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4487B1 - 스타터용 접속 릴레이 - Google Patents

스타터용 접속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4487B1
KR100584487B1 KR1019997006123A KR19997006123A KR100584487B1 KR 100584487 B1 KR100584487 B1 KR 100584487B1 KR 1019997006123 A KR1019997006123 A KR 1019997006123A KR 19997006123 A KR19997006123 A KR 19997006123A KR 100584487 B1 KR100584487 B1 KR 100584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rter
resistor
relay
contac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6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9911A (ko
Inventor
보에그너칼헤인즈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claimed from PCT/DE1998/002986 external-priority patent/WO1999026266A1/de
Publication of KR20000069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9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4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 F02N15/06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 F02N15/067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the starter comprising an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02Non-polarised relays
    • H01H51/04Non-polarised relays with single armature; with single set of ganged armatures
    • H01H51/06Armature is movable between two limit positions of rest and is moved in one direction due to energisation of an electromagnet and after the electromagnet is de-energised is returned by energy stored during the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e.g. by using a spring, by using a permanent magnet, by grav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51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ntrolling the engagement or disengagement between engine and starter, e.g. meshing of pinion and engine ge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02Non-polarised relays
    • H01H51/04Non-polarised relays with single armature; with single set of ganged armatures
    • H01H51/06Armature is movable between two limit positions of rest and is moved in one direction due to energisation of an electromagnet and after the electromagnet is de-energised is returned by energy stored during the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e.g. by using a spring, by using a permanent magnet, by gravity
    • H01H51/065Relays having a pair of normally open contacts rigidly fixed to a magnetic core movable along the axis of a solenoid, e.g. relays for starting automob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7Details of the switching means in starting circuits, e.g. relays or electronic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2300/00Control related aspects of engine starting
    • F02N2300/10Control related aspects of engine starting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utput, i.e. means or parameters used as a control output or target
    • F02N2300/102Control of the starter motor speed; Control of the engine speed during crank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1Auxiliary contact devices
    • H01H50/543Auxiliary switch inserting resistor during closure of conta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스타터 피니언이 먼저 내연기관 링 기어 내로 시프팅된 다음, 스타터 모터가 작동하는 내연기관의 스타터용 접속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스타터 모터를 사용하여 스타터 피니언이 링 기어 내로 유연하게 시프팅되게 하기 위해, 접속 릴레이는 전환 접촉(54)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환 접촉은 정지 위치에서는 저항(39)을 통해 스타터 모터를 연결하며 작동 위치에서는 전원(+30)에 스타터 모터를 직접 연결한 다음 저항(39)이 차단된다.
접속 릴레이, 스타터, 내연기관의 링 기어, 스타터 피니언, 절환접촉, 중립 위치, 작동 위치

Description

스타터용 접속 릴레이{Solenoid switch for starters}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의 전제부에 따른 내연기관의 스타터용 접속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점화 스위치를 개방한 후 릴레이 스위칭 접촉부를 통해 인입 코일(pull-in coil) 및 홀딩 코일(retention coil)로 흐르는 역방향 전류(reverse current)에 의한 유도 보유력을 방지하기 위해, 인입 코일 및 홀딩 코일을 동일하게 설계한 지금까지 사용되어온 스타터 코일 또는 회로는 스타터 피니언(starter pinion)을 내연기관 링 기어 내로 결합하기 위한 접속 릴레이의 인입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2단계 과정의 장점의 일부가 소실된다.
독립 청구항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 릴레이는 그에 비하여 가능한 한 높은 인덕턴스를 얻기 위해, 릴레이 인입에 필요한 코일이 싱글 코일로서, 즉 홀딩 코일없이 설계되는 장점이 있다. 스타터 피니언을 내연기관 링 기어에 유연하게 결합시키는, 제 1단계에 필요한 스타터-엔진-회전류를 제한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인입 코일 주변 바깥쪽에 특별하게 구성된 저항이 배치된다. 홀딩 스위칭을 형성하지 않기 위해, 이 저항은 스타터 스위치의 클램프의 접속 릴레이의 전환 스위치를 통해 갈바니적으로 분리된다. 이것은 단지 인입 단계에서만 작동하며,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해 시동과정 중에는 차단된다.
이것은 바람직하게 릴레이 접촉 플레이트 아래 접촉쌍이 절연 상태로 배치됨으로써 가능하다. 정지상태에서 접촉 플레이트는 접촉쌍 위에 놓여, "개방기(Opener)"를 형성한다. 릴레이 아마추어가 스위칭 축과 접촉하고, 스타터 피니언이 내연기관의 링 기어에 도달하면, 접촉 플레이트가 주 전류 접촉부에 도달하기 이전에 개방기가 열려 저항을 차단한다. 차단의 경우 주전류가 차단될 때야 비로소 개방기가 다시 폐쇄된다.
삭제
분리 제어에 의해, 저항뿐 아니라 인입 코일도 상호 무관하게 요구 조건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저항 선을 곡류 형태로 와인딩한 다음 링으로 구부려, 시작 부분과 끝 부분을 서로 나란히 한 다음, 마지막으로 인입 코일 상에 밀어 넣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종속 청구항,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난다.
삭제
도 1 은 스타터용 접속 릴레이 종단면도.
도 2 는 도 1의 화살표 P1방향의 릴레이 정면도.
도 3 은 스위치 커버를 제거한 정면도.
도 4 는 도 1에 따른 (저항이 있는 인입 코일) 상세도.
도 5 는 릴레이의 회로도.
도 6 은 도 1에 따른 (접촉 플레이트가 있는 스위칭 축의) 확대 상세도.
도 7 은 도 6의 화살표 P2 방향에서 본 확대 정면도.
도 8 은 곡류 형태로 감긴 저항.
도 1에는 접속 릴레이의 원통형 하우징(10)이 도시된다. 하우징 내부에 코일 홀더(12)상에 놓인 인입 코일(pull-in coil:11)이 있다. 코일 홀더에서는 원통형의 자석 아마추어(13)가 가이드 슬리브(15) 내에 안내된다. 하우징(10)의 한 측면은 도 6의 확대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자심(14)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자석 아마추어(13)는 자심의 맞은 편에 놓이며 인입 코일(11)의 적합한 제어에 의해 아마추어 리턴 스프링(19)의 힘에 대항해서 축 방향으로 움직인다.
자심(14)에는 스위치 커버(16)가 접속되고, 이 커버는 하우징(10)의 플랜지 링(17)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양 부품 사이에는 판 스프링(18)이 위치한다.
자심(14)의 관통 개구(20) 내에 절연 슬리브(21)가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슬리브 안에 자심(14)을 통해 안내되는 스위칭 축(22)이 수용되고, 상기 축은 스위치 커버(16)의 스위치실(38)까지 도달한다. 자심(14) 내의 개구(20)는 확대된 개구 단(23)을 가지며, 상기 개구 단 내에 스위칭 축이 통과하는 절연 부시(insulating bush:24)가 설치된다. 절연 부시(24)의 외부 단부에는 절연 부시(24)의 견부에 대해 지지되는 접촉 플레이트(25)가 고정된다. 접촉 플레이트는 절연판(26)과 고정판(27)에 의해 스위칭 축(22) 단부에 고정된다. 접촉 플레이트(25) 맞은편에 놓인 절연 슬리브(21) 단부에는 압축 스프링(28)의 한 쪽 단부가 놓이며, 그것의 다른 쪽 단부는 절연 슬리브(21)에 지지된다.
삭제
접촉 플레이트(25)는 자심(14) 외측 절연판(32) 위에 고정된 두 개의 분리된 접촉부(29, 31)(도 3, 6, 7 참조)와 협동하며, 이때 절연판(32)은 자심(14) 상에 배치된다. 이 부품들은 나사(33, 34)로 고정된다. 나사(33, 34) 머리 사이에는 스프링 디스크(36)를 갖는 절연 부시(35)가 놓인다. 스위치칭 축(22) 바깥쪽으로 자심(14)과 절연 슬리브(21) 견부 사이에 차단 스프링(37)이 연장된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듯이, 인입 코일(11) 외측에는 저항선으로 감긴 저항(39)이 위치한다. 저항은 곡류 형태로 형성되며, 절연체를 갖고, 인입 코일(11) 둘레를 시작 부분과 끝 부분이 나란히 놓이도록 둘러싼다.
저항 단부는 도면부호 42, 43으로, 인입 코일 단부는 도면부호 46, 47로 표시한다. 도 3에서는 저항(39)의 끝 부분을 도면부호 43, 저항(39)의 시작 부분을 도면부호 42로 표시한다. 인입 코일(11)의 단부는 도면부호 47로 표시하며, 도 3에 따라 자심(14)에 용접되어 접지된다. 인입 코일의 시작 부분은 도면부호 46으로 표시한다.
도 1을 다시 보면, 스위치 커버(16)에는 두 개의 연결 나사(44, 45)가 있는데, 상기 나사들은 도시되지 않은 너트에 의해 고정되며, 그의 안쪽 접촉부(44A, 45A)들이 접촉 플레이트(25)와 협동한다. 연결 나사(45)는 전류 레일(41)과 접촉하며, 상기 레일에 저항(39)의 끝 부분(43)이 납땜된다.
도 5의 회로도를 설명한다. 여기에 저항(39)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결 나사는 도면부호 45로 표시되고, 마찬가지로 스타터 스위치에 대해 도 6과 도 7에 따른 도체(48)를 사용하여, 코일 둘레(46) 및 접촉부(29)의 납땜을 위한 연결 레일(40)을 가진 터미널이 도면부호 50으로 표시된다(도 2참조). 배터리 접속용 플러스 터미널이 도면부호 30으로 표시되고(도 2 참조), 또한 인입 코일(11)도 도시되어 있다. 터미널(50)과 저항(39) 사이의 전환 접촉부는 도면부호 54로 표시된다.
이 전환 접촉부는 도 1에서 접촉 플레이트(25)로 실현된다.
자심(13)의 인입에 필요한 인입 코일(11)은 가능한 한 높은 인덕턴스를 얻기 위해 단일 코일로 설계된다. 제 1단계에 필요한 제한된 스타터모터-회전류 생성을 위해 저항(39)이 설치된다. 자석 아마추어(13)의 홀딩 스위칭을 피하기 위해, 이 저항은 터미널(50)과 갈바니적으로 분리되어야 한다. 이것은 전환 접촉부(54)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저항(39)은 인입 단계에서만 작동해야하며, 열에 의한 손상을 막기 위해 시동 과정 중에 차단되어야 한다. 이것은 절연 배치된 접촉부(29, 31) 쌍을 통해 이루어진다(도 7). 정지상태에서 접촉 플레이트(25)는 이 접촉부 상에 놓이며, 이로써 하나의 "개방기"를 형성한다. 자심(14)이 스위칭 축(22)과 접촉하면, 즉 스타터 피니언이 내연기관 링 기어에 도달하면, 이 개방기가 개방되며, 접촉 플레이트(25)가 접촉부(44A, 45A)에 도달하여 스타터 모터가 완전히 스위치 온 되기 전에 저항(39)을 차단한다. 차단의 경우, 주 전류가 접촉부(44A 및 45A)에서 차단될 때야 비로소 개방기가 다시 폐쇄된다.
이러한 분리된 제어에 의해, 저항(39)뿐 아니라 인입 코일(11)이 상호 무관하게 요구 조건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곡류 형태로 감기고 링으로 휘어진 저항(39)에 있어서, 코일의 시작 부분과 끝 부분은 상술했듯이 상호 나란히 놓인다.

Claims (5)

  1. 인입 코일의 스위치 온에 의해 스타터 피니언이 먼저 내연기관 링 기어 내로 결합하기 위해 축 방향으로 이동되며, 그 후에 접속 릴레이의 스위치를 통해 스타터 모터의 스위치 온에 의해 완전하게 구동되는 내연기관의 스타터용 접속 릴레이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전환 접촉부(54)로서 구성되며, 상기 접촉부는 스타터 모터의 정지 위치에서는 유연한 시동을 위해 저항(39)을 통해 전기 공급부(+, 30)에 연결되며, 작동 위치에서는 상기 전기 공급부(+,30)에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저항(39)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터용 접속 릴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 코일(11)은 그의 외측에 놓이는 저항(39)을 지지하며, 상기 저항은 꾸불꾸불한 형태로 감긴 저항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터용 접속 릴레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39)은 꾸불꾸불한 형태로 감긴 저항선이며, 저항 코일(39)의 시작 부분(42)과 끝 부분(43)이 근접하게 서로 나란히 놓이도록 링으로 구부려진 다음 인입 코일(11) 상에 밀어넣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터용 접속 릴레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 코일(11)과 협동하는 원통형 자석 아마추어(13)가 제공되며, 상기 아마추어는 스프링 하중을 받는 스위칭 축(22)을 작동시키고, 하우징을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판 상의 자심(14)과 협동하며, 스위칭 축에 접촉 플레이트(25)가 배치되며,
    상기 접촉 플레이트는 한편으로는 작동 위치에서는 스타터 모터 작동을 위해 접촉부(44A, 45A) 쌍과 협동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정지 위치에서는 두 개의 접촉부(29, 31)와 협동하는데, 상기 접촉부 중 한 개의 접촉부는 터미널(50)을 통해 스타터 스위치와 협동하며, 다른 접촉부는 스타터 모터용 터미널(45)과 협동하며, 상기 두 접촉부가 접속 릴레이의 스위치 커버(16)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터용 접속 릴레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접촉부(54)의 2개의 접촉부(29, 31)는 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접촉 플레이트(25) 아래에 상호 이격 배치되며, 절연된 상태로 자심(14)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터용 접속 릴레이.
KR1019997006123A 1997-11-18 1998-10-09 스타터용 접속 릴레이 KR1005844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50889.8 1997-11-18
DE19750889 1997-11-18
DE19814504A DE19814504A1 (de) 1997-11-18 1998-04-01 Einrückrelais für Starter
DE19814504.7 1998-04-01
PCT/DE1998/002986 WO1999026266A1 (de) 1997-11-18 1998-10-09 Einrückrelais für star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9911A KR20000069911A (ko) 2000-11-25
KR100584487B1 true KR100584487B1 (ko) 2006-06-02

Family

ID=7848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6123A KR100584487B1 (ko) 1997-11-18 1998-10-09 스타터용 접속 릴레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84487B1 (ko)
DE (1) DE198145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21227A1 (de) * 2005-05-09 2006-11-16 Robert Bosch Gmbh Startvorrichtung für Brennkraftmaschinen in Kraftfahrzeugen
DE102007014764A1 (de) 2007-03-28 2008-06-12 Robert Bosch Gmbh Einrückrelais für Starter
DE102008001521A1 (de) 2008-04-30 2009-11-05 Robert Bosch Gmbh Kontaktbolzen für Relais einer elektrischen Maschine
DE102008002098A1 (de) * 2008-05-30 2009-12-03 Robert Bosch Gmbh Einrückrelais für Starter von Brennkraftmaschinen
DE102009001725A1 (de) 2009-03-23 2010-09-30 Robert Bosch Gmbh Startrelais einer Startvorrichtung für Brennkraftmaschinen
DE102009027844A1 (de) * 2009-07-20 2011-01-27 Robert Bosch Gmbh Schaltrelais mit Kontaktaufreißeinrichtung
DE102011076534A1 (de) 2011-05-26 2012-11-29 Robert Bosch Gmbh Startvorrichtung
DE102011076743B4 (de) * 2011-05-30 2023-09-21 Seg Automotive Germany Gmbh Starterrelais für Startvorrichtungen von Brennkraftmaschinen
DE102015121033A1 (de) * 2015-07-23 2017-01-26 Epcos Ag Magnetanker, Schütz mit Magnetanker und Verfahren zum Schalten eines Schützes
DE102017223106A1 (de) 2017-12-18 2019-06-19 Robert Bosch Gmbh Startvorrichtung für Brennkraftmaschinen sowie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olch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814504A1 (de) 1999-06-02
KR20000069911A (ko) 200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98730B2 (ja) スタータのための接続リレー
US7034643B1 (en) Electromagnetic starter switch
EP2711959B1 (en) Electromagnetic switch equipped with built-in electronic control circuit
KR100584487B1 (ko) 스타터용 접속 릴레이
KR101464379B1 (ko) 일체형 솔레노이드와 점화 자기스위치
KR101267370B1 (ko) 스타터용 스위칭 장치
KR100836251B1 (ko) 최소화된 전자기스위치를 구비한 스타터
KR20120083473A (ko) 전자기 릴레이
KR20060065424A (ko)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KR950704610A (ko) 시동 장치용 연결 릴레이(Engaging relay for starter devices)
CN100408844C (zh) 发动机的起动器
EP2019201B1 (en) Biaxial type of starter for star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10089666A (ko) 시동 장치용 릴레이
US5475270A (en) Starter motor energization circuit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689310A (en) Electric starting motor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CN110739183A (zh) 汽车起动机及其电磁开关
US5059935A (en) Solenoid coil apparatus
EP0385726B1 (en) Coaxial engine starter
JP2005054706A (ja) エンジン始動装置
US6222435B1 (en) Stick coil for igntion systems
RU2736972C1 (ru) Стартер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RU2087975C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разъединителем
KR100358995B1 (ko) 보빈
JPH04303521A (ja) 電磁スイッチ
SU1410922A1 (ru) Ультрафиолетова облучательна установ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