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5395B1 -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 - Google Patents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5395B1
KR100585395B1 KR1019990037705A KR19990037705A KR100585395B1 KR 100585395 B1 KR100585395 B1 KR 100585395B1 KR 1019990037705 A KR1019990037705 A KR 1019990037705A KR 19990037705 A KR19990037705 A KR 19990037705A KR 100585395 B1 KR100585395 B1 KR 100585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et
control signal
power supply
sig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7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6400A (ko
Inventor
최병환
김태용
민동욱
정영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19990037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5395B1/ko
Publication of KR20010026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6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18Networks for phase shift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1/00Networks using active elements
    • H03H11/02Multiple-port networks
    • H03H11/16Networks for phase shifting
    • H03H11/22Networks for phase shifting providing two or more phase shifted output signals, e.g. n-phase outp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30Time-delay networks

Landscapes

  • Networks Using Activ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18㎓∼26㎓ 대역인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의 위상을 22.5°단위로 변위시켜 줄 수 있도록 해주는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에 의하면, 18㎓∼26㎓ 대역인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의 위상을 변위시켜줄 수 있는 한편, pHEMT 공정을 이용하여 위상변위기를 제작해 줌으로써 18㎓∼26㎓ 대역에서 삽입손실 -5±1dB, 최소 입출력 반사손실 -12dB, 평균 RMS 위상오차 8°의 낮은 손실을 갖도록 해주어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단일칩 마이크로파 집적회로로 구현시켜 줌으로 소형화 시스템에 적응이 가능하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K BAND DIGITAL PHASE SHIF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가 단일칩 마이크로파 집적회로로 구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a는 도 1에 따른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의 18㎓∼22㎓ 대역의 삽입손실을 나타낸 그래프,
도 3b는 도 1에 따른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의 18㎓∼22㎓ 대역의 입력 반사손실을 나타낸 그래프,
도 3c는 도 1에 따른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의 18㎓∼22㎓ 대역의 출력 반사손실을 나타낸 그래프,
도 3d는 도 1에 따른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의 18㎓∼22㎓ 대역의 위상을 나타낸 그래프,
도 3e는 도 1에 따른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의 18㎓∼22㎓ 대역의 RMS 위상오차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22.5°위상변위부 101 : 제 1 FET
102 : 제 2 FET 103 : 제 3 FET
200 : 45°위상변위부 201 : 제 4 FET
202 : 제 5 FET 203 : 제 6 FET
300 : 90°위상변위부 301 : 제 7 FET
302 : 제 8 FET 303 : 제 9 FET
304 : 제 10 FET 305 : 제 11 FET
306 : 제 12 FET 400 : 180°위상변위부
401 : 제 13 FET 402 : 제 14 FET
403 : 제 15 FET 404 : 제 16 FET
C1,C2,C3,C4 : 콘덴서
L1,L2,L3,L4,L5,L6,L7,L8,L9,L10,L11,L12,L13,L14,L15 : 코일
R1,R2,R3,R4,R5,R6,R7,R8,R9,R10,R11,R12,R13,R14,R15,R16 : 저항
본 발명은 K 대역 디지털(Digital) 위상변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18㎓∼26㎓ 대역인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의 위상을 22.5°단위로 변위시켜 줄 수 있 도록 해주는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지털 위상변위기로는, 1∼2㎓ 대역의 위상을 변위시키는 L 대역 위상변위기, 2∼4㎓ 대역의 위상을 변위시키는 S 대역 위상변위기, 4∼8㎓ 대역의 위상을 변위시키는 C 대역 위상변위기, 8∼12㎓ 대역의 위상을 변위시키는 X 대역 위상변위기, 및 12∼18㎓ 대역의 위상을 변위시키는 Ku 대역 위상변위기 등이 개발되어 있었으나, 18∼26㎓의 대역을 갖는 K 대역 위상변위기는 개발되지 않았음으로써,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의 위상을 변위시킬 수 없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L 대역 위상변위기, S 대역 위상변위기, C 대역 위상변위기, X 대역 위상변위기, 및 Ku 대역 위상변위기 등과 같은 종래의 디지털 위상변위기들은 삽입손실, 최소 입출력 반사손실, 평균 RMS(Root Mean Square; 이하 RMS라 칭함.) 위상오차가 크기 때문에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단일칩 마이크로파 집적회로(Monolithic Microwave Integrated Circuit)로 구현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18㎓∼26㎓ 대역인 K 대역에서 삽입손실 -5±1dB, 최소 입출력 반사손실 -12dB, 평균 RMS 위상오차 8°의 높은 효율을 갖도록 해주기 위한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는, 초고주파 신호를 진폭의 감쇄없이 위상변위시켜 주는 디지털 위상 변위기에 있어서,
전원 제어신호(Q1, Q1_)에 의해 Π형의 저역필터로 구현되었다가 다시 단순 위상전진 특성을 갖는 고역필터로 변환됨으로 초고주파신호 최초입력단(Input)으로 부터 입력된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를 22.5°위상변위시키는 22.5°위상변위부와; 상기 22.5°위상변위부의 신호 출력단에 접속되어, 전원 제어신호(Q2, Q2_)에 의해 고역필터로 구현되었다가 다시 Π형의 저역필터로 변환됨으로 상기 22.5°위상변위부를 거친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를 45°위상변위시키는 45°위상변위부와; 상기 45°위상변위부의 신호 출력단에 접속되어, 전원 제어신호(Q3, Q3_)에 의해 Π형의 고역필터로 구현되었다가 다시 Π형의 저역필터로 변환됨으로 상기 45°위상변위부를 거친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를 90°위상변위시키는 90°위상변위부와; 상기 90°위상변위부의 신호 출력단에 접속되어, 전원 제어신호(Q4, Q4_)에 의해 Π형 또는 T형의 저역필터로 구현되었다가 다시 Π형 또는 T형의 고역필터로 변환됨으로 상기 90°위상변위부를 거친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를 180°위상변위시킨 후 초고주파신호 최종출력단(Output)으로 출력시키는 180°위상변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는 22.5°위상변위부(100), 45°위상변위부(200), 90°위상변위부(300), 및 180°위상변위부(4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22.5°위상변위부(100)는 전원 제어신호(Q1, Q1_)에 의해 Π형의 저역필터로 구현되었다가 다시 단순 위상전진 특성을 갖는 고역필터로 변환됨으로 초고주파신호 최초입력단(Input)으로 부터 입력된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를 22.5°위상변위시키는 역할을 하며, 제 1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이하 FET라 칭함.)(101), 코일(Coil)(L1, L2), 제 2 FET(102), 제 3 FET(103), 및 코일(L3)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22.5°위상변위부(100)내에 장착된 제 1 FET(101)는 초고주파신호 최초입력단(Input)에 드레인 단자(D)가 접속되고, Q1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에 접속된 저항(R1)에 베이스 단자(B)가 접속됨과 동시에 초고주파신호 입/출력단(a)에 소오스 단자(S)가 접속되어, 베이스 단자(B)로 +0.3V의 Q1 전원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온(ON)되는 한편, -3V의 Q1 전원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오프(OFF)되는 스위칭(Switching)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22.5°위상변위부(100)내에 장착된 코일(L1, L2)는 상기 제 1 FET(101)의 드레인 단자(D) 및 소오스 단자(S)에 각각 병렬로 접속되어, 저역필터 또는 고역필터를 구현시켜 주기 위한 필터소자이다.
또한, 상기 22.5°위상변위부(100)내에 장착된 제 2 FET(102)는 상기 코일(L1) 및 코일(L2)에 드레인 단자(D)가 접속되고, Q1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에 접속된 저항(R2)에 베이스 단자(B)가 접속됨과 동시에 제 3 FET(103)의 드레인 단자(D)에 소오스 단자(S)가 접속되어, 베이스 단자(B)로 +0.3V의 Q1 전원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온되는 한편, -3V의 Q1 전원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오프되는 스위칭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22.5°위상변위부(100)내에 장착된 제 3 FET(103)는 상기 제 2 FET(102)의 소오스 단자(S)에 드레인 단자(D)가 접속되고, Q1_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에 접속된 저항(R3)에 베이스 단자(B)가 접속됨과 동시에 소오스 단자(S)는 접지되어, 베이스 단자(B)로 +0.3V의 Q1_ 전원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온되는 한편, -3V의 Q1_ 전원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오프되는 스위칭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22.5°위상변위부(100)내에 장착된 코일(L3)은 상기 제 3 FET(103)의 드레인 단자(D) 및 소오스 단자(S)에 병렬로 접속되어, 저역필터 또는 고역필터를 구현시켜 주기 위한 필터소자이다.
한편, 상기 45°위상변위부(200)는 상기 22.5°위상변위부(100)의 신호 출력단에 접속되어, 전원 제어신호(Q2, Q2_)에 의해 고역필터로 구현되었다가 다시 Π형의 저역필터로 변환됨으로 상기 22.5°위상변위부(100)를 거친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를 45°위상변위시키는 역할을 하며, 제 4 FET(201), 코일(L4, L5), 제 5 FET(202), 제 6 FET(203), 및 코일(L6)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45°위상변위부(200)내에 장착된 제 4 FET(201)는 상기 22.5°위상변위부(100)내에 장착된 제 1 FET(101)의 소오스 단자(S)에 드레인 단자(D)가 접속되고, Q2_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에 접속된 저항(R4)에 베이스 단자(B)가 접속됨과 동시에 초고주파신호 입/출력단(b)에 소오스 단자(S)가 접속되어, 베이스 단자(B)로 +0.3V의 Q2_ 전원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온되는 한편, -3V의 Q2_ 전원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오프되는 스위칭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45°위상변위부(200)내에 장착된 코일(L4, L5)는 상기 제 4 FET(201)의 드레인 단자(D) 및 소오스 단자(S)에 각각 병렬로 접속되어, 저역필터 또는 고역필터를 구현시켜 주기 위한 필터소자이다.
또한, 상기 45°위상변위부(200)내에 장착된 제 5 FET(202)는 상기 코일(L4) 및 코일(L5)에 드레인 단자(D)가 접속되고, 상기 제 6 FET(203)의 드레인 단자(D)에 소오스 단자(S)가 접속됨과 동시에 Q2_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에 접속된 저항(R5)에 베이스 단자(B)가 접속되어, 베이스 단자(B)로 +0.3V의 Q2_ 전원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온되는 한편, -3V의 Q2_ 전원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오프되는 스위칭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45°위상변위부(200)내에 장착된 제 6 FET(203)는 상기 제 5 FET(202)의 소오스 단자(S)에 드레인 단자(D)가 접속되고, Q2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에 접속된 저항(R6)에 베이스 단자(B)가 접속됨과 동시에 소오스 단자(S)는 접지되어, 베이스 단자(B)로 +0.3V의 Q2 전원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온되는 한편, -3V 의 Q2 전원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오프되는 스위칭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45°위상변위부(200)내에 장착된 코일(L6)는 상기 제 6 FET(203)의 드레인 단자(D) 및 소오스 단자(S)에 병렬로 접속되어, 저역필터 또는 고역필터를 구현시켜 주기 위한 필터소자이다.
한편, 상기 90°위상변위부(300)는 상기 45°위상변위부(200)의 신호 출력단에 접속되어, 전원 제어신호(Q3, Q3_)에 의해 Π형의 고역필터로 구현되었다가 다시 Π형의 저역필터로 변환됨으로 상기 45°위상변위부(200)를 거친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를 90°위상변위시키는 역할을 하며, 콘덴서(Condenser)(C1) 및 코일(L7), 제 7 FET(301), 제 8 FET(302), 코일(L8), 제 9 FET(303), 제 10 FET(304), 코일(L9, L10), 제 11 FET(305), 및 제 12 FET(306)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90°위상변위부(300)내에 장착된 콘덴서(C1) 및 코일(L7)은 상기 45°위상변위부(200)내에 장착된 제 4 FET(201)의 소오스 단자(S)에 상호 병렬로 접속되어, 저역필터 또는 고역필터를 구현시켜 주기 위한 필터소자이다.
한편, 상기 90°위상변위부(300)내에 장착된 제 7 FET(301)는 상기 콘덴서(C1)에 드레인 단자(D)가 접속되고, Q3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에 접속된 저항(R7)에 베이스 단자(B)가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제 9 FET(303)의 드레인 단자(D)에 소오스 단자(S)가 접속되어, 베이스 단자(B)로 +0.3V의 Q3 전원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온되는 한편, -3V의 Q3 전원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오프되는 스위칭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90°위상변위부(300)내에 장착된 제 8 FET(302)는 상기 제 7 FET(301)의 소오스 단자(S)에 소오스 단자(S)가 병렬로 접속되고, Q3_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에 접속된 저항(R8)에 베이스 단자(B)가 접속됨과 동시에 드레인 단자(D)는 접지되어, 베이스 단자(B)로 +0.3V의 Q3_ 전원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온되는 한편, -3V의 Q3_ 전원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오프되는 스위칭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90°위상변위부(300)내에 장착된 코일(L8)은 상기 제 8 FET(302)의 드레인 단자(D) 및 소오스 단자(S)에 병렬로 접속되어, 저역필터 또는 고역필터를 구현시켜 주기 위한 필터소자이다.
또한, 상기 90°위상변위부(300)내에 장착된 제 9 FET(303)는 상기 제 8 FET(302)의 소오스 단자(S)에 드레인 단자(D)가 병렬로 접속되고, Q3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에 접속된 저항(R9)에 베이스 단자(B)가 접속됨과 동시에 초고주파신호 입/출력단(c)에 접속된 콘덴서(C2)에 소오스 단자(S)가 접속되어, 베이스 단자(B)로 +0.3V의 Q3 전원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온되는 한편, -3V의 Q3 전원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오프되는 스위칭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90°위상변위부(300)내에 장착된 제 10 FET(304)는 상기 코일(L7)에 소오스 단자(S)가 접속되고, Q3_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에 접속된 저항(R10)에 베이스 단자(B)가 접속됨과 동시에 제 12 FET(306)의 소오스 단자(S)에 드레인 단자(D)가 접속되어, 베이스 단자(B)로 +0.3V의 Q3_ 전원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온되는 한편, -3V의 Q3_ 전원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오프되는 스위칭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90°위상변위부(300)내에 장착된 코일(L9, L10)은 상호 병렬로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제 10 FET(304)의 드레인 단자(D)와 각각 병렬로 접속되어, 저역필터 또는 고역필터를 구현시켜 주기 위한 필터소자이다.
한편, 상기 90°위상변위부(300)내에 장착된 제 11 FET(305)는 상기 코일(L9, L10)에 드레인 단자(D)가 접속되고, Q3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에 접속된 저항(R11)에 베이스 단자(B)가 접속됨과 동시에 소오스 단자(S)는 접지되어, 베이스 단자(B)로 +0.3V의 Q3 전원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온되는 한편, -3V의 Q3 전원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오프되는 스위칭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90°위상변위부(300)내에 장착된 제 12 FET(306)는 상기 제 10 FET(304)의 드레인 단자(D)에 소오스 단자(S)가 접속되고, Q3_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에 접속된 저항(R11)에 베이스 단자(B)가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콘덴서(C2)와 병렬로 접속된 코일(L11)에 드레인 단자(D)가 접속되어, 베이스 단자(B)로 +0.3V의 Q3_ 전원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온되는 한편, -3V의 Q3_ 전원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오프되는 스위칭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180°위상변위부(400)는 상기 90°위상변위부(300)의 신호 출력단에 접속되어, 전원 제어신호(Q4, Q4_)에 의해 Π형 또는 T형의 저역필터로 구현되었다가 다시 Π형 또는 T형의 저역필터로 변환됨으로 상기 90°위상변위부(300)를 거친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를 180°위상변위시킨 후 초고주파신호 최종출력단(Output)으로 출력시키는 역할을 하며, 제 13 FET(401), 콘덴서(C3), 코일(L12, L13), 제 14 FET(402), 제 15 FET(403), 코일(L14, L15), 콘덴서(C4), 및 제 16 FET(404)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180°위상변위부(400)내에 장착된 제 13 FET(401)는 초고주파신호 입/출력단(c)에 드레인 단자(D)가 병렬로 접속되고, Q4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에 접속된 저항(R13)에 베이스 단자(B)가 접속됨과 동시에 콘덴서(C3)에 소오스 단자(S)가 접속되어, 베이스 단자(B)로 +0.3V의 Q4 전원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온되는 한편, -3V의 Q4 전원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오프되는 스위칭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180°위상변위부(400)내에 장착된 코일(L12, L13)은 상기 제 13 FET(401)의 소오스 단자(S)에 접속되어, 저역필터 또는 고역필터를 구현시켜 주기 위한 필터소자이다.
또한, 상기 180°위상변위부(400)내에 장착된 코일(L12, L13)은 상호 병렬로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콘덴서(C3)의 양단에 각각 접속되어, 저역필터 또는 고역필터를 구현시켜 주기 위한 필터소자이다.
한편, 상기 180°위상변위부(400)내에 장착된 제 14 FET(402)는 상기 콘덴서(C3)에 드레인 단자(D)가 접속되고, Q4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에 접속된 저항(R14)에 베이스 단자(B)가 접속됨과 동시에 초고주파신호 최종출력단(Output)에 소오스 단자(S)가 병렬로 접속되어, 베이스 단자(B)로 +0.3V의 Q4 전원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온되는 한편, -3V의 Q4 전원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오프되는 스위칭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180°위상변위부(400)내에 장착된 제 15 FET(403)는 초고주파신호 입/출력단(c)에 소오스 단자(S)가 병렬로 접속되고, Q4_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에 접속된 저항(R15)에 베이스 단자(B)가 접속됨과 동시에 제 16 FET(404)의 소 오스 단자(S)에 드레인 단자(D)가 접속되어, 베이스 단자(B)로 +0.3V의 Q4_ 전원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온되는 한편, -3V의 Q4_ 전원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오프되는 스위칭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상기 180°위상변위부(400)내에 장착된 코일(L14, L15)는 상기 제 15 FET(403)의 드레인 단자(D)에 직렬로 접속되어, 저역필터 또는 고역필터를 구현시켜 주기 위한 필터소자이다.
또한, 상기 상기 180°위상변위부(400)내에 장착된 콘덴서(C4)는 상기 코일(L14, L15) 사이에 병렬로 접속되어, 저역필터 또는 고역필터를 구현시켜 주기 위한 필터소자이다.
한편, 상기 상기 180°위상변위부(400)내에 장착된 제 16 FET(404)는 상기 코일(L15)에 소오스 단자(S)가 접속되고, Q4_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에 접속된 저항(R16)에 베이스 단자(B)가 접속됨과 동시에 초고주파신호 최종출력단(Output)에 드레인 단자(S)가 병렬로 접속되어, 베이스 단자(B)로 +0.3V의 Q4_ 전원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온되는 한편, -3V의 Q4_ 전원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오프되는 스위칭 역할을 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의 동작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가 단일칩 마이크로파 집적회로로 구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의 18㎓∼22㎓ 대역의 삽입손실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의 18㎓∼22㎓ 대역의 입력 반사손실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또한,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의 18㎓∼22㎓ 대역의 출력 반사손실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의 18㎓∼22㎓ 대역의 위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의 18㎓∼22㎓ 대역의 RMS 위상오차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먼저,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를 이용하여, 초고주파신호 최초입력단(Input)으로 입력된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를 22.5°변위시키는 동작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최초로, 상기 22.5°위상변위부(100)는 상기 초고주파신호 최초입력단(Input)으로 부터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를 입력받는다.
그러면, 도시치 않은 제어부는 상기 22.5°위상변위부(100)의 Q1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로 -3V의 Q1 전원 제어신호를 인가시킴과 동시에 Q1_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로 +0.3V의 Q1_ 전원 제어신호를 인가시킨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22.5°위상변위부(100)를 제외한 다른 위상변위부로 제어신호를 인가시키지 않음으로, 상기 45°위상변위부(200), 90°위상변위부(300), 및 180°위상변위부(400)가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22.5°위상변위부(100)내에 장착된 제 1 FET(101) 및 제 2 FET(102)는 -3V의 Q1 전원 제어신호에 의해 오프상태가 되는 한편 상기 제 3 FET(103)는 +0.3V의 Q1_ 전원 제어신호에 의해 온상태가 됨으로, 상기 22.5°위상변위부(100)는 등가적으로 Π형의 저역필터로 구현된다. 따라서, 상기 22.5°위상변위부(100)는 상기 초고주파신호 최초입력단(Input)으로 부터 입력받은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에 대해 저역 필터링동작을 수행한다.
그런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22.5°위상변위부(100)의 Q1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로 +0.3V의 Q1 전원 제어신호를 인가시킴과 동시에 Q1_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로 -3V의 Q1_ 전원 제어신호를 인가시킨다.
그러면, 상기 22.5°위상변위부(100)내에 장착된 제 1 FET(101) 및 제 2 FET(102)는 +0.3V의 Q1 전원 제어신호에 의해 온상태가 되는 한편 상기 제 3 FET(103)는 -3V의 Q1_ 전원 제어신호에 의해 온상태가 됨으로, 상기 22.5°위상변위부(100)는 등가적으로 위상 전진특성을 갖는 고역필터로 구현된다. 따라서, 상기 22.5°위상변위부(100)는 상기 초고주파신호 최초입력단(Input)으로 부터 입력받은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에 대해 고역 필터링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상기 22.5°위상변위부(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저역필터링 동작과 고역필터링 동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초고주파신호 최초입력단(Input)으로 부터 입력된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를 22.5°위상변위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초고주파신호 최초입력단(Input)으로 부터 입력된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는 상기 22.5°위상변위부(100)만을 통해 22.5°위상변위된 후 초고주파신호 최종출력단(Output)으로 출력된다.
한편,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를 이용하여, 초고주파신호 최초입력단(Input)으로 입력된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를 45°변위시키는 동작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45°위상변위부(200)는 상기 초고주파신호 최초입력단(Input)으로 부터 입력된 후 상기 22.5°위상변위부(100)를 거친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를 입력받는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45°위상변위부(200)의 Q2_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로 +0.3V의 Q2_ 전원 제어신호를 인가시킴과 동시에 Q2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로 -3V의 Q2 전원 제어신호를 인가시킨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45°위상변위부(200)를 제외한 다른 위상변위부로 제어신호를 인가시키지 않음으로, 상기 22.5°위상변위부(100), 90°위상변위부(300), 및 180°위상변위부(400)가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45°위상변위부(200)내에 장착된 제 4 FET(201) 및 제 5 FET(202)는 +0.3V의 Q2_ 전원 제어신호에 의해 온상태가 되는 한편 상기 제 6 FET(203)는 -3V의 Q2 전원 제어신호에 의해 오프상태가 됨으로, 상기 45°위상변위부(200)는 등가적으로 위상 전진특성을 갖는 고역필터로 구현된다. 따라서, 상기 45°위상변위부(200)는 상기 초고주파신호 최초입력단(Input)으로 부터 입력된 후 상기 22.5°위상변위부(100)를 거친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에 대해 고역 필터링동작을 수행한다.
그런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45°위상변위부(200)의 Q2_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로 -3V의 Q2_ 전원 제어신호를 인가시킴과 동시에 Q2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로 +0.3V의 Q2 전원 제어신호를 인가시킨다.
그러면, 상기 45°위상변위부(200)내에 장착된 제 4 FET(201) 및 제 5 FET(202)는 -3V의 Q2_ 전원 제어신호에 의해 오프상태가 되는 한편 상기 제 6 FET(203)는 +0.3V의 Q2 전원 제어신호에 의해 온상태가 됨으로, 상기 45°위상변위부(200)는 등가적으로 Π형의 저역필터로 구현된다. 따라서, 상기 45°위상변위부(200)는 상기 초고주파신호 최초입력단(Input)으로 부터 입력된 후 상기 22.5°위상변위부(100)를 거친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에 대해 저역 필터링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상기 45°위상변위부(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역필터링 동작과 저역필터링 동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상기 초고주파신호 최초입력단(Input)으로 부터 입력된 후 상기 22.5°위상변위부(100)를 거친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를 45°위상변위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초고주파신호 최초입력단(Input)으로 부터 입력된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는 상기 45°위상변위부(200)만을 통해 45°위상변위된 후 초고주파신호 최종출력단(Output)으로 출력된다.
또한,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를 이용하여, 초고주파신호 최초입력단(Input)으로 입력된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를 90°변위시키는 동작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90°위상변위부(300)는 상기 초고주파신호 최초입력단(Input)으로 부터 입력된 후 상기 22.5°위상변위부(100)와 상기 45°위상변위부(200)를 거친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를 입력받는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90°위상변위부(300)의 Q3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로 +0.3V의 Q3 전원 제어신호를 인가시킴과 동시에 Q3_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로 -3V의 Q3_ 전원 제어신호를 인가시킨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90°위상변위부(300)를 제외한 다른 위상변위부로 제어신호를 인가시키지 않음으로, 상기 22.5°위상변위부(100), 45°위상변위부(200), 및 180°위상변위부(400)가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90°위상변위부(300)내에 장착된 제 7 FET(301), 제 9 FET(303) 및 제 11 FET(305)는 +0.3V의 Q3 전원 제어신호에 의해 온상태가 되는 한편 상기 제 8 FET(302), 제 10 FET(304) 및 제 12 FET(306)는 -3V의 Q3_ 전원 제어신호에 의해 오프상태가 됨으로, 상기 90°위상변위부(300)는 등가적으로 Π형의 고역필터로 구현된다. 따라서, 상기 90°위상변위부(300)는 상기 초고주파신호 최초입력단(Input)으로 부터 입력된 후 상기 22.5°위상변위부(100)와 45°위상변위부(200)를 거친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에 대해 고역 필터링동작을 수행한다.
그런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90°위상변위부(300)의 Q3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로 -3V의 Q3 전원 제어신호를 인가시킴과 동시에 Q3_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로 +0.3V의 Q3_ 전원 제어신호를 인가시킨다.
그러면, 상기 90°위상변위부(300)내에 장착된 제 7 FET(301), 제 9 FET(303) 및 제 11 FET(305)는 -3V의 Q3 전원 제어신호에 의해 오프상태가 되는 한편 상기 제 8 FET(302), 제 10 FET(304) 및 제 12 FET(306)는 +0.3V의 Q3_ 전원 제어신호에 의해 온상태가 됨으로, 상기 90°위상변위부(300)는 등가적으로 Π형의 저역필터로 구현된다. 따라서, 상기 90°위상변위부(300)는 상기 초고주파신호 최초입력단(Input)으로 부터 입력된 후 상기 22.5°위상변위부(100)와 45°위상변위부(200)를 거친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에 대해 저역 필터링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상기 90°위상변위부(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역필터링 동작과 저역필터링 동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상기 초고주파신호 최초입력단(Input)으로 부터 입력된 후 상기 22.5°위상변위부(100)와 45°위상변위부(200)를 거친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를 45°위상변위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초고주파신호 최초입력단(Input)으로 부터 입력된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는 상기 90°위상변위부(300)만을 통해 90°위상변위된 후 초고주파신호 최종출력단(Output)으로 출력된다.
한편,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를 이용하여, 초고주파신호 최초입력단(Input)으로 입력된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를 180°변위시키는 동작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180°위상변위부(400)는 상기 초고주파신호 최초입력단(Input)으로 부터 입력된 후 상기 22.5°위상변위부(100), 상기 45°위상변위부(200) 및 상 기 90°위상변위부(300)를 거친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를 입력받는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180°위상변위부(400)의 Q4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로 +0.3V의 Q4 전원 제어신호를 인가시킴과 동시에 Q4_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로 -3V의 Q4_ 전원 제어신호를 인가시킨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180°위상변위부(400)를 제외한 다른 위상변위부로 제어신호를 인가시키지 않음으로, 상기 22.5°위상변위부(100), 45°위상변위부(200), 및 90°위상변위부(300)가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180°위상변위부(400)내에 장착된 제 13 FET(401) 및 제 14 FET(402)는 +0.3V의 Q4 전원 제어신호에 의해 온상태가 되는 한편 상기 제 15 FET(403) 및 제 16 FET(404)는 -3V의 Q4_ 전원 제어신호에 의해 오프상태가 됨으로, 상기 180°위상변위부(400)는 등가적으로 Π형 또는 T형의 저역필터로 구현된다. 따라서, 상기 180°위상변위부(400)는 상기 초고주파신호 최초입력단(Input)으로 부터 입력된 후 상기 22.5°위상변위부(100), 상기 45°위상변위부(200) 및 상기 90°위상변위부(300)를 거친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에 대해 저역 필터링동작을 수행한다.
그런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180°위상변위부(400)의 Q4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로 -3V의 Q4 전원 제어신호를 인가시킴과 동시에 Q4_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로 +0.3V의 Q4_ 전원 제어신호를 인가시킨다.
그러면, 상기 180°위상변위부(400)내에 장착된 제 13 FET(401) 및 제 14 FET(402)는 -3V의 Q4 전원 제어신호에 의해 오프상태가 되는 한편 상기 제 15 FET(403) 및 제 16 FET(404)는 +0.3V의 Q4_ 전원 제어신호에 의해 온상태가 됨으로, 상기 180°위상변위부(400)는 등가적으로 Π형 또는 T형의 고역필터로 구현된다. 따라서, 상기 180°위상변위부(400)는 상기 초고주파신호 최초입력단(Input)으로 부터 입력된 후 상기 22.5°위상변위부(100), 상기 45°위상변위부(200) 및 상기 90°위상변위부(300)를 거친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에 대해 고역 필터링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상기 180°위상변위부(4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저역필터링 동작과 고역필터링 동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상기 초고주파신호 최초입력단(Input)으로 부터 입력된 후 상기 22.5°위상변위부(100), 상기 45°위상변위부(200) 및 상기 90°위상변위부(300)를 거친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를 180°위상변위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초고주파신호 최초입력단(Input)으로 부터 입력된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는 상기 180°위상변위부(400)만을 통해 180°위상변위된 후 초고주파신호 최종출력단(Output)으로 출력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는 상기 제어부로 부터 출력되는 전원 제어신호를 변화시켜 준다면, 초고주파신호 최초입력단(Input)으로 부터 입력된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를 22.5°의 위상단위내에서 자유자재로 변위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초고주파신호 최초입력단(Input)으로 부터 입력된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를 112.5°위상변위시키려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22.5°위상변위부(100) 및 90°위상변위부(300)만이 작동되도록 전원 제어신호를 상기 22.5°위상변위부(100) 및 90°위상변위부(300)으로만 인가시켜 주면 된다.
또한, 상술한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는 종래의 위상변위기들과는 달리 저역필터 및 고역필터의 특성을 이용하여 회로를 구현시켜 줌으로써,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일칩 마이크로파 집적회로로의 구현이 가능해지게 된다.
한편, 상술한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의 18㎓∼26㎓ 대역에서의 삽입손실은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균 -5±1dB이고, 최소 입출력 반사손실은 도 3b,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균 -12dB이며, 평균 RMS 위상오차는 도 3d, 도 3e에 도시한 바와 같이 8°임으로, 높은 효율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에 의하면, 18㎓∼26㎓ 대역인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의 위상을 변위시켜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pHEMT(pseudo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 공정을 이용하여 위상변위기를 제작해 줌으로써, 도 3a, 도 3b, 도 3c, 도 3d, 도 3e에 도시한 바와 같이 18㎓∼26㎓ 대역에서 삽입손실 -5±1dB, 최소 입출력 반사손실 -12dB, 평균 RMS 위상오차 8°의 낮은 손실을 갖도록 해주어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해준다는 뛰 어난 효과가 있다.
또다른 효과로는 본 발명에 의한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는 종래의 위상변위기들과는 달리 저역필터 및 고역필터의 특성을 이용하여 회로를 구현시켜 줌으로써 시스템의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단일칩 마이크로파 집적회로로의 구현이 용이해진다는 것이다.

Claims (6)

  1. 초고주파 신호를 진폭의 감쇄없이 위상변위시켜 주는 디지털 위상 변위기에 있어서,
    전원 제어신호(Q1, Q1_)에 의해 Π형의 저역필터로 구현되었다가 다시 단순 위상전진 특성을 갖는 고역필터로 변환됨으로 초고주파신호 최초입력단(Input)으로 부터 입력된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를 22.5°위상변위시키는 22.5°위상변위부와; 상기 22.5°위상변위부의 신호 출력단에 접속되어, 전원 제어신호(Q2, Q2_)에 의해 고역필터로 구현되었다가 다시 Π형의 저역필터로 변환됨으로 상기 22.5°위상변위부를 거친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를 45°위상변위시키는 45°위상변위부와; 상기 45°위상변위부의 신호 출력단에 접속되어, 전원 제어신호(Q3, Q3_)에 의해 Π형의 고역필터로 구현되었다가 다시 Π형의 저역필터로 변환됨으로 상기 45°위상변위부를 거친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를 90°위상변위시키는 90°위상변위부와; 상기 90°위상변위부의 신호 출력단에 접속되어, 전원 제어신호(Q4, Q4_)에 의해 Π형 또는 T형의 저역필터로 구현되었다가 다시 Π형 또는 T형의 고역필터로 변환됨으로 상기 90°위상변위부를 거친 K 대역의 초고주파 신호를 180°위상변위시킨 후 초고주파신호 최종출력단(Output)으로 출력시키는 180°위상변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2.5°위상변위부는, 초고주파신호 최초입력단(Input)에 드레인 단자(D)가 접속되고, Q1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에 접속된 저항(R1)에 베이스 단자(B)가 접속됨과 동시에 초고주파신호 입/출력단(a)에 소오스 단자(S)가 접속되어, 베이스 단자(B)로 입력되는 Q1 전원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제 1 FET와; 상기 제 1 FET의 드레인 단자(D) 및 소오스 단자(S)에 각각 병렬로 접속되는 코일(L1, L2)와; 상기 코일(L1) 및 코일(L2)에 드레인 단자(D)가 접속됨과 동시에 Q1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에 접속된 저항(R2)에 베이스 단자(B)가 접속되어, 베이스 단자(B)로 입력되는 Q1 전원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제 2 FET와; 상기 제 2 FET의 소오스 단자(S)에 드레인 단자(D)가 접속되고, Q1_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에 접속된 저항(R3)에 베이스 단자(B)가 접속됨과 동시에 소오스 단자(S)는 접지되어, 베이스 단자(B)로 입력되는 Q1_ 전원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제 3 FET와; 상기 제 3 FET의 드레인 단자(D) 및 소오스 단자(S)에 병렬로 접속되는 코일(L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45°위상변위부는, 상기 22.5°위상변위부내에 장착된 제 1 FET의 소오스 단자(S)에 드레인 단자(D)가 접속되고, Q2_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에 접속된 저항(R4)에 베이스 단자(B)가 접속됨과 동시에 초고주파신호 입/출력단(b)에 소오스 단자(S)가 접속되어, 베이스 단자(B)로 입력되는 Q2_ 전원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제 4 FET와; 상기 제 4 FET의 드레인 단자(D) 및 소오스 단자(S)에 각각 병렬로 접속되는 코일(L4, L5)와; 상기 코일(L4) 및 코일(L5)에 드레인 단자(D)가 접속됨과 동시에 Q2_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에 접속된 저항(R5)에 베이스 단자(B)가 접속되어, 베이스 단자(B)로 입력되는 Q2_ 전원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제 5 FET와; 상기 제 5 FET의 소오스 단자(S)에 드레인 단자(D)가 접속되고, Q2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에 접속된 저항(R6)에 베이스 단자(B)가 접속됨과 동시에 소오스 단자(S)는 접지되어, 베이스 단자(B)로 입력되는 Q2 전원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제 6 FET와; 상기 제 6 FET의 드레인 단자(D) 및 소오스 단자(S)에 병렬로 접속되는 코일(L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90°위상변위부는, 상기 45°위상변위부내에 장착된 제 4 FET의 소오스 단자(S)에 상호 병렬로 접속되는 콘덴서(C1) 및 코일(L7)과; 상기 콘덴서(C1)에 드레인 단자(D)가 접속됨과 동시에 Q3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에 접속된 저항(R7)에 베이스 단자(B)가 접속되어, 베이스 단자(B)로 입력되는 Q3 전원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제 7 FET와; 상기 제 7 FET의 소오스 단자(S)에 소오스 단 자(S)가 병렬로 접속되고, Q3_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에 접속된 저항(R8)에 베이스 단자(B)가 접속됨과 동시에 드레인 단자(D)는 접지되어, 베이스 단자(B)로 입력되는 Q3_ 전원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제 8 FET와; 상기 제 8 FET의 드레인 단자(D) 및 소오스 단자(S)에 병렬로 접속되는 코일(L8)과; 상기 제 8 FET의 소오스 단자(S)에 드레인 단자(D)가 병렬로 접속되고, Q3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에 접속된 저항(R9)에 베이스 단자(B)가 접속됨과 동시에 초고주파신호 입/출력단(c)에 접속된 콘덴서(C2)에 소오스 단자(S)가 접속되어, 베이스 단자(B)로 입력되는 Q3 전원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제 9 FET와; 상기 코일(L7)에 소오스 단자(S)가 접속됨과 동시에 Q3_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에 접속된 저항(R10)에 베이스 단자(B)가 접속되어, 베이스 단자(B)로 입력되는 Q3_ 전원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제 10 FET와; 상호 병렬로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제 10 FET의 드레인 단자(D)와 각각 병렬로 접속되는 코일(L9, L10)과; 상기 코일(L9, L10)에 드레인 단자(D)가 접속되고, Q3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에 접속된 저항(R11)에 베이스 단자(B)가 접속됨과 동시에 소오스 단자(S)는 접지되어, 베이스 단자(B)로 입력되는 Q3 전원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제 11 FET와; 상기 제 10 FET의 드레인 단자(D)에 소오스 단자(S)가 접속되고, Q3_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에 접속된 저항(R11)에 베이스 단자(B)가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콘덴서(C2)와 병렬로 접속된 코일(L11)에 드레인 단자(D)가 접속되어, 베이스 단자(B)로 입력되는 Q3_ 전원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제 12 FET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80°위상변위부는, 초고주파신호 입/출력단(c)에 드레인 단자(D)가 병렬로 접속됨과 동시에 Q4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에 접속된 저항(R13)에 베이스 단자(B)가 접속되어, 베이스 단자(B)로 입력되는 Q4 전원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제 13 FET와; 상기 제 13 FET의 소오스 단자(S)에 접속되는 콘덴서(C3)와; 상호 병렬로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콘덴서(C3)의 양단에 각각 접속되는 코일(L12, L13)과; 상기 콘덴서(C3)에 드레인 단자(D)가 접속되고, Q4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에 접속된 저항(R14)에 베이스 단자(B)가 접속됨과 동시에 초고주파신호 최종출력단(Output)에 소오스 단자(S)가 병렬로 접속되어, 베이스 단자(B)로 입력되는 Q4 전원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제 14 FET와; 초고주파신호 입/출력단(c)에 소오스 단자(S)가 병렬로 접속됨과 동시에 Q4_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에 접속된 저항(R15)에 베이스 단자(B)가 접속되어, 베이스 단자(B)로 입력되는 Q4_ 전원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제 15 FET와; 상기 제 15 FET의 드레인 단자(D)에 직렬로 접속되는 코일(L14, L15)와; 상기 코일(L14, L15) 사이에 병렬로 접속되는 콘덴서(C4)와; 상기 코일(L15)에 소오스 단자(S)가 접속되고 Q4_ 전원 제어신호 입력단자에 접속된 저항(R16)에 베이스 단자(B)가 접속됨과 동시에 초고주파신호 최종출력단(Output)에 드레인 단자(S)가 병렬로 접속되어, 베이스 단자(B)로 입력되는 Q4_ 전원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 동작 을 수행하는 제 16 FET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2.5°위상변위부, 45°위상변위부, 90°위상변위부, 및 180°위상변위부는 소형의 단일칩 마이크로파 집적회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
KR1019990037705A 1999-09-06 1999-09-06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 KR100585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705A KR100585395B1 (ko) 1999-09-06 1999-09-06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705A KR100585395B1 (ko) 1999-09-06 1999-09-06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6400A KR20010026400A (ko) 2001-04-06
KR100585395B1 true KR100585395B1 (ko) 2006-05-30

Family

ID=19610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7705A KR100585395B1 (ko) 1999-09-06 1999-09-06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53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799B1 (ko) * 2008-10-24 2010-08-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상 변위기와 그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4325A (ja) * 1995-09-04 1997-03-1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可変リアクタンス素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移相回路
JPH10322102A (ja) * 1997-05-16 1998-12-04 Toshiba Corp 反射型移相器
KR19990052555A (ko) * 1997-12-22 1999-07-15 정선종 복합형 3비트 위상 천이기
KR20000008959U (ko) * 1998-10-29 2000-05-25 김영환 광대역 위상변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4325A (ja) * 1995-09-04 1997-03-1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可変リアクタンス素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移相回路
JPH10322102A (ja) * 1997-05-16 1998-12-04 Toshiba Corp 反射型移相器
KR19990052555A (ko) * 1997-12-22 1999-07-15 정선종 복합형 3비트 위상 천이기
KR20000008959U (ko) * 1998-10-29 2000-05-25 김영환 광대역 위상변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799B1 (ko) * 2008-10-24 2010-08-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상 변위기와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6400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oh et al. 0.13-$\mu $ m CMOS phase shifters for X-, Ku-, and K-band phased arrays
KR101479802B1 (ko) 감소된 상호 변조 왜곡을 갖는 스위칭 디바이스
CN110212887B (zh) 一种射频有源移相器结构
US5485130A (en) Microwave switch circuit and an antenna apparatus
KR970004389A (ko) 더블 슈퍼 헤테로다인 수신기
JP2000174563A (ja) 電力増幅器の為の広帯域線形化器
US7123116B2 (en) Phase shifter and multibit phase shifter
CN110854482A (zh) 一种高频开关型移相器
CN101743663B (zh) 具有用于减小的互调失真的可选择相移模式的开关装置
KR100976799B1 (ko) 위상 변위기와 그 제어 방법
US5392010A (en) 90 degree phase shifter
KR100585395B1 (ko) K 대역 디지털 위상변위기
CN109585983A (zh) 一种基于cmos工艺w波段移相器
GB2282287A (en) Mixers
CN112688664A (zh) 一种宽带六位mmic数控移相器
US6985049B2 (en) Switched coupler type digital phase shifter using quadrature generator
CN113193851B (zh) 一种用于x波段的数控移相器
AU708483B2 (en) Circuit selection device
WO2019219204A1 (en) Single-ended to differential signal converter based on n-path filter
US5060299A (en) Radio frequency mixer circuit utilizing interface transformers and switching diodes
CN113949361A (zh) 一种超宽带移相电路
CN112491407A (zh) 一种应用于射频集成电路的耦合式单刀双掷开关
CN112491389A (zh) 毫米波滤波器电路
US7173503B1 (en) Multibit phase shifter with active and passive phase bits, and active phase bit therefor
CN117155291B (zh) 一种本振泄露可校准的宽带单边带上变频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