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6132B1 -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과 사육방법 - Google Patents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과 사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6132B1
KR100646132B1 KR1020050023629A KR20050023629A KR100646132B1 KR 100646132 B1 KR100646132 B1 KR 100646132B1 KR 1020050023629 A KR1020050023629 A KR 1020050023629A KR 20050023629 A KR20050023629 A KR 20050023629A KR 100646132 B1 KR100646132 B1 KR 100646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g
cricket
northern
northern mountain
f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3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1958A (ko
Inventor
이용철
Original Assignee
이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철 filed Critical 이용철
Priority to KR1020050023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6132B1/ko
Publication of KR20060101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6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6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2Breeding 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05Stable parti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05Stable partitions
    • A01K1/0017Gates, do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76Arrangement of heaters or heat exc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50Amphibians, e.g. Xenop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과 사육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은, 바닥 위에 다수 개의 나뭇단이 설치되어 있고, 그 위에 담요가 설치되어 있되 북방산개구리가 담요 위 아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있어 담요 위 아래로 개구리서식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부와; 바닥부의 측면 둘레를 둘러쌓도록 설치되어 있고, 일측에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측벽부와; 측벽부의 상부 둘레에 일측이 고정되어 개구리서식공간 상부를 막도록 된 그물망과; 개구리서식공간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웅덩이와; 개구리서식공간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내측으로 귀뚜라미서식공간을 형성하면서 귀뚜라미서식공간 외측에 보온재가 설치되어 있되 보온재는 분리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일측에 개폐문이 설치되어 있는 귀뚜라미사육장; 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 내부에 귀뚜라미사육장을 설치하여 북방산개구리를 대량 사육할 수 있고, 어린 개구리가 쉽게 먹을 수 있는 먹이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북방산개구리, 사육, 귀뚜라미, 담요, 나뭇단

Description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과 사육방법{THE REARING EQUIPMENT FOR DYBOWSKI'S BROWN FROG AND THE REARING METHOD}
도 1은 종래의 개구리 사육시설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을 나타낸 부분절단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북방산개구리 사육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바닥부 11 : 나뭇단
12 : 담요 12a : 구멍
20 : 측벽부 21 : 출입구
30 : 그물망 40 : 웅덩이
50 : 귀뚜라미서식장 51 : 개폐문
52 : 보온재 52a : 카시미론
52b : 비닐천 60 : 화분
본 발명은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과 사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구리는 무미목과에 속하는 양서류로 어류와 파충류로 진화하는 중간단계에 속하고, 몸체가 작고 다리가 긴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개구리 중 식용가능한 개구리로 황소개구리, 북방산개구리, 케이케이드개구리, 황색다리개구리 등이 있다.
이 중 북방산개구리는 등에 검은 빛을 갖는 갈색의 불규칙한 무늬가 있고, 고막 주위에 검은색 가로무늬가 있으며 콧등에 점무늬가 형성되어 있다.
산란기는 3 ~ 4월이며 우리나라 육지 전역에 분포되어 있고, 식용으로 널리 알려져 대량 사육이 필요한 실정이나, 아직까지 통상적인 방법으로는 대량 사육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개구리 사육에 관한 기술로 식물 화분(60)이 배치된 사육장에서 청개구리를 대량 사육하도록 된 '청개구리류의 사육번식방법 및 그의 이용'(한국 등록특허공보 10-0379905호)이 안출되었다.
또, 식용개구리가 외부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한 '식용 개구리 양식장의 울타리 구조'(한국 등록특허공보 특2003-0050197)가 안출되기도 하였다.
위와 같은 사육장은 개구리 먹이가 되는 곤충을 직접 넣어주거나 알을 넣어 알이 부화되어 성장되면 그 성충을 개구리가 먹도록 하였다.
그런데, 먹이가 되는 곤충을 직접 넣어주는 방식은 개구리 특성상 살아 있는 곤충을 잡아 먹는 다는 점에서 먹이가 되는 곤충을 잡아 살아 있는 채로 투입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 곤충의 알을 투입하는 방법의 경우 곤충의 종류에 따라 부화 시기, 곤충의 먹이 등을 조절해주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북방산개구리의 경우 그 생활습성에 대해 이해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라 위와 같은 사육시설과 사육방법을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과 사육방법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 내부에 귀뚜라미사육장을 설치한 후 귀뚜라미에 사료를 공급함으로써 북방산개구리와 귀뚜라미 사이에 자연스런 먹이사슬이 생기도록 유도해 대량으로 북방산개구리를 사육하려는 목적이 있다.
또, 사육이 쉽고, 비용이 저렴한 귀뚜라미를 북방산개구리의 먹이로 제공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북방산개구리를 사육하려는 목적도 있다.
또한, 북방산개구리의 올챙이가 개구리로 변하는 시기와 귀뚜라미가 부화해 유충이 발생하는 시기를 맞춰 어린 개구리가 쉽게 먹을 수 있는 먹이를 공급하려는 목적도 있다.
본 발명은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과 사육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은, 사육시설 내부에 귀뚜라미사육장을 설치한 후 귀뚜라미에 사료를 공급함으로써 북방산개구리와 귀뚜라미 사이에 자연스런 먹이사슬이 생기도록 유도한다.
또, 사육이 쉽고, 비용이 저렴한 귀뚜라미를 북방산개구리의 먹이로 제공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북방산개구리를 사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북방산개구리의 올챙이가 개구리로 변태하는 시기와 귀뚜라미가 부화해 유충이 발생하는 시기를 맞춰 어린 개구리가 쉽게 먹을 수 있는 먹이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은, 바닥 위에 다수 개의 나뭇단이 설치되어 있고, 그 위에 담요가 설치되어 있되 북방산개구리가 담요 위 아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있어 담요 위 아래로 개구리서식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부와; 바닥부의 측면 둘레를 둘러쌓도록 설치되어 있고, 일측에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측벽부와; 측벽부의 상부 둘레에 일측이 고정되어 개구리서식공간 상부를 막도록 된 그물망과; 개구리서식공간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웅덩이와; 개구리서식공간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내측으로 귀뚜라미서식공간을 형성하면서 귀뚜라미서식공간 외측에 보온재가 설치되어 있되 보온재는 분리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일측에 개폐문이 설치되어 있는 귀뚜라미사육장; 으로 구성된다.
또, 본 발명의 북방산개구리 사육방법은, 위와 같은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을 이용하여, 일년 중 봄에 기온이 5 ℃ ~ 15 ℃ 일 때, 웅덩이 1 평의 면적당 북방산개구리의 알 15,000 ~ 20,000 개를 웅덩이에 투입하고, 귀뚜라미사육장 3평의 면적당 성충귀뚜라미 4,000 ~ 7,000 마리를 상기 귀뚜라미사육장에 투입하는 단계와; 귀뚜라미사육장 내부 온도를 15 ~ 25 ℃로 유지한 채 45 ~ 75일 동안 귀뚜라미사육장에 귀뚜라미사료를 투입하여 귀뚜라미를 육성시키고, 45 ~ 75일 동안 웅덩이에 올챙이사료를 투입하여 올챙이가 어린 북방산개구리로 변태되도록 육성하는 단계와; 웅덩이의 물을 제거하여 변태가 끝난 북방산개구리가 웅덩이에서 나오도록 유도하고, 귀뚜라미사육장의 보온재를 분리하여 귀뚜라미가 귀뚜라미사육장 밖으로 나오도록 유도하는 단계와; 개구리서식공간에 귀뚜라미사료를 계속 공급하여 북방산개구리로 하여금 귀뚜라미와 그 유충을 먹고 성장하도록 하는 단계; 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바닥부(10)는, 바닥 위에 다수 개의 나뭇단(11)이 설치되어 있고, 그 위에 담요(12)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담요(12)와 나뭇단(11) 사이로 북방산개구리가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에서 보면 담요(12)에 다수 개의 구멍(12a)가 형성되어 있어 이 구멍(12a)을 통해 북방산개구리가 담요 위 아래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다수개의 나뭇단(11)을 담요(12)가 덮으면서 담요(12)에 굴곡이 형성되어 나뭇단(12) 의 나무 틈 뿐만 아니라 담요와 나뭇단(12) 사이 공간이 북방산개구리의 좋은 서식장소가 되는 것이다.
나뭇단(11)과 담요(12)의 설치 예는 도 2에서 보는 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닥부(10) 전체에 나뭇단(11)과 담요(12)를 설치해도 바닥부(10) 주변 모서리 등에 담요(12)와 나뭇단(11) 사이에 틈이 생겨, 이곳을 통해 북방산개구리가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나뭇단(11)은 굵은 나뭇단(11) 보다는 지름이 0.5 cm 에서 3 cm 사이의 굵기가 얇은 잔가지가 적당하며, 침엽수보다는 활엽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여러 개의 나뭇단(11)을 끈이나 철사로 묶어 큰 나뭇단(11) 집단을 형성하는 것도 좋다.
담요(12)는 나뭇단(11)에 햇빛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고, 야간에는 북방산개구리가 담요(12) 위로 나와 활동 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또한, 담요(12)를 설치하게 되면 담요(12)와 그 밑의 나뭇단(11)에 수분이 충분한 상태가 되므로, 비가 오거나 수분을 공급해 줄 경우 담요(12) 밑의 나뭇단(11)과, 담요(12)가 북방산개구리가 서식하기에 좋은 상태가 된다.
이러한 담요(12)의 재질은 일반 천, 보온 기능을 갖는 천 등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측벽부(20)는 개구리서식공간에서 사육되는 북방산개구리가 개구리서식공간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 틈이 없는 철판, 고무판, 목재판 등 다양한 재료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외부에서 활동하는 쥐가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게 하고, 북방산개구리가 땅을 파고 외부로 나오지 못하도록 측벽부(20)는 지면에 약 15 ~ 30 cm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보면 측벽부 하부가 지면에 삽입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 측벽부(20)에는 사육시설을 관리하는 사람이 출입할 수 있도록 일측에 출입구(2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입구(21) 형성시 개방된 출입구(21)를 통해 북방산개구리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출입구(21)의 바닥 높이는 지면으로부터 15 ~ 30 cm 상부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그물망(30)은 측벽부(20)의 상부를 막아 개구리서식공간 내부의 북방산개구리가 측벽부(20)를 넘어 외부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햇빛이 개구리서식공간 내부에 여과 없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간에도 북방산개구리가 담요(12) 위로 활동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러한 그물망(30)은 일반 차광막, 그물천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그물망(30) 구성 예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스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고, 지면과 수평한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그물망(30)의 망 크기는 북방산개구리나 그 먹이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1 ~ 3 mm 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웅덩이(40)는 개구리서식공간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웅덩이(40)는 북방산개구리의 알을 투입해 올챙이를 성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알을 투입할 때 웅덩이(40) 1평의 면적당 북방산개구리의 알 15,000 ~ 20,000 개를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올챙이가 성장해서 북방산개구리가 되기 전까지의 활동 면적을 고려한 것이다.
또한, 웅덩이(40)의 깊이는 30 ~ 50 cm의 깊이로 형성해 올챙이가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웅덩이(4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부(10)보다 낮게 땅을 파고, 바닥에 비닐 같이 물의 배수를 막는 천을 깔아 설치할 수도 있고, 바닥부(10)보다 높게 콘크리트 구조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웅덩이(40)는 올챙이가 커서 개구리가 되면 웅덩이(40)의 물을 배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시키는 방법으로는 땅바닥에 비닐천을 깐 경우 비닐천을 제거하면 땅에 물이 흡수되면서 자연 배수 되고, 자연배수가 불가능한 경우 탈수펌프를 이용해 물을 배수시킬 수도 있다.
또한, 북방산개구리가 완전 성체가 되어 겨울잠을 잘 때가 되면 물 속에 들어가 자는 성질이 있으므로 겨울잠을 잘 시기가 되면 웅덩이(40)에 다시 물을 채워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귀뚜라미사육장(50)은 개구리서식공간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내측으로 귀뚜라미서식공간을 형성하면서 귀뚜라미서식공간 외측에 보온재(52)가 설치되어 있되 보온재(52)는 분리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일측에 개폐문(51)이 설치되어 있다.
개폐문(51)은 귀뚜라미를 투입하거나 귀뚜라미사료를 투입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귀뚜라미사육장(50)의 한 예로, 지면으로부터 4 지점에 기둥을 세우고, 기둥 주변의 측면과 천정 쪽에 보온재(52)로 비닐천(52b), 카시미론(52a), 비닐천(52b)을 겹겹으로 덮어 내부 보온이 잘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일반적인 귀뚜라미의 라이프사이클이 늦은 봄부터 가을까지이지만 인공적인 사육을 위해 이에 맞게 15 ℃ ~ 25 ℃ 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보온재(52)를 설치하는 것이다.
또, 귀뚜라미서식공간 내부에는 목재를 조립해 다수 개의 단을 설치하고, 각 단마다 볏집, 황토 등을 깔아 귀뚜라미 서식에 용이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귀뚜라미사육장(50)의 보온재(52)의 구성과 사육장 내부 환경은 은 꼭 위에서 설명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바람직한 바닥부, 웅덩이(40), 귀뚜라미사육장(50)의 면적을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북방산개구리의 올챙이가 성장해 다 큰 북방산개구리가 되는 확률이 95 % 인 점을 감안해 북방산개구리 10,000 마리를 사육하기 위해서 웅덩이(40)에 북방산개구리의 알 15,000 ~ 20,000 개를 투입한다.
또, 한마리의 북방산개구리가 낳는 알이 2,000 ~ 2,500 개 이므로, 웅덩이(40)에 직접 북방산개구리의 알을 투입하지 않더라도 산란기의 북방산개구리를 8 ~ 9 쌍 투입하여 부화시킬 수도 있다.
이때, 북방산개구리의 올챙이가 서식하는 웅덩이(40)의 면적은 올챙이 개체수 12,000 ~ 15,000 마리 대비 0.5 ~ 1.5 평의 공간이 바람직하다.
또, 이와 같이 북방산개구리 10,000마리를 사육하기 위해서는 귀뚜라미사육장(50)에 사육되는 귀뚜라미의 개체수는 4,000 ~ 7,000 마리가 바람직한데, 이 정도의 귀두라미를 키우기 위해서 귀뚜라미사육장(50)의 면적은 2 ~ 4 평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 성장한 북방산개구리 10,000 마리가 서식하기 위해서는 웅덩이(40)와, 귀뚜라미사육장(50) 면적을 각각 위에서 계산한 0.5 ~ 1.5 평, 2 ~ 4 평으로 할 경우 이를 포함해 40 ~ 60 평이 면적을 갖도록 바닥부(1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체적면 면적 구성은 사육 예상되는 북방산개구리의 개체수를 기준으로 웅덩이(40)와 귀뚜라미사육장(50)을 포함한 바닥부(10)는 50평 / 9,000 ~ 11,000 마리 가 바람직하고,
웅덩이(40)의 면적은 바닥부(10)의 면적 대비 1/100 ~ 3/100, 귀뚜라미사육장(50)의 면적은 바닥부(10)의 면적 대비 1/25 ~ 2/25 의 면적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을 이용해 북방산개구리를 사육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단계 :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에 개구리알과 귀뚜라미 투입
본 발명의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을 준비하고, 일년 중 봄에 기온이 5 ℃ ~ 15 ℃ 일 때, 웅덩이 1 평의 면적당 북방산개구리의 알 15,000 ~ 20,000 개를 웅덩이에 투입하고, 귀뚜라미사육장 3평의 면적당 성충귀뚜라미 4,000 ~ 7,000 마리를 상기 귀뚜라미사육장에 투입한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북방산개구리 암수 한 쌍이 낳는 알이 2,000 ~ 2,500 개 이므로 웅덩이 1평당 북방산개구리 8 ~ 9 쌍을 투입해 자연 산란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북방산개구리의 알과 귀뚜라미의 구체적인 투입 시기는 대략 3월 말부터 4월 중순이 적당하다.
제 2 단계 : 북방산개구리의 올챙이와 귀뚜라미 육성
귀뚜라미사육장 내부 온도를 15 ~ 25 ℃로 유지한 채 45 ~ 75일 동안 귀뚜라미사육장에 귀뚜라미사료를 투입하여 귀뚜라미를 육성시키고, 45 ~ 75일 동안 웅덩이에 올챙이사료를 투입하여 올챙이가 어린 북방산개구리로 변태하도록 육성한다.
귀뚜라미사육장 내부 온도를 유지하는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온재(52)를 이용할 수 있고, 별도의 난방시설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다 큰 성충 귀뚜라미를 귀뚜라미사육장에서 키워 약 60일 경이 되면 짝짓기가 끝나고, 알이 부화되어 어린 유충이 2 mm 정도의 크기가 된다.
이 크기는 막 변태가 끝나 웅덩이에서 나온 된 북방산개구리가 먹기 좋은 크기가 된다.
구체적으로, 북방산개구리의 알이 개구리로 변태되기 까지의 시간이 약 45 ~ 75 일 정도 걸리고, 성충 귀뚜라미가 짝짓기를 하고 산란한 알이 부화되어 생긴 귀뚜라미 유충이 2 mm 정도의 크기가 되는 기간이 약 45 ~ 75 일 되므로, 북방산개구리의 알과 귀뚜라미를 비슷한 시기에 투입하여 육성시키면 막 변태된 북방산개구리가 귀뚜라미 유충을 먹으면서 성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에서, 귀뚜라미사료는 일반적으로 어린 병아리 등의 가축이 먹는 입자가 고운 동물성, 식물성 사료를 사용하면 된다.
또, 올챙이사료 역시 일반 가축이 먹는 사료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인의 실험 결과, 올챙이가 부화된 후 1주일간은 삶은 계란 껍질을 벗긴 후 갈아 5 ~ 1.5 cm 크기의 경단을 만든 것을 사용하고, 올챙이가 부화된 후 1주일 후 부터는 식물성재료와 동물성재료을 삶아서 5 : 5 질량 비율로 만든 것을 사용할 경우 최종 적으로 거둬들이는 북방산개구리의 개체수가 늘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때, 식물성 재료로는 감자, 깻묵 등이 좋으며, 동물성 재료로는 닭 내장 등이 바람직하다.
제 3 단계 : 물 제거 및 보온재 제거
웅덩이의 물을 제거하여 변태가 끝난 북방산개구리가 웅덩이에서 나오도록 유도하고, 귀뚜라미사육장의 보온재를 분리하여 귀뚜라미가 귀뚜라미사육장 밖으로 나오도독 유도한다.
웅덩이의 물을 제거하고, 귀뚜라미사육장의 보온재를 제거하는 이유는 귀뚜라미를 귀뚜라미사육장 밖으로 나오도록 하고, 개구리를 개구리사육공간에 방치시켜 자연스러운 먹이 사슬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귀뚜라미사육장의 보온재를 제거하는 시기는 대략 5월 초순에서 말 경이되는데, 이 때는 외부 온도가 귀뚜라미를 사육하기에 적당한 온도가 된다.
웅덩이에서 물을 제거하는 이유는 귀뚜라미가 물을 좋아하는 성질이 있어 물가에 귀뚜라미가 몰려 대량으로 죽는 일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 4 단계 : 북방산개구리 육성
웅덩이의 물과, 귀뚜라미사육장의 보온재를 제거하게 되면 개구리와 귀뚜라 미가 개구리서식공간에서 함께 활동하게 된다.
이때 부터 귀뚜라미에게만 귀뚜라미사료를 계속 공급해 주게 되면 북방산개구리는 귀뚜라미와 그 유충을 먹이로 삼아 성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북방산개구리 사육방법에 대하여 실시예와 실험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북방산개구리의 사육
먼저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을 설치하였다.
가로 6 m, 세로 25m 의 약 50평 크기의 개구리서식공간을 형성하고, 그 외측에 철판으로 된 측벽을 설치하되 측벽은 지면 아래로 깊이 30 cm, 지면 위로 높이 1m 를 갖도록 측벽부를 형성하였다.
개구리서식공간에 가로 3m , 세로 1m 의 약 1평 크기에 , 깊이 40 cm인 웅덩이를 설치하여 웅덩이에 물을 채웠다.
개구리서식공간에 가로 3m, 세로 3m 의 약 3평 크기에, 높이 1m로 되어 있고, 외부는 보온재로 덮은 귀뚜라미사육장을 설치하였다.
웅덩이와 귀뚜라미사육장을 설치하고 남은 개구리서식공간의 바닥에 나뭇단을 깔고 그 위 부분에 담요를 덮고,
개구리서식공간을 그물망으로 덮어 설치하였다.
4월 10일, 북방산개구리의 알 17,000 개를 웅덩이에 투입하였다.
한편, 4월 10일부터 한번에 1,000 마리씩 5일 간격으로 4월 30일까지 귀뚜라미 5,000 마리를 귀뚜라미사육장에 투입하였다.
올챙이사료는 일반 동·식물성 사료를 일주일에 3 kg씩 북방산개구리 알 투입후 20일 후부터 웅덩이에 투입하였다.
귀뚜라미사료는 시중에 판매하는 일반 귀뚜라미사료를 1주일에 한번 5 kg씩 귀뚜라미사육장에 투입하였다.
6월 10일, 북방산개구리의 올챙이가 개구리로의 완전 변태되었고, 펌프를 이용해 웅덩이의 물을 제거하였다.
또, 귀뚜라미사육장의 보온재를 해체하여 귀뚜라미가 개구리서식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6월 10일부터는 일주일에 5 kg씩 그물망 위부분을 통해 개구리서식공간 내부에 귀뚜라미사료만 공급하였다.
8월 10일부터 열흘동안 개구리서식공간 내의 북방산개구리의 개체수를 확인한 결과 9,320 마리가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올챙이사료로 찐 계란을 사용한 북방산개구리의 사육
실시예 1의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에, 실시예 1의 사육방법과 동일하게 사육하되 올챙이 사료로 올챙이가 부화된 후 1주일간은 삶은 계란 껍질을 벗긴 후 갈아 5 ~ 1.5 cm 크기의 경단을 만들어 공급하고, 부화된 후 1주일 후 부터는 감자와 닭내장을 삶아서 5 : 5 질량 비율로 만들어 공급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북방산개구리를 건져 수량을 확인한 결과 북방산개구리의 개체수는 10,520 마리가 확인되었다.
<비교예 1> 구더기를 사료로 사용한 북방산개구리의 사육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북방산개구리를 사육하되 귀뚜라미사육장에 귀뚜라미를 사육하지 않고, 북방산개구리의 먹이로 구더기를 공급해 북방산개구리를 사육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북방산개구리를 건져 수량을 확인한 결과 북방산개구리의 개체수는 2,230 마리가 확인되었다.
<비교예 2> 귀뚜라미를 직접 체집, 사료로 사용한 북방산개구리의 사육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북방산개구리를 사육하되 귀뚜라미사육장에 귀뚜라미를 사육하지 않고, 귀뚜라미를 직접 채집하여 개구리서식공간에 공급해 북방산개구리를 사육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북방산개구리를 건져 확인한 결과 4,850 마리가 확인되었다.
<비교예 3> 웅덩이 물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북방산개구리의 사육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북방산개구리를 사육하되 최초 웅덩이에 공급한 물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로 사육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북방산개구리를 건져 확인한 결과 4,330 마리가 확인되었다.
아래 표 1과 같이 실시예 1, 실시예 2 의 방법으로 사육된 개구리 개체수와 비교예 1, 2, 3의 방법으로 사육된 북방산개구리의 개체수를 비교해보았다.
<표 1> 실시예 1, 2 와 비교예 1, 2, 3 와의 개체수 비교
비교대상 개체수
실시예 1 9,320
실시예 2 10,520
비교예 1 2,230
비교예 2 4,850
비교예 3 4,330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2에서 사용한 방법과 비교예 1, 2, 3 에서 사용한 방법과는 절반에 가까운 차이를 보였다.
즉, 실시예 1, 2의 사육방법이 일반적으로 개구리 사료로 많이 쓰이는 구더기를 먹이로 제공하는 방법보다 4 배 가깝게 북방산개구리 개체수를 얻은 것을 알 수 있다.
또, 실시예 1, 2 와 비교예 2 를 비교할 때 귀뚜라미를 채집하여 개구리서식공간에 공급하는 것보다 개구리서식공간 내부에 귀뚜라미와 개구리를 같이 서식시킬 경우 실시예 1, 2의 방법이 2 배 가까이 북방산개구리 개체수를 얻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2와 비교예 3을 비교할 때 귀뚜라미를 서식시키더라도 귀뚜라미가 서식할 때에는 웅덩이의 물을 제거하는 것이 더 많은 북방산개구리 개체수를 얻은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실시예 1과 실시예 2를 비교해 볼 경우 아주 큰 차이는 아니나 올챙이의 사료로 삶은 계란을 먼저 공급한 측이 더 개체수가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 내부에 귀뚜라미사육장을 설치한 후 귀뚜라미에 사료를 공급함으로써 북방산개구리와 귀뚜라미 사이에 자연스런 먹이사슬이 생기도록 유도해 대량으로 북방산개구리를 사육할 수 있게 된다.
또, 사육이 쉽고, 비용이 저렴한 귀뚜라미를 북방산개구리의 먹이로 제공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북방산개구리를 사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북방산개구리의 올챙이가 개구리로 변하는 시기와 귀뚜라미가 부화해 유충이 발생하는 시기를 맞춰 어린 개구리가 쉽게 먹을 수 있는 먹이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에 있어서,
    바닥 위에 다수 개의 나뭇단(11)이 설치되어 있고, 그 위에 담요(12)가 설치되어 있되 북방산개구리가 담요(12) 위 아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있어 담요(12) 위 아래로 개구리서식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부(10)와;
    상기 바닥부(10)의 측면 둘레를 둘러쌓도록 설치되어 있고, 일측에 출입구(21)가 형성되어 있는 측벽부(20)와;
    상기 측벽부(20)의 상부 둘레에 일측이 고정되어 개구리서식공간 상부를 막도록 된 그물망(30)과;
    상기 개구리서식공간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웅덩이(40)와;
    상기 개구리서식공간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내측으로 귀뚜라미서식공간을 형성하면서 귀뚜라미서식공간 외측에 보온재(52)가 설치되어 있되 보온재(52)는 분리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일측에 개폐문(51)이 설치되어 있는 귀뚜라미사육장(50);을 포함하여 구성된,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웅덩이(40)의 면적은 바닥부(10)의 면적 대비 1/100 ~ 3/100 이고, 귀 뚜라미사육장(50)의 면적은 바닥부(10)의 면적 대비 1/25 ~ 2/25 의 면적을 갖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
  3. 북방산개구리 사육방법에 있어서,
    청구항 1항 또는 청구항 2항의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을 이용하여,
    일년 중 봄에 기온이 5 ℃ ~ 15 ℃ 일 때, 웅덩이 1 평의 면적당 북방산개구리의 알 15,000 ~ 20,000 개를 상기 웅덩이에 투입하고, 귀뚜라미사육장 3평의 면적당 성충귀뚜라미 4,000 ~ 7,000 마리를 상기 귀뚜라미사육장에 투입하는 단계와;
    귀뚜라미사육장 내부 온도를 15 ~ 25 ℃로 유지한 채 45 ~ 75일 동안 귀뚜라미사육장에 귀뚜라미사료를 투입하여 귀뚜라미를 육성시키고, 45 ~ 75일 동안 웅덩이에 올챙이사료를 투입하여 올챙이가 어린 북방산개구리로 변태되도록 육성하는 단계와;
    상기 웅덩이의 물을 제거하여 변태가 끝난 북방산개구리가 웅덩이에서 나오도록 유도하고, 귀뚜라미사육장의 보온재를 분리하여 귀뚜라미가 귀뚜라미사육장 밖으로 나오도록 유도하는 단계와;
    상기 개구리서식공간에 귀뚜라미사료를 계속 공급하여 북방산개구리로 하여금 귀뚜라미와 그 유충을 먹고 성장하도록 하는 단계;로 구성된,
    북방산개구리 사육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올챙이에게 공급하는 올챙이사료는,
    올챙이가 부화된 후 1주일간은 삶은 계란 껍질을 벗긴 후 갈아 5 ~ 1.5 cm 크기의 경단을 만든 것을 사용하고,
    올챙이가 부화된 후 1주일 후 부터는 감자와 닭내장을 삶아서 5 : 5 질량 비율로 만든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방산개구리 사육방법.
  5. 북방산개구리 사육방법에 있어서,
    청구항 1항 또는 청구항 2항의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을 이용하여,
    일년 중 봄에 기온이 5 ℃ ~ 15 ℃ 일 때, 웅덩이 1 평의 면적당 북방산개구리를 암수 8 ~ 9 쌍 투입하고, 귀뚜라미사육장 3평의 면적당 성충귀뚜라미 4,000 ~ 7,000 마리를 상기 귀뚜라미사육장에 투입하는 단계와;
    귀뚜라미사육장 내부 온도를 15 ~ 25 ℃로 유지한 채 45 ~ 75일 동안 귀뚜라미사육장에 귀뚜라미사료를 투입하여 귀뚜라미를 육성시키고, 45 ~ 75일 동안 웅덩이에 올챙이사료를 투입하여 올챙이가 어린 북방산개구리로 변태되도록 육성하는 단계와;
    상기 웅덩이의 물을 제거하여 변태가 끝난 북방산개구리가 웅덩이에서 나오도록 유도하고, 귀뚜라미사육장의 보온재를 분리하여 귀뚜라미가 귀뚜라미사육장 밖으로 나오도록 유도하는 단계와;
    상기 개구리서식공간에 귀뚜라미사료를 계속 공급하여 북방산개구리로 하여금 귀뚜라미와 그 유충을 먹고 성장하도록 하는 단계;로 구성된,
    북방산개구리 사육방법.
KR1020050023629A 2005-03-22 2005-03-22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과 사육방법 KR100646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629A KR100646132B1 (ko) 2005-03-22 2005-03-22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과 사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629A KR100646132B1 (ko) 2005-03-22 2005-03-22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과 사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958A KR20060101958A (ko) 2006-09-27
KR100646132B1 true KR100646132B1 (ko) 2006-11-14

Family

ID=37632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3629A KR100646132B1 (ko) 2005-03-22 2005-03-22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과 사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61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344B1 (ko) 2008-12-16 2011-04-11 이병국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
KR101254135B1 (ko) * 2011-03-28 2013-04-12 주식회사 대동농자재산업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
CN108935329A (zh) * 2018-09-17 2018-12-07 中国环境科学研究院 东北林蛙开放式栖息生境及其构建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855B1 (ko) * 2006-06-12 2008-09-05 양우진 황소개구리 유체를 동물의 먹이로 이용하는 방법
KR100797647B1 (ko) * 2007-08-10 2008-01-24 임운섭 북방산 개구리 사육시설 및 사육방법
CN102550479A (zh) * 2011-12-05 2012-07-11 铁力市四宝生物科技有限公司 半人工养殖东北林蛙的越冬技术
CN104067985A (zh) * 2014-06-18 2014-10-01 重庆迅浩生态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青蛙养殖和蔬菜种植的联合培育系统
CN106234301B (zh) * 2016-02-18 2019-03-01 张兴林 一种高效青蛙养殖方法
CN105660190B (zh) * 2016-02-29 2020-11-20 孟庆霞 灵芝与林蛙互补共生立体栽培养殖方法
CN110338145B (zh) * 2019-07-29 2022-02-01 中国热带农业科学院热带作物品种资源研究所 一种网床饲养嘉积鸭的方法
CN110558282B (zh) * 2019-10-12 2021-08-17 陈伟 一种自振网养蛙台
CN110574731B (zh) * 2019-10-12 2021-09-28 陈伟 一种冬眠池及虎纹蛙错峰增值定点冬眠方法
CN111280127B (zh) * 2020-04-01 2022-06-07 成都市农林科学院 提高用于稻田养殖的黑斑蛙存活率的培养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344B1 (ko) 2008-12-16 2011-04-11 이병국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
KR101254135B1 (ko) * 2011-03-28 2013-04-12 주식회사 대동농자재산업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
CN108935329A (zh) * 2018-09-17 2018-12-07 中国环境科学研究院 东北林蛙开放式栖息生境及其构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958A (ko) 200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6132B1 (ko)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과 사육방법
US8082884B2 (en) Swiftlets farming for production of edible bird&#39;s nests
CN102334469B (zh) 仿野外生态养殖场及方法
CN104982383B (zh) 竹鼠生态养殖方法
KR20080111992A (ko) 북방산 개구리 사육장 및 사육방법
CN104855310A (zh) 一种光唇鱼仿生态工厂规模化繁育驯养方法
CN106070000A (zh) 一种瓜蒌下养鸡的立体循环养殖方法
CN103070134A (zh) 苏卡达陆龟幼龟健康养殖方法
CN103518673B (zh) 林蛙立体养殖方法
CN106804531B (zh) 黄缘闭壳龟从亲龟孵化到成龟的综合养殖方法
KR102037636B1 (ko) 홍해삼 수정란 생산방법
CN104782563A (zh) 一种利用米枣园生态养鸡的方法
RU2550039C1 (ru) СПОСОБ РАЗВЕДЕНИЯ САВКИ Oxyura leucocephala
Guemene et al. Production systems for waterfowl.
CN107006427A (zh) 一种甲鱼的饲养方法
CN109804967B (zh) 一种乌龟的养殖方法
KR101829139B1 (ko) 동애등에 사육방법
CN108244048B (zh) 一种土鸡的养殖方法
CN102754620A (zh) 中华花龟的人工繁殖方法
KR100584035B1 (ko) 장수풍뎅이 유충의 대량 증식을 위한 사육장치 및 사육방법
CN204860490U (zh) 竹鼠仿生态养殖单元
KR20090024043A (ko) 곤충을 양서류의 먹이로 제공하는 육성장치
CN204860471U (zh) 竹鼠生态养殖圈
CN107047467A (zh) 一种百香果园养鹅方法
Soltan Aquaculture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