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3918B1 - 탄성 프레임이 구비된 현수막 - Google Patents

탄성 프레임이 구비된 현수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3918B1
KR100583918B1 KR1020040049333A KR20040049333A KR100583918B1 KR 100583918 B1 KR100583918 B1 KR 100583918B1 KR 1020040049333 A KR1020040049333 A KR 1020040049333A KR 20040049333 A KR20040049333 A KR 20040049333A KR 100583918 B1 KR100583918 B1 KR 100583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nner
accommodating part
coupled
frame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9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0468A (ko
Inventor
황종현
송주용
Original Assignee
황종현
송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종현, 송주용 filed Critical 황종현
Priority to KR1020040049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3918B1/ko
Priority to CA002572205A priority patent/CA2572205A1/en
Priority to EP05765954A priority patent/EP1782412A4/en
Priority to PCT/KR2005/002042 priority patent/WO2006006775A1/en
Priority to CNA2005800216950A priority patent/CN1977299A/zh
Priority to BRPI0512453-0A priority patent/BRPI0512453A/pt
Priority to JP2007519125A priority patent/JP2008505354A/ja
Priority to US11/571,292 priority patent/US20080040961A1/en
Publication of KR20060000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0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3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3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2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display surface tensio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5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ortable display standards
    • G09F15/006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ortable display standards collapsi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Display Rack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 Toy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고 내용이 인쇄된 현수막; 상기 현수막의 테두리에 마련된 프레임수용부; 상기 프레임수용부에 삽입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현수막의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수용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마련되고 상기 현수막을 지지하는 현수막지지대의 폴대에 결합되는 폴대결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은 탄성체로서 양측 단부가 상호 일체로 결합되어 고리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프레임이 구비된 현수막에 관한 것이다.
현수막, 프레임수용부, 프레임, 폴대결착부, 제1프레임수용부, 제2프레임수용부, 캡, 제1프레임, 제2프레임, 캡, 폴대결착부

Description

탄성 프레임이 구비된 현수막{Banner equipped with elastic frame}
도1은 종래의 지지대를 이용한 현수막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는 종래의 현수막 및 이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3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4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현수막
200:프레임수용부 210:제1프레임수용부
220:제2프레임수용부
300:프레임 310:제1프레임
320:제2프레임 330:캡
400:폴대결착부
기술분야
본 발명은 광고용 현수막의 구조에 관한 발명이다.
다시 말하면, 현수막의 테두리에 마련된 프레임수용에 삽입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현수막의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탄성 프레임이 구비된 현수막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광고용 선전문구 또는 각종 행사내용이 인쇄된 현수막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가로변에 설치된다.
현수막 가운데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현수막의 경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현수막의 세로방향의 길이에 해당하는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 쌍의 가로대를 설치하고 현수막의 상부와 하부를 가로대에 걸어서 고정하게 되며, 현수막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현수막의 가로방향 폭에 해당하는 지지프레임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현수막의 경우 현수막의 상부와 하부가 각각 가로대에 고정되어 있으나 단지 현수막의 상부 및 하부에 마련된 지지프레임이 가로대에 걸려있는 상태인 바, 고정상태가 견고하지 못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바람이 심하게 불어 현수막이 가로대에서 분리되어 휘날리는 경우 안전사고의 위험과 함께 현수막의 광고 홍보 효과가 현저히 저하됨은 물론 도시의 미관을 저해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별도의 지지대를 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해야 되는 바, 설치 장소가 제한되고 설치 작업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지지대를 설치할 필요가 없는 현수막 거치대가 창안된 바 있다.
도2에 도시된 현수막 거치대는 물이 채워 진 물통으로 받침부재를 만들고 받침부재에 기립설치되는 수직부재, 현수막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부폴대 및 현수막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폴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거치대에 설치되는 현수막에는 별도의 프레임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단지 상부폴대 및 하부폴대의 탄성력에 의하여 현수막이 팽팽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현수막이 네 방향에서 팽팽하게 잡아 당겨진 평면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광고 내용이 인쇄된 현수막의 일측 방향에서만 현수막을 볼 수 있는 바, 광고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면에 고정설치 되는 별도의 지지대가 필요없는 현수막 구조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거치대에 의하여 견고하고 안전하게 설치될 수 있는 현수막 구조를 제 공함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현수막이 거치된 상태에서 입체적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현수막 구조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넷째, 다양한 형상을 연출할 수 있는 현수막 구조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본 발명인 탄성 프레임이 구비된 현수막은 광고 내용이 인쇄된 현수막; 상기 현수막의 테두리에 마련된 프레임수용부; 상기 프레임수용부에 삽입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현수막의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수용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마련되고 상기 현수막을 지지하는 현수막지지대의 폴대에 결합되는 폴대결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은 탄성체로서 양측 단부가 상호 일체로 결합되어 고리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광고 내용이 인쇄된 현수막(100), 현수막(100)의 테두리에 마련된 프레임수용부(200), 프레임수용부(200)에 삽입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현수막(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300), 및 프레임수용부(200)에 소정의 간격으로 마련되고 현수막(100)을 지지하는 현수막지지대의 폴대에 결합되는 폴대결착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프레임(300)은 탄성체로서 양측 단부가 상호 일체로 결합되어 고리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분리되어 있다.
실시예1
도3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현수막(100)은 광고 내용이 인쇄되어 있으며 현수막지지대에 거치되어 전시된다.
프레임수용부(200)는 현수막(100)의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제1프레임수용부(210) 및 제2프레임수용부(220)로 구분된다.
다시 말하면, 제1프레임수용부(210)는 현수막(100)의 일측 테두리인 상부에 마련된다.
제2프레임수용부(220)는 현수막(100)의 타측 테두리인 하부에 제1프레임수용부(210)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현수막(100)의 상부 테두리에는 제1프레임수용부(210)가 마련되어 있고 현수막(100)의 하부 테두리에는 제2프레임수용부(220)가 마련되어 있다.
즉, 현수막(100)의 테두리 전체에 걸쳐서 프레임수용부(200)가 마련되어 있게 된다.
프레임(300)은 첨부도면에는 스트립(Strip) 형상의 금속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레임(300)의 일측 단부가 제1프레임수용부(210)를 통과한 후 프레임(300) 의 타측 단부와 교차한 후 제2프레임수용부(220)를 통과하고 프레임(300)의 타측 단부와 다시 만나게 된다.
물론 프레임(300)의 양측 단부가 만나더라도 직접 접촉되어 일체로 고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지 프레임수용부(200)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프레임(300)이 제1프레임수용부(210) 및 제2프레임수용부(220)에 결합되어 프레임(300)의 전체적인 형상이 '8'자형을 이루게 된다.
또한, 프레임(300)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곡면의 단부형상이 마련된 캡(330)이 결합된다.
캡(330)은 프레임(300)의 단부를 제1프레임수용부(210) 및 제2프레임수용부(220)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첨부도면에는 상세한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프레임(300)이 들어가는 제1프레임수용부(210)의 입구에는 지퍼가 마련되어 있으며, 프레임(300)이 빠져 나가는 제1프레임수용부(210)의 출구는 개방되어 있다.
또한 '8'자형으로 꼬인 프레임(300)이 들어가는 제2프레임수용부(220)의 입구는 개방되어 있으나, 제2프레임수용부(220)는 별도의 출구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입구의 반대편은 막혀있다.
따라서 프레임(300)이 제1프레임수용부(210) 및 제2프레임수용부(220)를 모두 통과하여 제2프레임수용부(220)의 막혀있는 단부에 프레임(300)의 일측단부가 도달하면 제1프레임수용부(210)의 입구에 마련된 지퍼를 잠그게 되면 프레임(300)은 '8'자형으로 꼬인 상태에서 제1프레임수용부(210) 및 제2프레임수용부(220)의 내부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프레임수용부(200)에 소정의 간격으로 마련된 폴대결착부(400)에 현수막(100)을 지지하는 현수막지지대의 폴대를 결합하면 폴대의 탄성력과 '8'자형으로 꼬인 프레임(300)의 탄성력에 의하여 현수막은 단순한 평면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입체적인 외형을 형성하여 현수막(100)의 양쪽 측면에서도 광고 내용의 인지가 가능하여 현수막(100)의 광고 효과가 극대화 된다.
프레임(300)의 구체적 형상은 첨부도면에 도시된 스트립(Strip) 형상의 금속재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도면에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튜브(Tube) 형상의 복합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2
도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현수막(100)은 광고 내용이 인쇄되어 있으며 현수막지지대에 거치되어 전시된다.
프레임수용부(200)는 현수막(100)의 일측 테두리에 마련되는 제1프레임수용부(210) 및 현수막(100)의 타측 테두리에 마련되는 제2프레임수용부(220)로 구성되고, 현수막(100)의 테두리 전체가 제1프레임수용부(210) 및 제2프레임수용부(220)에 의하여 둘러싸여 진다.
다시 말하면, 현수막(100)의 상부에는 제1프레임수용부(210)가 마련되어 있고, 현수막(100)의 하부에는 제2프레임수용부(220)가 마련되어 있다.
도4에 의하면 프레임(300)은 제1프레임수용부(21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프레임(310) 및 제2프레임수용부(22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프레임(320)으로 구분된다.
또한, 제1프레임(310) 및 제2프레임(320)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곡면의 단부형상이 마련된 캡(330)이 결합되어 있다.
첨부도면에는 상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1프레임(310)이 들어가는 제1프레임수용부(210)의 입구에는 지퍼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1프레임수용부(210)에는 제1프레임(310)이 빠져나가는 별도의 출구는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입구의 반대편은 막혀있다.
따라서 제1프레임(310)이 삽입된 후 제1프레임수용부(210)의 입구에 마련된 지퍼를 잠그게 되면 제1프레임(310)은 제1프레임수용부(2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2프레임(320)이 들어가는 제1프레임수용부(210)의 입구에도 지퍼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2프레임수용부(220)에도 제2프레임(320)이 빠져나가는 별도의 출구는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입구의 반대편은 막혀있다.
따라서 제2프레임(320)이 삽입된 후 제2프레임수용부(220)의 입구에 마련된 지퍼를 잠그게 되면 제2프레임(320)은 제2프레임수용부(22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프레임수용부(200)에 소정의 간격으로 마련된 폴대결착부(400)에 현수막(100)을 지지하는 현수막지지대의 폴대를 결합하면 폴대의 탄성력 과 현수막(100) 상부의 제1프레임(310)과 현수막(100) 하부의 제2프레임(320)의 탄성력에 의하여 현수막(100)은 단순한 평면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입체적인 외형을 형성하여 현수막(100)의 양쪽 측면에서도 광고 내용의 인지가 가능하여 현수막(100)의 광고 효과가 극대화 된다.
프레임(300)의 구체적 형상은 첨부도면에 도시된 스트립(Strip) 형상의 금속재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도면에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튜브(Tube) 형상의 복합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예3
도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현수막(100)은 광고 내용이 인쇄되어 있으며 현수막지지대에 거치되어 전시된다.
프레임수용부(200)는 현수막(100)의 일측 테두리에 마련되는 제1프레임수용부(210) 및 현수막(100)의 타측 테두리에 제1프레임수용부(210)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마련되는 제2프레임수용부(220)로 구성된다.
따라서 현수막(100)의 테두리 전체에 걸쳐서 프레임수용부(200)가 마련되는 것이 아니라 테두리의 일부에는 프레임수용부(200)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즉, 현수막(100)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제1프레임수용부(210) 및 제2프레임수용부(220)가 마련되어 있으나, 중간 부위에는 프레임수용부(200)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프레임(300)은 제1프레임수용부(21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프레임(310) 및 제2프레임수용부(22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프레임(320)으로 구성되며, 제1프레임(310) 및 제2프레임(320)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곡면의 단부형상이 마련된 캡(330)이 결합된다.
첨부도면에는 상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1프레임(310)이 들어가는 제1프레임수용부(210)의 입구에는 지퍼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1프레임수용부(210)에는 제1프레임(310)이 빠져나가는 별도의 출구는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입구의 반대편은 막혀있다.
따라서 제1프레임(310)이 삽입된 후 제1프레임수용부(210)의 입구에 마련된 지퍼를 잠그게 되면 제1프레임(310)은 제1프레임수용부(2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2프레임(320)이 들어가는 제1프레임수용부(210)의 입구에도 지퍼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2프레임수용부(220)에도 제2프레임(320)이 빠져나가는 별도의 출구는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입구의 반대편은 막혀있다.
따라서 제2프레임(320)이 삽입된 후 제2프레임수용부(220)의 입구에 마련된 지퍼를 잠그게 되면 제2프레임(320)은 제2프레임수용부(22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프레임수용부(200)에 소정의 간격으로 마련된 폴대결착부(400)에 현수막(100)을 지지하는 현수막지지대의 폴대를 결합하면 폴대의 탄성력과 현수막(100) 상부의 제1프레임(310)과 현수막(100) 하부의 제2프레임(320)의 탄 성력에 의하여 현수막(100)은 단순한 평면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입체적인 외형을 형성하여 현수막(100)의 양쪽 측면에서도 광고 내용의 인지가 가능하여 현수막(100)의 광고 효과가 극대화 된다.
프레임(300)의 구체적 형상은 첨부도면에 도시된 스트립(Strip) 형상의 금속재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도면에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튜브(Tube) 형상의 복합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면에 고정설치 되는 별도의 지지대가 필요없는 현수막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면에 고정설치 되는 별도의 지지대가 필요없으며 이동이 가능한 현수막거치대를 사용하는 현수막 구조를 제공하여 현수막의 설치, 이동 및 철거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둘째, 거치대에 의하여 견고하고 안전하게 설치될 수 있는 현수막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1에 도시된 종래의 현수막과는 달리 현수막 프레임의 탄성력과 현수막거치대 폴대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현수막을 견고하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다.
셋째, 현수막이 거치된 상태에서 입체적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현수막 구조 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프레임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현수막을 단순히 평면적으로 펼쳐서 전시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입체적 형상으로 현수막을 제작하여 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광고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넷째, 다양한 형상을 연출할 수 있는 현수막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현수막의 테두리 형상 및 프레임수용부의 위치를 결정하고 폴대결착부의 위치를 적절히 선택하여 다양한 형상의 현수막 연출이 가능하다.

Claims (5)

  1. 광고 내용이 인쇄된 현수막;
    상기 현수막의 테두리에 마련된 프레임수용부;
    상기 프레임수용부에 삽입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현수막의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및,
    상기 프레임수용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마련되고 상기 현수막을 지지하는 현수막지지대의 폴대에 결합되는 폴대결착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은 탄성체로서 양측 단부가 상호 일체로 결합되어 고리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프레임이 구비된 현수막.
  2. 제1항에서, 상기 프레임은,
    스트립(Strip) 형상의 금속재료 또는 튜브(Tube) 형상의 복합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프레임이 구비된 현수막.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프레임수용부는,
    상기 현수막의 일측 테두리에 마련되는 제1프레임수용부;및,
    상기 현수막의 타측 테두리에 상기 제1프레임수용부와 제2프레임수용부;
    로 구성되고,
    상기 현수막의 테두리 전체가 상기 제1프레임수용부 및 상기 제2프레임수용부에 의하여 둘러싸여 지며,
    상기 프레임의 일측 단부가 상기 제1프레임수용부를 통과한 후 상기 프레임의 타측 단부와 교차한 후 상기 제2프레임수용부를 통과하고 상기 프레임의 타측 단부와 다시 만나도록 상기 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수용부, 및 상기 제2프레임수용부가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형상이 '8'자형을 이루도록 꼬여 있으며, 상기 프레임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곡면의 단부형상이 마련된 캡(Cap)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프레임이 구비된 현수막.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프레임수용부는,
    상기 현수막의 일측 테두리에 마련되는 제1프레임수용부;및,
    상기 현수막의 타측 테두리에 마련되는 제2프레임수용부;
    로 구성되고,
    상기 현수막의 테두리 전체가 상기 제1프레임수용부 및 상기 제2프레임수용부에 의하여 둘러싸여 지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프레임수용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프레임;및,
    상기 제2프레임수용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프레임;
    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곡면의 단부형상이 마련된 캡(Cap)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프레임이 구비된 현수막.
  5.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프레임수용부는,
    상기 현수막의 일측 테두리에 마련되는 제1프레임수용부;및,
    상기 현수막의 타측 테두리에 상기 제1프레임수용부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마련되는 제2프레임수용부;
    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프레임수용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프레임;및,
    상기 제2프레임수용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프레임;
    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곡면의 단부형상이 마련된 캡(Cap)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프레임이 구비된 현수막.
KR1020040049333A 2004-06-29 2004-06-29 탄성 프레임이 구비된 현수막 KR100583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333A KR100583918B1 (ko) 2004-06-29 2004-06-29 탄성 프레임이 구비된 현수막
CA002572205A CA2572205A1 (en) 2004-06-29 2005-06-29 Banner equipped with elastic frame
EP05765954A EP1782412A4 (en) 2004-06-29 2005-06-29 ADVERTISING BANNER HAVING AN ELASTIC FRAMEWORK
PCT/KR2005/002042 WO2006006775A1 (en) 2004-06-29 2005-06-29 Banner equipped with elastic frame
CNA2005800216950A CN1977299A (zh) 2004-06-29 2005-06-29 配有弹性框架的旗帜
BRPI0512453-0A BRPI0512453A (pt) 2004-06-29 2005-06-29 banner equipado com armação elástica
JP2007519125A JP2008505354A (ja) 2004-06-29 2005-06-29 弾性フレームを備えた垂れ幕
US11/571,292 US20080040961A1 (en) 2004-06-29 2005-06-29 Banner Equipped with Elastic Fr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333A KR100583918B1 (ko) 2004-06-29 2004-06-29 탄성 프레임이 구비된 현수막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8365U Division KR200363320Y1 (ko) 2004-06-29 2004-06-29 탄성 프레임이 구비된 현수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468A KR20060000468A (ko) 2006-01-06
KR100583918B1 true KR100583918B1 (ko) 2006-06-01

Family

ID=35784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9333A KR100583918B1 (ko) 2004-06-29 2004-06-29 탄성 프레임이 구비된 현수막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80040961A1 (ko)
EP (1) EP1782412A4 (ko)
JP (1) JP2008505354A (ko)
KR (1) KR100583918B1 (ko)
CN (1) CN1977299A (ko)
BR (1) BRPI0512453A (ko)
CA (1) CA2572205A1 (ko)
WO (1) WO200600677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153B1 (ko) * 2009-11-17 2010-11-02 (주)모스트디자인 광고용 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48322A1 (en) * 2007-06-06 2008-12-11 Snaptagz Limited Display system with display panel and removable badge and a bag incorporating such a panel
WO2011034450A1 (en) 2009-09-21 2011-03-24 Patrick David Maguire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support systems
SE535650C2 (sv) * 2011-02-25 2012-10-30 Expand Int Ab Ett hopfällbart, flexibelt visningssystem
KR101478461B1 (ko) * 2013-09-13 2014-12-31 하명현 안내 표시장치
KR200482256Y1 (ko) * 2015-02-11 2017-01-05 종 필 김 수직형 현수막 광고장치
USD1001006S1 (en) * 2023-02-17 2023-10-10 Vernie Santos Flag hold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9245A (ja) 1996-08-29 1998-03-10 Taizaa:Kk 立看板装置
JPH10319889A (ja) 1997-05-19 1998-12-04 Bisoo Corp:Kk シート状展示物の支持脚とその脚骨
KR200310172Y1 (ko) 2003-01-21 2003-04-16 최도식 현수막 설치대
KR100452969B1 (ko) 2003-09-05 2004-10-15 주식회사 이노프로모션 현수막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7199A (en) * 1991-04-26 1992-12-01 Jurg Rehbein Sailflag unit
US6012688A (en) * 1996-10-28 2000-01-11 Lamotte; Lester A. Collapsible display system
US6493973B1 (en) * 1998-12-04 2002-12-17 Ned H. Nelson Banner holder
US6266904B1 (en) * 1999-02-01 2001-07-31 Patent Category Corp. Collapsible structures supported on a pole
KR200295530Y1 (ko) * 2002-08-07 2002-11-18 안수해 현수막 지지장치
KR200337532Y1 (ko) * 2003-10-14 2004-01-03 박우홍 현수막 거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9245A (ja) 1996-08-29 1998-03-10 Taizaa:Kk 立看板装置
JPH10319889A (ja) 1997-05-19 1998-12-04 Bisoo Corp:Kk シート状展示物の支持脚とその脚骨
KR200310172Y1 (ko) 2003-01-21 2003-04-16 최도식 현수막 설치대
KR100452969B1 (ko) 2003-09-05 2004-10-15 주식회사 이노프로모션 현수막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153B1 (ko) * 2009-11-17 2010-11-02 (주)모스트디자인 광고용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82412A1 (en) 2007-05-09
BRPI0512453A (pt) 2008-03-04
EP1782412A4 (en) 2007-07-18
CA2572205A1 (en) 2006-01-19
WO2006006775A1 (en) 2006-01-19
CN1977299A (zh) 2007-06-06
KR20060000468A (ko) 2006-01-06
US20080040961A1 (en) 2008-02-21
JP2008505354A (ja) 200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3918B1 (ko) 탄성 프레임이 구비된 현수막
CZ331097A3 (cs) Vlajka s ústrojím pro její udržování v roztaženém stavu
KR200363320Y1 (ko) 탄성 프레임이 구비된 현수막
KR100883057B1 (ko) 세로형 현수막 설치대
KR102289174B1 (ko) 배너광고장치
CN210244982U (zh) 一种双面广告宣传橱窗
KR100308349B1 (ko) 연립식 광고대
KR20170019671A (ko) 복귀기능을 갖는 현수막 거치대
KR102612341B1 (ko) 지주용 현수기
JP2000010515A (ja) 太陽電池を利用した蛍光照射のぼり
KR102597282B1 (ko) 지주용 현수기
KR102446913B1 (ko) 현수막 게시대
EP4105916A1 (en) A barrier sign kit
KR200374025Y1 (ko) 현수막 게시대
KR200471391Y1 (ko) 탈·부착이 가능한 현수막 걸이대
KR200256144Y1 (ko) 화단형 바리케이드
CN220747794U (zh) 一种智能候车亭
CN209980651U (zh) 多功能标识牌
KR102601036B1 (ko) 간판용 채널 트러스 바
KR101231056B1 (ko) 세로형 현수막 다량 게시대
CN210039448U (zh) 一种多功能广告牌
KR200371078Y1 (ko) 지하철용 안전펜스
KR100733858B1 (ko) 현수막 게시대
JP2010134339A (ja) メッセージスタンド
CN204510888U (zh) 一种防雨功能好的候车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