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5188B1 - 조리용 칼 - Google Patents

조리용 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5188B1
KR100585188B1 KR1020040051675A KR20040051675A KR100585188B1 KR 100585188 B1 KR100585188 B1 KR 100585188B1 KR 1020040051675 A KR1020040051675 A KR 1020040051675A KR 20040051675 A KR20040051675 A KR 20040051675A KR 100585188 B1 KR100585188 B1 KR 100585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fe
knife body
cooking
present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1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2575A (ko
Inventor
양종철
Original Assignee
양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종철 filed Critical 양종철
Priority to KR1020040051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5188B1/ko
Publication of KR20060002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2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9/00Blades for hand knives
    • B26B9/02Blades for hand kniv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ing edge, e.g. wav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3/00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 B26B3/03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off slices one by o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 칼에 관한 것으로, 각종 야채나 육류 또는 두부나 묵 같은 음식재료를 썰 때 썰린 조각이 칼본체의 바깥쪽 면에 달라붙지 않도록 하고, 썰린음식재료 조각이 바깥쪽으로 가지런히 눕혀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왼손을 사용하는 사람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저면에 칼날부가 형성된 소정 형상의 칼본체와, 상기 칼본체의 윗부분 후단에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슴베와, 상기 슴베가 끼워져 고정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조리용 칼에 있어서, 상기 칼본체의 측면 소정 높이에 복수의 통기공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각 통기공의 하단으로부터 윗쪽으로는 바깥쪽을 향하여 소정의 기울기로 기울어진 젖힘편이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칼본체의 측면에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각 통기공의 하단으로부터 윗쪽으로 젖힘편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음식재료라 하더라도, 칼본체의 측면에 달라붙지 않으며 썰림과 동시에 바깥쪽으로 가지런히 눕혀져 사용상의 편의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또, 상기 젖힘편은 통기공의 한쪽면에만 현성된 것이 아니라 양쪽면에 모두 형성되기 때문에 왼손을 이용하여 음식재료를 써는 경우에도 위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조리용 칼, 통기공, 젖힘편

Description

조리용 칼{KITCHEN KNIFE}
도 1은 종래 조리용 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칼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칼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칼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조리용 칼 44 : 칼본체
50 : 통기공 52 : 젖힘편.
본 발명은 조리용 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야채나 육류 또는 두부나 묵 같은 음식재료를 썰 때 썰린 조각이 칼의 바깥쪽 면에 달라붙지 않도록 하고, 썰린조각이 가지런히 눕혀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왼손을 사용하는 사람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조리용 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용 칼은 각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조리에 필요한 재료를 알맞은 크기로 썰 때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적인 주방기구중의 하나이다.
도 1은 종래 조리용 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조리용 칼(10)은 통상 저면에 칼날부(12)가 형성된 소정 형상의 칼본체(14)와, 상기 칼본체(14)의 윗부분 후단에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슴베(16)와, 상기 슴베(16)가 끼워져 고정되는 손잡이(18)로 이루어진다.
한편, 조리용 칼(10)을 이용하여 수분이 많이 함유된 음식재료를 써는 경우에 썰린 조각이 칼본체(14)의 바깥면에 달라붙게 되는데, 이와 같이 썰린 음식재료가 칼본체(14)의 바깥면에 달라붙는 경우 다음의 써는 동작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고, 썰린 음식재료가 바깥쪽으로 가지런히 눕혀지지 않기 때문에 보기에도 좋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칼본체(14)의 측면에 단일 또는 다수의 관통공(20)을 형성하여 음식재료를 썰 때 상기 관통공(20)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썰린 조각이 칼본체(14)의 바깥면에 달라붙지 않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칼본체(14)의 측면에 관통공(20)을 형성하더라도 과일이나 두부 또는 묵과 같이 수분을 다량으로 함유하거나 칼본체(14)의 높이보다 음식재료의 높이가 높은 경우 썰린 음식조각이 여전히 칼본체(14)의 바깥면에 달라붙게 되어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각종 야채나 육류 또는 두부나 묵 같은 음식재료를 썰 때 썰린 조각이 칼본체의 바깥쪽 면에 달라붙지 않도록 하고, 썰린 음식재료 조각이 바깥쪽으로 가지런히 눕혀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왼손을 사용하는 사람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조리용 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면에 칼날부가 형성된 소정 형상의 칼본체와, 상기 칼본체의 윗부분 후단에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슴베와, 상기 슴베가 끼워져 고정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조리용 칼에 있어서, 상기 칼본체의 측면 소정 높이에 복수의 통기공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각 통기공의 하단으로부터 윗쪽으로는 바깥쪽을 향하여 소정의 기울기로 기울어진 젖힘편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젖힘편은 각 통기공의 왼쪽면과 오른쪽면에 번갈아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칼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칼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칼은 음식재료를 썰어가는 과정에서 썰린 음식재료 조각이 칼본체의 측면에 달라 붙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절단과 동시에 바깥쪽으로 가지런히 눕혀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왼손으로 조리용 칼을 이용하는 사람도 상기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칼(40)은 저면에 칼날부(42)가 형성된 소정 형상의 칼본체(44)와, 상기 칼본체(44)의 윗부분 후단에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슴베(46)와, 상기 슴베(46)가 끼워져 고정되는 손잡이(48)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칼본체(44)의 측면 소정 높이에 복수의 통기공(5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통기공(50)의 하단으로부터 윗쪽으로는 바깥쪽을 향하여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젖힘편(52)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젖힘편(52)은 어느 한쪽 면에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공(50)의 왼쪽면과 오른쪽면에 번갈아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칼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칼(40)을 이용하여 음식재료를 써는 경우, 수분을 많아 함유하고 있는 음식재료라 하더라도 칼본체(44)의 측면을 따라 형성된 통기공(50)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작용에 의하여 썰린 음식재료 조각(54)이 칼본체(44)의 측면에 달라붙지 않게된다.
또, 상기 각 통기공(50)의 하단으로부터 윗쪽으로 형성된 젖힘편(52)의 작용에 의하여 썰린 음식재료 조각(54)이 가지런히 눕혀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칼본체의 측면에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각 통기공의 하단으로부터 윗쪽으로 젖힘편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음식재료라 하더라도, 칼본체의 측면에 달라붙지 않으며, 썰림과 동시에 바깥쪽으로 가지런히 눕혀져 사용상의 편의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또, 상기 젖힘편은 통기공의 한쪽면에만 현성된 것이 아니라 양쪽면에 모두 형성되기 때문에 왼손을 이용하여 음식재료를 써는 경우에도 위와 같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저면에 칼날부가 형성된 소정 형상의 칼본체와, 상기 칼본체의 윗부분 후단에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슴베와, 상기 슴베가 끼워져 고정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칼본체의 측면 소정 높이에 복수의 통기공(5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통기공의 하단으로부터 윗쪽으로는 바깥쪽을 향하여 소정의 기울기로 기울어진 젖힘편(52)이 일체로 형성된 조리용 칼에 있어서,
    상기 젖힘편(52)은 각 통기공의 왼쪽면과 오른쪽면에 번갈아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칼.
  2. 삭제
KR1020040051675A 2004-07-02 2004-07-02 조리용 칼 KR100585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1675A KR100585188B1 (ko) 2004-07-02 2004-07-02 조리용 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1675A KR100585188B1 (ko) 2004-07-02 2004-07-02 조리용 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2575A KR20060002575A (ko) 2006-01-09
KR100585188B1 true KR100585188B1 (ko) 2006-05-30

Family

ID=37105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1675A KR100585188B1 (ko) 2004-07-02 2004-07-02 조리용 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518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8172U (ko) * 1988-12-05 1990-06-15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8172U (ko) * 1988-12-05 1990-06-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2575A (ko) 2006-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2843U (ja) おろし器
US5711027A (en) Hand and finger shield
KR101747808B1 (ko) 야채가위
US20090072464A1 (en) Double-sided cutting board
KR100585188B1 (ko) 조리용 칼
US10856699B2 (en) Cutting board
KR20130085095A (ko) 조리용 칼
KR200426255Y1 (ko) 칼치 털을 뽑는 포크
JP3190072U (ja) 切込み刃を備えた調理器具
JP3189679U (ja) 切込み刃を備えた調理器具
US20200047359A1 (en) Strawberry knife
KR200489773Y1 (ko) 양면형 도마
KR101944480B1 (ko) 직립형 주방가위
RU77761U1 (ru) Вилка универсальная
JPH0341647Y2 (ko)
JP3146058U (ja) 水切り機能を備えた包丁
CN206383179U (zh) 一种宝宝辅食剪
JPWO2015121965A1 (ja) 切込み刃を備えた調理器具
KR101163480B1 (ko) 가로썰기가 용이한 주방용 칼
JP3222803U (ja) 調理用スライサー
CN211022340U (zh) 一种多功能切菜板
US20230013836A1 (en) Food cutting assembly
JP3146065U (ja) おろし具
KR200240103Y1 (ko) 주방용 칼
KR200166057Y1 (ko) 보조도마가 구비된 도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