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6256B1 - 강교량의 복부 이음판 - Google Patents

강교량의 복부 이음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6256B1
KR100586256B1 KR1020030096836A KR20030096836A KR100586256B1 KR 100586256 B1 KR100586256 B1 KR 100586256B1 KR 1020030096836 A KR1020030096836 A KR 1020030096836A KR 20030096836 A KR20030096836 A KR 20030096836A KR 100586256 B1 KR100586256 B1 KR 100586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dominal
moment
plate
shear
steel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6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5075A (ko
Inventor
성택룡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96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6256B1/ko
Publication of KR20050065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5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6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6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교량의 고장력 볼트 이음에 있어서 주형의 복부판을 서로 체결하는 강교량의 복부 이음판으로서, 본 발명의 복부 이음판(400)은 1개로 구성되며, 복부판(130)의 상하단에 볼트 체결되어 그 곳에 작용하는 모멘트에 대응하는 높이와 길이 및 다수개의 볼트구멍을 가지며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모멘트 대응구역(410)과, 복부판의 중간부에 볼트 체결되어 그 곳에 작용하는 전단력에 대응하도록 모멘트 대응구역에 비해 높이는 높고 길이는 짧으며 다수개의 볼트구멍을 가지며 중간부에 형성되는 전단 대응구역(420) 및, 모멘트 대응구역의 끝단과 전단 대응구역의 끝단을 안쪽방향으로 곡률지게 서로 연결하거나 직선 형태로 서로 연결하는 곡률부(430) 또는 경사부를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1개로 구성하되 모멘트와 전단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조적 효율성과 볼트구멍 개수의 최적화를 유지함과 더불어 부식을 예방하고 시공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강교량의 복부 이음판{Web Splice Plate of Steel Bridge}
도 1은 통상적인 강교량에 사용되는 주형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복부 이음판을 이용하여 주형의 복부판을 서로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강교량의 복부 이음판을 이용하여 주형의 복부판을 서로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교량의 복부 이음판을 이용하여 주형의 복부판을 서로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0 : 복부 이음판 410 : 모멘트 대응구역
420 : 전단 대응구역 430 : 곡률부
440 : 볼트
본 발명은 강교량의 복부 이음판에 관한 것이며, 특히, 강교량의 고장력 볼트 이음에 있어서 주형의 복부판을 서로 체결하는 강교량의 복부 이음판에 관한 것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교량의 주형(100)은 그 곳에 가해지는 주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통상 강재로 구성된다. 이러한 주형(100)은 일정 두께를 갖는 상하부판(110, 120)과, 이러한 상하부판(110, 120)을 I자 형태로 연결하는 복부판(130)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주형(100)은 강교량의 길이에 따라 적정 길이로 구성되고, 서로간에 체결되어 강교량의 주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서로 인접하는 복부판(130)을 대부분 서로 볼트체결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강교량의 복부판 이음은 이음위치에서의 단면력에 의해 결정되는데, 단면력은 주로 모멘트와 전단력이다. 즉, 강교량의 복부판 이음은 이음위치에서 발생하는 모멘트와 전단력에 대해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하고 있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3개로 구성된 복부 이음판을 이용하여 주형의 복부판을 서로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복부 이음판(200)은 사용되는 강재 크기와 볼트 개수를 절약할 수 있도록 2개의 모멘트 이음판(210)과 1개의 전단 이음판(220)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 때, 모멘트 이음판(210)은 전단 이음판(220)에 비해 긴 길이방향 크기를 갖도록 구성되고, 전단 이음판(220)은 모멘트 이음판(210)에 비해 긴 높이방향 크기를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모멘트 이음판(210)과 전단 이음판(220)에는 복부판(130)을 볼트(230)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다수개의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길이방향에 대해서는 전단 이음판(220) 보다 모멘트 이음판(210)에 볼트구멍이 더 많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모멘트 이음판(210)은 모멘트가 크게 작용하는 복부판(130)의 상하단에서 복부판(130)을 서로 체결하고, 전단 이음판(220)은 전단력이 주로 작용하는 복부판(130)의 중간부에서 복부판(130)을 서로 체결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복부 이음판(200)은 3개로 구성되어, 이들이 복부판(130)에 각각 체결되기 때문에, 모멘트 이음판(210)과 전단 이음판(220)의 사이에는 비교적 좁은 틈새가 형성되고, 이런 틈새에는 이물질이 부착되어 틈새부식이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최근에는 3개로 구성되던 복부 이음판을 1개로 구성하는 방식이 권장되고 있다. 그 이유는 부식의 경우 도장을 하는 강교량에서도 중요하지만, 특히 도장을 하지 않는 무도장 내후성 강교량의 경우 매우 중요한 사항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도장 내후성 강교량은 1개로 구성된 이음판을 적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1개로 구성된 복부 이음판을 이용하여 주형의 복부판을 서로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복부 이음판(300)은 모멘트가 크게 작용하는 복부판(130)의 상하단에서 필요로 하는 길이방향 크기와 볼트구멍 개수를 그 전체에 적용하여 1개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복부 이음판(300)은 전단력이 주로 작용하는 복부판(130)의 중간부에 필요 이상의 크기와 볼트구멍 개수를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1개로 구성된 복부 이음판(300)은 3개로 구성되는 복부 이음판(200)에 비해 그 개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공사현장에서의 관리와 시공에서의 효율성이 좋다. 그러나, 1개로 구성된 복부 이음판(300)을 이용하여 복부판(130) 을 서로 체결할 경우에는 모멘트의 크기가 작고 주로 전단력이 작용하는 복부판(130)의 중간부에 필요 이상의 과다한 볼트(310)가 배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1개로 구성하되 모멘트와 전단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조적 효율성과 볼트구멍 개수의 최적화를 유지함과 더불어 부식을 예방하고 시공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강교량의 복부 이음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강교량의 주 응력을 지지하는 주형의 복부판 끼리를 서로 체결하는 강교량의 복부 이음판으로, 복부판의 상하단에 볼트 체결하기 위해 상하부에 각각 형성하되, 복부판의 상하단에 작용하는 모멘트에 대응하는 높이와 길이 및 다수개의 볼트구멍을 각각 갖는 한 쌍의 모멘트 대응구역과; 복부판의 중간부에 볼트 체결하기 위해 한 쌍의 모멘트 대응구역과 일체형으로 중간부에 형성하되, 복부판의 중간부에 작용하는 전단력에 대응하도록 모멘트 대응구역에 비해 높이는 높고 길이는 짧으며 다수개의 볼트구멍을 갖는 전단 대응구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강교량의 복부 이음판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복부 이음판을 이용하여 주형의 복부판 을 서로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부 이음판(400)은 1개로 구성하되 모멘트가 주로 작용하는 복부판(130)의 상하단에 체결되는 부위는 모멘트에 대응하는 크기와 볼트구멍 개수를 갖도록 구성하고, 전단력이 주로 작용하는 복부판(130)의 중간부에 체결되는 부위는 전단력에 대응하는 크기와 볼트구멍 개수를 갖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복부 이음판(400)은 모멘트에 대응하는 모멘트 대응구역(410)이 상하부에 형성되고, 전단력에 대응하는 전단 대응구역(420)이 그 이외의 중간부에 형성된다. 이 때, 모멘트 대응구역(410)은 전단 대응구역(420)에 비해 그 길이가 더 길고 더 많은 볼트구멍 개수를 가지며, 전단 대응구역(420)은 모멘트 대응구역(410)에 비해 그 높이가 더 높게 구성된다. 따라서, 모멘트 대응구역(410)과 전단 대응구역(420)간에는 그 길이 차이로 인해 높이방향으로 턱이 형성되는데, 본 발명은 모멘트 대응구역(410)의 끝단과 전단 대응구역(420)의 끝단을 안쪽방향으로 곡률지게 서로 연결하는 곡률부(430)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곡률부(430)로 인해, 모멘트 대응구역(410)과 전단 대응구역(420)이 서로 접하는 부분에서의 응력집중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복부 이음판(400)은 복부판(130)이 서로 접하는 부위에 위치시킨 후, 각각의 볼트구멍에 볼트(440)로 체결함으로써 복부판(130)을 서로 체결하게 된다. 즉, 모멘트 대응구역(410)이 복부판(130)의 상하단에 체결되고, 전단 대응구역(420)이 그 이외의 복부판(130)의 중간부에 체결된다. 그로 인해, 모멘트 대응구역(410)은 모멘트에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전단 대응구역(420)은 전 단력에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부 이음판을 이용하여 주형의 복부판을 서로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부 이음판(500)은 상기와 동일한 형태로 모멘트 대응구역(510)과 전단 대응구역(520)으로 형성하되, 모멘트 대응구역(510)의 끝단과 전단 대응구역(520)의 끝단을 직선 형태로 서로 연결하는 경사부(530)를 갖도록 구성되어, 복부판(130)이 서로 접하는 부위에 볼트(540) 체결된다. 이 때, 경사부(530)가 모멘트 대응구역(510)과 전단 대응구역(520)이 서로 접하는 부분에서의 응력집중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강교량의 복부 이음판은 1개로 구성하되 모멘트와 전단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조적 효율성과 볼트구멍 개수의 최적화를 유지함과 더불어 부식을 예방하고 시공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강교량의 복부 이음판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3)

  1. 삭제
  2. 강교량의 주 응력을 지지하는 주형의 복부판 끼리를 서로 체결하는 강교량의 복부 이음판에 있어서,
    상기 복부판의 상하단에 볼트 체결하기 위해 상하부에 각각 형성하되, 상기 복부판의 상하단에 작용하는 모멘트에 대응하는 높이와 길이 및 다수개의 볼트구멍을 각각 갖는 한 쌍의 모멘트 대응구역과,
    상기 복부판의 중간부에 볼트 체결하기 위해 상기 한 쌍의 모멘트 대응구역과 일체형으로 중간부에 형성하되, 상기 복부판의 중간부에 작용하는 전단력에 대응하도록 상기 모멘트 대응구역에 비해 높이는 높고 길이는 짧으며 다수개의 볼트구멍을 갖는 전단 대응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모멘트 대응구역의 끝단과 상기 전단 대응구역의 끝단을 안쪽방향으로 곡률지게 서로 연결하는 곡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교량의 복부 이음판.
  3. 강교량의 주 응력을 지지하는 주형의 복부판 끼리를 서로 체결하는 강교량의 복부 이음판에 있어서,
    상기 복부판의 상하단에 볼트 체결하기 위해 상하부에 각각 형성하되, 상기 복부판의 상하단에 작용하는 모멘트에 대응하는 높이와 길이 및 다수개의 볼트구멍을 각각 갖는 한 쌍의 모멘트 대응구역과,
    상기 복부판의 중간부에 볼트 체결하기 위해 상기 한 쌍의 모멘트 대응구역과 일체형으로 중간부에 형성하되, 상기 복부판의 중간부에 작용하는 전단력에 대응하도록 상기 모멘트 대응구역에 비해 높이는 높고 길이는 짧으며 다수개의 볼트구멍을 갖는 전단 대응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모멘트 대응구역의 끝단과 상기 전단 대응구역의 끝단을 서로 연결하는 경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교량의 복부 이음판.
KR1020030096836A 2003-12-24 2003-12-24 강교량의 복부 이음판 KR100586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6836A KR100586256B1 (ko) 2003-12-24 2003-12-24 강교량의 복부 이음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6836A KR100586256B1 (ko) 2003-12-24 2003-12-24 강교량의 복부 이음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075A KR20050065075A (ko) 2005-06-29
KR100586256B1 true KR100586256B1 (ko) 2006-06-07

Family

ID=37256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6836A KR100586256B1 (ko) 2003-12-24 2003-12-24 강교량의 복부 이음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62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364B1 (ko) * 2017-12-22 2020-06-22 주식회사 포스코 강교량 연결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075A (ko) 200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876B1 (ko)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싱 세그먼트 거더 및 이의시공방법
KR100586256B1 (ko) 강교량의 복부 이음판
KR102066355B1 (ko) 측면 좌굴을 최소화한 강합성 거더 제조방법
KR102538299B1 (ko) 하로트러스 복합교량
KR20080099061A (ko) Psc 교량의 psc 빔 연결용 강가로보
KR20120036614A (ko) 긴장재와 연결플레이트를 이용한 이중 강박스거더의 종방향 연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강박스거더교 시공방법
CN210596967U (zh) 一种设置钢结构湿接缝连接件的预制简支箱梁桥
KR101168911B1 (ko) 라멘화된 교량용 거더 고정구조
KR20050018358A (ko) 빔 연결부재와 강재가로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피에스씨빔의 연속화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CN109056559B (zh) 一种基于盖梁的桥梁梁体抬升方法
CN108729335B (zh) 钢混结合段及其安装方法
KR101431126B1 (ko) 에이치형 강재를 이용하여 온도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임시구조물용 거더 및 그 제조방법
KR101204279B1 (ko) 프리스트레싱 강거더교
KR100555251B1 (ko) 다목적 인장이 가능한 측면돌출 정착블록이 정착된 주형과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WO1989008758A1 (en) Variable set-up, reusable centering frame for use as movable and stationary equipment
CN212688701U (zh) 一种钢混组合连续梁中支点连接结构
CN212641188U (zh) 一种单缝式模块化型钢伸缩装置
KR102051320B1 (ko) Icc 거더
KR102118999B1 (ko) 강관 트러스 거더 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20060072723A (ko) 프리스트레싱에 의한 형강 연속교
KR100588446B1 (ko) 교량의 연속교화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220908166U (zh) 一种基于超宽箱梁施工匹配的组合压杆结构
KR102468706B1 (ko)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
CN216787426U (zh) 一种型材活动连接件及连接结构
KR102551244B1 (ko) 개방형복부를 가진 강재박스,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