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7204B1 - 노즐장치 및 이 노즐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와이퍼 암 - Google Patents

노즐장치 및 이 노즐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와이퍼 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7204B1
KR100587204B1 KR1019997006757A KR19997006757A KR100587204B1 KR 100587204 B1 KR100587204 B1 KR 100587204B1 KR 1019997006757 A KR1019997006757 A KR 1019997006757A KR 19997006757 A KR19997006757 A KR 19997006757A KR 100587204 B1 KR100587204 B1 KR 100587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wiper arm
nozzle body
wiper
wiper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6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0513A (ko
Inventor
짐머요하임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claimed from PCT/DE1998/003110 external-priority patent/WO1999028171A1/de
Publication of KR20000070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0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7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7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15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with means for supplying cleaning fluid to windscreen cleaners, e.g. wa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 B60S1/52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moving liquid spreading means, e.g. arranged in wiper 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ozz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즐 장치(16) 및 노즐장치(16) 수용을 위한 와이퍼 암(12)에 관한 것이다. 노즐장치는 세정액용 유입장치(40)를 가지며, 이 유입장치는 하나 이상의 제 1노즐바디(30)와 연결되고, 와이퍼의 와이퍼 암(12)에 설치될 수 있다. 제 1노즐바디(30)의 제 1노즐(32)이 와이퍼 암(12)을 클램핑 하기 위한 힌지(22)근처, 및 제 2노즐바디(34)의 노즐(36)이 와이퍼 암(12)의 와이퍼 블레이드(14)과 와이퍼 암(12)의 연결을 위한 연결수단(28, 56)근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제 1노즐바디(30)를 제 2노즐바디(34)와 연결하는 것을 제안한다.

Description

노즐장치 및 이 노즐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와이퍼 암{Nozzle system and windscreen wiper arm for receiving said nozzle system}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의 전제부에 따른 노즐장치 및 상기 노즐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와이퍼 암에 관한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에 추가부품으로서 세정액 분사노즐을 고정함으로써, 세정액을 와이퍼 블레이드 영역에 직접 분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세정액이 와이퍼 블레이드 근처에 집중된 영역에 분사되며 와이핑 운동에 의해 짧은 시간에 다시 씻겨지므로 시야를 방해하는 시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단점은 기후 영향, 특히 우박 및 극단의 태양광선이 와이퍼 암과 와이퍼 블레이드 사이 관절형 영역의 연결을 위해 필요한 상기 장치의 가요성 부품에 많은 악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내구성과 신뢰도가 감소된다.
또한 이 장치는 와이퍼 암, 예컨대 와이퍼 블레이드에 대한 연결부품 또는 와이퍼축에 고정된 고정부품에 견고하게 통합된다. 이러한 장치에 예컨대 막힘, 파손 또는 그와 유사한 고장이 발생하면, 와이퍼 암을 전체적으로 교체해야 한다.
청구항 제 1항의 특징을 갖는 노즐 장치는 와이퍼 암에 있는 두 개의 서로 멀리 떨어진 위치로부터 최상의 세정액 분배를 가능하게 하고, 와이퍼 암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 안에 교체 가능하게,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와이퍼 블레이드에 배치가능한 공지된 시스템의 양호한 교체 가능성이 견고하게 설치된 시스템의 양호한 보호기능 및 컴팩트함과 결합된다.
종속 청구항에 제시된 특징을 통해 청구항 제 1항에 따른 노즐장치의 바람직한 개선이 가능하다. 제 1노즐과 제 2 노즐이 상호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을 경우, 노즐을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상호 연결된, 취급이 용이한 구조물이 만들어진다. 노즐바디가 일체형으로 상호 연결되면 세정액 분사장치를 미리 조정할 수 있다. 노즐을 플라스틱 사출부품으로 제조가능한 경우 경제적이다.
노즐장치는 두 노즐바디 및 상기 노즐바디를 연결시키는 장치를 통해 연장된 가열장치로 최적으로 보완될 수 있다. 이것은 노즐바디가 상호 견고하게 연결된 경우, 특히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다.
삭제
노즐바디가 와이퍼 암 내부에 클리핑(clipping) 및/또는 록킹(locking)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경우 비전문가도 조립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노즐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와이퍼 암은, 와이퍼의 관절식운동(folding)을 위한 힌지 및 와이퍼 블레이드용 연결장치를 가지며, 관절식 힌지(foldout hinge)의 근처에 제 1노즐바디용 수용부가 있으며, 와이퍼 블레이드용 연결장치 근처에 제 2노즐용 수용부가 있다. 이러한 와이퍼 암은 또한 노즐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로 차량에 설치될 수 있고 시각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노즐장치는 추후에 예컨대 차량 소유자 또는 생산자가 차량에 와이퍼 암을 조립하기 이전 또는 이후에 조립할 수 있다.
이것을 위해, 와이퍼 암은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액이 통과하는 작은 개구만을 가지므로, 주어진 기술조건하에서 아무런 시각적인 방해가 없다. 노즐바디의 수용을 위해 와이퍼 암을 볼록하게 만들 수 있으며, 이때 볼록한 부분에 개구를 설치하고, 상기 개구의 벽이 와이퍼 블레이드 수용부를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세정액을 와이퍼 바로 앞의, 하부영역에 분사시킬 수 있다. 와이퍼 블레이드를 위한 수용부 근처에 후크형상의 수용부로서 좁은 영역에 형성된 제 2노즐을 설치함으로써, 세정액을 유리창에 더욱 적절하게 분배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짧은 분사 길이가 구현되므로 보다 높은 차량속도에서도 주행풍이 세정액 분배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 두 개의 세정액 분사빔에 의한 세정액 분배는 바람직하게는 와이퍼 암- 또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를 따라 이루어지므로, 와이퍼 블레이드 전방에서 세척방향으로만 세정액이 분사되는 경우, 유리창을 통한 시야의 방해가 최소화 된다.
후크형상의 수용부는 노즐바디를 클립 방식으로 감싸며 그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와이퍼 암에 설치되는 와이퍼 블레이드가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노즐바디의 수용을 위한 리세스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노즐바디는 자유롭게 설계될 수 있으므로, 조정 가능한 하나 또는 다수의 노즐에 의해 세정액을 최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이로써 환경적인 요인으로부터 노즐바디를 더 양호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면에 본 발명에 따른 노즐장치의 실시예 및 노즐 장치의 수용을 위한 와이퍼 암의 실시예가 도시되며,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삭제
도 1은 노즐장치 및 와이퍼 블레이드가 설치된 와이퍼 암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와이퍼 암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와이퍼 암 하부에서 본 와이퍼 암 내에 설치된 노즐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노즐을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와이퍼 암과 와이퍼 블레이드 사이의 연결부를 확대한 도면.
도 1에는 와이퍼 암(12), 와이퍼 블레이드(14) 및 노즐장치(16)로 구성된 와이퍼 시스템(10)이 도시된다. 와이퍼 암(12)은 고정부품(18)으로 구성되며, 상기 부품에 와이퍼 축과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수용부(20)가 형성되고, 수용부(20) 맞은편 측면에, 길게 뻗은 힌지부품(24)을 수용하는 힌지(22)가 배치된다. 고정부품(18)과, 힌지(22)를 통해 선회 가능하도록 연결된 힌지부품(24)은 스프링(26)에 의해 상호 하중을 받으며, 이 스프링은 한편으로 와이핑 과정에 필요한 압착력을 제공하며, 다른 한편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한 접힘 위치를 가능하게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와이퍼 블레이드(14)의 수용을 위해, 힌지부품(24)이 후크(28)(도 2)를 구비한다.
노즐장치(16)는 제 1노즐(32)을 포함한 제 1노즐바디(30) 및 제 2노즐(36)을 포함한 제 2노즐바디(34)를 가지며, 이것들은 장치(38)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노즐장치(16)를 펌프가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저장기와 연결하기 위해 제 1노즐바디(30)가 공급호스(40)와 연결되어 있다.
노즐바디(30)와 노즐바디(34)는 장치(38)에 의해, 한편으로는 힌지(22)의 근처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와이퍼 암(12)의 와이퍼 블레이드에 대한 연결수단(28, 후크)근처에 배치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것을 위해 노즐바디는 아래쪽으로부터 와이퍼 암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삽입된다. 와이퍼 암은 얇은 강판으로 구성되며 절곡부품/스탬핑부품으로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로써 노즐장치(16)는 와이퍼 암(12)의 힌지부품(24) 안쪽에 거의 안보이게 설치되며 공급호스(40)는 공지된 바와 같이 고정부품(18)을 거쳐 저장기로 연장된다.
두 노즐 바디(30 및 34)를 상호 연결하는 장치(38)는 호스형태가 될 수도 있으나 실시예에서는 보다 바람직한 고정 연결부로 구현된다. 두 개의 노즐바디(30, 34)는 이러한 방식으로 일체형으로 상호 연결되며 사출 성형부품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매우 간단하게 와이퍼 암에 조립될 수 있는 강성 구조가 형성된다.
와이어형상으로 공급호스(40) 및 장치(38)를 통해, 그리고 나선형으로 노즐바디(30, 34)를 통해 연장되는 가열장치(42)가 노즐장치(16)에 통합된다(도 3 참조).
노즐장치(16), 특히 노즐바디(30, 34)는 그것을 와이퍼 암 내부에 록킹 또는 클리핑(clipping)하기에 적합한 수단(44)을 가진다(도 1 및 3에서 노즐바디(34)에 대해 도시).
와이퍼 암(12)은 그 힌지부품(24)에 후크형상의 수용부(46)를 가지며, 이 수용부는 와이퍼 시스템(10)이 작동할 때 와이핑될 유리창 방향으로 연장되고, 아래쪽으로 개방된다. 노즐장치(16)를 조립하면, 수용부(46)는 노즐바디(34)의 수단(44)을 감싼다. 수단(44)은 홈 형상이며 수용부(46)에 맞물린다. 이로써 안전하게 고정된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록킹 수단이 노즐바디(30) 영역에 설치된다.
노즐바디(30)의 노즐(36)이 수용부(46)의 형상에 의해 유리창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한편 힌지부품(24)의 박판 커버 아래 설치된 노즐(32)용의 개구(48)가 설치되며, 이 개구를 통해 분사액이 나온다. 노즐바디(30)는 힌지부품(24)의 볼록부(50)로 둘러싸인다. 개구(48)는 볼록부(50)에 와이퍼 블레이드 수용부 방향(후크 28)으로 설치된다.
노즐장치(16)의 조립을 위해 제 1노즐바디(30)는 고정부품(18)에 예비 조립된 공급호스(40)와 연결되며, 노즐장치(16)는 아래쪽으로부터 와이퍼 암(12)의 힌지부품(24)으로 가압되어 록킹된다. 이것은 차체에 와이퍼 시스템(10)을 조립하기 이전에, 조립 직후 또는 추후에 차량 소유자가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과 같이 힌지부품(24)이 제 2노즐바디(34)의 영역에서 매우 좁게 구성되고, 추후 조립된 와이퍼 블레이드(14)가 힌지부품에 밀착하여 안내되면, 와이퍼 블레이드(14)의 메인 브래킷(54)에 리세스(52)가 형성되어 이 리세스 내로 수용부(46) 및 제 2노즐바디(34)가 -설치되자마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리세스(52)와 후크(28)의 수용부(56)사이에 일정거리를 두어 안정성을 확보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메인 브래킷(54)에 안정화 단차(58)를 남겨 둘 수 있다.
삭제

Claims (10)

  1. 하나 이상의 제 1노즐바디(30)와 연결되며 와이퍼의 와이퍼 암(12)에 설치될 수 있는 세정액 공급장치(40)를 갖는 특히 차량의 윈드실드 와이퍼용 노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노즐바디(30)의 노즐(32)이 상기 와이퍼 암(12)의 관절식 힌지(22) 근처에 배치될 수 있고 제 2노즐바디(34)의 노즐(36)이 상기 와이퍼 암(12)을 와이퍼 블레이드(14)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28) 근처에서 상기 와이어퍼 암(12) 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노즐바디(30)가 상기 제 2노즐바디(34)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노즐바디(30, 34)는 상호 고정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노즐바디(30, 34)는 상호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장치가 플라스틱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장치.
  5.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열장치(42)는 상기 노즐바디(30, 34) 및, 상기 노즐바디(30, 34)를 연결하는 장치(38)안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장치.
  6.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바디(30, 34)는 와이퍼 암(12)과의 클리핑 또는 록킹을 위한 수단(44)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장치.
  7. 와이퍼 암(12)의 관절식 힌지(22) 및 와이퍼 블레이드용 연결장치(56)를 구비하는 제 1항에 따른 노즐장치(16)를 수용하기 위한 와이퍼 암에 있어서,
    제 1 노즐바디(30)용 제 1수용부(50)는 상기 관절식 힌지(22) 근처에 설치되며, 제 2노즐바디(34)용 제 2수용부(46)는 상기 연결장치(28, 56) 근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암.
  8. 제 7항에 있어서, 노즐(32, 36)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액의 통과를 위한 하나이상의 개구(48)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암.
  9. 제 8항에 있어서, 노즐바디(30)를 수용하는 볼록부가 설치되며, 와이퍼 블레이드 수용부(28, 52)를 향한 상기 볼록부의 벽에는 상기 개구(48)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암.
  10. 제 7항 내지 9항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바디(34)를 위한 하나 이상의 후크- 또는 클램프 형상의 수용부(46)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암.
KR1019997006757A 1997-12-02 1998-10-23 노즐장치 및 이 노즐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와이퍼 암 KR1005872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53317 1997-12-02
DE19753317.5 1997-12-02
DE19815171.3 1998-04-04
DE19815171A DE19815171A1 (de) 1997-12-02 1998-04-04 Düsenanordnung sowie Scheibenwischarm zum Aufnehmen der Düsenanordnung
PCT/DE1998/003110 WO1999028171A1 (de) 1997-12-02 1998-10-23 Düsenanordnung sowie scheibenwischerarm zum aufnehmen der düsenanordn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0513A KR20000070513A (ko) 2000-11-25
KR100587204B1 true KR100587204B1 (ko) 2006-06-08

Family

ID=7850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6757A KR100587204B1 (ko) 1997-12-02 1998-10-23 노즐장치 및 이 노즐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와이퍼 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87204B1 (ko)
DE (2) DE198151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04927A1 (de) 1999-02-06 2000-08-10 Bosch Gmbh Robert Scheibenwischer
DE19904964B4 (de) * 1999-02-08 2007-04-05 Robert Bosch Gmbh Wischarm
DE19906197B4 (de) * 1999-02-15 2006-09-21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er mit Spritzdüse und Rückschlagventil
DE19907630A1 (de) 1999-02-23 2000-08-24 Bosch Gmbh Robert Scheibenwischer
DE19911805A1 (de) 1999-03-17 2000-09-28 Bosch Gmbh Robert Spritzvorrichtung für eine Scheibenwaschanlage
DE19912975A1 (de) 1999-03-23 2000-09-28 Bosch Gmbh Robert Spritzdüse für eine Scheibenwaschanlage
DE19913193A1 (de) 1999-03-24 2000-10-26 Bosch Gmbh Robert Scheibenwischer
DE10022725A1 (de) 2000-05-10 2001-11-22 Bosch Gmbh Robert Beheizbare Waschanlage
DE10031417A1 (de) 2000-06-28 2002-01-17 Bosch Gmbh Robert Gelenkteil für Scheibenwischer
DE10033382A1 (de) 2000-07-08 2002-01-31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von Fahrzeugscheiben
DE10037666A1 (de) 2000-08-02 2002-02-21 Bosch Gmbh Robert Scheibenwischer
DE10046439A1 (de) 2000-09-20 2002-04-04 Bosch Gmbh Robert Scheibenwischer
DE10343938B4 (de) 2003-09-23 2016-03-10 Robert Bosch Gmbh Wischarm
DE102008003881A1 (de) 2008-01-10 2009-07-23 Vola Plast Werner Hoppach Kg Waschanlage für Scheiben und/ oder Scheinwerfer eines Fahrzeugs
FR2982222B1 (fr) * 2011-11-09 2013-12-20 Valeo Systemes Dessuyage Essuie-glace et dispositif de maintien d'une canalisation d'alimentation en produit lave-glace a un bras d'actionnement de balai d'essuie-glace
DE102011086780A1 (de) * 2011-11-22 2013-05-23 Robert Bosch Gmbh Wischvorrichtung mit zumindest einem Wischarm und mit zumindest einem Düsen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811836D1 (de) 2004-09-23
DE19815171A1 (de) 1999-06-10
KR20000070513A (ko) 200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7204B1 (ko) 노즐장치 및 이 노즐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와이퍼 암
US6442788B1 (en) Nozzle device and a windshield wiper arm for accommodating the nozzle device
US6286174B1 (en) Nozzle system and windscreen wiper arm for receiving said nozzle system
JP4741085B2 (ja) ウィンドガラスワイパ
US6463621B1 (en) Windscreen wiper with spray nozzle
EP1099609B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washing units for windscreen wipers
US8898849B2 (en) Windscreen wiper blade having a built-in washer liquid conduit
US6094772A (en) Windshield wiper arm retainer with integral nozzle bracket
US6464150B1 (en) Spray device for a windshield washer system
US5016312A (en) Washer arrangement for a windscreen wiper
KR20130062232A (ko) 차량 윈드스크린을 클리닝하기 위한 와이퍼 장치
CN105752034B (zh) 装配有喷洒喷嘴的擦拭器臂
US20220212632A1 (en) Wind deflector for a windscreen wiper system of a motor vehicle
JP2003025968A (ja) ワイパアーム
CN113874261A (zh) 用于机动车的挡风玻璃刮拭设备
US10035497B2 (en) Wiper blade
US6513185B1 (en) Windshield wiper
JP2002302019A (ja) ワイパアーム
JP5215519B2 (ja) ウィンドシールドワイパのためのリンク部分
CN212796794U (zh) 刮水器和车辆
KR100693501B1 (ko) 윈드쉴드 와이퍼 장치
CN113799739A (zh) 刮水器和车辆
CN113874260A (zh) 用于机动车的挡风玻璃刮拭设备的导流器
JP2002321599A (ja) ワイパアーム及びウォッシャノズル
KR200144782Y1 (ko) 빗물제거장치가 설치된 승용차용 후사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