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4035B1 - 장수풍뎅이 유충의 대량 증식을 위한 사육장치 및 사육방법 - Google Patents
장수풍뎅이 유충의 대량 증식을 위한 사육장치 및 사육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84035B1 KR100584035B1 KR1020040111697A KR20040111697A KR100584035B1 KR 100584035 B1 KR100584035 B1 KR 100584035B1 KR 1020040111697 A KR1020040111697 A KR 1020040111697A KR 20040111697 A KR20040111697 A KR 20040111697A KR 100584035 B1 KR100584035 B1 KR 1005840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etle
- larvae
- breeding
- sawdust
- kenne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6
- 241000445365 Trypoxylus dichotomus Specie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0000000384 rear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2
- 241000254173 Coleopter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0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12447 hatch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41000130993 Scarabaeus <genu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9545 inva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claims 1
- 241000382353 Pup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44000305267 Quercus macrolepis Specie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3864 hum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08331 Pinus X rigitae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11613 Pinus brut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41000018646 Pinus bruti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245 sin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418 lar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41000257303 Hymenopter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1001121020 Cetonia aura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8790 Musa x paradisiac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015 banana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110 jell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74 jell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422 noctur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4000141359 Malus pumi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54043 Melolonthin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0324 Py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16 app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03 egg wh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69 egg whi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21 hard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907 hone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534 inc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565 lobster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17 pea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18 yogur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9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insects, e.g. bees or silkworm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70—Invertebrates
- A01K2227/706—Insects, e.g. Drosophila melanogaster, medf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rds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수풍뎅이 유충의 대량 증식을 위한 사육장치 및 사육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육방법은, 차광망이 씌워져 있고 장수풍뎅이 유충이 활동할 수 있도록 된 사육장 내의 바닥과 측면에 철망을 위치시키며, 바닥에 설치된 철망 위에 발효된 참나무톱밥이나 부엽토를 30㎝이상의 두께로 깔고 축축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장수풍뎅이 유충이나 성충을 투입한 후, 성충의 산란을 유도하여 장수풍뎅이의 유충을 증식하되 참나무톱밥이나 부엽토에 산란된 알을 20∼28℃를 유지하여 부화시키며, 유충은 23∼25℃를 유지하여 용화시키고, 번데기는 20∼25℃를 유지하여 우화시키며, 성충은 20∼28℃를 유지하면서 산란하도록 하여 유충을 증식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수풍뎅이의 산란 및 부화와 용화와 우화를 위한 최적의 조건으로 장수풍뎅이를 사육할 수 있어 장수풍뎅이 유충을 대량으로 증식할 수 있고, 사육장의 바닥면과 측면에 철망이 설치되어 천적으로부터 사육장 내의 장수풍뎅이를 보호할 수 있다.
풍뎅이, 장수풍뎅이, 유충, 증식, 사육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장수풍뎅이 유충의 대량 증식을 위한 사육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차광망 20. 사육장
30. 철망 40. 톱밥층
50. 배수로 60. 나무토막
본 발명은 풍뎅이의 유충을 대량으로 증식하기 위한 사육장치 및 사육방법에 관한 것이다.
장수풍뎅이(Allomyrina dichotoma)는 딱정벌레목 풍뎅이과에 속하는 곤충으 로서, 환경오염의 심각성으로 인하여 점차 사라져가고 있다.
반면, 그 유충에 간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가진 물질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최근 그 약용적 가치가 주목받고 있는 곤충이기도 하다.
장수풍뎅이의 생육에 대하여 알려진 것은, 8월경 썩은 나무나 부엽토 등에 산란을 하고, 1주일 정도 경과 후 부화하여 이듬해 초여름 번데기가 되며, 7월경 성충이 되고, 상수리나무나 줄참나무 등의 수액에 모여 사는 식엽성 곤충이라는 정도에 불과하였다.
이로 인하여, 약용적 가치가 큰 장수풍뎅이 유충을 대량으로 증식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종래, 한국 특허출원 제10-2000-0011495호(참나무 톱밥을 이용한 꽃무지 풍뎅이의 인공 사육방법, 2000. 03. 08.출원)등에 흰점박이 꽃무지 풍뎅이 등을 사육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를 통해서는 장수풍뎅이를 효과적으로 사육할 수 없어 장수풍뎅이 유충을 대량으로 증식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최적의 조건으로 장수풍뎅이를 사육함으로써 장수풍뎅이 유충을 대량으로 증식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장수풍뎅이 유충의 대량 증식을 위한 사육장치 및 사육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차광망이 씌워진 사육장 내에 발효된 톱밥층 또는 부엽토 층을 형성하고, 이 톱밥층이나 부엽토층에 장수풍뎅이 성충이 산란을 하도록 하여 장수풍뎅이 유충을 증식하되 사육장의 바닥면과 측면에 철망을 설치하여 천적이 사육장 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한다.
또, 톱밥층의 상부에 장수풍뎅이 성충이 올라가 놀 수 있도록 나무토막을 위치시켜 장수풍뎅이 성충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음과 동시에 활발한 활동을 하여 산란이 원활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육장치는,
차광망이 씌워져 있고 장수풍뎅이 유충이 활동할 수 있도록 된 사육장과;
장수풍뎅이의 천적이 사육장 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사육장의 바닥면과 측면에 설치된 철망과;
바닥에 설치된 철망의 상부에 적층되어 있는 발효된 톱밥층과;
톱밥층의 상부에 위치되어 장수풍뎅이 성충이 올라가 놀 수 있도록 된 나무토막;을 갖는다.
장수풍뎅이를 사육함에 있어서는, 오랜 연구 끝에 알게 된 생육조건 즉, 산란된 알의 부화는 20∼28℃에서 부화시키고, 유충은 23∼25℃에서 용화시키며, 번데기는 20∼25℃에서 우화시키고, 성충은 20∼28℃에서 산란하도록 유도하여 장수풍뎅이 유충의 증식 효과가 극대화 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 및 실험 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장수풍뎅이의 생육에 대한 최적의 조건을 밝히기 위한 다양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을 위한 사육용기는 외부에서 관찰이 가능한 수조를 사용하였고, 장수풍뎅이 유충이 야행성이라는 것에 근거하여 낮에는 채광이 원활하고 밤에는 빛이 완전히 차단되는 장소에 사육용기를 위치시켰다.
또, 장수풍뎅이가 썩은 톱밥층이나 부식토에 산란한다는 것에 근거하여 사육용기의 바닥에는 톱밥층과 부식토층을 30㎝ 두께로 깔았으며, 통상적으로 풍뎅이과 곤충의 산란터는 항상 축축한 상태라는 것에 근거하여 톱밥층과 부식토층은 항상 축축한 상태를 유지해 주었다.
우리 나라에서 서식하는 장수풍뎅이는 7월 무렵에 성충이 된다는 것에 근거하여 7월 무렵 충청북도 영동군의 도덕리 계곡 등에서 성충을 채집하였으며, 이 충을 암, 수 한 쌍씩 하나의 사육용기에 투입하고 관찰하였다.
그런데, 대부분의 시험군에서 장수풍뎅이의 성충이 수명을 다하는 순간까지 산란이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극히 일부 산란이 이루어진 사육용기도 1 ∼ 2개 정도의 알만이 확인될 뿐이었으며, 산란된 알은 부화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실험 실패의 원인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부식토층에서만 극히 일부 산란이 이루어졌고, 톱밥층에서는 산란이 이루어지지 못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톱밥층의 톱밥은 소나무 톱밥과 참나무톱밥이 혼합된 것으로서 장수풍뎅이가 주로 서식하는 장소의 목재인 참나무가 아닌 소나무의 톱밥이 섞여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자료를 근거로 실험용기의 위치에 따른 일조량과 산란터인 톱밥층 및 부식토층의 조건이 장수풍뎅이 성충의 산란 조건에 맞지 않아 발생된 실패로 추측하고, 이듬해 많은 시험구를 준비하여 다양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구 1 ∼ 시험구 10〉
실험방법 - 사육용기에 발효된 소나무톱밥을 30㎝ 두께로 깔고 축축한 상태를 유지시켰고, 낮에는 빛이 잘 들고 밤에는 빛이 완전히 차단되도록 하였다.
각각의 사육용기마다 장수풍뎅이 성충 암, 수 한 쌍을 7월 무렵 채집하여 투입하였다.
결과 - 산란이 발견되지 않았다.
〈시험구 11 ∼ 시험구 20〉
실험방법 - 사육용기에 발효된 소나무톱밥을 30㎝ 두께로 깔고 축축한 상태를 유지시켰고, 차광망을 설치하여 낮에도 빛이 일부 차단되도록 하고 밤에는 빛이 완전히 차단되도록 하였다.
각각의 사육용기마다 장수풍뎅이 성충 암, 수 한 쌍을 7월 무렵 채집하여 투입하였다.
결과 - 산란이 발견되지 않았다.
〈시험구 21 ∼ 시험구 30〉
실험방법 - 사육용기에 발효된 참나무톱밥을 30㎝ 두께로 깔고 축축한 상태를 유지시켰고, 낮에는 빛이 잘 들고 밤에는 빛이 완전히 차단되도록 하였다.
각각의 사육용기마다 장수풍뎅이 성충 암, 수 한 쌍을 7월 무렵 채집하여 투입하였다.
결과 - 일부 사육용기에서만 산란이 발견되었으며 산란된 알의 수는 5 ∼ 7개 이었다.
〈시험구 31 ∼ 시험구 40〉
실험방법 - 사육용기에 발효된 참나무톱밥을 30㎝ 두께로 깔고 축축한 상태를 유지시켰으며, 차광망을 설치하여 낮에도 빛이 일부 차단되도록 하고 밤에는 빛이 완전히 차단되도록 하였다.
각각의 사육용기마다 장수풍뎅이 성충 암, 수 한 쌍을 7월 무렵 채집하여 투입하였다.
결과 - 모든 실험용기에서 산란이 이루어졌고 평균 27개의 알을 산란하였다.
〈시험구 41 ∼ 시험구 50〉
실험방법 - 사육용기에 발효된 참나무톱밥을 30㎝ 두께로 깔고 축축한 상태를 유지시켰으며, 차광망을 설치하여 낮에도 빛이 일부 차단되도록 하고 밤에는 빛 이 완전히 차단되도록 하였다.
또, 자연 상태와 비슷하도록 사육용기 내에 나무토막(참나무)을 넣어 주었으며, 각각의 사육용기마다 장수풍뎅이 성충 암, 수 한 쌍을 7월 무렵 채집하여 투입하였다.
결과 - 성충이 나무토막에 올라가 있는 시간이 많고 모든 실험용기에서 산란이 이루어졌으며 평균 38개의 알을 산란하였다.
〈시험구 51 ∼ 시험구 60〉
실험방법 - 사육용기에 발효된 부엽토를 30㎝ 두께로 깔고 축축한 상태를 유지시켰으며, 낮에는 빛이 잘 들고 밤에는 빛이 완전히 차단되도록 하였다.
각각의 사육용기마다 장수풍뎅이 성충 암, 수 한 쌍을 7월 무렵 채집하여 투입하였다.
결과 - 일부 사육용기에서만 산란이 발견되었으며 산란된 알의 수는 2 ∼ 4개 이었다.
〈시험구 61 ∼ 시험구 70〉
실험방법 - 사육용기에 발효된 부엽토를 30㎝ 두께로 깔고 축축한 상태를 유지시켰으며, 차광망을 설치하여 낮에도 빛이 일부 차단되도록 하고 밤에는 빛이 완전히 차단되도록 하였다.
각각의 사육용기마다 장수풍뎅이 성충 암, 수 한 쌍을 7월 무렵 채집하여 투입하였다.
결과 - 모든 실험용기에서 산란이 이루어졌고 평균 20개의 알을 산란하였다.
실험에 의한 소결론 - 상기와 같은 실험을 통하여 장수풍뎅이는 야행성으로서 빛을 싫어하므로 낮에도 빛을 일부 차단하여 주는 것이 좋으며, 소나무 톱밥에는 산란을 하지 않지만 참나무톱밥 및 부엽토에는 산란을 하며, 나무토막을 넣어주어 성충이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산란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 짝짓기 후 암컷은 약 30일 후 여러 번에 걸쳐 알을 총 10 ∼ 50개정도 산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먹이는 참나무 수액을 좋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흰점박이 꽃무지 풍뎅이와 같이 사과, 바나나, 배 등 과일류를 사용해서도 사육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실험을 통해 얻은 알을 통해 부화에 적합한 최적의 온도 조건을 찾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 1> 온도와 부화율과의 관계를 밝히기 위한 실험결과
온도(℃) | 공시난수(개) | 평균 알기간(일) | 알기간의 범위(일) | 부화율(%) |
17 | 30 | 부화되지 못함 | 부화되지 못함 | 0 |
20 | 30 | 31.0 | 26∼36 | 6.7 |
23 | 30 | 16.4 | 15∼18 | 16.7 |
25 | 30 | 11.5 | 10∼12 | 13.3 |
28 | 30 | 10.0 | 9∼11 | 11.3 |
32 | 30 | 16.7 | 8∼10 | 4.5 |
20∼28의 범위에서 조금씩 온도의 변화를 줌 | 30 | 16.7 | 14∼22 | 36.7 |
실험에 의한 소결론 - 상기 과정을 통하여 장수풍뎅이 유충의 부화를 위한 적정한 온도의 범위는 20∼28℃이고 일정한 온도에서의 바람직한 온도는 23℃정도이며, 지속적으로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보다는 20∼28℃의 범위 내에서 조금씩 온도의 변화를 주면서 부화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장수풍뎅이의 부화가 산란 후 일주일 이후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통상 산란 후 열흘 이후에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은 유충을 이용하여 유충의 생육에 적합한 온도를 찾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고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 2> 온도에 따른 유충기간 및 용화율과의 관계를 밝히기 위한 실험결과
온도(℃) | 유충의 수 (마리) | 평균유충기간(일) | 유충기간의 범위 | 용화율(%) |
20 | 14 | 미발육 | 유충이 죽음 | 0 |
23 | 14 | 327.0 | 326∼328 | 7.1 |
25 | 14 | 273.5 | 249∼293 | 15.4 |
28 | 14 | 미발육 | 유충이 죽음 | 0 |
20∼25의 범위 내에서 조금씩 온도의 변화를 줌 | 14 | 332.4 | 317∼355 | 42.9 |
실험에 의한 소결론 - 상기 과정을 통하여 유충의 생육을 위한 조건은 23∼25℃이고, 동일한 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 보다는 20∼25℃의 범위 내에서 조금씩 온도의 변화를 주는 것이 유충의 용화율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유충은 지하생활을 하므로 낮에도 빛을 일부 차단하여 주어야 하고, 먹이는 참나무톱밥이나 부식토를 먹으므로 별도의 먹이는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애벌레의 밀도가 너무 많으면 스트레스를 받으므로 적정한 간격으로 분리하여 놓는 것이 좋다는 것과 개미 등에게 공격을 받을 수 있으므로 사육장 내에 개미 등이 서식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용화를 위한 방을 만들 때가 되면 애벌레는 노랗게 몸색이 변하고 바닥 부분으로 내려가 턱으로 딱딱 소리를 내는데 이때부터는 먹이도 먹지 않는다는 것과 방을 만드는 종령 상태의 유충은 몸을 비틀어서 용화를 위한 방을 만든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또한, 용화를 위한 방을 만드는 시점에서는 사육통을 흔들거나 참나무톱밥 및 부엽토를 헤치면 안되며, 용화를 위한 방을 만드는 것에 실패한 애벌레는 톱밥 위로 올라와 있게 되어 죽는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은 번데기를 이용하여 번데기의 우화에 대한 적정한 온도를 찾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고,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 3> 온도와 번데기의 우화율과의 관계를 밝히기 위한 실험결과
온도(℃) | 번데기의 수 (마리) | 평균 번데기기간 (일) | 번데기 기간의 범위 | 우화율 |
17 | 16 | 우화되지 못함 | 우화되지 못함 | 0 |
20 | 19 | 32.4 | 24∼38 | 50.0 |
23 | 14 | 30.1 | 24∼37 | 60.0 |
25 | 26 | 17.8 | 15∼20 | 98.5 |
28 | 14 | 14.3 | 10∼16 | 17 |
20∼25의 범위 내에서 조금씩 온도의 변화를 줌 | 14 | 15.6 | 11∼23 | 85.7 |
실험에 의한 소결론 - 상기 과정을 통하여 번데기의 우화를 위한 적정 온도 는 20∼25℃이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조건에서는 25℃정도가 가장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은 성충을 이용하여 산란에 적정한 온도를 찾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고,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 4> 산란과 온도와의 관계를 밝히기 위한 실험결과
온도(℃) | 성충의 수 (마리) | 평균 산란기간 (일) | 총 산란기간 범위 (일) | 총산란수(평균)/마리당 |
17 | 10 | 산란하지 않음 | 산란하지 않음 | 산란하지 않음 |
20 | 10 | 25.0 | 18∼20 | 19.0 |
23 | 10 | 39.5 | 10∼33 | 21.5 |
25 | 10 | 55.0 | 22∼58 | 37.0 |
28 | 10 | 41.2 | 16∼45 | 27.3 |
32 | 10 | 산란하지 않음 | 산란하지 않음 | 산란하지 않음 |
20∼25의 범위 내에서 조금씩 온도의 변화를 줌 | 10 | 29.8 | 4∼19 | 10.3 |
실험에 의한 소결론 - 상기 과정을 통하여 산란에 적합한 온도는 20∼28℃이고, 온도의 변화를 주는 것보다는 지속적으로 동일한 온도를 조성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한 온도는 25℃정도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장수풍뎅이 유충을 사유함에 있어서, 차광망이 씌워져 있고 장수풍뎅이 유충이 활동할 수 있도록 된 사육장 내의 바닥에 발효된 참나무톱밥이나 부엽토를 30㎝이상의 두께로 깔고 축축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장수풍뎅이 유충이나 성충을 투입한 후 성충의 산란을 유도하여 장수풍뎅이의 유충을 증식하되 참나무톱밥이나 부엽토에 산란된 알은 20∼28℃를 유지하여 부화시키며, 유충은 23∼25℃를 유 지하여 용화시키고, 번데기는 20∼25℃를 유지하여 우화시키며, 성충은 20∼28℃를 유지하면서 산란하도록 하여 유충을 증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산란된 알을 부화시키는 과정에서는 20∼28℃의 범위 내에서 온도의 변화를 주면서 부화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유충이 용화되기까지의 과정에서는 20∼25℃의 범위 내에서 조금씩 온도의 변화를 주면서 용화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장수풍뎅이 성충의 크기에 따라 산란한 알의 수가 최대 100여개에 이르는 경우도 있지만 크기가 작은 성충에서는 알의 수가 평균 수치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확인하고, 보다 많은 수의 산란을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암컷 성충이 단백질 섭취를 많이 하면 보다 많은 수의 산란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종래에는 풍뎅이의 성충에게 꿀물이나 설탕물을 공급하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이는 오히려 산란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성충에게 단백질을 공급하는 방법으로서는, 요구르트, 계란의 흰자위, 바나나 등을 젤리(곤충용 젤리)에 섞어주는 방법을 통해 공급하였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실험데이터에 근거하여 산간 계곡 주변의 청정한 지역에 차광망(10)을 씌운 대형 사육장(20)을 설치하고 실제 사육을 실시하였다.
그 과정에서 사육장 내의 풍뎅이가 개미 및 두더지 등의 천적으로부터 피해를 입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육장의 바닥면과 측면에 조밀한 메쉬를 갖는 철망(30)을 설치한 결과 두더지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었다.
또, 과일 등의 먹이는 사육장의 여러 장소에 나누어서 공급함으로써 성충 간에 먹이다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먹고 남은 먹이는 곧바로 제거하여 준 결과 개미 등이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톱밥층이나 부식토층에 채집된 성충이 산란을 하고 이를 통해 얻은 유충을 바로 수확하는 것보다는 유충을 입식시켜 성충이 되도록 하고 이 성충이 산란을 하여 유충이 되도록 하는 과정을 통해 유충을 수확할 경우 수확량이 많았다.
미설명 부호 40은 발효된 참나무톱밥으로 이루어진 톱밥층이고, 50은 물이 사육장 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수로이며, 60은 나무토막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수풍뎅이의 산란 및 부화와 용화와 우화를 위한 최적의 조건으로 장수풍뎅이를 사육할 수 있어 장수풍뎅이 유충을 대량으로 증식할 수 있다.
또, 차광망이 씌워진 사육장 내에 발효된 톱밥층을 형성하고 이 톱밥층에 장 수풍뎅이 성충이 산란을 하도록 하여 장수풍뎅이 유충을 증식하되 사육장의 바닥면과 측면에 철망을 설치하면 천적으로부터 사육장 내의 장수풍뎅이를 보호할 수 있다.
또, 톱밥층의 상부에 장수풍뎅이 성충이 올라가 놀 수 있도록 나무토막을 위치시키면, 장수풍뎅이 성충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음과 동시에 활발한 활동하여 원활한 산란을 유도할 수도 있다.
Claims (4)
- 풍뎅이 유충의 증식을 위한 사육장치에 있어서,차광망이 씌워져 있고 장수풍뎅이 유충이 활동할 수 있도록 된 사육장과;장수풍뎅이의 천적이 사육장 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사육장의 바닥면과 측면에 설치된 철망과;상기 바닥에 설치된 철망의 상부에 적층되어 있는 발효된 톱밥층과;상기 톱밥층의 상부에 위치되어 장수풍뎅이 성충이 올라가 놀 수 있도록 된 나무토막;을 포함하여 구성된, 장수풍뎅이 유충의 대량 증식을 위한 사육장치.
- 풍뎅이 유충의 증식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차광망이 씌워져 있고 장수풍뎅이 유충이 활동할 수 있도록 된 사육장 내의 바닥에 발효된 참나무톱밥이나 부엽토를 30㎝이상의 두께로 깔고 축축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장수풍뎅이 유충이나 성충을 투입한 후 성충의 산란을 유도하여 장수풍뎅이의 유충을 증식하되 참나무톱밥이나 부엽토에 산란된 알은 20∼28℃를 유지하여 부화시키며, 유충은 23∼25℃를 유지하여 용화시키고, 번데기는 20∼25℃를 유지하여 우화시키며, 성충은 20∼28℃를 유지하면서 산란하도록 하여 유충을 증식시키는, 장수풍뎅이 유충의 대량 증식을 위한 사육방법.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산란된 알을 부화시킴에 있어서 20∼28℃의 범위 내에서 온도의 변화를 주면서 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수풍뎅이 유충의 대량 증식을 위한 사육방법.
-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사육장의 참나무톱밥이나 부엽토 하부와 측면에는 철망을 위치시켜 장수풍뎅이의 천적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수풍뎅이 유충의 대량 증식을 위한 사육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11697A KR100584035B1 (ko) | 2004-12-24 | 2004-12-24 | 장수풍뎅이 유충의 대량 증식을 위한 사육장치 및 사육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11697A KR100584035B1 (ko) | 2004-12-24 | 2004-12-24 | 장수풍뎅이 유충의 대량 증식을 위한 사육장치 및 사육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584035B1 true KR100584035B1 (ko) | 2006-05-29 |
Family
ID=37182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111697A KR100584035B1 (ko) | 2004-12-24 | 2004-12-24 | 장수풍뎅이 유충의 대량 증식을 위한 사육장치 및 사육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84035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0400B1 (ko) | 2006-11-23 | 2008-05-20 | 이상현 | 장수풍뎅이 유충의 대량증식을 위한 실내사육장치. |
KR101156061B1 (ko) | 2009-05-22 | 2012-06-27 | 대한민국 | 벚나무사향하늘소의 사육방법, 이에 이용되는 유충용 사료 조성물 및 성충용 사료 조성물 |
KR20180066656A (ko) | 2016-12-09 | 2018-06-19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선유 | 곤충체험학습장 및 그 제어방법 |
KR20190026145A (ko) | 2017-09-04 | 2019-03-13 | 강장석 | 파리 애벌레의 대량 사육방법 |
CN111149776A (zh) * | 2020-03-04 | 2020-05-15 | 青岛农业大学 | 一种测定桔小实蝇生命参数的装置与方法 |
KR20200102763A (ko) * | 2019-02-22 | 2020-09-01 |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곤충 시설물 |
KR20210004107A (ko) * | 2019-07-03 | 2021-01-13 |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사슴풍뎅이 사육방법 |
-
2004
- 2004-12-24 KR KR1020040111697A patent/KR10058403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0400B1 (ko) | 2006-11-23 | 2008-05-20 | 이상현 | 장수풍뎅이 유충의 대량증식을 위한 실내사육장치. |
KR101156061B1 (ko) | 2009-05-22 | 2012-06-27 | 대한민국 | 벚나무사향하늘소의 사육방법, 이에 이용되는 유충용 사료 조성물 및 성충용 사료 조성물 |
KR20180066656A (ko) | 2016-12-09 | 2018-06-19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선유 | 곤충체험학습장 및 그 제어방법 |
KR20190026145A (ko) | 2017-09-04 | 2019-03-13 | 강장석 | 파리 애벌레의 대량 사육방법 |
KR20200102763A (ko) * | 2019-02-22 | 2020-09-01 |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곤충 시설물 |
KR102214863B1 (ko) | 2019-02-22 | 2021-02-10 |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곤충 시설물 |
KR20210004107A (ko) * | 2019-07-03 | 2021-01-13 |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사슴풍뎅이 사육방법 |
KR102300479B1 (ko) * | 2019-07-03 | 2021-09-10 |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사슴풍뎅이 사육방법 |
CN111149776A (zh) * | 2020-03-04 | 2020-05-15 | 青岛农业大学 | 一种测定桔小实蝇生命参数的装置与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Maser | The seen and unseen world of the fallen tree | |
Dudgeon et al. | Hills and streams: an ecology of Hong Kong | |
Weller | Freshwater marshes: ecology and wildlife management | |
US8082884B2 (en) | Swiftlets farming for production of edible bird's nests | |
KR100646132B1 (ko) |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과 사육방법 | |
Carballo et al. | Small-scale freshwater fish farming | |
CN104770326A (zh) | 蝗虫养殖新模式与技术 | |
CN103478117A (zh) | 一种异色瓢虫防治烟蚜的扩散繁殖释放方法 | |
KR20000030598A (ko) | 참나무 톱밥을 이용한 꽃무지 풍뎅이의 인공 사육방법 | |
CN103518673B (zh) | 林蛙立体养殖方法 | |
KR100584035B1 (ko) | 장수풍뎅이 유충의 대량 증식을 위한 사육장치 및 사육방법 | |
Cezilly | Turbidity as an ecological solution to reduce the impact of fish-eating colonial waterbirds on fish farms | |
KR100622403B1 (ko) | 귀뚜라미 실내 대량 입체사육법 및 인공산란방법 | |
CN1209011C (zh) | 青蛙生态养殖方法 | |
KR100830400B1 (ko) | 장수풍뎅이 유충의 대량증식을 위한 실내사육장치. | |
Ryszkowski | The ecosystem role of small mammals | |
CN208402945U (zh) | 一种石蛙生态养殖沟 | |
Haaksma | Surviving urbanisation and agricultural intensification: A review of the threats for farmland and urban birds in human-modified landscapes in the Netherlands | |
Bohart | Management of wild bees | |
RU2181541C2 (ru) | Способ выращивания рыбы | |
JP2001275511A (ja) | 生ごみの処理方法及び生ごみ処理用鶏舎 | |
Mosig | The Australian Yabby Farmer | |
CN107278737B (zh) | 一种水稻鱼苗共作生态养殖方法 | |
KR101713396B1 (ko) | 갯지렁이 양식 방법 | |
McFarland et al. | Peterson Field Guide to North American Bird Nes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