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341B1 - 지주용 현수기 - Google Patents

지주용 현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2341B1
KR102612341B1 KR1020230025451A KR20230025451A KR102612341B1 KR 102612341 B1 KR102612341 B1 KR 102612341B1 KR 1020230025451 A KR1020230025451 A KR 1020230025451A KR 20230025451 A KR20230025451 A KR 20230025451A KR 102612341 B1 KR102612341 B1 KR 102612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display unit
unit
banner
restr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5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향제
Original Assignee
이향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향제 filed Critical 이향제
Priority to KR1020230025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3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3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25Raising or lowering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66Stands for fla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주에 설치되어 현수막, 배너(banner), 플래그(flag) 중 하나 이상이 매달린 상태를 유지시키는 지주용 현수기에 있어서, 문자, 색상, 무늬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져 지주에 일정 위치를 유지함으로써 정보를 표시하는 게시유닛과, 상기 지주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게시유닛의 일측을 구속하여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유닛과, 상기 게시유닛의 하부를 지주에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상기 게시유닛 일측을 구속하여 지지유닛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착탈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주용 현수기{Hanging style bunting for pillar}
본 발명은 지주용 현수기에 관한 것으로, 가로등이나 전봇대 등의 지주에 각종 행사의 광고, 선전, 및 홍보 목적으로 설치되는 현수막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지주용 현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주에서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한 게시유닛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하여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면서도 착탈이 간편한 지주용 현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다리나 고소작업차를 사용하지 않고 지상에서 현수막을 설치 및 철거 가능한 착탈기구를 구비하여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지주용 현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를 가져 제작 원가가 절감되며,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지주용 현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게시유닛에서 문자, 색상, 무늬 등이 표시된 정보표시부만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일부 부품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지주용 현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나 도로의 인접한 위치에는 가로등 및 전신주, 교통표지판, 신호등과 같은 고정구조물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각종 고정구조물은 사용특성상 시계가 우수한 곳에 설치된다.
그리고 도로를 따라 열을 이루어 설치되는 가로등이나 도로 주변의 각종 기둥, 또는 건물 외부에 설치되는 가로등이나 특정 목적으로 설치되는 기둥 등에는 광고 또는 홍보용, 행사용으로 사용되는 각종 현수막이나 배너(banner), 플래그(flag) 등이 설치되고 있다.
현수막은 광고용으로 사용되는 아크릴 간판이나 네온사인 등에 비하여 비용이 저렴하고설치가 간단하다는 장점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바람에 펄럭이도록 함으로써 주위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현수막을 설치하기 위하여 인도나 도로 주변의 특정 위치에 현수막을 가로로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세울 수도 있으나, 별도의 거치대를 설치하는데에는 비용이 많이 발생하므로, 이러한 비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에 세워져 있는 가로등이나 전봇대 등의 지주에 현수막이나 행사용 플래그를 걸처 설치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현수기의 구조를 보인 개요도로서, 고정부(101)와 거치대(102)로 이루어진 현수기를 가로등의 지주(104)에 상하로 마주보게 설치하고, 거치대(102) 사이에 현수막(103)을 게양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도 1의 종래 기술은 하측에 위치한 거치대(102)가 보행자의 보행을 방해하도록 돌출되어 있어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87751호에는 도 2와 같이 현수막 게양대의 걸이대를 절첩하거나 착탈할 수 있도록 하여 보행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현수막 게양대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1 및 도 2의 종래기술은 거치대가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모두 현수막이나 플래그 등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사다리나 고소작업차가 반드시 필요하게 되며, 이로 인해 설치 비용이 증가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설치 및 철거시 많은 시간이 요구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23196호에는 도 3과 같이 다양한 기를 디지털 기로 게양할 수 있고 게양하지 않는 시간에는 영상등을 통해 광고, 홍보 등을 할 수 있어서 시간적, 경제적으로 유리한 효과가 있는 기 게양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3의 종래기술은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어 제작비를 증가시킬 뿐 아니라, 고장 발생율이 높으며, 유지 및 관리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로등이나 전봇대 등의 지주에 각종 행사의 광고, 선전, 및 홍보 목적으로 설치되는 현수막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지주용 현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주에서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한 게시유닛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하여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면서도 착탈이 간편한 지주용 현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다리나 고소작업차를 사용하지 않고 지상에서 현수막을 설치 및 철거 가능한 착탈기구를 구비하여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지주용 현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가져 제작 원가가 절감되며,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지주용 현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게시유닛에서 문자, 색상, 무늬 등이 표시된 정보표시부만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일부 부품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지주용 현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지주에 설치되어 현수막, 배너(banner), 플래그(flag) 중 하나 이상이 매달린 상태를 유지시키는 지주용 현수기에 있어서, 문자, 색상, 무늬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져 지주에 일정 위치를 유지함으로써 정보를 표시하는 게시유닛과, 상기 지주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게시유닛의 일측을 구속하여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유닛과, 상기 게시유닛의 하부를 지주에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상기 게시유닛 일측을 구속하여 지지유닛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착탈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게시유닛은,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표시부와, 상기 정보표시부를 지지하는 게시부와, 상기 게시부와 결합되며, 상기 지지유닛에 삽입 방식으로 결합되어 정보표시부가 지주에 매달린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착탈기구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막대 형태인 기구몸체와, 상기 기구몸체의 일단부에서 상기 삽입부와 형합하여 구속하는 구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부 일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여 지지유닛 내부에서 구속력을 발생하는 구속돌기부와, 전원인가시 상기 구속돌기부가 삽입부 내부로 인입되게 하는 인입유닛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속부와 삽입부 일측에는, 형합시 결합력을 발생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게시부와 삽입부는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주용 현수기는, 가로등이나 전봇대 등의 지주에 각종 행사의 광고, 선전, 및 홍보 목적으로 설치되는 현수막을 사다리나 고소작업차를 사용하지 않고 착탈기구를 사용하여 지상에서 용이하게 설치 및 철거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지주에서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한 게시유닛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하여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를 가져 제작 원가가 절감되며, 유지 및 관리가 용이다.
또한, 지주에서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한 게시유닛에서 문자, 색상, 무늬 등이 표시된 정보표시부만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일부 부품의 재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현수기의 구조를 보인 개요도.
도 2 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87751호에 개시된 현수막 게양대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 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23196호에 개시된 기 게양시스템을 나타낸 개요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지주용 현수기의 사용예를 보인 사용 상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지주용 현수기에서 일 구성인 게시유닛과 지지유닛의 결합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지주용 현수기에서 일 구성인 게시유닛과 지지유닛이 분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지주용 현수기에서 일 구성인 게시유닛과 지지유닛 및 착탈기구가 분리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지주용 현수기에서 일 구성인 착탈기구에 게시유닛이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지주용 현수기에서 일 구성인 착탈기구와 게시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지주용 현수기에서 일 구성인 착탈기구에 의해 게시유닛이 지지유닛으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지주용 현수기에서 일 구성인 게시유닛과 지지유닛의 결합구조를 보인 다양한 실시예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지주용 현수기(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지주용 현수기(100)의 사용예를 보인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과 같이 상기 지주용 현수기(100)는 가로등이나 전봇대 등의 지주(P)에 각종 행사의 광고, 선전, 및 홍보 목적으로 설치되는 현수막 등의 정보표시부(122)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사다리나 고소작업차 등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지상에서 바로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지주용 현수기(100)는 문자, 색상, 무늬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져 지주(P)에 일정 위치를 유지함으로써 정보를 표시하는 게시유닛(120)과, 상기 지주(P)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게시유닛(120)의 일측을 구속하여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유닛(도 5의 도면부호 140)과, 상기 게시유닛(120)의 하부를 지주(P)에 고정하는 고정부재(160)와,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상기 게시유닛(120) 일측을 구속하여 지지유닛(14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착탈기구(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게시유닛(120)은 다양한 정보를 게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교체 가능하며, 보행자의 보행시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높은 곳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게시유닛(120)은 상부가 지주(P)에 결합 고정되고, 하부는 고정부재(160)에 의해 지주(P)에 고정된다.
즉 상기 게시유닛(120)은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표시부(122)와, 상기 정보표시부(122)를 지지하는 게시부(124)와, 상기 게시부(124)와 결합되며, 상기 지지유닛(140)과 직선 방향의 삽입 방식으로 결합하여 정보표시부(122)가 지주(P)에 매달린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삽입부(1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정보표시부(122)는 다양한 소재로 제작되며, 외면에는 다양한 정보가 인쇄된다.
그리고 상기 정보표시부(1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주(P)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하나씩 동일 크기로 배치하였으며, 한 쌍의 정보표시부(122)는 고정부재(160)에 의해 구속되어 이격 범위가 제한된다.
그리고 상기 정보표시부(122)는 고정부재(160)에 의해 지주(P)로부터도 이격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상기 게시부(124)는 정보표시부(122)가 펼쳐진 상태로 매달려질 수 있도록 상단부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지주(P)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곧게 펴진 막대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정보표시부(122)의 가로 크기를 고려한 길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삽입부(126)는 게시부(124)의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게시부(124)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126)의 양측에는 각각 게시부(124)가 일직선상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126)를 기준으로 양측에는 각각 정보표시부(122)가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유닛(140)은 전술한 게시유닛(120)이 도 4와 같이 지주(P)에 하중이 지지된 상태로 고정되게 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지지유닛(140)은 지주(P)의 상부 외면에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필요시 상기 삽입부(126)와 결합함으로써 게시유닛(120)의 고정 및 지지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지지유닛(140)과 게시유닛(120)의 결합 구조를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지주용 현수기(100)에서 일 구성인 게시유닛(120)과 지지유닛(140)의 결합 구조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지주용 현수기(100)에서 일 구성인 게시유닛(120)과 지지유닛(140)이 분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정보표시부(122)는 도시하지 않고 생략하였다.
이들 도면과 같이 상기 게시유닛(120)의 일 구성인 삽입부(126)는 지지유닛(140)에 대하여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게시유닛(120)은 지지유닛(140)의 전방에 위치하면서 지지유닛(140)과의 결합에 의해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게시유닛(120)의 삽입부(126)는 우측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지지유닛(140)에 슬라이딩 삽입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유닛(140)의 내부에는 삽입부(126)의 우측부 단면과 대응하는 형태의 홈부(142)가 좌측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부(142)가 형성된 방향으로 상기 삽입부(126)가 슬라이딩 삽입함으로써 결합이 완료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상기 게시유닛(120)에 정보표시부(122)가 설치된 상태에서 도 6의 점선을 따라 상기 홈부(142)에 삽입부(126)를 맞추어 후방으로 밀어넣게 되면 도 5와 같은 상태로 상기 게시유닛(120)은 게시가 완료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착탈기구(18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지주용 현수기(100)에서 일 구성인 게시유닛(120)과 지지유닛(140) 및 착탈기구(180)가 분리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지주용 현수기(100)에서 일 구성인 착탈기구(180)에 게시유닛(120)이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착탈기구(180)는 기다란 막대 형태를 가지며, 상부에는 삽입부(126)의 좌측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함모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착탈기구(180)의 상부 내측에 삽입부(126)의 좌측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착탈기구(180)를 파지하여 들어올리게 되면, 사용자는 사다리를 사용하지 않고도 삽입부(126)를 지지유닛(140)에 슬라이딩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착탈기구(180)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막대 대형태인 기구몸체(182)와, 상기 기구몸체(182)의 일단부에서 상기 삽입부(126)와 형합하여 구속하는 구속부(18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구몸체(182)는 지지유닛(140)의 높이와 사용자의 신장을 고려하여 다양한 길이로 준비될 수 있으며, 상기 기구몸체(182)의 상단부에는 구속부(184)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구속부(184)는 내부가 우측 방향으로 개구되어 삽입부(126)의 좌측부위가 내부에 수용되게 함으로써 게시유닛(120)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구속부(184)와 삽입부(126)에는 결합부재(19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190)는 구속부(184)와 삽입부(126)가 형합되었을 때 결속력을 높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재(190)는 자성체로 적용하였으며, 상기 구속부(184)와 삽입부(126)가 형합시 마주하는 면에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배치하였다.
따라서 상기 구속부(184)와 삽입부(126)가 형합되면, 형합에 의해 상/하, 전/후 및 근접방향 이탈은 방지되며,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만 이탈될 수 있는데, 상기 결합부재(190)의 작용으로 인해 상기 구속부(184)와 삽입부(126)는 서로 인력이 작용하는 상태가 되어 이탈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지주용 현수기(100)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지주용 현수기(100)에서 일 구성인 착탈기구(180)와 게시유닛(120)의 다른 실시예의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지주용 현수기(100)에서 일 구성인 착탈기구(180)에 의해 게시유닛(120)이 지지유닛(140)으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삽입부(126)는 지지유닛(140)에 결합하거나 선택적으로 탈거할 때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삽입부(126) 일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여 지지유닛(140) 내부에서 구속력을 발생하는 구속돌기부(127)와, 전원인가시 상기 구속돌기부(127)가 삽입부(126) 내부로 인입되게 하는 인입유닛(128)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속돌기부(127)는 탄성부재에 의해 탄발지지되어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상기 구속돌기부(127) 사이에는 인입유닛(128)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인입유닛(128)은 배터리(186)와 스위치(188)에 연결되어 스위치(188) 동작시 배터리(186)의 전원이 공급되며, 본 발명에서 상기 인입유닛(128)은 전자석이 채택되었다.
따라서 상기 인입유닛(128)에 전원이 인가되어 전자석으로서 작용하게 되면, 상/하측에 위치한 구속돌기부(127)에 인력을 작용하여 도 10과 같이 서로 모이게 되며, 이로써 상기 지지유닛(140)의 홈부(142) 상/하측에 함몰 형성된 돌기수용홈(144)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게시유닛(120)을 지주(P)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컨대 상기 홈부(142)와 삽입부(126)는 직육면체 형태가 형합하도록 예시하였으나, 도 11과 같이 상기 홈부(142)와 삽입부(126)는 서로 슬라이딩하여 형합할 수 있는 범위 내라면 다양한 형태로 변경 적용 가능하다.
100. 지주용 현수기 120. 게시유닛
122. 정보표시부 124. 게시부
126. 삽입부 127. 구속돌기부
128. 인입유닛 140.지지유닛
142. 홈부 144. 돌기수용홈
160. 고정부재 180. 착탈기구
182. 기구몸체 184. 구속부
186. 배터리 188. 스위치
190. 결합부재 P . 지주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지주에 설치되어 현수막, 배너(banner), 플래그(flag) 중 하나 이상이 매달린 상태를 유지시키는 지주용 현수기에 있어서,
    문자, 색상, 무늬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져 지주에 일정 위치를 유지함으로써 정보를 표시하는 게시유닛과, 상기 지주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게시유닛의 일측을 구속하여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유닛과, 상기 게시유닛의 하부를 지주에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상기 게시유닛 일측을 구속하여 지지유닛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착탈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게시유닛은,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표시부와,
    상기 정보표시부를 지지하는 게시부와,
    상기 게시부와 결합되며, 상기 지지유닛에 삽입 방식으로 결합되어 정보표시부가 지주에 매달린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착탈기구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막대 형태인 기구몸체와,
    상기 기구몸체의 일단부에서 상기 삽입부와 형합하여 구속하는 구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삽입부 일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여 지지유닛 내부에서 구속력을 발생하는 구속돌기부와,
    전원인가시 상기 구속돌기부가 삽입부 내부로 인입되게 하는 인입유닛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용 현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와 삽입부 일측에는,
    형합시 결합력을 발생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용 현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게시부와 삽입부는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용 현수기.
KR1020230025451A 2023-02-25 2023-02-25 지주용 현수기 KR102612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5451A KR102612341B1 (ko) 2023-02-25 2023-02-25 지주용 현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5451A KR102612341B1 (ko) 2023-02-25 2023-02-25 지주용 현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2341B1 true KR102612341B1 (ko) 2023-12-11

Family

ID=89162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5451A KR102612341B1 (ko) 2023-02-25 2023-02-25 지주용 현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234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177B1 (ko) * 2010-08-06 2010-12-24 정명교 돌출간판이 일체형으로 결합된 가로광고용 간판
KR20110021592A (ko) * 2009-08-26 2011-03-04 채종주 현수막 게양대
KR102161691B1 (ko) * 2020-04-28 2020-10-05 주식회사 라임 포켓배너대
KR20200127601A (ko) * 2019-05-03 2020-11-11 (사)광주옥외광고협회 배너광고장치
KR102264787B1 (ko) * 2020-04-17 2021-06-15 김학률 원스톱 배너 거치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1592A (ko) * 2009-08-26 2011-03-04 채종주 현수막 게양대
KR101004177B1 (ko) * 2010-08-06 2010-12-24 정명교 돌출간판이 일체형으로 결합된 가로광고용 간판
KR20200127601A (ko) * 2019-05-03 2020-11-11 (사)광주옥외광고협회 배너광고장치
KR102264787B1 (ko) * 2020-04-17 2021-06-15 김학률 원스톱 배너 거치대
KR102161691B1 (ko) * 2020-04-28 2020-10-05 주식회사 라임 포켓배너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22920B2 (ja) 標識装置
KR102612341B1 (ko) 지주용 현수기
KR102597282B1 (ko) 지주용 현수기
KR20100011280U (ko) 일체형구조의 기능성 안내표지판
KR101227656B1 (ko) 광고물 부착 방지 및 안내광고판 기능을 구비한 가로등 기구
JPH09235709A (ja) 屋外表示板
KR200382057Y1 (ko) 현수막게시장치
KR200404597Y1 (ko) 전광판과 현수막을 이용한 지주형 간판
KR102289174B1 (ko) 배너광고장치
KR20120006377U (ko) 자석이 구비된 판형 안내표지판
JP3160760U (ja) 媒体表示用六角錐体の表示具
KR200365747Y1 (ko) 시민게시판
KR200297826Y1 (ko) 홍보물을 게재할 수 있는 휀스
CN214301391U (zh) 一种道路交通工程用警示装置
CN216130007U (zh) 一种稳定性高的抗风交通标志牌
CN210667515U (zh) 一种可移动的施工警示牌
KR200497227Y1 (ko) 자석식 탈부착이 용이한 안내판
CN217923216U (zh) 一种发光道路交通标志
CN211150029U (zh) 一种非机车道用指示装置
KR200397766Y1 (ko) 현수막 게시대
KR200187742Y1 (ko) 버스 정류장 표지판
CN213781520U (zh) 一种便于更换的路灯广告牌
CN217128058U (zh) 一种道路警示牌
CN213070543U (zh) 一种便于更换广告的led路牌
CN219862487U (zh) 一种道路施工警示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