de) * 1998-11-13 2005-12-29 Bosch Gmbh Robert Verfahren für einen stromsparenden betrieb von kommunikationsendgeräten in einem insbesondere drahtlosen kommunikationssystem
US6725067B1 (en) * 2000-03-24 2004-04-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starting a reference clock of a mobile station after a sleep period with a zero mean time error
US6912214B2 (en) * 2000-04-07 2005-06-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Optimized packet-resource management
DE60028340T2 (de) * 2000-04-17 2007-05-24 Hitachi, Ltd. Mobile Paketübertragung mit prioritisierten Zugang
US6799030B2 (en) * 2000-10-11 2004-09-28 Novatel Wireles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ow power operation of an RF wireless modem
US6889055B1 (en) * 2000-10-16 2005-05-03 Qualcomm Inc. Technique for reducing average power consum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JP4015428B2 (ja) * 2001-05-16 2007-11-28 株式会社日立コミュニケーションテクノロジー インアクティビティタイマを備えた無線基地局/無線基地局制御装置、無線端末及び状態制御方法
US7403507B2 (en) * 2001-06-18 2008-07-2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system time in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US7126945B2 (en) * 2001-11-07 2006-10-24 Symbol Technologies, Inc. Power saving function for wireless LANS: methods, system and program products
KR100615351B1 (ko) * 2002-06-05 2006-08-25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서버, 이동 통신 시스템, 위치 정보 관리 방법, 무선기지국, 이동국,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 방법및 이동 통신 방법
US7340615B2 (en) * 2003-01-31 2008-03-04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in network interface modules
JP4197629B2 (ja) * 2003-07-01 2008-12-1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および移動局
WO2005026929A1 (ja) * 2003-09-03 2005-03-24 Sharp Kabushiki Kaisha 情報処理装置、無線モジュール、電子制御装置、制御装置、通信装置、通信機器、電子装置、電力制御方法、電力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EP1759538A4 (en) * 2004-06-22 2013-07-24 Ntt Docom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CONSCIOUS MODE PACKETS
KR100606054B1 (ko) * 2005-01-04 2006-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소모 전류 감소 장치 및 방법
PT1974476T (pt) * 2006-01-17 2017-03-21 ERICSSON TELEFON AB L M (publ) Método e disposição para redução do consumo de energia numa rede de comunicações móvel
US7647078B2 (en) * 2006-03-07 2010-0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saving method for wireless sensor network
JP4767746B2 (ja) * 2006-04-21 2011-09-0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パケット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基地局及び移動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22239A1 (en) * 1993-03-24 1994-09-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Control of a radio communications system base station
WO2001047144A1 (en) * 1999-12-22 2001-06-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Queue based power control
KR20010016415A (ko) * 2000-12-08 2001-03-05 안병엽 코드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송수신 전력을이용한 호 수락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08307A1 (en) 2005-01-28
KR20030047768A (ko) 2003-06-18
US7548519B2 (en) 2009-06-16
JP3886795B2 (ja) 2007-02-28
JP2003179539A (ja) 2003-06-27
CA2413858C (en) 2007-02-13
EP1318687A3 (en) 2010-04-21
EP1318687A2 (en) 2003-06-11
CA2413858A1 (en) 2003-06-10
CN1424859A (zh) 2003-06-18
US20030117968A1 (en) 2003-06-26
AU2002317524B2 (en) 2009-05-21
CN1327717C (zh) 2007-07-18
EP1318687B1 (en) 201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9535B1 (ko) 이동 통신 시스템, 이동 통신 방법, 이동 단말 및 기지국
US11991627B2 (en) DRX cycle length adjustment control
EP2100468B1 (en) A method and arrangements for an event triggered drx cycle adjustment
US8548524B2 (en) Radio communication base st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EP2298007B1 (en) Method of establishing sleep mode operation for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CN102487541A (zh) 一种ue省电的方法和系统
KR101402986B1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수면 모드 관리 장치 및 그방법
WO2007102689A1 (en)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terminal in cellular system
JPH0584094B2 (ko)
CN115190500A (zh) 传输处理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US12004080B2 (en) DRX cycle length adjustment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