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4553B1 - 광 주사장치 - Google Patents

광 주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4553B1
KR100584553B1 KR1020030014005A KR20030014005A KR100584553B1 KR 100584553 B1 KR100584553 B1 KR 100584553B1 KR 1020030014005 A KR1020030014005 A KR 1020030014005A KR 20030014005 A KR20030014005 A KR 20030014005A KR 100584553 B1 KR100584553 B1 KR 100584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scanning direction
bundle
light
main sca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4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7267A (ko
Inventor
아베마사아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40027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7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2Scanning systems using multifaceted mirrors
    • G02B26/125Details of the optical system between the polygonal mirror and the image pla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Laser Beam Printer (AREA)
  • Lenses (AREA)

Abstract

광 주사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광 주사장치는 주 주사방향에 대하여 접합면이 경사지도록 설치된 멀티 빔 반도체 레이저와 광원으로부터 광다발을 집속시키기 위하여 주 주사방향에서만 슬릿과의 사이에서 광 다발의 초점을 맺도록 하는 아나몰픽한면 형상을 적어도 한 면에 가진 블록렌즈로 이루어진 제 1렌즈와, 제 1렌즈를 투과한 광 다발을 폴리곤 미러의 편향면으로 이끌기 위하여 주 주사방향에서 광다발을 평행광 다발 또는 집속광 다발로 만드는 실린드리컬 렌즈로 이루어진 제 2렌즈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레이저 파워 손실이 적은 고속의 광 주사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광 주사장치{Laser scanning apparatus}
도 1은 반도체 레이저(LD)의 접합면을 주 주사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하여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 설명도,
도 2는 반도체 레이저(LD)의 접합면을 주 주사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하여 설치한 경우를 나타낸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주사장치에서, 광주사평면(주 주사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에서의 광경로 및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주사장치에서, 부주사평면(부 주사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에서의 광 경로 및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주사장치의 제 1렌즈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구면식에서의 좌표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종래 예에서 슬릿입사 시 빔 직경과 슬릿의 개구형상과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슬릿입사 시 빔 직경과 슬릿의 개구형상과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광원 2...슬릿
L1...제1렌즈 L2...제2렌즈
F...제 1렌즈의 평면부
본 발명은 디지털 복사기, 레이저 프린터 등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광 주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복사기나 레이저 프린터 등에 사용되고 있는 광 주사장치는 반도체 레이저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발산성 광 다발을 콜리메이팅 렌즈에 의해 평행광 다발 또는 집속광 다발로 만든 다음, 광 다발을 폴리곤미러에 의해 주사시키면서 복수의 광학렌즈, 미러 등을 통하여 감광체 상에 상을 맺도록 하고 있다.
최근에는, 레이저 빔 프린터의 고속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멀티 빔 레이저를 이용하여 기록을 행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의 광원으로는 복수의 발광점이 모노리식(monolithic)하게 형성된 반도체 레이저(이하, LD라 칭함)가 있다. 이러한 모노리식 멀티 빔 LD는 일반적으로 발광점의 간격이 넓은 것이 많다.
특히, 가시광 타입인 것은 발광점 간격을 70 ∼ 100 ㎛ 보다 좁게 하는 것이 제조상 어렵다는 것이 일본 특허 등록번호 제 2554724호(공개번호 특개평 제 01-250922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발광점 간격이 넓은 모노리식 멀티 빔 LD를 사용한 경우 그 설치방법에 의해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먼저, 도 1은 반도체 레이저의 접합면을 주 주사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하여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LD의 접합면을 주 주사방향(폴리곤 미러에 의해 주사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하여 사용한 경우, 부 주사방향 파워가 큰 주사렌즈에 있어서 화상면 왜곡의 원인이 되어 고도의 광학성능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광 주사장치에 있어서, 폴리곤 미러면의 기울어짐을 보정하기 위하여 LD 발광점과 폴리곤 미러면을 부 주사방향(주 주사방향과 수직인 방향)에서 광학적으로 공액함수(conjugate function)로 만드는데, 일반적으로 확대배율(2 ∼ 10 배정도)이므로 폴리곤 미러면 상에서의 빔 간격이 LD면상보다 넓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이격된 각 발광점을 다시 주사렌즈에 의해 감광체에 결상시키기 때문에, 부 주사방향에서 파워가 큰 주사렌즈를 사용한 경우 화상 만곡 등의 수차를 발생시키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 주사방향에서 파워가 작은 주사렌즈를 사용하면 수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나, 초점거리가 길어지고 광학계의 대형화를 초래하기 쉽다. 그리고, LD와 폴리곤 미러면과의 공액배율을 작게 하면 동일한 수차 감소효과가 있지만, 광 이용 효율이 작아지므로 이러한 면에서 고속주사에는 적합하지 않다.
다음으로, 도 2는 반도체 레이저의 접합면을 주 주사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 록 하여 설치한 경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LD의 접합면을 주 주사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설치하면, LD의 빔 퍼짐각이 접합면을 수평한 방향보다 수직한 방향에서 크기 때문에 콜리메이팅렌즈 통과 후에 빔 현상이 세로가 긴 타원이 된다.
일반적으로, 광 주사장치에서는 콜리메이팅렌즈 통과 후에 가로가 긴 개구를 갖는 슬릿을 배치하고, 그 회절효과에 의해 빔 정형을 행하고 있는데, 슬릿에 입사되는 빔은 슬릿 개구 단부에서 충분히 큰 광 세기를 가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입사 빔이 세로가 긴 경우, 콜리메이팅렌즈의 초점거리를 길게 하고, 빔 형상을 확대하지 않으면 슬릿 개구단부에서 충분히 큰 광 세기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슬릿 통과 시에 레이저 파워를 크게 잃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콜리메이팅렌즈 뒤에 빔을 정형하는 광학소자를 삽입하면 해결되는데, 부품수의 증가에 의해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모노리식 멀티 빔 반도체 레이저를 광원에 사용하여도 슬릿 투과율의 저하를 막을 수 있고 부품 수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는 광 주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광주사장치는 모노리식한 멀티 빔 반도체 레이저(LD)의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다발을 폴리곤 미러에서 주 주사방향으로 주사시키는 광 주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광 다발을 집속시키는 제 1렌즈 및 상기 제 1렌즈를 투과한 광 다발을 상기 폴리곤 미러의 편향면으로 이끄는 제 2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멀티 빔 반도체 레이저는 주 주사방향에 대하여 접합면이 경사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 1렌즈는 주 주사방향에서만 슬릿과의 사이에서 광 다발의 초점을 맺도록 하는 아나몰픽한 면 형상을 적어도 한 면에 가진 볼록렌즈이고, 상기 제 2렌즈는 주 주사방향에서 광다발을 평행광 다발 또는 집속광 다발로 만드는 실린드리컬 렌즈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렌즈는 부 주사방향에서 광 다발을 상기 제 2렌즈를 통하여 상기 편향면에 집속시키는 면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렌즈는 설치할 때 위치결정을 하기 위한 평면부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2렌즈는 곡면이 비구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주사장치에서, 광주사평면(주 주사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에서의 광 경로 및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주사장치에서, 부 주사평면(부 주사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에서의 광 경로 및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주사장치의 제 1렌즈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구면식에서의 좌표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레이저 프린터 등에 사용되는 광 주사장치는 모노리식(monolithic) 멀티 빔 LD의 광원(1)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다발을 폴리곤미러(3)에서 주 주사방향(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주사시키고, Fθ렌즈(미도시)를 통하여 감광체(미도시)에 입사시킨다.
상기 광 주사장치는 상기 광원(1)으로부터의 광 다발을 집속시키는 제1렌즈(L1), 상기 제 1렌즈(L1)를 투과한 광 다발의 빔 형상을 정형하는 슬릿(2) 및 상기 제 1렌즈(L1)를 투과한 광 다발을 상기 폴리곤 미러(3)의 편향면으로 이끄는 제 2렌즈(L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슬릿(2)은 상기 제 2렌즈(L2)의 입사면상에 설치하고 있으며, 그 개구형상은 주 주사방향이 3.2mm, 부 주사방향이 1.1mm 인 타원이다.
상기 광원(1)은 주 주사방향(주 주사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하여 접합면을 거의 수평상태에서 약간 경사지도록 즉, 수평에 가까운 예각인 교차각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된 모노리식 2빔 반도체 레이저로서, 그 퍼짐각(반치전각)은 주 주사방향에서 10도, 부 주사방향에서 30도, 발광점 간격은 100㎛, 발진파장은 650nm이다.
상기 제 1렌즈(L1)는 주 주사방향에서만 상기 슬릿(2)과의 사이에서 광 다발의 초점을 맺도록 하는 아나몰픽(anamorphic)한 면 형상을 적어도 한 면에 가진 볼록렌즈로서, 부 주사방향(부 주사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광 다발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렌즈(L2)를 통하여 편향면에 집광시키는 면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 1렌즈(L1)는 환경변동 시의 성능변화를 고려하여 유리(glass)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렌즈(L1)는 상기 슬릿(2)측의 면만이 아나몰픽한 면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할 때 위치결정을 하기 위한 평면부(F)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 2렌즈(L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주사방향에서 광다발을 평행광 다발로 만드는 프라스틱제의 실린드리컬(cylindrical) 렌즈이다. 또한, 상기 제 2렌즈(L2)는 곡면이 비구면이다.
상기 제 1렌즈(L1) 및 제 2렌즈(L2)에서의 광학특성 데이터의 일 예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주주사방향 곡률반경(R) (mm) 부주사방향 곡률반경(R) (mm) 비구면수차 간격(d) (mm) 굴절율 (λ=650mm) 비고
d1=11.16 1
R1=9.28* K=0 d2=2.5 1.75 축대칭 비구면
A=0.594744×10-3
B=0
C=0
D=0
R2=7.69 R2=35.64 d3=40 1 아나몰픽면
R3=13.6* R3=∞ K=0 d4=3 1.53 비구면 실린드리컬
A=0.123721×10-3
B=0
C=0
D=0
R4=∞ d5=40 1 평면
여기서, 면 R1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렌즈(L1)의 광원(1)측의 면(축대칭 비구면)이고, 면 R2는 상기 제 1렌즈(L1)의 슬릿(2)측의 면( 아나몰픽면)이다. 또한, 면 R3은 상기 제 2렌즈(L2)의 슬릿(2)측의 면(비구면)이고, 면 R4는 상기 제 2렌즈(L2)의 폴리곤 미러(3)측의 면(평면)이다.
간격 d1은 LD와 제 1렌즈와의 간격이고, 간격 d2는 제 1렌즈의 중심두께이고, 간격 d3은 제 1렌즈와 제 2렌즈의 간격이고, 간격 d4는 제 2렌즈의 중심두께이고, 간격 d5는 제 2렌즈와 폴리곤 미러의 간격이다.
주1) 상기 *표시가 붙은 면은 비구면이다.
또한, 면 R3의 비구면은 아래에 기재된 (수학식 1)로 정의되고, 수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최적의 곡면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좌표계수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다.
(수학식 1)
Figure 112003007913962-pat00001
여기서, c는 면의 꼭대기의 곡률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렌즈(L1)는 주 주사방향에서만 상기 슬릿(2)과의 사이에서 광 다발의 초점을 맺도록 하는 아나폴릭한 면 형상을 적어도 한 면에 가진 볼록렌즈이므로, 상기 제 1렌즈(L1)에 의해 상기 슬릿(2)의 바로 앞에서 초점이 맺혀 상기 슬릿(2) 입사시의 빔 형상이 주 주사방향에서만 퍼진 상태로 된다.
따라서, 접합면이 거의 수평한 경우에도 부품 수를 늘리지 않고 슬릿 투과율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도 7은 종래 예에서 슬릿입사 시 빔 직경과 슬릿의 개구형상과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서 슬릿입사 시 빔 직경과 슬릿의 개구형상과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광 주사장치에서, 상기 제 1렌즈(L1)에 의해 주 주사방향에서는 슬릿의 바로 앞에서 빔은 일단 초점이 맺혀 다시 확대되므로, 슬릿 입사시의 빔 형상이 확대된다. 다음 부 주사방향에서는 빔이 집속상태로 되므로 슬릿입사시의 빔 형상이 축소된다.
따라서, 슬릿입사시의 빔 직경은 전체적으로 종래의 콜리메이팅렌즈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슬릿의 개구형상과 같은 가로가 긴 형상에 가까워지며, 슬릿 통과 시의 레이저 파워손실이 적어도 된다. 또한, 슬릿의 위치는 상기 제 2렌즈(L2)의 앞뒤 어디에 설치하여도 문제없다.
구체적인 투과율이 아래의 (표 2) 에 기재되어 있다.
슬릿 투과율(%) 비 고
종래의 콜리메이팅 렌즈를 사용한 경우 3 콜리메이팅 렌즈의 초점거리 30mm
본 발명의 렌즈를 사용한 경우 13
또한, 상기 제 2렌즈(L2)가 주 주사방향에서 광 다발을 평행광 다발 또는 집속광 다발로 만드는 실린드리컬 렌즈이므로, 주 주사방향으로 확대된 빔을 주 주사방향으로만 파워를 가진 실린드리컬 렌즈에 의해 평행광 다발 또는 집속광 다발로 만들어 Fθ렌즈로 입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렌즈(L1)가 부 주사방향에서 광 다발을 상기 제 2렌즈(L2)를 통하여 편향면에 집속시키는 면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폴리곤 미러(3)의 편향면과 감광체를 공액함수로 만들어 상기 폴리곤 미러(3)의 기울어짐 보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렌즈(L1)가 부 주사방향의 광 다발을 편향면에 집광시키는 기능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2렌즈(L2)를 복잡하게 할 필요가 없어지고, 부재의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렌즈(L1)가 설치될 때, 위치결정을 하기 위한 평면부(F)를 가지므로 아나몰픽한 면형상을 가지는 상기 제 1렌즈(L1)의 위치결정을 정밀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설치 시의 위치 어긋남에 위한 광학특성의 어긋남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렌즈(L2)의 곡면이 비구면이므로 아나몰픽면 형상을 갖기 때문에 수차의 보정효과가 비교적 상기 제 1렌즈(L1)를 채용하여도 상기 제 2렌즈(L2)에서 수차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광 주사장치를 레이저 프린터에 채용하였으나, 다른 장치, 예를 들면, 복사기 등에 채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렌즈의 아남몰픽한 면을 슬릿 측의 한쪽 면에 마련하였으나, 반대측 면 또는 양면에 마련하여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 주사장치는 모노리식 멀티 빔 레이저 반도체의 접합면을 주 주사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하여 설치하여도 제 1렌즈가 주 주사방향에서만 슬릿과의 사이에서 광다발의 초점을 맺도록 하는 아나몰픽한 면형상을 적어도 한 면에 가진 볼록렌즈이고, 제 2렌즈가 주주사방향에서 광 다발을 평행광 다발 또는 집속광 다발로 만드는 실린드리컬 렌즈이므로, 슬릿 입사시의 빔형상이 주 주사방향으로만 퍼진상태가 되어 슬릿투과율의 저하를 막을 수 있고, 동시에 주 주사방향에서 평행광 다발 또는 집속광 다발로 만든 상태에서 Fθ렌즈에 입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레이저 파워 손실이 적은 고속의 광 주사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모노리식한 멀티 빔 반도체 레이저(LD)의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다발을 폴리곤 미러에서 주 주사방향으로 주사시키는 광 주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광 다발을 집속시키는 제 1렌즈 및 상기 제 1렌즈를 투과한 광 다발을 상기 폴리곤 미러의 편향면으로 이끄는 제 2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멀티 빔 반도체 레이저는 주 주사방향에 대하여 접합면이 경사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 1렌즈는 주 주사방향에서만 슬릿과의 사이에서 광 다발의 초점을 맺도록 하는 아나몰픽한 면 형상을 적어도 한 면에 가진 볼록렌즈이고,
    상기 제 2렌즈는 주 주사방향에서 광다발을 평행광 다발 또는 집속광 다발로 만드는 실린드리컬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주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렌즈는 부 주사방향에서 광 다발을 상기 제 2렌즈를 통하여 상기 편향면에 집속시키는 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주사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렌즈는 설치할 때 위치결정을 하기 위한 평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주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렌즈는 곡면이 비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주사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렌즈는 곡면이 비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주사장치.
KR1020030014005A 2002-09-25 2003-03-06 광 주사장치 KR1005845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79223 2002-09-25
JP2002279223A JP3930409B2 (ja) 2002-09-25 2002-09-25 光走査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267A KR20040027267A (ko) 2004-04-01
KR100584553B1 true KR100584553B1 (ko) 2006-05-30

Family

ID=31987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4005A KR100584553B1 (ko) 2002-09-25 2003-03-06 광 주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133176B2 (ko)
JP (1) JP3930409B2 (ko)
KR (1) KR1005845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130B1 (ko) * 2005-06-23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주사장치 및 이에 채용되는 광원유니트
JP2007171851A (ja) * 2005-12-26 2007-07-05 Sharp Corp レーザ走査光学系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811032B1 (ko) * 2006-10-17 2008-03-06 삼성전기주식회사 모노리틱 조명장치
JP5691411B2 (ja) * 2010-11-04 2015-04-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ー
JP5651949B2 (ja) * 2009-12-24 2015-01-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コリメーターレンズユニット、照明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4724B2 (ja) 1987-12-11 1996-11-13 株式会社リコー レーザーダイオードアレイを用いる光走査光学系
JP3549666B2 (ja) * 1996-04-03 2004-08-04 株式会社リコー マルチビーム書込光学系
US6509995B1 (en) * 1999-09-01 2003-01-21 Ricoh Company, Ltd. Optical scanning device, line-image forming optical system therein, imaging adjustment method in th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117680A (ja) 2004-04-15
US7133176B2 (en) 2006-11-07
US20040057092A1 (en) 2004-03-25
KR20040027267A (ko) 2004-04-01
JP3930409B2 (ja) 200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11326A1 (en) Optical scanning apparatus, optical wri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215354B1 (en) Scanning optical system,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H0627904B2 (ja) レーザービームの走査光学系
JPH06118325A (ja) 光走査装置
JPH0933850A (ja) 光走査装置
US6239894B1 (en) Scanning optical syste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335624B1 (ko) 레이저빔주사장치
KR100584553B1 (ko) 광 주사장치
JP3104618B2 (ja) 光学走査装置及び光学レンズ
JPH0254211A (ja) 光走査装置
US7477437B1 (en) Laser scanner
US6670980B1 (en) Light-scanning optical system
EP0857991A2 (en) Scanning optical system
JP2956169B2 (ja) 走査光学装置
JP4219429B2 (ja) マルチビーム走査結像光学系における結像ミラーの製造方法
JP3595374B2 (ja) 走査光学系及び走査光学系の球面収差補正方法
JP2001125025A (ja) 走査光学系
KR100529339B1 (ko) 광주사장치
US6178030B1 (en) Light-scanning optical system having wobble-correcting function and light-scan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474433B1 (ko) 광주사장치
JP2002040340A (ja) レーザ走査装置
KR100335625B1 (ko) 레이저빔주사장치
JP2966560B2 (ja) 走査光学系
JPH116954A (ja) 線像結像レンズおよび光走査装置
JP3330649B2 (ja) アナモフィックなfθレンズおよび光走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