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5462B1 - 정보 저장 및 독출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저장 및 독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5462B1
KR100585462B1 KR1020030097070A KR20030097070A KR100585462B1 KR 100585462 B1 KR100585462 B1 KR 100585462B1 KR 1020030097070 A KR1020030097070 A KR 1020030097070A KR 20030097070 A KR20030097070 A KR 20030097070A KR 100585462 B1 KR100585462 B1 KR 100585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nano
information
reading
nano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7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5907A (ko
Inventor
박종혁
이성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97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5462B1/ko
Priority to EP04104657A priority patent/EP1548726A1/en
Priority to US10/981,550 priority patent/US7656776B2/en
Publication of KR20050065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5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24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near-field interactions
    • G11B11/26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near-field interactions using microscopic probe means, i.e. recording by mean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tip of a microscopic electrical probe as used in scanning tunneling microscopy [STM] or atomic force microscopy [AFM] for inducing physical or electrical perturbations in a recording mediu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9/00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a method not covered by one of the main groups G11B3/00 - G11B7/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9/12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a method not covered by one of the main groups G11B3/00 - G11B7/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near-field interactio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9/14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a method not covered by one of the main groups G11B3/00 - G11B7/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near-field interactions;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microscopic probe means, i.e. recording or reproducing by mean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tip of a microscopic electrical probe as used in Scanning Tunneling Microscopy [STM] or Atomic Force Microscopy [AFM] for inducing physical or electrical perturbations in a recording medium; Record carriers or media specially adapted for such transducing of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9/00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a method not covered by one of the main groups G11B3/00 - G11B7/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9/12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a method not covered by one of the main groups G11B3/00 - G11B7/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near-field interactio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9/14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a method not covered by one of the main groups G11B3/00 - G11B7/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near-field interactions;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microscopic probe means, i.e. recording or reproducing by mean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tip of a microscopic electrical probe as used in Scanning Tunneling Microscopy [STM] or Atomic Force Microscopy [AFM] for inducing physical or electrical perturbations in a recording medium; Record carriers or media specially adapted for such transducing of information
    • G11B9/1409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9/00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a method not covered by one of the main groups G11B3/00 - G11B7/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9/12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a method not covered by one of the main groups G11B3/00 - G11B7/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near-field interactio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9/14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a method not covered by one of the main groups G11B3/00 - G11B7/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near-field interactions;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microscopic probe means, i.e. recording or reproducing by mean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tip of a microscopic electrical probe as used in Scanning Tunneling Microscopy [STM] or Atomic Force Microscopy [AFM] for inducing physical or electrical perturbations in a recording medium; Record carriers or media specially adapted for such transducing of information
    • G11B9/141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9/00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a method not covered by one of the main groups G11B3/00 - G11B7/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9/12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a method not covered by one of the main groups G11B3/00 - G11B7/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near-field interactio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9/14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a method not covered by one of the main groups G11B3/00 - G11B7/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near-field interactions;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microscopic probe means, i.e. recording or reproducing by mean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tip of a microscopic electrical probe as used in Scanning Tunneling Microscopy [STM] or Atomic Force Microscopy [AFM] for inducing physical or electrical perturbations in a recording medium; Record carriers or media specially adapted for such transducing of information
    • G11B9/1463Record carriers for recording or reproduction involving the use of microscopic probe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08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electric charge or by variation of electric resistance or capacitan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9/00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a method not covered by one of the main groups G11B3/00 - G11B7/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9/08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a method not covered by one of the main groups G11B3/00 - G11B7/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electrostatic charge injection; Record carri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icromachine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균일한 크기로 정렬된 나노점을 갖는 나노 소자에 정보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정보를 독출하기 위한 정보 저장 및 독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나노 소자의 정렬된 각 나노점 상에 위치 가능하도록 캔티레버에 의해 이동되는 탐침과, 상기 탐침이 선택된 나노점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탐침과 상기 나노 소자 사이에 저장 바이어스 전압 또는 독출 바이어스 전압을 제공하는 바이어스 전원공급부와, 상기 탐침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빔을 제공하는 빔 발생수단과, 상기 탐침으로부터 반사되는 빔을 검출하는 위치검출수단과, 상기 위치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나노점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는 검출회로를 포함한다.
정보 저장, 원자력 현미경, 탐침, 나노점, 전하 주입

Description

정보 저장 및 독출 장치 {Data storing and read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저장 및 독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나노 소자 2: 캔티레버 구동부
3: 탐침 4: 빔 발생수단
5: 위치검출수단 7: 검출회로
8: 피드백 루프회로 9: 스위칭부
10: 캔티레버 11: 바이어스 전원공급부
본 발명은 정보 저장 및 독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균일한 크기의 나노점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나노 소자에 전기적으로 정보를 저장하거나 독출하기 위한 정보 저장 및 독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하는 방식은 크게 자기기록, 광기록, 전기기록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자기기록 방식은 대용량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에 보편적으로 적용되며, 광기록 방식은 휴대가 가능한 장치에 주로 적용된다.
최근에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이 전기를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가 개발되었으며, 기술적 진보와 생산가격의 절감을 통해 빠른 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정보 저장 장치들은 여러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자기 기록 방식은 센서의 감도를 최대한으로 증가시킨다 하더라도, 초상자성 한계(superparamagnetic limit)로 인하여 최대 저장 밀도가 제한된다. 또한 광기록 방식도 사용하는 빛의 파장과 렌즈의 개구수(numerical aperture)에 따라 분해능 한계(diffraction limit)가 존재하여 마찬가지로 저장 밀도를 증가시키기 어렵다. 반면, 전기 기록 방식은 전기를 저장하는 매체의 크기에 제약이 없으므로 전하를 저장하는 공간의 크기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감지하는 센서의 감도를 높일 수 있다면 저장 밀도를 획기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전기 기록 방식에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이 SiNxOy 층에 전하를 주입하거나 고유전율 물질의 유전 분극을 이용하는 FRAM의 방식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들 방식도 전하 주입 영역이 SiNxOy 층 계면의 트랩 스테이트(trap state)에 존재하기 때문에 밀도를 조절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동작에 의해 노화된다. 마찬가지로 FRAM 방식도 유전물질의 크기가 작아지면 유전분극의 크기가 줄어들어 강유전성을 잃어버리게 되고, 공정에 따른 열적 손상이나 반복적인 동작에 의해 노화된다.
본 발명은 규칙적으로 배열된 나노점을 갖는 나노 소자에 전기적으로 정보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정보를 독출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저장 밀도와 재생 속도를 증 가시킬 수 있는 정보 저장 및 독출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밀도의 균일한 나노점을 구비하는 나노 소자에 정보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정보를 독출하기 위한 정보 저장 및 독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나노 소자의 각 나노점 상에 위치 가능하도록 캔티레버에 의해 이동되는 탐침과, 상기 탐침이 선택된 나노점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탐침과 상기 나노 소자 사이에 저장 바이어스 전압 또는 독출 바이어스 전압을 제공하는 바이어스 전원공급부와, 상기 탐침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빔을 제공하는 빔 발생수단과, 상기 탐침으로부터 반사되는 빔을 검출하는 위치검출수단과, 상기 위치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나노점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는 검출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탐침과 캔티레버는 원자력 현미경으로부터 제공되며, 상기 빔 발생수단은 레이저 다이오드로 구성되고, 상기 위치검출수단은 포토 다이오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이어스 전원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저장 바이어스 전압은 직류전압이고, 상기 독출 바이어스 전압은 교류전압이며, 상기 저장 및 독출 동작을 위해 상기 바이어스 전원공급부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금속이나 반도체 소재로 이루어진 나노점에 전하를 주입시키면 나노점에 전 하가 저장되며, 각 저장 단위인 나노점에 저장되는 전하의 크기를 조절하면 정보를 멀티-레벨(multi-level)로 처리할 수 있어 저장 밀도와 속도를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수 내지 수십 나노(nm) 정도의 크기와 배열 주기를 갖는 나노점 형성이 가능하게 되었다. 나노 구조는 대개 전자선을 이용하여 형성하지만, 전자선 형성법은 점 단위 기술이므로 수율(throughtput)이 낮아 나노점 메모리의 제작에는 적합하지 않다. 반면, 자기 정렬이 가능한 고분자 물질이나 Al2O3 등의 템플레이트(template)을 이용한 대면적 고밀도 나노점 제작 기술은 기존의 반도체 공정과 연동이 가능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규칙적인 나노점을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나노점 템플레이트를 이용한 나노점 메모리 제작 기술과 나노(nm) 스케일의 분해능을 갖는 원자력 현미경(AFM)을 기반으로 정보 저장 및 독출 장치를 구성한다면 고밀도 대용량의 초고속 정보 저장 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저장 및 독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나노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나노 소자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0) 상에 금속이나 반도체 소재로 이루어진 다수의 나노점(120)들이 규칙적 으로 배열되며, 각 나노점(120)들은 산화막 등으로 이루어진 절연막(110)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나노 소자에 정보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정보를 독출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저장 및 독출 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나노 소자의 각 나노점(120) 상에 캔티레버(10)에 의해 이동되는 탐침(3)이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탐침(3)이 선택된 나노점(120)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바이어스 전원공급부(11)로부터 탐침(3)과 나노 소자 사이에 저장 바이어스 전압 또는 독출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빔 발생수단(4)은 상기 탐침(3)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빔을 제공하며, 위치검출수단(5)은 상기 탐침(3)으로부터 반사되는 빔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위치검출수단(5)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증폭기(6)를 통해 증폭된 후 검출회로(7)로 입력되고, 상기 검출회로(7)는 상기 증폭기(6)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나노점(120)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한다.
상기 바이어스 전원공급부(11)는 저장 및 독출 동작을 위해 직류(DC) 바이어스 전압(Vdc) 또는 교류(AC) 바이어스 전압(Vac)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데, 상기 바이어스 전원공급부(11)는 상기 검출회로(7)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피드백 루프회로(8)의 출력신호에 따라 동작되는 스위칭부(9)에 의해 제어된다. 즉, 저장 동작을 위해서 상기 바이어스 전원공급부(11)는 상기 탐침(3)과 나노 소자 사이에 직류(DC) 바이어스 전압(Vdc)을 공급하고, 독출 동작을 위해서는 상기 탐침(3)과 나노 소자 사이에 약한 교류(AC) 바이어스 전압(Vac)을 공급한다.
또한, 한번의 저장 또는 독출 동작이 완료되면 다음 동작을 위해 상기 탐침(3)은 일정한 위치로 귀환해야 하는데, 피드백 루프회로(8)는 상기 증폭기(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초기화 신호를 캔티레버 구동부(2)로 제공하여 상기 탐침(3)이 일정한 레벨에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캔티레버(10) 및 탐침(3)은 나노(nm) 스케일의 분해능을 갖는 원자력 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e; AFM)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원자력 현미경은 나노(nm) 스케일의 공간 분해능을 갖도록 압전(piezo) 등을 이용하여 상기 캔티레버(10) 및 탐침(3)을 구동시킨다. 또한, 상기 빔 발생수단(4)은 레이저 다이오드로 구성하고, 상기 위치검출수단(5)은 포토 다이오드로 구성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정보 저장 및 독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보 저장]
처리장치(도시안됨) 등으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캔티레버 구동부(2)는 상기 탐침(3)을 나노 소자의 선택된 나노점(120) 상에 위치시킨다. 상기 바이어스 전원공급부(11)로부터 상기 탐침(3)과 나노 소자 사이에 직류(DC) 바이어스 전압(Vdc)이 공급되면 상기 나노점(120)에 전하가 주입된다. 나노점(120)에 전하를 주입하기 위해 탐침(3)과 나노 소자 사이에 직류(DC) 바 이어스 전압(Vdc)을 인가할 때 임의적으로 전압의 부호와 크기를 조절하여 멀티-레벨(multi-level)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0nm 크기의 금속 나노점(120)들이 균일하게 배열된 나노 소자의 경우, 탐침(3)과 나노 소자 사이에 직류(DC) 바이어스 전압(Vdc)을 인가하여 나노점(120)에 원하는 전하를 분포하도록 할 수 있다. 원자력 현미경(AFM)의 탐침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각각의 나노점에 분포된 전하를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a는 나노 소자의 나노점 분포를 보여주며, 도 3b 및 도 3c는 동일한 영역에서 전압의 방향을 조절하여 주입되는 전하를 +, - 상태로 각각 조절한 경우의 전하 분포를 나타낸다. 탐침과 나노 소자 사이에 인가하는 전압에 따라 각각의 나노점에 독립적으로 저장된 전하의 크기를 알 수 있다. 즉, 하나의 나노점에 저장되는 전하의 부호와 크기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고, 나노점에 저장된 전하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정보를 멀티-레벨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정보 독출]
처리장치(도시안됨) 등으로부터 소정의 나노점(120)에 저장된 정보를 독출하기 위한 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캔티레버 구동부(2)는 상기 탐침(3)을 나노 소자의 선택된 나노점(120) 상에 위치시킨다. 상기 바이어스 전원공급부(11)로부터 상기 탐침(3)과 나노 소자 사이에 약한 교류(AC) 바이어스 전압(Vac)이 공급되면 상기 나노점(120)에 주입된 전하량에 따라 상기 탐침(3)이 움직이는데, 상기 빔 발생수단(4)으로부터 제공되는 빔이 상기 탐침(3)에 반사되어 위치검출수단(5)으로 입사되므로써 상기 탐침(3)의 이동량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가 생성된다. 이 때 생성되는 신호는 매우 미약하기 때문에 상기 증폭기(6)는 상기 신호를 증폭하여 검출회로(7)로 출력하고, 상기 검출회로(7)는 상기 증폭기(6)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나노점(12)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한다. 즉, 각 나노점(120)에 하전된 전하량을 측정함으로써 정보를 독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나노 소자의 나노점은 블록 공중합체나 Al2O3 등의 템플레이트를 이용한 금속 또는 반도체 증착 공정과 리프트 오프(lift-off) 공정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자기정렬을 이루는 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한 나노 격자 구조의 템플레이트를 제작하고, 이를 이용하여 정렬된 금속 또는 반도체 나노점 격자를 형성한다. 전하를 저장하기 위한 구조로 금속 산화물, 실리콘 산화물 또는 질화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상하부 절연층과 하부 전극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규칙적으로 배열된 나노점을 갖는 나노 소자에 전기적으로 정보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정보를 독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나노점에 저장되는 전하의 부호와 크기를 조절하고 나노점에 저장된 전하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제어하여 정보를 멀티-레벨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대면적의 기판 상에 나노점이 고밀도로 배열된 나노 소자에 본 발명을 적용하면 정보의 저장 밀도와 처리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멀티-레벨의 정보 저장이 가능한 고밀도 대용량의 초고속 정보 저장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Claims (6)

  1. 다수의 나노점을 구비하는 나노 소자에 정보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정보를 독출하기 위한 정보 저장 및 독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나노 소자의 나노미터 크기의 격자점인 각 나노점 상에 공간적으로 규칙적인 구조를 갖는 위치로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캔티레버에 의해 이동되는 탐침과,
    상기 탐침이 선택된 나노점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탐침과 상기 나노 소자 사이에 저장 바이어스 전압 또는 독출 바이어스 전압을 제공하는 바이어스 전원공급부와,
    상기 탐침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빔을 제공하는 빔 발생수단과,
    상기 탐침으로부터 반사되는 빔을 검출하는 위치검출수단과,
    상기 위치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나노점에 다중레벨로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는 검출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저장 및 독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탐침과 캔티레버는 원자력 현미경으로부터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저장 및 독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전원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저장 바이어스 전압은 직류전압이고, 상기 독출 바이어스 전압은 교류전압인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정보 저장 및 독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빔 발생수단은 레이저 다이오드로 구성되고, 상기 위치검출수단은 포토 다이오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저장 및 독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및 독출 동작을 위해 상기 바이어스 전원공급부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저장 및 독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탐침의 위치를 초기화시키기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저장 및 독출 장치.
KR1020030097070A 2003-12-26 2003-12-26 정보 저장 및 독출 장치 KR100585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070A KR100585462B1 (ko) 2003-12-26 2003-12-26 정보 저장 및 독출 장치
EP04104657A EP1548726A1 (en) 2003-12-26 2004-09-24 Data Storing and Reading Apparatus
US10/981,550 US7656776B2 (en) 2003-12-26 2004-11-05 Data storing and reading apparatus for storing data in a nano-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070A KR100585462B1 (ko) 2003-12-26 2003-12-26 정보 저장 및 독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907A KR20050065907A (ko) 2005-06-30
KR100585462B1 true KR100585462B1 (ko) 2006-06-07

Family

ID=34545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7070A KR100585462B1 (ko) 2003-12-26 2003-12-26 정보 저장 및 독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656776B2 (ko)
EP (1) EP1548726A1 (ko)
KR (1) KR1005854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832B1 (ko) * 2004-12-15 2007-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금속 산화막의 전류 스위칭을 이용한 정보 저장 장치
US7830775B2 (en) * 2006-02-13 2010-11-09 Seagate Technology Llc Writeable optical recording of multilevel oriented nano-structure discs
FR2901909B1 (fr) * 2006-05-30 2008-10-24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Memoire de donnees inscriptible et lisible par micropointes, structuree en caissons, et procede de fabr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46913B1 (en) * 1987-08-25 1999-01-13 Canon Kabushiki Kaisha Encoder using the tunnel current effect
JPH05282717A (ja) * 1992-03-31 1993-10-29 Canon Inc 記録媒体の製造方法、及び記録媒体、及び情報処理装置
JP2923190B2 (ja) * 1993-12-16 1999-07-26 シャープ株式会社 高密度記録媒体及びその記録再生装置
KR950024146A (ko) 1994-01-31 1995-08-21 모리시타 요이찌 정보기록재생장치 및 정보기록재생방법
US5675532A (en) * 1994-07-28 1997-10-07 Kabushiki Kaisha Toshiba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reproduction method
JPH09120593A (ja) * 1995-08-23 1997-05-06 Sony Corp 記録再生装置
JP3679525B2 (ja) * 1996-10-07 2005-08-0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記録再生装置、および情報記録再生方法
KR100265692B1 (ko) * 1997-07-03 2000-09-15 윤덕용 에이에프엠을이용한비휘발성메모리소자와해당메모리소자의운영방법
JP4160135B2 (ja) * 1997-07-31 2008-10-01 三星電子株式会社 強誘電体薄膜を用いるディスク装置
US6246652B1 (en) * 1997-12-05 2001-06-12 Hitachi, Ltd. Device using sensor for small rotation angle
JP3519623B2 (ja) * 1998-03-13 2004-04-19 株式会社東芝 記録媒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587408B1 (en) * 1998-10-01 2003-07-01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High-density mechanical memory and turing machine
JP2000348397A (ja) * 1999-03-29 2000-12-15 Tdk Corp 情報媒体、情報再生方法および情報再生装置
KR20010026736A (ko) 1999-09-08 2001-04-06 윤종용 비접촉 에이 에프 엠 모드를 이용한 정보 기록 장치 및 그 기록 재생방법
US6519221B1 (en) 1999-11-12 2003-02-11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High-density data storage using atomic force microscope
EP1213745A1 (en) * 2000-12-05 2002-06-12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Method of producing a ferroelectric memory and memory device
US6515898B2 (en) * 2001-03-13 2003-02-04 Paul Scherrer Institut (Psi) Memory element, method for structuring a surface, and storage device
KR100604813B1 (ko) * 2001-05-14 2006-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기록방법
ITBO20020759A1 (it) * 2002-12-04 2004-06-05 Fabio Biscarini Procedimento per lo stoccaggio di informazione ad
KR100763897B1 (ko) * 2002-12-23 2007-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나노도트를 가지는 메모리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41397A1 (en) 2005-06-30
EP1548726A1 (en) 2005-06-29
US7656776B2 (en) 2010-02-02
KR20050065907A (ko) 200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0051B1 (en) Molecular memory medium and molecular memory integrated circuit
US7535817B2 (en) Nanometer scale data storage device and associated positioning system
US666525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storing and reproducing information
US6473388B1 (en) Ultra-high density information storage device based on modulated cathodoconductivity
US5371728A (en)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ing probe
KR100734832B1 (ko) 금속 산화막의 전류 스위칭을 이용한 정보 저장 장치
US5732053A (en)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KR100585462B1 (ko) 정보 저장 및 독출 장치
EP0518240B1 (en) Information reproducing method and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which uses the method
US6617597B2 (en) Circuits and methods for electron-beam control
US7085151B2 (en) Storage device having a resistance measurement system
JP4629314B2 (ja) 原子分解能記憶デバイス
JP3029503B2 (ja) 記録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H11102545A (ja) 情報処理装置
US20020033991A1 (en) Point probe memory with light modulator readout
JP2942011B2 (ja) 情報記憶装置
JP3078141B2 (ja) 記録装置および記録再生装置
JP2994833B2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方法と情報検出装置
JP2000268421A (ja) 記録再生用プローブ、及び該プローブによって構成された記録再生装置
YUKHNEVICH et al. PHYSICS, CHEMISTRY AND APPLICATION OF NANOSTRUCTURES, 1999 STM PROBE STIMULATED CREATION OF NANOSIZE MEMORY DEVICES
Csurgay et al. Toward Nanoelectronics In Data Recording
JPH08221815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4253095A (ja) 消去又は書換え可能な記録媒体並びにその記録媒体に対する消去又は書換え可能な記録方法
JPH01302556A (ja) 記憶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